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0440B1 - 화장료 - Google Patents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440B1
KR101770440B1 KR1020127019322A KR20127019322A KR101770440B1 KR 101770440 B1 KR101770440 B1 KR 101770440B1 KR 1020127019322 A KR1020127019322 A KR 1020127019322A KR 20127019322 A KR20127019322 A KR 20127019322A KR 101770440 B1 KR101770440 B1 KR 101770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mass
poe
cosmetic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2136A (ko
Inventor
미나코 사토
다카시 데시가와라
게이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102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침투감이 우수하여 끈적거리지 않아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운 등의 효과 실감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a) 수소 첨가 인지질과, (b) 분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a) 성분에 대한 양용매 및/또는 빈용매인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투명 내지 반투명의 화장료. (b) 성분으로서 이소스테아르산 및/또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이 바람직하다. 또한 (a) 성분 : (b) 성분 = 1 : 0.01 ∼ 1 : 0.4 (질량비) 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장료{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침투감이 우수하여 끈적거리지 않아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운 등의 효과 실감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를 비롯한 피부 화장료는, 침투감이 우수하여 끈적거리지 않아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운 등의 효과 실감이 우수한 것이 요구된다. 한편, 레시틴의 주성분인 인지질은 생체막의 구성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고, 안전성이 높은 천연 유래의 계면활성제로서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나아가서는 생체막 구성 성분 때문에 피부와의 친화성이 좋아 효과 실감이 우수한 성분으로서 착안되어, 화장품 기제에 대한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레시틴을 화장수 등의 저점도의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 석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병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계 (系) 의 안정성을 높이지만, 많이 배합한 경우 등은, 레시틴 특유의 효과 실감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레시틴이 갖는 효과 실감을 저해하지 않고, 안정성도 우수한 화장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 레시틴을 사용한 본 발명에 가까운 종래 기술로서, 대두 레시틴 등의 인지질을, 양(良)용매인 다가 알코올에 용해한 후, 빈(貧)용매인 다른 다가 알코올을 첨가하여 라메라 액정을 형성하고, 이것에 물이나 수용액을 천천히 적하하여 미세한 리포솜 분산 수용액을 조제하는 방법이나 (특허문헌 3 참조), 특정한 모노아실형 인지질을 포함하는 가용화형 투명 화장료 (특허문헌 4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문헌에는, 레시틴이 갖는 효과 실감을 저해하지 않고 안정성도 우수하며, 또한 외관이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를 얻는다는 것에 대해 기재나 시사는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93239호 일본 특허 제329886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082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4921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효과 실감 (침투감, 끈적거리지 않음,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움 등), 안정성이 우수한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수소 첨가 인지질과, (b) 분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a) 성분에 대한 양용매 및/또는 빈용매인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는 투명 내지 반투명의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 성분이 이소스테아르산 및/또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인 상기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성분 : (b) 성분 = 1 : 0.01 ∼ 1 : 0.4 (질량비) 인 상기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성분 중의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60 질량% 이상인 상기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효과 실감 (침투감, 끈적거리지 않음,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움 등), 안정성이 우수한 투명 내지 반투명한 화장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a) 성분인 수소 첨가 인지질로는, 예를 들어,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등의 천연 레시틴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소 첨가한 것 외에,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등을 수소 첨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한 인지질은 불포화기가 적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되고, 그것을 화장료에 배합한 경우에는 열이나 산화에 대하여 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대두 레시틴 유래의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이 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a) 성분은 용매에 대한 용해성 등의 점에서, 포스파티딜콜린 (PC) 의 함유량이 6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PC 함유량이 낮은 수소 첨가 인지질을 사용하면,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부족하여 바람직한 액정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a) 성분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시판되는 것으로는, COATSOME NC-21 (PC 함유량 90 질량% 이상, 닛폰 유지 (주) 제조), COATSOME NC-61 (PC 함유량 60 질량% 이상, 닛폰 유지 (주) 제조), NIKKOL 레시놀 S-10E (PC 함유량 75 ∼ 85 질량%, 닛코 케미컬즈 (주) 제조), NIKKOL 레시놀 S-10EX (PC 함유량 95 질량% 이상, 닛코 케미컬즈 (주) 제조), 베이시스 LP-60HR (PC 함유량 62 ∼ 68 질량%, 닛신 오일리오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a)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사용된다.
(a)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 화장료 중에 0.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1 질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 0.5 질량% 이다. (a) 성분의 배합량 0.001 질량% 미만에서는 효과 실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고, 한편, 3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석출 등의 안정성 악화가 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b) 성분은 분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 및 고급 알코올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다.
분기를 갖는 고급 지방산으로는, 예를 들어, 이소팔미트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탄소 원자수 12 ∼ 22 의 포화 지방산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소스테아르산이 안정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분기를 갖는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 원자수 12 ∼ 28 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이소스테아릴알코올이 안정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장료에서는, (b) 성분을, (a) 성분 : (b) 성분 = 1 : 0.01 ∼ 1 : 0.4 (질량비) 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05 ∼ 1 : 0.3 (질량비) 이다. (b) 성분의 배합량을 상기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화장료의 계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c) 성분인 다가 알코올은 (a) 성분에 대한 양용매 및/또는 빈용매이다. 양용매의 다가 알코올로는,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예시된다. 빈용매의 다가 알코올로는,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폴리옥시에틸렌 (이하 「POE」라고 한다) 메틸글루코사이드, 폴리옥시프로필렌 (이하 「POP」라고 한다) 메틸글루코사이드, 소르비톨, POE(14) POP(7) 디메틸에테르, POE(17) POP(04) 디메틸에테르 등이 예시된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c) 성분으로서, 양용매, 빈용매, 또는 이들 양용매 및 빈용매를 조합하여, 임의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양용매와 빈용매의 양자를 병용하는 것이, 안정성, 사용감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양용매와 빈용매를 조합하여 배합하는 경우, 양용매 : 빈용매 = 4 : 1 ∼ 1 : 2 (질량비) 의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1 ∼ 1 : 1 (질량비) 이다.
본 발명 화장료에서는, (a) ∼ (c)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처음으로, 효과 실감 (침투감, 끈적거리지 않음,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움 등) 이 우수하고, 안정성이 우수한,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를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 내지 반투명」이란, 정제수의 투명도를 100 으로 하고, 전혀 광의 투과가 없는 경우를 0 으로 했을 때의 투명도 (L 값) 40 ∼ 100 의 범위인 것을 말한다. 우유처럼 백탁된 에멀션은 투명도 15 이하이다. 투명도의 측정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를 수 있고, 예를 들어 분광 광도계 등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 화장료는 종래와 같이, 화장수 등의 저점도의 계에서 논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지 않아도,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안정성을 더욱 더 높인다는 점에서, 원하는 바에 따라 추가로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해도 된다. 친수성 계면활성제로는, HLB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HLB 12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아니온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POE (10 ∼ 50 몰)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10 ∼ 50 몰) 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 (10 ∼ 30 몰) 베헤닐에테르, POE (10 ∼ 50 몰) 세틸에테르, POE (20 ∼ 60 몰)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POE (10 ∼ 60 몰) 소르비탄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10 ∼ 50 몰) 피토스테롤에테르, POE (20 ∼ 10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5 ∼ 30 몰) POP (5 ∼ 30 몰) 2-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POE (10 ∼ 50 몰) POP (2 ∼ 30 몰) 세틸에테르, POE (10 ∼ 80 몰)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10 ∼ 30 몰)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POE (30 몰) 2-옥틸도데실에테르, POE (30 몰) 피토스테롤에테르, POE (60 몰)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POE (30 몰) 베헤닐에테르, POE (20 몰) 글리세릴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POE (10 몰)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등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NIKKOL HCO-60, NIKKOL BPS-30, NIKKOL BB-30 (이상,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EMALEX GWIS-120 (닛폰 에멀션사 제조), KF-6017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의 아니온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POE 알킬에테르인산, POE·POP 알킬에테르인산, POE 스테롤에테르인산, POE·POP 스테롤에테르인산, POE 알킬에테르아세트산, POE·POP 알킬에테르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이나 경시 안정성의 점에서 POE 알킬에테르인산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NIKKOL TDP-10, NIKKOL DDP-8, NIKKOL TCP-5 (이상, 닛코 케미컬즈사 제조), 크로다포스 N10A (크로다 재팬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이들 친수성의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는 경우, 배합량은 (a) 성분에 대하여 약1/4 (질량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질량비) 이하이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사용성 효과 (효과 실감) 의 저하가 우려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 이외에, 통상 화장료에 기제로서 배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유분 (탄화수소유,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액체 유지, 개체 유지, 납류 등), 분말 성분, 수용성 고분자 (천연, 반합성, 합성),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당류 (단당, 올리고당, 다당), 보습제, 계면활성제, 유기 아민, pH 조정제, 비타민류, 산화방지제, 산화방지 보조제, 그 밖의 배합 가능 성분 (예를 들어, 방부제, 소염제, 미백제, 각종 식물 추출물, 부활제, 혈행 촉진제, 항지루제, 항염증제 등) 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은, 피부에 적용 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수, 시트상 기제에 함침시키는 함침액, 미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 이다.
[투명성 (L 값)]
분광 광도계 (사카타잉크 엔지니어링 (주) 제조) 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L 값을 측정하였다. 컨트롤로서 증류수의 투명도를 100 으로 하고, 40 ∼ 98 미만 범위의 것을 반투명, 98 ∼ 99.5 미만 범위의 것을 투명, 99.5 ∼ 100 의 범위의 것을 매우 투명이라고 판정하였다.
[온도 안정성]
0 ℃, 실온 (RT), 37 ℃, 50 ℃ 에서의 온도 시험 (4 주간 항온조에서 방치)을 실시하고, 다음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0 ℃, RT, 37 ℃, 50 ℃ 모두에 있어서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 : 0 ℃, RT, 37 ℃ 에 있어서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50 ℃ 에서는 약간 석출, 응집, 분리 등 외관에 변화를 일으켰으나,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였다.
○△ : 37 ℃, RT 에 있어서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0 ℃, 50 ℃ 에서는 약간 석출, 응집, 분리 등 외관에 변화를 일으켰으나, 실용상 문제없는 정도였다.
△ : RT 에 있어서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0 ℃, 37 ℃, 50 ℃ 에서는 석출, 응집, 분리 등 외관에 변화를 일으켰다.
× : 시료 조제 직후부터 응집, 석출 경향이 있으며, 4 주간 후에는 0 ℃, RT, 37 ℃, 50 ℃ 모두에 있어서 석출, 응집, 분리 등 외관에 변화를 일으켰다.
[침투감]
전문 패널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피부로의 침투감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10 명 중 9 명 이상이 피부로의 침투감이 좋다고 답변
○ : 10 명 중 7 ∼ 8 명이 피부로의 침투감이 좋다고 답변
○△ : 10 명 중 5 ∼ 6 명이 피부로의 침투감이 좋다고 답변
△ : 10 명 중 3 ∼ 4 명이 피부로의 침투감이 좋다고 답변
× : 10 명 중 2 명 이하가 피부로의 침투감이 좋다고 답변
[끈적거리지 않음]
전문 패널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끈적거리지 않음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10 명 중 9 명 이상이 끈적거림이 없다고 답변
○ : 10 명 중 7 ∼ 8 명이 끈적거림이 없다고 답변
○△ : 10 명 중 5 ∼ 6 명이 끈적거림이 없다고 답변
△ : 10 명 중 3 ∼ 4 명이 끈적거림이 없다고 답변
× : 10 명 중 2 명 이하가 끈적거림이 없다고 답변
[피부의 부드러움]
전문 패널 (10 명) 에 의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피부의 부드러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10 명 중 9 명 이상이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럽다고 답변
○ : 10 명 중 7 ∼ 8 명이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럽다고 답변
○△ : 10 명 중 5 ∼ 6 명이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럽다고 답변
△ : 10 명 중 3 ∼ 4 명이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럽다고 답변
× : 10 명 중 2 명 이하가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럽다고 답변
(실시예 1 ∼ 15, 비교예 1 ∼ 4)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각 성분, 배합량의 처방의 시료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얻어진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 방법에 따라서 투명성, 온도 안정성, 효과 실감 (침투감, 끈적거리지 않음, 피부의 부드러움) 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중,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1)」 은「닛콜레시놀 S-10E」(닛코 케미컬사 제조. PC 함유율 75 ∼ 85 질량%) 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1 ∼ 4 에서는 효과 실감의 평가를 실시할 수 없었다.
Figure 112012058254618-pct00001
(처방예 1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5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EDTA-2나트륨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3
(「COATSOME NC-61」; 닛폰 유지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06
폴리옥시에틸렌(30)피토스테롤 0.03
에리트리톨 1
페녹시에탄올 적량
아세트산토코페롤 0.05
향료 0.01
(처방예 2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5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EDTA-3나트륨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3
(「COATSOME NC-21」; 닛폰 유지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06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
페녹시에탄올 적량
팔미트산레티놀 0.05
(처방예 3 : 보온 미용액)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3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EDTA-3나트륨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8
1,3-부틸렌글리콜 10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5
(「닛콜레시놀 S-10E」; 닛코 케미컬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1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
페녹시에탄올 적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수산화칼륨 0.08
(처방예 4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5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EDTA-3나트륨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3
(「닛콜레시놀 S-10E」; 닛코 케미컬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06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
페녹시에탄올 적량
팔미트산레티놀 0.05
(처방예 5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5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EDTA-3나트륨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5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3
(「베이시스 LP-60HR」; 닛신 오일리오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03
리놀산 0.03
리놀렌산 0.03
폴리에틸렌글리콜400 1
페녹시에탄올 적량
아세트산레티놀 0.05
(처방예 6 : 시트상 마스크용 함침액)
(배합 성분) (질량%)
정제수 잔부
에탄올 1
시트르산 적량
시트르산나트륨 적량
헥사메타인산소다 적량
다이나마이트글리세린 6
디프로필렌글리콜 3
1,3-부틸렌글리콜 3
수소 첨가 대두 인지질 0.5
(「닛콜레시놀 S-10E」; 닛코 케미컬 (주) 제조)
이소스테아르산 0.08
폴리옥시에틸렌(10)피토스테롤 0.0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8
수산화나트륨 0.03
메틸파라벤 0.15
페녹시에탄올 0.2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침투감이 우수하여 끈적거리지 않아 도포 후의 피부가 부드러운 등의 효과 실감이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이 우수한 반투명 내지 투명한 화장료가 제공된다.

Claims (7)

  1. (a) 포스파티딜콜린의 함유량이 60 질량% 이상인 수소 첨가 인지질과, (b)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알코올, 또는 이소스테아르산 및 이소스테아릴알코올과, (c) (a) 성분에 대한 양용매인 다가 알코올 및 (a) 성분에 대한 빈용매인 다가 알코올을 함유하고, (a) 성분 : (b) 성분 = 1 : 0.01 ∼ 1 : 0.4 (질량비) 인, 투명 내지 반투명의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에 대한 양용매로서의 (c) 성분이,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화장료.
  3.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에 대한 빈용매로서의 (c) 성분이,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루코사이드, 폴리옥시프로필렌메틸글루코사이드, 소르비톨,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화장료.
  4. 제 1 항에 있어서,
    정제수의 투명도를 100 으로 하고, 전혀 광의 투과가 없는 경우를 0 으로 했을 때의 투명도 (L 값) 이 40 ∼ 100 인 화장료.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7019322A 2009-12-28 2010-12-27 화장료 KR101770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7165A JP5348784B2 (ja) 2009-12-28 2009-12-28 化粧料
JPJP-P-2009-297165 2009-12-28
PCT/JP2010/073571 WO2011081136A1 (ja) 2009-12-28 2010-12-27 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136A KR20120102136A (ko) 2012-09-17
KR101770440B1 true KR101770440B1 (ko) 2017-08-22

Family

ID=4422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322A KR101770440B1 (ko) 2009-12-28 2010-12-27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55830B2 (ko)
EP (1) EP2520273B1 (ko)
JP (1) JP5348784B2 (ko)
KR (1) KR101770440B1 (ko)
CN (1) CN102686210B (ko)
ES (1) ES2731675T3 (ko)
HK (1) HK1171385A1 (ko)
WO (1) WO2011081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3466B2 (ja) * 2011-09-14 2015-07-22 株式会社 資生堂 液状化粧料
CN105534753A (zh) * 2016-01-06 2016-05-04 苏州宝丽洁日化有限公司 一种自微乳化妆水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8076301A (ja) * 2016-11-02 2018-05-17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CN111050763A (zh) 2017-12-26 2020-04-21 福冈大太朗 用于増毛、头皮或皮肤的改质、创伤治愈、骨形成促进或毛发的改质的药物组合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4025A1 (en) 2003-07-31 2005-03-2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venting and/or ameliorating cancers, the onset of cancers or the symptoms of cancers
US7001604B2 (en) 2000-02-25 2006-02-21 Kubs Kosmetik Gmbh & Co. Kg Cosmetic composition
JP2007314442A (ja) * 2006-05-24 2007-12-06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383729B2 (ja) 2001-10-15 2009-12-16 ロレアル 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形態の組成物とその使用、特にその化粧的使用
JP5690074B2 (ja) 2010-03-23 2015-03-25 日本精化株式会社 セラ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812A (ja) * 1984-01-09 1985-08-02 Nonogawa Shoji:Kk 増粘−ゲル化剤組成物
JPH0627075B2 (ja) 1985-10-21 1994-04-13 日本サ−フアクタント工業株式会社 外用基剤
JP3298867B2 (ja) 1988-06-20 2002-07-08 株式会社資生堂 透明組成物
JP2752231B2 (ja) 1990-06-15 1998-05-18 鐘紡株式会社 可溶化型透明化粧料
JPH04208216A (ja) 1990-11-30 1992-07-29 Pola Chem Ind Inc 微細リポソームの調製法
JP4373226B2 (ja) * 2002-03-29 2009-11-25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US7025966B2 (en) * 2003-12-05 2006-04-11 Mary Kay Inc. Compositions of marine botanicals to provide nutrition to aging and environmentally damaged skin
JP2008162932A (ja) * 2006-12-28 2008-07-17 Revanche:Kk 油中水型日焼け止め化粧料
JP4816580B2 (ja) 2007-07-04 2011-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WO2009013864A1 (ja) 2007-07-20 2009-01-29 Kose Corporation ベシクル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1604B2 (en) 2000-02-25 2006-02-21 Kubs Kosmetik Gmbh & Co. Kg Cosmetic composition
JP4383729B2 (ja) 2001-10-15 2009-12-16 ロレアル シリコーンコポリマー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形態の組成物とその使用、特にその化粧的使用
US20050064025A1 (en) 2003-07-31 2005-03-24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preventing and/or ameliorating cancers, the onset of cancers or the symptoms of cancers
JP2007314442A (ja) * 2006-05-24 2007-12-06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690074B2 (ja) 2010-03-23 2015-03-25 日本精化株式会社 セラミド誘導体を含有する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31675T3 (es) 2019-11-18
US9655830B2 (en) 2017-05-23
HK1171385A1 (en) 2013-03-28
KR20120102136A (ko) 2012-09-17
EP2520273A4 (en) 2015-06-03
CN102686210B (zh) 2014-09-17
US20130150328A1 (en) 2013-06-13
JP2011136934A (ja) 2011-07-14
CN102686210A (zh) 2012-09-19
EP2520273B1 (en) 2019-03-20
WO2011081136A1 (ja) 2011-07-07
JP5348784B2 (ja) 2013-11-20
EP2520273A1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25312A (ja) 透明ないし半透明のジエリー状の化粧料
KR101868726B1 (ko)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4731301B2 (ja) 保湿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5491917B2 (ja) 乳化化粧料
KR101770440B1 (ko) 화장료
US20180110701A1 (en) Liposome composition
JP200715385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8297273A (ja) 乳化化粧料
KR20100052457A (ko) 베시클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JP2016060716A (ja) 白濁化粧料
JP2007223938A (ja) 乳化型クレンジング化粧料組成物
JP2007238488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KR102084672B1 (ko) 화장료용 조성물
JP4659810B2 (ja) 乳化化粧料
JP201022231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5475247B2 (ja) 乳化化粧料
JP2008231087A (ja) 皮膚外用剤
JP6185477B2 (ja) ベシクル組成物及びそれ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5848124B2 (ja) 皮膚用乳化組成物
JP5856761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97517B2 (ja) 水性化粧料
JP2010064970A (ja) ボディリンス組成物
JP3615670B2 (ja) 透明化粧料
JP2022151457A (ja) 皮膚用組成物
JP2022151456A (ja) 皮膚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