KR101804881B1 -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881B1
KR101804881B1 KR1020160115850A KR20160115850A KR101804881B1 KR 101804881 B1 KR101804881 B1 KR 101804881B1 KR 1020160115850 A KR1020160115850 A KR 1020160115850A KR 20160115850 A KR20160115850 A KR 20160115850A KR 101804881 B1 KR101804881 B1 KR 101804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tact terminal
layer
delete delete
electric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881B1/ko
Priority to CN201710803415.6A priority patent/CN10780901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외면에 솔더링 가능한 금속층이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양측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층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coreless)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adapted to low height}
본 발명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이가 극히 작은 치수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soldering)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며,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예로,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제783588호는, 일정 체적을 갖는 절연 발포고무; 상기 절연 발포고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비발포접착제층; 및 한 면이 상기 절연 비발포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비발포접착제층에 접착되고, 다른 면에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개시한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1354호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내열 접착제층; 및 한 면이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다른 면에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필름은 양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의 하면은 폭 방향 양단에서 중간 부분을 향해 파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접촉단자의 경우, 통상 폴리머 필름의 내부에 코어가 존재하고 코어는 접착제층을 재재하여 폴리머 필름의 내면에 접착된다.
이러한 전형적인 접촉단자는 항상 코어를 구비하기 때문에 작은 치수의 경우 구조적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두께가 얇은 탄성을 갖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가령, 높이가 0.2㎜ 정도이고, 폭이 1.6㎜ 정도로 폭이 높이의 8배 정도 되는 치수를 갖는 접촉단자를 제조할 경우, 이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 코어를 제공하고 이를 필름이 감싸도록 하여 접촉단자를 제조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효율적이지 않다.
더욱이, 코어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 효율성이 떨어진다.
사이즈가 작고, 특히 높이가 아주 낮은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전혀 다른 개념의 구조를 갖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략 0.2㎜ 정도의 두께를 갖는 탄성을 갖는 절연 폴리우레탄의 발포체 시트 위에 구리와 니켈의 금속층을 무전해 도금에 의해 제공한 전기전도성 스폰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전도성 스폰지는 외부의 마찰이나 반복되는 압축에 의해 금속층의 가루가 떨어져 전기회로에 합선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절단면에서 금속층이 절단되어 금속가루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외부의 금속층에 의해 내부 발포체의 탄성복원력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내열성이 없기 때문에 90도 정도의 고온에서 복원력이 현저히 저하되고 솔더링 온도를 견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치수, 특히 높이가 아주 낮은데 적합한 구조를 갖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높이 치수에도 제조 효율성이 우수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식에 강하고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성이 향상되어 대상물이 다소 평탄하지 않더라도 대상물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을 이룰 수 있는 신뢰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층에 개구가 형성되어도 제조시 늘어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면에만 항상 구리층이 노출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하여 구부러지기 쉬우면서 전자파를 신뢰성 있게 차폐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한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솔더링이 가능하거나, 표면실장이 가능하거나 또는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점착테이프가 부착한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되어 상기 대상물 사이에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외면에 솔더링 가능한 금속층이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양측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층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coreless)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단자의 수직 단면에서, 상기 필름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층의 두께가 상기 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층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촉단자의 높이는 0.1㎜ 내지 0.3㎜이고, 폭은 1㎜ 내지 3㎜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단은 서로 이격되어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간극은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액상의 탄성 고무가 누출되는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필름의 내측에서 상하를 연결하는 기둥 형상으로 경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의 내부에 상기 지지층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층은 구리 박과 상기 구리 박 위에 적층되는 금속도금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리 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양측 수직 절단면과 상기 개구의 에칭면 위에 구리보다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되어 상기 대상물 사이에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외면에 솔더링 가능한 금속층이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양측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층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금속층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금속 띠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띠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는 마름모 또는 원형일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실장되고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되어 상기 대상물 사이에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외면에 금속층이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 상기 필름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 및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점착된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져 상기 양측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지지층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금속층에는 노광과 에칭에 의해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개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는 길이방향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개구에 의해 금속층은 절연 분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의 하면은 편평하고, 상기 점착테이프 밑에 이형지가 적층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코어 내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거나 코어 자체를 튜브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운 크기의 전기접촉단자를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필름의 양측 내면에 접착된 탄성 지지층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코어 없이도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 노출된 구리 박을 내 환경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으로 덮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신뢰성 테스트에서 염수와 구리박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사용 중에도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녹이 슬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되어 있는 경우 절단면에서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금속층이 서로 교차되어 연결되는 금속 띠로 형성되고, 마름모 또는 원형의 개구가 격자 구조를 구비하여 물리적 강도가 증가하여 길이방향의 인장력에 대해서도 대항할 수 있어 제조과정 중 전기접촉단자가 금형으로부터 압출되어 나올 때 접촉단자가 잡아 당겨지면서 인장력을 받아도 전기접촉단자가 늘어나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다수의 금속 띠가 일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교차하여 금속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절단시 양 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다수의 금속 띠가 접촉단자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연성이 좋다.
또한, 탄성을 갖는 지지층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이로 인해 누르는 힘이 적게 들며 또한 복원률이 좋아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구가 분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유입되는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금속층에 개구가 형성되어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과 접촉하는데, 금속층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에 의해 금속층이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대상물이 다소 평탄하지 않더라도 대상물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을 이룰 수 있으며, 대상물과 전기접촉단자 간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금속층이 접착된 폴리머 필름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낸다.
전기접촉단자(100)는, 외면에 솔더링 가능한 금속층(130)이 접착된 내열 폴리머 필름(120)과, 필름(120)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110)을 포함한다.
전기접촉단자(100)는 회로기판과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가령 회로기판의 도전패턴과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강제로 끼워져 설치되거나,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솔더 크림에 의해 솔더링 되거나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를 개재하여 점착되어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양면 점착테이프를 적용하는 경우, 단면에서 필름(120)의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표면실장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을 적용하는 경우, 단면에서 필름(120)의 하면이 양측 가장자리에서 중앙 부분을 향하여 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플로우 솔더링의 경우, 전기접촉단자(100)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 되어 공급되고, 진공 픽업과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된다.
전기접촉단자(100)의 치수는 극히 작아, 가령 높이가 대략 0.1㎜ 내지 0.3㎜이고, 폭은 대략 1㎜ 내지 3㎜일 수 있다.
필름(120)은 양측(121)은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는데, 측벽(12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층(111)의 탄성력이나 복원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측벽(121)의 내측에 지지층(110)을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 가령 도 1과 같이, 측벽(121)의 내측과 이에 인접한 상하면의 일부를 지지층(110)이 채우는 경우 탄성 재질로 구성된 지지층(11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도 1의 원 A 안에 도시한 것처럼, 측벽(121)의 내측에 지지층(110)을 얇게 형성하는 경우, 필름(120)과 이에 접착된 지지층(110)이 하나의 탄성 시트처럼 작용하여 복원력을 갖게 됨으로써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접촉단자와 달리 필름(120) 내부에 코어를 구비하지 않지만, 필름(120)의 양측(121)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측벽(121)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층(110)에 의해 생성되는 탄성력 또는 필름(120)과 지지층(110)에 의해 생성되는 복원력으로 대상물을 탄성 지지한다.
접촉단자(100)의 수직 단면에서, 필름(120)의 양측(121)에 대응하는 지지층(110)의 두께가 필름(120)의 상측 또는 하측 일부에 대응하는 지지층(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대상물에 의해 누르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필름(120)의 폭 방향 양단은 이격되어 간극(122)을 형성하며, 간극(122)은 도 1과 같이 비어 있거나 지지층(110)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간극(12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의 탄성 고무가 누출되어 솔더링을 방해하지 않도록 누출되는 액상의 탄성 고무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필름(120)의 내면에, 가령 경화 후 고상이 되면서 필름(120)에 접착되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를 도포하고,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라운드진 금형 내부를 통과시킴으로써 필름(120)의 단면 형상은 도 1과 같이 변형되는데, 필름(120)의 내면에 도포된 액상의 실리콘 고무는 점성의 정도에 따라 필름(120)의 내면을 따라 흐르거나 하방으로 낙하하거나 또는 양자가 한꺼번에 이루어진다.
도 1은 필름(120)이 내면을 따라 흐른 경우를 보여주는데, 필름(120)의 양측 내측에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흘러서 모여 두툼한 지지층(110)을 형성하고, 필름(120)의 내측 상부와 하부는 얇은 두께의 지지층(110)이 형성된다.
또한,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필름(120)의 내측에서 상하를 연결하는 기둥(111) 형상으로 경화되면 대상물의 가압에 의한 외력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기둥(111)은 대략 실 모양으로 불규칙적으로 형성되며 기둥(111) 사이에 공간(124)이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누르는 힘을 적게 들고 복원력도 좋은 접촉단자(100)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지지층(110)은,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필름(120)의 내면에 얇게 도포된 후 경화에 의해 굳어지면서 필름(120)의 내면에 접착되어 형성된다.
한편, 액상의 실리콘고무가 코팅된 필름(120)은 금형을 통과하면서 낮은 높이와 긴 폭을 구비한 단면 형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지지층(11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124)이 형성된다.
공간(124)의 크기는 필름(120) 내면에 도포된 액상의 탄성 고무의 양과 도포 패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액상의 탄성 고무의 양을 적게 하면, 공간(124)의 크기가 그만큼 증가한다.
공간(124)이 형성됨으로써, 대상물이 누르는 힘을 줄일 수 있고, 공간(124) 자체에 의해 동작 거리가 늘어나는 이점이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금속층이 접착된 폴리머 필름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 실시 예는 도 1의 실시 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이하에서는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금속층(230)은 폴리머 필름(220)의 이면에 접착되는데, 금속층(230)으로는, 가령 신율이 우수한, 가령 6㎛ 내지 18㎛ 정도의 구리 박이 사용될 수 있다. 구리 박 위에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금, 주석 또는 은이 도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리 박을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눌리더라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폴리머 필름(220) 위에 스퍼터링 또는 도금 등에 의해 형성된 모든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금속층(230)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금속 띠(230a, 230b)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금속 띠(230a, 230b) 중 어느 하나가 폭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거나 양자 모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폭 방향으로 대략 45도의 경사를 이루는 금속 띠(230a)와 135도의 경사를 이루는 금속 띠(230b)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고 이들 금속 띠(230a, 230b)가 격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한다. 이해를 위해 도면에서는 이들 중 각각 하나의 금속 띠만 해칭되어 있다.
금속 띠(230a, 230b)가 서로 교차하는 사이에는 마름모 형상의 개구(235)가 분리 형성되어 개구(235)를 통하여 폴리머 필름(220)이 외부로 노출된다.
금속 띠(230a, 230b)의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각도에 따라 개구(235)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예와 같이, 금속 띠(230a, 230b)의 폭과 이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금속층(230)을 띠 형상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에서 유입되는 전자파를 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금속층(230)의 최 외각을 가령 금으로 도금하여 금속도금층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도금층을 형성하지 않은 구리 박을 에칭하여 개구(235)를 형성한 후 지지층(110)을 형성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한 후 벌크(Bulk) 금 도금한다.
이와 반대로 접촉단자(200)의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를 부착하는 경우, 접촉단자(200)의 양측 절단면에만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구리 박을 에칭하여 개구(235)를 형성한 필름(220)에 금 도금에 의한 금속도금층을 형성하고 이후 지지층(110)을 형성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한다.
도금은 주석(Sn)이나 은(Ag)으로 도금하거나, 니켈(Ni) 도금 후 주석(Sn) 또는 금(Au)을 순차적으로 도금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석이나 은의 경우 두께가 대략 2㎛이고, 니켈/금의 경우 대략 니켈의 두께는 2㎛, 금의 두께는 0.1㎛ 정도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전기접촉단자(200)의 제조과정에서 형성되는 에칭면과 절단면에 모두 금속도금층이 형성됨으로써 전기접촉단자(200)의 사용 중에도 접촉단자의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구리 박이 부식될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직 절단면에서 구리 박을 덮도록 형성된 금속도금층 위로 솔더 크림이 잘 퍼져 절단면에서의 솔더링 강도가 증가한다.
한편, 금속층(230)은 서로 교차되는 금속 띠(230a, 230b)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235)가 형성되면서도 연속되는 격자 구조에 의해 물리적 강도가 제공되어 제조과정 중 전기접촉단자가 금형으로부터 나올 때 필요한 인장력을 수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경사를 갖는 금속 띠(230a, 230b)가 교차하여 금속층(230)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절단시 양 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개구(235)가 마름모 형상이지만, 금속 띠(230a, 230b)가 경사지고 서로 교차하는 패턴을 유지하는 한, 개구(235)는 원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에칭시 개구(235)에 대응하는 패턴 마스크의 형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230)에 개구(235)가 형성되어 금속층(230)이 전체적으로 형성된 것보다 유연성이 좋다.
또한, 개구(235)가 분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유입되는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300)의 금속층(330)에는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다수의 개구(335)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개구(335)의 폭과 금속층(330)의 폭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령 금속층(330)과 개구(335)의 폭은 유연성, 전기저항 및 전자파 차폐 등을 고려하여 대략 0.5㎜ 내지 2㎜일 수 있다.
또한, 개구(335)는 접촉단자(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개구(335)와 금속층(330)의 형상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단자(300)의 하면에는 대략 접촉단자(3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는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340)가 부착되고 대략 길이가 폭에 비해 상당히 길다.
이 경우 접촉단자(300)의 명칭보다는 EMI 개스킷(EMI Gasket)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촉단자(300)의 좌우의 패턴이 대략 대칭되기 때문에 유사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다수의 금속층(330)은 다수의 개구(335)에 의해 서로 전기적인 절연을 이루고 다수의 개구(335)에 의해 접촉단자(300)의 유연성이 매우 좋아져 긴 길이에서도 쉽게 꺾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금속층(330)은 구리 박과 구리 박 위에 금 도금되는 금속도금층으로 이루어지는데, 노광과 에칭에 의해 구리 박에 개구(335)를 형성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구리 박에 모두 금으로 도금하여 금속도금층을 형성한 후 지지층(110)을 형성하고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면, 결과적으로 접촉단자(300)의 절단면에만 구리 박이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금속도금층에 의해 구리 박이 덮인다.
그 결과, 금이 도금된 부위는 신뢰성 테스트에서 염수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사용 중에도 구리박이 노출되지 않아 녹이 슬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접촉단자(300)의 길이가 긴 경우에 구리 박이 노출된 절단면은 전체에 비해 일부에 지나지 않아 대략적으로 품질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기접촉단자(300)가 금속층(330)의 상면에서 대상물과 접촉하는데, 금속층(330)에 형성된 개구(335)에 의해 금속층(330)이 절연 분리되기 때문에 대상물이 다소 평탄하지 않더라도 대상물 전체에 균일하게 접촉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대상물과 전기접촉단자(300) 간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 실시 예에서, 필름(320)의 하면에는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340)가 점착되고, 그 위에 이형지(350)나 이형필름이 점착되는데, 필름(320)의 하면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340)는 아크릴, 또는 우레탄 점착제에 금속 파우더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340)는 접촉단자(300)의 하면의 폭과 유사하게 형성하거나 일부 작거나 크게 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한 것처럼, 높이가 대략 0.1㎜ 내지 0.5㎜이고 폭이 1㎜ 내지 3㎜ 정도로 전기접촉단자(300)는 높이가 매우 낮고, 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공하여, 납오름 현상 때문에 낮은 높이에서는 사용하기가 불편한 솔더링보다는 전기전도성 양면점착테이프(340)를 하면에 부착하여 효율적으로 대상물에 실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파 실딩(EMI shielding)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전기접촉단자
110, 210, 310: 지지층
120, 220, 320: 폴리머 필름
130, 230, 330: 금속층
235, 335: 개구

Claims (20)

  1.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고 접촉되어 상기 대상물 사이에 전기 통로를 형성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외면에 금속층이 접착된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의 내면에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탄성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필름의 양측이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지고,
    a) 상기 구부러진 양 측벽의 내측의 일부 공간을 상기 지지층이 채우고, 상기 채워진 지지층의 탄성력으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거나,
    b) 상기 구부러진 양 측벽의 내측에 상기 지지층이 코팅되어 상기 필름과 함께 탄성 시트를 구성하여 상기 탄성 시트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coreless) 탄성 전기접촉단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촉단자의 수직 단면에서, 상기 필름의 양 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층의 두께가 상기 필름의 상면 또는 하면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층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촉단자의 높이는 0.1㎜ 내지 0.3㎜이고, 폭은 1㎜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4. 청구항 1에서,
    상기 필름의 폭 방향 양단은 서로 이격되어 간극을 형성하며, 상기 간극은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액상의 탄성 고무가 누출되는 양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5. 청구항 1에서,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액상의 실리콘 고무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필름의 내측에서 상하를 연결하는 기둥 형상으로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6. 청구항 1에서,
    상기 필름의 내부에 상기 지지층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7. 청구항 1에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 박과 상기 구리 박 위에 적층되는 금속도금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리 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양측 수직 절단면 위에 구리보다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8. 청구항 1에서,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점착된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9. 청구항 1에서,
    상기 필름은 내열성을 구비하고,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실장되고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15850A 2016-09-08 2016-09-08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804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50A KR101804881B1 (ko) 2016-09-08 2016-09-08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CN201710803415.6A CN107809012B (zh) 2016-09-08 2017-09-08 适合于低高度的无芯弹性电接触端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850A KR101804881B1 (ko) 2016-09-08 2016-09-08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28A Division KR20180028392A (ko) 2017-09-20 2017-09-20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881B1 true KR101804881B1 (ko) 2017-12-06

Family

ID=6092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850A KR101804881B1 (ko) 2016-09-08 2016-09-08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4881B1 (ko)
CN (1) CN1078090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195B (zh) * 2018-11-20 2021-06-18 卓英社有限公司 弹性电接触端子
KR102340421B1 (ko) * 2019-06-12 2021-12-17 조인셋 주식회사 부착 강도가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개스킷
CN115882256A (zh) * 2021-09-29 2023-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电连接件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21Y1 (ko) * 2003-12-08 2004-03-18 주식회사 유일전자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형 제브라 커넥터
KR100993253B1 (ko) * 2010-04-28 2010-11-10 김선기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178869B1 (ko) * 2012-03-12 2012-09-03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전자파 차폐 가스켓
KR101225493B1 (ko) * 2011-12-13 2013-01-23 주식회사 이엔씨테크 회로기판용 소형 전기접촉단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7633A (ja) * 1993-07-14 1995-02-07 Whitaker Corp:The エラストマコネクタ
KR101074162B1 (ko) * 2009-06-01 2011-10-17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CN203261631U (zh) * 2013-04-24 2013-10-30 青岛卓英社科技有限公司 可焊接导电泡棉
CN105390850B (zh) * 2014-08-22 2017-12-29 卓英社有限公司 能够实现借助于回流焊的表面贴装的囊型电接触端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21Y1 (ko) * 2003-12-08 2004-03-18 주식회사 유일전자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형 제브라 커넥터
KR100993253B1 (ko) * 2010-04-28 2010-11-10 김선기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225493B1 (ko) * 2011-12-13 2013-01-23 주식회사 이엔씨테크 회로기판용 소형 전기접촉단자
KR101178869B1 (ko) * 2012-03-12 2012-09-03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전자파 차폐 가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09012A (zh) 2018-03-16
CN107809012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3752B2 (ja)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TWI459894B (zh) 電磁干擾屏蔽墊片
JP6400845B2 (ja) 耐環境性が向上された弾性電気接触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84282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804881B1 (ko)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CN105990728B (zh) 提高耐环境性的弹性电接触端子及其制造方法
KR20200142453A (ko) 부착 강도가 향상된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전도성 개스킷
JP6121583B2 (ja) 弾性電気接触端子
KR20180028392A (ko)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52948B1 (ko) 납땜이 가능하고 탄력성을 갖는 전기전도성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66658B1 (ko) 납땜이 가능하고 우수한 탄성력을 갖는 전기전도 이방성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735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793719B1 (ko)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08770A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271387B1 (ko) 탄성 개스킷
KR101038980B1 (ko) 표면 실장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899953B1 (ko) 전기전도성 접지 가스켓의 제조방법
KR101735656B1 (ko)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7338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594639B1 (ko)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KR101759712B1 (ko) 신호전달 안정성을 갖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258846B1 (ko) 압접형 전기 커넥터
KR20090051437A (ko)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적 접속부재
KR101358717B1 (ko) 전기전도성 개스킷
KR20210145105A (ko) 탄성 개스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