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2218B1 -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2218B1
KR101762218B1 KR1020167033546A KR20167033546A KR101762218B1 KR 101762218 B1 KR101762218 B1 KR 101762218B1 KR 1020167033546 A KR1020167033546 A KR 1020167033546A KR 20167033546 A KR20167033546 A KR 20167033546A KR 101762218 B1 KR101762218 B1 KR 10176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touch panel
input
flat shee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678A (ko
Inventor
아키라 사토
고키 후쿠다
가즈히로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원더 퓨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01L27/3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2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곡면 형상의 터치패널을 제공한다. 터치패널(10)은 1매의 평면 시트(1)를 가열 포밍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다. 평면 시트(1)의 표면에는, x방향을 따라, 복수의 섬 형상 전극(2)의 전극렬이 설치되고, 이면에는, y방향을 따라, 복수의 섬 형상 전극(3)의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2, 3), 전극 간 배선(4), 인출 배선은 연성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평면 시트(1) 중앙부를 가열 포밍에 의해 볼록 형태 돔 형상으로 성형한다. 터치패널(10)은, 제1 입력 영역(11)과 제2 입력 영역(12)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11)은, 볼록 형태 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2 입력 영역(12)은 평면(곡률 제로)으로 설치된다. 제1 입력 영역(11)은, 제2 입력 영역(12)의 내측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Description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TOUCH PANEL, TOUCH-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TOUCH-PANEL-INTEGRA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패널 및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곡면 형상에 입력 영역을 갖는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입력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 입력 장치는, 각종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이다. 터치패널은,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면측에 탑재되어 있다. 터치패널을 투과해서 시인되는 표시 장치의 표시 내용에 따라서, 입력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입력 기구(예를 들면, 터치펜 등)나 인간의 손가락 등에 의해서, 터치면의 임의의 위치가 지정(접촉 또는 접근)된다. 이것에 의해, 입력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터치패널로서,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의 터치패널이나,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패널이 알려져 있다.
정전 용량 결합 방식의 터치패널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전극이, 영상 표시 영역(터치 또는 접근에 의한 입력 영역)의 이차원(x, y)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검출 전극은, 예를 들면 결정질(또는, 비결정질)의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는, 도전 세선(細線)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전극은, 투명 유리(또는, 투명 수지 필름)로 이루어지는 기재(基材)의 양면(또는, 편면)에 설치되어 있다. 영상 비표시 영역(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액자 영역))에, 검출 전극에 접속된 인출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 회로 패턴은, 검출 전극이 형성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3-091854호 공보
ITO(IZ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에 있어서는, 고광투과율화와 저저항화는, 상반되는 특성이다. 고광투과율과 저저항의 양립은 곤란하다. ITO(IZ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막은, 단단하고, 변형에 약하고,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투명 도전막은, 플렉시블성이 부족하다. 즉, ITO(IZO)제의 투명 도전막이 이용되었을 경우, 기재에 투명 수지 필름이 이용되어도, 플렉시블성이 떨어진다.
그 결과, 터치패널의 입력 영역은 평면이며, 적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었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모바일기기에 터치패널이 이용되고 있지만, 모두 입력 영역은 평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곡면 형상의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곡면 형상체와, 당해 곡면 형상체에 설치되는 입력 영역과, 당해 입력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패널이고, 당해 전극은, 연성 선재(線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성 선재는, Au, Ag, Cu, Al의 1 또는 2 이상의 금속, 도전성 카본, 도전성 유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으로 구성된다.
전극 등이 연성 선재이면, 가열 포밍에 의해, 단선의 우려 없이, 평면 시트를 임의의 곡면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영역은, 복수의 곡률(曲率)을 갖는다.
복수의 곡률이란, 곡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곡면의 경우와, 한 곡면에 있어서 축방향마다 곡률이 서로 다른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입력 영역과, 당해 제1 입력 영역과 곡률이 서로 다른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당해 제1 입력 영역과 제2 입력 영역은 연속해 있다.
경계부가 형성됨에 의해, 촉감에 의한 입력 영역의 인식이 용이해진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게는, 제2 입력 영역의 곡률은, 제로이다.
즉, 곡면 형상체는, 곡면과 평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촉감에 의한 입력 영역의 인식이 용이해진다. 곡면 형상체란, 일부에 곡면을 갖는 형상을 포함하고, 모두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는 형상체를 제외하는 취지이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의 내측에 돔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영역에는 X방향 및 Y방향으로 복수의 전극이 배치되고, 당해 입력 영역의 X방향 곡률과 당해 입력 영역의 Y방향 곡률이 서로 다르다.
정부(頂部)가 형성됨에 의해, 촉감에 의한 입력 영역의 인식이 용이해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상기 터치패널과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일체형 표시 장치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상기 터치패널과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일체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나 프로젝터는 곡면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곡면 형상의 터치패널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평면 시트 내에 상기 전극을 배치하고, 당해 평면 시트를 가열 포밍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체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 형상의 터치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곡면 형상체의 사시도(제1 실시형태)
도 2는 평면 시트의 평면도
도 3은 섬 형상 전극의 상세도
도 4는 스티어링에의 적용예(제1 실시형태)
도 5는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곡면 형상체의 사시도(제2 실시형태)
도 6은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곡면 형상체의 사시도(제3 실시형태)
도 7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에의 적용예(제3 실시형태)
도 8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에의 적용예(제3 실시형태)
도 9는 가전기기의 컨트롤러의 컨트롤러에의 적용예(제4 실시형태)
도 1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에의 적용예(제5 실시형태)
도 11은 적용예의 단면도와 단면 확대도
도 12는 글라스형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에의 적용예(제5 실시형태)
도 13은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곡면 형상체의 사시도(제6 실시형태)
도 14는 곡면 형상체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15는 센터 콘솔에의 적용예(제6 실시형태)
도 16은 리어 프로젝션과의 조합(제6 실시형태)
도 17은 애완 로봇에의 적용예(제6 실시형태)
도 18은 터치패널이 설치되는 곡면 형상체의 사시도(제7 실시형태)
도 19는 곡면 형상체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 20은 글라스형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에의 적용예(제7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터치패널(10)은, 평면과 돔 형상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터치패널(10)은, 제1 입력 영역(11)과 제2 입력 영역(12)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11)은, 볼록 형태의 돔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입력 영역(12)은 평면 형상(곡률 제로)이다. 제1 입력 영역(11)은, 제2 입력 영역(12)의 내측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입력 영역(11)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40(곡률 반경 40㎜)이고, 제2 입력 영역(12)의 곡률은 제로(곡률 반경 무한대)이다. 즉, 2개의 곡률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11)과 제2 입력 영역(12)은, 물리적으로 연속해 있고,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13)가 형성된다.
또, 도 1에서는 수학적으로 불연속이지만, 수학적으로 연속(미분 가능)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형태 돔 형상에 대하여 언급하지만, 오목 형태 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제조 방법∼
터치패널(10)은 1매의 평면 시트(1)를 가열 포밍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다. 도 2는, 평면 시트의 평면도이다.
평면 시트(1)에는, 복수의 전극(예를 들면 섬 형상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필름의 양면(표면과 이면)에 설치되어 있다. 표면에는, x방향(또는, y방향)을 따라, 복수의 섬 형상 전극(2)의 전극렬이 설치된다. 이면에는, y방향(또는, x방향)을 따라, 복수의 섬 형상 전극(3)의 전극렬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면 좌우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도면 상하 방향을 y방향으로 한다. 도시 검은 부분이 섬 형상 전극(2)이고, 도시 흰 부분이 섬 형상 전극(3)이다.
도 3은 섬 형상 전극의 상세도이다. 섬 형상 전극(2)의 전극렬은 전극 간 배선(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3)의 전극렬은 전극 간 배선(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섬 형상 전극(2, 3)의 전극렬의 말단에는 인출 배선(도시 생략)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평면 시트(1)에는, 터치패널 단자부나 스루홀이 형성되어 있다(도시 생략).
섬 형상 전극의 외형의 크기는, 예를 들면 2㎜∼5㎜이다. 전극 간 배선의 외형폭은 섬 형상 전극의 외형보다 작다.
인접하는 섬 형상 전극(전극 간 배선으로 접속되는 섬 형상 전극) 사이의 거리(섬 형상 전극의 외형을 이루는 변 간의 거리)는, 예를 들면 20㎛∼100㎛이다.
인출 배선은, 섬 형상 전극렬(2, 3)로부터의 신호가 외부 회로에 전달되는 배선이다. 인출 배선은, 고도전율을 갖는 도전 재료로 구성된다. 인출 배선은, 망목(網目; 그물망) 형상이어도 되며 비망목(솔리드) 배선이어도 된다.
섬 형상 전극(2, 3) 및 전극 간 배선(4)은, 특히, 표시 장치와 조합할 경우(후술), 광투과율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그물망 형상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개구율이 90% 이상의 그물망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세선이 시인되기 어려워, 표시 화면의 시야가 밝아진다.
또한, 섬 형상 전극(2, 3), 전극 간 배선(4), 인출 배선은 연성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연성 선재는, Au, Ag, Cu, Al 등의 금속, 이들의 합금, 도전성 카본, 도전성 유기 화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그물망 형상 도체는, 예를 들면, 도전 잉크의 인쇄에 의한 방법, 도체 박막의 에칭에 의한 방법,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금속 증착 방법, 은염을 이용한 도전성 은 형성법에 의한 방법 등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물망 형상 도체와 연성 선재에 따른 특징에 의해, 평면을 곡면으로 성형해도 단선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섬 형상 전극은, 격자 형상(이차원적)으로, 배치된다. 필름 표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과, 필름 이면에 형성된 섬 형상 전극은, 서로, 실질상,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의 섬 형상 전극에 의해, (x, y) 위치에서의 용량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순차 검출되면, 멀티터치의 검출이 가능하다.
용량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자기 용량 방식과 상호 용량 방식이 있다.
자기 용량 방식에서는, x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해서, 순서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해서, 순서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된다. 터치 위치에 대향하는 x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A, 및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와, GND(그라운드) 사이의 용량이 증가하므로, 섬 형상 전극렬 A 및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이, x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A 및 y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의 조합 이외의 x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A' 및 y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과 다른 파형으로 된다. 터치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는, 섬 형상 전극렬로부터 공급된 전달 신호에 의거해서, 터치 위치를, 연산한다.
상호 용량 방식에서는, 예를 들면 x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해서, 순서대로, 터치 위치 검출을 위한 전압 신호가 공급되고,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에 대해서, 순서대로, 센싱(전달 신호의 검출)이 행해진다. 터치 위치에 대향하는 x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A와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 사이의 기생 용량에 대해서, 병렬로, 지시체의 부유 용량이 더해진다.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전달 신호의 파형은, y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 이외의 y방향의 섬 형상 전극렬 B'로부터의 파형과는 다른 파형이다. 따라서, 터치패널 제어·신호 처리 회로는, 전압 신호를 공급하고 있는 x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의 순번과, 공급된 y방향으로 배열된 섬 형상 전극렬로부터의 전달 신호에 의거해서, 터치 위치를, 연산한다.
평면 시트(1)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명할 필요는 없지만, 표시 장치와 조합하는 경우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평면 시트(1)를 가열 포밍에 의해, 곡면 형상체로 성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입력 영역(11)에 상당하는 범위를 돔 형상으로 성형한다.
또한, 최외층에 하드 코트층을 설치한다. 하드 코트층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1㎛∼20㎛이다. 또한 불필요 부분을 트리밍해도 된다.
∼적용예와 효과∼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차의 스티어링에 적용한다.
현재, 차의 운전 중이어도, 차내 온도 조정, 오디오의 선곡, 음량 조정 등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들 조작패널은 센터 콘솔에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시, 앞쪽으로부터 센터 콘솔에 한 순간 시선을 옮긴다. 그러나, 차의 운전 중에, 한 순간이어도 시선을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한 순간이어도 손을 스티어링으로부터 떼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런데, 터치패널의 특징 중 하나는, 임의의 위치에 각 기능의 입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적용예에서는, 조작패널을 터치패널로 대체하여, 차의 스티어링에 적용한다.
일례로서, 제2 입력 영역(12)(평면부)에 있어서, 돔 근방 상하좌우(도시)의 사방의 위치에 각각 선택 기능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차내 온도 조정, 오디오의 선곡, 음량 조정 등이 선택 가능하다.
제1 입력 영역(11)에 있어서, 돔 주연부(周緣部)(경계부(13) 부근)에는, 강약 조정 기능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음량 조정의 경우, 시계 방향은 약에서 강으로, 반시계 방향은 강에서 약으로의 지시를 입력한다. 제1 입력 영역(11)에 있어서, 돔 정부에는, 결정 기능을 할당한다.
예를 들면, 운전 중에 음량을 높이고 싶은 경우는, 돔 근방 상측의 평면부를 더블탭해서 음량 조정을 선택하고, 돔 주연부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슬라이딩(다이얼)하고, 돔 정부를 원탭해서 음량 조정을 종료한다.
이때, 돔을 중심으로, 운전자는 터치패널의 어디에 손을 대고 있는가? 대략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평면뿐인 입력 영역에서는, 입력 위치의 시각 확인이 필수이다.
이것에 대하여, 터치패널(10)에서는, 경계부(13)가 있기 때문에, 촉감에 의한 제1 입력 영역(11)과 제2 입력 영역(12)의 식별이 용이하다. 돔 형상의 촉각 인식이 용이한 것은 물론, 돔과의 상대 위치에 의해, 평면 형상에서의 촉각 인식도 용이해진다. 이것에 의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10)은, 복수의 조작 기능을 하나로 집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어, 터치패널(10)을 스티어링 좌우 양단의 엄지손가락 가동(可動) 범위에 배치할 수 있다.
배치 위치와 촉감 식별에 의해, 운전자는, 운전 중 시선을 바꾸지 않으며, 또한, 손을 스티어링으로부터 떼지 않고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오조작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은, 기계적인 조작패널과 같은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다.
본 적용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필수는 아니다. 탭의 확인이나 설정한 온도나 음량 등을 음성에 의해 통지해도 된다. 또한, 터치패널(10) 내에 광원을 설치하고, 광원 ON/OFF, 광량, 색 변화에 의해, 탭의 확인이나 설정한 온도나 음량 등을 통지해도 된다. 별도로, 스티어링 중앙에 표시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물론, 터치패널(10)과 표시 장치를 조합해서 입출력 일체화 장치로 해도 된다.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여도 된다. 터치패널(10)은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입력 영역(12) 상당 위치에, 조작 선택 버튼을, 경계부(13) 상당 위치에, 강약 표시를, 제1 입력 영역(11) 상당 위치에 설정 온도, 선곡 번호, 설정 음량 등을 표시한다.
또, 돔 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제1 입력 영역(11) 상당 위치의 표시를 인식하지만, 간단한 수치 표시이면, 시인성에 지장은 없다.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 대신에,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이용해도 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곡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터치패널(10)의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의 특징 중 하나는, 임의의 위치에 각 기능의 입력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 장치에 선택 메뉴를 표시하고, 선택 메뉴로부터 원하는 조작을 선택함으로써, 더 복잡한 조작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터치패널(20)은, 산복(山腹) 형상과 산정(山頂)에 설치된 대지(臺地) 평면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터치패널(20)은, 제1 입력 영역(21)과 제2 입력 영역(22)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21)은 볼록 형태 돔의 산복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입력 영역(22)은, 산정 대지면에 설치되고, 평면 형상(곡률 제로)이다. 제2 입력 영역(22)은, 제1 입력 영역(21)의 내측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입력 영역(21)은, 제2 입력 영역(2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입력 영역(21)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40(곡률 반경 40㎜)이고, 제2 입력 영역(22)의 곡률은 제로(곡률 반경 무한대)이다. 즉, 2개의 곡률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21)과 제2 입력 영역(22)은, 연속해 있고,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23)가 형성된다.
그 밖의 구성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방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적용예와 효과∼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차의 조작패널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 영역(22)이 중앙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를 제2 입력 영역(22) 상당 위치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입력 영역(22) 상당 위치에 있어서, 사방에 조작 선택 버튼을, 중앙에 설정 온도, 선곡 번호, 설정 음량 등을 표시한다. 경계부(23) 상당 위치에, 강약 표시를 표시한다. 한편, 제1 입력 영역(11)의 경계부 부근에, 강약 조정 기능을 할당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 슬라이딩 동작이 용이해진다.
∼변형예∼
제1 입력 영역(21) 외측의 평면에, 제3 입력 영역(24)을 설치해도 된다.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25)가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입력 영역이 증가함에 의해, 더 복잡한 조작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경계부(25)가 있기 때문에, 촉감에 의한 제1 입력 영역(21)과 제3 입력 영역(24)의 식별이 용이하다. 이것에 의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 형상에 대하여 언급하지만, 골 형상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3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터치패널(30)은, 평면과 돔 형상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터치패널(30)은, 제1 입력 영역(31a, 31b)과 제2 입력 영역(32)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31a, 31b)은, 오목 형태의 돔 형상을 하고 있다. 제2 입력 영역(32)은 평면 형상(곡률 제로)이다. 제1 입력 영역(31a, 31b)은, 제2 입력 영역(32)의 내측에 병설되어 있다.
제1 입력 영역(31a, 31b)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40(곡률 반경 40㎜)이고, 제2 입력 영역(12)의 곡률은 제로(곡률 반경 무한대)이다. 즉, 2개의 곡률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31a, 31b)과 제2 입력 영역(32)은,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33a, 33b)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 형태 돔 형상에 대하여 언급하지만, 볼록 형태 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양손에 대응하도록 제1 입력 영역을 2개로 한 것이다.
그 밖의 구성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방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적용예와 효과∼
도 7은 제3 실시형태의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에 적용한다.
예를 들면, 다이얼 회전 동작을 제1 입력 영역(31a, 31b)의 경계부 근방에 할당하고, 커서 이동 동작을 제1 입력 영역(31a, 31b) 중앙에 할당하고, 버튼 가압 동작을 제2 입력 영역(32)에 할당한다.
제3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며,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장착하면 컨트롤러의 시인을 할 수 없지만, 터치패널(30)에서는, 촉감에 의한 입력 영역의 식별이 용이하다. 특히, 경계부(33a, 33b)가 있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다른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이면(표시면과 반대측)에 적용한다.
현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에서는, 터치패널과 표시 장치를 조합해서 입출력 일체화 장치로 하는 것이 주류이다. 직관적인 입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한편, 디스플레이가 손가락의 기름으로 더러워진다는 단점도 있다.
본 적용예에서는 이면의 터치패널(30)에, 표면의 표시 화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입력 기능을 할당한다. 특히, 메뉴에서 다이얼 선택하는 경우는, 다이얼 화면을 제1 입력 영역(31a, 31b)과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한다. 즉, 표시 화면을 보면서, 대응하는 위치에, 이면으로부터 입력한다.
터치패널(30)에서는, 촉감에 의한 입력 영역의 식별이 용이하기 때문에, 입출력 일체화 장치에 준하는 직관적인 입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디스플레이를 직접 만지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가 더러워지지 않는다.
<제4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치패널(40)은, 볼록 형태 돔 형상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오목 형태 돔 형상이어도 된다. 돔 형상에는, 입력 영역(41)이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입력 영역이 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방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적용예와 효과∼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가전기기(도시에서는 세탁기)의 컨트롤러에 적용한다.
최근의 가전기기는, 비교적 큰 표시패널이 탑재되어 있다. 가전기기 사용자는, 표시패널을 보면서, 컨트롤러에 의해, 지시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돔 주연부에는, 다이얼 선택 기능을 할당한다. 돔 정부에는, 결정 기능을 할당한다.
터치패널(40)은, 기계적인 스위치와 같은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다.
적용예에서는, 세탁기에 대하여 언급했지만, 청소기, 전자렌지, 냉장고, 밥솥, 에어컨디셔너 등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제5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터치패널(50)은, 평면과 곡면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터치패널(50)은, 제1 입력 영역(51)과 제2 입력 영역(52)을 갖는다.
제2 입력 영역(52)은 평면 형상(곡률 제로)이다. 제1 입력 영역(51)은, 제2 입력 영역(52)의 적어도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입력 영역(51)은, 제2 입력 영역(5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입력 영역(52)의 곡률은 제로(곡률 반경 무한대)이다. 제1 입력 영역(51)은 제2 입력 영역(52)에 연속하도록 완만한 곡률(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53)가 형성된다. 즉, 2개의 곡률을 갖는다. 수학적으로 불연속이어도 되며, 수학적으로 연속(미분 가능)이어도 된다.
제5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고, 제2 실시형태에 유사하다. 그 밖의 구성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방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적용예와 효과∼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에 적용한다. 터치패널과 표시 장치(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를 조합한 입출력 일체화 장치이다. 도 11은 적용예의 단면도와 단면 확대도이다.
제2 입력 영역(52)은,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제2 입력 영역(52)은 투명하다. 제1 입력 영역(51)은, 표시 영역의 외측(창틀부)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표시 영역은 사각형이므로, 창틀은 4변 존재한다. 적어도 1변에는, 제1 입력 영역(51)이 설치된다. 2∼4변이어도 된다.
일반적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는 측면부에 기계적인 음량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동영상 열람 중에 음량을 바꾸려고 생각하면, 한 순간 시선을 바꾸고, 음량 버튼을 시인해서, 음량 버튼을 조작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집중력이 떨어진다. 시인되지 않는 경우는 오조작의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터치패널(50)에서는 제2 입력 영역(52)에 슬라이딩 이동 동작에 의한 음량 조정 기능을 할당한다.
제2 입력 영역(52)은, 경계부(53)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촉감에 의해, 제1 입력 영역(51)과의 식별이 용이하다.
또한, 동영상 열람 중이면, 시선을 바꾸지 않아도, 제2 입력 영역(52)이 시야에 들어온다.
제2 입력 영역 위치와 촉감 식별에 의해, 동영상 열람자는, 동영상 열람 중, 시선을 바꾸지 않고 음량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오조작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50)은, 기계적인 조작 버튼과 같은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다.
도 12는 제5 실시형태의 다른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글라스형 디스플레이(광학 투과)의 컨트롤러에 적용한다.
터치패널(50)은, 팔찌 형상의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터치패널(50)은, 제1 입력 영역(51a, 51b)과 제2 입력 영역(52)을 갖는다.
제2 입력 영역(52)은 팔찌 중앙에 평면 장변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1 입력 영역(51a, 51b)은, 제2 입력 영역(52)의 장변 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입력 영역(52)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 장치가 없어도 된다. 표시 장치가 있으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글라스형 디스플레이는, 소위 웨어러블 디바이스라 하고, 외출처에서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컨트롤러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2 입력 영역(52)의 장변 방향에는, 슬라이딩 이동 동작에 의한 메뉴 선택 기능을 할당하고, 제1 입력 영역(51a, 51b)에는, 더블탭에 의한 선택 결정 기능을 할당한다.
조작자는, 제2 입력 영역(52) 상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딩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의 화면을 차례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화면으로 된 경우는, 손가락의 이동처의 제1 입력 영역(51a, 51b)을 더블탭함에 의해, 표시 화면을 결정한다.
이때, 터치패널(50)에서는, 경계부(53)가 있기 때문에, 촉감에 의한 제1 입력 영역(51)과 제2 입력 영역(52)의 식별이 용이하다. 이것에 의해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도 팔찌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동작에 부자연함이 없다. 예를 들면, 걸으면서의 조작도 가능하다.
<제6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6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터치패널(60)은, 복수의 곡면으로 구성되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60)은, 제1 입력 영역(61)과 제2 입력 영역(62)과 제3 입력 영역(63)을 갖는다.
제1 입력 영역(61)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30(곡률 반경 30㎜)이다. 제2 입력 영역(62)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90(곡률 반경 90㎜)이다. 제3 입력 영역(63)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R150(곡률 반경 150㎜)이다.
제1 입력 영역(61)과 제2 입력 영역(62)은, 연속해 있고,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64)가 형성된다. 제2 입력 영역(62)과 제3 입력 영역(63)은, 연속해 있고, 영역의 경계에는 경계부(65)가 형성된다. 또, 도 13에서는 수학적으로 연속이지만, 수학적으로 불연속(미분 불가능)이어도 된다.
제1 입력 영역(61)과 제2 입력 영역(62)에서는, 곡률의 양음이 역전해 있다. 또한, 제2 입력 영역(62)과 제3 입력 영역(63)에서는, 곡률의 양음이 역전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입력 영역이 명확해진다.
제6 실시형태도,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이다. 제1 실시형태의 곡면 형상체가 평면과 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하여, 제6 실시형태의 곡면 형상체는 복수의 곡면으로 구성된다. 즉 평면이 없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방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적용예와 효과∼
도 15는 제6 실시형태의 적용예이다. 차내의 센터 콘솔에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차내의 센터 콘솔에는, 카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 기기나 실온 조정 조작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좁은 영역에 복수의 기능을 채워넣기 위하여, 번잡하게 되기 쉬워, 디자인에 제약이 있다.
본 적용예에서는, 터치패널(60)과 표시 장치를 조합한 입출력 일체화 장치를 센터 콘솔에 적용한다. 표시 장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는 곡면 형성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터치패널(60)의 표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 입력 영역(61) 상당 위치에 실온 조정 조작패널을 표시하고, 제2 입력 영역(62) 상당 위치에 오디오 기기를 표시하고, 제3 입력 영역(63) 상당 위치에 카 내비게이션(지도)을 표시한다. 각 입력 영역에는, 각각 대응하는 조작패널을 할당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조작패널이기 때문에, 사용하는 조작패널을 확대 표시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조작성이 향상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표시 OFF로 하면, 민짜의 센터 콘솔 표면만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정연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다.
터치패널(60)은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제약이 없다. 디자이너는 차내 인테리어의 디자인을 할 때에, 조작패널의 배치 등에 번거로워지지 않는다.
또한, 터치패널(60)은, 기계적인 조작패널과 같은 가동부가 없기 때문에, 고장의 우려가 적다.
도 16은 본 적용예의 변형예이다.
상기 적용예에서는, 표시 장치에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이용했지만, 리어 프로젝션 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터치패널(60)과 리어 프로젝션 필름(66)을 조합한다.
배면으로부터 소형 프로젝터(67)에 의해 조작패널 등의 화상을 투영하면, 센터 콘솔에 조작패널 등이 표시된다.
도 17은 제6 실시형태의 다른 적용예이다. 애완 로봇에 적용한다.
최근, 전혀 새로운 인터페이스로서 애완 로봇이 주목되고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에 대하여 심리적으로 저항이 있는 노인이어도, 애완 로봇에 대해서는 저항이 없는 경우도 많다.
한편, 터치패널(60)은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기 때문에, 애완 로봇의 머리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애완 로봇의 머리나 등을 쓰다듬었을 경우, 건강 상태에 따라서 쓰다듬는 방식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터치패널(60)은 쓰다듬는 방식의 차이를 검출한다. 애완 로봇은 의료 기관에 검출 데이터를 송신한다. 의료 기관은 검출 데이터를 해석하여, 노인의 건강 상태를 추측한다.
터치패널(60)과 표시 장치를 조합한 입출력 일체화 장치로 해도 된다.
또한, 애완 로봇이 음성 지시를 출력함에 의해, 터치패널(60)은 입력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음성 출력하는 질문 내용을 양자택일로 하고, 머리 또는 등 중 어느 하나에 탭 입력한다.
<제7 실시형태>
∼구성∼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제7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터치패널(70)은, 볼록 형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볼록 형태 곡면에는 입력 영역(71)이 설치된다. 입력 영역(71)은 한 곡면에 있어서, X방향 곡률(73)과 Y방향 곡률(74)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면, 도 19에 있어서, X방향 곡률 반경(73)은 R800(곡률 반경 800㎜)이고, Y방향 곡률 반경(74)은 R600(곡률 반경 600㎜)이고, 2개의 곡률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록 형태 곡면에 대하여 언급하지만, 오목 형태 곡면으로 해도 된다.
∼적용예와 효과∼
예를 들면, 터치패널(70)과 입체 영상 표시 장치를 조합한 입출력 일체화 장치에 적용한다.
화면이 볼록 형태 곡면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입체 영상의 입체감이 더 강조된다.
표시 장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여도 되며, 리어 프로젝션 장치여도 된다.
터치패널(70)은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 가능하기 때문에, 볼록 형태 곡면의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20은 제7 실시형태의 다른 적용예이다. 예를 들면, 글라스형 디스플레이(광학 투과)의 컨트롤러에 적용한다. 즉, 도 12(제5 실시형태)와 용도는 같다.
터치패널(70)은, 팔찌 형상의 볼록 형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곡면 형상체에 설치된다. 볼록 형태 곡면에는 입력 영역(71)이 설치된다. 입력 영역(71)은 한 곡면에 있어서, X방향 곡률(73)과 Y방향 곡률(74)이 서로 다르다.
입력 영역(71)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 장치가 없어도 된다. 표시 장치가 있으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글라스형 디스플레이는, 소위 웨어러블 디바이스라 하고, 외출처에서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컨트롤러도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입력 영역(71)에 있어서, 장변 방향에는, 슬라이딩 이동 동작에 의한 메뉴 선택 기능을 할당하고, 슬라이딩 이동처에는, 더블탭에 의한 선택 결정 기능을 할당한다.
조작자는, 입력 영역(71) 상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딩함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의 화면을 차례로 이동시키고, 원하는 화면으로 된 경우는, 손가락의 이동처를 더블탭함에 의해, 표시 화면을 결정한다.
이때, X방향 곡률(73)과 Y방향 곡률(74)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곡면 정부가 형성된다. 정부의 위치에 대한 촉감에 의한 식별은 용이하다. 따라서, 정부로부터의 이동 거리에 의거해, 터치패널의 어디에 손을 대고 있는가? 대략 인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조작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도 팔찌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기 때문에, 동작에 부자연함이 없다. 예를 들면, 걸으면서의 조작도 가능하다.
<그 외>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적용예에 대하여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의 조합 등,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터치패널은, 복수의 전극이 배치된 평면 시트 필름으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자는, 전극이나 전극 간 배선에 연성 선재를 이용하며, 또한, 가열 포밍 공법을 이용하면, 평면 시트를 신장해도 단선의 우려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극이나 전극 간 배선을 그물망 형상 도체로 함에 의해, 또한 단선의 리스크가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평면 시트를 신장함에 의해, 평면 시트를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지 않을까?라고 착상하여, 곡면 터치패널을 시작(試作)했다.
다양한 형상의 곡면 터치패널을 시작한 바, 모두, 단선되지 않으며, 또한, 터치패널의 위치 검출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 곡률 반경 40㎜와 같은 비교적 곡률이 큰 곡면이어도 문제없이 성형할 수 있었다.
또한, 본원 발명자는, 다양한 곡면 터치패널의 적용 범위에 대하여 검토했다(제1∼8 실시형태 참조). 본원 발명을 적용함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는 얻을 수 없는 현저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상의 시행 착오를 거쳐 완성에 이른 것이다.
1 : 평면 시트 2 : 섬 형상 전극(렬)
3 : 섬 형상 전극(렬) 4 : 전극 간 배선
10 : 터치패널 11 : 제1 입력 영역
12 : 제2 입력 영역 13 : 경계부
20 : 터치패널 21 : 제1 입력 영역
22 : 제2 입력 영역 23 : 경계부
24 : 제3 입력 영역 25 : 경계부
30 : 터치패널 31 : 제1 입력 영역
32 : 제2 입력 영역 33 : 경계부
40 : 터치패널 41 : 입력 영역
50 : 터치패널 51 : 제1 입력 영역
52 : 제2 입력 영역 53 : 경계부
60 : 터치패널 61 : 제1 입력 영역
62 : 제2 입력 영역 63 : 제3 입력 영역
64 : 경계부 65 : 경계부
66 : 리어 프로젝션 필름 67 : 프로젝터
70 : 터치패널 71 : 입력 영역
73 : X방향 곡률 반경 74 : Y방향 곡률 반경

Claims (11)

1매의 평면 시트의 가열 포밍에 의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곡면 형상체와, 상기 곡면 형상체에 설치되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에, 연성 선재(線材)가 Ⅹ방향 및 Y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열됨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배열되는 전극렬의 말단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및 인출 배선은,
도체 박막의 에칭 또는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금속 증착에 의해, Au, Ag, Cu, Al의 1 또는 2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성 선재, 또는,
은염을 이용한 도전성 은 형성에 의해 Ag 화합물로 구성되는 연성 선재에 의해,
개구율 90% 이상의 그물망 형상 도체로 해서,
상기 평면 시트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 영역은,
제1 입력 영역과, 상기 제1 입력 영역과 곡률(曲率)이 서로 다른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과 제2 입력 영역은 연속하고,
눈으로 보지 않아도 촉각 식별할 수 있는 바와 같은 경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역과 제2 입력 영역에서는, 곡률의 양음(正負)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영역의 곡률은 제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의 내측에 돔 형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매의 평면 시트의 가열 포밍에 의해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곡면 형상체와,
상기 곡면 형상체에 설치되는 입력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에, 연성 선재가 Ⅹ방향 및 Y방향으로 격자 형상으로 배열됨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배열되는 전극렬의 말단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 및 인출 배선은,
도체 박막의 에칭 또는 증착 마스크를 사용한 금속 증착에 의해, Au, Ag, Cu, Al의 1 또는 2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연성 선재, 또는,
은염을 이용한 도전성 은 형성에 의해 Ag 화합물로 구성되는 연성 선재에 의해,
개구율 90% 이상의 그물망 형상 도체로 해서,
상기 평면 시트 내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입력 영역의 Ⅹ방향 곡률과 상기 입력 영역의 Y방향 곡률이 서로 다르고,
눈으로 보지 않아도 촉각 식별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정부(頂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곡면 형상체는 투명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일체형 표시 장치.
프로젝터와,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패널의 곡면 형상체가 상기 프로젝터의 투사면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일체형 표시 장치.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평면 시트 내에 상기 전극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시트를 가열 포밍에 의해 상기 곡면 형상체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167033546A 2014-11-10 2014-11-10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762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9707 WO2016075737A1 (ja) 2014-11-10 2014-11-10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一体型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678A KR20160148678A (ko) 2016-12-26
KR101762218B1 true KR101762218B1 (ko) 2017-07-27

Family

ID=5595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546A KR101762218B1 (ko) 2014-11-10 2014-11-10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24552B2 (ko)
EP (1) EP3147761A4 (ko)
JP (1) JP5935113B1 (ko)
KR (1) KR101762218B1 (ko)
CN (1) CN107077234B (ko)
TW (1) TW201640297A (ko)
WO (1) WO2016075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7674B2 (ja) * 2016-07-20 2019-02-13 Groove X株式会社 スキンシップを理解する自律行動型ロボット
KR102643635B1 (ko) * 2016-12-06 202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7037923B (zh) * 2017-03-02 2020-08-0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具双轴心曲面之触控面板的贴合结构
JP6672230B2 (ja) * 2017-03-23 2020-03-25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8002295A1 (de) 2017-03-23 2018-09-27 Futaba Corporation Touch Panel und Herstellungsverfahren eines solchen
JP6664346B2 (ja) * 2017-03-29 2020-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式操作装置、その作動方法及び作動プログラム
KR102249961B1 (ko) * 2017-08-08 2021-05-11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입력 장치
FR3096804B1 (fr) * 2019-05-27 2021-05-28 Zodiac Aero Electric Interface tactile semi-sphérique
FR3098619B1 (fr) * 2019-07-09 2021-07-16 Zodiac Aero Electric Interface tactile rétractable
JP6971354B2 (ja) * 2020-05-13 2021-11-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携帯用情報機器、ディスプレイ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及び携帯用情報機器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1907B2 (ja) * 2001-09-17 2007-09-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7099733A1 (ja) 2006-03-01 2007-09-07 Sharp Kabushiki Kaish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7279819A (ja) * 2006-04-03 2007-10-25 Sharp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8063330B2 (en) 2007-06-22 2011-11-22 Nokia Corporation Uniform threshold for capacitive sensing
US8048441B2 (en) * 2007-06-25 2011-11-0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Nanobead releasing medical devices
US20090115053A1 (en) * 2007-11-02 2009-05-07 Koduri Sreenivasan K Semiconductor Package Thermal Performance Enhancement and Method
WO2010079551A1 (ja) * 2009-01-07 2010-07-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JP2010244772A (ja) * 2009-04-03 2010-10-28 Sony Corp 静電容量式タッチ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静電容量式タッチ検出装置
JP5371840B2 (ja) * 2009-04-15 2013-12-18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2796B2 (ja) * 2011-03-31 2016-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体の駆動方法、振動装置、該振動装置を有する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5134706B2 (ja) * 2011-05-16 2013-01-3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曲面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曲面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KR101824036B1 (ko) * 2011-06-30 2018-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808966B2 (ja) * 2011-07-11 2015-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積層体、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5704018B2 (ja) * 2011-08-05 2015-04-22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符号化方法および装置
TWI581135B (zh) * 2011-09-30 2017-05-01 加拿都公司 觸感薄膜、觸感裝置及電子裝置
TWI467427B (zh) 2011-10-07 2015-01-01 Young Optics Inc 觸控顯示裝置
JP5916516B2 (ja) 2012-05-29 2016-05-1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3次元曲面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筐体
JP5850804B2 (ja) * 2012-06-19 2016-02-03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JP6004427B2 (ja) 2012-06-21 2016-10-05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操作検出装置
US9152355B2 (en) * 2012-07-20 2015-10-06 Pti Market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intable document job submission
JP2014026384A (ja) 2012-07-25 2014-02-06 Technew:Kk 三次元タッチ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7096B1 (ja) 2012-09-13 2013-11-20 株式会社ワンダーフューチャ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と表示装置を具備する入出力一体型装置
KR102040973B1 (ko) * 2012-12-14 2019-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JP5397557B2 (ja) 2013-01-24 2014-01-22 東洋紡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5737A1 (ja) 2016-05-19
JP5935113B1 (ja) 2016-06-15
CN107077234B (zh) 2020-07-14
CN107077234A (zh) 2017-08-18
US10324552B2 (en) 2019-06-18
JPWO2016075737A1 (ja) 2017-04-27
TWI562040B (ko) 2016-12-11
TW201640297A (zh) 2016-11-16
KR20160148678A (ko) 2016-12-26
US20170249037A1 (en) 2017-08-31
EP3147761A1 (en) 2017-03-29
EP3147761A4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218B1 (ko) 터치패널, 터치패널의 제조 방법, 및 터치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KR102251881B1 (ko) 터치 디바이스
CN107885401B (zh) 触摸面板和用于制造该触摸面板的方法
US93547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5103254A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CN103699255A (zh) 集成有触摸屏的显示装置
JP2013246626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KR20160088994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50248186A1 (en) Touch panel
US10067607B2 (en) Time domain reflectometry touch window sensor
JP2016042358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EP2966553B1 (en) Touch window
JP3181933U (ja) タッチ電極装置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CN104714676A (zh) 穿戴式电子装置
US9612695B2 (en) Touch panel
JP2018010472A (ja) 車内電子機器操作装置及び車内電子機器操作方法
JP2014048674A (ja) タッチパネル
JP545124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遠隔制御方法
KR20160050554A (ko) 터치 디바이스
US20140132540A1 (en) Touch panel and input method thereof
JP5696295B1 (ja) 電子機器
US9170614B2 (en) Touch input device
KR20150138637A (ko) 터치 패널
TWI537795B (zh) 觸控面板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