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4523B1 - 밀크 포머 - Google Patents

밀크 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4523B1
KR101764523B1 KR1020157027775A KR20157027775A KR101764523B1 KR 101764523 B1 KR101764523 B1 KR 101764523B1 KR 1020157027775 A KR1020157027775 A KR 1020157027775A KR 20157027775 A KR20157027775 A KR 20157027775A KR 101764523 B1 KR101764523 B1 KR 10176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cup
permanent magnet
milk
cu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684A (ko
Inventor
후안 진
완콴 리우
마사아키 오리가네
테루아키 다구치
히데아키 기시이
Original Assignee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 201320103994 external-priority patent/CN203168874U/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1320104108 external-priority patent/CN20316887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0727011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169374A/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1320104219 external-priority patent/CN203168876U/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1320113314 external-priority patent/CN20323456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20330547.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3388695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2043168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3447144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3103049655A external-priority patent/CN103417113A/zh
Application filed by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유씨씨 우에시마 고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B01F23/235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using driven stirr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B01F2101/07Mixing ingredients into milk or cream, e.g. ae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컵 뚜껑의 구성을 간소화시키는 동시에, 구동기구나 접점부에 대한 오염이나 부식을 줄인 밀크 포머를 제공한다. 베이스 본체(1); 이 베이스 본체(1) 상에 배치되는 컵체(2); 이 컵체(2) 상에 배치되는 컵 뚜껑(3); 및 컵체(2) 내의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5)를 구비하는 밀크 포머로서, 교반기구(5)는 교반헤드(50) 및 이 교반헤드(50)를 지지하기 위한 축부(51)를 구비하고, 교반헤드(50)를 자기 구동하기 위한 자기 구동기구가 베이스 본체(1)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크 포머 {MILK FOAMER}
본 발명은 베이스 본체, 이 베이스 본체 상에 배치되는 컵체, 이 컵체 상에 배치되는 컵 뚜껑, 및 컵체 내의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밀크 포머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음료의 가열 및 교반에 대한 요구, 특히 폼 밀크(foam milk)에 대한 요구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밀크(우유)를 교반하여 거품을 일으킨 폼 밀크는 카푸치노 등 커피 음료에 사용된다.
이러한 폼 밀크를 만들기 위한 밀크 포머로서 예를 들면 하기 비특허문헌에 개시되는 밀크 포머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는 컵 본체와 컵 뚜껑을 구비하고, 컵 본체에 밀크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동시에, 컵 뚜껑에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교반기구에 구비된 교반헤드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나 액추에이터는 컵 뚜껑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은 컵 본체측으로부터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한편, 컵 뚜껑은 컵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컵 본체와 컵 뚜껑 사이에는 전원 공급 단자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점부가 형성되어 있다. 컵 본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를 온(on)으로 함으로써 가열장치에 의한 가열과 함께 컵 뚜껑의 구동기구로의 급전(給電)이 이루어져 밀크 교반 동작이 실행된다.
커피에비뉴(2014년 2월 9일 검색) http://shamsu.fc2web.com/goods/me_mj121.html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컵 뚜껑측에 액추에이터나 구동기구를 탑재하면 컵 뚜껑의 중량이 무거워져 컵 뚜껑의 개폐 조작이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또한 급전을 위한 접점부가 필요하게 되므로, 오염이나 부식에 의한 작동 불량 가능성이 높아진다. 나아가 가열되는 밀크의 증기가 구동기구나 액추에이터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봉지(封止)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되어 컵 뚜껑의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컵 뚜껑의 구성을 간소화시키는 동시에, 구동기구나 접점부에 대한 오염이나 부식을 줄인 밀크 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밀크 포머는
베이스 본체; 이 베이스 본체 상에 배치되는 컵체; 이 컵체 상에 배치되는 컵 뚜껑; 및 컵체 내의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밀크 포머로서,
상기 교반기구는 교반헤드 및 이 교반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헤드를 자기 구동하기 위한 자기 구동기구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밀크 포머의 작용·효과는 아래와 같다. 컵체 내의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는 축부와 교반헤드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교반헤드를 자기 구동하기 위한 자기 구동기구가 베이스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컵 뚜껑이 아닌 베이스 본체에 자기 구동기구가 설치되므로, 컵 뚜껑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컵 뚜껑과 베이스 본체 사이에 전원 공급 단자는 필요가 없다. 나아가 자기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하므로, 비접촉 방식으로 교반헤드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컵 뚜껑의 구성을 간소화시키는 동시에, 구동기구나 접점부에 대한 오염이나 부식을 줄인 밀크 포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헤드는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영구자석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헤드로서 영구자석을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할 뿐인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영구자석이라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구성을 취할 수 있어 오염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기 구동기구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영구자석군, 및 이 제2 영구자석군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영구자석군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기구로서 제1 영구자석군에 대향 배치시키는 제2 영구자석군으로 할 수 있다. 이 제2 영구자석군을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자기력에 의해 교반헤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접촉 방식에 의한 구동 전달을 간소한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헤드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의 주위에 배치되는 교반날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1 영구자석군과 교반날개를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영구자석군과 교반날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날개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지지부재에 의해 영구자석과 교반날개 모두를 지지할 수 있어 부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헤드는 여러 종류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부에 대해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크 포머에 의해 만드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교반헤드를 준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폼 밀크와 핫 밀크 각각에 적합한 교반헤드를 준비해 두고, 필요에 따라 축부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음료를 만들 수 있으면서 동시에 음료의 종류에 적합한 교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헤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헤드를 여러 개 준비하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 교반헤드의 보관을 어떻게 할지가 문제가 된다. 베이스 본체에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교반헤드를 보관해 둘 수 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이며, 자기력에 의해 상기 교반헤드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수용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자기력에 의해 수용 오목부에 유지시키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해 교반헤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영구자석군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가열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구자석군은 가능한 한 제1 영구자석군에 근접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장치도 열전도성을 고려하면 컵체의 바닥부에 근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2 영구자석군의 주위에 가열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양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컵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체를 베이스 본체에서 탈거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 컵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기구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컵체가 없을 때 모터를 회전시킴에 따른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열장치의 가열면을 커버하는 히터 커버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컵체를 탈거할 때 부주의하게 가열면에 닿는 일이 없게 되어 화상의 위험성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에 히터 커버를 축 지지함으로써 커버를 할 때의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터 커버를 분실하게 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컵체는 음료 용기, 그 주위에 배치되는 상부 컵 지지체, 및 바닥부 컵 지지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면보다 더 상기 바닥부 컵 지지체의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용기 내의 밀크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음료 용기의 바닥면이 가열된 상태가 된다. 컵체를 베이스 본체에서 탈거할 때 바닥면을 만지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테이블 등에 재치할 때 가열된 바닥면이 직접 테이블면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바닥부 컵 지지체의 하단부가 음료용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해 두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 컵 지지체는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재로 함으로써 밀크가 가열된 상태라도 바닥부 컵 지지체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아 바닥부 컵 지지체에 손이 닿아도 문제가 없다. 또한 테이블 등에 재치하는 경우에도,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함으로써 테이블 등에 재치할 때의 감촉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설치하고, 바닥면을 커버하는 상태 및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밀크를 가열한 후에 컵체를 꺼냈을 때 음료 용기의 바닥면은 가열되어 있다. 이에,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체를 베이스 본체 상에 재치할 때는 바닥면을 노출한 상태로 재치한다. 컵체를 베이스 본체에서 탈거한 후에는 바닥면을 커버한다. 이에 따라 밀크 포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는 컵체의 외표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와 컵체를 일체화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반헤드의 상기 축부에 대한 장착 유무를 검출하는 헤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헤드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축부에 교반헤드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 동작을 하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하면 원하는 거품 밀크를 만들 수 없다. 이에, 헤드 검출부를 설치하여 교반헤드의 장착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작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크 포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밀크 포머의 종단면도(손잡이를 통과하는 단면)이다.
도 2b는 자기 구동기구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밀크 포머의 종단면도(도 2a와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4는 도 1의 밀크 포머의 컵 뚜껑을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교반헤드의 상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영구자석군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영구자석군의 배치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영구자석군과 제2 영구자석군의 수직 방향의 치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컵체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가열면을 뚜껑으로 커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제어 시퀀스도이다.
도 12b는 제어 시퀀스도이다.
도 13a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1 실시예)이다.
도 13b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1 실시예)이다.
도 14a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2 실시예)이다.
도 14b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2 실시예)이다.
도 14c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2 실시예)이다.
도 15a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3 실시예)이다.
도 15b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3 실시예)이다.
도 16a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4 실시예)이다.
도 16b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4 실시예)이다.
도 17a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5 실시예)이다.
도 17b는 컵체의 하부 커버 구성(제5 실시예)이다.
도 18은 핫 밀크용 교반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컵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밀크 포머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밀크 포머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밀크 포머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손잡이를 포함한 면으로 절단한 것이며, 도 3은 도 2a의 절단면에 대해 직교하는 수직면으로 절단한 것이다.
<전체 구성>
밀크 포머는 크게 나누어 베이스 본체(1), 컵체(2), 및 컵 뚜껑(3)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 본체(1)는 하부 베이스부(10), 및 이 하부 베이스부(10) 상에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부(11)에 의해 구성된다. 상부 베이스부(11)에는 3개의 조작부(조작 버튼)(11a, 11b, 11c)가 설치된다. 각 조작부(11a, 11b, 11c)는 그 내부에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베이스부(10)와 상부 베이스부(11)는 나사 등 적절한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조작부(11a)는 전원 온/오프(on/off) 버튼이다. 조작부(11b)는 핫 밀크 포머 제작용 버튼이다. 조작부(11c)는 아이스 밀크 포머 제작용 버튼이다. 조작부(11b)는 폼 밀크와 거품이 없는 핫 밀크를 모두 만들기 위한 버튼이다.
하부 베이스부(10)는 그 바닥부에 3개의 다리부(10a)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10a)는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테이블 등의 위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베이스부(10)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위해 전원 단자가 적절한 장소에 설치된다.
컵체(2)는 음료 용기(20), 이 음료 용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컵 지지체(21), 하부 컵 지지체(22), 바닥부 컵 지지체(23), 및 상부 컵 지지체(21)에 결합되는 손잡이(24)를 구비한다. 베이스 본체(11)에 설치된 히터(62)의 상면(62a)에 컵체(2)의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가 재치된다. 컵체(2)는 손잡이(24)를 가짐으로써 베이스 본체(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세팅할 수 있다. 음료 용기(2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일 수도 있으며, 수지제일 수도 있다. 혹은 스텐레스와 알루미늄의 조합 재료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바닥측에 열전도가 좋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측면은 열을 차단하기 쉬운 스텐레스로 할 수 있다. 알루미늄과 스텐레스의 접합 부분은 용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입을 대고 마실 경우, 스텐레스 부분은 뜨거움을 느끼지 않으면서 동시에 바닥면부는 알루미늄이므로 음료 용기 내의 밀크에 열이 충분히 전달되어 빨리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상부 컵 지지체(21)의 하부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컵 지지체(22)의 상단면에 정확하게 단차가 위치한다. 손잡이(24)는 상부 컵 지지체(21)에 대해 나사(22a)에 의해 결합된다.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료 용기(20)의 내부에는 2군데 돌기(20b)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20b)는 음료 용기(2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서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하 방향의 높이는 하측이 교반헤드(50)보다 더 조금 위의 위치에 있고, 상측이 상부 컵 지지체(21)와 하부 컵 지지체(22)의 경계 위치 근방에 있다. 이 돌기(20b)를 설치함으로써, 밀크를 교반 할 때 교반을 교란시켜 밀크에 거품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밀크는 난회전시키는 편이 거품을 크게 일으킬 수 있다.
바닥부 컵 지지체(23)는 실리콘 고무 등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서 탈거할 때 테이블 등에 재치시킬 수 있다.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바닥면)는 가열된 상태이므로, 부주의하게 손으로 만지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다. 바닥부 컵 지지체(23)의 하단부는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보다 더 돌출되어 있어 만지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테이블 등에 재치할 때 바닥부(20a)가 직접 테이블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부 컵 지지체(21)나 하부 컵 지지체(22)도 가열된 음료 용기(2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수지로 성형된다. 컵체(2)에 수용된 음료(밀크)는 다른 커피 등이 들어간 용기로 옮길 수도 있으며, 컵체(2)는 그대로 음료 컵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컵 뚜껑(3)은 뚜껑 본체(30), 뚜껑 손잡이(31), 및 패킹(32)을 구비한다. 뚜껑 본체(30)의 중앙부에 음료 용기(20)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통부(30a)가 설치된다. 뚜껑 손잡이(31)에는 제1 돌출통부(30a)와 결합하는 결합손톱(31a)이 일체로 형성된다. 뚜껑 본체(30)의 외주 측면에는 홈(30c)이 형성되어 링형의 패킹(32)이 삽입된다. 패킹(32)은 음료 용기(20)의 상부 내벽에 밀착되어, 컵 뚜껑(3)을 음료 용기(20)에 장착했을 때 내부를 밀폐시킨다. 뚜껑 본체(30)는 음료 용기(2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반기구의 구성>
컵 뚜껑(3)의 바닥면측에는 교반기구(5)가 설치된다. 컵 뚜껑(3)과 교반기구(5)는 일체적으로 유니트화되어 있어, 컵 뚜껑(3)을 컵체(2)에서 탈거할 때는 교반기구(5)도 함께 탈거된다.
교반기구(5)는 교반헤드(50) 및 축부(51)를 구비한다. 도 2b는 교반헤드(50)의 단면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교반헤드(50)는 하부의 제1 헤드 구성부재(52)와 상부의 제2 헤드 구성부재(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헤드 구성부재(52)의 외주부에는 단면이 1/4 원 형상인 제1 오목부(52a)가 형성되고, 제2 헤드 구성부재(53)의 외주부에는 마찬가지로 단면이 1/4 원 형상인 제1 오목부(53a)가 형성된다. 제2 헤드 구성부재(53)는 자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제1·제2 헤드 구성부재(52, 53)가 결합되면 제1 오목부(52a)와 제2 오목부(53a)로 반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이 반원형의 오목부에 교반날개(54)가 삽입된다. 교반날개(54)는 코일 스프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금속제 와이어(55)가 설치된다. 이 와이어(55)에 의해 교반날개(54)가 반원형의 오목부에 고정된다.
도 5에는 교반헤드(50)를 위에서 본 상태가 나타난다. 제2 헤드 구성부재(53)는 십자형을 하고 있고, 십자로 돌출된 부분(53b)에 의해 전술한 제1 오목부(53a)가 배치된다. 돌출된 부분(53b) 사이에 오목한 부분(53c)이 형성된다.
<자기 구동기구의 구성>
제1 헤드 구성부재(52)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4개의 자석 수용 오목부(52b)가 형성되고, 이 자석 수용 오목부(52)에 영구자석(60)이 삽입된다. 도 6에는 영구자석(60)이 90° 간격으로 4개 배치되어 있고, 이들 4개의 영구자석(60)에 의해 제1 영구자석군(60A)이 구성된다. 제1 헤드 구성부재(52)의 중앙부에는 통형 돌출부(52c)가 형성된다. 제2 헤드 구성부재(53)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경 부분이 상기 통형 돌출부(52c)에 끼워넣어진다.
연결부재(56)는 나사가 형성되는 면을 가지고 교반헤드(50)와 축부(51)를 연결 및 고정한다. 연결부재(56)에 형성된 나사, 및 축부(51)에 형성된 나사에 의해 양자를 결합할 수 있다.
축부(51)는 베어링(33)을 매개로 뚜껑 본체(30)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돌출통부(30b)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축부(51)와 교반헤드(50)는 뚜껑 본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구자석군(60A)과 대향하여 베이스 본체(1)에 제2 영구자석군(61A)이 배치된다. 제2 영구자석군(61A)은 제1 영구자석군(60A)과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90° 간격으로 4개의 영구자석(61)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 반경도 제1 영구자석군(60A)과 동일하다.
제2 영구자석군(61A)은 플레이트형의 지지부재(16)의 이면측에 유지된다. 지지부재(16)의 중앙부에는 연결부재(17)가 설치되고, 이 연결부재(17)에 액추에이터인 모터(15)의 모터축(15a)이 끼워넣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15)를 구동하면 지지부재(16)가 회전하고, 제2 영구자석군(61A)이 회전 구동된다.
제1·제2 영구자석군(60A, 61A)의 수직 방향의 배치도가 도 7에 나타난다. 제1 영구자석군(60A)의 영구자석(60)은 하부가 S극이고 상부가 N극인 영구자석(60), 상부가 N극이고 하부가 S극인 영구자석(60)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또한 제2 영구자석군(61A)도 마찬가지로 하부가 S극이고 상부가 N극인 영구자석(61), 상부가 N극이고 하부가 S극인 영구자석(61)이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구자석(60)의 N극(S극)과 제2 영구자석(61)의 S극(N극)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음료 용기(20)가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15)를 구동하면 제2 영구자석군(61A)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영구자석군(60A)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교반헤드(50)가 회전하여 음료 용기(20) 내의 밀크를 교반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따라 S극과 N극을 교대로 배치함으로써 자속 밀도를 높인 상태에서 영구자석을 배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교반헤드(50)와 음료 용기(20)의 바닥면(20a)의 거리(h1), 제1 영구자석군(60A)과 제2 영구자석군(61A)의 거리(h2), 및 제2 영구자석군(61A)과 음료 용기(20)의 바닥면(20a)의 거리(h3)를 나타내고 있다. h1의 바람직한 범위는 1 ~ 8mm이고, h2의 바람직한 범위는 3 ~ 15mm이며, h3의 바람직한 범위는 1 ~ 5mm이다.
h1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1.5 ~ 2mm이며, h2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5.1 ~ 5.9mm이며, h3의 더 바람직한 범위는 2 ~ 2.3mm이다.
h1을 1mm에 근접시키면, 교반 동작을 하고 있을 때 충격 등에 의해 교반헤드(50)가 경사져서 교반헤드(50)의 측부와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가 스쳐 교반헤드(50)가 마모,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h1이 8mm를 넘으면 자기력이 약해져 밀크를 교반시키는 기능이 떨어진다. 그 결과, 충분한 거품이 일어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h2가 3mm 미만이 되면 교반헤드(50)가 받는 자기력이 커져 교반헤드(50)와 음료 용기(20)의 마찰이 커진다. 그 결과, 교반헤드(50)나 음료 용기(20)가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h2가 15mm를 넘으면 자기력이 약해져 밀크를 교반시키는 기능이 떨어진다. 그 결과, 충분한 거품이 일어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h3을 1mm에 근접시키면 교반헤드(50)가 받는 자기력이 커져 교반헤드(50)와 음료 용기(20)의 마찰이 커진다. 또한 h3이 2.3mm를 넘으면 자기력이 약해져 밀크를 교반시키는 기능이 떨어진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영구자석군(61A)의 외주부를 둘러싸도록 히터(가열장치)(62)가 배치된다. 히터(62)의 상면(62a)에 컵체(2)의 바닥면(20a)이 재치된다. 도 4는 히터(62)의 상면(62a)을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제2 영구자석군(61A)의 상부에는 자석 커버(18)가 설치되어 자석 커버(18)와 히터(62)의 상면(62a)은 동일면이 된다. 또, 도 4에서는 자석 커버(18)를 탈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교반헤드>
상기에서 설명한 교반헤드(50)(제1 교반헤드)는 거품 밀크를 만들기 위해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크 포머는 폼 밀크 이외에 통상의 핫 밀크도 만들 수 있고, 상이한 구조의 교반헤드를 사용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축부(51)와 연결부재(56)는 나사로 결합되어 있고, 교반헤드(50)를 별도의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8은 핫 밀크용 교반헤드(50’)(제2 교반헤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폼 밀크용과 상이한 것은 교반날개(54)를 구비하지 않은 점이다. 연결부재(56’), 제1 헤드 구성부재(52’), 및 제2 헤드 구성부재(53’)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또한 영구자석(60’)의 개수 및 배치에 대해서도 제1 교반헤드(50)와 동일하다.
<교반헤드의 수용>
상기와 같이 2개의 교반헤드(50)를 사용하는 경우, 한쪽 교반헤드(50’)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1)의 하부 베이스부(10)에 수용 오목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0b) 바닥부와 반대측(내부)으로는 스텐레스 등 자성체로 형성되는 프레임 부재(13)가 설치된다. 교반헤드(50)는 영구자석(60)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자기력을 이용하여 수용 오목부(10b)에 유지시킬 수 있다.
<히터 커버의 구성>
도 9는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서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컵체(2) 내부의 밀크를 가열한 후에 컵체(2)를 탈거하면 히터(62)의 상면(62a)이 노출되어 손으로 부주의하게 만지면 화상의 위험성이 있다. 이에, 히터 커버(4)를 설치하고 있다. 히터 커버(4)는 힌지축(4a)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힌지축(4a)은 베이스 본체(1)의 상부 베이스부(11)에 설치된다. 히터 커버(4)에는 규제부(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낸 상태에서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 10은 히터 커버(4)에 의해 커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 커버(4)에는 다수의 작은 구멍(4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방열을 위해 형성된다. 또한 히터 커버(4)의 이면에는 3군데에 탄성부재(4d)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도 10과 같이 커버했을 때 쿠션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는 실리콘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된다.
<센서의 구성>
도 2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센서(70)와 컵 검출 센서(71)가 설치된다. 온도센서(70)는 스프링(72)에 의해 위쪽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 선단부(70a)가 음료 용기(20)의 바닥면(20a)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료 용기(20) 내의 밀크의 온도 검출을 수행한다.
컵 검출 센서(71)도 그 선단부(71a)가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 선단부(70a)가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체(2)(음료 용기(20))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어, 컵체(2)가 존재하지 않을 때 히터(62)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어 블록도>
도 11은 제어 블록도이다. 제어부(80)는 미리 짜여진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제어를 수행한다. 각 조작부(11a, 11b, 11c)의 조작 입력과, 온도센서(70), 컵 검출 센서(71)의 검출 결과에 따라 모터(15)와 히터(62) 및 서머스탯(thermostat)(81)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교반헤드(50)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헤드 검출부(82)의 제어도 수행한다. 교반헤드(50)가 축부(51)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는 모터(15)의 부하가 가벼워진다. 상기 헤드 검출부(82)의 기능에 기초하여 이 부하의 크고 작음은 모터(15)의 전류값으로부터 검출할 수 있다.
또, 교반헤드(50)가 축부(51)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었을 때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경고 표시(예를 들면 음성, 램프 표시)를 수행한다.
<작동 시퀀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밀크 포머의 작동 시퀀스에 대해 설명한다.
<핫 밀크 폼과 핫 밀크>
핫 밀크 폼과 핫 밀크를 만들 때의 작동 시퀀스는 동일하다. 모두 조작부(11b)의 압압 조작에 의해 시퀀스가 개시된다. 다만, 핫 밀크 폼을 만들 때는 제1 교반헤드(50)를 사용하고, 핫 밀크를 만들 때는 제2 교반헤드(50’)를 사용한다.
조작부(11a)를 온으로 하여 전원을 넣은 상태로 하고, 음료 용기(20)에 적당량의 밀크를 넣어 컵체(2)를 베이스 본체(1) 상에 세팅한다. 다음으로 조작부(11b)를 조작한다(t0). 온도센서(70)에 의해 온도가 소정 값 이하(예를 들면 30℃)인 경우에는 히터(62)를 가열한다. 이 동작은 도 12a의 (A)에 나타난다. 그리고 시간 t6 경과 후에 서머스탯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이 시간 t6의 시점에서 밀크의 온도가 적절해지도록 설정된다(예를 들면 62℃). 이 온/오프 제어를 소정 시간 수행한 후, 히터를 정지시킨다(시간 t7).
조작부(11a)를 온으로 했을 때 온도센서의 검출 온도가 30℃를 넘고 60℃ 이하인 경우에는, 시간 t4(예를 들면 20초) 후에 히터(62)의 가열을 개시한다. 이 시퀀스는 (B)에 나타난다. 그리고 시간 t6 경과 후에 서머스탯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t6 이후의 제어는 (A)와 동일하다.
조작부(11a)를 온으로 했을 때 온도센서의 검출 온도가 60℃를 넘으면서 동시에 조작부(11a)의 온 이후 20초 경과 후의 검출 온도가 60℃ 이하인 경우의 시퀀스는 (C)에 나타난다. 이 시퀀스 (C)는 (B)와 동일하다.
조작부(11a)를 온으로 했을 때 온도센서의 검출 온도가 60℃를 넘으면서 동시에 조작부(11a)의 온 이후 20초 경과 후의 검출 온도도 60℃를 넘는 경우의 시퀀스는 (D)에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시간 t5(예를 들면 30초) 후에 히터(62)의 가열을 개시한다. 그 후의 동작은 (A), (B), (C)와 동일하다.
온도센서(70)에 의한 검출 시퀀스는 (E)에 나타난다. 시간 t8에서 검출 동작을 오프로 한다.
모터(15)의 동작은 (F)에 나타난다. 조작부(11b)의 조작 후, 모터(15)를 계속 온으로 하지 않고, 일단 시간 t1(예를 들면 0.5초)에서 오프로 하고, 시간 t2(예를 들면 1.5초)에서 온으로 한다. 이것은 영구자석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교반헤드(50)를 회전시킬 때, 확실하게 교반헤드(50)가 모터(15)의 회전에 추종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모터(15)의 회전 개시 전에는 제1 영구자석군(60A)과 제2 영구자석군(61A)의 N극과 S극이 서로 마주하고 있다고만은 할 수 없다. 이에, 처음에는 단시간 모터(15)를 회전시키고, 그 후 계속해서 온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교반헤드(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15)는 시간 t8에서 오프가 되되, 갑자기 오프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 t7에서 일단 20 ~ 80%의 전력으로 구동한 후에 오프로 한다. 이에 따라 모터 정지 시의 충격을 완화한다.
컵 검출 센서(71)의 동작은 (G)에 나타난다. 히터(62)의 가열과 모터(15)의 회전을 시키기 위해서는 컵 검출 센서(71)에 의해 컵체(2)가 검출되어 있어야 한다. 컵체(2)가 베이스 본체(1) 상에 재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터(15)의 회전과 히터(62)에 대한 가열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안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한다. 따라서 밀크 가열 도중의 단계라도 부주의하게 컵체(2)가 탈거된 경우에는, 모터(15)를 정지시키고 히터(62)의 가열도 정지시킨다.
헤드 검출부(82)에 의한 검출 동작은 시간 t4에서 개시하고 시간 t7에서 정지시킨다. 이것은 교반헤드(50)가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검출 개시는 모터(15)의 연속 회전이 개시되는 시간 t3 이후로 설정된다. 교반헤드(50)가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부하가 가벼워지므로, 모터(15)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 값 이하가 된다. 교반헤드(50)가 없으면 거품 밀크를 만들 수 없으므로, 교반헤드(50)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아이스 밀크 폼>
다음으로 아이스 밀크 폼을 만들 때의 시퀀스를 도 12b에 의해 설명한다. 모터(15)의 상승 제어를 (K)에 나타낸다. 이것은 도 12a의 경우와 동일하다. 컵 검출 센서(71)의 동작은 (L)에 나타난다. 이것도 도 12a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헤드 검출 시퀀스 (M)도 도 12a의 경우와 동일하다.
아이스 밀크 폼을 만들 때는 조작부(11c)를 조작하여, 시간 t4 경과 후(예를 들면 30초)에 히터(62)의 온/오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시퀀스는 (I)에 나타난다. t4 시점에서 온도센서(70)에 의한 온도 검출이 30℃ 이하인 경우, 히터(62)를 온으로 한다. 이후에는 온 3초, 오프 7초(펄스 구동)를 시간 t5까지 반복한다. 또한 시간 t4 시점에서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히터(62)에 대한 가열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컵체의 다른 실시예>
도 19는 컵체(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밀크를 다른 용기에 따르기 쉽도록 주둥이부(25)(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둥이부(25)는 음료 용기(20)나 상부 컵 지지체(21)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주둥이부(25)만을 단독 부재로 제작하여 주둥이부가 없는 음료 용기(20)나 상부 컵 지지체(21)에 대해 장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주둥이부가 설치되지 않은 컵체(2)에 대해서도 밀크를 따르기 쉽게 할 수 있다.
<컵체의 커버 구성>
다음으로 컵체(2)의 하부 커버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밀크를 가열한 후에는 컵체(2)의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는 뜨거워지고 있으므로, 부주의하게 손이 닿지 않도록 해 둘 필요가 있다. 이에, 컵체(2)의 하부에 커버부재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을 도 13에 나타낸다. 도 13a는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서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커버부재(100)는 컵체(2)를 구성하는 하부 컵 지지체(22)의 외주면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컵체(2)를 탈거할 때는 자중(自重)에 의해 커버부재(100)가 아래로 내려가므로,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에 닿기 어렵게 된다.
한편,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체(2)를 베이스 본체(1) 상에 재치시킬 때는 커버부재(100)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된다. 또, 커버부재(100)가 상하 이동하는 범위는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stopper)에 의해 규제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을 도 14에 나타낸다. 커버부재(110)는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부(110a), 바닥 덮개부(110b), 및 이들 링부(110a)와 바닥 덮개부(110b)를 연결하는 연결부(110c)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커버부재(110)는 실리콘 등 유연한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 덮개부(110b)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가 완전히 커버된다.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10)의 링부(110a)는 하부 컵 지지체(22)의 둘레면에 고착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커버부재(110)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 재치할 때는 연결부(110c)를 구부림으로써 바닥 덮개부(110b)가 방해되지 않도록 재치할 수 있다. 또한 링부(110a)를 하부 컵 지지체(22)에 고착시켜 둠으로써 커버부재(110)를 분실하게 될 우려가 없다.
도 14a는 컵체(2)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바닥 덮개부(110b)를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에 씌워 두면 바닥부에 직접 손이 닿을 일도 없고, 그대로 테이블 등의 위에 재치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을 도 15에 나타낸다. 커버부재(120)는 바닥 덮개부(120a), 고착부(120b), 및 바닥 덮개부(120a)와 고착부(120b)를 연결하는 연통부(120c)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커버부재(120)는 실리콘 등 유연한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바닥 덮개부(120a)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가 완전히 커버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부(120b)를 컵체(2)의 하부 컵 지지체(22)의 외표면에 고착시킨다. 고착 방법은 나사나 접착 등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커버부재(120)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 재치할 때는 연결부(120c)를 구부림으로써 바닥 덮개부(120a)가 방해되지 않도록 재치할 수 있다. 또한 고착부(120b)를 하부 컵 지지체(22)에 고착시켜 둠으로써 커버부재(120)를 분실하게 될 우려가 없다.
도 15a는 컵체(2)를 탈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바닥 덮개부(120a)를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에 씌워 두면 바닥부에 직접 손이 닿을 일도 없고, 그대로 테이블 등의 위에 재치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제4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을 도 16에 나타낸다. 커버부재(130)는 바닥 덮개부(130a), 링부(130b), 바닥 덮개부(130a)와 링부(130b)를 연결하는 연통부(130c), 및 손잡이부(130d)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이 커버부재(130)는 컵체(2)와는 분리된 별도의 부재가 된다.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서 탈거할 때는,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체(2)를 커버부재(130)의 링부(130b) 쪽에서 삽입하면 된다.
바닥 덮개부(130a)를 설치함으로써 음료 용기(20)의 바닥부(20a)가 완전히 커버된다. 커버부재(130)를 장착한 채로 테이블 등의 위에 재치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
제5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성을 도 17에 나타낸다. 커버부재(140)는 바닥 덮개부(140a), 및 힌지부(140b)를 가진다. 힌지부(140b)는 컵체(2)의 하부 컵 지지체(22)에 결합되어 있다. 바닥 덮개부(140a)의 힌지부(140b)와 반대측으로 걸림부(14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컵체(2)를 베이스 본체(1)에서 탈거할 때는, 도 17A와 같이 걸림부(140b)를 하부 컵 지지체(22)의 외표면에 형성된 피걸림부(22b)에 걸리게 한다.
컵체(2)를 베이스 본체(1) 상에 재치시킬 때는 걸림 상태를 해제시키면 된다. 걸림부(140b)가 유연성을 가지는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용이하게 걸림·걸림 해제를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의 개수는 원주 방향을 따라 4개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나 3개, 혹은 5개 이상 배치할 수도 있다. 커버부재(130)는 수지 성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컵체(2)의 음료 용기(20)가 재치되는 바닥 덮개부(130a)의 바닥면에 실리콘으로 형성된 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구자석군과 제2 영구자석군의 조합에 의해 교반헤드를 회전시키고 있지만, 영구자석군을 전자석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자기 구동기구로서 제2 영구자석군(61A) 대신에 전자기 코일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51)와 교반헤드(50)는 뚜껑 본체(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실시예를 설명했다. 그 대신, 뚜껑 본체(30)와 축부(51)를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결합하고, 축부(51)에 대해 교반헤드(5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날개(54)는 코일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날개 형상은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크 포머는 폼 밀크와 핫 밀크를 모두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가지지만, 폼 밀크만을 만드는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으며, 나아가 다른 종류의 음료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헤드 검출부(82)를 전류 검출에 의해 수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반헤드의 유무를 센서(광학 센서, 기계 센서 등)에 의해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1: 베이스 본체 2: 컵체
3: 컵 뚜껑 4: 히터 커버
5: 교반기구 10: 하부 베이스부
10b: 수용 오목부 11: 상부 베이스부
11a, 11b, 11c: 조작부 15: 모터(액추에이터)
20: 음료 용기 20a: 바닥부
21: 상부 컵 지지체 22: 하부 컵 지지체
23: 바닥부 컵 지지체 50: 교반헤드
51: 축부 52: 제1 헤드 구성부재(지지부재)
52: 제1 오목부(지지면) 53: 제2 헤드 구성부재(지지부재)
53a: 제2 오목부(지지면) 54: 교반날개
60: 제1 영구자석 60A: 제1 영구자석군
61: 제2 영구자석 61A: 제2 영구자석군
62: 히터(가열장치) 70: 온도센서
71: 컵 검출 센서 100, 110, 120, 130, 140: 커버부재

Claims (16)

  1. 베이스 본체;
    이 베이스 본체 상에 배치되는 컵체;
    이 컵체 상에 배치되는 컵 뚜껑; 및
    컵체 내의 밀크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밀크 포머로서,
    상기 교반기구는 교반헤드 및 이 교반헤드를 지지하기 위한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헤드를 자기 구동하기 위한 자기 구동기구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교반헤드는 회전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영구자석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자기 구동기구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에 대향 배치되는 제2 영구자석군, 및 이 제2 영구자석군을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영구자석군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가열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열장치의 가열면을 커버하는 히터 커버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컵체는 음료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용기의 내부에 2군데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2군데 돌기는 상기 음료 용기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헤드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의 주위에 배치되는 교반날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제1 영구자석군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에 형성된 지지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헤드는 여러 종류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부에 대해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헤드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 본체의 바닥부에 형성된 수용 오목부이며, 자기력에 의해 상기 교반헤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컵체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체는 상기 음료 용기의 주위에 배치되는 상부 컵 지지체, 및 바닥부 컵 지지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면보다 더 상기 바닥부 컵 지지체의 하단부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컵 지지체는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용기의 바닥면을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를 설치하고, 바닥면을 커버하는 상태 및 바닥면을 노출시키는 상태로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컵체의 외표면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헤드의 상기 축부에 대한 장착 유무를 검출하는 헤드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크 포머.
KR1020157027775A 2013-03-07 2014-03-05 밀크 포머 KR101764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20104108.6 2013-03-07
CN 201320103994 CN203168874U (zh) 2013-03-07 2013-03-07 一种奶泡机
CN 201320104108 CN203168875U (zh) 2013-03-07 2013-03-07 一种奶泡机
CN201320104219.7 2013-03-07
CN2013100727011A CN103169374A (zh) 2013-03-07 2013-03-07 奶泡机
CN201310072701.1 2013-03-07
CN201320103994.0 2013-03-07
CN 201320104219 CN203168876U (zh) 2013-03-07 2013-03-07 一种奶泡机
CN201320113314.3 2013-03-13
CN 201320113314 CN203234564U (zh) 2013-03-13 2013-03-13 一种侧式电机的奶泡机
CN201320330547.9U CN203388695U (zh) 2013-06-08 2013-06-08 一种底部驱动式奶泡机
CN201320330547.9 2013-06-08
CN201320431680.3U CN203447144U (zh) 2013-07-19 2013-07-19 一种电磁驱动式奶泡机
CN201320431680.3 2013-07-19
CN2013103049655A CN103417113A (zh) 2013-07-19 2013-07-19 一种电磁驱动式奶泡机
CN201310304965.5 2013-07-19
PCT/JP2014/055621 WO2014136833A1 (ja) 2013-03-07 2014-03-05 ミルクフォーマ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684A KR20160005684A (ko) 2016-01-15
KR101764523B1 true KR101764523B1 (ko) 2017-08-03

Family

ID=5149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775A KR101764523B1 (ko) 2013-03-07 2014-03-05 밀크 포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51054B2 (ko)
EP (1) EP2965670B1 (ko)
JP (1) JP5774791B2 (ko)
KR (1) KR101764523B1 (ko)
CA (1) CA2902410C (ko)
SG (1) SG11201506710SA (ko)
TW (1) TWI621417B (ko)
WO (1) WO2014136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0293B2 (en) * 2010-10-29 2023-08-22 Mpd Ventures, Inc. Drink lid arrangements and methods
US10244772B2 (en) * 2014-11-06 2019-04-02 Sagra, Inc. Method for creating layered chocolate body and chocolate mold for creation thereof
CN113116147B (zh) * 2015-03-30 2023-08-22 布瑞威利私人有限公司 使用奶起泡装置使奶起泡的方法和奶起泡装置
JP6068709B2 (ja) * 2015-05-18 2017-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撹拌子および撹拌装置
RU2019101381A (ru) * 2016-06-22 2020-07-22 Сосьете Де Продюи Нестле С.А. Устройство поточного нагрева
EP3554323A1 (en) * 2016-12-13 2019-10-23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High torque magnetic transmission for whisk
US20190274482A1 (en) * 2016-12-13 2019-09-12 Nestec S.A. Ergonomic whisk for food processing
US10441113B2 (en) * 2017-10-03 2019-10-15 Hamilton Beach Brands, Inc. Blender jar lid with tortuous airflow path
DE102017128820A1 (de) * 2017-12-05 2019-06-06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etätigungseinrichtung mit Magneten
CN107928464B (zh) * 2017-12-25 2024-04-09 唐锋机电科技(深圳)有限公司 杯座、搅拌杯以及台式搅拌机
EP3530160B1 (de) * 2018-02-21 2020-08-0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peisenzubereitungsvorrichtung mit verriegelung
ES2920326T3 (es) 2018-03-29 2022-08-02 Nestle Sa Posicionamiento controlado en un procesador de alimentos
CN110393461A (zh) * 2018-04-24 2019-11-01 主力智业(深圳)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磁驱静音搅拌机
FR3080526B1 (fr) * 2018-04-30 2020-04-03 Beaba Dispositif de chauffage de liquide alimentaire, par exemple de boisson lactee
US10220361B1 (en) 2018-08-03 2019-03-05 Boris Dushine Magnetic stirring system for the automated and optimized reconstitution of powdered infant formulation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10350561B1 (en) 2018-08-03 2019-07-16 Boris Dushine Magnetic stirring system for wine ae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200113369A1 (en) * 2018-10-16 2020-04-16 Team International Group of America Inc. Coffee maker and frother
CN109497852B (zh) * 2018-11-29 2021-08-0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的控制方法
KR102171689B1 (ko) * 2019-04-09 2020-10-30 주식회사 캠프런 음료 제조 장치 및 시스템
KR102482005B1 (ko) * 2020-09-15 2022-12-27 씰링크 주식회사 밀봉기능이 향상된 교반기 및 이에 사용되는 씰링유닛
JP7411597B2 (ja) 2021-03-08 2024-01-1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飲料製造装置
WO2023216231A1 (en) 2022-05-13 2023-1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US11647860B1 (en) 2022-05-13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51585B1 (en) 2022-05-13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US11738988B1 (en) 2022-11-17 2023-08-29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US11634314B1 (en) 2022-11-17 2023-04-25 Sharkninja Operating Llc Dosing accuracy
US11745996B1 (en) 2022-11-17 2023-09-05 Sharkninja Operating Llc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US11925287B1 (en) 2023-03-22 2024-03-12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US11871867B1 (en) 2023-03-22 2024-01-16 Sharkninja Operating Llc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US11931704B1 (en) 2023-06-16 2024-03-19 Sharkninja Operating Llc Carbonation cha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6705A1 (en) * 2001-05-22 2002-12-26 Jersey Steven T. Appliance and an appliance drive unit
WO2011153587A1 (en) * 2010-06-11 2011-12-15 Breville Pty Limited Milk frother
CN202723654U (zh) * 2012-09-12 2013-02-13 陈玉水 具有新型搅拌装置的液体食品发泡机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8359U (ko) * 1978-08-16 1980-02-23
JPS5528359A (en) 1978-08-22 1980-02-28 Nippon Mining Co Ltd High carbon ferronickel shotting method
JPH0328917Y2 (ko) 1985-10-15 1991-06-20
JPH0522254Y2 (ko) 1986-04-08 1993-06-08
JPH01243390A (ja) 1988-03-25 1989-09-28 Toshiba Corp 電磁調理装置付き電子レンジ
JPH054889U (ja) * 1991-07-12 1993-01-26 キーパーインターナシヨナル株式会社 発酵乳調製品の製造装置
JPH0722144Y2 (ja) 1992-07-29 1995-05-24 幸雄 児玉 2重筒コップ
JPH07136072A (ja) * 1993-11-16 1995-05-30 Hitachi Home Tec Ltd 調理用撹拌機
JPH08332398A (ja) 1995-06-07 1996-12-17 Teizo Sato 穀物の磨ぎ洗い機
JPH11221160A (ja) * 1998-02-10 1999-08-17 Takata Kk 保温器
ES2212773T3 (es) * 2000-06-22 2004-08-01 Arno S.A. Aparato para procesar alimentos con soporte de herramientas almacenable.
JP2002204936A (ja) * 2001-01-10 2002-07-23 Ms Engineering:Kk 磁石を用いた攪拌機軸カップリング及び攪拌槽
JP3091839U (ja) * 2002-08-01 2003-02-21 重亮 高木 調理用電動撹拌機
JP2005269709A (ja) * 2004-03-16 2005-09-29 Maguneo Giken:Kk 磁気回転伝達装置及び密閉撹拌装置
EP1656866A1 (fr) 2004-11-12 2006-05-17 Nestec S.A. Appareil et méthode pour la préparation de mousse à partir d'un liquide alimentaire à base de lait
EP2152127B1 (en) 2007-05-23 2015-12-23 Nestec S.A. Appliance for conditioning a milk-based liquid
DE102007063549A1 (de) 2007-12-21 2009-06-25 Eldora Gmbh Automatischer Milchschaumbereiter
WO2009097705A1 (de) 2008-02-08 2009-08-13 Domo Vision Ag Gerät zum rühren, aufschäumen und gegebenenfalls erwärmen flüssiger nahrungsmittel
FR2930882B1 (fr) * 2008-05-07 2010-05-07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Mousseur pour preparer de la mousse a partir d'une boisson comprenant du lait
JP5359084B2 (ja) 2008-07-23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調理器
US8087603B2 (en) 2008-08-15 2012-01-03 Vita-Mix Corporation Sealing enclosure for a blender
JP2011156200A (ja) 2010-02-02 2011-08-18 Sharp Corp 電気炊飯器
ES2383985B1 (es) * 2010-03-16 2013-05-07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Recipiente de cocina con cuchillas giratorias.
WO2012076848A1 (en) 2010-12-07 2012-06-14 Alex Gort-Barten Milk froth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6705A1 (en) * 2001-05-22 2002-12-26 Jersey Steven T. Appliance and an appliance drive unit
WO2011153587A1 (en) * 2010-06-11 2011-12-15 Breville Pty Limited Milk frother
CN202723654U (zh) * 2012-09-12 2013-02-13 陈玉水 具有新型搅拌装置的液体食品发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02410A1 (en) 2014-09-12
TWI621417B (zh) 2018-04-21
JP5774791B2 (ja) 2015-09-09
SG11201506710SA (en) 2015-09-29
EP2965670A1 (en) 2016-01-13
US9751054B2 (en) 2017-09-05
EP2965670A4 (en) 2017-03-01
EP2965670B1 (en) 2019-09-11
JPWO2014136833A1 (ja) 2017-02-16
KR20160005684A (ko) 2016-01-15
CA2902410C (en) 2017-07-18
US20160030900A1 (en) 2016-02-04
TW201509353A (zh) 2015-03-16
WO2014136833A1 (ja) 201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523B1 (ko) 밀크 포머
EP2579753B1 (en) Milk frother
JP2021517012A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EP3541255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oam from a food liquid, in particular from milk or a milk-based liquid
US9357882B2 (en) Removable stirring system for mixing liquid
EP3547885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foam from a liquid, particularly a food liquid, such as milk or a milk-based liquid
EP2229853A1 (en) Milk frothing device
JP2024042001A (ja) 食品プロセッサの取り扱い
JP7369704B2 (ja) 食品プロセッサ内での制御された位置決め
EP3666114A1 (en) Shaving system with shav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CA3016047A1 (en) Induction heating food processor
CN201683731U (zh) 全自动奶泡器
CN105873479A (zh) 奶泡器
EP3827717A1 (en) Device for frothing liquid, e.g. milk
CN217659425U (zh) 食品搅拌杯及食品料理机
CN209810342U (zh) 一种切碎机
JPH11273848A (ja) 調理器
CN211862543U (zh) 奶泡机
AU2015202341A1 (en) Improved Milk Frother
CN117064206A (zh) 一种茶篮组件、泡茶壶以及泡茶装置
JP2023500371A (ja) ケトル
JP5584020B2 (ja) 炊飯器
JP2015188641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