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640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640B1
KR101755640B1 KR1020100067894A KR20100067894A KR101755640B1 KR 101755640 B1 KR101755640 B1 KR 101755640B1 KR 1020100067894 A KR1020100067894 A KR 1020100067894A KR 20100067894 A KR20100067894 A KR 20100067894A KR 101755640 B1 KR101755640 B1 KR 101755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th
end portion
detection
sensor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058A (ko
Inventor
테츠히코 요코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07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2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수의 센서로 보풀에 의한 재봉 품질의 저하를 억제한다.
바늘판(14) 상의 피봉제물(C1, C2)에 하방으로부터 접하며 이송동작을 행하는 이송기어(1)와, 피봉제물에 상방으로부터 접하는 노루발(2)과, 이송기어에 의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대해 피봉제물의 바늘땀을 따른 단부의 위치를 이동 조절하는 단부조절기구와, 피봉제물의 단부가 소정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수단(43)과, 피봉제물의 단부와 바늘땀이 평행하게 되도록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단부조절기구의 조절구동원(4, 8)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3)을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제어수단은, 검지수단에 의한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상태가 계속되는 천 이송거리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조절구동원을 제어하며 단부조절기구에 의한 조절동작을 실행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본 발명은, 2장의 피봉제물의 단부 가장자리를 맞추면서 봉합하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하로 겹쳐진 2장의 피봉제물(천)의 단부 가장자리를 맞추면서 봉합하는 재봉기는, 2장의 천을 천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하이송수단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하이송수단에 대해 천 이송방향 상류측에 배치되고, 천의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일단(一端) 가장자리를 일치시키도록 천을 천 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천 이동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천 이동장치는, 바늘판 상면에서 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천을 이동시키도록, 천(C2,C1)에 각각 따로 접하며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축선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를 갖는 상하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와, 2장의 천의 각 일단 가장자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검지수단의 출력에 의해 상기 상하 매니퓰레이터의 각 롤러를 각각 따로 회전시키는 펄스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봉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봉제물은, 섬유에 의한 옷감(生地)이 많이 사용되며, 그리고 옷감을 천 패턴(布型)에 맞춰 절단하여 형상을 조정하고 있다. 이러한 옷감은, 절단된 천 단부에서 옷감의 섬유가 풀려, 천 단부로부터 섬유실이 튀어 나온 상태가 자주 발생한다.
이 때문에, 천 단부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검지수단이 튀어나온 섬유실(이후, ‘보풀’이라 함)을 천 단부로 오(誤)인식하여, 피봉제물을 옷감 안쪽으로 이동시키므로, 천(C2,C1)의 단부 가장자리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거나, 바늘이 옷감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하강하여 바늘땀을 매듭지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재봉기에서는, 천 단부를 검출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천 단부센서에 덧붙여, 상기 천 단부센서의 외측(천 단부를 경계로 하는 경우에서의 천의 반대쪽)에 수광소자로 이루어진 보풀검출센서를 설치한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재봉기에서는, 천 단부의 위치는 천 단부센서의 수광량의 변화에 따라 검출하고, 보풀에 대해서는 천 단부센서와 보풀검출센서의 양쪽에서 검출을 행하고 있다. 즉, 단순한 천 단부 위치의 변화라면 천 단부센서의 수광량의 변화만 생기고, 보풀일 경우에는 보풀검출센서까지 차폐하여 천 단부센서와 보풀검출센서의 양쪽에 광량 감소가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에 따라 천 단부의 위치변화와 보풀을 식별하여, 보풀에 의한 천 단부의 오인식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5(1993)-277273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재봉기는, 보풀의 검출을 전용으로 행하는 보풀검출센서가 필수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2개의 센서를 취급하기 때문에 검출회로가 복잡해지고, 제어부에서의 처리도 복잡해진다는 문제도 생겼다.
본 발명은, 부품수를 저감하고, 간단한 처리에 의해 오인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로 중첩시킨 2장의 피봉제물을 천 이송방향으로 각각 따로 이송시키는 천 이송수단과, 상기 2장의 피봉제물에 각각 따로 접하며 상기 2장의 피봉제물을 천 이송방향과의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작동체 및 작동체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가지고, 상기 2장의 피봉제물의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의 위치를 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하는 단부조절기구와, 상기 피봉제물의 일단부가 천 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부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상태가 계속되는 천 이송거리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는 보풀판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체를 제어하며 단부조절기구에 의한 조절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상태가 계속되는 천 이송거리에 대해서, 상기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문턱치가 되는 판정거리를 설정입력하는 문턱치 설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보풀판정수단은,
천 이송거리가 상기 판정거리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판정하는 동시에,
설정이송피치와 재봉기 주축 회전수로부터 판정시간을 산출하거나 또는 데이터표로부터 판정시간을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판정시간 내에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상태가 변화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보풀의 유무 판정 및 그것에 근거하는 상기 구동체의 제어 실행 유무를 설정하는 실행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보풀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를 산출하는 보풀길이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를 소정의 천 이송거리 간격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검지수단이 피봉제물의 단부를 검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정한 피봉제물의 단부가 검지된 경우에는 피봉제물의 이송이 행해져도 검지상태가 계속되지만, 검지되어 있는 것이 피봉제물의 단부가 아니라 보풀인 경우에는 보풀이 통과되어 버림에 따라 검지상태가 계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피봉제물의 단부가 검지된 상태에서 피봉제물의 이송이 소정 거리 이상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피봉제물의 단부와 보풀을 식별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출과 보풀의 검출을 공통의 검지수단으로 행할 수 있어, 개별 센서 및 그 처리회로의 설치가 필요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는 동시에,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문턱치가 되는 판정거리를 설정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적정한 판정거리를 설정함으로써, 보풀의 식별과 천 이송의 추종성의 밸런스를 보다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설정이송피치와 재봉기 주축 회전수로부터 판정시간을 산출하거나 또는 데이터표(천 이동량표)로부터 판정시간을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판정시간 내에 상기 검지수단의 검지상태가 변화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천의 단부와 보풀을 식별할 수가 있다. 또한, 문턱치가 되는 판정거리의 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실행선택수단에 의해, 보풀의 유무 판정과 조절동작제어의 실행 유무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풀이 생기기 쉬운 옷감에만 적용하는 등, 필요성에 따른 보풀 대책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보풀길이 산출수단에 의해 보풀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를 산출할 수가 있다. 또한, 문턱치 설정수단과 겸용하면, 보풀길이의 산출결과에 의해 보다 적절한 문턱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 및 7에 기재된 발명은, 천 단부 검지가 소정의 빈도로 행해지므로, 천 단부에 대한 추종성 및 보풀에 대한 응답성을 일정한 레벨로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은 상하이송 재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바늘낙하 근방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각 롤러의 구동에 관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하측롤러의 구동에 관한 기구를 도시한 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하측롤러의 구동에 관한 기구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솔레노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측롤러의 구동에 관한 기구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측롤러의 구동에 관한 기구를 도시한 상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천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천 센서의 검지에 대해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제어장치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천의 세팅시에서의 상하이송 재봉기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천 단부 위치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검지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천 단부의 검출위치를 확대한 설명도로서 보풀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천 단부의 검출위치를 확대한 설명도로서 보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주축 회전수마다 준비되는 설정피치와 판정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천 이동량표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천 단부 위치 제어의 상세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발명의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상하이송 재봉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에서, 상하이송 재봉기(100)는, 이송기어(1)와, 이송발(feed foot, 2)과, 하측롤러(3)와, 하측펄스모터(4)와, 하측연결기구(5)와, 하측솔레노이드(6)와, 상측롤러(7)와, 상측펄스모터(8)와, 상측연결기구(9)와, 상측솔레노이드(10)와, 분리판(11)과, 천 센서(12)와, 제어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하측롤러(3)와, 하측펄스모터(4)와, 하측연결기구(5)와, 하측솔레노이드(6)와, 상측롤러(7)와, 상측펄스모터(8)와, 상측연결기구(9)와, 상측솔레노이드(10)와, 분리판(11)과, 천 센서(12)는, 이송기어(1)에 의한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2장의 천(C1, C2)의 바늘땀을 따른 단부의 위치를 이동조절하는 단부조절기구를 구성한다.
(이송기어)
도 2에서, 천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이송기어(1)는, 바늘판(4) 상에 겹쳐져 올려진 2장의 천(C1, C2) 중, 하측의 천(C1)에 하방으로부터 접하며 이송 동작을 행한다. 이송기어(1)는, 천 이송방향을 따른 왕복동작을 부여하는 이송기어 전후이송기구(도시생략)와 상하방향을 따른 왕복동작을 부여하는 이송기어 상하이송기구(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어 타원운동을 행하고, 천(C1)을 노루발과의 사이에서 끼운 상태로 천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송발)
도 2에서, 천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이송발(2)은, 상측의 천(C2)에 상방으로부터 접하며 이송 운동을 행한다. 이송발(2)은, 천 이송방향을 따른 왕복동작을 부여하는 이송발 전후이송기구(도시생략)와 상하방향을 따른 왕복동작을 부여하는 이송발 상하이송기구(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어 타원운동을 행하고, 천(C2)을 바늘판(14)과의 사이에서 끼운 상태로 천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하측롤러)
도 2에서, 작동체로서의 하측롤러(3)는, 후술하는 스윙 아암(17)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승시에 바늘판(14) 상에 조금 돌출하도록 설치되며, 천(C1)에 하방으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 가능하게 접해 있다. 하측롤러(3)는,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축심(軸心)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그 외주면이 둘레방향에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펄스모터)
도 3 내지 도 5에서, 하측펄스모터(4)는 토대(土台, 16)에 고정되어 있다. 토대(16)에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스윙 아암(17)이 설치되어 있다. 스윙 아암(17)의 일단은 하측펄스모터(4)와 함께 토대(16)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스윙 아암(17)의 타단에는, 하측롤러(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 아암(17)은, 로드(rod)형상으로 형성되며, 스윙 아암(17)을 덮도록 벨트(15)가 하측롤러(3)와 하측펄스모터(4)의 출력축에 걸쳐져 있다. 이에 따라, 하측펄스모터(4)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그 회전은 벨트(15)를 통해 하측롤러(3)에 전달되어, 하측롤러(3)를 회전시킨다. 즉, 하측펄스모터(4)는 「구동체」로서 기능한다.
(하측연결기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연결기구(5)는, 상술한 토대(16) 및 스윙 아암(17)과, 회전축(21)과, 구동레버(22)와, 전달링크(23)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펄스모터(4)가 고정되는 토대(16)는, 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각(一角)에 회전축(21)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21)은, 그 일단부가 토대(16)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21)의 축 둘레의 회전과 함께 토대(16)도 회전한다. 회전축(21)의 타단부에는 구동레버(22)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레버(22)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의 판재이며, 그 일단부에 있어서 회전축(21)이 홀딩 고정되어 있다. 구동레버(22)의 타단부에는, 전달링크(23)의 일단부가 나사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전달링크(23)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板材)이며, 전달링크(23)의 타단부에는, 하측솔레노이드(6)의 플런저(62)가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측솔레노이드(6)는, 플런저(6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어, 플런저(62)가 연장되면 전달링크(23)를 밀어올리고, 수축하면 전달링크(23)는 지지하는 것이 없어져 자중(自重)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하측솔레노이드(6)의 하우징(60)에는 지지대(61)가 설치되어 있어, 플런저(62)가 구동하지 않을 때(수축되어 있을 때)에는, 전달링크(23)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하측솔레노이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솔레노이드(6)는, 재봉기의 상하방향(바늘의 상하방향)을 따라 플런저(62)가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측솔레노이드(6)는, 통전된 전류량에 따라 플런저(62)의 이동량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하측솔레노이드(6)는, 통전된 전류량에 따라 하측롤러(3)를 통해 천에 대한 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솔레노이드(6)는, 하우징(60), 플런저(62), 코일용 프레임(63), 코일(64), 자성부재(65)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60)은, 축받이(60A, 60B)를 지지하는 비자성체(60C)를 갖는다. 플런저(62)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축받이(60A, 60B)에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62)에 고정부착시킨 자성부재(65)는, 원통형상이며 그 일부에 축심으로부터의 직경을 바꾸는 단부(段部, 6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형상에 의해, 추력(推力)이 스트로크에 의존하지 않는 특정 스트로크 구간(이후에 상술함)이 얻어진다.
하측솔레노이드(6)는, 코일(64)에 통전(通電)됨으로써 플런저(62)를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방향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통전 전류의 증대에 따라 플런저(62)를 끌어들이는 추력을 증대시킨다. 이에 따라 하측롤러(3)에 의한 가압력 조정이 용이해진다.
즉, 하측솔레노이드(6)는 「하측가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측롤러)
도 3,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체로서의 상측롤러(7)는, 바늘판(14)의 상방에 설치되어, 천(C2)에 상방으로부터 접하며 이송기어(1)에 의한 천 이송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으로 천을 왕복 이동시킨다. 상측롤러(7)는, 상측연결기구(9; 상세는 후술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측롤러(7)는 그 외주면이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고, 천과 접했을 때에 상측롤러(7)가 천을 확실히 포착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롤러(7)는, 벨트(18)에 의해 상측펄스모터(8)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상측펄스모터)
상측펄스모터(8)는, 토대(31)에 고정되어 있다. 상측펄스모터(8)에는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스윙 아암(32)이 설치되어 있다. 스윙 아암(32)의 일단은 상측펄스모터(8)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스윙 아암(32)의 타단에는, 상측롤러(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윙 아암(32)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스윙 아암(32)을 덮도록 벨트(18)가 상측롤러(7)와 상측펄스모터(8)의 출력축에 걸쳐져 있다. 이에 따라, 상측펄스모터(8)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그 회전은 벨트(18)를 통해 상측롤러(7)에 전달되어, 상측롤러(7)를 회전시킨다. 즉, 상측펄스모터(8)는 「구동체」로서 기능한다.
(상측연결기구)
상측연결기구(9)는, 상술한 토대(31) 및 스윙 아암(32)과, 회전축(33)과, 구동레버(34)와, 전달링크(35)와, 회전링크(36)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펄스모터(8)가 고정되는 토대(31)는, 오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각에 회전축(33)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33)은, 그 일단부가 토대(31)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축(33)의 축 둘레의 회전과 함께 토대(31)도 회전한다. 회전축(33)의 타단부에는 구동레버(3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레버(34)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재이며, 그 일단부에서 회전축(33)이 홀딩 고정되어 있다. 구동레버(34)의 타단부에는, 전달링크(35)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달링크(35)는, 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형상의 판재이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결구멍(35a)이 형성되어 있다. 전달링크(35)의 타단부에는, 회전링크(36)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회전링크(36)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상측솔레노이드(10)의 하우징(70)에 부착된 판재(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링크(36)의 타단부는, 상측솔레노이드(10)의 출력축이 되는 플런저(7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측솔레노이드)
상측솔레노이드(10)는 전달링크(35)의 이동방향(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72)가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측솔레노이드(10)는, 하우징(70), 플런저(7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측솔레노이드(10)의 내부 구성은 하측솔레노이드(6)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측솔레노이드(10)는 「상측가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분리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1)은 바늘판(14) 상에 나사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분리판(11)은, 바늘판(14)에 부착하였을 때에, 그 선단이 바늘판(14)으로부터 부상(浮上)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즉, 분리판(11)에 의해, 바늘판(14) 상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지을 수 있으며, 분리판(11)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천이 이송된다.
이에 따라, 분리판(11)은 2장의 천 사이에 배치되며, 하측롤러(3)와 분리판(11)의 하면에서 천(C1)을 끼워 넣고, 상측롤러(7)와 분리판(11)의 상면에서 천(C2)을 끼워 넣는다.
(천 센서)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센서(12)는, 봉제시에 시접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천 단부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센서(12)는, 상측롤러(7)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 센서(12)는, 센서대(41)와, 2개의 천 유무센서(42; 한쪽은 도시생략)와, 2개의 천 단부센서(43; 한쪽은 도시생략)와, 반사판(46)을 구비하고 있다.
센서대(41)에는, 천이 진입할 수 있도록 바늘판(14) 상에 올려진 천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a)는, 각 롤러(3, 7)가 천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파내려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a)의 상측 벽면 및 하측 벽면은, 천의 진행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V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a)의 상측 벽면 및 하측 벽면에는, 앞쪽(천의 진입쪽, 즉 오목부(41a)의 개구쪽)에 발광센서(42a)와 수광센서(42b)로 이루어진 천 유무센서(42)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벽면의 천 유무센서(42)는, 천(C2)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며, 하측 벽면의 천 유무센서(42)는, 천(C1)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오목부(41a)의 상측 벽면 및 하측 벽면에는, 안쪽(오목부(41a)의 안쪽)에 발광센서(43a)와 수광센서(43b)로 이루어진 천 단부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상측 벽면의 천 단부센서(43)는, 천(C2)의 천 단부가 소정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하측 벽면의 천 단부센서(43)는, 천(C1)의 천 단부가 소정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즉, 상기 상하이송 재봉기는, 천 단부센서(43)에 의해 천 단부를 검출하고, 상기 천 단부의 소정 거리 내측의 소정 위치에 항상 재봉바늘이 하강하도록, 후술하는 제어장치(13)에 의해 단부조절기구의 제어가 행해진다. 그리고, 각 롤러(3, 7)에 의한 천 이동방향(천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재봉바늘 - 천 단부센서(43)의 거리는, 천 단부로부터 바늘땀까지의 거리는, 일치하도록 센서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고, 천 단부센서(43)의 위치를 천 단부가 통과하도록 이송됨으로써 원하는 바늘땀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오목부(41a)의 상하방향 중앙부에는, 천의 진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반사판(46)이 설치되어 있다. 반사판(46)은, 각 발광센서(42a, 43a)로부터 발광된 광을 반사하는 것이며, 반사판(46)에 의해 반사된 광은 각 수광센서(42b, 43b)에 의해 수광된다.
여기서, 천(C2)은 반사판(46)과 상측 벽면의 천 유무센서(42) 및 천 단부센서(43)와의 사이에 진입할 수 있고, 천(C1)은 반사판(46)과 하측 벽면의 천 유무센서(42) 및 천 단부센서(43)와의 사이에 진입할 수 있다. 천이 진입되어 있으면, 각 발광센서(42a, 43a)로부터의 광을 천이 차단하여 반사판(46)에 의해 반사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각 수광센서(42b, 43b)는 광을 검지할 수가 없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천의 유무, 천 단부를 검지하고 있다.
즉, 천 센서(12)는,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가 천 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에 대해 소정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제어장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장치(13)는, 각종 연산처리를 행하는 CPU(51)와, 이송기어(1) 및 이송발(2)의 구동제어, 각 펄스모터(4, 8)의 구동제어, 각 솔레노이드(6, 10)의 구동제어에 관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52)과, CPU(51)의 처리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워크영역에 저장하는 RAM(53)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13)는, 천 유무센서(42)가 천이 있음을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 천 단부센서(43)에 의해 천 단부를 검지하고, 그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각 롤러(3, 7)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결정해서, 각 펄스모터(4, 8)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장치(13)는, 홈줄임 재봉을 행할 때에, 홈줄임량에 따라 롤러(3, 7)에 의한 천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해, 각 솔레노이드(6, 10)를 구동시킨다.
제어장치(13)에는, 봉제동작 및 이송기어(1) 및 이송발(2)의 구동원인 재봉기 모터(56)와, 그 축각도(軸角度)를 검출하는 인코더(57)와, 각 펄스모터(4, 8)와, 각 솔레노이드(6, 10)와, 각 천 유무센서(42, 44)와, 각 천 단부센서(43, 4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장치(13)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설정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입력수단으로서의 조작패널(54)과, 설정내용 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55)가 접속되어 있다.
(봉제전의 천의 세팅 동작)
다음으로, 상하이송 재봉기의 봉제전의 천의 세팅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제실행 전에 천을 세팅할 때에는, 제어장치(13)는, 천 유무센서(42)가 천(C1)을 검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단계 S1에서, 제어장치(13)는, 천 유무센서(42)가 천(C1)을 검지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1: YES), 제어장치(13)는, 하측솔레노이드(6)를 구동시켜, 하측롤러(3)를 상승시킨다(단계 S2). 또한, 제어장치(13)는, 하측펄스모터(4)를 구동시킨다(단계 S3). 이에 따라, 하측롤러(3)는 회전하면서 천(C1)에 맞닿는다. 하측롤러(3)가 천(C1)에 맞닿으면, 하측롤러(3)의 회전에 의해 천(C1)은 센서대(41)의 오목부(41a)에 끌려 들어간다.
이어서, 제어장치(13)는, 천 단부센서(43)가 천(C1)을 검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단계 S4에서, 제어장치(13)는, 천 단부센서(43)가 천(C1)을 검지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4: YES), 제어장치(13)는, 하측펄스모터(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5).
이어서, 제어장치(13)는, 천 유무센서(42)가 천(C2)을 검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
단계 S6에서, 제어장치(13)는, 천 유무센서(42)가 천(C2)을 검지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6: YES), 제어장치(13)는, 상측솔레노이드(10)를 구동시켜, 상측롤러(7)를 하강시킨다(단계 S7). 또한, 제어장치(13)는, 상측펄스모터(8)를 구동시킨다(단계 S8). 이에 따라, 상측롤러(7)는 회전하면서 천(C2)에 맞닿는다. 상측롤러(7)가 천(C2)에 맞닿으면, 상측롤러(7)의 회전에 의해 천(C2)은 센서대(41)의 오목부(41a)에 끌려 들어간다.
이어서, 제어장치(13)는, 천 단부센서(43)가 천(C1)을 검지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단계 S9에서, 제어장치(13)는, 천 단부센서(43)가 천(C2)을 검지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9: YES), 제어장치(13)는, 상측펄스모터(8)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10). 이상으로써, 봉제전의 천의 세팅 동작이 종료된다.
(천 단부 위치 제어)
다음으로, 상하이송 재봉기의 천 단부 위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 재봉기에서는, 봉제중에 있어서, 전술한 상하의 천 단부센서(43)에 의해 천 단부를 검출하고, 천(C2)과 천(C1)의 각 천 단부가 항상 천 단부센서(43)의 위치를 통과하도록 상측펄스모터(8)와 하측펄스모터(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천 단부센서(43)는, 수광센서(43b)에 의해 검출광 강도의 문턱치를 미리 정해 두고, 제어장치(13)는, 수광센서(43b)의 출력이 문턱치 미만인 경우에는 천 단부에서 차폐되어 있는 영역이 크기 때문에 「천 단부 있음(검지)」으로 판정하고, 문턱치 이상인 경우에는 차폐되어 있지 않거나 차폐되어 있는 영역이 작기 때문에 「천 단부 없음(비(非)검지)」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 천 단부센서(43)에 의한 천 단부 검지는, 봉제중에 주기적으로(예컨대 1[msec]마다) 실행된다.
천(C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어장치(13)는, 천(C2)의 천 단부가 천 단부센서(43)에 검지되면(도 13의 이점쇄선), 상측펄스모터(8)를 좌측 이동방향으로 구동제어하고, 천(C2)의 천 단부가 천 단부센서(43)에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도 13의 실선), 상측펄스모터(8)를 우측 이동방향으로 구동제어한다. 또, 천(C1)도 동일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이에 따라, 천(C1, C2)은, 각각 천 단부센서(43)를 중심으로 번갈아 좌우로 이동을 반복하여 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써 천 단부를 따라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 도 13에서는 설명을 위해, 진동폭을 크게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보다 작은 진동폭으로 천 이송이 이루어진다.
도 14에 있어서, 천 단부센서(43)의 검출영역(A) 내에서 천(C1 또는 C2)의 단부 가장자리에, 섬유실인 보풀(B)이 존재하면, 수광센서(43b)의 출력이 문턱치 미만이 되고, 제어장치(13)는 「천 단부 있음」이라고 판정한다. 그 결과, 어떠한 대처를 하지 않으면, 천 단부가 적정한 위치에 있어도, 천은 좌측으로 이동되어 버린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13)는, 미리 정해진 판정거리(L)만큼 천 이송이 행해질 때까지 「천 단부 있음」의 판정이 계속된 경우에 천이 좌측(천 단부 없음으로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측펄스모터(8) 및 하측펄스모터(4)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판정거리(L)는, 일반적인 보풀(B)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긴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전술한 조작패널(54; 문턱치 설정수단)로부터 그 수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광센서(43b)에 의해 천 단부 있음이라고 검지되어 있는 것이 보풀(B)이 없는 천 단부이면, 판정거리(L)의 이송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수광센서(43b)의 검출결과는 매회 「천 단부 있음」이라고 판정되게 되는데, 보풀(B)에 의해 천 단부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보풀(B)의 위치를 통과한 시점에서 「천 단부 없음」이라는 판정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천 단부 있음」의 판정이 행해지고 나서 판정거리(L)의 이송이 행해지는 동안, 상기 판정을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더 판정함으로써, 보풀(B)에 의한 천 단부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정거리(L)의 경과를 판정하기 위해, 제어장치(13)는, 수광센서(43b)가 천 단부 있음이라는 검출을 행한 시점으로부터 판정거리(L)의 이송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감시할 필요가 있다.
상하이송 재봉기는, 재봉기 헤드부에 설치된 이송피치 다이얼(60)로부터 매바늘마다의 천 이송량인 이송피치를 설정할 수가 있다. 설정된 이송피치는, 이송피치 다이얼(60)에 연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퍼텐쇼미터(potentiometer)에 의해 그 설정량이 제어장치(13)에 이송된다. 또, 이송피치 다이얼(60) 대신에, 조작패널(54)로부터 이송피치를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설정피치와 인코더(57)의 출력에 근거하는 재봉기의 주축 회전수(회전속도)로부터 천 이송량의 변화를 구할 수가 있다. 즉, 제어장치(13)는, 판정거리(L)의 이송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천 단부 있음」의 검출로부터의 경과시간(「판정시간」으로 함)에 의해 감시하고 있다.
도 16은, 주축 회전수마다 준비되는 설정피치와 판정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천 이동량표의 설명도이다.
상기 도 16의 천 이동량표는, 보풀은 최대라도 2[mm] 미만이라는 전제하에서 판정거리(L)를 2[mm]로 설정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좌측표는, 주축 회전수가 1000[rpm]에 대응하는 천 이동량표이다. 주축 회전수가 1000[rpm]인 경우, 주축 1 회전으로 설정피치분(分)의 천 이송이 행해지게 된다. 즉, 판정시간은 하기식 (1)에 의해 산출된다.
[판정시간] = [판정거리(L)] / ([설정피치]/[주기]) …(1)
주기는 0.06[s]가 되기 때문에, 예컨대, 설정피치가 1[mm]이면 0.12[s], 설정피치가 2[mm]이면 0.06[s], 설정피치가 3[mm]이면 0.04[s]가 된다.
또, 도 16에서는 설정피치에 대해 일부만 도시하고 있지만 천 이동량표에는 보다 세심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6의 우측표에는 주축 회전수가 2000[rpm]인 천 이동량표를 도시하고 있지만, 판정시간은 마찬가지로 상기 식(1)에 의해 산출된 것이다.
또한, 도 16에는 주축 회전수가 1000[rpm]과 2000[rpm]인 천 이동량표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보다 많은 주축 회전수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
제어장치(13)는, 봉제시에 천 단부센서(43)가 「천 단부 있음」으로 검출하면, 검출시의 인코더(57)의 출력으로부터 주축 회전수를 구하고, 대응하는 천 이동량표를 판독하여, 현재의 설정피치로부터 판정시간을 특정한다.
그리고, 시간계측(計時)을 개시하여, 상기 판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천 단부 있음」의 검출이 계속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천 단부 있음」의 검출이 정말로 천 단부의 검출에 기인하는 것인지 혹은 보풀의 오검출에 기인하는 것인지를 판정한다.
즉, 제어장치(13)는, 수광센서(43b)가 「천 단부 있음」이라는 검출을 행하면, 현재의 설정피치를 판독하여, 인코더(57)의 검출로부터 주축 회전수를 구하고, 대응하는 천 이동량표를 판독하여, 현재의 설정피치로부터 판정시간을 특정한다. 그리고, 그 이후, 판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msec]마다 행해지는 수광센서(43b)가 「천 단부 있음」의 검출을 유지하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수광센서(43b)는 천 단부를 검출한 것으로 하여 천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판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수광센서(43b)의 검출상태가 「천 단부 없음」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보풀의 오검출에 기인하였던 것으로 하여 천을 좌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3)은 보풀판정수단을 구성한다.
이하, 도 17의 플로우차트에 근거하여 천 단부 위치제어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 천(C2)과 천(C1)에 대한 천 단부 위치 제어는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지지만, 그 제어 내용은 거의 동일하므로, 상기 플로우차트에서는, 천(C2)에 대한 처리만을 나타내고, 천(C1)에 대한 제어의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주기적인 천 단부센서(43)에 의한 천 단부 검출을 실행한다(단계 S21). 그 결과, 수광센서(43b)의 검출광량이 문턱치를 넘어 「천 단부 없음」의 판정이 얻어진 경우에는, 상측솔레노이드(10)를 구동하여 소정의 가압력으로 상측롤러(7)를 천(C2)에 가압시키는 동시에 상측펄스모터(8)를 우측 이동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천(C2)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2). 그리고, 천 단부센서(43)의 다음 검출주기의 경과를 기다린 후(단계 S23), 단계 S21로 처리를 되돌려 다시 천 단부센서(43)에 의해 천 단부 검출을 실행한다.
또한, 단계 S21에 있어서, 수광센서(43b)의 검출광량이 문턱치 미만에서 「천 단부 있음」의 판정이 얻어진 경우에는, 현재의 설정피치를 판독하는 동시에 인코더(57)의 출력으로부터 재봉기의 주축 회전수를 산출한다(단계 S24).
또, 주축 회전수로부터 천 이동량표를 특정하고, 상기 천 이동량표를 참조하여 설정피치에 대응하는 판정시간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3)는, 판정시간의 시간계측을 개시한다(단계 S25). 그리고, 천 단부센서(43)의 다음 검출 주기의 경과를 기다린 후(단계 S26), 다시 천 단부센서(43)에 의해 천 단부 검출을 실행한다(단계 S27).
그 결과, 천 단부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 S21에서의 천 단부의 검출은 보풀에 의한 오검출이었던 것으로 하여, 단계 S22로 처리가 진행되며, 천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이때, 단계 S25에서 개시된 판정시간의 시간계측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27에서 「천 단부 있음」이라고 다시 검출되었을 때에는, 판정시간의 경과가 판정되고(단계 S28), 경과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26으로 처리를 되돌리며, 경과하였을 때에는, 단계 S21에서의 천 단부의 검출은 적정하였던 것으로 하여, 천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단계 S29). 또 이때, 단계 S25에서 개시된 판정시간의 시간계측은 종료된다. 그리고, 단계 S2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이에 따라, 다음 검출주기의 경과를 기다려, 단계 S21로 되돌리고, 다음의 새로운 천 단부 검출로 처리가 진행된다.
또, 상기 천 단부 위치 제어는, 봉제가 종료할 때까지 반복 실행된다.
(실시형태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이송 재봉기는, 천 단부센서(43)가 피봉제물의 단부를 검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검지되어 있는 것이 보풀인 경우에는 보풀을 통과시켜 버리면 검지상태가 계속되지 않는 것에 착안하여, 천의 단부가 검지된 상태에서 피봉제물의 이송이 소정 거리 이상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따라 천의 단부와 보풀과의 식별을 도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천(C1, C2) 단부의 검출과 보풀의 검출을 공통의 수광센서(43b)로 행할 수 있어, 개별 센서 및 그 처리회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는 동시에, 처리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송 재봉기에서는, 조작패널(54)에 의해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문턱치가 되는 판정거리를 설정입력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정한 판정거리를 설정함으로써, 보풀의 식별과 천 이송의 추종성의 밸런스를 보다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 상하이송 재봉기는, 하측롤러(3)를 천(C1)에 가압하는 하측솔레노이드(6)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6)의 추력을 제어장치(13)가 임의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홈줄임 재봉시에, 천(C1)에 대한 가압력의 제어에 의해 임의의 홈줄임량에서의 재봉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줄임 재봉을 행할 때에는, 1바늘마다의 이송피치가 변동되기 때문에, 판정거리(L)와의 비교에 있어서, 천(C1)으로의 가압력 혹은 이것을 결정하는 하측솔레노이드의 구동 전류값을 천의 이동거리의 산출에 고려해도 된다. 예컨대, 하측솔레노이드의 구동 전류값이 높아지면, 천(C1)으로의 가압력이 증가하고, 천 이동 속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천 이동량표에서 취득되는 판정시간에 대해, 구동 전류값이 높아짐에 따라 커지는 계수(係數)를 곱하여 판정시간이 길어지도록 수정해도 된다.
(기타)
상기 제어장치(13)에는, 예컨대 조작패널(54)에 의해, 보풀의 유무 판정과 조절 동작 제어의 실행 유무를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패널(54)이 실행선택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정가능해짐으로써, 보풀이 생기기 쉬운 옷감에만 적용하는 등, 필요성에 따른 보풀 대책을 세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3)에, 보풀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를 산출하는 보풀길이 산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게 해도 된다.
예컨대, 전술한 도 17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단계 S27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21에서의 「천 단부 있음」의 판정이 보풀을 원인으로 하는 것이므로, 단계 S25에서 개시된 시간계측에 의한 그때까지의 계시(計時)시간과 주축 회전수와 설정피치에 의해, 단계 S21에서의 「천 단부 있음」의 판정이 행해진 후 그때까지의 천 이동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상기 천 이동거리를 보풀의 천 이송방향 길이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보풀 길이는 RAM(53)에 기억시키거나 혹은 표시장치(55)에서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보폴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를 취득가능하게 됨으로써, 조작패널(54)로부터 설정하는 판정거리(L)를 보다 적정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3)은, 천 단부센서(43)에 의한 천 단부 검출을 주기적(1[msec]마다)으로 실행하고 있지만, 천(C1, C2)이 천 이송방향에 대해 미리 정해진 미소한 이동거리로 이동될 때마다 천 단부센서(43)에 의한 천 단부 검출을 실행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천 단부 있음」의 판정시에만 천(C1, C2)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봉제중에는 항상 인코더(57)의 출력을 감시하여 주축 각도를 구하고, 주축 각도와 설정피치로부터 천(C1, C2)의 이동량을 항상 또는 주기적으로 산출하며, 소정의 이동량으로 이동될 때마다, 천 단부센서(43)에 의한 천 단부 검출을 실행하여, 천 단부 위치 제어를 실행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천 단부 위치 제어에서는, 단계 S24에 있어서, 천 이동량표에 의해 판정시간을 취득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전술한 식(1)에 의해 그때마다, 판정시간을 산출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 이송기어와 이송발에 의해 천 이송방향으로 피봉제물을 이송하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이송롤러방식 혹은 벨트이송방식과 같이 다른 천 이송수단을 설치한 것으로 실시해도 된다.
1 : 이송기어
2 : 이송발(노루발)
3 : 하측롤러(작동체, 단부조절기구)
4 : 하측펄스모터(구동체, 조절구동원)
5 : 하측연결기구(단부조절기구)
6 : 하측솔레노이드(단부조절기구)
7 : 상측롤러(작동체, 단부조절기구)
8 : 상측펄스모터(구동체, 조절구동원)
9 : 상측연결기구(단부조절기구)
10 : 상측솔레노이드(단부조절기구)
11 : 분리판(단부조절기구)
13 : 제어장치(제어수단, 보풀판정수단, 보풀길이 산출수단)
14 : 바늘판
43 : 천 단부센서(검지수단)
54 : 조작패널(문턱치 설정수단, 실행선택수단)
C1 : 천(C1; 피봉제물)
C2 : 천(C2; 피봉제물)

Claims (7)

  1. 상하로 중첩시킨 2장의 피봉제물에 대하여, 하측의 피봉제물에 하방으로부터 접하며 이송 동작을 행하는 이송기어와, 상측의 피봉제물에 상방으로부터 접하면서 이송 동작을 행하는 이송발로 이루어지는 천 이송수단과,
    상기 2장의 피봉제물에 각각 따로 접하며 상기 2장의 피봉제물을 천 이송방향과의 직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작동체 및 작동체를 구동하는 구동체를 가지고, 상기 2장의 피봉제물의 천 이송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의 위치를 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하는 단부조절기구와,
    상기 피봉제물의 일단부가 천 이송방향과의 교차방향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부조절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상태가 계속되는 천 이송거리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는 보풀판정수단을 가지고, 상기 판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구동체를 제어하며 단부조절기구에 의한 조절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재봉기는,
    보풀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보다 긴 거리로 정해진 판정거리를,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문턱치로서 설정입력하는 문턱치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보풀판정수단은, 상기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상태가 계속되는 천 이송거리가 상기 판정거리에 도달했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고,
    상기 보풀판정수단은,
    상기 천 이송거리가 상기 판정거리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시간의 경과에 따라 판정하는 동시에,
    설정이송피치와 재봉기 주축 회전수로부터 판정시간을 산출하거나 또는 데이터표로부터 판정시간을 취득하는 동시에, 상기 판정시간 내에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검지상태가 변화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보풀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풀의 유무 판정 및 그것에 근거하는 상기 구동체의 제어 실행 유무를 설정하는 실행선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풀의 천 이송방향의 길이를 산출하는 보풀길이 산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를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에 의한 피봉제물의 단부의 검지를 소정의 천 이송 거리 간격으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100067894A 2009-07-15 2010-07-14 재봉기 KR101755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66374A JP5544057B2 (ja) 2009-07-15 2009-07-15 ミシン
JPJP-P-2009-166374 200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058A KR20110007058A (ko) 2011-01-21
KR101755640B1 true KR101755640B1 (ko) 2017-07-07

Family

ID=4348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894A KR101755640B1 (ko) 2009-07-15 2010-07-14 재봉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44057B2 (ko)
KR (1) KR101755640B1 (ko)
CN (1) CN1019563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8002B2 (en) 2014-07-17 2018-0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including contrast layer
CN105734840B (zh) * 2016-05-05 2018-10-23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步进电机送料的缝纫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7912B2 (ja) * 1987-05-14 1994-1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布縁倣い縫ミシン
JPH0349797A (ja) * 1989-07-18 1991-03-04 Brother Ind Ltd 布縁倣い縫ミシン
JPH05277273A (ja) * 1992-04-01 1993-10-26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布端位置制御装置
JPH06121890A (ja) * 1992-10-08 1994-05-06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布端制御装置
JPH06304366A (ja) * 1993-04-27 1994-11-01 Juki Corp ミシンの生地端位置測定装置
JP4623447B2 (ja) * 2001-01-31 2011-02-02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19665A (ja) 2011-02-03
CN101956303B (zh) 2014-08-13
CN101956303A (zh) 2011-01-26
KR20110007058A (ko) 2011-01-21
JP5544057B2 (ja)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347B1 (ko) 상하 이송 재봉기
TWI402390B (zh) 縫紉機
JP5574682B2 (ja) 上下送りミシン
EP2275594B1 (en) Top and bottom feed sewing machine
JP2016152823A (ja) ミシン
KR101755640B1 (ko) 재봉기
JP2011136127A (ja) ミシン
JP5329079B2 (ja) 玉縁縫いミシンの玉布押さえ機構
KR101453038B1 (ko) 재봉기
CN109295617A (zh) 缝纫机
JP2914809B2 (ja) 縫製装置及び縫製方法
JP7454916B2 (ja) ミシン
JP2013162859A (ja) ミシン
CN102041643A (zh) 自动缝制缝纫机
KR20160133205A (ko) 재봉기용 밑실 잔량 검출 장치
JP6894240B2 (ja) ミシン
JP2012080942A (ja) ミシン
JP2017070503A (ja) ミシン
CN109281077B (zh) 缝纫机
CN109281074B (zh) 缝纫机
US10767292B2 (en) Sewing machine
CN1101491C (zh) 缝纫机的线张力控制装置
CN113914021B (zh) 一种缝纫机中的送领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5137694A (ja) ミシン
CN111575929B (zh) 缝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