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0907A -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0907A
KR20220140907A KR1020210046217A KR20210046217A KR20220140907A KR 20220140907 A KR20220140907 A KR 20220140907A KR 1020210046217 A KR1020210046217 A KR 1020210046217A KR 20210046217 A KR20210046217 A KR 20210046217A KR 20220140907 A KR20220140907 A KR 20220140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disposed
blower device
impeller me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민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10046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0907A/ko
Publication of KR20220140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9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04D29/28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 F04D29/283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the leading edge of each vane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rotors of the squirrel-cag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서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고, 상, 하측에 각각의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케이스; 상기 스크롤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임펠러부재; 및 상기 일펠러부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재는, 상부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외경이 같은 하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의하면, 상, 하부 외경이 동일하며, 상하 분리 간극 구조가 없고 허브 형상을 위한 별도의 커버가 없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고속 회전 시에도 강성에 유리하고 이음 발생 현상도 없는 구조가 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Blower device of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공조케이스 내부로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특히,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층류(Two-Layer) 구조의 공조장치가 개발되었다.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생기는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지만,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구조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을 위해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 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장착되는 임펠러는 2층류 구조로 상, 하부의 임펠러의 크기가 다르게 구성되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는 상, 하단 허브 형상을 만들기 위해 별도로 제작된 구조물을 조립하는 방식으로 임펠러가 고속 회전 시 유격 등에 의해 이음이 발생하는 소지가 있었다.
그리고 상, 하 풍배를 적절하게 배분하기 위해 임펠러 크기를 다르게 하면 블로워 장치의 상, 하부 스크롤 케이스 형상도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상, 하단의 중앙에 이층류 구획을 나누기 위해 일정구간 간극을 형성했기 때문에 강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7914호(발명의 명칭 :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부품 없이 사출을 통해 일체형으로 상, 하부 임펠러의 블레이드 형상이 동일하고, 임펠러부의 외경을 동일하게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서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고, 상, 하측에 각각의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케이스; 상기 스크롤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임펠러부재; 및 상기 일펠러부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재는, 상부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외경이 같은 하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롤케이스는, 내부에 배치된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스크롤케이스와, 상기 구획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스크롤케이스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스크롤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는, 상기 제1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제2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부재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며, 상기 모터부의 단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형성된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 하측에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제2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동일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는, 상하 길이가 상기 임펠러부재의 전체 상하 길이의 50 내지 7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의하면, 임펠러부재의 상, 하부 외경이 동일하며, 상하 분리 간극 구조가 없고 허브 형상을 위한 별도의 커버가 없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고속 회전 시에도 강성에 유리하고 이음 발생 현상도 없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따른 임펠러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임펠러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100)는, 스크롤케이스(110)와 임펠러부재(120) 및 모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100)는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100a)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토출구(100b)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롤케이스(110)는 상부에서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고, 상, 하측에 각각의 제1유로(112a) 및 제2유로(113a)를 형성하며, 구획부(111)와 상부 스크롤케이스(112) 및 하부 스크롤케이스(113)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부(111)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스크롤케이스(112)는 크기(A1)를 가지며, 상기 구획부(111)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유로(112a)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 스크롤케이스(113)는 상기 구획부(111)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스크롤케이스(112)의 크기(A1)와 동일한 크기(B1)를 가지며, 상기 제2유로(113a)를 형성한다.
상기 임펠러부재(120)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블레이드(121), 하부 블레이드(122), 가이드부(123), 제1허브(124), 하우징(125) 및 제2허브(12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는 외경(
Figure pat00001
)을 가지며, 상기 제1유로(112a)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는 각 모드의 풍량 비율을 맞추기 위해 상하 길이(L1)가 상기 임펠러부재(120)의 전체 상하 길이(L)의 50 내지 75%를 가진다.
상기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의 외경(
Figure pat00002
)과 동일한 외경(
Figure pat00003
)과 상하 길이(L2)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제2유로(113a)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와 하부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허브(124)는 상기 가이드부(123) 상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며, 상기 모터부(130)의 회전축(131)을 감싸는 하우징(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허브(126)는 상기 제1허브(124) 하측에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부재(120)는 사출 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와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가이드부(123)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부(130)는 상기 임펠러부재(120)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부재(120)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하부터는, 제1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중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하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임펠러부재(120)는 상기 스크롤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블레이드(121), 하부 블레이드(122), 가이드부(123), 제1허브(124), 하우징(125) 및 제2허브(12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는 외경(
Figure pat00004
)을 가지며, 상기 제1유로(112a)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한다. 또한,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는 각 모드의 풍량 비율을 맞추기 위해 상하 길이(L1)가 상기 임펠러부재(120)의 전체 상하 길이(L)의 50 내지 75%를 가진다.
상기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의 외경(
Figure pat00005
)과 동일한 외경(
Figure pat00006
)과 상하 길이(L2)를 가진다. 또한, 상기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제2유로(113a)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121)와 하부 블레이드(1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허브(124)는 상기 가이드부(123) 상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며, 상기 모터부(130)의 회전축(131)을 감싸는 하우징(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허브(126)는 상기 제1허브(124) 하측에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부재(120)는 사출 성형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123)와 하부 블레이드(122)는, 상기 가이드부(123)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동일한 위치로 배치된다.
100 :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100a : 공기유입구 100b : 공기토출구
110 : 스크롤케이스 111 : 구획부
112 : 상부 스크롤케이스 112a : 제1유로
113 : 하부 스크롤케이스 113a : 제2유로
120 : 임펠러부재 121 : 상부 블레이드
122 : 하부 블레이드 123 : 가이드부
124 : 제1허브 125 : 하우징
126 : 제2허브 130 : 모터부
131 : 회전축

Claims (7)

  1.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서 내기 및 외기를 유입하고, 상, 하측에 각각의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케이스;
    상기 스크롤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임펠러부재; 및
    상기 일펠러부재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임펠러부재는,
    상부 블레이드와,
    상기 상부 블레이드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외경이 같은 하부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케이스는,
    내부에 배치된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상부 스크롤케이스와,
    상기 구획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스크롤케이스의 크기와 동일하고, 상기 제2유로를 형성하는 하부 스크롤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는, 상기 제1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제2유로 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토출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부재는,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상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굴곡지며, 상기 모터부의 단부를 감싸는 하우징이 형성된 제1허브와,
    상기 제1허브 하측에 형성되며, 원통 형상의 제2허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와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부를 중심으로 상, 하측에 동일한 위치로 배치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블레이드는, 상하 길이가 상기 임펠러부재의 전체 상하 길이의 50 내지 75%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KR1020210046217A 2021-04-09 2021-04-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KR202201409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17A KR20220140907A (ko) 2021-04-09 2021-04-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217A KR20220140907A (ko) 2021-04-09 2021-04-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07A true KR20220140907A (ko) 2022-10-19

Family

ID=8380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217A KR20220140907A (ko) 2021-04-09 2021-04-09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0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8979A (zh) * 2023-03-15 2023-07-04 江苏车驰汽车有限公司 一种商务车内循环新风机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914A (ko) 2017-05-22 2018-11-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914A (ko) 2017-05-22 2018-11-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78979A (zh) * 2023-03-15 2023-07-04 江苏车驰汽车有限公司 一种商务车内循环新风机及其使用方法
CN116378979B (zh) * 2023-03-15 2024-04-09 江苏车驰汽车有限公司 一种商务车内循环新风机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4566B (zh) 用于车辆用空调装置的离心送风机
US5673747A (en) Rear air-conditioning unit for use in vehicle
US6575701B2 (en) Blower for vehicle
KR2022014090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블로워 장치
JP3328985B2 (ja) 空気調和装置
CN110621521B (zh) 车用空调的鼓风机单元
JP419238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US11639084B2 (en) Blower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209661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0127740A (ja) 遠心送風機
JP3832009B2 (ja) 遠心送風機
JP6794318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ための遠心送風機
JP4411724B2 (ja) 遠心式送風機
JP4070501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ユニット構造
JP3324406B2 (ja) 送風ユニット
JP200102620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5527302B2 (ja) 送風装置
KR1020567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1395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유닛
JP41301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20100021712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JP393295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4092594A (ja) 遠心式送風機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01150923A (ja) 自動車用空調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