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591B1 - 벨트 장착 지그 - Google Patents

벨트 장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591B1
KR101750591B1 KR1020137001108A KR20137001108A KR101750591B1 KR 101750591 B1 KR101750591 B1 KR 101750591B1 KR 1020137001108 A KR1020137001108 A KR 1020137001108A KR 20137001108 A KR20137001108 A KR 20137001108A KR 101750591 B1 KR101750591 B1 KR 10175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jig
mounting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280A (ko
Inventor
다카시 구니사다
다케마사 요시미
Original Assignee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24Equipment for moun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657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to apply or remove a resilient article [e.g., tube, sleeve,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풀리(1)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일단(一端)보다 타단(他端)이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지그본체(10)와, 지그본체(10) 일단측의 접촉부(11)로부터 풀리 회전방향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풀리(1)의 풀리 홈에 감합(嵌合)되며, 또한 지그본체(10) 타단측의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풀리 회전축 방향에 이간되어 이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벨트(B)를 기단(基端)측 표면으로부터 틈새로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15)를 구비하고, 상기 틈새로 안내된 벨트(B)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지그 장착처의 풀리(1) 측면에 의해 이 내주면이 풀리측을 향하도록 유지하고, 풀리(1)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벨트(B)와 함께 풀리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벨트(B)를 풀리 홈에 감합시키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벨트 장착 지그{BELT INSTALLATION JIG}
본 발명은, 벨트 장착 지그(jig)에 관하며, 특히, 외주면에 풀리 홈(pulley groove)을 갖는 풀리를 회전시키면서 이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거는 과정에서, 벨트 배면(背面)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장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주면(外周面)에 풀리 홈을 갖는 복수의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어 이루어지는 벨트 전동(傳動)장치는, 벨트를 모든 풀리에 걸고 난 후에 소정의 벨트 장력을 부여하는 오토 텐셔너(auto tensioner) 등의 장력 부여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력 부여 수단을 필요 없게 하기 위해, 복수의 풀리에 장착할 시에 둘레방향으로 늘려 풀리 플랜지(flange)를 넘게 하도록 한 벨트가 있고, 이 벨트를 풀리에 장착하기 위한 벨트 장착 지그가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벨트 장착 지그는, 예를 들어 2개의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거는 경우, 한쪽 풀리에 벨트를 걸어 둔 상태에서, 이 벨트가 걸쳐짐과 동시에 다른 쪽 풀리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이 장착상태는, 벨트를 이 벨트 장착 지그에 걸고, 다른 쪽 풀리에 있어서, 이 벨트 장착 지그보다 풀리 회전방향 후방(後方)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을 풀리 홈에 감합(嵌合)시킴과 동시에, 이 벨트 장착 지그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前方)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을 풀리의 앞쪽 측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이 벨트와 풀리 홈과의 사이에 협착(挾着)된 상태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앞쪽”이란, 벨트의 장착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측을 의미하고, “안쪽"이란, 상기 작업자와 반대측을 의미한다.
그리고, 벨트 장착 지그는, 상기 장착상태가 된 후, 지그 장착측 풀리의 센터 볼트(center bolt)를 렌치(wrench)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이 벨트 장착 지그를 풀리 회전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풀리 홈에 끼우는 벨트의 범위를 서서히 넓힘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지그 장착측 풀리에도 벨트를 완전히 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벨트를 풀리에 감아 걸 때, 벨트 장착 지그에 건 벨트는, 지그 장착측 풀리의 앞쪽 측방을 지나 다른 쪽 풀리에 이르므로, 풀리를 회전시키면서 벨트를 감아 걸고자 하면, 벨트 감아 걸기에 수반하여 부여된 장력에 의해 다른 쪽 풀리의 벨트 진입측에서 풀리의 앞쪽 측방으로 강하게 인장되어, 다른 쪽 풀리로부터 빠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을 방지하는 벨트 빠짐 방지 지그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풀리 플랜지 외주측에 위치하는 판형상의 빠짐 스토퍼와, 이 빠짐 스토퍼의 저면(底面)에 형성된 걸림 홈, 및 상기 빠짐 스토퍼의 저부(底部)로부터 풀리 홈 내면(內面)을 따르도록 돌출되는 협착부(挾着部)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홈에서 풀리 플랜지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협착부를 벨트와 풀리 홈에 의해 협착하고, 벨트가 풀리의 앞쪽 측방으로 인장되어도 상기 빠짐 스토퍼에 의해 풀리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벨트 빠짐 방지 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제 436196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벨트 빠짐 방지 지그를 이용한 경우에는,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이 벨트는 풀리의 앞쪽 측방으로 강하게 인장되고, 특히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는 벨트 장력이 최대가 되므로, 이 풀리 앞쪽 측방으로의 인장력도 크게 되어, 빠짐 스토퍼로 벨트가 치우치기 쉽다. 이렇게 되면, 벨트 장착 지그의 풀리 회전방향 전방 부근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이 꼬이고 그 배면이 이 지그 장착측 풀리의 앞쪽 측면에 접촉한 상태가 되고, 풀리로의 장착과정에서 벨트 배면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빠짐 스토퍼로 벨트가 치우지지 않아도, 풀리 홈에 아직 감아 걸리지 않은 벨트 부분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풀리의 앞쪽 측면에 접촉하므로, 지그 장착측 풀리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이 풀리의 앞쪽 측면과 접동(摺動)함에 의해 벨트가 꼬이고, 이 꼬인 벨트의 배면이 풀리에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적어도 2개의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 때에 있어서, 미리 벨트를 걸어 둔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 및 벨트 배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벨트의 풀리 앞쪽 부분을 미리 걸어 둔 풀리의 풀리 홈에 강하게 물리게 함과 동시에 벨트에 꼬임이 생기지 않도록 벨트 장착 지그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풀리 홈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풀리에 벨트를 긴장상태로 감아 걸 때, 1개의 풀리를 제외한 다른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어 둔 상태에서, 상기 1개의 풀리에 장착되어 이 풀리의 풀리 홈에 상기 벨트를 감합(嵌合)시키는 벨트 장착 지그를 대상으로 하여, 이하의 해결수단을 강구한 것이다.
즉, 제 1 발명은, 일단(一端)보다 타단(他端)이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풀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지그본체와, 이 지그본체의 일단측에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풀리의 풀리 홈에 감합하며, 또한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풀리 회전축 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이 타단측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상기 벨트를 기단(基端)측 표면을 거쳐 상기 틈새로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틈새로 안내된 벨트를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에 의해 이 벨트의 내주면(內周面)이 풀리측을 향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풀리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벨트와 함께 풀리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벨트를 풀리 홈에 감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벨트 안내부의 선단(先端)측 부근에서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外周緣部)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은, 제 1 및 제 2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의 상기 틈새측 단부(端部) 표면에는, 상기 틈새측을 향해 하경(下傾)하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은, 제 1∼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의 상기 틈새측 단부와 반대측 표면에는, 상기 틈새와 반대측을 향해 하경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은, 제 1∼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상기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풀리 회전축 방향의 틈새는,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은, 제 1∼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각 풀리의 풀리 홈은, 병렬로 복수 형성되고, 각각, 개구측에서 바닥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V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 안내부는 상기 각 풀리 홈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를 이면에 가지며, 이 각 결합 돌출부는 상기 풀리 홈에 대응하도록 횡단면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은, 제 1∼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지그 장착처의 풀리는 플랜지가 구비된 풀리이며, 이 풀리의 플랜지는 기단측에서 선단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횡단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측과 상기 벨트 안내부의 기단측 이면과의 사이에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플랜지를 끼워 결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은, 제 1∼제 7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측에 상기 벨트 안내부의 풀리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간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풀리 지름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겹치며, 또한 상기 벨트 안내부와 풀리 회전축 방향으로 이간되어 이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이 틈새측 단부가 벨트의 감아 걸기 종료에 앞서 이 벨트의 풀리 홈에 미감합인 부분에 접하고, 이 벨트를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으로 누르는 벨트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벨트 누름부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外周緣部)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灣曲)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은, 제 1∼제 9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풀리에 장착한 때에, 이 풀리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 있어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벨트의 중도부(中途部)를, 이 벨트의 내주면을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을 향한 상태에서 이 풀리의 측면에 의해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를 따라, 이 풀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圓弧)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은, 제 1∼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벨트 안내부와 풀리 회전축 방향에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이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이 틈새를 통한 벨트를 상기 벨트 안내부에 의해 협지(挾持)하는 벨트 협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틈새로 안내된 벨트가,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에 의해 그 내주면을 풀리측을 향한 상태의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므로, 풀리 홈에 아직 걸리지 않은 벨트 부분에 있어서, 풀리의 외주면 상에서 앞쪽으로 보내지는 폭방향 한쪽이 풀리의 외주면 상에서 안쪽으로 보내지는 폭방향 다른 쪽에 대해 풀리 회전축측에 위치하고, 지그 장착처의 풀리에 이어서 벨트가 보내지는 다른 풀리 상에서 풀리 앞쪽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이 이 다른 풀리의 풀리 홈에 강하게 물리고, 이 풀리로부터 벨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함께, 지그 장착처 풀리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이 풀리의 측면과의 접동에 의해 벨트에 꼬임이 생기려고 하는 풀리 측방에 있어서, 이 벨트의 꼬임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벨트 배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벨트를 걸어 둔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 및 벨트 배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벨트 빠짐 방지 지그가 필요없게 되므로, 풀리로의 벨트 장착에 필요한 지그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간소하며 또한 콤팩트한 구성의 이 벨트 장착 지그에 의해 풀리로의 벨트 장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는, 풀리 홈에 아직 감아 걸리지 않은 벨트 부분이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 근방에 위치하나,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지그본체와 지그 장착처의 풀리 측면에 의해 벨트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벨트의 감아 걸기가 종료할 때까지 미리 벨트를 걸어 둔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 및 벨트 배면의 손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벨트를 벨트 안내부의 기단측 표면을 거쳐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틈새로 안내하도록 벨트 장착 지그에 걸친 때에, 상기 틈새측으로 하경(下傾)하는 제 1 경사면에 의해 벨트에 극단적인 절곡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이 벨트를 벨트 안내부의 표면에서부터 절곡하여 상기 틈새로 통하게 함과 동시에 풀리 측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풀리로의 벨트 장착에 수반하는 벨트의 왜곡집중을 피해 벨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최종단계에 있어서,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빠져 벨트 안내부의 표면에 얹힌 벨트 부분을 이 벨트 안내부의 제 2 경사면에 의해 풀리 홈측으로 미끄러져 순조롭게 풀리 홈에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풀리로의 벨트 장착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틈새가 끝이 넓게 되므로, 이 틈새로 벨트를 통하게 하기 쉽고, 벨트 장착 지그의 사용의 편리함을 좋게 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벨트 안내부 이면의 결합 돌출부와 지그 장착처 풀리의 풀리 홈이 쐐기 결합하여 이 벨트 장착 지그가 풀리에 장착되므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후에 이 벨트 장착 지그가 풀리로부터 빠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의하면, 벨트 장착 지그의 결합 홈과 지그 장착처 풀리의 플랜지가 쐐기 결합하여 이 벨트 장착 지그가 풀리에 장착되므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후에 이 벨트 장착 지그가 풀리로부터 빠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의하면, 벨트 장력이 최대가 되는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 있어서, 벨트가 지그본체와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과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빠지고, 이 벨트의 풀리 앞쪽부분이 지그 장착처 풀리에 이어서 벨트가 보내지는 다른 풀리의 풀리 홈에 강하게 물린 상태가 해제되어도, 벨트의 감아 걸기 종료에 앞서, 벨트 누름부에 의해, 이 벨트의 풀리 홈에 아직 걸리지 않은 부분이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으로 눌려지므로, 이 지그 장착처의 풀리에 이어서 벨트가 보내지는 다른 풀리로부터 벨트가 빠지거나, 이 다른 풀리가 플랜지를 구비한 풀리인 경우에는 이 플랜지에 벨트가 치우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의하면, 벨트 누름부가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벨트가 지그본체와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과의 사이의 틈새로부터 빠진 때에 이 벨트의 풀리 홈에 아직 감아 걸리지 않은 부분을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으로 누르는 구성을 콤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의하면, 지그 장착처 풀리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 있어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벨트의 중도부는, 지그 장착처풀리의 회전동작에 수반하는 이 풀리 측면과의 접동(摺動)에 의해 꼬이기 쉬우나, 벨트 장착 지그를 풀리에 장착한 때의 장착 초기상태에서 지그본체와 지그 장착처풀리의 측면에 의해 벨트의 내주면을 이 풀리측을 향한 상태의 소정의 자세로 유지되므로, 이 벨트의 꼬임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의하면, 지그본체가 지그 장착처의 풀리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원호(圓弧)형상이므로,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방에 위치하는 벨트 부분을, 지그본체와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에 의해 비교적 긴 범위에 걸쳐 유지하고, 소정의 자세로 안정시킬 수 있다.
제 12 발명에 의하면,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 때에, 벨트 협지부(挾持部)와 벨트 안내부에 의해 벨트가 협지되고, 벨트 장착 지그 자체에 벨트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벨트가 풀리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벨트 장착 지그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효율 좋게 또한 확실하게 풀리에 벨트를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풀리에 대한 장착상태에서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풀리에 대한 장착상태에서의 관계성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벨트가 감아 걸쳐진 크랭크 풀리 및 압축기 풀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장착 공정의 전반(前半)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장착 공정의 후반(後半)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 장착 지그의 풀리로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도중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풀리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를 풀리에 장착하여 벨트를 건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도 5는, 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은, 벨트 장착 지그(J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벨트 장착 지그(J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벨트 장착 지그(J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벨트 장착 지그(J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벨트 장착 지그(J1)의 배면도이다. 또, 도 6은, 벨트 장착 지그(J1)를 이용하여 V 리브드 벨트(V ribbed belt)(이하, 단지 벨트라 함)(B)를 감아 건 상태의 2개의 풀리(1, 6)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벨트 장착 지그(J1)의 풀리(1)에 대한 장착 상태에서의 관계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1)는, 도 6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어, 엔진에 탑재된 엔진본체의 크랭크축에 연결되는 크랭크 풀리(crank pulley)(1)와, 마찬가지로 엔진에 탑재된 에어 컨디셔너 컴프레서(air conditioner compressor)의 입력축에 연결되는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감아 걸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벨트(B)는, 고 신축성 섬유로 이루어진 심선(心線)을 매설(埋設)한 평 벨트형상 벨트본체의 내주면에 벨트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V 리브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는, 소정의 축간(軸間) 거리를 두고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축간거리는 변경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6 중의 화살표는, 각 풀리(1, 6)의 회전 축방향을 나타낸다. 또, 엔진은, 상기 벨트(B)에 대해 장력을 부여하는 오토 텐셔너(장력 부여 수단)를 구비하지 않는다.
크랭크 풀리(1)는, 플랜지를 구비한 이른바 2단 풀리이며,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풀리 축방향에 병설(竝設)되는 같은 지름의 앞쪽 풀리(2) 및 안쪽 풀리(3)를 구비한다. 안쪽 풀리(3)는 엔진본체와 앞쪽 풀리(2)에 끼워진다. 이들 앞쪽 풀리(2) 및 안쪽 풀리(3)는,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외주면에 벨트(B) 내주면의 V 리브에 감합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풀리 홈(2a, 3a)이 병렬로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각 풀리 홈(2a, 3a)은, 개구측에서 바닥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V자형으로 형성된다.
또, 앞쪽 풀리(2) 및 안쪽 풀리(3) 외주면의 풀리 회전축 방향 양단(兩端)에는, 각각의 풀리 홈(2a, 3a)의 군(郡)을 끼우도록 한 쌍의 플랜지(2b, 3b)가 고리형으로 형성된다. 앞쪽 풀리(2)의 앞쪽 플랜지(2b)는, 풀리 안쪽의 면이 풀리 홈(2a)측을 향해 하경하고, 기단(基端)측에서 선단(先端)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횡단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크랭크 풀리(1)의 지름방향 중심에 형성된 보스부에는, 엔진의 크랭크 축이 풀리 안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이 크랭크 축의 선단부가 풀리 앞쪽에서 센터 볼트(4)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컴프레서 풀리(compressor pulley)(6)도, 도 6에 나타내듯이, 풀리 회전축 방향 양단에 플랜지(6a)가 고리형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구비한 풀리이며, 도시하지 않으나, 외주면에 상기 크랭크 플리(1)와 마찬가지 벨트(B) 내주면의 V 리브에 감합되는 V자형의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풀리 홈이 형성된다. 이 컴프레서 풀리(6)의 보스부에는, 에어 컨디셔너 컴프레서의 입력축이 풀리 안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이 입력축의 선단부가 풀리 앞쪽에서 센터 볼트(7)에 의해 고정된다.
벨트 장착 지그(J1)는,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의 한쪽을 걸어 둔 상태에서, 이 벨트(B)의 다른 쪽이 걸림과 동시에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 벨트 장착 지그(J1)는, 예를 들어 MC(모노 캐스트, monocast)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수지제의 지그이며, 도 1∼도 3에 나타내듯이, 크랭크 풀리(1)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지그본체(10)와, 이 지그본체(10) 일단측(도 1에서 좌측, 도 2에서 우측) 상단부 근방에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돌출 형성된 벨트 안내부(15)를 구비한다.
지그본체(10)는, 일단측이 풀리 지름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접촉하는 접촉부(11)를, 타단측이 상기 접촉부(11) 하단부에 풀리 회전방향 전방(前方)에 돌출 형성된 꼬임방지 플레이트(12)를 각각 구성하며, 일단(一端)보다 타단(他端)이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거의 L자형으로 형성된다.
꼬임방지 플레이트(12)는, 상기 벨트 안내부(15)를 따라 연장되어 이 벨트 안내부(15)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측으로 약간 돌출됨과 동시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벨트 안내부(15)와 풀리 회전축 방향으로 이간되어 이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에 틈새(S)를 갖는다. 그리고,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선단측은, 벨트 장착 지그(J1)가 크랭크 풀리(1)에 장착된 상태에서 크랭크 풀리(1)의 플랜지(2b) 외주연부 근방에 위치하도록, 도 2에 나타내듯이 벨트 안내부(15)에 근접한다.
이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크랭크 풀리(1)측에 위치하는 면은, 풀리 회전방향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벨트 안내부(15)와는 반대측으로 경사진다. 이에 따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풀리 회전축 방향의 틈새(S)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듯이, 풀리 회전방향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넓어진다. 이와 같이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틈새(S)가 끝이 넓어짐으로써, 벨트 장착 지그(J1)는, 크랭크 풀리(1)에 장착했을 때에, 도 4에 나타내듯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 풀리 회전방향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넓어지는 벨트 삽입관통부(13)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벨트 안내부(15)는,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풀리(2) 풀리 폭에 거의 동등한 폭으로 형성되고, 벨트(B)를 기단측 표면을 거쳐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로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 벨트 안내부(15)의 표면에는, 상기 틈새(S)측 단부에 이 틈새(S)측으로 하경하는 제 1 경사면(15a)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밖의 부분에 상기 틈새(S)와 반대측으로 하경하는 제 2 경사면(15b)이 형성되며, 완만한 산형 볼록면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벨트 안내부(15) 표면에 제 1 경사면(15a)이 형성됨으로써, 벨트(B)를 벨트 안내부(15)의 기단측 표면을 거쳐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로 안내하도록 벨트 장착 지그(J1)에 걸 때에, 상기 제 1 경사면(15a)에 의해 벨트(B)에 극단적인 절곡을 일으키는 일없이 이 벨트(B)를 벨트 안내부(15)의 표면에서부터 절곡하여 상기 틈새(S)로 통하게 함과 동시에 크랭크 풀리(1)의 측방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이 풀리(1)로의 벨트 장착에 수반하는 벨트(B)의 왜곡집중을 피해 벨트(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벨트 안내부(15)에 제 2 경사면(15b)이 형성됨으로써,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장착 최종 단계에서,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로부터 벨트(B)가 빠져 벨트 안내부(15) 표면에 얹힌 때, 이 벨트(B)를 제 2 경사면(15b)에 의해 풀리 홈(2a)측으로 미끄러지게 하여 순조롭게 풀리 홈(2a)에 감합시킬 수 있으므로,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장착 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벨트 안내부(15)의 이면에는, 상기 앞쪽 풀리(2)의 각 풀리 홈(2a)에 결합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결합 돌출부(16)가 돌출 형성된다. 이들 각 결합 돌출부(16)는, 풀리 홈(2a)에 대응하도록 횡단면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풀리 홈(2a)에 대해 쐐기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합 돌출부(16)가, 횡단면이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했으나, 결합 돌출부(16)는 상기 풀리 홈(2a)에 쐐기 결합하도록 횡단면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지그본체(10)의 접촉부(11)와 벨트 안내부(15)의 기단측 이면과의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내듯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를 끼우도록 결합하는 결합 홈(17)이 형성되며, 이 결합 홈(17)과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가 쐐기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벨트 장착 지그(J1)는, 벨트 안내부(15) 이면의 결합 돌출부(16)와 풀리 홈(2a)과의 쐐기 결합에 더불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와 상기 결합 홈(17)과의 쐐기 결합에 의해 크랭크 풀리(1)에 걸림 고정되므로,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의 감아 걸기 종료 후에 이 벨트 장착 지그(J1)가 크랭크 풀리(1)로부터 빠져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지그본체(10)의 일단측 단부는, 상기 벨트 안내부(15)의 기단으로부터 제 1 및 제 2 경사면(15a, 15b)에 연속하여 풀리 앞쪽을 향해 풀리 지름방향 외방(外方)으로 상경(上傾)한 경사면(14a)을 갖는 벨트 유지부(14)를 구성한다. 벨트 장착 지그(J1)에 벨트(B)를 건 상태에서 이 벨트 장착 지그(J1)를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하고, 이 풀리(1)를 회전시키면서 벨트(B)를 감아 걸 때에는, 벨트(B) 감아 걸기에 수반하여 부여된 장력에 의해 풀리 앞쪽으로 인장된 벨트(B)의 내주면이 벨트 유지부(14)의 경사면(14a)에 눌려진다. 벨트 유지부(14)는, 그 마찰력에 의해 벨트(B)를 유지하고 이 벨트(B)가 벨트 장착 지그(J1)로부터 풀리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 장착 지그(J1)는,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걸어 둔 상태에서, 이 벨트(B)를, 벨트 유지부(14)의 안쪽을 통해 벨트 안내부(15)에 걸고, 이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하게 하여 벨트 장착 지그(J1)에 걺과 동시에, 이 벨트 장착 지그(J1)보다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을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에 감합시키고, 또한, 상기 틈새(S)를 통한 벨트(B) 부분을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벨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끼우고 크랭크 풀리(1)의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벨트 안내부(15)가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과 벨트(B)와의 사이에 끼워져, 크랭크 풀리(1)에 장착된다.
그리고, 벨트 장착 지그(J1)는,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B)를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유지한 크랭크 풀리(1)로의 장착상태로, 크랭크 풀리(1)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벨트(B)와 함께 풀리 회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벨트(B)를 상기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에 감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사용방법-
다음에, 상기 벨트 장착 지그(J1)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 장착 공정의 전반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 장착 공정의 후반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 감아 걸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 중의 화살표는, 각 풀리(1, 6)의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벨트 장착 지그(J1)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7(a)에 나타내듯이,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걺과 동시에, 이 벨트(B)를, 벨트 유지부(14)의 안쪽을 통해 벨트 안내부(15)에 걸고, 이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해 벨트 장착 지그(J1)에 건다. 이 때,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는 끝이 넓어지므로, 이 틈새(S)에 벨트(B)를 통하게 하기 쉽다. 계속해서, 벨트 유지부(14)보다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을 풀리 홈(2a)에 감합시켜, 벨트 안내부(15) 이면의 결합 돌출부(16)를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풀리(2) 풀리 홈(2a)에, 결합 홈(17)을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에 각각 쐐기 결합시킨다.
그리고,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한 벨트(B)를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끼워 유지하고, 이 벨트(B)를 벨트 유지부(14)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방으로 인출함으로써, 벨트 안내부(15)를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과 벨트(B)와의 사이에 끼우고 벨트 장착 지그(J1)를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벨트(B)에 장력이 그다지 작용하지 않고, 크랭크 풀리(1)에 벨트(B)를 용이하게 걸 수 있다. 이 때,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 벨트(B)가 고정되고, 이 고정된 벨트(B)와 풀리 홈(2a)과의 사이에 벨트 안내부(15)가 협착되므로, 벨트 장착 지그(J1)는, 이 장착 지그(J1)와 크랭크 풀리(1)와 벨트(B)와의 상호 관련에 의해 크랭크 풀리(1)에 강고하게 걸림 고정된다.
이어서, 도 7(b)에 나타내듯이, 벨트 장착 지그(J1)를 장착한 크랭크 풀리(1)의 센터 볼트(4)에 렌치(20)를 연결하여, 크랭크 풀리(1)를 수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벨트(B)가 렌치(20)의 센터 볼트(4)와의 연결부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이 연결부에 벨트 배면측을 접촉시켜 둔다.
계속해서, 크랭크 풀리(1)를 렌치(20)을 이용하여 도 7(b)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8(a)에 나타내듯이, 벨트 장착 지그(J1)가 풀리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고, 풀리 홈(2a)에 감합되는 벨트(B)의 범위가 서서히 넓어진다.
이 때, 벨트(B)로부터 풀리 앞쪽 측방을 향하는 힘이 벨트 유지부(14)에 작용하나, 벨트 안내부(15)가 벨트(B)에 의해 풀리 홈(2a)을 향해 눌려짐과 동시에, 결합 홈(17)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에 쐐기 결합함으로써 벨트 장착 지그(J1)의 기울기가 규제됨과 동시에, 벨트(B)의 내주면이 벨트 유지부(14)의 경사면(14a)으로 눌리고, 그 마찰력에 의해 벨트(B)가 이 벨트 장착 지그(J1)로부터 풀리 앞쪽 측방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감아 걸기가 종료할 때까지, 벨트 장착 지그(J1)의 크랭크 풀리(1)로의 장착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크랭크 풀리(1)의 회전에 수반하여, 벨트 장착 지그(J1)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이 크랭크 풀리(1)의 지름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하여, 서서히 크랭크 풀리(1)의 앞쪽 플랜지(2b) 외주연부에 근접하고,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 (B)의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 있어서는, 도 8(b)에 나타내듯이, 풀리 플랜지(2b)의 외주연부에 근접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선단측이 크랭크 풀리(1)의 플랜지(2b) 외주연부 근방에 위치하므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B)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B)의 자세를 변함없이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벨트(B)의 감아 걸기에 수반하여 부여된 장력에 의해 벨트(B)가 컴프레서 풀리(6)의 벨트 진입측에서 풀리 앞쪽으로 강하게 인장되나,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로 안내된 벨트(B)를,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끼워 유지하므로,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에 아직 감아 걸리지 않은 벨트(B) 부분에서 풀리(1, 6)의 외주면 상에서 앞쪽으로 보내지는 폭방향 한쪽이 풀리(1, 6)의 외주면 상에서 안쪽으로 보내지는 폭방향 다른 쪽에 대해 풀리 회전축측에 위치하고, 컴프레서 풀리(6) 상에서 풀리 앞쪽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이 이 풀리(6)의 풀리 홈 및 플랜지(6a)에 강하게 물려, 이 풀리(6)로부터 벨트(B)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함께, 크랭크 풀리(1)의 회전동작에 수반하는 이 풀리(1)의 앞쪽 측면과의 접동(摺動)에 의해 벨트(B)에 꼬임이 생기려고 하는 풀리 측방에서, 벨트(B)의 꼬임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벨트 배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대로 계속해서 클랭크 풀리(1)를 회전시키면, 머지 않아, 벨트(B)는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로부터 빠져 벨트 안내부(15)의 표면에 얹히고, 이 벨트 안내부(15)의 제 2 경사면(15b)을 거쳐 풀리 홈(2a)측으로 미끄러져 완전히 풀리 홈(2a)에 감합하고, 크랭크 풀리(1)에 정상적으로 감아 걸린다. 그리고, 벨트 장착 지그(J1)가 벨트(B)로부터 빠져, 도 9에 나타내듯이, 이 벨트 장착 지그(J1)는 크랭크 풀리(1)에 장착된 채 이 풀리(1)로부터 탈락하는 일없이 크랭크 풀리(1)와 컴프레서 풀리(6)와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 이 시점에서 크랭크 풀리(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후, 크랭크 풀리(1)로부터 벨트 장착 지그(J1)를 떼어내고,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크랭크 풀리(1)와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긴장상태로 걸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B)를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끼워 유지하므로, 이 벨트(B)의 풀리 앞쪽 부분이 컴프레서 풀리(6)의 풀리 홈 및 플랜지(6a)에 강하게 물려 이 풀리(6)로부터 벨트(B)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벨트(B)의 꼬임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벨트 배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벨트 빠짐 방지 지그가 필요없게 되므로,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 장착에 필요한 지그의 점수를 삭감할 수 있고, 간소하며 또한 콤팩트한 구성의 이 벨트 장착 지그(J1)에 의해 클랭크 풀리(1)로의 벨트 장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 벨트(B)가 끼워 고정되고, 이 고정된 벨트(B)와 풀리 홈(2a)과의 사이에 벨트 안내부(15)가 협착되므로, 벨트 장착 지그(J1)를 크랭크 풀리(1)에 강고하게 걸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트(B)의 장착 작업 중에 이 벨트 장착 지그(J1)가 크랭크 풀리(1)에 대해 어긋나는 일없이, 이 풀리(1)로의 벨트(B) 장착 작업을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0 및 도 11은, 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2)를 나타낸다. 도 10은, 벨트 장착 지그(J2)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벨트 장착 지그(J2)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장착 지그(J2)의 일부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이외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므로, 구성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리고, 이후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9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 장착 지그(J2)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듯이, 상기 제 1 실시형태(1)의 벨트 장착 지그(J1)와 마찬가지 구성에 더불어, 벨트 유지부(14) 상단(上端)에 벨트 안내부(15)의 풀리 지름방향 외측에 이간되어 돌출 형성된 벨트 누름부(30)를 추가로 구비한다. 벨트 누름부(30)는,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풀리 지름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겹치고, 또한 이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마찬가지로 벨트 안내부(15)와 풀리 회전축 방향으로 이간되어 이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에,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와 마찬가지 틈새(S)를 갖는다.
이 벨트 누름부(30)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판형상의 것이며, 상기 벨트 안내부(15)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고, 꼬임방지 플레이트(12)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측에 약간 돌출된다. 그리고, 벨트 누름부(30)는,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측 단부가 벨트(B) 감아 걸기 종료에 앞서 이 벨트(B)의 풀리 홈(2a)에 미감합인 부분에 접하고, 이 벨트(B) 부분을 크랭크 풀리(1)측으로 누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 장착 지그(J2)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할 때의 벨트(B) 감아 걸기 종료 직전의 상태를 도 12에 나타낸다.
상기 구성의 벨트 장착 지그(J2)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순서로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하면, 벨트 장력이 최대가 되는 벨트(B)의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 있어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로부터 벨트(B)가 빠지나, 그 전에, 도 12(a)에 나타내듯이, 벨트 누름부(30)의 선단부가 아직 크랭크 풀리(1)의 풀리 홈(2a)에 감아 걸리지 않은 벨트(B) 부분의 풀리 앞쪽에 위치하고 이 벨트 (B) 부분에 접한다. 그리고, 벨트(B)는,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로부터 빠진 시에, 도 12(b)에 나타내듯이, 벨트 누름부(30)에 의해 크랭크 풀리(1)측으로 눌리고, 벨트 안내부(15) 상, 즉 크랭크 풀리(1)의 외주면 상으로 신속하게 이동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따라서, 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의 감아 걸기 종료 직전에 있어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로부터 벨트(B)가 빠지고, 이 벨트(B)의 풀리 앞쪽 부분이 컴프레서 풀리(6)의 풀리 홈 및 플랜지(6a)에 강하게 물린 상태가 해제되어도, 벨트(B)의 감아 걸기 종료에 앞서, 벨트 누름부(30)에 의해, 이 벨트(B)의 풀리 홈(2a)에 아직 감합하지 않은 부분이 크랭크 풀리(1)측으로 눌리므로, 컴프레서 풀리(6)의 플랜지(6a)에 벨트(B)가 얹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 누름부(30)가 크랭크 풀리(1)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형상이므로,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벨트 삽입관통부(13)로부터 벨트(B)가 빠진 때에 이 벨트(B)의 풀리 홈(2a)에 아직 감아 걸리지 않은 부분을 크랭크 풀리(1)측으로 누르는 구성을 콤팩트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3은, 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3)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 장착 지그(J3)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촉부(11) 및 꼬임방지 플레이트(12)로 이루어진 지그본체(10)와, 벨트 안내부(15)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꼬임방지 플레이트(12)가 벨트 안내부(15)보다 풀리 회전방향 전방쪽에 약간 돌출된다고 했으나, 본 실시형태의 꼬임방지 플레이트(12)는, 크랭크 풀리(1)의 외주연부를 따라, 이 풀리(1)의 측면을 따라 호(弧)형상으로 연장되고, 반(反)접촉부(11)측의 단부가 접촉부(11)와 풀리 지름방향 내측에 마주 보도록 거의 반원호(反圓弧)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벨트 장착 지그(J3)는, 크랭크 풀리(1)에 장착했을 때에, 이 풀리(1)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벨트(B) 중도부(中途部)를, 이 내주면을 클랭크 풀리(1)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이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끼워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꼬임방지 플레이트(12)는, 접촉부(11)측의 단부(端部)보다 그 밖의 부분이 두꺼워져 있고, 반(反)접촉부(11)측의 강성(剛性)이 높여지고,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반접촉부(11)측과의 사이에 벨트(B)를 끼운 때에, 이 플레이트(12) 반접촉부(11)측에 국부적인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접촉부(11)측 단부에는, 벨트 안내부(15)의 선단측에 근접하도록 풀리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 누름 돌출편(12a)이 돌출 형성된다. 이 누름 돌출편(12a)은, 벨트 장착 지그(J3)가 크랭크 풀리(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벨트 장착 지그(J1)의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마찬가지로, 벨트 안내부(15)의 선단측 부근에서 이 풀리(1)의 플랜지(2b) 외주연부 근방에 위치된다.
접촉부(11)의 반(反)풀리(1)측 중앙부분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11x)가 오목 형성된다.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반풀리(1)측 중앙부분에도,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만곡형상을 따라 만곡된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12x)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일렬로 나열하도록 오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그본체(10)에 필요한 강성(剛性)을 유지하면서 벨트 장착 지그(J3)가 경량화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 장착 지그(J3)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할 때의 벨트 장착 공정을 도 14∼도 16에 나타낸다. 도 14는, 벨트 장착 지그(J3)를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감아 걸기 도중 단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감아 걸기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벨트 장착 지그(J3)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고, 먼저, 도 14에 나타내듯이,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의 한쪽을 걸어 둠과 동시에, 이 벨트(B)의 다른 쪽을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해 벨트 장착 지그(J3)에 건다. 그리고, 벨트 유지부(14)보다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을 풀리 홈(2a)에 감합시키고,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한 벨트(B) 부분을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서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끼워 유지하고, 벨트 장착 지그(J3)를 벨트(B)에 걺에 의해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다. 이에 따라, 크랭크 풀리(1)의 측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을,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크랭크 풀리(1)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벨트(B)의 중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실시형태보다 긴 범위에 걸쳐 유지되고, 소정의 자세로 안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5에 나타내듯이, 크랭크 풀리(1)를 렌치(20)를 이용하여 도면 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벨트 장착 지그(J3)를 감아 건 벨트(B)와 함께 풀리 회전방향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풀리 홈(2a)에 감합되는 벨트(B)의 범위를 넓혀간다. 이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도 16에 나타내듯이, 벨트 장착 지그(J3)가 벨트(B)로부터 빠지고 크랭크 풀리(1)에 장착된 채 이 풀리(1)로부터 탈락되는 일없이 크랭크 풀리(1)와 컴프레서 풀리(6)와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된 시점에서, 크랭크 풀리(1)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후, 크랭크 풀리(1)로부터 벨트 장착 지그(J3)를 떼어내고, 크랭크 풀리(1)로의 벨트(B) 장착이 완료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1)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크랭크 풀리(1)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이 풀리(1) 측면과의 접동에 의해 꼬이기 쉬운 벨트(B)의 중도부가, 벨트 장착 지그(J3)를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 시의 장착 초기상태에서부터 이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B)의 내주면을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이 벨트(B)의 꼬임을 한층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7은, 이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4)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벨트 장착 지그(J4)를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하고 벨트(B)를 감아 건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벨트 장착 지그(J4)는, 도 17에 나타내듯이, 접촉부(11) 및 꼬임방지 플레이트(12)를 갖는 지그본체(10)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벨트 안내부(1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꼬임방지 플레이트(12)는, 크랭크 풀리(1)의 외주연부를 따라, 이 풀리(1)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형이며, 예를 들어, 벨트 장착 지그(J4)를 크랭크 풀리(2)에 장착한 때에 이 풀리(1) 외주연부의 반주(半周)를 초과하고 따르도록 배치되는 우호(優弧)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벨트 장착 지그(J4)는,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 때에, 이 풀리(1)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벨트(B)의 중도부(中途部)를, 이 내주면을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한 상태에서 이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서 끼워 유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지그본체(10)는, 꼬임방지 플레이트(12)의 접촉부(11)측에 풀리 지름방향 외방(外方)에 돌출 형성된 벨트 협지부(18)를 추가로 구비한다. 벨트 협지부(18)는, 벨트 안내부(15)와 풀리 회전축 방향에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이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에 벨트 삽입관통부(13)로 통한 틈새(S)를 갖는다. 그리고, 벨트 협지부(18)는, 벨트 안내부(15)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과한 벨트(B)를 벨트 안내부(15)에 의해 협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벨트 장착 지그(J4)를 사용하여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컴프레서 풀리(6)에 벨트(B) 한쪽을 걺과 동시에, 도 18에 나타내듯이, 이 벨트(B)의 다른 쪽을 벨트 안내부(15)와 벨트 협지부(18)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하게 하여 이들 벨트 안내부(15)와 벨트 협지부(18)에 의해 협지하고, 또한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해 벨트 장착 지그(J3)에 건다. 그리고, 벨트 유지부(14)보다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벨트(B) 부분을 풀리 홈(2a)에 감합시켜, 벨트 안내부(15)와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의 사이의 틈새(S)를 통한 벨트(B) 부분을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 꼬임방지 플레이트(12)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끼워 유지함으로써, 벨트 장착 지그(J3)를 벨트(B)를 걺으로써 크랭크 풀리(1)에 장착한다. 그 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순서로 렌치(20)를 이용하여 크랭크 풀리(1)를 회전시키고, 이 풀리(1)에 벨트(B)를 장착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하면, 크랭크 풀리(1)에 벨트(B)를 감아 걸 시에, 벨트 협지부(18)와 벨트 안내부(15)에 의해 벨트(B)를 협지하므로, 벨트 장착 지그(J4) 자체에 벨트(B)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벨트(B)가 크랭크 풀리(1)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벨트 장착 지그(J4)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효율 좋게 또한 확실하게 크랭크 풀리(1)에 벨트(B)를 장착할 수 있다. 그 외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제 4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장착 지그(J1, J2, J3, J4)로써,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에 의해 벨트 삽입관통부(13)에 의해 벨트 내주면이 크랭크 풀리(1)측을 향하도록 벨트(B)를 끼워넣는 구성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 장착 지그(J1, J2, J3, J4)는,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크랭크 풀리(1)의 앞쪽 측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꼬임 동작이 가능하게 벨트(B)가 느슨하게 삽입되는 구성이라도 되고, 꼬임방지 플레이트(12)와 지그 장착처 풀리(1)의 앞쪽 측면에 의해, 지그 장착처의 풀리(1)에 이어서 벨트(B)가 보내지는 다른 풀리(6) 상에서 벨트(B)의 풀리 앞쪽 부분을 이 풀리(6)의 풀리 홈 및 플랜지(6a)에 강하게 물리게 하는 각도로 벨트(B)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벨트(B)의 배면이 지그 장착처 풀리(1)의 앞쪽 측면과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벨트(B)의 꼬임을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가 예시이고, 이들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추가로 여러 가지 변행예가 가능한 것, 또 이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가 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는, 상기 제 3 실시형태 벨트 장착 지그(J3)가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벨트 장착 지그(J2)의 벨트 누름부(30)를 구비한 구성의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크랭크 풀리(1) 및 컴프레서 풀리(6)의 2개 풀리에 벨트(B)를 감아 거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는, 3개 이상의 풀리에 벨트(B)를 감아 거는 경우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또 그 밖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풀리(1, 6)에 감아 거는 벨트로써 V 리브드 벨트(B)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에 관한 벨트 장착 지그(J)의 사용대상이 되는 벨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 벨트나 V 벨트 등의 V 리브드 벨트 이외의 벨트라도 상관없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 장착 지그에 대해 유용하며, 특히, 적어도 2개의 풀리에 벨트를 감을 시에 있어서, 미리 걸어 둔 풀리로부터의 벨트 빠짐, 및 벨트 배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요망되는 벨트 장착 지그에 적합하다.
B: V 리브드 벨트 J1, J2, J3: 벨트 장착 지그
S: 틈새 1: 크랭크 풀리
6: 컴프레서 풀리 2a, 3a: 풀리 홈
2b, 3b: 플랜지 10: 지그본체
11: 접촉부(지그본체의 일단측)
12: 꼬임방지 플레이트(지그본체의 타단측)
12a: 벨트 누름부 15: 벨트 안내부
15a: 제 1 경사면 15b: 제 2 경사면
16: 결합 돌출부 17: 결합 홈

Claims (12)

  1. 풀리 홈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풀리에 벨트를 긴장상태로 감아 걸 때, 1개의 풀리를 제외한 다른 풀리에 벨트를 감아 걸어 둔 상태에서, 상기 1개의 풀리에 장착되어 이 풀리의 풀리 홈에 상기 벨트를 감합(嵌合)시키는 벨트 장착 지그에 있어서,
    일단(一端)보다 타단(他端)이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풀리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측에 풀리 회전방향 전방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풀리의 풀리 홈에 감합하며, 또한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풀리 회전축 방향으로 이간(離間)되어 이 타단측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상기 벨트를 기단(基端)측 표면을 거쳐 상기 틈새로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틈새로 안내된 벨트를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지그 장착처 풀리의 측면에 의해 이 벨트의 내주면(內周面)이 풀리측을 향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풀리의 회전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벨트와 함께 풀리 회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벨트를 풀리 홈에 감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벨트 안내부의 선단(先端)측 부근에서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外周緣部)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의 상기 틈새측 단부(端部) 표면에는, 상기 틈새측을 향해 하경(下傾)하는 제 1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의 상기 틈새측 단부와 반대측 표면에는, 상기 틈새와 반대측을 향해 하경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상기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의 풀리 회전 축방향의 틈새는, 풀리 회전방향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풀리의 풀리 홈은, 병렬로 복수 형성되고, 각각, 개구측에서 바닥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V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벨트 안내부는 상기 각 풀리 홈에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 돌출부를 이면에 가지며, 이 각 결합 돌출부는 상기 풀리 홈에 대응하도록 횡단면 삼각형상 또는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지그 장착처의 풀리는 플랜지(flange)가 구비된 풀리이며, 이 풀리의 플랜지는 기단측에서 선단측을 향해 폭이 좁아지는 횡단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측과 상기 벨트 안내부의 기단측 이면과의 사이에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플랜지를 끼워 결합하는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의 일단측에 상기 벨트 안내부의 풀리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간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그본체의 타단측과 풀리 지름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겹치며, 또한 상기 벨트 안내부와 풀리 회전 축방향으로 이간되어 이 벨트 안내부와의 틈새를 가지며, 이 틈새측의 단부가 벨트의 감아 걸기 종료에 앞서 이 벨트의 풀리 홈에 미감합인 부분에 접하고, 이 벨트를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으로 누르는 벨트 누름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벨트 누름부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를 따라 연장되는 만곡(灣曲)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풀리에 장착한 때에, 이 풀리의 벨트 송출측 측방에 있어서 풀리 지름방향 중심측에서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벨트의 중도부(中途部)를, 이 벨트의 내주면을 지그 장착처의 풀리측을 향한 상태에서 이 풀리의 측면에 의해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지그 장착처 풀리의 외주연부를 따라, 이 풀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호(圓弧)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그본체는, 상기 벨트 안내부와 풀리 회전축 방향에 간격을 두어 형성되고, 이 벨트 안내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며, 이 틈새를 통한 벨트를 상기 벨트 안내부에 의해 협지(挾持)하는 벨트 협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장착 지그.
KR1020137001108A 2010-06-17 2011-06-15 벨트 장착 지그 KR101750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8627 2010-06-17
JP2010138627 2010-06-17
JPJP-P-2011-020060 2011-02-01
JP2011020060 2011-02-01
PCT/JP2011/003419 WO2011158505A1 (ja) 2010-06-17 2011-06-15 ベルト取付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280A KR20130131280A (ko) 2013-12-03
KR101750591B1 true KR101750591B1 (ko) 2017-06-23

Family

ID=4534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108A KR101750591B1 (ko) 2010-06-17 2011-06-15 벨트 장착 지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8073B2 (ko)
JP (1) JP5048171B2 (ko)
KR (1) KR101750591B1 (ko)
CN (1) CN102947617B (ko)
DE (1) DE112011102022B4 (ko)
WO (1) WO2011158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6294B1 (ja) * 2012-07-13 2014-02-12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
JP6096506B2 (ja) * 2012-12-27 2017-03-15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
CN103335078A (zh) * 2013-07-15 2013-10-02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弹性多楔带的工具
CN104976296B (zh) * 2014-04-03 2017-07-25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皮带安装工具
JP6294201B2 (ja) * 2014-09-29 2018-03-14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
JP6194027B2 (ja) * 2015-01-29 2017-09-06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
JP6660822B2 (ja) * 2016-06-16 2020-03-1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取付方法
CN108343726B (zh) * 2017-01-25 2022-05-1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能够调节v形传动带的对齐的v形带轮及其控制方法
KR20210004030A (ko) * 2019-07-03 2021-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벨트 연결 구조 및 연결 방법
DE102021111669A1 (de) 2021-05-05 2022-11-10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Lüftungsanlage mit Riemenantrie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hiervon
DE102021207701A1 (de) * 2021-07-20 2023-01-26 Psa Automobiles Sa Montagewerkzeug für einen Riementrieb sowie ein Verfahren zur Montage eines Riemens auf dem Riementrieb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678A (ja) 2005-10-28 2007-05-17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
JP2008164053A (ja) 2006-12-28 2008-07-17 Fuji Heavy Ind Ltd ベルト取付方法、ベルト取付治具、ベルト着脱方法及びベルト着脱治具
JP2009115150A (ja) 2007-11-05 2009-05-28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兼用治具
JP2010078058A (ja) 2008-09-26 2010-04-08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803A (en) * 1885-06-09 Joseph eagleston and william eagleston
JPH04361961A (ja) 1991-06-07 1992-12-15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表示装置
JP2003322230A (ja) * 2002-04-26 2003-11-14 Mitsuboshi Belting Ltd ベルト装着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ベルトの装着用冶具
ITTO20030561A1 (it) * 2003-07-22 2005-01-23 Dayco Europe Srl Calzatore perfezionato per cinghie di trasmissione.
DE10341197A1 (de) * 2003-09-04 2005-03-31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Werkzeug zur Montage eines elastischen Riemens auf einen starren Riementrieb
FR2940826B1 (fr) * 2009-01-07 2012-08-17 Hutchinson Outil de montage d'une courroie sur une poulie
JP4361961B1 (ja) * 2009-01-30 2009-11-11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ベルト外れ防止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678A (ja) 2005-10-28 2007-05-17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
JP2008164053A (ja) 2006-12-28 2008-07-17 Fuji Heavy Ind Ltd ベルト取付方法、ベルト取付治具、ベルト着脱方法及びベルト着脱治具
JP2009115150A (ja) 2007-11-05 2009-05-28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兼用治具
JP2010078058A (ja) 2008-09-26 2010-04-08 Gates Unitta Asia Co ベルト取付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47617B (zh) 2014-03-12
WO2011158505A1 (ja) 2011-12-22
JPWO2011158505A1 (ja) 2013-08-19
US9568073B2 (en) 2017-02-14
KR20130131280A (ko) 2013-12-03
JP5048171B2 (ja) 2012-10-17
CN102947617A (zh) 2013-02-27
US20130081241A1 (en) 2013-04-04
DE112011102022T5 (de) 2013-05-02
DE112011102022B4 (de)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591B1 (ko) 벨트 장착 지그
US9009936B2 (en) Belt attachment jig
JP4860460B2 (ja) ベルト取付方法、ベルト取付治具、ベルト着脱方法及びベルト着脱治具
JP4444907B2 (ja) ベルト取付治具
JP4171517B1 (ja) ベルト取付治具
US10385947B2 (en) Belt attachment tool
JP5166081B2 (ja) ベルト取付治具
JP5009885B2 (ja) ベルト取付治具
JP5048172B2 (ja) ベルト外れ防止治具
JP4988619B2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取付方法
WO2014010330A1 (ja) ベルト取付治具
WO2012008062A1 (ja) ベルト取付治具
JP2013199969A (ja) ベルト取付治具
JP2017223310A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取付方法
JP7384857B2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の取付方法
JP6906118B1 (ja) ベルト取付治具の補助具及びベルトの取付方法
JP7436425B2 (ja) ベルト取付治具及びベルトの取付方法
JP5387496B2 (ja) 動力伝達機構および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ベルト組み付け方法
JP2020197301A (ja) ベルト取付治具
JP2014126184A (ja) ベルト取付治具
JP2012077860A (ja) 動力伝達機構および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ベルト組み付け方法
JP2012219896A (ja) プー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