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447B1 -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47B1
KR101768447B1 KR1020140115939A KR20140115939A KR101768447B1 KR 101768447 B1 KR101768447 B1 KR 101768447B1 KR 1020140115939 A KR1020140115939 A KR 1020140115939A KR 20140115939 A KR20140115939 A KR 20140115939A KR 101768447 B1 KR101768447 B1 KR 101768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wireless
portable terminal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000A (ko
Inventor
유이치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7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2User authentication using separate channels for security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H04B5/7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휴대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 또는 저소비 전력상태 중 어느 한쪽의 상태에서 동작한다. 저소비 전력상태에서 동작하는 화상형성장치는, 휴대 단말과의 NFC통신이 확립되면,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이행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경우도, 화상형성장치는, NFC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의 ID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이행한 후, 화상형성장치는, NFC통신에 의해 취득한 ID데이터에 의해 인증 처리를 행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장치간의 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합기 등의 일부의 화상형성장치는, 유저의 허가를 관리하기 위해서 유저 인증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유저 인증 기능에는, 무선자동인식장치(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태그를 이용할 수 있다. RFID태그를 이용할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RFID태그를 리드(read)/라이트(write)하는 태그 리더(reader)/라이터(writer)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FID태그가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할 경우,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태그 리더/라이터는, RFID태그로부터 인증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판독한 인증 데이터에 의거하여 유저의 인증을 행한다.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휴대 단말과 화상형성장치는, RFID와 호환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다. NFC에는, 3개의 기능이 규정되어 있다. 첫 번째 기능은, 리더/라이터 기능이며, RFID태그의 태그 리더/라이터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한다. 두 번째 기능은,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이며, RFID태그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한다. 세 번째 기능은, 피어 투 피어(peer-to-peer) 기능이며, NFC를 사용하여서 여러 가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현한다.
NFC을 탑재하는 휴대 단말은, 리더/라이터 기능을 사용하여, RFID카드나 NFC카드로부터/에, 데이터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NFC을 탑재하는 휴대 단말과 NFC을 탑재하는 화상형성장치와의 사이에서, RFID태그를 이용하여 유저 인증 기능과 동등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NFC의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에 의해 RFID태그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고, 휴대 단말은, 화상형성장치에 인증 데이터를 기록한다.
휴대 단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해서 인쇄할 경우, 그 휴대 단말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LAN)이나 블루투쓰(Bluetooth)(등록상표) 등의 NFC보다도 장거리로 대용량의 무선통신을 사용한다. 통신을 위한 케이블이 필요없으므로, 복잡한 접속 작업이 불필요하다. 그러나, 휴대 단말과 화상형성장치가 유선으로 명확하게 접속되는 통신과는 달리, 화상형성장치는, 불특정 다수의 휴대 단말 중에서 피어(peer)(접속 상대)가 되는 휴대 단말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56723호에는, 지향성을 가지는 무선통신(지향성 무선통신)에 의해, 피어를 결정하는 무선통신장치가 개시된다. 무선통신장치는, 지향성 무선통신에 의해 피어를 결정한 후에, 무선LAN 등의 지향성이 없는 무선통신으로 접속을 바꾼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156723호에서는, 지향성 무선통신으로서 국제 적외선 통신 데이터 협회(IrDA)가 이용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67370호에는, 먼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비접촉 IC카드를 사용해서 피어가 되는 휴대 단말을 결정한 후에, 이 휴대 단말과 무선LAN 등의 무선통신을 확립하는 정보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환경의식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절전 모드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정 시간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 이들 화상형성장치는 저소비 전력상태(예를 들면, 슬립(sleep) 모드)에 이행한다. 이러한 저소비 전력상태에서는, 화상형성장치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의 일부의 기능을 제외하고, 각종 기능에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화상형성장치가 저소비 전력상태로부터 재기동하는데, 수초∼수십초가 걸린다. NFC는, 예를 들면, 유저가 휴대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에 근접(10[cm]정도)하게 놓을 때 확립된다. 보통, 휴대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에 근접하게 놓는 시간의 지속기간은, 화상형성장치가 저소비 전력상태로부터 통상의 전력상태로 다시 이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지속기간보다 짧다. 그 때문에,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화상형성장치와 휴대 단말이 NFC를 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가 재기동 하기 전에 휴대 단말이 그 NFC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그 결과, NFC를 행할 수 없으므로, NFC를 사용한 유저 인증이나 무선LAN의 확립 등의 처리를 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장치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다른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할 수 있는 무선통신장치 및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서는, 제1 전력 모드 및 상기 제1 전력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전력 모드로 동작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정보를 기억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무선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NFC부;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근접하게 놓을 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상기 NFC부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확립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무선 정보를 기억 및 상기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다시 근접하게 놓도록 가이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에 기억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판독되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무선 LAN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기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행한 유저 인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가이드 화상을 나타낸다.
도 6은 휴대 단말이 무선LAN 통신을 확립할 때 행해진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7은 무선LAN 통신을 확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 도다.
도 8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행한 유저 인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휴대 단말이 무선LAN 통신을 확립할 때 행해진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은 가이드 화상을 나타낸다.
도 11은 무선LAN 통신을 확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 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사용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구성요소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프린터나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100), 컴퓨터 단말(200), 휴대 단말(300), 및 무선LAN 본체(400)를 구비한다. 이 시스템에서, 이들 구성요소는, LAN등의 네트워크(500)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서로 통신한다. 네트워크(500)는, 이더넷(등록상표)등으로 실현된다.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이하, "NFC통신"이라고 한다)(600)이 행해질 수 있다. 휴대 단말(300)과 무선LAN 본체(400)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보다도 장거리로 대용량의 무선통신(이하, "무선LAN 통신"이라고 한다.)(700)이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무선LAN 통신(700)은 일례일뿐이며, 근거리 무선통신보다도 장거리로 대용량의 무선통신이면, 다른 통신방법이 사용되어도 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카피 기능, 인쇄 기능 및 스캔 기능을 갖는, 복사기나 복합기 등으로 실현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이 기능들을 사용하여 유저를 인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ID데이터(식별 정보)가 기억된 인증 카드(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나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행한다. ID데이터는 인증 데이터의 일례다. 화상형성장치(100)는, NFC통신(600)에 의해 인증 카드나 휴대 단말(300)에 기억된 ID데이터를 수신하고, 내장하는 인증용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참조해서 유저 인증을 행한다. 또한, 유저의 인증은, 인증용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서버를, 상기 네트워크(500)상에 별도로 설치해서 행해져도 된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00)는, ID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하고, 인증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컴퓨터 단말(200)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쇄 잡을 송신한다. 또한, 컴퓨터 단말(200)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의 스캐너 기능 등에 의해 얻어진 전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이며, 이를테면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PC다.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 및 무선LAN 통신(700)을 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은, IP 어드레스나 유저의 ID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와 교환한다. 추가로, 휴대 단말(300)은, 무선LAN 본체(400)를 통하여, 무선LAN 통신(700)을 사용하여서, 네트워크(500)에 접속된 각 기기와의 통신을 행한다. 달리 말하면, 무선LAN 본체(400)는, 휴대 단말(300)등의 무선LAN 통신(700)에 의해 액세스하는 기기와, 네트워크(500)에 접속된 기기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화상형성장치>
도 2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콘트롤러(101), 스캐너부(102), 프린터부(103), 조작부(108), NFC부(110), 전원부(116), 및 전원제어부(117)를 구비한다. 스캐너부(102)는 원고를 주사해서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입력 디바이스다. 프린터부(103)는 용지등에의 화상형성처리를 행하는 화상출력 디바이스다. 콘트롤러(101)는, 스캐너부(102) 및 프린터부(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스캐너부(102) 및 프린터부(103)는, 종래의 기술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콘트롤러(101)는, 화상형성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104)로 이루어진다. CPU(104)는, 판독전용 메모리(ROM)(106)로부터 판독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5)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동안 실행한다.
또한, 콘트롤러(101)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107)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109)를 구비한다. HDD(10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에 관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설정, 화상 데이터 및 문서등을 기억하는 대용량 기억장치다. 또한, HDD(107)에는, 상기의 인증용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다. 네트워크I/F(109)는, 네트워크(500)를 통해 네트워크(500)상의 그 밖의 기기(도 2에서는 컴퓨터 단말(200))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조작부(108)는, 조작 버튼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패널로 구성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다. 유저는, 조작부(108)상에서, 데이터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NFC부(110)는, 버퍼(112)를 갖는 NFC통신부(111), NFC통신(600)에 사용된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3), 마이크로 프로세서(MP)(114), 및 워크 메모리(115)를 구비한다. MP(114)는, 콘트롤러(101)의 CPU(104)와 통신을 행하고, 워크 메모리(115)를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동안 NFC부(110)를 제어한다. NFC부(110)에 의해, 리더/라이터 기능,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 및 피어 투 피어 기능이 실현된다. NFC부(110)에 의해 NFC통신(600)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100)도 무선통신장치다.
NFC통신부(111)는, 그 밖의 기기와 NFC통신(600)을 행한다. NFC통신(600)에 의해 송/수신된 데이터는, 선입선출(FIFO) 메모리인 버퍼(112)에 기억된다. 버퍼(112)는, NFC통신(600)을 행하는데 충분한 최소의 기억 용량을 갖는다. 그 때문에, 버퍼(112)에 기억된 데이터가 쉽게 겹쳐 써질 수 있다.
전원부(116)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생성한 직류(DC)전력을,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 스캐너부(102), 프린터부(103) 및 NFC부(110)등의 각 부에 공급한다. 전원부(116)는, 전원제어부(11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종 부에 DC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전원제어부(117)는,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할 때에, 전원부(116)에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전원부(116)에 의해, 최소의 부들에만 DC전력을 공급시킨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어서, DC전력이, 네트워크I/F(109), 전원제어부(117) 및 NFC부(110)에만 공급된다. 콘트롤러(101)는 소비 전력이 크기 때문에, DC전력이 콘트롤러(101)에 공급되지 않는다. 그 밖의 구성요소에는 DC전력이 공급되어도 된다. 그렇지만, 소비 전력이 큰 구성요소에는 DC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는, 저소비 전력상태에서, 조작부(108)와 스캐너부(102)에 공급된 DC전력만을 차단해도 좋다. 또한, 저소비 전력상태에서는, DC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을 복수로 구비해도 되고, 규칙적인 간격으로 각 부에 공급된 DC전력을 순차로 차단해도 좋다. 달리 말하면, 저소비 전력상태란, 화상형성장치(100)가 통상 동작시에 필요한 소비 전력보다 작은 소비 전력을 필요로 하는 상태다.
<휴대 단말>
도 3은, 휴대 단말(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단말(300)은, CPU(301), RAM(302), 플래쉬ROM(303), 조작부(304), 카메라(305), 무선LAN I/F(306), NFC제어부(307), 및 안테나(308)를 구비한다. 이것들의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309)를 통해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 가능하도록 서로 접속된다.
CPU(301)는, 휴대 단말(3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301)는, 플래쉬ROM(303)로부터 판독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RAM(302)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는 동안 실행한다. 플래쉬ROM(303)에는,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외에, 각종 데이터가 기억된다.
조작부(304)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터치패널로 구성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다. 유저는, 조작부(304)상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305)는, 정지 화상과 동영상을 촬상하는 촬상장치다. 무선LAN I/F(306)은, 다른 기기(예를 들면, 무선LAN 본체(400))와 무선LAN 통신(700)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NFC제어부(307)는, 다른 NFC통신(600)이 가능한 기기(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통신(600)을 행하는 인터페이스다. 안테나(308)는, NFC통신(600)에 사용하는 전파를 송수신한다. NFC제어부(307)에 의해, 리더/라이터 기능, 및 피어 투 피어 기능이 실현된다. 휴대 단말(300)의 NFC제어부(307)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달리,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갖추지 않고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처리>
도 4는,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행한 유저 인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인증 카드의 유저 인증과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행할 수 있다. 이 흐름도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간의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하기 위한 설정이 이루어진다.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소정시간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조작부(108)에 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를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한다. 단계 S401에서, CPU(104)는, 우선,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NFC부(11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슬립 플래그 온 신호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 신호다. CPU(104)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을 경우에 그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한편, CPU(104)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로부터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되돌아가면 슬립 플래그 오프 신호를 라이트 한다. 단계 S402에서, CPU(104)는,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버퍼(112)에 라이트한 후에, 전원제어부(117)에 의해 전원부(116)를 제어시켜서, 화상형성장치(100)를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한다. 전원부(116)는, 전원제어부(117)의 제어에 의해, 관련되는 구성요소에 전력공급을 적당하게 차단한다. CPU(104)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므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동안에, CPU(104)에 의한 처리가 정지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을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NFC통신부(111)는, 리더/라이터 기능과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간에 전환하는 동안 대기한다. NFC통신부(111)는, 휴대 단말(300) 또는 인증 카드가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고 NFC통신(600)을 확립할 때까지 대기한다. NFC통신부(111)는,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실현하는 동안에, 휴대 단말(300)과의 NFC통신(600)을 확립할 수 있다. NFC통신부(111)는, 리더/라이터 기능을 실현하는 동안에, 인증 카드와의 NFC통신(600)을 확립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MP(114)는, NFC통신부(111)가 리더/라이터 기능을 실현하고 있을 때 NFC통신(600)이 인증 카드와 확립되는지를 판단한다. 인증 카드와 NFC통신(600)이 확립되면(단계 S403에서 YES), 단계 S404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04에서, MP(114)는, 전원제어부(117)에 대하여, 저소비 전력상태로부터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의 복귀를 요구하는 복귀 요구 신호를 발행한다. 단계 S405에서, MP(114)는, NFC통신(600)에 의해 인증 카드의 ID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한 ID데이터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인증 카드와 NFC통신(600)이 확립되지 않으면(단계 S403에서 NO), 단계 S406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06에서, NFC통신부(111)가 카드 에뮬레이션 기능을 실현하고 있을 때 MP(114)는, 휴대 단말(300)과 NFC통신(600)이 확립되는지를 판단한다. 휴대 단말(300)과 NFC통신(600)이 확립되면(단계 S406에서 YES), 단계 S407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07에서, MP(114)는, 전원제어부(117)에 복귀 요구 신호를 발행한다. 이 경우에, 휴대 단말(300)은, 버퍼(112)에 "코맨드"를 라이트 한다. 이 코맨드는, NFC통신(600)을 통하여 다시 NFC통신(600)을 행하도록, 휴대 단말(300)의 유저에 요구하기 위한 지시 화상을 표시시키는 지시다.
단계 S408에서, 전원제어부(117)는, 단계 S404 또는 S407에서 발행된 복귀 요구 신호에 따라, 전원부(116)를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이행시켜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전원부(116)가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이행되면, MP(114)는, CPU(104)에, NFC부(110)의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S409에서, CPU(104)는, 버퍼(112)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한다. CPU(104)는, 버퍼(112)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한 후에, 슬립 플래그 오프 신호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410에서, CPU(104)는, 리드한 데이터가 휴대 단말(300)에 의해 라이트 된 코맨드인지를 판단한다. CPU(104)는 리드한 데이터가 휴대 단말(300)에 의해 라이트 된 코맨드라고 판단하면(단계 S410에서 YES), 단계 S411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1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그 코맨드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가이드 화상을 조작부(108)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 가이드 화상은, 유저에게,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도록 요구한다. 단계 S412에서, CPU(104)는, 그 가이드 화상에 따라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시 근접하게 놓아 NFC통신(600)이 다시 확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CPU(104)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시 근접하게 놓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412에서 YES), 휴대 단말(300)에 의해, NFC통신(600)을 통해 버퍼(112)에 휴대 단말(300)의 ID데이터가 라이트 된다. 그리고, 단계 S413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13에서, CPU(104)는, 버퍼(112)에 라이트 된 휴대 단말(300)의 ID데이터를 리드하고, HDD(107)에 구축된 인증용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해서, 유저 인증을 행한다. 단계 S414에서, 유저 인증후, CPU(104)는, 휴대 단말(30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무선정보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그 후, CPU(104)는, 처리를 종료한다. 무선정보를 버퍼(112)에 라이트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00)는, 휴대 단말(300)에 무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무선정보를 리드한다. 이 무선정보는, 무선LAN 본체(400)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과를 접속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100)의 IP 어드레스나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S410에 있어서 리드한 데이터가 상기 코맨드가 아니면(단계 S410에서 NO), 단계 S416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16에서, CPU(104)는, 리드한 데이터가 단계 S405에서 버퍼(112)에 라이트 된 ID데이터 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CPU(104)는 리드한 데이터가 ID데이터이면(단계 S416에서 YES), 단계 S417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417에서, CPU(104)는, 단계 S413과 마찬가지로 유저 인증을 행한다. 다음에, CPU(104)는 처리를 종료한다. 리드한 데이터가 ID데이터가 아니면(단계 S416에서 NO), CPU(104)는, 유저 인증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 단말의 처리>
도 6은, 휴대 단말(300)이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할 때 행해진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휴대 단말(300)이, 무선LAN 통신 설정용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 함으로써 실현된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1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또는 그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일부를 유저에 의한 조작으로 대체함으로써, 그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휴대 단말(300)의 CPU(301)로 실행된다.
단계 S601에서, CPU(301)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고 NFC제어부(307)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통신(600)이 확립되는지를 판단한다. CPU(301)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았다고 판단하면(단계 S601에서 YES), 단계 S602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2에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기억된 데이터를 리드한다. 이 리드된 데이터는, 슬립 플래그 온 신호 또는 슬립 플래그 오프 신호다. 그 슬립 플래그 온 신호 또는 슬립 플래그 오프 신호에 의해, 휴대 단말(300)은,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전력의 공급 상태가 통지되게 된다.
단계 S603에서, CPU(301)는, 리드한 데이터가 슬립 플래그 온 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리드한 데이터가 슬립 플래그 온 신호이면(단계 S603에서 YES),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라고 판단하고, 단계 S604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4에서,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NFC통신(600)에 의해 코맨드를 라이트 한다. 이 코맨드는, 도 4의 단계 S407에서 라이트 된 코맨드다. 이 코맨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5에 예시된 가이드 화상을 표시한다. 휴대 단말(300)의 유저는, 이 가이드 화상에 따라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시 근접하게 놓는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단계 S605에서, 다시, CPU(301)는, 휴대 단말(30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 NFC통신(600)이 확립되는지를 판단한다. NFC통신(600)이 확립되면(단계 S605에서 YES), 단계 S606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606에서,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또한, 단계 S606에서, CPU(301)는, 무선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무선정보요구 신호를,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이 때문에, 도 4의 단계 S413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 인증을 행할 수 있다. 유저 인증 후, 도 4의 단계 S414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무선정보요구 신호에 따라 버퍼(112)에 무선정보를 라이트 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억 용량이 작다. 그 때문에,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ID데이터 및 무선정보요구 신호를 동시에 버퍼(112)에 라이트 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가 ID데이터를 버퍼(112)로부터 리드하는데에 충분한 시간 후에, 무선정보요구 신호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607에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버퍼(112)에 라이트 된 무선정보를 리드한다. 단계 S608에서, CPU(301)는, 리드한 무선정보에 의거하여 무선LAN 통신(700)의 설정을 행하고, 화상형성장치(100)와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그리고, CPU(301)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3에서, 단계 S602에서 리드한 데이터가 슬립 플래그 오프 신호이면(단계 S603에서 NO),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에, 다시 NFC통신(600)의 확립이 불필요하므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단계 S606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운용 구현>
도 7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과의 사이에서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 도다. 도 7이 도 4 및 도 6의 흐름도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므로, 이들 단계는, 같은 참조문자로 나타내어져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할 때에,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NFC부(110)에 송신한다. 단계 S401에서, CPU(104)는,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NFC부(11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402에서, 콘트롤러(101)는, 전원제어부(117)에, 저소비 전력상태에의 이행을 요구하는 이행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한다. 단계 S701에서, 콘트롤러(101)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단계 S601에서, 휴대 단말(300)이 저소비 전력상태의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고, 휴대 단말(300)의 NFC제어부(30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에 대하여, NFC통신(600)의 확립을 요구하는 NFC통신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406에서, 그 NFC통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는, 휴대 단말(300)의 NFC제어부(307)에 대하여, NFC통신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계 S702에서, 휴대 단말(30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서, NFC통신(600)이 확립된다.
단계 S407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는,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전원제어부(117)에 복귀 요구 신호를 발행한다. 전원제어부(117)는, 그 복귀 요구 신호에 따라, 전원부(116)를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되돌리고, 각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단계 S602에서,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취득하고,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것을 확인한다. 단계 S604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인 것을 확인한 후,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가이드 화상을 표시시키는 코맨드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휴대 단말(300)은, 통상,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1초정도로 NFC통신(600)이 행해질 수 있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그러므로,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1초정도로, 휴대 단말(300)과 화상형성장치(100)간의 NFC통신(600)은 중단된다. 따라서, NFC통신(600)은 일시적으로 확립된다. 그 때문에, 코맨드를 라이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일련의 단계는,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1초이내에 행해진다.
단계 S408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전원부(116)로부터 전력공급이 수신되면, 재기동된다. 재기동된 후, 콘트롤러(101)는, NFC부(110)의 버퍼(112)에 라이트 된 데이터를 리드한다. 단계 S410에서, 콘트롤러(101)는, 휴대 단말(300)에 의해 라이트 된 코맨드를 리드한다. 단계 S411에서, 콘트롤러(101)는, 리드한 코맨드에 따라, 도 5에 예시된 가이드 화상을 조작부(108)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단계 S605, S412 및 S703에서, 휴대 단말(300)의 유저가, 그 가이드 화상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휴대 단말(300)을 다시 근접하게 놓고, 단계 S601, S406과 같은 처리에 의해, 다시 NFC통신(600)이 확립된다. 단계 S606에서,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413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버퍼(112)에 라이트 된 ID데이터를 리드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가 휴대 단말(300)의 ID데이터를 취득한다. 단계 S413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휴대 단말(300)로부터 취득한 ID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저 인증 처리를 행한다.
단계 S606에서, 휴대 단말(300)은, ID데이터를 라이트 한 후, 소정시간경과 후에, NFC통신(600)에 의해,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그 "소정시간"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가, 버퍼(112)에 있는 ID데이터를 리드하는데 충분히 길 필요가 있다. 단계 S414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유저 인증후에, 버퍼(112)에 라이트 된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리드한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가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취득한다. 단계 S414에서, 콘트롤러(101)는, 무선정보 요구 신호에 따라, NFC부(110)의 버퍼(112)에 무선정보를 라이트 한다.
단계 S607에서,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무선정보를 리드한다. 단계 S608에서, 휴대 단말(300)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리드한 무선정보를 사용하여서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그 후, 휴대 단말(300)은,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소비 전력상태로부터 이행하고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완료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과의 무선LAN 통신(700)이 확립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예시적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 있는 것을 나타내는 슬립 플래그 온 신호를 사용하지 않고 유저 인증을 행하고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처리는,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시스템에서 행해진다. 또한,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 단말(300)의 구성은,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 단말(300)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 때문에, 시스템, 화상형성장치(100) 및 휴대 단말(300)의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화상형성장치의 처리>
도 8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행해진 유저 인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단계 S80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소정시간 사용되지 않는 경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조작부(108)에 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를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시킨다. 단계 S802∼단계 S807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한 후, CPU(104)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4에 나타낸 단계 S403∼S408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이에 따라, MP(114)로부터 전원제어부(117)에 복귀 요구 신호가 발행되어서, 전원부(116)는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되돌아간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인증 카드가 근접했을 경우에, NFC부(110)의 버퍼(112)에, 이 인증 카드의 ID데이터가 라이트 된다. 화상형성장치(100)에 휴대 단말(300)이 근접했을 경우에는, NFC부(110)의 버퍼(112)에, 이 휴대 단말(300)의 ID데이터 및 무선정보 요구 신호가 라이트 된다. 그렇지만,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 사용된 "코맨드"는 라이트 되지 않는다.
단계 S808에서, 화상형성장치(100)가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돌아간 후, CPU(104)는, NFC통신부(111)의 버퍼(112)로부터 데이터를 리드한다. 버퍼(112)에는, 인증 카드의 ID데이터 또는 휴대 단말(300)의 ID데이터가 라이트 되어 있다. 이 때문에, CPU(104)는, 그 ID데이터 중 한쪽을 리드한다. 이 무선정보 요구 신호가 라이트 되어 있는 경우, CPU(104)는 무선정보 요구 신호도 리드한다. 단계 S809에서, CPU(104)는, 리드한 ID데이터를 사용해서 유저 인증을 행한다. 유저 인증은, 도 4에 나타낸 단계 S413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단계 S810에서, 유저 인증이 완료된 후, CPU(104)는, 휴대 단말(30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시 근접하고 NFC통신(600)이 다시 확립되는지를 판단한다. CPU(104)는, 휴대 단말(30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한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 S810에서 YES), 단계 S811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81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휴대 단말(300)로부터 다시,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취득하고, 다시 취득한 ID데이터가, 단계 S809에서 인증한 ID데이터와 동일한지를 판단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그 다시 취득한 ID데이터가 인증한 ID데이터이라고 판단하는 경우(단계 S811에서 YES), 단계 S812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812에서, 단계 S808에서 리드한 무선정보 요구 신호에 따라, 무선정보를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그 후, CPU(104)는, 처리를 종료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CPU(104)는, 버퍼(112)에 무선정보를 라이트 함으로써, 휴대 단말(300)에 무선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S810에서, 휴대 단말(30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지 않을 경우, 또는 인증 카드의 ID데이터에 대해서 유저 인증했을 경우, CPU(104)는, 무선정보를 버퍼(112)에 라이트 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811에서 취득한 ID데이터가 단계 S809에서 인증한 ID데이터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CPU(104)는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 단말의 처리>
도 9는, 휴대 단말(300)이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할 때에 행해진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 처리는, 휴대 단말(300)이, 무선LAN 통신 설정용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 함으로써 실현된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구성은 1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처리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일부를 유저에 의한 조작으로 대체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휴대 단말(300)의 CPU(301)로 실행된다.
단계 S901에서, CPU(301)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아 NFC제어부(307)가 화상형성장치(100)와 NFC통신(600)을 확립하였는지를 판단한다. CPU(301)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았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S901에서 YES), 단계 S902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902에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또한, 단계 S902에서, CPU(301)는, 무선정보를 요구하기 위한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는, ID데이터 및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한번에 기억 가능한 기억 용량을 가진다.
단계 S903에서, ID데이터 및 무선정보 요구 신호의 라이트 후,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무선정보를 리드하려고 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있으면,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무선정보를 리드할 수 있다. 그렇지만,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으면,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무선정보를 취득할 수 없다. CPU(301)가 그 첫 번째 시도에서 무선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 CPU(301)는 무선정보를 여러 번 판독하기 위해 여러 번 시도해도 된다.
단계 S904에서, CPU(301)는 무선정보가 취득되는지를 판단한다. 무선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단계 S904에서 NO), 단계 S905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905에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 있다고 판단하고, 도 10에 예시된 가이드 화상을 조작부(30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 가이드 화상은, 유저에, NFC통신(600)을 다시 행하도록 요구하기 위한 화상이다.
단계 S906에서, CPU(301)는, 그 가이드 화상에 따라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다시 근접하게 놓아 NFC통신(600)이 확립되었는지를 판단한다. CPU(301)는 유저가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았다고 판단하는 경우(단계 S906에서 YES), 단계 S907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907에서,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에 ID데이터를 라이트 한다. 도 8의 단계 S811에서,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를 확인하는데 이 ID데이터를 사용한다. 유저가 확인된 후에, 화상형성장치(100)는, 무선정보 요구 신호에 따라, 버퍼(112)에 무선정보를 라이트 한다. 단계 S908에서, ID데이터가 라이트 된 후에, 휴대 단말(300)의 CPU(301)는,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무선정보를 리드한다. 단계 S909에서, CPU(301)는, 리드한 무선정보에 의거하여 무선LAN 통신(700)의 설정을 행하고, 화상형성장치(100)와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그 후, CPU(301)는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904에서, 무선정보를 취득했을 경우(단계 S904에서 YES), 단계 S909의 동작으로 진행된다. 단계 S909에서, CPU(301)는, 취득한 무선정보에 의거하여 무선LAN 통신(700)의 설정을 행하여 화상형성장치(100)와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다음에, CPU(301)는 처리를 종료한다.
<운용 구현>
도 11은,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과의 사이에서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접속 시퀀스 도다. 도 11은 도 8 및 도 9의 흐름도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므로, 이들 단계는 같은 참조문자로 나타내어진다.
단계 S80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전원제어부(117)에, 저소비 전력상태에의 이행을 요구하는 이행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소비 전력상태에 이행한다. 단계 S1101에서, 콘트롤러(101)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된다.
단계 S901에서, 휴대 단말(30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고, 휴대 단말(300)의 NFC제어부(307)는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에 대하여 NFC통신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S805에서, 그 NFC통신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는, 휴대 단말(300)의 NFC제어부(307)에 대하여 NFC통신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계 S1102에서, 휴대 단말(300)과 화상형성장치(100)와의 사이에서, NFC통신(600)이 확립된다.
단계 S806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는,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전원제어부(117)에 복귀 요구 신호를 발행한다. 전원제어부(117)는, 그 복귀 요구 신호에 따라 전원부(116)를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되돌리고,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시킨다.
단계 S902에서,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또한, 단계 S902에서,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905에서, 그 무선정보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어떠한 무선정보도 휴대 단말(300)이 취득할 수 없는 경우, 휴대 단말(300)은, 도 10에 예시된 가이드 화상을 조작부(304)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휴대 단말(300)은, 통상,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1초정도로, 무선정보의 취득의 성부에 관계없이, NFC통신(600)이 행해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버린다. 그 때문에,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1초정도로, 휴대 단말(300)과 화상형성장치(100)간의 NFC통신(600)은 중단된다. 따라서, NFC통신(600)이 일시적으로 확립된다.
단계 S807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전원부(116)로부터의 전력공급이 수신될 때, 재기동된다. 재기동된 후, 단계 S808에서, 콘트롤러(101)는, NFC부(110)의 버퍼(112)에 라이트 된 데이터를 리드한다. 이 경우에, 콘트롤러(101)는, 휴대 단말(300)에 의해 라이트 된 ID데이터 및 무선정보 요구 신호를 리드한다. 단계 S809에서, 콘트롤러(101)는, 리드한 ID데이터를 사용하여 유저 인증을 행한다.
단계 S906, S810 및 S1103에서, 휴대 단말(300)의 유저는, 가이드 화상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휴대 단말(300)을 다시 근접하게 놓고, 단계 S901 및 S805와 같은 처리에 의해, 다시 NFC통신(600)이 확립된다. 단계 S907에서, NFC통신(600)이 확립된 후,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ID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의 NFC부(110)(버퍼(112))에 라이트 한다.
단계 S81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NFC부(110)의 버퍼(112)로부터 다시 ID데이터를 리드하고, 그 취득된 ID데이터가 인증된 유저ID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 단계 S811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콘트롤러(101)는, 유저ID가 인증된 유저ID와 동일하면, 단계 S808에서 리드한 무선정보 요구 신호에 따라, NFC부(110)의 버퍼(112)에 무선정보를 라이트 한다. 단계 S908에서, 휴대 단말(300)은, NFC통신(60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무선정보를 리드한다. 단계 S909에서, 휴대 단말(300)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버퍼(112)로부터 리드한 무선정보를 사용하여서, 무선LAN 통신(700)을 확립한다. 그 후, 휴대 단말(300)은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00)는,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완료한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 단말(300)간에 무선LAN 통신(700)이 확립된다.
이상과 같이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서 작동하는 동안에 휴대 단말(300)로부터 NFC통신(600)의 요구를 수신할 때에도, 즉시 통상의 동작으로 이행해서 휴대 단말(300)의 유저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저 인증후의 소정의 처리(무선LAN 통신(700)의 확립)를, 화상형성장치(100)가 통상의 전력공급 상태에 복귀한 후 다시 확립된 NFC통신(600)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저소비 전력상태에서 작동하는 동안에 NFC통신(600)을 확립하기 위한 요구를 수신하면, 유저에 대하여 다시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기 위해 요구하는 가이드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 가이드 화상 대신에, 화상형성장치(100) 및/또는 휴대 단말(300)은, 음성을 사용하여, 유저에 대하여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도록 요구해도 된다. 또는, 휴대 단말(300)을 진동시켜 유저에 대하여 휴대 단말(300)을 화상형성장치(100)에 근접하게 놓도록 요구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소비 전력상태에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했을 경우에, 근거리 무선통신의 피어 장치의 유저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다시 행하도록 요구한다. 유저가 이 요구에 따라서 다시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경우, 유저 인증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치가 최초의 근거리 무선통신시에 저소비 전력상태이여도, 그 후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소자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0)

  1. 제1 전력 모드 및 상기 제1 전력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전력 모드로 동작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정보를 기억하는 버퍼를 포함하고, 무선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NFC부;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근접하게 놓을 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상기 NFC부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확립되는 경우에,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전력 제어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무선 정보를 기억 및 상기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다시 근접하게 놓도록 가이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버퍼에 기억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판독되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무선 LAN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기억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다시 근접하게 놓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화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정보는 SSID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IP 어드레스인,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전력 모드 및 상기 제1 전력 모드보다도 소비 전력이 작은 제2 전력 모드로 동작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정보를 기억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NFC부가 무선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행하는 단계;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근접하게 놓을 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상기 NFC부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확립되는 경우에, 전력 제어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부터 상기 제1 전력 모드로 이행되는 경우에, 제어부가 상기 버퍼에 무선 정보를 기억 및 상기 유저가 상기 무선 단말을 상기 NFC부에 다시 근접하게 놓도록 가이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에 기억된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판독되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간에 무선 LAN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정보이고,
    상기 무선 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제2 전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에 기억되지 않는, 제어 방법.
  10. 컴퓨터를 청구항 1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115939A 2013-09-03 2014-09-02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KR101768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82012A JP6188497B2 (ja) 2013-09-03 2013-09-03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13-182012 2013-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00A KR20150027000A (ko) 2015-03-11
KR101768447B1 true KR101768447B1 (ko) 2017-08-16

Family

ID=51392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39A KR101768447B1 (ko) 2013-09-03 2014-09-02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062643A1 (ko)
EP (1) EP2846524B1 (ko)
JP (1) JP6188497B2 (ko)
KR (1) KR101768447B1 (ko)
CN (1) CN104426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5183B2 (en) 2015-04-15 2017-10-31 Motorola Mobility Llc Utiliz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to display messages and notifications on peripheral devices
US20160307011A1 (en) * 2015-04-15 2016-10-20 Motorola Mobility Llc Utiliz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control one or more operational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CN105279548A (zh) * 2015-11-19 2016-01-27 尼尔森网联媒介数据服务有限公司 用于实现媒介监测人员主动识别的身份识别卡和方法
JP6727798B2 (ja) * 2015-12-07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19405B1 (ja) * 2015-12-16 2018-05-09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01886B2 (ja) * 2016-03-31 2020-05-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
JP6716356B2 (ja) * 2016-06-20 2020-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19328A (ja) * 2016-07-29 2018-02-0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状態の制御方法
JP6776055B2 (ja) * 2016-08-22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14697B2 (ja) 2017-03-31 2021-08-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18186458A (ja) * 2017-04-27 2018-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方法
US11200561B2 (en) 2017-06-02 2021-1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NFC service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NFC chip
JP7414476B2 (ja) * 2019-11-08 2024-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74153B2 (ja) * 2020-03-30 2022-05-2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876A (ja) * 2007-01-31 2008-08-14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130057893A1 (en) * 2011-09-06 2013-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30191553A1 (en) * 2012-01-19 2013-07-25 Gregory Thane Wyler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of Diverse Devices
US20130215467A1 (en) * 2012-02-21 2013-08-22 Zi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with a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6723A (ja) 1999-11-26 2001-06-08 Ntt Docomo Inc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366272B2 (ja) * 2004-08-05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287767A (ja) * 2005-04-04 2006-10-19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4933292B2 (ja) 2006-02-28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無線通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
JP4932324B2 (ja) * 2006-05-18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動作要求受付装置、プログラム、記録媒体、動作要求受付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運用方法
CN101114901B (zh) * 2006-07-26 2010-08-25 联想(北京)有限公司 非接触式无线数据传输的安全认证系统、设备及方法
JP4933304B2 (ja) * 2006-10-16 2012-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143487A1 (en) * 2006-12-19 2008-06-19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interrupts for rfid tags
US8526885B2 (en) * 2008-09-30 2013-09-03 Apple Inc Peer-to-peer host station
JP2011253311A (ja) * 2010-06-01 2011-12-15 Pfu Ltd 情報処理装置、モード制御方法およびモード制御用プログラム
JP5744004B2 (ja) * 2010-07-23 2015-07-0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Nfc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73195B2 (ja) * 2011-04-28 2013-08-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WO2013014763A1 (ja) * 2011-07-27 2013-01-31 株式会社ビジョナリスト 簡易操作型無線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簡易操作型無線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JP5037718B1 (ja) * 2011-07-27 2012-10-03 株式会社ビジョナリスト 簡易操作型無線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簡易操作型無線データ送受信プログラム
JP6135055B2 (ja) * 2011-09-16 2017-05-3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939819B2 (ja) * 2012-01-31 2016-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CA2876514A1 (en) * 2012-06-29 2014-01-03 Edward Arthur International, Llc E-check device, system and a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876A (ja) * 2007-01-31 2008-08-14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20130057893A1 (en) * 2011-09-06 2013-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30191553A1 (en) * 2012-01-19 2013-07-25 Gregory Thane Wyler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on of Diverse Devices
US20130215467A1 (en) * 2012-02-21 2013-08-22 Zih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near field communications with a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6587B (zh) 2017-08-01
CN104426587A (zh) 2015-03-18
EP2846524A3 (en) 2015-04-08
JP2015050684A (ja) 2015-03-16
EP2846524A2 (en) 2015-03-11
EP2846524B1 (en) 2017-10-11
JP6188497B2 (ja) 2017-08-30
KR20150027000A (ko) 2015-03-11
US20150062643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447B1 (ko) 무선통신장치, 무선통신방법 및 기억매체
JP6650004B2 (ja) 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方法
US1019170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61222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CN106851528B (zh) 电子设备、终端装置和无线通信连接方法
US9924355B2 (e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7329716B (zh) 使用近场通信的方法和图像形成装置
KR10206450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JP5991733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方法
JP59413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62660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312503B2 (ja)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665317B2 (en) Image forming system for exchanging location and processing information of a job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US20150002879A1 (en) Printing contro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10058220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201601904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95960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CN107277743B (zh) 通信系统、通信装置和控制方法
JP2014204187A (ja) 通信端末、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通信システム
CN103959889A (zh) 记录介质及其控制方法
JP2017212648A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装置
JP2012174044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