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276B1 - 소성 지그 - Google Patents

소성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6276B1
KR101766276B1 KR1020157036611A KR20157036611A KR101766276B1 KR 101766276 B1 KR101766276 B1 KR 101766276B1 KR 1020157036611 A KR1020157036611 A KR 1020157036611A KR 20157036611 A KR20157036611 A KR 20157036611A KR 101766276 B1 KR101766276 B1 KR 101766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tter
bridging
porous ceramics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5282A (ko
Inventor
기요시 우라카와
다츠히코 우치다
Original Assignee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 C04B35/58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borides, nitrides, i.e. nitrides, oxynitrides, carbonitrides or oxycarbonitrides or silicides based on silicon 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04B35/101Refractories from grain sized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04B35/185Mullite 3Al2O3-2S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04B35/1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rich in aluminium oxide
    • C04B35/195Alkaline earth aluminosilicates, e.g. cordierite or anort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ates
    • C04B35/443Magnesium aluminate spine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04B35/56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based on silicon carb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06Composite supporting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70Aspects relating to sintered or melt-casted ceramic products
    • C04B2235/96Properties of ceramic products, e.g.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toughness, wear resistance
    • C04B2235/9607Thermal properties, e.g.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C04B2235/9623Ceramic setters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음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 따른 소성 지그에 있어서는, 틀체와, 복수의 가교부를 구비한다. 또한, 틀체는, 중앙 측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가교부는, 틀체의 중공부에 가설됨과 함께, 중공부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틀체와 복수의 가교부는, 일체 성형된다.

Description

소성 지그{FIRING TOOL}
개시의 실시형태는, 소성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라믹스 제품 등을 제조하는 과정에는, 요로(窯爐)를 사용하여 피소성물을 소성하는 소성 공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소성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피소성물을 소성 지그에 얹어, 요로 내에서 소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소성 지그로서는, 측면에 구멍이 천설(穿設)된 4개의 지주와, 복수의 연결봉을 구비하고, 지주의 구멍에 연결봉을 삽입하여 랙(rack) 형상으로 하고, 연결봉 상에 세터(setter)를 얹어 제작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60629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소성 지그에 있어서는, 구성 부재를 각각 조립하여 제작되므로, 높은 조립 정밀도가 요구됨과 함께, 조립 작업도 번잡하며, 소성 지그 자체의 생산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실시형태의 일 태양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성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 따른 소성 지그는, 틀체와, 복수의 가교부를 구비한다. 틀체는, 중앙 측에 중공부를 갖는다. 복수의 가교부는, 상기 틀체의 상기 중공부에 가설되어, 상기 중공부에서 서로 교차한다. 또한, 상기 틀체와 상기 가교부는, 일체 성형된다.
실시형태의 일 태양에 의하면, 소성 지그 자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소성 지그 중 하나를 취출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에 나타내는 기대(基臺)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의 저면도.
도 3c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의 좌측면도.
도 3d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의 정면도.
도 4a는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세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
도 4b는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세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
도 5는 평균 기공경 및 기공경의 불균일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의 기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기대의 평면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의 기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기대의 평면도.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소성 지그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을 규정하고, Z축 정방향을 연직 상향 방향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성 지그(1)는, 기대(10)와, 세터(20)를 구비한 세라믹스질의 소성 지그이며, 세터(20)의 상면(20a)에 피소성물(A)이 재치(載置)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소성 지그(1)는, 예를 들면 복수단 적층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요로 내에 배치되어, 피소성물(A)이 소성된다.
또, 도 1에서는, 소성 지그(1)를 복수단 적층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단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소성 지그(1)를 3단 적층으로 했지만, 이것은 예시로서, 2단 또는 4단 이상이어도 된다.
그런데, 예를 들면 가령, 소성 지그가 복수의 구성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제작되어 있었을 경우, 소성 지그 자체의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4개의 지주에 복수의 연결봉을 장착하여 랙 형상으로 하고, 연결봉 상에 세터를 얹음으로써, 소성 지그를 제작하도록 했을 경우, 지주 등의 흔들거림 방지나 세터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높은 조립 정밀도가 요구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지주와 연결봉과의 조립 작업도 번잡하며, 결과적으로 소성 지그 자체의 생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하, 그 소성 지그(1)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복수의 소성 지그(1) 중 하나를 취출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에 나타내는 기대(1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b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10)의 저면도, 도 3c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10)의 좌측면도, 도 3d는 도 3a에 나타내는 기대(10)의 정면도이다.
도 2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성 지그(1)의 기대(10)는, 틀체(11)와, 복수(예를 들면 2개)의 가교부(12a, 12b)와,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지지부(13)를 구비한다. 또, 상기한 틀체(11)와 가교부(12a, 12b)와 지지부(13)는, 일체 성형되지만, 이것에 대해서는 후에 상설한다.
틀체(11)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 측에 중공부(14)를 갖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틀체(11)에 있어서, 상면(11a) 측의 공간과 하면(11b) 측의 공간이 중공부(14)를 개재(介在)하여 연통된다.
또한, 틀체(11)는, 도 3c,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박판상이 된다. 이와 같이, 틀체(11)가 중공부(14)를 가짐과 함께, 박판상이 됨으로써, 틀체(11), 나아가서는 소성 지그(1) 자체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
틀체(11)의 평면시에 있어서의 각 변은,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의 지면에 있어서 좌측의 변(11L)과 우측의 변(11R)은,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되고, 상측의 변(11U)과 하측의 변(11D)은,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된다. 또, 이 명세서에 있어서 「평행」 등의 어구는, 반드시 수학적으로 엄밀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며 실질적인 공차나 오차 등에 대해서는 허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틀체(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정방형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가교부(12a, 12b)는 각각, 틀체(11)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됨과 함께, 틀체(11)의 중공부(14)에 가설되도록 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교부(12a)는, 틀체(11)의 변(11L)의 중점 부근과 변(11R)의 중점 부근을 연결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된다. 또한, 가교부(12b)는, 틀체(11)의 변(11U)의 중점 부근과 변(11D)의 중점 부근을 연결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이 된다.
가교부(12a, 12b)는, 상기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십자상이 되고, 틀체(11)의 중공부(14)에서 서로 교차하는, 환언하면, 평면시에 있어서의 틀체(11)의 중심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또, 상기한 가교부(12a)와 가교부(12b)가 교차하는 부위를, 도면에 있어서 부호 15로 나타냄과 함께, 이하에서는 「교차 부위(15)」라고 한다.
또한, 소성 지그(1)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 시의 소성 공정에 있어서 세터(20)의 변형이나 피소성물(A)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교부(12a, 12b)가 배치된다. 세터(20)의 변형의 경우, 중앙부를 가교부(12a, 12b)에서 지지한 편이, 변형을 보다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교부(12a, 12b)는 중앙부에 배치된 편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가교부(12a, 12b)는, 십자상이 되도록 배치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부(12a) 및 가교부(12b)는,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틀체(11)와 대략 동일한 박판상이 된다. 또한, 가교부(12a)의 상면(12a1), 가교부(12b)의 상면(12b1), 및 틀체(11)의 상면(11a)은, 연속하는 평탄면이며, XY 평면에 대하여 평행이 된다. 이에 따라,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 및 틀체(11)의 상면(11a)에 세터(20)가 재치되었을 경우, 세터(20)가 흔들거리지 않고, 세터(20)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가교부(12a)와 가교부(12b)가,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되므로, 틀체(11)의 중공부(14)는, 복수(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개)로 구획되는 것이 된다. 도면에 있어서는, 가교부(12a, 12b)에 의해 구획된 중공부(14)를 부호 14a, 14b, 14c, 14d로 나타냈다.
도 3a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에 있어서, 중공부(14a, 14b, 14c, 14d)의 각(角)부분과 접하는 부위에는, 둥글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복수의 중공부(14a, 14b, 14c, 14d)는 각각, 평면시에 있어서 각부가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만곡시킨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소성 지그(1)를 제작하는 과정(성형 시 등),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응력(기계적 응력이나 열적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고, 따라서 크랙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중공부(14a, 14b, 14c, 14d)는, 소성 지그(1)의 경량화 및 후술하는 열풍의 이동, 탈바인더의 효율화의 면에서, XY 평면에 있어서의 면적을 크게 한 편이 좋다. 단, 중공부(14a, 14b, 14c, 14d)의 면적을 크게 하면, 그것에 따라, 좌측의 변(11L)을 포함하는 단연(端緣)의 폭(W11L), 우측의 변(11R)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R), 상측의 변(11U)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U), 하측의 변(11D)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D), 가교부(12a)의 폭(W12a), 가교부(12b)의 폭(W12b)은 좁아진다.
세터(20) 및 피소성물(A)의 하중은,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에서 지지되므로, 이들이 너무 좁아지면, 사용 시에 휨이 생기고, 흔들거림이 발생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중공부(14a, 14b, 14c, 14d)의 크기와 틀체(11), 가교부(12a, 12b)의 폭은, 그것에 얹혀지는 세터(20) 및 소성물A의 하중에 의해, 적의 조정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11)에 있어서, 좌측의 변(11L)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L)과, 우측의 변(11R)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R)과, 상측의 변(11U)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U)과, 하측의 변(11D)을 포함하는 단연의 폭(W11D)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가교부(12a)의 폭(W12a)과, 가교부(12b)의 폭(W12b)은,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틀체(11)의 각 단연의 폭(W11L, W11R, W11U, W11D)과, 가교부(12a, 12b)의 폭(W12a, W12b)도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값이 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틀체(11)의 각 단연 및 가교부(12a, 12b)는 함께, 폭이 균일 또는 대략 균일하며, 도중에 폭넓음으로 되거나 폭좁음으로 되거나 하는 형상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소성 지그(1)를 제작하는 과정(성형 시 등)에 있어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하는 것을 한층 더 완화할 수 있고, 따라서 크랙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교부(12a, 12b)의 일부분이 폭좁음으로 되어 있을 경우, 사용 시에 세터(20)와 피소성물(A)의 하중이 가교부(12a, 12b)에 걸리기 때문에, 폭좁음의 부분만이 하중에 견딜 수 없고, 그 부분을 중심으로 번형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가교부(12a, 12b)의 폭은 균일 또는 대략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3)는, 도 3b∼도 3d 등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11)의 하면(11b)의 네 귀퉁이 부근에 각각 마련되고, 하면(11b)으로부터 Z축의 부방향에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13)는, 틀체(11)를 하면(11b) 측으로부터 지지함과 함께, 기대(10)의 족부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지지부(13)의 Z축 방향의 높이를 적의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소성 지그(1)를 적층하는 경우, 연직 방향에 인접하는 틀체(11)의 사이에, 세터(20)나 피소성물(A)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는, 틀체(11)의 변(11U) 또는 변(11D)에 따라 형성된다. 또, 지지부(13)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지지부(13)를, 틀체(11)의 변(11L, 11R)에 따라 형성해도 되며, 또한 네 귀퉁이의 변에 따르도록 하여 저면시(底面視) 대략 L자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지지부(13)를, 틀체(11)의 네 귀퉁이의 것에 더하여, 또는, 네 귀퉁이의 것 대신에, 각 변(11U, 11D, 11L, 11R)의 적당한 위치, 예를 들면 변(11U, 11D, 11L, 11R) 중 적어도 어느 변의 중점 부근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지부(13)의 수를, 상기에서는 4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하, 혹은 5개 이상이어도 된다.
지지부(13)는, 도 3d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시(側面視)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X방향의 폭이 틀체(11)의 하면(11b)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에 따라 작아지는, 소위 테이퍼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3)를 테이퍼상으로 함으로써, 지지부(13)의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도시 생략)에 빼기구배가 마련되고, 따라서 기대(10)를 프레스 성형(후술)한 후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빼기구배는, 예를 들면 5° 이상 있으면 되며,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다. 빼기구배가 5°보다 작은 경우에는, 프레스 성형한 후, 성형체를 꺼낼 때에, 지지부(13)가 금형으로부터 이형하지 않는 등의, 성형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틀체(11)의 상면(11a)에는, 예를 들면 소성 지그(1)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단 적층되어, 복수의 틀체(11)가 적층되는 경우에 연직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된 틀체(11)의 지지부(13)를 받는 받이부(16)가 형성된다.
받이부(16)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13)에 대응하는 위치, 구체적으로는 틀체(11)의 상면(11a)의 네 귀퉁이 부근에 각각 마련된다. 받이부(16)는, 틀체(11)의 상면(11a)으로부터 Z축의 부방향에 소정 깊이만큼 파인 구멍이며, 지지부(13)가 재치 가능한 형상이 된다. 또한, 받이부(16)인 구멍의 측벽에 있어서, 틀체(11)의 외주 측의 측벽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틀체(11)의 상면(11a)에 다른 틀체(11)의 지지부(13)를 받는 받이부(16)를 마련하므로, 소성 지그(1)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면서 적층할 수 있고, 또한 적층된 소성 지그(1)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와 받이부(16)가 접촉하는 면적, 즉 지지부(13)의 XY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적은, 40㎟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지지부(13)는 받이부(16)와의 마모에 의해 줄어 가지만, 단면적이 40㎟보다 작은 경우, 마모량이 현저하게 크고, 흔들거림이 발생하여,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단면적이 커지면, 마모량이 감소하므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한은 특히 없지만, 지지부(13)의 단면적을 너무 크게 하면, 세터(20) 및 피소성물(A)을 얹을 스페이스가 감소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따라서 상한은 예를 들면 400㎟ 정도이다.
또한, 지지부(13)의 두께(Y축 방향의 길이)는, 2㎜∼1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한 것은 3∼7㎜이다. 지지부(13)의 두께가 2㎜보다 작은 경우, 프레스 성형으로 성형한 후 지지부(13)를 이형시키는 것이 곤란하며, 지지부(13)로서의 강도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지지부(13)의 두께가 10㎜보다 큰 경우, 세터(20) 및 피소성물(A)을 얹을 스페이스가 감소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틀체(11), 가교부(12a, 12b) 및 지지부(13)는, 일체 성형되는, 상세하게는 내화물로 일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분상 또는 점토상의 내화물을 도시하지 않은 금형에 유입하여 가압하는, 소위 프레스 성형에 의해, 틀체(11), 가교부(12a, 12b) 및 지지부(13)가 일체로 형성된 기대(10)가 완성된다. 내화물은, 예를 들면 알루미나,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코디어라이트, 스피넬, 탄화규소, 질화규소,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이며, 비교적 고온(예를 들면 1500℃ 이하)에 견디는 것이 가능한 소재이다.
이와 같이, 소성 지그(1)를 구성하는 틀체(11), 가교부(12a, 12b) 및 지지부(13)가, 일체 성형되므로, 소성 지그(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따라서 복수의 구성 부재를 조립하여 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소성 지그(1) 자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틀체(11), 가교부(12a, 12b) 및 지지부(13)가, 내화물로 성형되므로, 기대(10)를 경량화할 수 있고, 내열 충격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화물은 일반적으로 제조 시의 치수 수축이 작기 때문에, 치수 정밀도를 내기 쉽고, 소성 후의 가공이 없어도, 흔들거림을 작게할 수 있다.
이어서, 세터(20)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터(20)는, 틀체(11)의 상면(11a) 및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재치된다. 세터(20)는, 평면시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틀체(11)나 가교부(12a, 12b)의 그것보다도 얇은 박판상이 된다. 이에 따라, 세터(2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가령, 세터를 박판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세터의 외주만을 틀체에서 유지하는 것 같은 구성으로 했을 경우, 소성 공정이 행해지는 환경에 따라서는, 세터는, 중앙 부근이 연직 방향 하향에 돌출하도록 만곡하여, 변형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세터가 변형하면, 세터에 재치된 피소성물에도 변형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틀체(11)의 중공부(14)에, 서로 교차하는 가교부(12a, 12b)를 가설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세터(20)는, 예를 들면 중앙 부근이 가교부(12a, 12b)의 교차 부위(15)에 의해 유지되므로, 소성 공정에 있어서 세터(20)의 변형이나 피소성물(A)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터(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11)의 상면(11a) 및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가교부(12a, 12b)는 도 1에서 보이지 않음)에 재치된 상태에서, 틀체(11)의 받이부(16)가 노출할 만큼의 크기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소성 지그(1)가 적층되는 경우여도, 노출한 받이부(16)에서 지지부(13)를 받을 수 있음과 함께, 세터(20)와 지지부(13)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터(20)는, 예를 들면 내화물로부터 제작된다. 또한, 세터(20)용으로서, 예를 들면 입자경이 균일한 내화물을 사용하면, 세터(20)에 통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성 공정에 있어서, 요로 내의 열풍이, 세터(20)를 통하여 피소성물(A)의 하면 측에도 도달하게 되고, 피소성물(A)의 소성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세터(20)가 통기성을 가짐으로써, 탈바인더일 때에, 피소성물(A)로부터 바인더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세터(20)는, 내화물인 세라믹스에 많은 기공이 형성된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4a는,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세터(20)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또, 도 4a에 있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세터(20)의 Z축 방향의 두께나 기공(21)의 크기 등을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터(20)를 구성하는 다공질 세라믹스는, 기공(21)이 주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기공(21)의 평균 어스펙트비가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평균 어스펙트비를 갖는 기공(21)은, 예를 들면, 세터(20)에 있어서 서로 마주 보는 한쪽의 면(하면(20b))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상면(20a))을 향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세터(20)에 있어서의 기공(21)은, 기대(10)와 접하는 하면(20b)으로부터 피소성물(A)이 재치되는 상면(20a)에 향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Z축 방향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소성 공정에 있어서, 요로 내의 열풍이, 도 4a에 화살표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터(20) 내를 통과하여 피소성물(A)의 하면 측에도 도달하기 쉬워지므로, 피소성물(A)의 소성을 한층 더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B와 같이 세터(20)가 통기성을 가짐으로써, 탈바인더일 때에도, 피소성물(A)로부터 바인더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세터(2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즉, 세터(20)는, 탈바인더 공정에서 피소성물(A)과 반응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면(20a) 등이 도시하지 않은 난반응성의 막으로 피복되는 경우가 있다. 세터(20)가 상기와 같이 통기성을 갖도록 구성되면, 피소성물(A)의 바인더는 세터(20)를 통과하기 쉬워지므로, 막과 바인더가 접촉하기 어려워져서 막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세터(2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공질 세라믹스는, 기공경의 불균일이 130%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85% 이하이다. 기공경의 불균일이 130%를 초과하면, 예를 들면, 조대(粗大)한 기공을 포함함으로써 국소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낮은 개소가 생기고, 취급상의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기공경의 불균일을 130%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기공경이 1㎛∼500㎛인 것이 피소성물(A)의 소성 등을 행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102㎛이다.
또한, 상기한 다공질 세라믹의 기공률은, 50%∼99%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9%이다.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률이 50% 미만이면, 세터(20)의 통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률이 99%를 초과하면, 소망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이 명세서에 있어서의 「평균 어스펙트비」 등의 어구에 대해서 상설한다.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21)의 어스펙트비」는, 예를 들면 화상 해석에 의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기공(21)의 단면부를 촬상하고, 촬상한 단면부를 타원체로 근사하고, 면적, 장경 및 단경을 측정했을 때의 장경으로부터 단경을 나눈 값을 「기공(21)의 어스펙트비」라고 한다. 그리고, 임의로 선택한 50개의 기공(21)의 어스펙트비의 평균값을, 「기공(21)의 평균 어스펙트비」라고 규정한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스의 「평균 기공경」 및 「기공경의 불균일」은, 다음과 같이 하여 산출했다. 도 5는, 평균 기공경 및 기공경의 불균일의 측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세터(20)를 구성하는 다공질 세라믹스를, 폭a1×b1=15㎜×15㎜, 두께c=9㎜의 시료편T로 하여 중앙(α)과 단부(β, γ, δ, ε)의 계 5개소에서 각각 잘라냈다. 다음으로, 이 5개의 시료편에 대해서 각각 평균 기공경을 산출했다. 여기에서, 각 시료편의 「평균 기공경」이란, 접촉각 140도에서 수은 압입법을 사용하여 각 시료편에 대해서 각각 측정하고, 기공(21)을 원주 근사했을 때의 기공 분포에 의거하여 얻어진 메디안경(d50)을 말한다.
그리고, 각 평균 기공경 중, 최대값과 최소값과의 차를 구하고, 이 값((최대값)-(최소값))을 각 평균 기공경의 평균값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을 「기공경의 불균일」(%)이라고 했다. 또한, 시료편마다 얻어진 평균 기공경의 평균값을, 다공질 세라믹스의 「평균 기공경」으로 규정한다.
또한, 「기공률」이란, JISR1634:2008에 규정하는 방법에 의거하여,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얻어진 값을 말한다. 이러한 측정에서는, 폐기공은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 기공률」이라고도 불린다. 또, 이 명세서에서는, 「외관 기공률」을 「기공률」이라고 한다.
또, 상기에서는, 세터(20)가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다고 했지만,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가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가 상기의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경우, 기공은, 서로 마주 보는 한쪽의 면(예를 들면 하면(11b) 등)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예를 들면 상면(11a) 등)에 향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와 세터(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공질 세라믹스를 가지고 있으면 되며, 그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공질 세라믹스의 특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b는, 그 외의 예의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세터(20)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 단면도이다. 또, 도 4b에 있어서는, 도 4a와 같이, 세터(20)의 Z축 방향의 두께나 기공(22)의 크기 등을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b에 나타내는 예의 세터(20)를 구성하는 다공질 세라믹스는, 기공(22)이 랜덤한 방향에 형성되도록 3차원의 망목상으로 세라믹스 골격(23)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기공(22)이 「랜덤한 방향에 형성되는」이란, 기공(22)의 평균 어스펙트비가 1∼2, 바람직하게는 1∼1.4인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소성 공정에 있어서, 요로 내의 열풍이, 도 4b에 화살표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터(20) 내를 통과하여 피소성물(A)의 하면 측에도 도달하기 쉬워지므로, 피소성물(A)의 소성을 한층 더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C와 같이 세터(20)가 통기성을 가짐으로써, 피소성물(A)로부터 바인더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세터(20)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b의 세터(20)의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률은, 50%∼99%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9%이다.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률이 50% 미만이면, 세터(20)의 통기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다공질 세라믹스의 기공률이 99%를 초과하면, 소망의 강도를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도 4b의 예의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기공경이 10㎛∼300㎛인 것이 피소성물(A)의 소성 등을 행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또한, 도 4b의 예의 다공질 세라믹스는, 기공경의 불균일이 10% 이하이다. 기공(22)이 랜덤한 방향에 형성된 다공질 세라믹스에 있어서는, 기공경의 불균일이 10%를 초과하면, 예를 들면, 조대한 기공을 포함함으로써 국소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낮은 개소가 생기고, 취급상의 불량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기공경의 불균일을 10%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예의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휨강도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의 예의 다공질 세라믹스는, 내열 충격성이 4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이상이다. 평균 휨강도 및 내열 충격성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피소성물(A)의 소성 시에 있어서의 세터(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평균 휨강도」는, JISR1601:2008에 규정하는 3점 휨시험에 의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내열 충격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했다. 우선, 100㎜□×두께 3㎜의 시료와 동(同)사이즈의 연와질(煉瓦質)의 박판을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하에 대향하여 배치된 시료와 박판과의 사이에 복수의 지주를 배치하고, 시료 및 박판을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가압한다. 그 상태의 시료 등을 전기로에서 고온 가열하여 1시간 이상 소망의 온도로 유지한 후에, 전기로로부터 취출하여 실온에 노출하고, 육안으로 시료의 깨짐의 유무를 평가했다. 설정 온도를 350℃로부터 700℃까지 50℃씩 승온시키면서 변경하고, 깨짐이 생기지 않는 온도의 상한을 「내열 충격성」으로 했다.
상술해 온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소성 지그(1)는, 틀체(11)와, 복수의 가교부(12a, 12b)를 구비한다. 틀체(11)는, 중앙 측에 중공부(14)를 갖는다. 복수의 가교부(12a, 12b)는, 틀체(11)의 중공부(14)에 가설되어, 중공부(14)에서 서로 교차한다. 또한, 틀체(11)와 가교부(12a, 12b)는, 일체 성형된다. 이에 따라, 소성 지그(1) 자체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이 평탄면이 되도록 구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a에 있어서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통기홈(17)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통기홈(17)은, 예를 들면 가교부(12a, 12b)에 의해 구획된 중공부(14a, 14b, 14c, 14d)끼리를 연통하는, 정확하게는 중공부(14a와 14b), 중공부(14a와 14c), 중공부(14b와 14d), 중공부(14c와 14d)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요로 내의 열풍이, 도 3a에 화살표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홈(17)을 통하여, 세터(20)의 하면 부근을 순환하게 되므로, 세터(20)의 하면 측의 온도를 고온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세터(20)의 피소성물(A)을 효율 좋게 소성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통기홈(17)을 마련하도록 했지만, 그 대신에, 혹은 그것에 더해서 돌기를 마련하도록 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성 지그(1)에 있어서, 가교부(12a)와 가교부(12b)를 1개씩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복수개여도 된다. 즉, 가교부(12a)를 m개(m은 2 이상의 정수), 가교부(12b)를 n개(n은 2 이상의 정수)로서도 된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의 기대(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기대(10)의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가교부(12a)를 2개로 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가교부(12a, 12b)를 복수개로 함으로써, 세터(20)를 가교부(12a, 12b)에 의해 한층 더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성 지그(1)에 있어서, 가교부(12a, 12b)는, 길이 방향이 대향하는 틀체(11)의 변끼리를 연결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의 기대(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기대(10)의 평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교부(12c, 12d)를, 길이 방향이 틀체(11)의 대각선상이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가교부(12c, 12d)를 배치했을 경우여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공통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틀체(11)의 상면(11a)의 적의 위치, 예를 들면 상면(11a)에 있어서 변(11L) 측에, 복수개(2개)의 돌기부(30a)가 형성된다.
또, 돌기부(30a)는, 예를 들면 원주상이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각주상이나 반구상 등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30a)의 개수를 2개로 했지만, 이것은 예시로서, 1개 혹은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돌기부(30b, 30c)에 대해서도, 형상 및 개수는, 도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세터(20)에 있어서, 변(11L) 측의 외주에는, 돌기부(30a)와 대응하는 노치부(31a)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대(10)의 틀체(11)에 세터(20)를 재치할 때, 노치부(31a)를 돌기부(30a)에 맞추면서 재치함으로써, 세터(2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세터(20)가, 돌기부(30a)와 노치부(31a)가 합쳐진 상태에서, 기대(10)에 재치됨으로써, 세터(20)의 기대(10)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돌기부(30a)를 상면(11a)의 변(11L) 측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8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0a) 대신에, 혹은 돌기부(30a)에 더해서, 상면(11a)의 변(11R) 측에 돌기부(30b)를 형성해도 되며, 또한 상면(11a)의 변(11U)이나 변(11D) 측에 돌기부(30c)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한 돌기부(30b)나 돌기부(30c)를 형성했을 경우, 세터(20)의 외주에는, 돌기부(30b)와 대응하는 노치부(31b), 또는, 돌기부(30c)와 대응하는 노치부(31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세터(20)를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면서, 기대(10)에 재치할 수 있음과 함께, 세터(20)의 기대(10)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돌기부(30a)를 틀체(11)의 상면(11a)에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는 생략하지만, 돌기부(30a)를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30a)를, 틀체(11)의 상면(11a), 및,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의 양쪽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잔여의 구성 및 효과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9에 있어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받이부(16)의 도시를 생략했다.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틀체(11)의 상면(11a)의 적의 위치, 예를 들면 상면(11a)에 있어서 변(11L) 측과 변(11R) 측에 하나씩 오목부(40)가 형성된다.
한편, 세터(20)의 하면(20b)으로서, 오목부(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오목부(40)와 감합(嵌合)하는 볼록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대(10)의 틀체(11)에 세터(20)를 재치할 때, 볼록부(41)를 오목부(40)에 감합시키면서 재치함으로써, 세터(2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세터(20)가, 오목부(40)와 볼록부(41)가 감합한 상태에서, 세터(20)를 기대(10)에 재치함으로써, 세터(20)가 기대(10)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오목부(40)를 상면(11a)의 변(11L, 11R) 측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은 예시로서, 개수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오목부(40)를 상면(11a)의 변(11L, 11R)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해도 되며, 또한, 변(11U)이나 변(11D) 측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오목부(40)를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틀체(11) 측에 오목부(40)를, 세터(20) 측에 볼록부(41)를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 요철 관계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도 9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터(20)의 하면(20b)에 오목부(42)를 형성하고, 틀체(11)의 상면(11a)으로서 오목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42)와 감합하는 볼록부(43)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볼록부(43)를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세터(20) 측에 오목부(42)를, 틀체(11) 또는 가교부(12a, 12b) 측에 볼록부(43)를 형성했을 경우여도, 상기와 같이, 세터(2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틀체(11)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틀체(11) 및 가교부(12a, 12b)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11a, 12a1, 12b1), 및, 세터(20)의 하면(20b)의 한쪽에 오목부(40, 4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오목부(40, 42)와 감합하는 볼록부(41, 43)가 형성되도록 했다. 또, 잔여의 구성 및 효과는, 종전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
도 1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초점을 두고 설명하면,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소성 지그(1)에 있어서는, 틀체(11)의 상면(11a)의 적의 위치, 예를 들면 상면(11a)에 있어서 변(11L) 측에, 복수개(2개)의 규제부(50a)가 형성된다.
규제부(50a)는, 상면(11a)으로부터 Z축의 정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터(20)가 X축의 정측으로부터 부측을 향하여 이동되면서 기대(10)에 재치되는 경우, 세터(20)의 외주가 규제부(50a)에 당접하면, 규제부(50a)는, 스토퍼로서 기능하고, 세터(20)의 그 이상의 이동(여기에서는 X축의 부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세터(20)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세터(20)의 틀체(11)에 대한 위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규제부(50a)를,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시 대략 직사각 형상이 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원주상이나 반구상 등 그 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규제부(50a)의 개수를 2개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규제부(50a)를 상면(11a)의 변(11L) 측에 마련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규제부(50a) 대신에, 또는 규제부(50a)에 더해, 도 10에 상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11a)의 변(11R) 측에 규제부(50b)를 형성해도 되며, 또한 상면(11a)의 변(11U)이나 변(11D) 측에 규제부(50c)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규제부(50a)를 틀체(11)의 상면(11a)에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시는 생략하지만, 규제부(50a)를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규제부(50a)를, 틀체(11)의 상면(11a), 및, 가교부(12a, 12b)의 상면(12a1, 12b1)의 양쪽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잔여의 구성 및 효과는, 종전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추가적인 효과나 변형예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보다 광범한 태양은, 이상과 같이 나타내고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소성 지그
10 기대
11 틀체
12a, 12b, 12c, 12d 가교부
13 지지부
14 중공부
15 교차 부위
16 받이부
17 통기홈
20 세터
21, 22 기공
30a, 30b, 30c 돌기부
31a, 31b, 31c 노치부
40, 42 오목부
41, 43 볼록부
50a, 50b, 50c 규제부
A 피소성물

Claims (15)

  1. 중앙 측에 중공부를 갖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상기 중공부에 가설되어, 상기 중공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가교부와,
    상기 틀체의 하면에 일체 성형되어, 상기 틀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틀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틀체가 적층되는 경우에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방에 위치된 상기 틀체의 상기 지지부를 받는 받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와 상기 가교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측면시에 있어서 폭이 상기 틀체의 하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에 따라 작아지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이부는,
    상기 틀체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파인 구멍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와 상기 가교부는,
    내화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재치(載置)되는 세터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돌기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세터의 외주에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노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재치되는 세터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 및, 상기 세터의 하면의 한쪽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오목부와 감합(嵌合)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상기 가교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중공부끼리를 연통하는 통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재치되는 세터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면에, 상기 세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재치되는 세터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와 상기 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공의 평균 어스펙트비가 2.0 이상이며, 상기 기공이, 서로 마주 보는 한쪽의 면으로부터 다른 쪽의 면을 향하여 한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형성되는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기공경이 1∼500㎛이며, 기공률이 50∼99%이며, 기공경의 불균일이 1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의 상면에 재치되는 세터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 및 상기 가교부와 상기 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공률이 50%∼99%이며, 기공의 평균 어스펙트비가 1∼2인 다공질 세라믹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휨강도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라믹스는,
    내열 충격성이 4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기공경의 불균일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세라믹스는,
    평균 기공경이 1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성 지그.
KR1020157036611A 2013-07-16 2014-02-25 소성 지그 KR101766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7865 2013-07-16
JPJP-P-2013-147865 2013-07-16
PCT/JP2014/054547 WO2015008503A1 (ja) 2013-07-16 2014-02-25 焼成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282A KR20160015282A (ko) 2016-02-12
KR101766276B1 true KR101766276B1 (ko) 2017-08-08

Family

ID=523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611A KR101766276B1 (ko) 2013-07-16 2014-02-25 소성 지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74454B2 (ko)
KR (1) KR101766276B1 (ko)
CN (2) CN105339750A (ko)
TW (1) TWI555960B (ko)
WO (1) WO2015008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0228A (zh) * 2016-12-30 2017-05-03 苏州沃诺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电子材料烧成炉板具
JP2019099877A (ja) * 2017-12-05 2019-06-2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高融点金属体の製造方法、真空加熱装置及び多孔質台座
JP7307578B2 (ja) * 2019-03-29 2023-07-12 日本碍子株式会社 焼成治具
JP7285271B2 (ja) * 2019-08-16 2023-06-01 日本碍子株式会社 焼成用ラック及び焼成用治具
WO2022123809A1 (ja) * 2020-12-10 2022-06-16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焼成治具
KR102520998B1 (ko) * 2022-09-16 2023-04-12 주식회사 알디솔루션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WO2024058605A1 (ko) * 2022-09-16 2024-03-21 주식회사 알디솔루션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WO2024064198A1 (en) * 2022-09-22 2024-03-28 Blasch Precision Ceramics, Inc. Hybrid setter for investment casting cores and method of u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269A (ja) * 1998-09-30 2000-04-18 Toshiba Ceramics Co Ltd 焼成用治具
JP2004317009A (ja) * 2003-04-15 2004-11-11 Tokyo Yogyo Co Ltd 焼成用補助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000U (ko) * 1986-08-25 1988-03-07
JP2723636B2 (ja) 1989-11-20 1998-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682167A (ja) * 1991-03-01 1994-03-22 Nippon Mozaiku Tile Kk タイルの焼成方法および焼成用匣鉢
JPH0920566A (ja) * 1995-07-06 1997-01-21 Kanebo Ltd 焼成用治具
JPH11304371A (ja) * 1998-02-20 1999-11-05 Maruju:Kk 焼成用ラック
JP4443783B2 (ja) * 2001-03-06 2010-03-31 イソライト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焼成用セッター
JP4181809B2 (ja) * 2002-07-22 2008-11-19 井前工業株式会社 焼成用セッター
JP2008038194A (ja) * 2006-08-04 2008-02-21 Denso Corp 熱処理用治具
CN201305557Y (zh) * 2008-12-12 2009-09-09 北京创导工业陶瓷有限公司 烧制陶瓷用的支架
CN201867074U (zh) * 2010-11-10 2011-06-15 王国红 快速烧成节能窑车
CN102445073A (zh) * 2011-12-30 2012-05-09 江苏三恒高技术窑具有限公司 一种电子工业元件及材料焙烧推板窑用的防窑具侧移推板
CN102445074A (zh) * 2011-12-30 2012-05-09 江苏三恒高技术窑具有限公司 一种电子材料焙烧用带孔推板
CN202885562U (zh) * 2012-10-29 2013-04-17 宜兴市宜刚精密陶瓷有限公司 烧制大尺寸薄片陶瓷的承烧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269A (ja) * 1998-09-30 2000-04-18 Toshiba Ceramics Co Ltd 焼成用治具
JP2004317009A (ja) * 2003-04-15 2004-11-11 Tokyo Yogyo Co Ltd 焼成用補助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8668A (zh) 2015-05-16
TWI555960B (zh) 2016-11-01
JP6274454B2 (ja) 2018-02-07
JPWO2015008503A1 (ja) 2017-03-02
KR20160015282A (ko) 2016-02-12
CN110081708A (zh) 2019-08-02
WO2015008503A1 (ja) 2015-01-22
CN105339750A (zh)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276B1 (ko) 소성 지그
US9279618B2 (en) Kiln tool plate for firing ceramic material
US7971864B2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for columnar structure
KR20130130676A (ko) 소성용 랙
JP5103346B2 (ja) セラミ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部材の製造方法
JP6735334B2 (ja) 焼成用トチ、及び焼成用トチを用いた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4053147A (ja) 焼成用セッター
JP2008254962A (ja) セッターの平坦化処理方法
CN215063756U (zh) 生瓷片烧结辅助治具
JP6378155B2 (ja) 熱処理用棚
EP3061583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neycomb structure, and honeycomb formed body
CN101921115B (zh) 光学部件保持构件及其制造方法
KR20050115241A (ko) 액정 패널용 노광 장치 및 노광 장치
CN103293866B (zh) 一种光刻机高模态轻质量承片台
KR101359294B1 (ko)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JP2017080899A (ja) 高平面度構造体
KR101179336B1 (ko) 세라믹 기판의 소성용 버퍼시트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의 제조방법
CN110824692A (zh) 反射镜和反射镜基底及用于其生产的方法和装置
WO2009093690A1 (ja) ハニカム成形体の焼成方法
JP2006199521A (ja) 焼成台およびそれを用いた焼成方法
JP5763040B2 (ja)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ハニカム乾燥体の仕上げ加工装置
JP2006327901A (ja) セラミック焼結体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焼成用治具
JPH10227579A (ja) 窯炉棚板用支柱
US20060263735A1 (en) Firing setter
US2016015969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ramic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