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98B1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Google Patents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0998B1 KR102520998B1 KR1020220117273A KR20220117273A KR102520998B1 KR 102520998 B1 KR102520998 B1 KR 102520998B1 KR 1020220117273 A KR1020220117273 A KR 1020220117273A KR 20220117273 A KR20220117273 A KR 20220117273A KR 102520998 B1 KR102520998 B1 KR 1025209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torage unit
- waste battery
- mesh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926 waste battery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97 pyro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79 heat-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4—Sintering pots or sintering p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F27D5/0068—Contain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부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대상물과 동반 투입되는 보관부로서, 보관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내부에서 대상물과 접하는 메쉬부를 포함하고,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기지정된 가스는 보관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배터리의 열처리를 위한 가스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폐배터리를 대상으로 하는 대량의 열처리가 가능하며, 복수의 종류를 갖는 폐배터리를 일괄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Saggar)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건식 분리 기술 및 수직 열처리 및 소성로 구조가 반영된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투입되어 대상물을 용이하게 열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되,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하고 유해물질의 발생 및 비산을 방지하고, 투입, 이동 및 배출 과정에서 정위치 배치 및 이동될 수 있도록 고안된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을 사용한 배터리는 다양한 산업환경과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사용 후 폐기되는 배터리는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한정된 자원에서의 배터리를 구성하는 핵심소재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여 지속 가능성을 개선해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한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이에 폐배터리를 대상으로 적정 환원성 가스 분위기를 폐배터리 주위에 제공하고 가열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대량처리 가능한 건식제련 공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건식제련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폐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개발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폐배터리 보관 및 소성로 투입을 위한 수단(이하 내화갑)은 내열성 재질을 갖고 내부에 폐배터리를 수납한 상태로 소성로에 투입되는 것으로서, 소성로 내의 고온 환경을 버틸 수 있는 소재 및 형상으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내화갑은 보관된 폐배터리로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소성로 내에서의 안정적인 이동이 보장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배터리의 열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내화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폐배터리의 재활용 과정에서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폐배터리의 열처리를 위해 투입되는 분위기 가스가 용이하게 폐배터리에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폐배터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폐배터리를 일괄 및 대량 열처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부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대상물과 동반 투입되는 보관부로서, 보관부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내부에서 대상물과 접하는 메쉬부를 포함하고,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기지정된 가스는 보관부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부는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제1결합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으며, 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통공을 더 포함하고, 기지정된 가스는 제1통공을 통과하고,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구비된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과 계합되도록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단 가이드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보관부는 메쉬부에 상측 형성되는 상단 계합부 및 메쉬부에 하측 형성되는 하단 계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둘 이상의 바디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시, 상단 계합부는 메쉬부 또는 하단 계합부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부는 상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 및 하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바디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시, 제1접촉부가 제2접촉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단 계합부 및 하단 계합부가 서로 계합된다.
또한, 보관부는 바디부에 관통 형성되는 제1통공,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단 가이드홈, 메쉬부에 상측 형성되는 상단 계합부, 메쉬부에 하측 형성되는 하단 계합부, 상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 및 하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보관부는 메쉬부에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제2통공을 더 포함하고, 기지정된 가스는 상기 제2통공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부가 투입되는 작업부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고정부가 복수의 제1결합부의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보관부의 위치가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보관부는 메쉬부에 형성되어 제2통공이 형성된 구역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나눔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폐배터리를 가열하기 위해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폐배터리를 정위치 및 이동시킬 수 있어, 폐배터리가 과도하게 열화되거나 유해물질이 의도하지 않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고온 및 고압의 환경에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에 따라 편의성 및 안전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을 통해 폐배터리의 열처리를 위한 가스의 투입을 원활하게 하여, 열처리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을 통해 폐배터리를 대상으로 하는 대량 가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보관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가 제1가이드부에 의해 정위치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보관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가 제1가이드부에 의해 정위치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대상물"은 폐배터리로서,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일부 분쇄된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을 사용하여 폐배터리를 재활용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에 근접한 사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20)에 형성되는 각 구성들의 유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구성되며, 각각의 실시예는 자유롭게 혼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가 삽입되는 작업부는 폐배터리로 구비되는 대상물이 포함된 보관부를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작업부는 상하 방향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히팅부, 내화부 및 온도 측정부(124)가 배치된 상태에서 대상물 및 보관부(20)가 일괄 가열되도록 유도한다. 또한, 작업부는 제1작업부, 제2작업부 및 제3작업부로 구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배출부로부터 투입되는 기지정된 가스를 공급받아 대상물을 열처리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작업부는 보관부(20)를 대상으로 예열을 실시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작업부는 제1내부온도가 조성되며, 하측 방향에는 제2작업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작업부 및 제2작업부는 서로 연결된다. 제2작업부는 제1작업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2내부온도를 갖음에 따라, 보관부(20)를 2차 가열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제2작업부는 제1작업부 및 제3작업부와 각각 연결된다. 제3작업부는 제2작업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제3내부온도로 보관부(20)를 3차 가열하는 공정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작업부에서 대상물 및 보관부(20)의 예열이 수행되고 제2작업부에서 대상물 및 보관부(20)에 관한 본격적인 소성이 실시될 시, 선술한 제2내부온도는 제1내부온도 및 제3내부온도보다 크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1내부온도 내지 제3내부온도의 상대적 높낮이는 제1작업부 내지 제3작업부에서 진행되는 대상물의 열처리 용도가 변경될 시 가변될 수도 있다.
히팅부는 작업부에 내설되어 대상물 및 보관부(20)를 가열하는 수단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을 용융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히팅부는 고온으로의 발열이 가능한 SIC 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히팅부는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로 구성되어, 제1작업부, 제2작업부 및 제3작업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는 후술할 제어부에 의해 독립 또는 일체 구동하여 제1내부온도, 제2내부온도 및 제3내부온도로 대상물 및 보관부(2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은 복수 개로 구성되되, 작업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팅부의 사용량을 절감함과 동시에 균일한 제1내부온도, 제2내부온도 및 제3내부온도의 조성이 가능하다.
내화부는 작업부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대상물로부터 히팅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급격한 내부온도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내화부는 히팅부를 감싸거나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내화부는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를 대상으로 구비되며, 배치 위치에 따라 제1내화부, 제2내화부 및 제3내화부로 구성된다.
제1내화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히팅부의 내측 방향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1내화부는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를 대상으로 제1작업부, 제2작업부 및 제3작업부의 중심축을 향하는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즉, 제1내화부는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의 내측 방향을 향하는 부위와 대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대상물의 가열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해 히팅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내화부는 선술한 제1내화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되,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일례로, 제1히팅부 내지 제3히팅부가 호 단면을 가질 경우, 제2내화부의 단면은 상기 원호 단면이 감싸지도록 수용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내화부는 모든 방향에서 유입되는 이물질로부터의 열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복사열에 의한 열화도 방지할 수 있다.
제3내화부는 선술한 제1내화부 및 제2내화부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되, 제1히팅부, 제2히팅부 및 제3히팅부의 외측 방향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작업부의 중심축으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제1내화부, 히팅부, 제2내화부 및 제3내화부가 순차 배치되는 수평 단면 배치 구도를 갖는다.
배출부는 작업부로부터 대상물을 인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작업부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투입부, 작업부 및 배출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직 가열 구조를 갖으며, 이는 종래의 수평 가열 구조와 비교했을 때 대상물 및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가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배출부에서는 대상물의 가열을 위한 가스가 초기 투입되고, 상기 가스(기지정된 가스)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상물의 소성을 유도한 후 투입부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배출부는 대상물을 인출하기 위한 상하 이동부, 기지정된 가스를 투입하는 가스 공급부,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제2개폐부, 제2개폐부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환기하는 제2가스배출부 및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부(2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관부(20)는 대상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보다 용이한 가열 등의 가공이 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보관부(20)는 원틀 형태의 외형을 갖고 내부에 대상물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보관부(20)는 원형 테 형상을 갖음으로써, 사각형 등 다각 테 형상을 갖는 종래의 사가(saggar)와 비교했을 때 두개의 면 부분이 접하는 꼭지점 부분에 열이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바디부(21)는 대상물을 포집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메쉬부(22) 및 대상물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조성되며, 상측 방향에서 투입된 대상물은 하면이 바디부(21)의 내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21)와 일체 가열된다. 또한, 바디부(21)에는 복수의 제1통공(21c)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통공(21c)은 바디부(21)의 중심축으로부터 원형 배열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결합부(21a) 및 제2결합부(21b)는 바디부(21)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또다른 바디부(21)와의 계합을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21a)는 바디부(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양각 형성되고, 제2결합부(21b)는 상기 제1결합부(21a)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하여 바디부(21)의 하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결합부(21a)는 고점이 상측을 향하는 쐐기가 바디부(21)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집합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결합부(21a)가 톱니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바디부(21) 간 결속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메쉬부(22)는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는 가열 과정에서 보다 높은 가열 효율을 갖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메쉬부(22)는 바디부(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격자 형태로 개구 형성된 망 형태로 구성된다. 메쉬부(22)는 대상물과 접한 상태에서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되는 기지정된 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대상물을 열처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또한, 메쉬부(22)는 판 형태로 구성되되 복수의 통공(제2통공(22a))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대상물의 배치 안착도를 높임과 동시에 기기정된 가스의 유입률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쉬부(22)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의 개수 및 배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2a와 같이 외부에서 투입되는 기지정된 가스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고, 가열되기 위한 대상물의 종류를 구분 및 다양화하기 위한 메쉬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b와 같이 일괄적으로 가열되는 대상물의 종류를 보다 한정하면서도 가열되는 대상물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메쉬부(2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와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는 상하 방향에 위치한 또다른 보관부와 접하여 견고하게 지지되기 위한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를 더 포함하며, 선술한 제1통공(21c) 또는 제2통공(22a)는 포함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는 서로 접촉함으로써 복수의 보관부(20) 간의 체결 및 지지를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는 메쉬부(22)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 계합부(24)의 상단 및 하단 계합부(25)의 하단은 서로 접촉이 가능하도록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보관부(20) 중 상측의 보관부(20)에 형성된 하단 계합부(25) 및 하측의 보관부(20)에 형성된 상단 계합부(24)가 서로 면접촉을 이룬다.
상단 계합부(24)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끝단의 높이는 선술한 제1결합부(21a)의 끝단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21a) 및 제2결합부(21b)가 계합되는 상하 방향으로의 한 쌍의 보관부(20)는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의 접촉에 따라 이중으로 지지력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제1결합부(21a)의 사이로 고정부(160)가 삽입될 시, 바디부(21) 및 고정부(160)의 사이로 기지정된 가스가 용이하게 투입되어, 열효율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른 보관부(20)는 도 3에 따른 보관부(20)와 비교했을 때 제1접촉부(24a) 및 제2접촉부(2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촉부(24a) 및 제2접촉부(25a)를 통해 보관부(20) 간 지지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1접촉부(24a) 및 제2접촉부(25a)는 각각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에 형성된다.
제1접촉부(24a)는 상단 계합부(24)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반구, 다면체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고, 제2접촉부(25a)는 하단 계합부(25)로부터 제1접촉부(24a)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음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가 서로 접하도록 한 쌍의 보관부(2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시, 제1접촉부(24a)는 제2접촉부(25a)에 삽입된다. 따라서, 선술한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 간 면접촉 및 제1접촉부(24a) 및 제2접촉부(25a) 간 삽입 구조에 기반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접촉부(24a)가 제2접촉부(25a)에 삽입되도록 한 쌍의 보관부(20)가 배치됨에 따라, 정위치로의 배치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예에 동일 적용될 수 있는 하단 가이드홈(25b)은 보관부(20)가 정위치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안되는 구성으로서, 보관부(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하단 가이드홈(25b)은 작업부에 보관부를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부에 형성되어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가이드부(111b) 및 제2가이드부(112b-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고, 바디부(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단 가이드홈(25b)은 복수의 방향을 향하도록 바디부(21)에 둘 이상 음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일례로, 하단 가이드홈(25b)은 네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하단 가이드홈(25b)을 포함하는 보관부(20)는 제1가이드부(111b) 또는 제2가이드부(112b-1)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에 따른 실시예 대비 제1통공(21c)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통공(21c)은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제1통공(21c)은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된 보관부(20)를 대상으로 열처리를 유도하는 가스가 바디부(21)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통공(21c)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바디부(21)의 외주면 및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통공(21c)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바디부(2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바디부(21) 및 메쉬부(22)에 각각 형성된 제1통공(21c) 및 제2통공(22a)을 통해, 외부의 기지정된 가스가 보관부(20)의 보다 용이하게 투입 및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조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관부(20)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는 열처리 효율을 현저히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20)가 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부(20)가 고정부(160)에 의해 고정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관부(20)를 가열하기 위한 작업부의 하측 방향에는 고정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60)는 대상물이 포함되어 일체 가열되는 보관부(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의도하지 않게 변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160)는 작업부의 내부에서 보관부(2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면이 상기 보관부(20)의 하면과 접하는 구조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보다 견고한 보관부(20)의 높이 고정을 위해, 고정부(16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작업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60)는 보관부(20)의 상측 방향에 추가 구비되어 배치됨으로써, 상측 방향에 위치한 또다른 보관부(20)에 관한 높이 고정을 유도할 수 있다. 보다 용이한 기지정된 가스의 투입 및 보관부(20) 내 공기 순환 구조를 조성하기 위해, 삽입 판부(16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판부(161)는 제1유입공(161a), 제2유입공(161b) 및 고정 보조부(161c)를 더 포함한다.
삽입 판부(161)는 보관부(20)의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보관부(2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삽입 판부(161)는 작업부에 내설되되, 작업부의 중심축에 근접하도록 인출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삽입 판부(161)는 보관부(20)의 하면과 접하거나, 상기 보관부(20)에 형성된 복수의 제1결합부(21a)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보관부(20)는 상하 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유입공(161a) 및 제2유입공(161b)은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된 기지정된 가스가 보관부(20)의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제1유입공(161a) 및 제2유입공(161b)은 삽입 판부(161)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 판부(1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삽입 판부(161)는 상하 방향으로 일부분이 단턱을 갖는 단면 구조를 갖는다.
배출부에서 작업부로 이동된 기지정된 가스는 보관부(20)를 향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삽입 판부(161)에 형성된 제1유입공(161a) 및 제2유입공(161b)을 따라 이동하여 보관부(20)의 내부로 자연스럽게 투입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도 보관부(20)로 가스 투입을 자동 유도함과 동시에, 보관부(20)의 이동을 억제하고, 보관부(20)의 내부에 위치한 대상물이 의도하지 않게 비산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보조부(161c)는 삽입 판부(161) 및 보관부(20) 사이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구성으로서, 투입부에 위치한 제1가이드부(111b) 및 제2가이드부(112b-1)와 동일한 단면 넓이 및 형태를 갖는 바 형태의 부재로 구성된다. 고정 보조부(161c)가 형성된 삽입 판부(161)가 보관부(20)의 상하 방향에 배치될 시, 고정 보조부(161c)가 보관부(20)에 형성된 하단 가이드홈(25b)에 삽입됨으로써 정위치 배치를 유도할 수 있다.
고정 보조부(161c)는 제1유입공(161a)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 보조부(161c)의 밑면의 너비는 제1유입공(161a)의 너비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유입공(161a)은 고정 보조부(161c)에 의해 완전히 막히지 않아, 보관부(20)로의 가스 투입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에 관한 것으로서, 선술한 바디부(21), 메쉬부(22), 제1결합부(21a), 제2결합부(21b),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메쉬부(22)는 바디부(21)의 내면과 연결되되 상기 바디부(21)의 하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메쉬부(22)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둘 이상의 메쉬부(22)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대상물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높은 열처리 효율을 유도할 수 있다.
나눔부(23)는 바디부(21)의 내부에 위치하여 메쉬부(22)의 고정 위치를 부여하고 바디부(21)가 상하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나눔부(23)는 바디부(2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이를 위해, 나눔부(23)는 바 또는 막대 형태의 부재로 구성되어 끝단이 바디부(21)의 내면과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나눔부(23)는 "+"자 형태로 형성되어 4개의 끝단이 바디부(21)와 접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고, 추가로 서로 다른 종류의 대상물을 서로 구분하여 투입시켜 각각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눔부(23)를 통해 바디부(21)의 내부 공간이 구획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바디부(21)의 내측에 구비되는 메쉬부(22)는 바디부(21)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공간이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쉬부(22)에서 제2통공(22a)이 형성된 구역은 둘 이상으로 구획된다. 이는 각각 상이한 조성 또는 형태를 갖는 대상물에 관한 독립적 가열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나눔부(23)의 상하 방향에는 후술할 상단 계합부(24) 및 하단 계합부(25)가 형성된다.
도 10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보관부(20)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보관부(20)들이 체결 및 지지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제1통공(21c) 및 제2통공(22a)의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둘 이상의 보관부(20)는 투입부를 통해 작업부로 투입될 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가열된다. 이 과정에서 상측 방향에 위치한 보관부(20)에 포함된 제2결합부(21b), 하단 계합부(25) 및 제2접촉부(25a)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보관부(20)에 포함된 제1결합부(21a), 상단 결합부 및 제1접촉부(24a)와 접하거나 삽입되어 계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촉 및 계합 구조를 갖는 복수의 보관부(20)는 상하 방향으로의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함과 동시에, 정위치 배열이 용이하여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20)가 제1가이드부(111b)에 의해 정위치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투입부에 형성되어 작업부(120)로 보관부(20)를 이동시키는 제1가이드부(111b)는 보다 정확한 가이드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가이드부(111b)는 투입부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1가이드부(111b)는 선술한 바디부(21)에 형성된 하단 가이드홈(25b)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제1가이드부(111b)의 단면 형상은 하단 가이드홈(25b)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가이드부(111b)가 하단 가이드홈(25b)과 접하는 보관부(20)는 투입부의 내부에서 제1가이드부(11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가이드부(111b)는 삼각형의 단면을 갖는 쐐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관부(20)의 보다 용이한 가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가이드 과정에서 보관부(20)가 제1가이드부(111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가이드부(111b)와 동일한 형태의 제2가이드부(112b-1)는 대기구간부(112)의 내부에 위치한 이동 구획부(112b)의 상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보관부(20)는 투입부의 내부에서 스토퍼(112a) 및 이동 구획부(112b)를 통해 자동으로 열처리를 위한 작업부에 투입될 수 있다.
스토퍼(112a)는 제1가이드부(111b)에 의해 작업부로 가이드 이동되는 보관부(20)의 추가 이동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112a)는 별도의 탄성을 갖는 별도의 신축수단과 연결되는 판 형태로 구비된다. 가이드 이동되는 보관부(20)가 대기구간부(112)의 내부에서 스토퍼(112a)와 접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추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스토퍼(112a)의 전면이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보관부(20)와 접하는 스토퍼(112a)의 전면에는 파손방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손방지부는 복원력을 갖음에 따라 보관부(20)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스토퍼(112a) 또는 보관부(20)가 충돌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구획부(112b)는 개폐를 통해 투입부 및 작업부의 내부 공간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이동 구획부(112b)는 작업부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대기구간부(112)의 내부에서 하면에 형성된 별도의 레일부를 따라 왕복 이동한다. 또한, 이동 구획부(112b)의 슬라이딩 이동 과정에서 상기 이동 구획부(112b)는 스토퍼(112a)와 접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동 구획부(112b)가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 위치하여 대기구간부(112) 및 작업부가 서로 단절될 시, 보관부(20)는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되지 않고, 보관부(20)를 대상으로 하는 소성 공정도 진행되지 않는다.
반면, 이동 구획부(112b)가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 위치하다가 슬라이딩 이동할 시, 대기구간부(112) 및 작업부의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삽입구간부(111)에서 대기구간부(112)를 향해 가압 이동되는 보관부(20)는 중력에 의해 제2가이드부와의 면접촉이 해제되어 서로 분리되고,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서 하강하여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112b-1)는 이동 구획부(112b)에 의해 작업부로의 투입이 제한된 보관부(20)가 정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선술한 제1가이드부(111b)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며 이동 구획부(112b)의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111b) 및 제2가이드부(112b-1)의 길이 방향이 서로 동일하도록 구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동 구획부(112b)가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보관부(20)는 스토퍼(112a)에 의해 추가 이동이 제한되고, 제2가이드부(112b-1)에 의해 각도가 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부의 직상 방향에 위치한다. 이후 이동 구획부(112b)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작업부의 직상 방향으로부터 벗어날 시, 보관부(20)는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작업부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보관부(20)를 대상으로 하는 작업부로의 배열 및 투입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보관부 21: 바디부
21a: 제1결합부 21b: 제2결합부
21c: 제1통공 22: 메쉬부
22a: 제2통공 23: 나눔부
24: 상단 계합부 24a: 제1접촉부
25: 하단 계합부 25a: 제2접촉부
25b: 하단 가이드홈 110: 투입부
111b: 제1가이드부 112b-1: 제2가이드부
160: 고정부 161: 삽입 판부
161a: 제1유입공 161b: 제2유입공
161c: 고정 보조부
21a: 제1결합부 21b: 제2결합부
21c: 제1통공 22: 메쉬부
22a: 제2통공 23: 나눔부
24: 상단 계합부 24a: 제1접촉부
25: 하단 계합부 25a: 제2접촉부
25b: 하단 가이드홈 110: 투입부
111b: 제1가이드부 112b-1: 제2가이드부
160: 고정부 161: 삽입 판부
161a: 제1유입공 161b: 제2유입공
161c: 고정 보조부
Claims (10)
- 작업부를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대상물과 동반 투입되는 보관부로서,
상기 보관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메쉬부; 및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작업부 내부로 투입되는 가스가 통과 가능한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부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고정부가 복수의 상기 제1결합부의 사이에 삽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바디부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에 구비된 제1가이드홈 또는 제2가이드홈과 계합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단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메쉬부에 상측 형성되는 상단 계합부; 및
상기 메쉬부에 하측 형성되는 하단 계합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둘 이상의 바디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시, 상기 상단 계합부는 상기 메쉬부 또는 하단 계합부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하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바디부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시, 상기 제1접촉부가 상기 제2접촉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단 계합부 및 하단 계합부가 서로 계합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단 가이드홈;
상기 메쉬부에 상측 형성되는 상단 계합부;
상기 메쉬부에 하측 형성되는 하단 계합부;
상기 상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1접촉부; 및
상기 하단 계합부에 형성되는 제2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상기 통공이 형성된 구역을 둘 이상으로 구획하는 나눔부;를 더 포함하는,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7273A KR102520998B1 (ko) | 2022-09-16 | 2022-09-16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PCT/KR2023/013924 WO2024058605A1 (ko) | 2022-09-16 | 2023-09-15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7273A KR102520998B1 (ko) | 2022-09-16 | 2022-09-16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0998B1 true KR102520998B1 (ko) | 2023-04-12 |
KR102520998B9 KR102520998B9 (ko) | 2023-10-12 |
Family
ID=8598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7273A KR102520998B1 (ko) | 2022-09-16 | 2022-09-16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099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58605A1 (ko) * | 2022-09-16 | 2024-03-21 | 주식회사 알디솔루션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93093A (ja) * | 2005-09-28 | 2007-04-12 | Fuchigami Micro:Kk | 焼成用治具 |
KR20160015282A (ko) * | 2013-07-16 | 2016-02-12 |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 소성 지그 |
KR20220088188A (ko) * | 2020-12-18 | 2022-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이차 전지의 수직형 양극재 소성 장치 |
-
2022
- 2022-09-16 KR KR1020220117273A patent/KR1025209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93093A (ja) * | 2005-09-28 | 2007-04-12 | Fuchigami Micro:Kk | 焼成用治具 |
KR20160015282A (ko) * | 2013-07-16 | 2016-02-12 |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 소성 지그 |
KR20220088188A (ko) * | 2020-12-18 | 2022-06-27 | 주식회사 포스코 | 이차 전지의 수직형 양극재 소성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58605A1 (ko) * | 2022-09-16 | 2024-03-21 | 주식회사 알디솔루션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0998B9 (ko) | 2023-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20998B1 (ko)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
CN110832055B (zh) | 用于修补炼焦炉的系统和方法 | |
JP2020176277A (ja) | モノリス構成要素構造を有するコークス炉 | |
WO2023013403A1 (ja) | 熱処理装置及び熱処理方法 | |
KR20170020822A (ko) | 모노리스 크라운을 갖는 수평 열회수 코크스 오븐 | |
US8657549B2 (en) | Long-term storage site for radioactive materials | |
KR102551693B1 (ko)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 | |
KR101661112B1 (ko) | 플라즈마 용융로 설비의 드럼형 폐기물 투입장치 | |
KR101193778B1 (ko) | 코크스 제조 시험장치 | |
WO2024058605A1 (ko)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용 내화갑 | |
KR102588153B1 (ko) | 폐배터리 재활용 장치 | |
US4530289A (en) | Solid fuel furnace | |
CN103857769A (zh) | 热回收焦炉干熄焦装置 | |
KR102588151B1 (ko) | 폐배터리 수직형 재활용 장치 | |
CN109405429A (zh) | 一种内置式干燥装置 | |
KR101569758B1 (ko) | 금속섹터를 갖는 복합용융로 장치 | |
EP3336855B1 (en) | Plasma melting furnace | |
JP6579337B2 (ja) | コークス炉の冷却方法 | |
KR102588152B1 (ko) | 폐배터리 수직형 재활용 장치 | |
KR101606174B1 (ko) | 복합용융로 장치 | |
DE102024110363A1 (de) | Schutzbehälter zum gesicherten Aufnehmen und/oder Aufbewahren eines elektrischen Energiespeichers sowie Verwendung eines Schutzbehälters | |
JP6052649B1 (ja) | 間接加熱方式炭化処理システム | |
WO2018021693A1 (ko) | 열분해 가스화로 및 열분해 가스화로의 제어 방법 | |
WO2009104875A1 (ko) | 소각 장치 및 방법 | |
KR20240018994A (ko) | 이동식 구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