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7270A -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 Google Patents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270A
KR20190117270A KR1020180040555A KR20180040555A KR20190117270A KR 20190117270 A KR20190117270 A KR 20190117270A KR 1020180040555 A KR1020180040555 A KR 1020180040555A KR 20180040555 A KR20180040555 A KR 20180040555A KR 20190117270 A KR20190117270 A KR 20190117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olyester fiber
binder
adhesive strength
functional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7688B1 (ko
Inventor
황지환
이민성
신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8004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6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09J2201/24
    • C09J2201/61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being in the form of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부와 코어부로 형성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 및 5관능 성분으로 형성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Polyester fiber using binder Having Advanced Adhesive Strength}
본 발명은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으로 상온 및 고온에서도 높은 접착력을 유지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의 웹(Web) 또는 시트를 구성하고 있는 필라멘트 또는 단섬유들을 접착시켜 주기 위해 사용되는 열융착 바인더 섬유는 열접착 가공온도가 140~150℃이면서 일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근사한 유리전이 온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렇게 하려면 고분자 내의 결정구조를 없애고 고분자구조를 비정질 형태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함에 있어서, 공중합 성분으로 이소프탈산을 사용하여 테레프탈산과 공중합 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인데 이때 이소프탈산은 에스테르 몰 기준 20~45몰%로 첨가되며, 이렇게 합성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비결정질 형태의 분자구조를 가지게 되어서 최종 융점이 145~180℃의 범위를 나타내며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쓰여질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129,675호는 테레프탈산과 이소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열접착시 200℃ 이상의 온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다.
미국 등록특허 제4,166,896호는 폴리에스테를 해중합한 저분자물에 불포화 디카르본산 등을 공중합시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특허에 따른 섬유 또한 경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바인더로 사용하기에는 지나치게 고융점 및 고결정성인 단점이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4,065,439호는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아디핀산(또는 세바신산) 및 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을 사용하여 얻어진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바인더의 융점은 45℃~60℃로 너무 낮아 의류용 심지로는 사용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온 조건에서의 형태안정성 또한 약하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11548호는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의 디카르본산 성분 및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디올성분을 축중합하여 폴리에스테르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 후 황변형상을 일으키지 않는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용 바인더를 제공하고 있지만, 상기 바인더는 무수프탈산을 직접 사용하므로써 반응 메커니즘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색상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막기 위해 축중합 온도를 낮추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저온의 축중합 반응은 조업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는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유지되지만 고온에서는 급격하게 접착성이 저하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상온 및 고온에서도 접착력이 유지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유리전이 온도를 60℃ 이상이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통해 연신공정 중에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낮은 유리전이 온도로 인하여 인접한 섬유 간에 밀착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스부와 코어부로 형성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 및 5관능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올성분 중 2-메틸-1,3-프로판디올은 20~40몰%, 디에틸렌글리콜은 10~2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5관능 성분은 펜테틴산 또는 그 유도체, 리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은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5관능 성분은 섬유 총 중량의 200~1,000 ppm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3관능 성분 또는/및 4관능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온접착력 60kgf이상, 고온접착력 5kgf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온에서 높은 접착력을 가지면서, 고온에서도 일정이상의 접착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시스부를 형성하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Tg)가 60℃ 이상으로 방사공정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장기간 보관이나 운송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섬유간의 부착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시스부와 코어부로 형성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코어부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시스부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는 복합섬유이다.
상기 코어부를 형성하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나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로 제조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시스부를 형성하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 분자간 결합 강화를 위한 다관능 성분인 5관능 성분으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시스부에 함유되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다관능 성분은 분자간 결합 강화를 위하여 투입된 것으로, 분자간의 가교작용으로 결합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다관능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동일 조성의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대비 상온접착력 및 고온접착력이 향상된다.
상기 다관능 성분는 관능기에 따라 3관능 성분, 4관능 성분, 5관능 성분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3관능 성분으로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및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린, 4관능 성분으로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본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본산 및 이들의 유도체, 펜타에리스리톨 등이 폴리에스테르의 다관능 성분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3관능 성분, 4관능 성분은 분자간의 가교작용으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다관능 성분이 함유되어야 하지만, 5관능 성분은 상기 3관능 성분, 4관능 성분 보다 적은 양이 함유되어도 접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5관능 성분은 중합시 가교제로 작용하여 중합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며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대해 100~2,000ppm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1,000ppm 함유되는 것이다. 5관능 성분의 경우, 중합시 1,000 ppm 이상 투입시 고유점도가 저하될 수 있으므로 1,000 ppm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5관능 성분은 펜테틴산 또는 그 유도체, 리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은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 목적 및 에 따라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3관능 성분 또는/및 4관능 성분을 더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다관능 성분으로 5관능 성분과 3관능 성분 또는/및 4관능 성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다관능 성분 함량의 총 합이 10~3,000 ppm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메틸-1,3-프로판디올(MPD)은 두 번째 탄소에 메틸기가 결합되어 고분자 주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며 고분자 말단 부분인 것처럼 작용하여 주쇄 사이의 자유공간을 넓혀, 분자쇄 전체의 유동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고분자가 비정형이 되도록 하며 이소프탈산과 동일한 열적특성을 갖게 된다. 폴리머 주쇄에 존재하는 유연 분자쇄로 인해 탄성을 향상시켜 부직포 바인딩시 인열특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2-메틸-1,3-프로판디올은 테레프탈레이트에 결합된 에틸렌 사슬에 메틸기(-CH3)를 측쇄로 포함하여 중합된 수지의 주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쇄의 자유도 증가 및 수지의 결정성 저하를 유도하여 연화점(Ts) 및/또는 유리전이 온도(Tg)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종래 결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결정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비대칭 방향족 고리를 함유하는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IPA)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에틸렌글리콜(DEG)은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과 같이 주쇄 사이의 자유공간을 넓히는 역할을 통해 열특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디올성분으로 사용되는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을 함량을 조절하여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연화온도 및 유리전이 온도(Tg)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접착력을 향상을 위해 상기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2-메틸-1,3-프로판디올은 디올성분 중 20~40몰%, 디에틸렌글리콜은 디올성분 중 10~20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함량이 디올성분 중 20몰%이상 함유될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중합 공정에서 부반응 생성물인 고리형 화합물의 생성이 억제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2-메틸-1,3-프로판디올과 디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내의 결정구조를 없애고 폴리에스테르 구조를 비정질 형태로 변화시켜 낮은 온도에서 접착시킬 수 있고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2-메틸-1,3-프로판디올과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조절된 본 발명의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연화온도가 110℃~130℃로 조절되며, 유리전이 온도는 60℃ 내지 70℃, 고유점도 0.55㎗/g이상으로 우수한 물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시스부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온접착력 60kgf이상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가지면서, 고온접착력 5kgf이상으로 고온에서 일정 수준이상의 접착력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기존 바인더 섬유에 적용되는 온도와 유사한 범위의 저온에서 열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전이 온도가 60℃이상으로 자동차 내장용 제품과 같이 고온의 분위기에서 내구성 및 형태 안정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강력이 유지되며 몰딩용 부직포에서도 고온 분위기하에서 처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의 부직포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복합방사공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접착강도가 향상된 5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스테르 반응조에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을 투입하고, 258℃에서 통상적인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반응율이 약 96%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PET oligomer)를 제조하고,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5관능 성분인 펜테틴산 및 에스테르 교환 반응 촉매를 첨가하여 250±2℃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축중합 반응 촉매를 첨가하고 반응조 내 최종 온도 및 압력이 각각 280±2℃ 및 0.1 mmHg이 되도록 조절하면서 축중합 반응을 수행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5관능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2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하게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시스부의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다관능 성분을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상기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내지 9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하게 코어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으며, 시스부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였으나, 시스부의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다관능 성분으로 트리멜리트산(3관능 성분), 펜타에리스리톨(4관능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테레프탈산(TPA) 및 에틸렌글리콜(EG),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다관능 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산성분
(몰%)
디올성분(몰%) 다관능성분(ppm)
TPA MPD DEG EG 트리멜리트산 펜타에리스리톨 펜테틴산
실시예1 100 25 15 60 0 0 600
실시예2 100 25 15 60 200 200 200
실시예3 100 20 20 60 0 0 1,000
실시예4 100 20 20 60 0 0 1,500
비교예1 100 25 15 60 0 0 0
비교예2 100 20 20 60 0 0 0
비교예3 100 25 15 60 600 0 0
비교예4 100 25 15 60 3,000 0 0
비교예5 100 25 15 60 3,500 0 0
비교예6 100 25 15 60 0 600 0
비교예7 100 20 20 60 0 3,000 0
비교예8 100 20 20 60 0 3,500 0
비교예9 100 25 15 60 300 300 0
◈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하기와 같은 물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연화점(Ts) 및 유리전이 온도(Tg) 측정
시차 주사 열량계(Perkin Elmer, DSC-7)를 이용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Tg)를 측정하였으며, 동적기계 분석기(DMA-7, Perkin Elmer)를 이용하여 TMA 모드에서 연화 거동을 측정하였다.
(2) 고유점도(IV)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페놀 및 테트라클로로에탄을 1:1 중량비율로 혼합한 용액에 각각 0.5 중량%의 농도로 용해시킨 후 우베로드 점도계를 이용하여 35℃에서 고유점도(I.V)를 측정하였다.
(3) 상온 및 고온 접착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열융착하여 밀도가 2g/100㎠로 고정된 부직포를 준비하고, 준비된 부직포를 ASTM D1424에 따라 25±0.5℃(상온) 및 100±0.5℃(고온)에서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4) 고온수축성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단섬유로 제조한 후, 카딩 (Carding) 하여 원통형으로 제조한다. 170℃ 열을 3분간 가한 후 줄어든 부피를 측정한다, 기존 부피는 330㎤으로 통상 250㎤ 이하이면 형태안정성이 떨어지는 수준이며 280㎤ 이상이면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구분 열적특성
IV 접착력
형태안정성
연화온도(℃) Tg(℃) (dl/g) 상온접착력
(kgf)
고온접착력
(kgf)
고온수축성
(㎤)
실시예1 122 63.4 0.582 62 5.4 255
실시예2 121 63.5 0.581 63 5.5 256
실시예3 129 61.3 0.581 69 6 255
실시예4 129 61.4 0.503 69 6 255
비교예1 121 63.5 0.582 55 4.6 256
비교예2 129 61.4 0.581 59 4 254
비교예3 121 63.4 0.583 58 5 256
비교예4 121 63.5 0.582 61 5.1 256
비교예5 122 63.4 0.512 62 5.2 255
비교예6 122 63.5 0.582 62 5.1 255
비교예7 129 61.4 0.582 65 5.4 254
비교예8 129 61.3 0.517 65 5.5 255
비교예9 121 63.6 0.581 59 5 25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본 발명의 5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관능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비교예 1, 2의 동일 조성 대비 상온접착력 및 고온 접착력이 매우 높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관능 성분 및 4관능 성분이 포함된 비교예 3 내지 9를 통해 알 수 있듯이 5관능 성분을 사용할 경우 3관능 성분 및 4관능 성분 적은 양을 사용하더라도 더 높은 접착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과 4의 비교를 통해 5관능 성분의 1,000 ppm 초과 사용시 중합 공정에서 급격한 용융점도 증가로 인하여 동일한 전력치 임에도 불구하고 고유점도(IV)가 낮아지는 고유점도(IV)저하 현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더 이상의 접착력 증가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1,000 ppm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9 모두에서 다관능 성분의 유/무에 관계없이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연화점이 110~130℃, 유리전이 온도(Tg)는 60℃이상, 고온수축성이 250㎤이상의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다관능 성분은 기존의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열적특성과 형태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온접착력과 고온접착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시스부와 코어부로 형성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는 일반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시스부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 이루어진 산성분; 및 2-메틸-1,3-프로판디올(MPD), 디에틸렌글리콜(DEG), 및 에틸렌글리콜(EG)로 이루어진 디올성분; 및 5관능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성분 중 2-메틸-1,3-프로판디올은 20~40몰%, 디에틸렌글리콜은 10~20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관능 성분은 펜테틴산 또는 그 유도체, 리비톨 중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은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관능 성분은 섬유 총 중량의 200~1,000 ppm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3관능 성분 또는/및 4관능 성분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상온접착력 60kgf이상, 고온접착력 5kgf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0180040555A 2018-04-06 2018-04-06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11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55A KR102117688B1 (ko) 2018-04-06 2018-04-06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55A KR102117688B1 (ko) 2018-04-06 2018-04-06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70A true KR20190117270A (ko) 2019-10-16
KR102117688B1 KR102117688B1 (ko) 2020-06-02

Family

ID=68421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55A KR102117688B1 (ko) 2018-04-06 2018-04-06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5106A (zh) * 2021-06-28 2023-01-13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Cn) 一种高分子热熔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4B1 (ko) * 2014-08-25 2016-12-09 주식회사 휴비스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1807001B1 (ko) * 2015-12-23 2017-12-11 주식회사 휴비스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34B1 (ko) * 2014-08-25 2016-12-09 주식회사 휴비스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1807001B1 (ko) * 2015-12-23 2017-12-11 주식회사 휴비스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5106A (zh) * 2021-06-28 2023-01-13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Cn) 一种高分子热熔胶及其制备方法
CN115595106B (zh) * 2021-06-28 2023-12-22 北京水木滨华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热熔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688B1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234B1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2090291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EP3309280A1 (en) Low melting point conjugate fiber
KR20160024184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US4468510A (en) Polyesters of trans-4,4'-stilbenedicarboxylic acid, terephthalic acid or 2,6-naphthalenedicarboxylic acid, 1,2-propanediol and 1,3-propanediol
KR101831879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117688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다관능 성분을 포함하는 열융착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TWI743592B (zh) 用於經黏合強度增強的黏合劑的聚酯樹脂和使用之的聚酯纖維
KR102144065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170011081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섬유
KR101831878B1 (ko) 접착강도가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297963B1 (ko)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제품
KR101807001B1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20220073245A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KR102043372B1 (ko) 촉감과 색상이 우수한 저융점 바인더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바인더 복합섬유
KR100476278B1 (ko) 폴리에스테르계 바인더 섬유
KR20180047090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방법
TWI650343B (zh) 提高黏結強度的黏結劑用聚酯纖維
KR102479934B1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0302108B1 (ko) 폴리에스테르계 섬유용 접착제
KR20210044126A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접착 파우더를 이용한 고강도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KR101870908B1 (ko)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단독섬유 및 이를 이용한 굴곡강도 및 굴곡탄성이 우수한 섬유집합체
KR102564978B1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040096190A (ko) 열접착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바인더 섬유
KR20220086807A (ko) 신규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