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132B1 -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132B1
KR101767132B1 KR1020160025107A KR20160025107A KR101767132B1 KR 101767132 B1 KR101767132 B1 KR 101767132B1 KR 1020160025107 A KR1020160025107 A KR 1020160025107A KR 20160025107 A KR20160025107 A KR 20160025107A KR 101767132 B1 KR101767132 B1 KR 10176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formula
compound represented
delete delet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부경
신현욱
박성윤
호요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7430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6713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60025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132B1/ko
Priority to ES16892763T priority patent/ES2816526T3/es
Priority to CN201680029219.1A priority patent/CN107709282B/zh
Priority to PCT/KR2016/002181 priority patent/WO2017150750A1/ko
Priority to US15/569,183 priority patent/US11046811B2/en
Priority to EP16892763.0A priority patent/EP32791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0Di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50Physical properties
    • C08G2261/63Viscos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효과 발현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제조되는 수지는 저온에서도 열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이 적어 작업성 및 공정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Compound for copolymeric polyester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of copolymeric polyester resi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직포 등의 섬유 분야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이하 "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역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190℃ 이하의 온도에서 열 접착이 가능하고, 130℃ 미만의 온도에서도 접착성을 유지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접착성분으로 하여 의류 접착코어나 자동차 내장재 등에 사용 가능한 열 접착성 섬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점을 낮춰 열 접착성 섬유의 접착 성분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등의 디카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디올 화합물을 공중합시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90℃ 이상의 고온 조건에서 열 융착이 수행되어야 하거나 유리전이온도가 60℃ 미만으로 낮아져 작업성이 나쁜 한계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점을 낮추기 위하여 디카르복실산으로 사용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은 원료 가격이 높아 제조 단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중합도 2 내지 3을 갖는 고리형 화합물(용융점: 약 325±2℃)을 부산물로 형성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열 접착성 섬유 제조 시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형 화합물은 용융온도가 300℃ 이상으로 폴리에스테르 공정에서 용융이 되지 않아 공정에서 이물질로 작용하여 중합공정에서 폴리머 필터 주기를 늘리고, 또한 압출 및 사출과 같은 후공정에서 공정성을 떨어뜨리고 분진으로 작용하여 작업 환경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미국 공개특허 제4,129,675호 미국 공개특허 제4,065,439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190℃ 이하의 온도에서 열 접착이 가능하고, 130℃ 미만의 온도에서도 접착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이소프탈산(IPA) 등의 원료 함량이 제어되어 작업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2033234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며,
a 및 b가 0인 경우, 단일결합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산 성분과 디올 성분을 중합시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올 성분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수지 제조용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2033234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며,
a 및 b가 0인 경우, 단일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디올 성분으로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공정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상기 수지는 저온에서도 열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중합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이 적어 작업성 및 공정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량부"란, 각 성분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몰부"이란, 각 성분간의 몰(mol) 비율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중합체"란, 단량체 또는 중합 가능한 반응성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중합한 올리고머(oligomer) 및/또는 고분자(polymer)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20332348-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며,
a 및 b가 0인 경우, 단일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은 디올 성분으로서 디올이 결합된 알킬 사슬에 R1으로 나타내는 알킬기가 측쇄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R1으로 나타내는 알킬기를 측쇄로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의 주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지의 자유도를 증가시켜 수지의 융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융점을 낮추기 위하여 비대칭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시, 융점을 저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이소프탈산(IPA)을 대신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합 시 이소프탈산(IPA)으로부터 유도되는 중합도 2 내지 3인 고리형 화합물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포함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에서, R1은 메틸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또는 2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20332348-pat00004
.
또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을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산 성분과 디올 성분을 중합시켜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올 성분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 성분은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또는 테레프탈산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소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유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소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유도체가 더 포함되는 경우, 그 함량은 산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 내지 40 몰부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산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 내지 30 몰부, 5 내지 25 몰부, 5 내지 20 몰부, 5 내지 15 몰부, 15 내지 25 몰부, 25 내지 35 몰부, 또는 10 내지 30 몰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올 성분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함께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EG) 및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D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올 성분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함께 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량은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 몰부 내지 50 몰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5 몰부 내지 40 몰부; 10 몰부 내지 30 몰부; 20 몰부 내지 40 몰부; 25 몰부 내지 50 몰부; 또는 30 몰부 내지 50 몰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낮은 함량으로 인해 수지의 융점이 충분히 낮아지지 않거나 과량의 화합물로 인해 수지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은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 몰부 내지 20 몰부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5 내지 20 몰부, 10 내지 20 몰부, 13 내지 17 몰부, 1 내지 10 몰부, 5 내지 15 몰부, 또는 4 내지 16 몰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산 성분으로 추가 포함되는 이소프탈산(IPA)과 디올 성분으로 추가 포함되는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Tg) 저하되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방사하는 등의 후공정에서 경시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00℃ 내지 160℃의 연화점(Ts)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110℃ 내지 160℃; 120℃ 내지 150℃; 120℃ 내지 140℃; 140℃ 내지 160℃; 100℃ 내지 130℃; 130℃ 내지 150℃; 120℃ 내지 125℃; 125℃ 내지 150℃; 125℃ 내지 140℃; 125℃ 내지 130℃; 127℃ 내지 146℃; 122℃ 내지 128℃; 또는 120℃ 내지 1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50℃ 이상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리전이온도는 50℃ 내지 8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60℃, 60℃ 내지 70℃, 70℃ 내지 80℃, 50℃ 내지 55℃, 55℃ 내지 60℃, 60℃ 내지 65℃, 65℃ 내지 70℃, 54℃ 내지 58℃, 58℃ 내지 68℃, 59℃ 내지 63℃, 55℃ 내지 70℃, 60℃ 내지 80℃, 65℃ 내지 80℃, 또는 67℃ 내지 79℃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5 ㎗/g 내지 0.75 ㎗/g의 고유점도(I.V)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유점도(I.V)는 0.5 ㎗/g 내지 0.70 ㎗/g; 0.55 ㎗/g 내지 0.65 ㎗/g; 0.6 ㎗/g 내지 0.65 ㎗/g; 0.65 ㎗/g 내지 0.70 ㎗/g; 0.64 ㎗/g 내지 0.69 ㎗/g; 0.65 ㎗/g 내지 0.68 ㎗/g; 0.67 ㎗/g 내지 0.75 ㎗/g; 0.69 ㎗/g 내지 0.72 ㎗/g; 0.7 ㎗/g 내지 0.75 ㎗/g; 또는 0.63 ㎗/g 내지 0.67 ㎗/g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은 수지 제조용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이소프탈산(IPA)의 함량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합 시 이소프탈산(IPA)으로부터 유도되는 중합도 2 내지 3의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낮출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수지는 중합도가 2 내지 3인 고리형 화합물을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또는 0.4 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에스테르 반응조에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을 투입하고, 258℃에서 통상적인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율이 약 96%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 oligomer)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에 화학식 2로 나타내는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이소프탈산(IPA)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함량 비율로 혼합하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250±2℃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축중합 반응 촉매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 최종 온도 및 압력이 각각 280±2℃ 및 0.1 mmHg이 되도록 조절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MPD [몰부] DEG [몰부] IPA [몰부]
실시예 1 10 - -
실시예 2 20 - -
실시예 3 30 - -
실시예 4 40 - -
실시예 5 30 15 -
실시예 6 30 - 10
실시예 7 20 - 20
- 표 1에서, 각 성분의 몰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PET oligomer)의 몰수(100 몰부)를 기준으로 도출한 것이다.
비교예 1.
대조군으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중합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PET oligomer)에 이소프탈산(IPA)을 표 1에 나타낸 함량 비율로 혼합하는 대신에 하기 표 2에 나타낸 함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IPA [몰부] DEG [몰부]
비교예 2 10 -
비교예 3 20 -
비교예 4 30 -
비교예 5 40 -
비교예 6 30 15
- 표 2에서, 몰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올리고머(PET oligomer)의 몰수(100 몰부)를 기준으로 도출한 것이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수지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과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를 열시차 주사 열량계(DSC-7,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수지의 연화점(Ts)을 동적기계 분석기(DMA-7,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TMA 모드에서 측정하였다.
아울러,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을 1:1 중량 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상기 수지를 각각 0.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35℃에서 고유점도(I.V)를 측정하였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지를 각각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trifluoro acetic acid, TFA)에 용해시키고 이를 PTFE 실린지 필터(직경: 0.45㎛)로 여과한 다음 핵자기 공명 분광기(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Bruker)를 이용하여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수지 내에 잔류하는 중합도 2 내지 3인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도출하였다. 상기 결과들은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MPD
[몰부]
DEG
[몰부]
IPA
[몰부]
Ts
[℃]
Tg
[℃]
I.V
[㎗/g]
실시예 1 10 - - - 78.4 0.68
실시예 2 20 - - - 74.8 0.67
실시예 3 30 - - 145 71.2 0.65
실시예 4 40 - - 128 67.6 0.6
실시예 5 30 15 - 121 61.8 0.72
실시예 6 30 - 10 126 67.2 0.68
실시예 7 20 - 20 124 66.8 0.69
비교예 1 - - - - 82.1 0.66
비교예 2 - - 10 - 78.0 0.69
비교예 3 - - 20 - 74.6 0.65
비교예 4 - - 30 142 72.6 0.68
비교예 5 - - 40 120 69.8 0.66
비교예 6 - 15 30 115 63.5 0.61
고리형 화합물 함량
[중량%]
고리형 화합물 함량
[중량%]
실시예 1 ≤ 0.0001 비교예 2 0.25
실시예 2 ≤ 0.0001 비교예 3 0.41
실시예 3 ≤ 0.0001 비교예 4 0.56
실시예 4 ≤ 0.0001 비교예 5 0.75
실시예 5 ≤ 0.0001 비교예 6 0.63
실시예 6 0.17
실시예 7 0.36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디올 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 제조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연화점(Ts), 유리전이온도(Tg) 등의 열적 특성이 저온에서 열접착이 가능한 수지의 요구 물성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조 시 발생되는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하여 작업성 및/또는 공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 3을 살펴보면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디올 성분으로 포함한 실시예의 수지들은 산 성분으로 테레프탈산과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수지와 대비하여 유리전이온도(Tg)가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량이 10 몰부에서 40 몰부로 증가함에 따라 약 3.7℃에서 14.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연화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종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소프탈산(IPA) 또는 이소프탈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교예의 수지들과 동등한 효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수지들은 이소프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산 성분으로 포함하지 않아 중합 시 이소프탈산 또는 이의 유도체로부터 유래되는 중합도 2 내지 3의 고리형 화합물을 약 0.0001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 사용되어온 이소프탈산을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동일 함량 포함하는 비교예 2 내지 비교예 6의 수지들과 대비하여 약 2500배 내지 7500배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시 디올 성분으로 포함되어 수지의 열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소프탈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리형 화합물의 함량을 낮출 수 있다.

Claims (12)

  1. 산 성분인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유도체와 디올 성분인 에틸렌글리콜 및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하기 조건 1 또는 조건 2를 만족하고,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함량은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 몰부 내지 50 몰부이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I.V)는 0.67㎗/g 내지 0.75㎗/g이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6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조건 1] 산 성분은 산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5 몰부 내지 25 몰부의 이소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유도체를 더 포함하거나,
    [조건 2] 디올 성분은 디올 성분 100 몰부에 대하여 10 몰부 내지 20 몰부의 디에틸렌글리콜을 더 포함하고,
    [화학식 1]
    Figure 112017032463381-pat0000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며,
    a 및 b가 0인 경우, 단일결합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은 메틸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또는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화학식 2]
    Figure 112017032463381-pat00006
    .
  4. 제1항에 있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00℃ 내지 160℃의 연화점(Ts)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025107A 2016-03-02 2016-03-0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KR10176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07A KR101767132B1 (ko) 2016-03-02 2016-03-0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ES16892763T ES2816526T3 (es) 2016-03-02 2016-03-04 Compuesto para preparar resina de poliéster copolimerizada y método para preparar resina de poliéster copolimerizada usando la misma
CN201680029219.1A CN107709282B (zh) 2016-03-02 2016-03-04 用于共聚聚酯树脂的化合物及使用该化合物制备共聚聚酯树脂的方法
PCT/KR2016/002181 WO2017150750A1 (ko) 2016-03-02 2016-03-04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US15/569,183 US11046811B2 (en) 2016-03-02 2016-03-04 Compound for copolymeric polyester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of copolymeric polyester resin using the same
EP16892763.0A EP3279178B1 (en) 2016-03-02 2016-03-04 Compound for preparing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107A KR101767132B1 (ko) 2016-03-02 2016-03-0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132B1 true KR101767132B1 (ko) 2017-08-14

Family

ID=59743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107A KR101767132B1 (ko) 2016-03-02 2016-03-02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46811B2 (ko)
EP (1) EP3279178B1 (ko)
KR (1) KR101767132B1 (ko)
CN (1) CN107709282B (ko)
ES (1) ES2816526T3 (ko)
WO (1) WO2017150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83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삼양사 고광택 및 고경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774B1 (ko) 2017-06-13 2018-12-05 주식회사 휴비스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TWI785465B (zh) 2021-01-14 2022-12-01 遠東新世紀股份有限公司 一種新穎共聚酯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9537A (fr) * 1969-11-28 1971-05-27 Fiber Industries Inc Polyesters pouvant etre teints avec des matieres colorantes basiques
DE2348353A1 (de) * 1973-09-26 1975-04-03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methylpropandiol-(1,3)
US4065439A (en) 1975-06-10 1977-12-27 Toyobo Co., Ltd. Copolyest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129675A (en) 1977-12-14 1978-12-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duct comprising blend of hollow polyester fiber and crimped polyester binder fiber
JPS5845225A (ja) * 1981-09-11 1983-03-16 Daicel Chem Ind Ltd 改質され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成形材料
US5912307A (en) * 1996-05-03 1999-06-15 Bp Amoco Corporation Polyester compositions
US6103857A (en) * 1997-06-19 2000-08-15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polymers containing both 1,4-cyclohexanedimethanol and isophthalic acid moieties
EP0984086B1 (en) * 1998-06-04 2001-03-28 Dairen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lyester fiber and polyester fiber therefrom
US6362306B1 (en) * 1999-08-17 2002-03-26 Eastman Chemical Company Reactor grade copolyesters for shrink film applications
JP4385553B2 (ja) * 2000-09-11 2009-12-16 凸版印刷株式会社 ドライまたはノンソルベントラミネーション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包装材及び包装袋
US7008698B2 (en) * 2003-06-17 2006-03-07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Propane diol-based polyester resin and shrink film
MX2009000462A (es) * 2006-07-11 2009-03-03 Wellman Inc Catalizador compuesto de polimerizacion de fase solida.
KR101639629B1 (ko) * 2009-11-13 2016-07-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열 수축 필름
KR101406908B1 (ko) 2011-05-13 2014-06-13 신동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KR101530628B1 (ko) 2013-08-29 2015-06-22 (주)에프티씨코리아 하이브리드 수용성 분산제 조성물
CN104558556A (zh) * 2013-10-28 2015-04-29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共聚酯及其制备方法和发泡制品及其制备方法
CN105131193A (zh) * 2015-08-11 2015-12-09 永悦科技股份有限公司 利用2-甲基1,3-丙二醇合成不饱和聚酯树脂的配方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83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삼양사 고광택 및 고경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KR102065574B1 (ko) 2017-12-27 2020-01-13 주식회사 삼양사 고광택 및 고경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9178A1 (en) 2018-02-07
CN107709282A (zh) 2018-02-16
CN107709282B (zh) 2019-02-22
EP3279178B1 (en) 2020-07-15
US11046811B2 (en) 2021-06-29
US20190048133A1 (en) 2019-02-14
WO2017150750A1 (ko) 2017-09-08
ES2816526T3 (es) 2021-04-05
EP3279178A4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234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2090291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1767132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EP3309280A1 (en) Low melting point conjugate fiber
KR101831879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JP4600807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製品
CN113166381B (zh) 粘合强度得到改善的粘合剂用聚酯树脂以及使用此的聚酯纤维
KR20170011081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섬유
KR102144065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831878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099023B1 (ko)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이를 이용한 바인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7090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방법
KR101807001B1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102043372B1 (ko) 촉감과 색상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1831877B1 (ko)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210044126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KR102271294B1 (ko) 열접착성 섬유 및 열접착성 섬유 복합체
KR102366669B1 (ko) 3d 인쇄용 공중합체
KR20190117270A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479934B1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003888B1 (ko) 내열성이 향상된 결정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수지
KR101873524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접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착웹
KR20180062606A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KR20220086807A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1870908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