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404B1 -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404B1
KR101745404B1 KR1020167006011A KR20167006011A KR101745404B1 KR 101745404 B1 KR101745404 B1 KR 101745404B1 KR 1020167006011 A KR1020167006011 A KR 1020167006011A KR 20167006011 A KR20167006011 A KR 20167006011A KR 101745404 B1 KR101745404 B1 KR 101745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shielding wall
circumferential direction
ai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2016A (ko
Inventor
히로히사 모토무라
마사시 나리타
석환 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4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송풍 장치는 모터(310)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312)의 하면에 고정되는 모터 지지 부재(313)와, 전류가 흐르는 접속 단자(40)를 내부에 가지고, 케이싱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4)를 구비한다. 송풍 장치는 모터 지지 부재의 외주 벽부(3132)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 벽부(52)와, 모터 지지 부재와 제 1 차폐 벽부를 연결하는 홈부(53)와, 커넥터의 위쪽을 덮는 커버 부재(5)를 더 구비한다. 커버 부재는 제 1 차폐 벽부의 외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홈부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넥터보다 길다. 홈부의 양단부는 커넥터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각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BLOWER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FOR VEHICLE}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2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4―26936호에 기초한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특허 문헌 1에는 공조용 송풍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모터의 피수(被水)를 방지하기 위해, 물은 모터를 지지하는 케이싱의 플랜지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유하(流下)하도록 구성된다. 홈에 의하여 안내된 물은 연직면을 이루는 플랜지면의 하단 부위로부터 외부로 배수된다.
비특허 문헌 1: 발명 추진 협회 공개 기보 공기 번호 제2013―503450호
비특허 문헌 1과 같은 송풍 장치의 경우, 통풍로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송풍 장치가 외기를 도입하는 경우에 외기와 함께 비 또는 눈 등이 도입됨으로써 습도가 높은 공기가 통풍로를 흘러서 송풍 장치의 내부에 물이 적하(滴下)하는 경우가 있다. 적하한 물은 통풍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의 끼워맞춤 부분 등으로부터 스며 나와 외부로 새는 경우가 있다.
샌 물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벽을 따라 모터로의 전력 공급에 이용되는 전장 부품의 하나인 커넥터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에 물이 도달하면, 커넥터에 내장되는 접속 단자 간이 단락 상태로 될 염려가 있다. 또, 방수 대책으로서 커넥터 자체를 방수 구조로 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 경우에는 커넥터의 비용이 증가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통풍로로부터 새어 나온 물이 전장 부품인 커넥터에 도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시된 송풍 장치는,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모터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의 하면에 고정되는 모터 지지 부재로서, 외주부에 케이싱과 접촉하는 외주 벽부와, 통풍로에 통하는 내벽면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면을 가지는 모터 지지 부재와, 외주 벽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모터 지지 부재에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차폐 벽부와,
제 1 차폐 벽부와 모터 지지 부재를 일체로 연결하는 홈부로서, 외주 벽부의 상단 및 제 1 차폐 벽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을 형성하는 홈부와,
전류가 흐르는 접속 단자를 내부에 가지고, 케이싱 또는 모터 지지 부재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와,
제 1 차폐 벽부의 외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과 함께 커넥터의 위쪽을 덮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홈부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넥터보다 길고,
홈부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가 커넥터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각각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통풍로에 존재하는 물이 중력에 의하여 모터 지지 부재의 내벽면으로 유하하고, 모터 지지 부재와 케이싱의 조합 부분이나 여러 가지 간극 등을 통하여 외부로 새어 나온 경우에도, 샌 물이 커넥터에 도달하지 않는 방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케이싱의 외부로 샌 물은 모터 지지 부재의 외주 벽부를 따라 외주 벽부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홈부로 흐른다. 즉, 모터 지지 부재의 외주 벽부를 따르는 물은 제 1 차폐 벽부가 모터 지지 부재로부터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기 때문에 외주 벽부로부터 제 1 차폐 벽부로 직접 전달될 수 없다.
홈부로 낙하한 물은 홈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 차폐 벽부의 상단을 넘어갈 수 없고, 홈부나 제 1 차폐 벽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낙하한다. 낙하한 물은 홈부 및 제 1 차폐 벽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가 커넥터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넥터의 외곽에 도달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케이싱의 외부로 샌 물은 최종적으로 커넥터에 접촉하지 않는 유하 경로를 따르기 때문에 커넥터 내부의 접속 단자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르면, 통풍로로부터의 누수가 전장 부품인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풍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와 관련된 송풍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의 개요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을 나타낸 전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대하여 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있어서의 모터 홀더 및 방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있어서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있어서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있어서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있어서의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에 대하여, 방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형태를 설명한다. 각 형태에 있어서 선행하는 형태로 설명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형태에 있어서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여 설명한 다른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조합이 가능한 것을 명시하고 있는 부분 간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별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고 있지 않아도 실시 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실시 형태)
본 개시를 적용한 송풍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를 적용한 송풍 장치를 구비한 제 1 실시 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위쪽이 차량에 있어서의 위쪽, 아래쪽이 차량에 있어서의 아래쪽, 좌측이 차량에 있어서의 좌측, 우측이 차량에 있어서의 우측, 앞을 향하는 방향이 차량에 있어서의 후방, 안을 향하는 방향이 차량에 있어서의 전방을 각각 나타낸다. 본 개시를 적용한 송풍 장치의 일례인 송풍 유닛(3)은, 이 장치만으로 하나의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장치와 조합함으로써 하나의 제품의 부품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유닛(3)을 차량용 공조 장치(1)의 일 부품으로서 이용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 장치(1)는 예를 들면, 송풍 유닛(3)과, 송풍 유닛(3)으로부터 송풍된 송풍 공기의 온도 조절을 실시하는 공조 유닛(2)과, 송풍 유닛(3)과 공조 유닛(2)을 접속하는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덕트부(23)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공조 유닛(2), 송풍 유닛(3), 덕트부(23)는 각각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들 각 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경우에는, 사전에 결정된 양의 탤크(talc)나 유리 섬유를 함유한 PP수지를 이용하여도 좋다.
송풍 유닛(3)은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안의 공간 중, 중앙부로부터 조수석측으로 오프셋(offset)되어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공조 유닛(2)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안의 공간 중, 차량폭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간은 탑승자가 존재하는 차실내와 연통하기 때문에 공간의 공기는 차실내 공기이기도 하다.
공조 유닛(2)은 공통의 케이스 내에 증발기(20), 히터 코어(heater core)(21), 에어 믹스 도어(air mixing door) 등을, 차실내에 송풍하는 공기를 공조하기 위한 공조 기능 부품으로서 내장한다. 증발기(20)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박형(薄型)의 형태로서 케이스 내의 통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증발기(20)의 상하 및 차량 좌우로 연장되는 전면에 송풍 유닛(3)으로부터의 송풍 공기가 유입된다. 증발기(20)는 냉동 사이클의 냉매의 증발 잠열을 공조 공기로부터 흡열하여 공조 공기를 냉각시킨다.
증발기(20)의 공기 흐름 하류측인 차량 후방에는 사전에 결정된 간격을 두고 히터 코어(21)가 배치된다. 히터 코어(21)는 증발기(20)를 통과한 냉풍을 가열하고, 그 내부에 고온의 온수(예를 들면, 엔진 냉각수)가 흐르고, 이 온수를 열원으로 하여 공기를 가열한다.
케이스 내의 히터 코어(21)보다도 위쪽 부위에는, 이 히터 코어(21)를 바이패스(bypass)하여 냉풍 공기가 흐르는 냉풍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다. 또, 케이스 내의 히터 코어(21)와 증발기(20)의 사이의 부위에는 히터 코어(21)에 의해 가열되는 온풍과 냉풍 바이패스 통로를 지나서 히터 코어(21)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의 풍량 비율을 조정하는 에어 믹스 도어가 설치된다.
에어 믹스 도어는, 그 위치에 따라 히터 코어(21)를 지나는 온풍의 풍량과 히터 코어(21)를 통과하지 않는 냉풍의 풍량의 비율을 조절한다. 에어 믹스 도어는, 그 개도(開度)에 따라 냉풍과 온풍의 풍량 비율을 조절하고, 공조풍의 온도 조절을 실시한다. 또, 케이스 내에는 증발기(20)로부터 흘러 온 냉풍 공기와 히터 코어(21)로 가열된 온풍 공기가 서로 섞이는 공간인 에어 믹스 챔버가 형성된다. 이 공간에서 온도 조절된 공조풍은 차실내에 연결되는 각 분출구를 개폐하는 각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적정한 풍량 비율로 차실내에 공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3)을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다. 송풍 유닛(3)은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케이싱(312)과, 케이싱(3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311)과, 팬(311)에 대하여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10)와, 모터(310)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 부재(313)를 구비한다.
송풍 유닛(3)은 또한, 차실내 공기인 내기 및 차실외 공기인 외기의 적어도 한쪽을 도입하는 공기 도입 장치(30)와, 상기 외기 및 내기의 적어도 한쪽이 통과할 때에 먼지 등을 포착(捕捉)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팬(311)은 공기 도입 장치(30)에 설치된 내기 도입구(300) 및 외기 도입구(301)를 통하여 내기나 외기를 흡입한다. 이들의 공기 도입구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도입 도어에 의하여 공기 도입 모드에 따라 개폐된다. 예를 들면, 외기 도입구(301)는 덕트를 통하여 차량 덮개 아래에서 연통함으로써 차외(車外)와 통하고 있다. 내기 도입구(30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아래의 공간에 덕트를 통해 연통하여 차실내와 통하고 있다.
팬(311)은 예를 들면, 외주에 환상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를 가진 원심 다익 팬으로 이루어진다. 팬(311)은 소용돌이상의 케이싱(312)의 내부에 공기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흡입하고, 원심 방향으로 분출하도록 설치된다. 케이싱(312)은 상면에 팬(311)의 흡입구가 형성되고, 케이싱(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용돌이상의 통로는 팬(311) 주위의 사전에 결정된 부위로부터 덕트부(23)에 접속된다. 또, 케이싱(312)의 흡입구, 내벽면(3131) 및 외벽면(3130)은 통상의 차량 탑재 상태에 있어서, 지면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하다.
모터(310)는 일부가 모터 지지 부재(313)의 외벽면(31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모터(310)는 구동축이 위쪽을 향하는 자세로 모터 지지 부재(313)에 지지된다. 모터(310)의 구동축에는 팬(311)의 회전축을 이루는 보스부(boss part)가 고정된다. 모터 지지 부재(313)는 케이싱(312)의 하면에 고정되는 부재이고, 그 중앙에 모터(310)가 고정된다. 모터 지지 부재(313)는 외주부에 케이싱(312)과 접촉하는 외주 벽부(3132)를 가진다. 모터 지지 부재(313)는 통풍로에 통하는 내벽면(3131)을 위쪽으로 향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면(3130)을 아래쪽으로 향한 자세로 케이싱(312)에 고정된다.
예를 들면, 인스트루먼트 패널 안의 공간에 노출되는 모터(310)의 하부의 아래쪽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아래에 언더커버(undercover)가 위치된다. 언더 커버는 노출되는 모터(310)의 일부와 탑승자의 발 사이를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모터 지지 부재(313)의 외주 벽부(3132)는 내벽면(3131)의 주위에 형성되는 환상의 벽을 이루고 있다. 외주 벽부(3132)는, 그 상단이 내벽면(313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그 외경 치수가 내벽면(3131)의 외경 치수보다 크게 설치된다. 외주 벽부(3132)의 내측에는 외주 벽부(313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저면을 가진 환상 홈부(3133)가 형성된다. 외주 벽부(3132) 및 환상 홈부(3133)는 모터 지지 부재(313)가 케이싱(312)의 하면에 고정되었을 경우 케이싱(312)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맞추어진다. 따라서, 외주 벽부(3132) 및 환상 홈부(3133)는 케이싱(312)의 개구부와의 끼워맞춤 부분, 장착 부분을 구성한다.
모터(310)의 일부 및 모터(310)의 구동축은 내벽면(3131)보다 위쪽으로 돌출하는 형태이고, 케이싱(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통풍로에 통하고 있다. 따라서, 내벽면(3131)에는 통풍로를 유통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통풍로에 도입된 비 또는 눈 등이 낙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낙하한 물은 내벽면(3131)에 모이고, 어느 일정량에 도달하거나, 송풍 유닛(3), 즉, 내벽면(3131)이 수평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로 되면, 외주측으로 흘러서 환상 홈부(3133) 및 외주 벽부(3132)까지 도달한다.
송풍 유닛(3)은 전류가 흐르는 접속 단자(40)를 내부에 가지고, 케이싱(312) 또는 모터 지지 부재(313)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4)를 구비한다. 커넥터(4)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41)은 모터(310)의 전압 입력부에 접속된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female)의 커넥터(4)에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반송하는 케이블(61)이 접속된 수형(male)의 커넥터(6)가 장착된다. 암형의 커넥터(4)와 수형의 커넥터(6)가 접속됨으로써 서로의 내부의 접속 단자끼리가 통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은 모터(310)에 입력된다.
송풍 유닛(3)은 예를 들면, 외기를 도입하는 경우 외기와 함께 비 또는 눈 등이 도입되어, 습도가 높은 공기가 통풍로를 흐르고, 모터 지지 부재(313)의 내벽면(3131) 상에 물이 적하하는 경우가 있다. 이 물은 모터 지지 부재(313)와 케이싱(312)의 끼워맞춤 부분 등으로부터 스며 나와 외부로 누수될 수 있다. 이 누수는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유하하기 쉽고, 벽을 따라 모터로의 전력 공급에 이용되는 전장 부품의 하나인 커넥터(4)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4)에 물이 도달하면, 커넥터(4) 내부의 통전 상태에 있는 접속 단자(40)가 젖게 될 염려가 있으므로 단락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송풍 유닛(3)은 이와 같은 불합리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하는 방수 구조를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풍 유닛(3)은 외주 벽부(3132)보다도 직경 방향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축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립하는 제 1 차폐 벽부(52)를 가진다. 제 1 차폐 벽부(52)는 모터 지지 부재(313)와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통하여 모터 지지 부재(313)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차폐 벽부(52)는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서 직경 방향의 외측에서 외주 벽부(3132)를 덮는 판형상의 벽부이다. 외주 벽부(3132)는 링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제 1 차폐 벽부(52)도 외주 벽부(3132)의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면, 제 1 차폐 벽부(52)는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주 벽부(3132)를 따르는 형상을 가진다.
송풍 유닛(3)은 외주 벽부(3132)의 상단 및 제 1 차폐 벽부(52)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을 형성하는 홈부(53)를 가진다. 홈부(53)는 외주 벽부(3132)의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을 이루고 있다. 홈부(52)는 제 1 차폐 벽부(52)와 모터 지지 부재(313)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을 이루고 있다.
송풍 유닛(3)은 제 1 차폐 벽부(52)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에 일체로 설치되고 커넥터(4)의 위쪽을 덮는 커버 부재(5)를 가진다. 커버 부재(5)는 제 1 차폐 벽부(52)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판형상 부분으로서 제 1 차폐 벽부(52)에 대하여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도록 돌출한다. 커버 부재(5)는 제 1 차폐 벽부(52)의 하부로부터 돌출하고, 그 일부에는 커넥터(4)를 매달도록 지지하는 지지 부재(7)가 부착된다. 지지 부재(7)는 커버 부재(5)를 관통하는 축부(70)와, 축부(70)의 한쪽측에 설치한 헤드부와, 축부(70)의 다른쪽측에 설치한 커넥터(4)와의 부착부와, 헤드부와 함께 커버 부재(5)를 끼워넣는 탄성 변형 가능한 반환부(71)를 일체로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넥터(4)는 커버 부재(5)의 아래쪽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만일 커버 부재(5)의 위에 물이 도달하였더라도 커버 부재(5)는 커넥터(4)에 직접 물이 도달하지 않도록 우산의 역할을 완수한다.
직경 방향에 있어서는, 외주 벽부(3132), 홈부(53), 제 1 차폐 벽부(52)와 커버 부재(5)는, 이 차례로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열된다. 또, 외주 벽부(3132)와 홈부(53)는 축방향에 있어서 커버 부재(5)의 판형상 부분을 통하여 커넥터(4)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부(53)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넥터(4)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넥터(4)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 또는 가로폭 치수(W3)는 홈부(53)의 가로폭 치수(W2)보다 작게 설정된다. 또한, 홈부(53)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 즉, 한쪽 단부(530) 및 다른쪽 단부(531)가 커넥터(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제 1 차폐 벽부(52)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홈부(53)보다 길고, 커넥터(4)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차폐 벽부(52)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 또는 가로폭 치수(W1)는 홈부(53)의 가로폭 치수(W2) 및 커넥터(4)의 가로폭 치수(W3)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제 1 차폐 벽부(52)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 즉, 한쪽 단부(520) 및 다른쪽 단부(521)가 홈부(53)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 즉 한쪽 단부(530) 및 다른쪽 단부(531)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송풍 유닛(3)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 2 차폐 벽부(50, 51)를 구비한다. 제 2 차폐 벽부(50, 51)는 커버 부재(5)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에 간격을 두고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는 2개의 벽부이다. 제 2 차폐 벽부(50)와 제 2 차폐 벽부(51)의 둘레 방향의 간격은 커넥터(4)의 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 2 차폐 벽부(50) 및 제 2 차폐 벽부(51)는 각각 커넥터(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 2 차폐 벽부(50) 및 제 2 차폐 벽부(51)의 각각의 바로 아래에 커넥터(4)는 존재하지 않고, 커넥터(4)는 제 2 차폐 벽부(50)의 하단(500)과 제 2 차폐 벽부(51)의 하단(510)의 사이에 존재한다.
도 6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차폐 벽부(50)의 하단(500)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 차폐 벽부(51)의 하단(510)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위치 관계에 따라 홈부(53)나 제 1 차폐 벽부(52)에 도달한 물은 다시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의 하단(500, 510)으로 유도되도록 흐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 차폐 벽부(50)의 하단(500)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질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차폐 벽부(51)의 하단(510)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질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형상에 의해 제 2 차폐 벽부(50)나 제 2 차폐 벽부(51)에 도달한 물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근원측, 즉,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운 측에 유도되도록 흐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의 상단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질수록 위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의 상단은 제 1 차폐 벽부(52)로부터 멀어지는 선단측을 향하여 내리막으로 경사진 단면을 형성한다. 이 형상에 의해,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의 상단에 이르른 물은 선단측으로 유도되도록 흐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차폐 벽부(50, 51)는 각각 제 1 차폐 벽부(52)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선단에 걸쳐서 끝이 가늘게 되는 측면 형상을 나타낸다. 즉, 제 2 차폐 벽부(50, 51)는 전체적으로 끝이 가늘게 되는 형상으로 되도록 상단 및 하단이 경사지고, 상하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근원측이 선단측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 외주 벽부(3132)와 제 1 차폐 벽부(52)의 간격, 즉, 양자 간의 직경 방향의 거리나 홈부(53)의 직경 방향 길이는 케이싱(312)의 외부로 새어 나온 물이 표면 장력에 의하여 외주 벽부(3132)로부터 제 1 차폐 벽부(52)로 직접 이동할 수 없는 치수로 설정된다. 즉, 상정되는 수량의 물이 외주 벽부(3132)를 따라 흐르고나서 홈부(53)를 경유한 후에 송풍 유닛(3)의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값으로 상기 치수가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3)이 가져오는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서술한다. 송풍 유닛(3)은 모터(310)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케이싱(312)의 하면에 고정되는 모터 지지 부재(313)와, 전류가 흐르는 접속 단자(40)를 내부에 가지고 케이싱(312)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4)를 구비한다. 송풍 유닛(3)은 외주 벽부(3132)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상하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기립하는 제 1 차폐 벽부(52)와, 모터 지지 부재(313)와 제 1 차폐 벽부(52)를 연결하는 홈부(53)와, 커넥터(4)의 위쪽을 덮는 커버 부재(5)를 구비한다. 홈부(53)는 외주 벽부(3132)의 상단 및 제 1 차폐 벽부(52)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을 형성한다. 커버 부재(5)는 제 1 차폐 벽부(52)의 외측에 일체로 설치된다. 홈부(53)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커넥터보다 길다. 홈부(53)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는 커넥터(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풍로에 존재하는 물은 중력에 의하여 모터 지지 부재(313)의 내벽면으로 유하하고, 모터 지지 부재(313)와 케이싱(312)의 조합 부분이나 그 밖의 간극 등을 통하여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이 누수가 커넥터(4)에 도달하지 않는 방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케이싱(312)의 외부로 샌 물은 모터 지지 부재(313)의 외주 벽부(3132)를 따라 외주 벽부(3132)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홈부(53)로 흐른다. 즉, 외주 벽부(3132)를 따른 물은 제 1 차폐 벽부(52)가 모터 지지 부재(313)로부터 간격을 두고 세워 설치되기 때문에 외주 벽부(3132)로부터 제 1 차폐 벽부(52)로 직접 전달될 수 없다.
홈부(53)로 낙하한 물은 홈부(53)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제 1 차폐 벽부(52)의 상단을 넘어갈 수 없기 때문에 홈부(53)나 제 1 차폐 벽부(52)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를 따라 아래쪽으로 낙하한다. 즉, 홈부(53)로 낙하한 물은 홈부(53)에 있어서 둘레 방향의 양단부로 퍼지도록 가로로 흐르고, 제 1 차폐 벽부(5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이와 같이 낙하한 물은 홈부(53) 및 제 1 차폐 벽부(52)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가 커넥터(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커넥터(4)의 외곽으로 낙하하지 않는다. 또한, 케이블(41)은 커넥터(4)로부터 케이싱(312)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선되기 때문에 낙하한 물이 도달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상의 설명은 도 6 내지 도 9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낸 물의 배수 경로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케이싱(312)의 외부로 샌 물은 최종적으로 커넥터(4)와 접촉하지 않는 유하 경로를 따르기 때문에 상기 누수에 의하여 커넥터(4)의 내부의 접속 단자(40)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유닛(3)에 따르면, 접속 단자(40) 간이 단락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불합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차폐 벽부(52)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홈부(53)보다 길게 설정된다. 제 1 차폐 벽부(52)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가 홈부(53)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홈부(53)로 낙하한 물은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차폐 벽부(52)의 내면에 부딪혀서 제 1 차폐 벽부(52)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물은 홈부(53)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의 위치보다도 더욱 옆으로 퍼지는 벡터(vector)의 흐름으로 되고 커넥터(4)로부터 한층 더 멀리에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4)를 아래쪽에 배치하는 커버 부재(5)측으로 흐르기 곤란한 배수 경로를 구축할 수 있다.
또, 송풍 유닛(3)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과 함께 커버 부재(5)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차폐 벽부(50, 51)를 더 구비한다.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은 커넥터(4)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홈부(53)로 낙하한 물은 예를 들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 2 차폐 벽부(50, 51)의 벽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유하하게 된다. 따라서, 물은 각 제 2 차폐 벽부(50, 51)에 전달됨으로써 아래쪽으로 유도되고, 제 2 차폐 벽부(50, 51)의 각각의 하단(500, 510)으로부터 낙하한다. 이와 같이, 하단(500, 510)으로부터 낙하한 물은 커넥터(4)에 접촉하지 않고, 송풍 유닛(3)의 아래쪽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또, 제 2 차폐 벽부(50, 51)의 하단(500, 510)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단(500, 510)은 제 1 차폐 벽부(52)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차폐 벽부(50, 51)를 따라 물을 커넥터(4)로부터 멀어지도록 보다 아래쪽으로부터 낙하시킬 수 있다.
제 2 차폐 벽부(50, 51)의 하단(500, 510)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질수록 아래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하단(500, 510)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지는 근원측일수록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근원측을 향하여 하단(500, 510)을 따라 흐르는 배수를 촉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차폐 벽부(50, 51)에는 배수(排水)를 집합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배수의 주류(主流)를 형성하기 용이하여 배수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배수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2 차폐 벽부(50, 51)의 상단은 제 1 차폐 벽부(52)에 가까워질수록 위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단측을 물이 전달되는 경우에, 제 1 차폐 벽부(52)로부터 멀어지도록 제 2 차폐 벽부(50, 51)를 따라 흐르는 배수를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넥터(4)가 케이싱(312)의 중앙부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커넥터(4)로부터 멀어지도록 흐르는 배수를 촉진할 수 있어서, 커넥터(4)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량용 공조 장치(1)는 송풍 유닛(3)과, 송풍 유닛(3)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공조하는 공조 기능 부품을 가진 공조 유닛(2)을 일체로 구비하고, 송풍 유닛(3)은 차실외로부터 외기를 도입하고, 공조 유닛(2)에서 공조한 공기를 차실내에 제공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싱(312)의 외부로 샌 물은 최종적으로 커넥터(4)에 접촉하지 않는 유하 경로를 따르기 때문에 상기 누수에 의하여 커넥터(4) 내부의 접속 단자(40)가 젖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공조 장치(1)에 있어서, 강우(强雨) 시, 강설(强雪) 시 등의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차량용 공조 장치(1)에 있어서, 접속 단자(40) 간이 단락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불합리를 커넥터의 방수 구조 등의 비용을 요하지 않고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른 형태인 송풍 유닛의 구성에 대하여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은 제 1 실시 형태의 송풍 유닛(3)에 대하여 제 1 차폐 벽부(152)가 상이하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형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하고, 이하,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차폐 벽부(152)는, 그 상단이 외주 벽부(313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로 되도록 설치된다. 즉, 외주 벽부(3132)를 따라 케이싱(312)의 외부로 새어 나온 물은 제 1 차폐 벽부(152)의 상단을 넘는 높이까지 도달하지 않으면, 제 1 차폐 벽부(152)를 넘어가서 커버 부재(5)의 상면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제 2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홈부(53)로 낙하한 물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차폐 벽부(152)의 상단을 넘어가서 커버 부재(5)의 상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물이 커버 부재(5)의 상면에 낙하하여 커넥터(4)에 접촉하게 되는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어서, 물을 커넥터(4)로부터 한층 더 멀어지도록 낙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4)를 아래쪽에 배치하는 커버 부재(5)측으로 흐르기 곤란한 배수 경로를 구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전혀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주요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조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본 개시의 범위는 이들 기재의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나타나고, 또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재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 부재(313)와 통풍로를 형성하는 케이싱(312)의 끼워맞춤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누수하는 예가 설명되어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경로는 일례에 불과하고, 통풍로에 존재하는 물이 외부로 새는 경로는 상기 실시 형태의 경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풍로에 존재하는 물은 그 밖의 끼워맞춤 부분, 간극, 구멍 등, 여러 가지 부위를 통하여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지지 부재(313)는 케이싱(312)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끼워맞추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모터 지지 부재(313)가 케이싱(312)에 고정되는 구조는,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외주 벽부(3132)는 그 선단이 상면을 구성하고 있지만, 상기 선단이 하면을 구성하는 형태로 모터 지지 부재(313)가 케이싱(312)에 고정되는 구조이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송풍 장치가 탑재하는 팬(311)은 원심 팬이지만, 본 개시에 포함되는 송풍 장치는 이와 같은 팬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팬(311), 케이싱(312), 모터 지지 부재(312) 등의 수지제 부품은 각 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전에 결정된 양의 탤크나 유리 섬유를 함유한 수지 성형품으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공기가 흐르는 통풍로를 형성하는 케이싱(312)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311)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10)와,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것과 함께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고정되는 모터 지지 부재(313)로서, 외주부에 상기 케이싱과 접촉하는 외주 벽부(3132)와, 상기 통풍로에 통하는 내벽면(3131)과,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면(3130)을 가진 모터 지지 부재(313)와,
    상기 외주 벽부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차폐 벽부(52, 152)로서, 상기 모터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차폐 벽부(52, 152)와,
    상기 모터 지지 부재와 제 1 차폐 벽부를 서로 연결하는 홈부(53)로서, 상기 외주 벽부의 상단 및 상기 제 1 차폐 벽부의 상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면을 형성하는 홈부(53)와,
    전류가 흐르는 접속 단자(40)를 내부에 가지고 상기 케이싱 또는 상기 모터 지지 부재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커넥터(4)와,
    상기 제 1 차폐 벽부의 외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커넥터의 위쪽을 덮는 커버 부재(5)를 구비하고,
    상기 홈부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상기 커넥터보다 길고,
    상기 홈부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530, 531)가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각각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벽부는, 그 둘레 방향의 길이가 상기 홈부보다 길고,
    상기 제 1 차폐 벽부는, 그 둘레 방향의 양단부(520, 521)가 상기 홈부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각각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송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벽부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 2 차폐 벽부(50, 51)로서, 상기 커버 부재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차폐 벽부(50, 5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차폐 벽부의 각각은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양단부보다 상기 둘레 방향에 대하여 외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송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벽부의 하단(500, 510)은 상기 제 1 차폐 벽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송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벽부의 하단은 상기 제 1 차폐 벽부에 가까워질수록 아래쪽에 위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송풍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폐 벽부의 상단은 상기 제 1 차폐 벽부에 가까워질수록 위쪽에 위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송풍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폐 벽부(152)는, 그 상단이 상기 외주 벽부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로 되도록 설치되는
    송풍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벽부(3132), 상기 홈부(53), 상기 제 1 차폐 벽부(52, 152)와 상기 커버 부재(5)는, 이 차례로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나열되고,
    상기 외주 벽부(3132)와 상기 홈부(53)는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5)의 판형상 부분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4)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송풍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송풍 장치(3)와,
    상기 송풍 장치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공조하는 공조 기능 부품(20, 21)을 가진 공조 유닛(2)을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송풍 장치는 차실외로부터 외기를 도입하고, 상기 공조 유닛에서 공조된 공기를 차실내에 제공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0167006011A 2014-02-14 2015-01-29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745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6936 2014-02-14
JP2014026936A JP2015151025A (ja) 2014-02-14 2014-02-14 送風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車両用空調装置
PCT/JP2015/000382 WO2015122133A1 (ja) 2014-02-14 2015-01-29 送風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車両用空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016A KR20160042016A (ko) 2016-04-18
KR101745404B1 true KR101745404B1 (ko) 2017-06-09

Family

ID=53799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011A KR101745404B1 (ko) 2014-02-14 2015-01-29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87949B2 (ko)
JP (1) JP2015151025A (ko)
KR (1) KR101745404B1 (ko)
CN (1) CN105636805B (ko)
DE (1) DE112015000817B4 (ko)
WO (1) WO201512213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998A (ja) 1999-05-31 2000-12-12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のブロア装置
JP2003009459A (ja) 2001-06-25 2003-01-10 Asmo Co Ltd モータの防水構造
JP2013531457A (ja) 2010-06-24 2013-08-01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車両の換気設備のパルスモータを受け入れ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1725A (en) * 1988-02-12 1989-07-25 General Electric Company Terminal block assembly for a leadless motor
GB2225672B (en) * 1988-09-22 1992-10-07 Johnson Electric Ind Mfg Splashproof cover for an electric motor
IT220654Z2 (it) * 1990-10-30 1993-10-08 Marelli Autronica Connettore per una unita' di controllo di una funzione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JP3702538B2 (ja) * 1996-01-31 2005-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部品の取付構造
CN2534054Y (zh) * 2002-01-21 2003-02-05 上海德尔福汽车空调系统有限公司 可改变风量和流向的汽车空调装置
JP2005030363A (ja) * 2003-07-11 2005-02-03 Denso Corp 車両用電動ファンシステム
JP4391874B2 (ja) * 2004-04-19 2009-12-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空調装置
JP2007154856A (ja) 2005-12-08 2007-06-21 Denso Corp 送風機の水入り防止構造
JP5217626B2 (ja) * 2008-05-22 2013-06-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のブロワユニット
CN201318317Y (zh) * 2008-12-15 2009-09-30 浙江朗迪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空调换气装置上的风机
US9121414B2 (en) * 2010-11-05 2015-09-01 Gentherm Incorporated Low-profile blower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998A (ja) 1999-05-31 2000-12-12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のブロア装置
JP2003009459A (ja) 2001-06-25 2003-01-10 Asmo Co Ltd モータの防水構造
JP2013531457A (ja) 2010-06-24 2013-08-01 ヴァレオ システム テルミク 車両の換気設備のパルスモータを受け入れるため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2133A1 (ja) 2015-08-20
CN105636805A (zh) 2016-06-01
JP2015151025A (ja) 2015-08-24
KR20160042016A (ko) 2016-04-18
DE112015000817T5 (de) 2016-11-03
CN105636805B (zh) 2017-07-11
US20160305446A1 (en) 2016-10-20
US10087949B2 (en) 2018-10-02
DE112015000817B4 (de)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6954B2 (en) Blower unit
CN109424566B (zh) 用于车辆用空调装置的离心送风机
US10052934B2 (en) Convex grid shape to reduce turbulence under rotary door
EP3335918A1 (en) Air blowing device
CN107531126B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1745404B1 (ko) 송풍 장치 및 이를 가지는 차량용 공조 장치
CN110621521B (zh) 车用空调的鼓风机单元
JP2018167638A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CN111867861B (zh) 车辆空调用空气吹送装置
US11639084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220140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CN203627266U (zh) 双叶轮鼓风机和具有其的汽车空调、汽车
CN208418977U (zh) 柜式空调室内机
WO2019208251A1 (ja) 車両用空調装置
EP3718799A1 (en) Blower device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JP6531713B2 (ja) 送風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09042676U (zh) 新风模块及空调器室内机
CN217099609U (zh) 一种车用空调装置及车辆
JP5527302B2 (ja) 送風装置
KR101988343B1 (ko) 차량용 송풍장치
CN208936418U (zh) 新风模块及空调器室内机
JP4102641B2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20110581A1 (ja) 車両空調用送風装置
CN114007878A (zh) 空调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