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774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774B1
KR101750774B1 KR1020117023200A KR20117023200A KR101750774B1 KR 101750774 B1 KR101750774 B1 KR 101750774B1 KR 1020117023200 A KR1020117023200 A KR 1020117023200A KR 20117023200 A KR20117023200 A KR 20117023200A KR 101750774 B1 KR101750774 B1 KR 10175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witching member
switching
tubular memb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497A (ko
Inventor
겐지 후나쿠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10)는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0)과, 차륜을 선회(旋回)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스터 기구(60, 80)와, 핸들(50)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위치에 유지되는 전환 부재(105)를 갖는 스위치 기구(100)를 구비한다. 캐스터 기구에 차륜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부재(75, 95)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로크 부재를 조작하는 전달 기구(120, 130)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
본 발명은 핸들이 전방으로 기운 위치와 후방으로 기운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각(前脚) 또는 후각(後脚)에 설치된 차륜이, 핸들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유모차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旋回) 가능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유아를 승차시키는 유모차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요즘에는,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대면 밀기 위치)와, 수직축보다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배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한 유모차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이 제2 위치에 있을 경우, 조작자(보호자)는, 유유아의 배면측에서 핸들을 파지하여,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아가게 할 수 있다. 한편, 핸들이 제1 위치에 있을 경우, 조작자는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을 파지하여,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를 밀고 나아가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진행 방향의 전방측의 각(脚)에 장착된 차륜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의 각에 장착된 차륜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JP2002-284015A에는, 전각 및 후각에 설치된 차륜이, 핸들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는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JP2002-284015A에 개시된 유모차에 있어서, 로크 전환 부재가 전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전환 부재는, 제1 위치(대면 밀기 위치)로 요동하는 핸들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차륜을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각의 경사 각도나 핸들의 요동 범위는, 승차감이나 조작성 등을 고려하여, 유모차의 그 밖의 구성과 관련시켜 설정된다. 따라서, 모든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이 로크 전환 부재를 가압하는 방향을, 로크 전환 부재의 슬라이딩 가능한 방향, 즉 전각이 연장되는 방향에 맞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핸들의 요동에 의해 로크 전환 부재를 매끄럽게 슬라이딩시킬 수 없는, 환언하면, 핸들에 의한 로크 전환 부재의 조작을 안정되고 확실히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무릇, 유모차의 전체적인 구성에 의해서는, 핸들을 파지하기 쉽게 하는 또는 핸들을 조작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핸들을 전각의 측방 위치까지 요동시키는 것이 부적당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핸들을 요동시켜 로크 전환 부재를 가압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핸들의 위치에 따른 차륜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되고 확실히 행할 수 있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는, 전각 및 후각을 갖는 프레임부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연결된 핸들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캐스터 기구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홀더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캐스터 기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환 부재를 갖는 스위치 기구와, 상기 스위치 기구와 상기 캐스터 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상의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제1 유지 위치와는 다른 상기 핸들상의 제2 유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와 걸어맞춰 상기 전환 부재를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유지하게 되는 제1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와 걸어맞춰 상기 전환 부재를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유지하게 되는 제2 걸어맞춤 부재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이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에 연결된 아암레스트(armrest)를 더 갖고, 상기 제1 걸어맞춤 부재 및 상기 제2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아암레스트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걸어맞춤 부재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됨과 함께,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걸어맞춤 부재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상기 전환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핸들상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환 부재에서 상기 핸들의 요동 중심까지의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와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서 다르게 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 내에, 혹은,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핸들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 내에 돌출 가능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중인 상기 핸들 혹은 당해 핸들에 장착된 부재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상기 전환 부재는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에 연결된 아암레스트를 더 갖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아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내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상기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가압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내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상기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가압되도록 구성된 제2 돌출부를 갖게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 또는 상기 제2 유지 위치를 향해 가압되도록, 상기 스위치 기구는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전각의 하단에 전각용 캐스터 기구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후각의 하단에 후각용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 및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 중 한쪽과 상기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1 상기 전달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 및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 중 다른 쪽과 상기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2 상기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위치에 있어서 전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위치에 있어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의 상기 차륜의 선회가 규제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의 상기 차륜의 선회가 규제되도록 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제2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핸들이 제1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전각용 캐스터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전각용 캐스터 기구의 종단면도로, 로크 부재가 로크 해제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로, 로크 부재가 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후각용 캐스터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후각용 캐스터 기구의 종단면도로, 로크 부재가 로크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스위치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유모차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스위치 기구의 일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 도 12에 나타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전환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프레임부(20)와, 프레임부(2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부(20)의 전각(22)의 하단에는, 전륜(61)을 갖는 전각용 캐스터 기구(60)가 설치됨과 함께, 프레임부(20)의 후각(24)의 하단에는, 후륜(81)을 갖는 후각용 캐스터 기구(8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면 JP2006-117012A),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핸들(50)을 프레임부(20)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유유아의 배면측에서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그리고, 조작자가 유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양쪽이 가능해져 있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 중에서, 유모차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에 승차하는 유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서의 지면(紙面)의 좌하와 우상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도 2 및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우의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유유아가 향하는 측으로, 도 1에서의 지면의 좌하측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의 지면의 좌측이 유모차(10)의 전측이 된다. 한편, 유모차(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횡방향」이란 폭방향으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우선,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프레임부(20) 및 핸들(5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횡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강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부(20)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22)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2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암레스트(28)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연결 로드(26)를 갖고 있다.
전각(22), 후각(24) 및 연결 로드(26)는, 통 형상 부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아암레스트(28)는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전각(22)의 상방 단부(端部)는,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24)의 상방 단부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 로드(26)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28)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부(20)는, 좌전각(22)과 좌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좌측방 연결 부재(32), 및, 우전각(22)과 우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우측방 연결 부재(32)를 더 갖고 있다. 각 측방 연결 부재(32)는, 그 전방 부분을 전각(22)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후방 부분을 연결 로드(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측방 연결 부재(3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0)는, 좌후각(24)과 좌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좌브래킷(34), 및 우후각(24)과 우연결 로드(26)를 연결하는 우브래킷(34)을 더 갖고 있다. 각 브래킷(34)은,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각(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부분에 있어서 연결 로드(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2)간을 연결하는 전측 상부 연결 스테이(36) 및 풋레스(38)와, 한 쌍의 후각(24)간을 연결하는 후측 상부 연결 스테이(40)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레스트(28)간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42)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20)에 대하여,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5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51a)와, 한 쌍의 직선부(51a)간을 연결하는 중간부(51b)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50)은 U자의 양단부를 대응하는 측의 브래킷(34)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핸들(50)의 브래킷(34)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브래킷(34)과 연결 로드(26)와의 회동 축선, 및 연결 로드(26)와 측방 연결 부재(32)와의 회동 축선과 일치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프레임부(20)에 대하여 요동하고, 핸들(50)의 직선부(51a)는 아암레스트(28)의 측방을 아암레스트(28)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아암레스트(28)의 측방을 이동 가능한 핸들(50)의 한 쌍의 직선부(51a)에는 전환 부재(10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전환 부재(105)는, 직선부(51a)를 따라 직선부(51a)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핸들(50)의 중간부(51b)에는, 전환 부재(105)의 슬라이딩을 원격 조작하는 원격 조작 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아암레스트(28)에는, 전환 부재(105)와 걸어맞춰 핸들(50)의 회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제1 걸어맞춤 부재(제1 걸어맞춤 돌기)(30a) 및 제2 걸어맞춤 부재(제2 걸어맞춤 돌기)(30b)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환 부재(105)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설치된 수용부(105a)를 갖고 있다. 도 10 중의 부분 단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105a)는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5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격 조작 장치(53)를 조작하여 전환 부재(55)를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전환 부재(105)와 걸어맞춤 부재(30a, 30b)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전환 부재(105)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수용부(105a)에 의해 걸어맞춤 부재(30a, 30b)를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전환 부재(105)와 걸어맞춤 부재(30a, 30b)를 걸어맞출 수 있다.
전방에 설치된 제1 걸어맞춤 돌기(30a)와 전환 부재(105)가 걸어맞춰 서로 걸림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대면 밀기 위치)(P1)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고정되었을 경우,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을 따르도록 하여 회동 축선(요동 중심)(O1)상에 도립(倒立)한 위치(도 3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유모차(10)의 전방으로 기운 상태(전각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후각(24)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유아에 대면하는 유모차(10) 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밀고 나아가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한편, 후방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30b)와 전환 부재(105)가 걸어맞춰 서로 걸림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2 위치(배면 밀기 위치)(P2)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2 위치(P2)에 고정되었을 경우,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을 따르도록 하여 회동 축선(요동 중심)(O1)상에 도립한 위치(도 2에서의 일점 쇄선의 위치)로부터 유모차(10)의 후방으로 기운 상태(후각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연결 로드(26)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유아의 배면측이 되는 유모차(10)의 후각측의 위치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유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밀고 나아가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걸어맞춤 부재(30a) 및 제2 걸어맞춤 부재(30b)와 걸어맞춤 가능한 전환 부재(10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캐스터 기구(60, 80)의 차륜(61, 81)의 선회를 규제 또는 규제 해제하기 위해, 핸들(50)의 요동 운동을 다른 운동으로 변환하는 스위치 기구(100)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 시킴으로써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압하함으로써, 브래킷(34)을 후각(24)에 대하여 도 2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아암레스트(28) 및 측방 연결 부재(32)는 연결 로드(26)에 대하여 도 2에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50)과 전각(22)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50)의 배치 위치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어, 유모차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밟으면 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4∼도 7을 참조하면서, 전각용 캐스터 기구(6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각(22)의 하단에는, 전각용 캐스터 기구(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두 개의 전각용 캐스터 기구(6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터 기구(60)는 전륜(차륜)(61)과, 전륜(61)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홀더(62)와, 차륜 홀더(62)에 설치되어, 차륜(61)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P11)와 차륜(61)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75)를 갖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홀더(62)는, 전각(22)에 고정된 베이스부(63)와, 핀(63a)을 통해 베이스부(63)에 고정된 샤프트(66)와, 샤프트(66)에 연결된 유지부(67)를 갖고 있다. 샤프트(66)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접지면에 대략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다. 유지부(67)는, 베어링(70)을 통해, 샤프트(6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유지부(67)는, 회전축(73)을 통해 전륜(6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캐스터 기구(60)에 있어서는, 유지부(67)가 샤프트(66)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차륜(61)이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다.
그런데, 회전축(73)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샤프트(66)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유모차(10)를 주행시킬 경우, 샤프트(66)의 축선이 회전축(73)보다 진행 방향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전륜(61)이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한다. 여기에서 도 5는, 유모차(10)가 전각측을 진행 방향 전방으로서 주행할 경우의 캐스터 기구(60)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유모차(10)가 후각측을 진행 방향 전방으로서 주행할 경우의 캐스터 기구(6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도 6에서 한 쪽의 전륜(61)은 생략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63)에는, 로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로크 부재(75)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75)는 핀(76)을 통해, 그 한쪽의 단부(75a)가 베이스부(63)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부재(75)는, 핀(76)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부(6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67)와 걸어맞추는 로크 위치(P11)와 유지부(67)에 걸어맞추고 있지 않은 로크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한다.
도 6 및 도 7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62)의 로크 부재(75)와 걸어맞추는 부분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 외주면(69a)의 일부분에, 로크 부재(75)가 끼워넣는 오목부(69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로크 부재(75)의 로크 위치(P11)란, 로크 부재(75)가 이 오목부(69b) 내에 들어가, 로크 부재(75) 및 샤프트(66)에 대한 유지부(67)의 회전이 규제되는 위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로크 부재(75)가 로크 위치(P11)에 배치되면, 전륜(61)의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한 선회 운동이 규제되어지게 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이 차륜의 선회 운동이 규제된 상태를, 단순히 로크 상태라고도 부른다. 또한, 로크 부재(75)는,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로크 해제 위치(P12)로부터 로크 위치(P11)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한 쌍의 후각(24)의 하단에 각각 설치된 후각용 캐스터 기구(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개의 후각용 캐스터 기구(80)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각용 캐스터 기구(80)는 전각용 캐스터 기구(6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스터 기구(60)는 후륜(차륜)(81)과, 후륜(81)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홀더(82)와, 차륜 홀더(82)에 설치되어, 차륜(81)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P11)와 차륜(81)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95)를 갖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 홀더(82)는 후각(24)에 고정된 베이스부(83)와, 핀(83a)을 통해 베이스부(83)에 고정되어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0)의 접지면에 대략 직교하여 연장되는 샤프트(86)와, 베어링(90)을 통해 샤프트(8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유지부(87)를 갖고 있다. 또한, 유지부(87)는, 회전축(93)을 통해 전륜(91)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회전축(93)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샤프트(86)의 축선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부(83)에는, 로크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로크 부재(95)가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95)는 핀(96)을 통해, 그 한쪽의 단부(95a)가 베이스부(83)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부재(95)는, 핀(96)을 중심으로 하여 베이스부(8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87)와 걸어맞추는 로크 위치(P11)와 유지부(87)에 걸어맞추고 있지 않은 로크 해제 위치(P12) 사이를 이동한다.
전각용 캐스터 기구(60)와 마찬가지로, 유지부(87)의 로크 부재(95)와 걸어맞추는 부분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 형상 외주면(89a)의 일부분에, 로크 부재(95)가 끼워넣는 오목부(89b)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로크 부재(95)의 로크 위치(P11)란, 로크 부재(95)가 이 오목부(89b) 내에 들어가, 샤프트(86)에 대한 유지부(87)의 회전이 규제되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로크 부재(95)는,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로크 해제 위치(P12)로부터 로크 위치(P11)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다음으로 스위치 기구(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기구(100)는, 캐스터 기구(60, 80)의 차륜(61, 81)의 선회를 규제 또는 규제 해제하기 위해, 핸들(50)의 회동 운동을 다른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위치 기구(100)는, 핸들(50)의 직선부(5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부재(105)를 갖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5)는 아암레스트(28)의 전방측에 설치된 제1 걸어맞춤 부재(30a)와 걸어맞춰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의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고, 아암레스트(28)의 후방측에 설치된 제2 걸어맞춤 부재(30b)와 걸어맞춰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의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5)가 제1 돌출 부재(30a)와 걸어맞춰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될 경우, 핸들(50)은 제1 위치(P1)에 위치함과 함께 제1 위치(P1)로부터의 요동을 규제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전환 부재(105)가 제2 돌출 부재(30b)와 걸어맞춰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될 경우, 핸들(50)은 제2 위치(P2)에 위치함과 함께 제2 위치(P2)로부터의 요동을 규제받게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상에 있어서, 제1 유지 위치(P21) 및 제2 유지 위치(P22)는, 서로 다른 위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환 부재(105)는, 핸들(50)의 직선부(51a)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부(51a)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5)에서 핸들(50)의 요동 중심(O1)까지의 핸들(50)의 직선부(51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L1, L2)가, 전환 부재(105)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위치해 있을 경우(도 10 중의 이점 쇄선)와 전환 부재(105)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위치해 있을 경우(도 10 중의 실선)에서 다르다.
더 상세하게는,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환 부재(105)에서 핸들(50)의 프레임부(20)에 대한 요동 중심(O1)까지의 핸들(50)의 직선부(51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L1)는,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의, 전환 부재(105)에서 핸들(50)의 프레임부(20)에 대한 요동 중심(O1)까지의 핸들(50)의 직선부(51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21)보다 길어져 있다. 즉,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핸들(50)이 제2 위치(P2)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와 비교하여, 전환 부재(105)는, 핸들(50)의 요동 중심(O1)으로부터 보다 이간(離間)한 보다 상방의 위치에 유지되어지게 된다.
또한, 핸들(50)의 직선부(51a) 내에는, 스프링(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에 의해, 전환 부재(105)는, 핸들(50)의 요동 중심(O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을 슬라이딩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중간부(51b)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53)를 조작할 경우에는, 핸들(50)에 내장된 스프링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환 부재(105)를 작동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전달 기구(120, 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위치 기구(100)와 캐스터 기구(60, 80) 사이에는, 스위치 기구(100)의 작동을 캐스터 기구에 전달하는 전달 기구(전달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두 개의 제1 전달 기구(120)가, 좌측 및 우측의 전각용 캐스터 기구(60) 및 스위치 기구(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제1 전달 기구(120)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제2 전달 기구(130)가, 좌측 및 우측의 후각용 캐스터 기구(80) 및 스위치 기구(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두 개의 제2 전달 기구(130)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각 전달 기구(120, 130)는, 제1 유지 위치(21)와 제2 유지 위치(22) 사이에서의 전환 부재(105)의 이동을 로크 부재(75, 95)에 전달하여, 로크 부재(75, 95)를 로크 해제 위치(P12)로부터 로크 위치(P11)로, 그리고 로크 위치(P11)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12)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전달 기구(120) 및 제2 전달 기구(130)는 배치 위치가 다르지만,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다.
전달 기구(120, 130)는,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5) 및 캐스터 기구(60, 80)의 로크 부재(75, 95)에 양단에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122, 132)와, 리드 와이어(122, 132)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124, 134)를 갖고 있다. 도 5, 6, 9,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튜브 부재(124, 134)의 양단은, 핸들(50)의 직선부(51a) 및 캐스터 기구(60, 80)의 베이스부(63, 8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리드 와이어(122, 132)의 튜브 부재(124, 134)에 대한 이동은, 핸들(50)에 대한 전환 부재(105)의 슬라이딩과 연동함과 함께, 캐스터 기구(60, 80)에 있어서의 로크 부재(75, 95)의 베이스부(63, 83)에 대한 요동과도 연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부재(124)의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있는 핸들(50)상의 위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된 전환 부재(105)가 배치된 위치보다 상방이다. 즉,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부재(124)의 일단에서 핸들(50)의 요동 중심(O1)까지의 길이는, 당해 튜브 부재(12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리드 와이어(122)의 단부가 고정된 전환 부재(105)에서 핸들(50)의 요동 중심(O1)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이 때문에,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핸들(50)의 요동 중심(O1)에 접근할 경우, 즉, 제1 유지 위치(P21)로부터 제2 유지 위치(P22)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1 전달 기구(120)의 리드 와이어(122)는, 전환 부재(105)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형상 부재(124)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24)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형상 부재(124)의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24) 내로 끌려 들어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22)의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측의 단부가 연결된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로크 부재(75)는, 로크 위치(P11)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12)로 이동한다(도 5 참조).
반대로,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을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핸들(50)의 요동 중심(O1)으로부터 이간할 경우, 즉, 제2 유지 위치(P22)로부터 제1 유지 위치(P21)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1 전달 기구(120)의 리드 와이어(122)는, 전환 부재(105)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형상 부재(124)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24) 내에 밀어넣어짐과 함께,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형상 부재(124)의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24) 밖으로 밀려나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22)의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측의 단부가 연결된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로크 부재(75)는, 로크 해제 위치(P12)로부터 로크 위치(P11)로 이동 가능해진다.
한편,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부재(13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핸들상의 위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된 전환 부재(105)가 배치된 위치보다 하방이다. 즉,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부재(134)의 일단에서 핸들(50)의 요동 중심(O1)까지의 길이는, 당해 튜브 부재(13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리드 와이어(132)의 단부가 고정된 전환 부재(105)에서 핸들(50)의 요동 중심(O1)까지의 길이보다 짧다.
이 때문에,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을 하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핸들(50)의 요동 중심(O1)에 접근할 경우, 즉, 제1 유지 위치(P21)로부터 제2 유지 위치(P22)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2 전달 기구(130)의 리드 와이어(132)는, 전환 부재(105)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형상 부재(134)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34) 내에 밀어넣어짐과 함께,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형상 부재(134)의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34) 밖으로 밀려나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32)의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측의 단부가 연결된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로크 부재(95)는, 로크 해제 위치(P12)로부터 로크 위치(P11)로 이동 가능해진다.
반대로,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직선부(51a)상을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핸들(50)의 요동 중심(O1)으로부터 이간할 경우, 즉, 제2 유지 위치(P22)로부터 제1 유지 위치(P21)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2 전달 기구(130)의 리드 와이어(132)는, 전환 부재(105)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형상 부재(134)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34)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형상 부재(134)의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134) 내로 끌려 들어간다. 이 결과, 리드 와이어(122)의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측의 단부가 연결된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로크 부재(95)는, 로크 위치(P11)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12)로 이동한다.
또한, 핸들(50)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이 전환 부재(105)를 핸들(50)의 요동 중심(O1)을 향해 가압하는 힘은, 캐스터 기구(60, 80)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도시 생략)이 각 로크 부재(75, 95)를 요동시켜 리드 와이어(122, 132)를 캐스터 기구(60, 80)의 측으로 당기려고 하는 힘보다 강해져 있다. 그리고, 스위치 기구(100)에 외력이 가해져 있지 않을 경우,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로크 부재(75)가 로크 해제 위치(P12)에 배치됨과 함께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로크 부재(95)가 로크 위치(P11)에 배치되어지게 된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제1 전달 기구(120)를 이루는 리드 와이어(122) 및 튜브 형상 부재(124)는, 핸들(50)의 내부를 통과하고, 그 후, 측방 연결 부재(32)의 외면에 지지되며, 또한, 전각(22)의 내부를 통과하여 전륜용 캐스터 기구(60)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2 전달 기구(130)를 이루는 리드 와이어(132) 및 튜브 형상 부재(134)는, 핸들(50)의 내부를 통과하고, 그 후, 후각(24)의 내부를 통과하여 후륜용 캐스터 기구(80)까지 연장되어 있다. 단, 제1 전달 기구(120) 및 제2 전달 기구(130)의 이와 같은 경로는 단순한 예시로, 스위치 기구(100)와 캐스터 기구(60, 80) 사이를 다양한 경로로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핸들(50)이나 전각(22), 후각(24)의 내부가 아니라, 핸들(50)이나 전각(22), 후각(24)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전달 기구(120)가, 핸들(50), 후각(24), 아암레스트(28) 및 전각(22)을 이 순번으로 경유하여, 스위치 기구(100)에서 전륜용 캐스터 기구(60)까지 연장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의 핸들(50)을 요동시켰을 경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0)에 설치된 전환 부재(105)를 아암레스트(28)에 설치된 전방측의 제1 걸어맞춤 부재(30a)와 결어맞춤으로써, 핸들(50)을 전각측으로 경사진 제1 위치(P1)(도 3 참조)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는 유모차(10)의 전각측에서 제1 위치(P1)에 배치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50)에 설치된 전환부(105)를 아암레스트(28)에 설치된 후방측의 제2 걸어맞춤 부재(30b)와 걸어맞춤으로써, 핸들(50)을 후각측으로 경사진 제2 위치(P2)(도 2 참조)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는 유모차(10)의 후각측에서 제2 위치(P2)에 배치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의 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핸들(50)에 설치된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5)는,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있을 경우에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고, 핸들(50)이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0)이 전방으로 경사져 전환 부재(105)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 제1 전달 기구(120)의 리드 와이어(122)는, 스위치 기구(100)의 측으로부터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측으로 이동하고, 제2 전달 기구(130)의 리드 와이어(132)는,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측으로부터 스위치 기구(100)의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로크 부재(75)는 로크 위치(P11)에 배치되고, 전륜(61)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로크 부재(95)는 로크 해제 위치(P12)에 배치되고, 후륜(81)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핸들(50)이 후방으로 경사져 전환 부재(105)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 제1 전달 기구(120)의 리드 와이어(122)는,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측으로부터 스위치 기구(100)의 측으로 이동하고, 제2 전달 기구(130)의 리드 와이어(132)는, 스위치 기구(100)의 측으로부터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측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전륜용 캐스터 기구(60)의 로크 부재(75)는 로크 해제 위치(P12)에 배치되고, 전륜(61)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로, 후륜용 캐스터 기구(80)의 로크 부재(95)는 로크 위치(P11)에 배치되고, 후륜(81)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유모차(10)를 어느 쪽의 방향으로 밀 경우에도, 진행 방향 전방에 배치된 차륜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며, 진행 방향 후방에 배치된 차륜이 전후 방향에 대한 선회를 규제받고 있는 것이, 조종성이나 주행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모차(10)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0)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전각용 캐스터(60) 및 후각용 캐스터(80)의 차륜(61, 81)을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되고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있을 경우와 제2 위치(P2)에 있을 경우에서,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5)가 다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 전환 부재(105)의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 캐스터 기구(60, 80)의 차륜(61, 81)의 선회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전환 부재(105)는 선 형상(특히, 직선 형상)으로 동작한다. 이와 같은 전환 부재(105)의 작동을, 전달 기구를 통해, 전각용 캐스터(60) 및 후각용 캐스터(80)에 전달함으로써, 차륜(61, 81)을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되고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전환 부재(105)는,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제1 돌출 부재(30a) 또는 제2 돌출 부재(30b)와 걸어맞춤으로써,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있을 경우 및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반드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전환 부재(105)의 배치 위치에 의해 전각용 캐스터(60) 및 후각용 캐스터(80)의 로크 부재(75, 95)를 조작함으로써, 차륜(61, 81)을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되고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5)는, 핸들(50)을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겸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환 부재를 스위치 기구로서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부품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수의 저감에 수반하여 유모차(10)의 구성도 간소화되기 때문에, 전각용 캐스터(60) 및 후각용 캐스터(80)의 차륜(61, 81)을 선회 가능한 상태 또는 선회 불가능한 상태로 안정되고 확실히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유지 위치(P22)에 위치할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유지 위치(P21)에 위치할 경우에,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요동 중심(O1)으로부터 이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유지 위치(P22)에 위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유지 위치(P21)에 위치하는 경우에, 전환 부재(105)가 핸들(50)의 요동 중심(O1)에 접근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 전달 기구(120)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가 전환 부재(105)의 상방측에 위치하고, 제2 전달 기구(130)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가 전환 부재(105)의 하방측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양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있어서도,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자동적으로, 진행 방향 후방측에 위치하는 캐스터 기구의 차륜의 선회가 규제됨과 함께 진행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캐스터 기구의 차륜의 선회가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50)을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5)로서도 기능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을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에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딩 부재(55)와는 별도로, 스위치 기구(10)의 전환 부재(105)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55)는, 전달 수단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전환 부재(105)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도 13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 등과 대응하는 구성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전환 부재(106)는, 프레임부(5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환 부재(106)는, 핸들(50)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통과하는 범위)(Z) 내에 돌출 가능한 돌출부(106a, 106b)를 갖고 있으며, 돌출부(106a, 106b)는, 요동 중의 핸들(50)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는, 전환 부재(106)는, 아암레스트(28) 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돌출부(106a, 106b)는 아암레스트(28)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6)는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제1 돌출부(106a) 및 제2 돌출부(106b)의 두 개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
전환 부재(106)의 회전축(RA)은, 돌출부(106a, 106b)에 접촉 가능한 핸들(50)의 부분의,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한 이동 궤적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P1)로부터 제2 위치(P2)로 또는 제2 위치(P2)로부터 제1 위치(P1)로 이동 중인 핸들(50)이 전환 부재(106)의 돌출부(106a, 106b)를 가압함으로써,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6)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 제1 돌출부(106a)는, 아암레스트(28)로부터 돌출하여, 핸들(50)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Z) 내에 들어가 있다. 한편, 제2 돌출부(106b)는, 아암레스트(28)의 외면과 대강 동일면상을 연장되어 있으며, 핸들(50)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Z) 내까지 돌출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핸들(50)이 제2 위치(P2)(실선)로부터 제1 위치(P1)(이점 쇄선)로 이동할 때에는, 핸들(50)은, 제1 돌출부(106a)보다 그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위치해 있는 제2 돌출부(106b)에는 접촉하지 않고, 회동축(RA)에 대면하는 위치를 통과한 후에 제1 돌출부(106a)에 충돌하여 제1 돌출부(106a)를 가압하게 된다(도 13 참조). 그리고, 핸들(50)이 제1 돌출부(106a)를 가압함으로써, 전환 부재(106)는 제2 유지 위치(P22)(실선)로부터 제1 유지 위치(P21)(이점 쇄선)로 이동한다.
반대로, 도 12에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어 있을 경우, 제1 돌출부(106a)는, 아암레스트(28)의 외면과 대강 동일면상을 연장되고 있으며, 핸들(50)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Z) 내까지 돌출해 있지 않다. 한편, 제2 돌출부(106b)는, 아암레스트(28)로부터 돌출하여, 핸들(50)의 요동시에 있어서의 궤도 범위(Z) 내에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핸들(50)이 제1 위치(P1)(이점 쇄선)로부터 제2 위치(P2)(실선)로 이동할 때에는, 핸들(50)은, 제2 돌출부(106b)보다 그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위치해 있는 제1 돌출부(106a)에는 접촉하지 않고, 회동축(RA)에 대면하는 위치를 통과한 후에 제2 돌출부(106b)에 충돌하여 제2 돌출부(106b)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50)이 제2 돌출부(106b)를 가압함으로써, 전환 부재(106)는 제1 유지 위치(P21)로부터 제2 유지 위치(P22)로 이동한다.
그런데,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스위치 기구(100)는, 한 쌍의 지지편(28b)에 의해 양단을 지지받아 아암레스트(28) 내에 배치된 판 형상 부재(28a)를 더 갖고 있다. 또한, 전환 부재(106)는, 아암레스트(28)의 내방에 돌출하는 가압 돌출부(106c)를 갖고 있다. 이 가압 돌출부(106c)는, 아암레스트(28) 내에서, 가압 돌출부(106c)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해 있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 사이에 위치해 있는 동안, 전환 부재(106)의 가압 돌출부(106c)는, 판 형상 부재(28a)에 맞닿아 판 형상 부재(28a)를 탄성 변형시킨다. 즉, 전환 부재(106)의 요동 가능한 범위인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 사이에는 가압 영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환 부재(106)가 가압 영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 또는 제2 유지 위치(P22)를 향해 가압되게 된다.
도시하는 양태에 있어서는,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의 중간 위치에 있을 경우에, 판 형상 부재(28a)가 가장 변형하게 된다. 즉,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의 중간 위치에 사점(死点)이 존재하고, 전환 부재(106)가 이 사점보다 제1 유지 위치(P21)측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판 형상 부재(28a)의 복원력에 의해 전환 부재(106)는 제1 유지 위치(P21)를 향해 가압되게 되고, 전환 부재(106)가 이 사점보다 제2 유지 위치(P22)측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는, 판 형상 부재(28a)의 복원력에 의해 전환 부재(106)는 제2 유지 위치(P22)를 향해 가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6)가 회동한다. 그리고, 핸들(50)이 제1 위치(P1)에 있을 경우에,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유지되고, 핸들(50)이 제2 위치(P2)에 있을 경우에, 전환 부재(106)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유지되게 된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제1 전달 기구(120)의 리드 와이어(122)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는, 아암레스트(28) 내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풀리(pulley)(29a)를 통해, 제1 돌출부(106a)의 근방에 있어서 전환 부재(10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전달 기구(120)의 튜브 형상 부재(124)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가 아암레스트(28) 내에서 고정되는 위치는, 전환 부재(106)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있을 경우에 리드 와이어(122)가 튜브 형상 부재(124)로부터 스위치 기구(100)측으로 당겨지고,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2)에 있을 경우에 리드 와이어(122)가 튜브 형상 부재(124) 내에 스위치 기구(100)측으로부터 밀어넣어지게 되는 위치로 결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달 기구(130)의 리드 와이어(132)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는, 아암레스트(28) 내에 설치된 회전 가능한 풀리(29b)를 통해, 제2 돌출부(106b)의 근방에 있어서 전환 부재(10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전달 기구(130)의 튜브 형상 부재(132)의 스위치 기구(100)측의 단부가 아암레스트(28) 내에서 고정되는 위치는, 전환 부재(106)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있을 경우에 리드 와이어(132)가 튜브 형상 부재(134) 내에 스위치 기구(100)측으로부터 밀어넣어지고,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있을 경우에 리드 와이어(132)가 튜브 형상 부재(134)로부터 스위치 기구(100)의 측으로 당겨지게 되는 위치로 결정되어 있다.
제1 전달 기구(120) 및 제2 전달 기구(130)의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도 13에 나타난 변형예의 유모차(10)는, 여기에서 설명한 점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에 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륜(61)의 선회가 규제됨과 함께 후륜(81)의 선회가 가능해지고, 전환 부재(106)가 제2 유지 위치(P22)에 있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륜(61)의 선회가 가능해짐과 함께 후륜(81)의 선회가 규제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의해서도, 핸들(50)의 위치에 따른 차륜(61, 81)의 상태의 전환 조작을 보다 안정되고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요동 중의 핸들(50)에 의해, 스위치 기구(100)의 전환 부재(106)가 가압되고, 전환 부재(106)의 위치가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 사이에서 변화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106a, 106b)가, 핸들(50)에 장착된 부재(예를 들면 상술한 슬라이딩 부재(55))의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한 궤도 범위 내에 돌출 가능하며, 당해 핸들(50)에 장착된 부재가 돌출부(106a, 106b)를 가압함으로써, 전환 부재(106)가 제1 유지 위치(P21)와 제2 유지 위치(P22) 사이를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른 변형예로서, 이하와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각용 캐스터 기구(60) 및 후각용 캐스터 기구(80)의 양쪽에 로크 부재(75, 95)가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한쪽에만 로크 부재가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로크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캐스터 기구의 차륜은,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해도 되고, 유모차(10)의 전후 방향을 따름과 함께 선회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절첩 불가능하게 프레임부(20)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캐스터 기구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특개2002-284015호에 개시된 캐스터 기구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에서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의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23)

  1.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을 갖는 프레임부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연결된 핸들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캐스터 기구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旋回)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홀더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캐스터 기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환 부재를 갖는 스위치 기구와,
    상기 스위치 기구의 상기 전환 부재와 상기 캐스터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상의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제1 유지 위치와는 다른 상기 핸들상의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와 걸어맞춰 상기 전환 부재를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유지하게 되는 제1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와 걸어맞춰 상기 전환 부재를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유지하게 되는 제2 걸어맞춤 부재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에 연결된 아암레스트를 더 갖고,
    상기 제1 걸어맞춤 부재 및 상기 제2 걸어맞춤 부재는, 상기 아암레스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걸어맞춤 부재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됨과 함께,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걸어맞춤 부재와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상기 전환 부재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핸들상을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환 부재에서 상기 핸들의 요동 중심까지의 상기 핸들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와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6. 전각 및 후각을 갖는 프레임부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연결된 핸들과,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된 캐스터 기구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선회 가능하게 유지하는 차륜 홀더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규제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차륜의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캐스터 기구와,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1 유지 위치에 유지됨과 함께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에 제2 유지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전환 부재를 갖는 스위치 기구와,
    상기 스위치 기구와 상기 캐스터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로크 부재를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로 혹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시에서의 궤도 범위 내에, 혹은,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핸들의 요동시에서의 궤도 범위 내에 돌출 가능한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이동 중인 상기 핸들 혹은 당해 핸들에 장착된 부재가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를 회동하도록, 상기 전환 부재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각의 하단에 전각용 캐스터 기구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후각의 하단에 후각용 캐스터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 및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 중 한쪽과 상기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1의 상기 전달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 및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 중 다른 쪽과 상기 스위치 기구 사이에 제2의 상기 전달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8. 제7항에 있어서,
    제1의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전환 부재 및 상기 전각용 캐스터 기구의 상기 로크 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를 갖고 있고,
    제2의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전환 부재 및 상기 후각용 캐스터 기구의 상기 로크 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를 갖고 있고,
    제1 유지 위치로부터 제2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전각용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려 들어가고,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밀어넣어짐과 함께,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후각용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밀려나가고,
    제2 유지 위치로부터 제1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밀어넣어짐과 함께, 제1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전각용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밀려나가고,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제2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후각용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려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전환 부재 및 상기 캐스터 기구의 로크 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를 갖고 있고,
    제1 유지 위치로부터 제2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려 들어가고,
    제2 유지 위치로부터 제1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밀어넣어짐과 함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 기구가 적어도 상기 전각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전환 부재 및 상기 전각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캐스터 기구의 로크 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와, 상기 리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를 갖고 있고,
    제1 유지 위치로부터 제2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당겨짐과 함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끌려 들어가고,
    제2 유지 위치로부터 제1 유지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경우, 상기 전달 기구의 리드 와이어는, 상기 전환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내로 밀어넣어짐과 함께, 상기 전달 기구의 튜브 형상 부재의 캐스터 기구측의 단부로부터 튜브 형상 부재 밖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에 연결된 아암레스트를 더 갖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아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아암레스트 내에 지지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아암레스트로부터 돌출 가능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의 일 부분은 상기 아암레스트 내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아암레스트로부터 돌출 가능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의 회동 축선은, 핸들 또는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부분의, 핸들의 요동에 수반한 이동 궤적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의 회동 축선은, 핸들 또는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돌출부에 접촉 가능한 부분의, 핸들의 요동에 수반한 이동 궤적과, 직교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내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내에 들어가고,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상기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는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의해,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외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외까지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외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외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기구는, 상기 전환 부재 및 상기 로크 부재에 양단이 각각 장착된 리드 와이어와, 리드 와이어가 내부를 통과하는 튜브 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리드 와이어의 스위치 기구측의 단부는, 상기 돌출부의 근방에서 상기 전환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제2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내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상기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가압되도록 구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유지 위치에 위치해 있을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궤도 범위 내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의 상기 궤도 범위 내로 돌출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를 향해 요동하는 상기 핸들 또는 상기 핸들에 장착된 부재에 가압되도록 구성된 제2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와 상기 제2 유지 위치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가 상기 제1 유지 위치 또는 상기 제2 유지 위치를 향해 가압되도록, 상기 스위치 기구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2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고, 상기 제2 위치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KR1020117023200A 2009-03-31 2010-03-24 유모차 KR101750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6084 2009-03-31
JP2009086084A JP5436911B2 (ja) 2009-03-31 2009-03-31 ベビーカー
PCT/JP2010/055051 WO2010113718A1 (ja) 2009-03-31 2010-03-24 ベビ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97A KR20120006497A (ko) 2012-01-18
KR101750774B1 true KR101750774B1 (ko) 2017-06-26

Family

ID=4282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200A KR101750774B1 (ko) 2009-03-31 2010-03-24 유모차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07587B2 (ko)
EP (1) EP2415651A4 (ko)
JP (1) JP5436911B2 (ko)
KR (1) KR101750774B1 (ko)
CN (1) CN202624303U (ko)
BR (1) BRPI1014318A2 (ko)
CA (1) CA2756004A1 (ko)
HK (1) HK1170902A2 (ko)
MY (1) MY154332A (ko)
RU (1) RU2519582C2 (ko)
SG (1) SG174441A1 (ko)
TW (1) TWI507314B (ko)
WO (1) WO20101137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25B1 (ko) 2020-05-18 2021-09-09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접철구조를 개선시킨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7184B2 (ja) 2012-05-29 2016-10-2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4118462B (zh) * 2013-04-26 2016-08-17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车轮定向机构及具有该机构的儿童载具
US8991854B2 (en) * 2013-05-02 2015-03-31 Artsana Usa, Inc.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system
JP6400913B2 (ja) * 2014-01-31 2018-10-03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400914B2 (ja) * 2014-01-31 2018-10-03 ピジョン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6133251B2 (ja) * 2014-09-18 2017-05-24 吉塚精機株式会社 車椅子用フレーム
JP6486634B2 (ja) * 2014-09-22 2019-03-20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乳母車に用いられる筒状部材
JP6415912B2 (ja) * 2014-09-22 2018-10-31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乳母車に用いられる筒状部材
JP6378991B2 (ja) * 2014-09-22 2018-08-22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DE102016109755A1 (de) * 2016-05-26 2017-11-30 Otto Bock Mobility Solutions Gmbh Mobilitätshilfe
WO2021048302A1 (en) * 2019-09-11 2021-03-18 Wonderland Switzerland Ag Wheeled carrying apparatus
CN115723832A (zh) * 2021-09-01 2023-03-03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车轮连接结构及婴儿载具
WO2023067177A2 (en) * 2021-10-22 2023-04-27 Wonderland Switzerland Ag Passenger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88A (ja)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2594A1 (de) * 1985-09-12 1987-03-19 Perego Pines Gmbh Kinderwagen
US4779879A (en) * 1986-09-02 1988-10-25 Aprica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JPS63184567A (ja) * 1986-09-02 1988-07-30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4759098A (en) * 1986-11-17 1988-07-26 Hong-Fu Zun Direction setting device for rollers of a baby walker
JP2521138Y2 (ja) * 1989-06-21 1996-12-25 コンビ株式会社 うば車の操舵機構
JP2520008Y2 (ja) * 1990-09-27 1996-12-11 コンビ 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キャスター機構
US5215320A (en) * 1992-10-14 1993-06-01 Kiddyco Juvenile Products Corporation Stroller
US6212733B1 (en) * 1999-08-16 2001-04-10 Link Treasure Limited Hub and wheel assembly with automatic moving direction adjustment mechanism
NL1017961C1 (nl) * 2000-07-26 2002-02-08 Mutsy Bv Kinderwagen met bestuurbare wielen.
JP5100930B2 (ja) * 2001-03-23 2012-12-1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6508605B1 (en) * 2001-09-25 2003-01-21 Pao-Hsien Cheng Direction changing device for a stroller handle
TWM245120U (en) * 2002-05-06 2004-10-01 Link Treasure Ltd Direction steer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caster of baby carriage
NO20033052A (no) * 2003-07-03 2004-12-20 Stokke As Låseanordning til en teleskopisk stamme til en trille
US7021651B2 (en) * 2004-03-05 2006-04-04 Red Lan Stroller with means for limiting direction of a wheel
US7213818B2 (en) * 2004-08-24 2007-05-08 Abmex Enterprise Co., Ltd. Stroller having wheel rotation control device
JP2006117012A (ja) 2004-10-19 2006-05-11 Combi Corp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US7367581B2 (en) * 2005-08-26 2008-05-06 Link Treasure Limited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US7377526B2 (en) * 2005-09-22 2008-05-27 Red Lan Wheel-mounting assembly for a stroller
KR101368447B1 (ko) * 2005-09-30 2014-02-28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
TWI434783B (zh) * 2006-11-15 2014-04-21 Combi Corp 嬰兒車
JP4994926B2 (ja)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8210563B2 (en) * 2008-12-19 2012-07-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Reversible stroller handle
JP5498810B2 (ja) * 2009-02-03 2014-05-21 明門香港股▲フェン▼有限公司 反転可能ハンドルベビーカー用のベビーカー部品ア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88A (ja) *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ベビーカ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925B1 (ko) 2020-05-18 2021-09-09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접철구조를 개선시킨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5651A1 (en) 2012-02-08
TWI507314B (zh) 2015-11-11
MY154332A (en) 2015-05-29
US8807587B2 (en) 2014-08-19
SG174441A1 (en) 2011-10-28
RU2519582C2 (ru) 2014-06-20
HK1170902A2 (en) 2013-03-08
KR20120006497A (ko) 2012-01-18
WO2010113718A1 (ja) 2010-10-07
TW201043510A (en) 2010-12-16
JP2010234988A (ja) 2010-10-21
JP5436911B2 (ja) 2014-03-05
RU2011143746A (ru) 2013-05-10
CN202624303U (zh) 2012-12-26
US20120056393A1 (en) 2012-03-08
CA2756004A1 (en) 2010-10-07
BRPI1014318A2 (pt) 2016-04-05
EP2415651A4 (en)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774B1 (ko) 유모차
KR101553309B1 (ko) 유모차
KR101435540B1 (ko) 유모차
JP4812948B2 (ja) ベビーカー
JP5199113B2 (ja) ベビーカー
JP5100930B2 (ja) ベビーカー
KR20170058371A (ko) 유모차
KR20170096114A (ko) 유모차
KR101973459B1 (ko) 유모차용 제동 기구, 유모차용 차륜 유지 기구, 및 유모차
CN213109477U (zh) 一种婴儿车
WO2020218304A1 (ja) 乳母車
CN210707566U (zh) 一种儿童推车
JPH11348790A (ja) 手押し車の押棒に用いられる連結杆
JP2014065416A (ja) 手押し車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