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774B1 -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 Google Patents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774B1
KR101924774B1 KR1020170074312A KR20170074312A KR101924774B1 KR 101924774 B1 KR101924774 B1 KR 101924774B1 KR 1020170074312 A KR1020170074312 A KR 1020170074312A KR 20170074312 A KR20170074312 A KR 20170074312A KR 101924774 B1 KR101924774 B1 KR 10192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ephthalate
impact strength
film
maleic anhydride
improved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부경
신현욱
권오혁
박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7007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08G63/183Terephtha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Abstract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6386369-pat00007

Description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Polymethylpropylene terephthalate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으로 필름용으로 적합하도록 충격강도를 향상시킨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는 산성분과 디올성분이 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제조되는 합성수지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이 매우 우수하여 경량 및 높은 물리적 특성이 요구되는 각종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많이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TT) 등이 있으며,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중 대표적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물리적인 특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산성분 또는 디올성분에 다양한 기능성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어 최근까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개발되고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축중합과정에서 1중량% 정도의 고리형 화합물이 생성되며, 이와 같은 고리형 화합물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가열 처리하면 필름 표면에 석출되어 필름이 백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용도가 다양화됨에 따라 필름의 가공 조건, 사용 조건도 다양화되고 있어 필름 표면에 대한 고리형 화합물 석출은 광학 용도 등의 고도로 투명성이 요구되는 용도나, 정밀한 표면 평탄성이 요구되는 캐스트 지지체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914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301057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의 고리형 올리고머를 저감시키기 위해 중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고리형 올리고머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융점이 260~280℃이고, 높은 결정 영역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 섬유나 필름 등에 사용할 경우 용도상에 제한이 있어왔다.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필름용으로 적합한 물성으로 플라스틱 용기, 유리병, 건전지 또는 전해 콘덴서의 라벨용, 포장용기의 전체 피복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문구류 또는 여러 개의 용기를 집적 포장하거나 밀착 포장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필름용 고분자 수지는 각종 포장재 또는 라벨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내열성, 내용제성, 내후성, 인쇄특성 등의 기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용기의 밀봉성, 수축균일성 등의 후가공성이 우수한 특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서 내열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수축률이 우수하나, 일부 방향으로는 파열강도 및 기계적 물성이 낮아 외부충격에 쉽게 파열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 제1999-0068230호 및 제 2003-0030099호 등 많은 종래기술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일정한 비율로 블렌딩하거나,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및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을 공중합하여 기계적 물성을 개선시키고 있으나, 파열강도는 아직까지 개선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디올성분으로 2-메틸-1,3-프로판디올만을 사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다루기가 용이하여 가공성이 우수하면서, 말레인산 무수물이 함유되어 사슬간의 가교를 형성시켜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결정성이 없어서 투명성이 증대되고 연성이 우수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6386369-pat00001
또한,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5~15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7~11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스테르반응조에 산성분인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과 디올성분인 2-메틸-1,3-프로판다이올을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단계; 상기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축중합하여 고분자 수지로 형성하는 축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6386369-pat00002
또한,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5~15몰% 함유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7~11몰% 함유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상기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충격강도가 5000~7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Haze(%)가 1.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함유된 말레인산 무수물이 사슬간의 가교를 형성하여 충격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강도가 향상되고, 투명성이 높은 본 발명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필름용으로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의 말레인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Haz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의 말레인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충격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의 말레인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Haze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의 말레인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충격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6386369-pat00003
본 발명의 디올성분으로 사용되는 2-메틸-1,3-프로판디올은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인의 융점(또는 연화 온도)를 낮고, 염색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을 사용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레이트에 결합된 프로필렌 사슬에 메틸기(-CH3)를 측쇄로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의 주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쇄의 자유도 증가 및 수지의 결정성 저하를 유도하여 연화점(Ts) 및/또는 유리전이온도(Tg)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종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비대칭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고리형 이합체를 형성하지 않아 공정상에 이점을 가지며, 높은 투명도를 가지게 된다.
또한, 자유도가 증가하는 주쇄로 인해 염색시에 염료 물질의 접촉이 용이해지고, 폴리에스테르의 염색성, 연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테레프탈산과 2-메틸-1,3-프로판디올만으로 형성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폴리에스테르의 일종으로 특별히 가교제를 투입하지 않는 한 사슬간 가교가 일어나지 않은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로 충격강도를 높이기 위해 가교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은 분자구조 내에 불포화 결합을 가지고 있는 구조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사슬간의 가교하여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은 중합시에 고분자 수지의 겔화를 발생시켜 반응속도를 증가시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이 함유된 본 발명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사슬간 유연한 이동성이 보장되므로 특히 저온충격강도가 우수하며 그로인해 내한성이 우수하고 사슬간 일정 수준의 가교가 생성되어 충격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상기 산성분의 5~15몰%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말레산 무수물이 산성분 중 5몰% 미만이며 충격강도 향상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으며, 15몰%를 초과하면 사슬간 가교가 과다하게 발생되어 겔화가 발생되어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상기 산성분의 7~11몰% 함유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에스테르화 반응단계, 축중합단계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단계는 에스테르반응조에 산성분인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과 디올성분인 2-메틸-1,3-프로판다이올을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단계로 통상의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를 투입 후 250℃까지 승온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다. 이때 가압을 0.3~1.0 Torr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종료는 산성분과 디올 성분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생성된 물(H2O) 양으로 종료시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단계에서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반응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계 화합물 촉매를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금속계 화합물 촉매는 티타늄(Ti)계 화합물, 아연(Zn)계 화합물, 안티몬(Sb)계 화합물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티타늄(Ti)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티타늄(Ti)계 화합물은 TiO4R(R은 탄소수 2~10인 알킬기) 중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아연(Zn)계 화합물은 초산아연(Zinc Acetate), 산화아연(Zinc Oxide), 아연옥틸에스테르(Zinc Octoate), 디에틸아연(Diethyl Zinc) 중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안티몬(Sb)계 화합물은 삼산화안티몬(Antimony trioxide), 안티몬 트리글리콜레이트(Antimony triglycolate) 중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단계에서 첨가되는 금속계 화합물 촉매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금속 기준으로 30~200ppm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축중합단계는 상기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축중합하여 고분자 수지로 형성하는 단계로 상기 에스테르화 올리고머에 통상의 축중합 반응 촉매를 투입한 후 최종 감압도가 0.5mmHg이하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60~290℃까지 승온시켜서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분자량은 토크미터로 환산한후 목적하는 분자량 수준에 이르면 축중합을 종료하며 이런 방식으로 수지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반응시간을 단축시키고 반응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금속계 화합물 촉매를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금속계 화합물 촉매는 티타늄(Ti)계 화합물, 안티몬(Sb)계 화합물, 주석(Sn)계 화합물, 게르마늄(Ge)계 화합물 및 알루미늄(Al)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안티몬(Sb)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첨가되는 금속계 화합물 촉매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금속 기준으로 100~400ppm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고온에서 장시간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로 반응과정에서 화합물이 열분해되거나 부반응으로 착색물질이 축적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수지 제조 후에 열화 방지를 위해 열안정제를 더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열안정제를 포함시킬 경우 고온에서 수지를 보호하고 변색을 방지하여 황변도를 나타내는 수치인 Color-b 값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의 Ph-P 복합계 열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가량은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인(P) 함량 기준으로 1~1,000ppm 포함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56386369-pat00004
상기 열안정제의 첨가량이 1ppm 미만이면 열안정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며, 1,000ppm을 초과할 경우에는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수지인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비결정성 고분자로 충격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투명성능이 우수하여 필름 용도로 사용될 때 결정성 부분에 의한 빛의 산란 및 백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필름은 충격강도가 5000~7000g으로 매우 우수하며, Haze(%)가 1.5~2.0%로 높은 투명성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20
에스테르반응기에 산성분으로 테레프탈산, 말레산 무수물과 디올성분으로 2-메틸-1,3-프로판다이올을 산성분 대비 1.5몰배 투입하였고, 티타늄계 화합물인 TBT(Tetra Butyl Titanate)를 에스테르화 반응 촉매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티타늄 금속 기준 60ppm 투입한다.
에스테르화 반응단계는 촉매를 투입후 240℃까지 승온하고, 가압을 0.3~1.0 Torr 까지 서서히 가압시켰으며, 반응수가 충분히 유출되면 안티몬계 화합물인 삼산화안티몬을 축중합 촉매로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안티몬 기준 240ppm, Ph-P 열안정제를 인(P) 기준 40ppm 투입하고 다관응 성분인 트리메틸올프로판을 1000ppm을 투입하여 축중합단계를 진행하였다.
최종 감압도가 0.1mmHg가 되도록 서서히 감압하면서 267℃까지 승온시켜서 축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본 발명이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을 제조하였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은 실시예에 따라 다른 함량으로 함유시킨 것으로 산성분 중 1~20몰% 함유시켰으며,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T-Die 압출 설비를 이용하여 Hopper 온도 205℃, 다이스 온도 210℃으로 설정하고 두께 200㎛의 필름을 제조하였고, 제조한 필름으로 충격강도와 투명성(Haze)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말레산 무수물을 함유시키지 않고 테레프탈산과 2-메틸-1,3-프로판다이올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측정
1. 충격강도는 ASTM D 3420 규정에 따라, Toyoseiki사의 필름 충격시험기를 사용하여 직경이 15mm인 반구형을 사용하여 각 시료마다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기입하였다.
2. Haze(%)는 ASTM D 1003 규정에 따라, Nippon Denshoku사의 흐림도 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Haze(%)=확산투과율/전광선투과율’ 결과를 기입하였다.
  불포화산산 함량 충격강도 전광선투과율 확산투과율 Haze 중축합
반응시간
공정성
  몰% g % % %
비교예1 0 3200 91.67 1.53 1.67 180
실시예1 1 3260 91.47 1.43 1.56 180
실시예2 2 3380 91.44 1.56 1.71 178
실시예3 3 3760 91.56 1.71 1.87 176
실시예4 4 3690 91.1 1.77 1.94 173
실시예5 5 4100 91.35 1.62 1.77 171
실시예6 6 5200 91.15 1.76 1.93 168
실시예7 7 5640 91.46 1.53 1.67 165
실시예8 8 5830 91.55 1.49 1.63 161
실시예9 9 6210 91.98 1.85 2.01 157
실시예10 10 6260 91.26 1.67 1.83 154
실시예11 11 5760 91.29 1.71 1.87 150
실시예12 12 4800 91.57 1.69 1.85 145
실시예13 13 4820 91.66 1.85 2.02 140
실시예14 14 3950 91.52 2.23 2.44 132
실시예15 15 2860 91.38 2.18 2.39 123
실시예16 16 2340 91.48 2.62 2.86 111
실시예17 17 1830 91.55 3.55 3.88 98
실시예18 18 1920 91.61 3.98 4.34 89
실시예19 19 -  - - - 71 X
실시예20 20 -  - - - 62 X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말레산 무수물이 함유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인 실시예 1 내지 14는 말레산 무수물이 함유되지 않은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로 형성된 필름인 비교예에 비해 충격강도가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0에서와 같이 말레산 무수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축합 반응시간이 두드러지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가교제 없이도 반응시간이 단축되며 용융 점도를 빠른시간에 상승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함량이 20몰%에 가까워지면 통상적인 반응종료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겔화됨과 동시에 반응이 종료되어 공정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20의 말레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Haze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필름의 투명성 척도인 Haze(%) 값은 전반적으로 우수하나 말레산 무수물 함량이 증가하여 가교가 형성되게 되면 빛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Haze(%) 값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20의 말레산 무수물 함량에 따른 충격강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필름의 충격강도는 말레산 무수물 함량이 약 9~10몰%까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나 그 이상의 함량이 함유되면 충격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말레산 무수물 함량이 높아지면 분자쇄가 견고해져 충격강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말레산 무수물의 함량이 7~11몰%일 경우 가장 우수한 충격강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및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로 이루어진 산성분과 2-메틸-1,3-프로판디올인 디올성분으로 형성되되,
    상기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7~11몰%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화학식 1]
    Figure 112018058091523-pat00005
  2. 삭제
  3. 삭제
  4.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에스테르반응조에 산성분인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하기 화학식 1의 말레인산 무수물(MA)과 디올성분인 2-메틸-1,3-프로판다이올을 투입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형성하는 에스테르화 반응단계;
    상기 에스테르화 올리고머를 축중합하여 고분자 수지로 형성하는 축중합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축중합단계에서 말레인산 무수물(MA)은 상기 산성분의 7~11몰% 함유되도록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8058091523-pat00006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제4항의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충격강도가 5000~700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Haze(%)가 1.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KR1020170074312A 2017-06-13 2017-06-13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KR101924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12A KR101924774B1 (ko) 2017-06-13 2017-06-13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312A KR101924774B1 (ko) 2017-06-13 2017-06-13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774B1 true KR101924774B1 (ko) 2018-12-05

Family

ID=6474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312A KR101924774B1 (ko) 2017-06-13 2017-06-13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7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2565A (zh) * 2020-06-24 2021-12-24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 高收缩新型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028817A (zh) * 2022-04-26 2022-09-09 华润化学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隔聚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323B1 (ko) * 2003-06-17 2012-03-06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프로판디올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축 필름
WO2017150750A1 (ko) 2016-03-02 2017-09-08 주식회사 휴비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WO2017150747A1 (ko) 2016-02-29 2017-09-08 (주)휴비스 저융점 복합섬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323B1 (ko) * 2003-06-17 2012-03-06 미츠비시 폴리에스테르 필름 인코포레이티드 프로판디올계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수축 필름
WO2017150747A1 (ko) 2016-02-29 2017-09-08 (주)휴비스 저융점 복합섬유
WO2017150750A1 (ko) 2016-03-02 2017-09-08 주식회사 휴비스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2565A (zh) * 2020-06-24 2021-12-24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 高收缩新型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13832565B (zh) * 2020-06-24 2024-02-27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 高收缩新型聚酯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028817A (zh) * 2022-04-26 2022-09-09 华润化学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隔聚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28817B (zh) * 2022-04-26 2024-02-02 华润化学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隔聚酯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6579B2 (en)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51210B1 (ko) 다층 폴리에스테르 시트 및 그 성형품
KR20170037588A (ko) 아이소소바이드와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5251790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
KR101924774B1 (ko)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필름
KR20180003963A (ko) 폴리메틸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TWI791832B (zh) 聚酯膜與其製備方法
JP3725915B2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樹脂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とのポリマーアロイ、並びにそれからなる包装材料及び包装容器
EP0650994B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liphatic copolyester films
KR20210046081A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형품 및 열수축성 필름
KR20200089585A (ko)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1068880A (ja) 共重合ポリエステル製成形体
JP2011132380A (ja) ポリアリレート樹脂、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該ポリ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KR102589382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3819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97885A (zh) 共聚聚酯树脂、成型品、热收缩性膜及纤维
KR100580856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대형 음료용기용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KR101868990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7474263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448546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20833B1 (ko)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1496633B1 (ko) 내약품성 및 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JP6487838B2 (ja) ポリエステル重合触媒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ポリエステルの製造方法
KR102251212B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831877B1 (ko)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