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98B1 -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998B1
KR101747998B1 KR1020130156877A KR20130156877A KR101747998B1 KR 101747998 B1 KR101747998 B1 KR 101747998B1 KR 1020130156877 A KR1020130156877 A KR 1020130156877A KR 20130156877 A KR20130156877 A KR 20130156877A KR 101747998 B1 KR101747998 B1 KR 101747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engine
control unit
form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928A (ko
Inventor
히로유키 고바야시
아키노리 다케오
아야 가사하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6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via local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027Test patterns and calib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G06K15/406Wake-up proced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8Handling exceptions, e.g. fa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와,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는,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이외의 기능을 제공해서 가동하고, 축퇴 제어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한다. 장치는, 기동이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으로 판정되고, 상기 정보가 기억된 경우에는 화상 형성 기구의 초기화 동작없이 기동하고, 상기 기동이 상기 장치의 전원의 온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상기 초기화 동작을 수반하여 기동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스캔 및 팩스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부품이 고장이 난 경우, 그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하지 않고서, 고장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해서 가동하는 공지된 축퇴 제어(degeneracy control)가 존재한다. 이러한 축퇴 제어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2-320066호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가 각 엔진(예를 들면, 프린터 엔진이나 스캐너 엔진)의 전원 투입시에 고장을 검지하고, 또한, 그 고장이 축퇴 제어가 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했을 경우에, 축퇴 제어로 이행한다. 축퇴 제어로부터 정상 상태로의 복귀는 서비스맨이 고장난 부품을 교환한 후에 그 장치의 전원을 재투입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최근,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절전이 주목받고 있고, 화상 형성 장치의 절전을 개선하기 위한 절전 모드가 탑재된 화상 형성 장치도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화상 형성 장치 절전 모드는, 사용되고 있지 않은 프린터 엔진 및 스캐너 엔진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억제하고, 유저가 대응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타이밍에서만 필요한 엔진 유닛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이고, 프린터 엔진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 인쇄 지시를 접수하면, 프린터 엔진에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여기서, 프린터 엔진이 초기화(캘리브레이션)된 후에, 인쇄 지시에 따라 인쇄를 실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절전 모드 중에 인쇄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프린터 엔진으로의 전원 공급을 항상 재개하고 프린터 엔진의 초기화를 항상 행한다고 가정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프린터 엔진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고 축퇴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도, 인쇄 지시 시에 프린터 엔진으로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고 프린터 엔진 개시 초기화(캘리브레이션)가 실행된다. 이에 의해, 프린터 엔진의 고장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전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축퇴 제어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로 장치가 절전 모드에서 기동된 경우에, 엔진(화상 형성 기구) 초기화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음으로써, 엔진의 고장의 상태의 악화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기능이 제한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자 제공된다. 상기 제어 유닛은, (A) 상기 기억 유닛이 상기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유닛으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절전 상태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하는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초기화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 (B) 상기 기억 유닛이 상기 정보를 기억하지 않고, 상기 절전 상태로부터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기동하는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초기화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과,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컨트롤러와 통신가능한 메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에 따라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기동 지시를 출력한다.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기동 지시에 따라, 상기 기동 이전에 축퇴 제어가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축퇴 제어가 행하여졌다고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했을 경우, 상기 기동이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기동이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 경우 상기 엔진의 초기화 처리를 금지하는 제1 기동 유닛과, 축퇴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했을 경우, 또는, 상기 기동이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 상기 엔진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해서 기동하는 제2 기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과,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컨트롤러와 통신가능한 메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에 따라, 상기 기동 이전에 축퇴 제어가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축퇴 제어가 행하여졌다고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했을 경우, 상기 엔진의 초기화 처리를 금지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기동하는 제1 기동 유닛과, 축퇴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했을 경우, 상기 엔진 컨트롤러 및 상기 엔진을 기동하는 제2 기동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과, 상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엔진 컨트롤러와 통신가능한 메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로부터의 축퇴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절전 모드의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에 상기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절전 유닛과, 상기 절전 유닛에 의한 상기 절전 모드로의 이행 시에, 상기 기억 유닛에 상기 축퇴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면,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상기 엔진의 초기화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출력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시에 상기 엔진 컨트롤러를 기동하도록 지시하는 기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기동 유닛의 지시에 따라 기동을 개시하고, 또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엔진의 초기화 처리를 금지하거나, 또는 금지하지 않고서 기동하는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절전 모드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이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이외의 복수의 기능 중의 기능을 제공해서 가동하는 축퇴 제어를 행하는 축퇴 제어 유닛과, 상기 축퇴 제어 유닛에 의한 축퇴 제어가 행하여진 축퇴 제어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기동이 지시되면, 상기 기동이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지, 또는, 상기 기동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의 온(on)에 의한 것인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과, 상기 기동이 상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으로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하고, 상기 기억 유닛이 상기 정보를 기억한 경우에는, 화상 형성 기구의 초기화 동작을 실행하지 않고서 기동하고, 상기 기동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의 온에 의한 것으로 상기 판정 유닛이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 기구의 초기화 동작을 수반한 기동을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동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이루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인쇄 시스템(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와 엔진 컨트롤러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컨트롤러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의 메인 컨트롤러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컨트롤러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의 메인 컨트롤러에서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컨트롤러에 의한 셧다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 컨트롤러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 컨트롤러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아래의 실시 형태에 따라 설명된 측면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인쇄 시스템(화상 형성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호스트 컴퓨터(정보 처리 장치)(100)와 화상 형성 장치(프린터)(101)가 네트워크(10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인쇄 시스템(1)에서는, 호스트 컴퓨터(100)와 프린터(101)가 네트워크(102)를 통해서 쌍방향으로 통신한다. 네트워크(102)는 LAN 또는 USB 등의 유선 네트워크이거나, 또는 무선 LAN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메인 컨트롤러(210),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화상 형성 기구)(240) 등을 포함한다. 메인 컨트롤러(210)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 추이 등을 관리하고, 엔진 컨트롤러(200)와 통신가능해서, 화상 형성 장치(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211)는 ROM(215)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판독 제어 및 송신 제어 등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AM(212)은 CPU(211)의 메인 메모리, 워크 메모리 등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DISK(하드 디스크)(216)는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설정 정보를 불휘발성의 방식으로 기억한다. 외부 I/F(217)는 엔진 컨트롤러(200)와의 통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이다. 전원 제어 유닛(209)은 스위치(222, 223)의 온 및 오프를 제어하고,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CPU(211) 및 상술한 구성요소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버스(218)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조작 유닛(220)은 터치 패널을 구비하고, 표시 유닛, 키 등을 가지고, 유저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LAN I/F(221)는 화상 형성 장치(101)와 네트워크(102)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엔진 컨트롤러(200)는 프린터 엔진(240)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이다. 엔진 컨트롤러(200)는 메인 컨트롤러(2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프린터 엔진(240)을 제어하고, 프린터 엔진(240)의 각종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210)에 통지한다. CPU(201)는 ROM(2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판독 제어 및 송신 제어 등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AM(202)은 CPU(201)의 메인 메모리 또는 워크 메모리 등의 일시적인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I/O(204)는 프린터 엔진(240)과의 통신을 행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205)는 메인 컨트롤러(210)와의 통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이다. CPU(201) 및 상술한 구성요소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버스(206)를 통해 접속된다. EEPROM(207)은 (후술하는) 축퇴 정보 등을 불휘발성의 방식으로 기억하는 데에 이용된다.
프린터 엔진(240)은 엔진 컨트롤러(200)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화상 형성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도시되지 않은) 감광 드럼, 전사 드럼, 정착 유닛, 급지/배지 유닛 및 각종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유닛(230)은 화상 형성 장치(101) 내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전원 오프일 때, AC 전원(250)은 전원 스위치(251)에 의해 차단된다. 전원 스위치(251)를 온으로 함으로써, AC-DC 컨버터(252)에 AC 전원이 공급되어서 DC 전압이 출력된다.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CPU(211)의 지시에 의해 2개의 독립적인 유형의 전원 제어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어 유닛(209)이 스위치(223)를 오프로 함으로써, 메인 컨트롤러(210)에의 전력 공급(224)을 정지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슬립 모드의 경우에 대응한다. 또한, 스위치(222)를 오프로 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에의 전력 공급(225)을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원 제어 유닛(209)이 스위치(222 및 223)를 온 및 오프로 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필요한 장소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력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참조부호 226은 슬립 모드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개소를 나타내고 있으며, 슬립 모드에서도, 전원 제어 유닛(209), RAM(212), 조작 유닛(220) 및 LAN I/F(221)에의 전원 공급이 계속된다. 전력 공급 개소(226)에의 전력 공급은 어떠한 절전 모드에서도 항상 유지된다.
이하, 절전 모드에서의 각 전력 상태의 상세에 대해서 기재한다.
(A) 슬립 모드
슬립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소비를 가능한 한 저하시킨 상태이다. CPU(211)의 주변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서스펜드 상태(ACPI-S3 등)로 되고, 전력 공급 개소(226)에만 통전을 행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 전체의 전력 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211)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를 DISK(216) 혹은 백업 RAM에 보존하고, 스위치(223)를 오프로 해서, CPU(211)를 포함하는 메인 컨트롤러(210)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CPU(211) 자신은 동작하지 않게 되지만, 전원 제어 유닛(209)은 조작 유닛(220) 또는 LAN I/F(221)로부터의 입력에 의한 인터럽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LAN I/F(221)로부터의 네트워크 수신, 혹은 조작 유닛(220)에서의 조작 시에, 전원 제어 유닛(209)은 인터럽트 신호를 검지하고, 스위치(223)를 온으로 하여, 메인 컨트롤러(210)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CPU(211)는 DISK(216) 혹은 백업 RAM에 보존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를 읽어내고, 재설정을 행하고, 메인 컨트롤러(210)의 전원이 오프로 되기 직전의 상태로 복귀해서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많은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유일한 기능은 대기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다. 입력된 잡은 대기 상태로 이행하고 나서 접수된다.
(B) 대기 상태
메인 컨트롤러(210)가 통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 유닛(220)으로부터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이 접수되고, LAN I/F(221)로부터 네트워크(102)를 통해서 잡 등이 접수된다.
잡의 시작이 지시되면, 엔진 컨트롤러(200)가 전원 오프되어 있기 때문에,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하여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한 후에 잡을 실행한다. 잡의 완료 시에,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필요한 디바이스에만 통전해서 대기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 소비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예를 들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지시가, 예를 들면, 조작 유닛(220)으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의해, 우선,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는 각각의 CPU의 초기 설정 및 메모리 체크와 같은 유형의 초기화의 시동 동작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엔진 컨트롤러(200)는 그 제어하에 있는 프린터 엔진(240)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메인 컨트롤러(21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 천이 정보가 검지되고, 그 검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엔진 컨트롤러(200)가 각각의 구동 대상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이 상태 천이 정보는, 예를 들면, 기동이 전원의 온에 의한 것인지,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지, 및 다음 상태로 어떻게 천이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기능의 구성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200)는 메인 컨트롤러(210)의 시동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각각의 제어하에 있는 구동 대상의 제어를 개시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 소프트웨어는 ROM(203 및 215)에 기억되어 있다.
우선, 메인 컨트롤러(2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 컨트롤러(210)의 메인 제어부(301)는 메인 컨트롤러(210)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기동 제어부(302) 및 슬립 제어부(303)에 지시를 보낸다. 기동 제어부(302)는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의 기동의 제어를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주 전원이 오프로 된 경우, 기동 제어부(302)는 메인 제어부(301)로부터 지시를 접수하고, 엔진 컨트롤러(200)에 셧다운 요구를 송신한다. 주 전원이 온으로 된 경우, 기동 제어부(302)는 메인 제어부(301)로부터 지시를 접수하고, 엔진 컨트롤러(200)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슬립 제어부(303)는 슬립 모드에의 이행 조건을 제어하고, 슬립 모드로 이행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슬립 모드에의 이행 조건은 미리 화상 형성 장치(101)에 설정된다. 슬립 제어부(303)가 슬립 모드로의 이행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301)에 슬립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고, 엔진 컨트롤러(200)에 슬립 요구를 송신한다. 또한,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는, 메인 제어부(301)는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할 것을 기동 제어부(302)에 지시한다.
다음으로, 엔진 컨트롤러(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 컨트롤러(200)의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컨트롤러(200) 전체의 제어를 행하고, 엔진 기동 제어부(312)에 지시를 보내고, 축퇴 검지부(313) 및 에러 검지부(314)로부터 각각 축퇴 정보 및 에러 검지 정보를 취득한다. 메인 컨트롤러(210)로부터 엔진 컨트롤러(200)에 슬립 요구가 통지되면,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각 제어부에 슬립 처리의 지시를 출력한다. 슬립 처리가 완료하면, 엔진 컨트롤러(200)는 슬립 모드로 이행한다. 축퇴 검지부(313)는, 예를 들면, 프린터 엔진(240)의 일부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어서,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축퇴 이력 플래그를 온으로 하여 EEPROM(207)에 기억시킨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ROM(215)에 저장하고, CPU(211)에 의해 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처리는 메인 컨트롤러(210)를 기동함으로써 개시되어, 우선, 단계 S401에서, CPU(211)는 외부 I/F(217 및 205)를 통해서 엔진 제어부(311)에 대하여 기동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200)를 기동시킨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402로 진행해서,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기동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기인하는 기동인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의 온(전원 스위치(251)의 온)에 기인하는 기동인지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관하여, 예를 들면, CPU(211)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슬립 모드인 것을 기억해 놓고, 조작 유닛(220) 혹은 LAN I/F(221)로부터의 인터럽트에 의해 기동했을 때에, 슬립 모드가 기억되어 있으면 기동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또한, 전원 스위치(251)가 온으로 된 것에 의한 인터럽트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의 결과를 외부 I/F(217 및 205)를 통해서 엔진 컨트롤러(200)에 통지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403로 진행되어,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하여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해서 기동시킨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엔진 컨트롤러(200)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ROM(203)에 기억시키고, CPU(201)에 의해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처리는 엔진 컨트롤러(200)를 기동함으로써 개시되어, 우선, 단계 S501에서, CPU(201)는 EEPROM(207)의 축퇴 이력 플래그를 취득하고, 그 축퇴 이력 플래그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축퇴 이력 플래그가 온 상태이면, 프린터 엔진(240)의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는 축퇴 제어 상태에 있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 S502로 진행된다. 축퇴 제어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부품이 고장이 나고, 화상 형성 장치의 복수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없게 된 기능 이외의 기능을 제공해서, 즉, 고장난 부품 또는 부품들을 사용하지 않고 구현할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해서 가동하는 제어이다. 단계 S502에서, CPU(201)는 메인 컨트롤러(210)로부터 기동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기동인지, 또는 전원 스위치(251)가 온으로 되는 것에 의한 복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503으로 진행되어, 기동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이면 처리는 단계 S504로 진행되어, CPU(201), 즉, 엔진 기동 제어부(312)는 프린터 엔진(240)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에 의한 초기화 동작을 금지하면서 기동해서(제1 기동), 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03에서, 기동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05로 진행되어, CPU(201)는 EEPROM(207)의 축퇴 이력 플래그를 오프(클리어)로 한다. 그런 다음, 처리는 단계 S506으로 진행되어, CPU(201), 즉, 엔진 기동 제어부(312)가 프린터 엔진(240)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 지시를 행한다. 또한, 단계 S501에서, 축퇴 이력 플래그가 오프인 경우, 처리는 단계 S506으로 진행되고, 엔진 기동 제어부(312)는 프린터 엔진(240)에 대하여 캘리브레이션 지시를 행한다(제2 기동).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507로 진행되어, CPU(201)는 에러 검지부(314)에 의해 에러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에러가 검지되었을 때에 처리는 단계 S508로 진행되지만, 에러가 검지되지 않았을 때에는 기동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508에서, CPU(201), 즉, 축퇴 검지부(313)는 에러가 축퇴 제어의 대상인지를 검지하고, 축퇴 제어의 대상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09로 진행되어, CPU(201)는 EEPROM(207)의 축퇴 이력 플래그를 온으로 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510으로 진행되어, CPU(201), 즉, 엔진 제어부(311)는 프린터 엔진(240)을 축퇴 제어로 이행시킨다. 축퇴 제어에서는, 에러가 검지된 프린터 엔진(240)의 기능은 사용하지 않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만을 실행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511로 진행되어, 메인 컨트롤러(210)에 축퇴 정보를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08에서, CPU(201)가, 에러가 축퇴 제어될 수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512로 진행되어, CPU(201), 즉, 에러 검지부(314)에 의해 검지된 에러 정보를 외부 I/F(205 및 217)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210)에 통지한다. 여기에서, 에러를 취소하지 않는 한 화상 형성 장치(101)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서비스맨을 콜(call)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단계 S513에서, CPU(201)는 서비스맨 콜이 필요한 에러 상태로 이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엔진 컨트롤러(200)는 축퇴 상태에서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에는 프린터 엔진(240)을 기동시키지 않고 슬립 모드로부터 복귀한다. 이에 의해, 기동 시에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의 수행에 의한 프린터 엔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스위치가 온으로 되는 것에 의한 기동의 경우에는, 축퇴 제어가 취소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기동 시에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이 행해진다. 그 결과, 축퇴가 취소될 가능성이 없는 경우,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퇴 제어가 취소될 가능성이 큰 전원 기동에 의한 기동 시에는 프린터 엔진의 캘리브레이션이 행해질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 2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메인 컨트롤러는 엔진 컨트롤러로부터 축퇴 유무의 통지를 수신해서, 그 축퇴 정보를 불휘발성의 방식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러가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축퇴 정보를 체크하여 축퇴 제어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 엔진 컨트롤러의 전원을 온으로 하지 않고, 프린터 엔진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시키지 않은 상태로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절전 모드(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절전 모드로 이행할 때에 축퇴 제어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엔진 컨트롤러를 기동하지 않고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행한다. 또한, 실시 형태 2는 기동 시에 축퇴 제어가 취소된 경우에는 엔진 컨트롤러를 기동하는 통상적인 기동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절전 모드에서의 전력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A) 슬립 모드
슬립 모드(절전 모드)는, 실시 형태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력 소비가 가능한 한 감소된 상태이다. CPU(211)의 주변 디바이스는 일반적인 서스펜드 상태(ACPI-S3 등)가 되어, 잡을 검지가능한 부분(전력 공급 개소(226))만 통전하고, 화상 형성 장치(101) 전체의 전력 소비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 CPU(211)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를 DISK(216) 혹은 백업 RAM에 보존하고, 스위치(223)을 오프로 하여 메인 컨트롤러(210)로의 전력 공급을 중단시킨다. 여기서, CPU(211) 자신은 동작을 중단하지만, 전력 공급 개소(226)가 잡을 접수하면 CPU(211)에의 인터럽션이 발생하여, 메인 컨트롤러(210)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이에 의해, CPU(211)는 DISK(216) 혹은 백업 RAM에 보존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를 판독해서 재설정을 행하고, 메인 컨트롤러(210)의 전원이 오프로 되기 직전의 상태로 복귀해서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 슬립 모드에서는, 동작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요소가 많지 않기 때문에, 대기 상태로 이행하는 것이 유일한 기능이다. 대기 상태로 이행한 후에 잡이 접수된다.
(B) 대기 상태
이것은 메인 컨트롤러(210)가 통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조작 유닛(220)으로부터 오퍼레이터에 의한 조작이 접수되고, LAN I/F(221)로부터 네트워크(102)를 통해서 잡 등이 접수된다. 엔진 컨트롤러(200)로의 전원 공급이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200)를 통전시킨 후에 잡을 실행한다. 잡이 완료하면, 스위치(222)를 오프로 하여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필요한 디바이스만을 통전시켜, 대기 상태에서의 대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예를 들면,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 지시가, 예를 들면, 조작부(220)로부터 입력된다. 이에 의해, 우선,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는 각각의 CPU의 초기 설정 및 메모리 체크 등의 초기화의 시동 동작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엔진 컨트롤러(200)는 그 제어하에 있는 프린터 엔진(240)의 제어를 개시한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메인 컨트롤러(210)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상태 천이 정보가 검지되어, 그 검지된 정보에 근거해서 엔진 컨트롤러(200)가 각각의 구동 대상에 대하여 제어를 행한다. 이 상태 천이 정보는, 예를 들면, 기동이 전원이 온으로 되는 것에 의한 것인지, 또는 슬립 모드로부터의 복귀에 의한 것인지, 그리고, 다음 상태로 어떻게 이행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기능의 구성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200)는 메인 컨트롤러(210)의 시동 동작을 기다리지 않고 제어하에 있는 각각의 구동 대상의 제어를 개시한다.
메인 컨트롤러(210), 엔진 컨트롤러(200)의 소프트웨어 구성과,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 3과 공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는, 엔진 컨트롤러(200)는 메인 컨트롤러(210)의 시동 동작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구동 대상(프린터 엔진(240))의 제어를 개시한다.
도 6은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트에 의해 도시된 처리는 ROM(21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CPU(211)가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S601에서, CPU(211)는 DISK(216)에 보존되어 있는, 엔진 컨트롤러(200)가 축퇴 제어를 행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하, 축퇴 모드라고 함)을 취득한다. 여기서, 축퇴 모드가 온인 경우, 즉, 축퇴 제어가 행하여진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602로 진행하여, 축퇴 복귀 조작의 유무를 판정한다. 한편, 축퇴 모드가 오프인 경우, 즉, 엔진 컨트롤러(200)가 축퇴 제어를 행하지 않고 있었던 경우에는, 통상적인 기동 처리를 계속하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2에서, CPU(211)는 축퇴 제어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조작(축퇴 복귀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축퇴 복귀 조작은 축퇴 제어가 행해지게 한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이 오프인 때에, 예를 들면, 서비스맨에 의한 에러로부터의 복귀 조작이나, 행해진 부품 교환 등의 조작이다. 이 축퇴 복귀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에러로부터의 복귀 조작을 행한 서비스맨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투입 시에 조작 유닛(220)을 통해서 축퇴 복귀 체크를 행하는 것을 메인 컨트롤러(210)에 지시하였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판단된다. 단계 S602에서, CPU(211)가 축퇴 복귀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정했을 때에 처리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에러로부터의 복귀 조작이나 부품 교환 등의 처리가 종료되지 않기 때문에,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하고, 축퇴 제어에 따라 기동이 행해진다.
단계 S603에서,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하여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고,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을 기동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604로 진행하여,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를 기동해서, 초기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엔진 컨트롤러(200)로부터의 축퇴 검지 결과를 수신한다. 엔진 컨트롤러(200)가 프린터 엔진(240)의 초기화(캘리브레이션)를 실행하고, 프린터 엔진(240)의 불량을 검지하면, 엔진 컨트롤러(200)는 그 불량이 축퇴 제어할 수 있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축퇴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면, 축퇴 모드를 온으로 하여 DISK(216)에 보존한다. 여기서, 프린터 엔진(240)의 불량이 검지되지 않은 때에는 축퇴 모드를 오프로 하고 DISK(216)에 보존한다. 이때, 서비스맨에 의한 수리가 필요한 에러이면, 그 취지를 DISK(216)에 보존하고, 그 이후에 기동 처리가 행해지지 않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605로 진행하여, CPU(211)가 DISK(216)에 보존되어 있는 축퇴 모드의 값을 읽어내어, 축퇴 모드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축퇴 모드가 온이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처리는 단계 S607로 진행하고, 축퇴 모드가 오프라고 판정했을 때에는 처리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6에서는, CPU(211)는, 프린터 엔진(240)이 정상적으로 기동할 수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기동을 행해서 메인 컨트롤러(210)의 기동을 완료시켜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07에서는, CPU(211)는 축퇴 모드가 온인 상태로 기동을 행해서 처리를 완료한다. 축퇴 모드가 온인 때의 기동에서는, CPU(211)는 스위치(222)를 오프로 하고, 엔진 컨트롤러(20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 채로 둔다. 여기서,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와의 통신을 행할 수 없지만, 이전의 기동 시에 DISK(216)에 보존된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의 정보에 기초하여 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의 온에 의한 메인 컨트롤러(210)의 기동 시에, 프린터 엔진(240)에 에러가 발생해서 축퇴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 또는 축퇴 제어가 취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기동 처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원의 온에 의한 기동인 경우에도, 축퇴 모드가 온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프린터 엔진의 기동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온에 의한 엔진 컨트롤러(200)의 기동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01)가 ROM(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단계 S701에서, CPU(201)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및 프린터 엔진(240)의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CPU(201)는 프린터 엔진(240)의 정착 히터 및 정착 롤러, 각종 센서 및 구동 유닛 등의 초기화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702로 진행하여, CPU(201)는 단계 S701의 초기화 처리에서 검지된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여, 에러가 있으면 처리는 단계 S703으로 진행되고, 에러가 없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03에서는, CPU(201)는 단계 S702에서 검지한 에러가 축퇴 제어의 대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에러가 축퇴 제어의 대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704로 진행되고, 에러가 축퇴 제어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기동 처리를 계속할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맨 콜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서 처리는 단계 S706로 진행된다. 단계 S706에서, CPU(20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상태를 서비스맨 콜 상태로 이행시킨다. 여기서, 서비스맨 콜 상태는 서비스맨에 의한 수리를 행할 때까지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능이 사용될 수 없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707로 진행되어, CPU(201)는 단계 S702에서 검지한 에러에 기초하여 서비스맨 콜 상태에 진입한 것을 통지하고, 조작 유닛(220)에 에러 표시를 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704에서는, CPU(20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상태를 축퇴 상태로 이행시킨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705로 진행되어, CPU(201)는 단계 S702에서 검지된 에러에 기초하여,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이 축퇴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메인 컨트롤러(210)에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엔진 컨트롤러(200)는 메인 컨트롤러(210)의 지시에 따라 기동 처리를 개시한다. 전원 온에 의한 기동 시에 프린터 엔진의 에러를 검지하면, 에러의 내용에 따라 축퇴 상태로 이행하거나, 혹은 서비스맨 콜 상태로 이행하고, 그 결과를 메인 컨트롤러(210)에 통지한다.
또한, 엔진 컨트롤러(200)에 절전 모드 상태로부터의 복귀가 지시되었는지,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전원 투입이 행해졌는지와는 독립적으로, 축퇴 제어 기동, 또는 서비스맨 콜 상태, 또는 통상적인 기동이 행해질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11)가 ROM(21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단계 S801에서, CPU(211)는 DISK(216)에 보존된 축퇴 모드의 값(온/오프)을 판정한다. 여기서, 축퇴 모드가 온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802로 진행하고, 축퇴 모드가 오프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8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802에서는, CPU(211)는 축퇴 시에 절전 모드에서의 복귀 처리를 행한다. 축퇴 시의 절전 모드에서의 복귀 처리에서는,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하지 않고 엔진 컨트롤러(200)와의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하지 않고서,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완료한다.
한편, 단계 S803에서는, CPU(211)는 스위치(222)를 온으로 하여 엔진 컨트롤러(200)의 통전을 개시함으로써 기동시킨다. 이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200)는 도 7에서 나타내는 엔진 컨트롤러 기동 시의 에러 검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검지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804로 진행되어,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 및 프린터 엔진(240)의 캘리브레이션의 결과와, 각종 센서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협조 동작을 행하고,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처리를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기동 시에 축퇴 모드가 온인지(축퇴 제어가 실행되고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축퇴 모드가 온인 경우에는, 엔진 컨트롤러(200)를 기동시키지 않고서 복귀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축퇴 모드가 온인 경우에는, 에러로부터의 복귀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귀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만 엔진 컨트롤러(200)를 기동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린터 엔진(240)의 불필요한 캘리브레이션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설명한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 2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 및 엔진 컨트롤러(200)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전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른 도 3과 공통되고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엔진 컨트롤러(200)의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컨트롤러(200) 전체를 제어한다.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기동 제어부(312)에 지시를 주고, 축퇴 검지부(313)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메인 컨트롤러(210)로부터 엔진 컨트롤러(200)에 셧다운 요구가 통지되었을 경우,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각 컨트롤러에 종료 처리의 지시를 행한다. 엔진 제어부(311)는 각 컨트롤러의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메인 컨트롤러(210)에 셧다운 준비 완료의 통지를 행한다. 메인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엔진 컨트롤러(200)에 전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엔진 제어부(311)는 엔진 기동 제어부(312)에 대하여 초기화의 지시를 행한다. 엔진 기동 제어부(312)는 이 지시를 받아서 프린터 엔진(240)에 캘리브레이션 지시를 내리고, 엔진 컨트롤러(200) 내의 다른 컨트롤러에 대하여 초기화 지시를 행한다. 이 경우, 엔진 기동 제어부(312)는 메인 컨트롤러(210)와 엔진 컨트롤러(200) 간의 물리적인 신호선(이후, LIVEWAKE 신호선이라 함)의 상태를 확인한다. LIVEWAKE 신호선이 온인 경우에는 프린터 엔진(240)의 초기화를 행하지 않고 엔진 컨트롤러(200)의 초기화만을 행하고, 오프인 경우에는 프린터 엔진(240)과 엔진 컨트롤러(200)가 초기화되도록 제어한다. 축퇴 검지부(313)는 프린터 엔진(240)으로부터 부품의 고장에 의해 에러가 발생했다는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축퇴 정보로서 메인 컨트롤러(210)에 통지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의 메인 컨트롤러(210)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11)가 ROM(21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단계 S901에서,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로부터 축퇴 정보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축퇴 정보가 통지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902로 진행하고, 그 축퇴 정보를 백업 RAM 혹은 DISK(216)에 유지한다. 다음으로, 처리는 단계 S903으로 진행되어, CPU(211)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위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이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904로 진행한다. 단계 S904에서는, 절전 모드로의 이행 시에 단계 S902에서 기억한 축퇴 정보를 취득하고, 축퇴 상태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축퇴 상태에 진입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905로 진행되어, CPU(211)는 LIVEWAKE 신호선에 온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단계 S904에서, 축퇴 상태에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906으로 진행되어, CPU(211)는 LIVEWAKE 신호선에 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계 S905 또는 단계 S906을 실행한 후, 처리는 단계 S907로 진행하여, CPU(211)는 외부 I/F(217)를 통해서 엔진 컨트롤러(200)에 셧다운 요구를 송신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908로 진행하여, CPU(211)는 엔진 컨트롤러(200)에 의해 셧다운 준비 완료가 통지되는 것을 기다리고, 셧다운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하면 처리는 단계 S909로 진행한다. 단계 S909에서, CPU(211)는 스위치(222)를 오프로하여 엔진 컨트롤러(200)에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메인 컨트롤러(210)는 엔진 컨트롤러(200)로부터의 축퇴 정보를 기억한다. 그리고, 절전 모드로 이행할 때에, 프린터 엔진(240)과 엔진 컨트롤러(200)의 복귀 시의 초기화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도 10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엔진 컨트롤러(200)에 의한 셧다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01)가 ROM(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단계 S1001에서, CPU(201)는 외부 I/F(205)를 통해서 메인 컨트롤러(210)로부터 셧다운 요구가 통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셧다운 요구가 통지되었으면 처리는 단계 S1002로 진행되어, CPU(20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각 제어부에 종료 처리를 요구한다. 그런 다음, 단계 S1003에서, 모든 제어 유닛의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처리는 단계 S1004로 진행되어, CPU(201)는 메인 컨트롤러(210)에 셧다운 준비가 완료한 것을 통지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메인 컨트롤러(210)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11)가 ROM(215)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우선, 단계 S1101에서, CPU(211)는 조작 유닛(220) 및 LAN I/F(221)로부터 인쇄 잡의 지시를 수신하면 기동 처리의 시작을 지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102로 진행되어, CPU(201)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전원을 투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엔진 컨트롤러(200)가 절전 모드로부터 복귀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CPU(201)가 ROM(203)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처리는 엔진 컨트롤러(200)의 전원이 투입됨으로써 개시되고, 우선, 단계 S1201에서, CPU(201)는 LIVEWAKE 신호선이 온인지 오프인지를 확인한다. LIVEWAKE 신호선이 오프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203로 진행하고, LIVEWAKE 신호선이 온인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202로 진행한다. 단계 S1202에서, CPU(201)는, 축퇴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프린터 엔진(240)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엔진 컨트롤러(200)의 초기화만을 행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203에서, CPU(201)는, 축퇴 상태에 있지 않기 때문에, 엔진 컨트롤러(200)의 각 제어부와 프린터 엔진(240)에 대하여 초기화를 지시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204로 진행하여, CPU(201)는 프린터 엔진(240)의 초기화 중에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에 처리는 종료한다. 한편, 에러가 발생했을 때에, 처리는 단계 S1205로 진행하여, CPU(201)는 통지된 에러가 프린터 엔진(240)의 하나 이상의 부품이 고장난 것에 의한 에러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그 에러가 축퇴 제어가능한 에러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축퇴 제어가능한 에러로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206으로 진행되어, CPU(201)는 메인 컨트롤러(210)에 대하여 축퇴가능한 에러가 발생한 것과, 축퇴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207로 진행되어, CPU(201)는 축퇴 중인 프린터 엔진(240)을 제어한다.
한편, 단계 S1205에서, CPU(201)가, 축퇴 제어가 불가능한 에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1208로 진행되어, CPU(201)는 메인 컨트롤러(210)에 대하여 서비스맨 콜 상태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처리는 단계 S1209로 진행되어, CPU(201)는 서비스맨 콜 상태로 된 것을 유저에 통지한다. 엔진 컨트롤러(200)는 서비스맨 콜 상태에서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서비스맨 콜 상태는, 서비스맨에 의해 수리가 행해질 때까지 화상 형성 장치(101)의 기능이 사용될 수 없는 상태이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절전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프린터 엔진에 의해 축퇴 제어가 행하여지고 있었을 경우,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프린터 엔진의 초기화(캘리브레이션)를 실행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기존의 LIVEWAKE의 시퀀스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LIVEWAKE가 설정되기 때문에, 절전 모드로부터의 복귀 시에 메인 컨트롤러에 의한 특별한 처리가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기타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측면은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해서, 전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의 소자)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면, 메모리 소자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해서, 전술한 실시 형태(들)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서, 또는 메모리 소자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 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변경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과 일치하여야 한다.

Claims (33)

  1. 화상 형성 장치로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부품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 유닛과,
    상기 고장 검지 유닛에 의해 검지된 고장난 부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이외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축퇴 제어를 행하는 축퇴 제어 유닛과,
    상기 축퇴 제어시, 전원이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대기 상태로부터 전원이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지 않는 슬립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때, 상기 엔진 제어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축퇴 제어가 행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고장난 부품에 대응하는 상기 초기화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축퇴 제어시 상기 제1 정보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시동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축퇴 제어시 상기 제2 정보의 접수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제2 정보의 접수 후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퇴 제어가 행해졌음을 나타내는 축퇴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기억 유닛에 의해 기억된 상기 축퇴 정보를 판독하고, 그 후 상기 엔진 제어 유닛은 판독된 상기 축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축퇴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기억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이행되었을 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시동되는 경우, 상기 기억 유닛은 상기 축퇴 정보를 소거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상기 초기화 동작은 정착 히터의 초기화, 정착 롤러의 초기화, 센서의 초기화, 및 구동 유닛의 초기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상태는 ACPI-S3 상태인, 화상 형성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접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인 메모리, 상기 슬립 상태에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유닛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삭제
  18.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부품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 단계와,
    상기 고장 검지 단계에서 검지된 고장난 부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이외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축퇴 제어를 행하는 축퇴 제어 단계와,
    상기 축퇴 제어시, 전원이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는 대기 상태로부터 전원이 상기 엔진 제어 유닛에 공급되지 않는 슬립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원 제어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9. 화상 형성 장치로서,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프린터 엔진과,
    상기 프린터 엔진의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와,
    상기 프린터 엔진의 부품의 축퇴 제어시, 전원이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대기 상태로부터 전원이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공급되지 않는 슬립 상태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이행시키는 전원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될 때 상기 프린터 엔진의 고장난 부품에 대응하는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때, 상기 엔진 컨트롤러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에 따라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축퇴 제어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엔진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할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되었음을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축퇴 제어시 상기 엔진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정보를 접수했을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시동되었을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시동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접수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축퇴 제어시 상기 엔진 컨트롤러가 상기 제2 정보를 접수했을 때,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가 상기 제2 정보를 접수한 후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축퇴 제어를 나타내는 축퇴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가 상기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었을 때 상기 기억 유닛에 기억된 상기 축퇴 정보를 판독하고, 그 후 상기 엔진 컨트롤러는 판독된 상기 축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초기화 동작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기동 동작이 실행되도록 상기 프린터 엔진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유닛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화상 형성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를 상기 대기 상태로부터 상기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때 상기 기억 유닛으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동작은 정착 히터의 초기화, 정착 롤러의 초기화, 센서의 초기화, 및 구동 유닛의 초기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2. 삭제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유닛은, 외부 장치로부터 패킷을 접수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메인 메모리, 상기 슬립 상태에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유닛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156877A 2012-12-25 2013-12-17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747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1757 2012-12-25
JP2012281757A JP6080539B2 (ja) 2012-12-25 2012-12-25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928A KR20140082928A (ko) 2014-07-03
KR101747998B1 true KR101747998B1 (ko) 2017-06-15

Family

ID=4951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877A KR101747998B1 (ko) 2012-12-25 2013-12-17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319551B2 (ko)
EP (1) EP2749956B1 (ko)
JP (1) JP6080539B2 (ko)
KR (1) KR101747998B1 (ko)
CN (1) CN103905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87616B2 (ja) 2011-05-20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2342B2 (ja) * 2013-03-29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17568B2 (ja) 2013-11-15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比較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素子並びに比較回路の制御方法
JP6362357B2 (ja) * 2014-03-05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038725A (ja) * 2014-08-07 2016-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システムおよび電子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202043B2 (ja) * 2015-05-12 2017-09-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74753B2 (en) * 2015-05-28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682208B2 (ja) * 2015-07-10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7185636A (ja) 2016-04-01 2017-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JP2018005854A (ja) * 2016-07-08 2018-01-11 株式会社リコー 電子機器、及び電力制御方法
JP6961349B2 (ja) * 2017-01-24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装置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
JP7187202B2 (ja) * 2018-08-01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71487A (ja) * 2020-10-28 2022-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起動制御方法
CN115268240A (zh) * 2022-08-23 2022-11-01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耗材芯片、耗材和图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6789A (ja) * 1998-12-25 2000-07-14 Ricoh Co Ltd 省エネ復帰方法とそれを用いた記録装置
JP2005265932A (ja) * 2004-03-16 2005-09-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59591A (ja) * 2005-03-18 2006-09-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008742A (ja) * 2008-06-27 2010-01-14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3829A (en) 1987-11-11 1992-10-06 Canon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 mus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H07225721A (ja) * 1994-02-15 1995-08-22 Tec Corp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停電処理装置
JPH08234874A (ja) 1995-02-22 1996-09-13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JPH11348390A (ja) * 1998-06-08 1999-12-21 Canon Inc 印刷装置、故障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5058410B2 (ja) 2001-04-19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41582A (ja) 2002-02-20 2003-08-2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086548B2 (ja) * 2002-05-29 2008-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とこれを有する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具備する画像形成装置
US6895196B2 (en) * 2002-10-08 2005-05-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mod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796442B2 (ja) * 2005-07-05 2011-10-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0517095C (zh) 2005-07-05 2009-07-22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和控制该成像装置的方法
CN100448269C (zh) 2005-10-09 2008-12-31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的省电方法
KR101133587B1 (ko) * 2007-06-11 201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4857201B2 (ja) * 2007-06-20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9213042A (ja) * 2008-03-06 2009-09-17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473321B2 (ja) 2008-12-27 2014-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371511B2 (ja) * 2009-03-30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80522B2 (ja) 2009-04-28 2013-09-04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識別情報設定装置、および識別情報設定方法
JP5736120B2 (ja) * 2009-07-03 2015-06-17 株式会社リコー 電気機器、画像形成装置、電気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66451A (ja) * 2010-02-09 2011-08-25 Canon Inc 監視装置、画像形成装置、それらを接続したシステム、及びその監視方法
US20110299109A1 (en) * 2010-06-02 2011-12-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anagement apparatus
JP5852320B2 (ja) 2011-04-13 2016-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787616B2 (ja) * 2011-05-20 2015-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00142B2 (ja) * 2011-09-02 2014-05-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省電力モード解除装置、中継装置、省電力モード解除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012314B2 (ja) 2012-07-12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読出回路及び固体撮像装置
JP6094081B2 (ja) * 2012-07-23 2017-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6789A (ja) * 1998-12-25 2000-07-14 Ricoh Co Ltd 省エネ復帰方法とそれを用いた記録装置
JP2005265932A (ja) * 2004-03-16 2005-09-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6259591A (ja) * 2005-03-18 2006-09-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008742A (ja) * 2008-06-27 2010-01-14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19551B2 (en) 2016-04-19
US9536185B2 (en) 2017-01-03
KR20140082928A (ko) 2014-07-03
EP2749956A3 (en) 2018-04-04
US20140176975A1 (en) 2014-06-26
US20170076189A1 (en) 2017-03-16
JP6080539B2 (ja) 2017-02-15
EP2749956B1 (en) 2020-07-22
CN103905681B (zh) 2017-07-18
EP2749956A2 (en) 2014-07-02
US9904882B2 (en) 2018-02-27
US20160196483A1 (en) 2016-07-07
JP2014124809A (ja) 2014-07-07
CN103905681A (zh)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998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112019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ower control based on human detection,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1096291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RE48925E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tate shift and clearing or not clearing a shift time measured
JP60415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3226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69443B1 (ko) 기동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가능한 화상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US89228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updatable firmwar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JP6362342B2 (ja) 画像形成装置
JP61087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11105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と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74227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6235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4320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7000497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6576397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500049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79244A (ja) 処理装置及びその電力制御方法
JP2024035488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