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703B1 -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703B1
KR101738703B1 KR1020117016639A KR20117016639A KR101738703B1 KR 101738703 B1 KR101738703 B1 KR 101738703B1 KR 1020117016639 A KR1020117016639 A KR 1020117016639A KR 20117016639 A KR20117016639 A KR 20117016639A KR 101738703 B1 KR101738703 B1 KR 101738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ing
members
vertical
profile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357A (ko
Inventor
존 헨리크 포크
데이비드 프레드릭 어거스틴슨
Original Assignee
브룬케베리 시스템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룬케베리 시스템스 에이비 filed Critical 브룬케베리 시스템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1010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2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with angles or corners in the curtain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5Connections of mullions and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7Tool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up plates, panels or slab 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a-d)을 포함한 프로파일 시스템에 의해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12, 12b-c)을 장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슬롯, 제 1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내부부 및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외부부를 가지고, 이때 상기 제 2 유형의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그루브를 구비하고, 제 2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빌딩의 제 2 층에서, 제 1 유형의 2 개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a-b)을, 이전에 제 1 층 상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1c-d) 위에서 장착하는 단계, b) 외장 부재(12)가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1 층 상에 장착된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상기 외장 부재가 들어가는 단계, d) 상기 슬롯의 외부부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장착 위치로 연속적으로 운송시키는 단계, e)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서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로 상기 외장 부재를 미는 단계, f) 상기 빌딩에 상기 외장 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A METHOD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본 발명은 다층 건물(multi-storey building) 상에 외장 부재들(facade elements)을 장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층 건물들은 복수의 방식으로 구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들 모두는 외장을 포함한다. 외장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다층 건물의 하중 지탱 부분(load bearing part)을 구성하거나 단지 기후를 이겨내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서, 빌딩은 빌딩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빌딩 구조물 상에는 외장 부재들에 형성된 플레이트(plate)가 부착된다. 외장 부재들에 형성된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외장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부재들은 팔레트들(pallets) 상에 작업 부위로 종종 이송된다. 통상적으로, 타워 크레인(tower crane)에 의해 운송 트럭으로부터 이러한 팔레트들을 내리고, 그 후에 외장 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는 층에 올려지게 된다. 타워 크레인은 중요한 수단이다. 트럭들 및 타워 크레인들에 대한 대기 시간은 시간을 소모시키고, 실질적인 비용을 발생시킨다.
외장 부재들이 빌딩 상에 장착되는 동안, 외장 부재들의 취급은 민감하고, 외장 부재들은 취급 동안에 손상될 수 있다. 외장 부재들을 올리는 동안, 상기 부재들은 보다 이전에 장착된 부재들 또는 빌딩의 다른 부분들 또는 인접한 장치에 충돌한 위험이 있고,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위험은 장착하는 동안, 바람부는 상황에서 높아질 수 있고, 바람 부는 상황이라면, 외장 설치 처리를 중지시키면서 잔잔한 날씨가 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외장 부재들은, 빌딩의 서로 다른 부분들로 빌딩 부재를 상승시키는 목적을 가진 타워 크레인들을 사용함으로써, 빌딩 상의 설치 레벨로 보통 상승된다. 설치에 사용되는 방법은 타워 크레인으로 하나씩 외장 부재들을 직접 조립하거나, 또는 설치 층으로 외장 부재들의 팔레트들을 상승시키는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여 조립하고, 이때 상기 설치 층으로부터의 최종 설치는 설치 레벨 상의 일 층에서 이동 미니 크레인들 사용하여 구현된다. 층들 상의 패널들(panels)의 위치는, 다른 트레이드들(trades)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남아있어야 하는 각각의 층 상의 공간을 스테이지형 패널들(staged panels)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제한된 초기 콘크리트 강도로 인해 구조 설계자로부터 상세한 지시도 요구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방법 모두는 날씨에 따라 달라지고,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여 큰 외장 부재들을 올리는 것은 중요한 사항이다.
"다른 고층 빌딩 트레이드들로부터의 디커플링 클래딩 설치: a case study, proc. 9th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lean construction - IGLC 9, Singapore, 6-8 August 2001"에서,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타워 크레인들의 사용없이 올리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외장 부재들을 올리기 위해 하나 이상의 크레인들은 기술되어 있고, 상기 크레인들은 빌딩을 조립하는 동안 층들 상에 연속적으로 위치될 수 있고, 외장 부재가 빌딩의 원하는 높이로 운송될 수 있는 케이블 가이드형 리프팅 장치(cable guided lifting device)를 위한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 후에, 외장 부재들은 전체 빌딩 주위의 빌딩 구조물 상에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배치된 트래버스 칼라(traverse collar)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수평 방향으로 분배될 수 있고, 빌딩에서 상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장 부재들을 최종 장착한 후에, 의도된 장소에 외장 부재들을 올리고 분배시키는 모든 부품들은 해체됨으로써, 빌딩에 관한 다른 목적에는 사용될 수 없다.
US 특허 4 591 308은 타워 크레인들의 사용 없이, 다층 건물 상으로 외장 부재들을 올리는 또 따른 방법을 기술한다. 상기 특허는 외장 부재들을 올리는 가이드 지그(guide jig)를 개시한다. 가이드 지그는 로프에 매달려 있고, 각각의 외장 부재의 외부 상에 구비된 수직 레일들(vertical rails)에 가이드된다.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층에 상기 외장 부재가 이르게 될 시에, 외장 부재는 지그 상에 구비된 기계 장치의 암(mechanical arm) 및 타워 크레인에 의해 빌딩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 방법에 대한 결점은,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층에 이르게 될 시에 상기 외장 부재가 이전에 장착된 부재들 상의 수직 레일들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아가, 외장 부재의 장착 위치로 외장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은 복잡하고, 수많은 장착 단계들을 수반한다.
GB22284009는 작업 엘리베이터에 의해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외장 부재들에는 그루브들(grooves)이 구비되고, 상기 그루부들을 따라서 작업 엘리베이터는 구동된다. 외장 부재들은, 외장 부재들이 작업 엘리베이터에 의해 설치되는 층에 운송된다. 작업 엘리베이터에는 그 자체의 드라이브(drive)가 구비된다. 작업 엘리베이터는 빌딩을 향하여 외장 부재들의 장착 위치로 외장 부재들을 이동시키는 공압 제어 시스템(pneumatically controlled system)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 엘리베이터는 복잡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든다. 외장 부재들의 복수의 컬럼들(columns)이 평행으로 장착되는 경우, 값비싼 복수의 작업 엘리베이터들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결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vertical profile)을 포함한 프로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고,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슬롯(slot), 제 1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내부부 및 상기 제 1 외장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외부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유형의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그루브를 구비하고, 제 2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빌딩의 제 2 층에서,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이전에 제 1 층 상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1c-d)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b) 외장 부재가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1 층 상에 장착된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상기 외장 부재가 들어가는 단계,
d) 상기 외장 부재가 장착 위치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송시키는 단계,
e)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서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로 상기 외장 부재를 미는 단계,
f) 상기 빌딩에, 예를 들면 상기 빌딩의 층 구조물에 상기 외장 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그루브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은, 외장 부재가 빌딩에 장착되는 동안 외장 부재가 장착 위치까지 모두 지지된다는 점이다. 현 장착 위치 아래의 층으로 외장 부재를 운송하는 동안, 외장 부재는 제 2 유형의 수직 부재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되고, 이전의 층 상에 장착된 외장 부재도 지지한다. 외장 부재가 현 장착 위치 아래로 층 상의 그루브들에서 이동하게 될 시에, 외장 부재는 운송 동안, 이뿐 아니라, 외장 부재의 장착 동안 현재의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의해 지지된다. 슬롯들의 외부부는 외장 부재가 바람이 부는 날씨로 인해 빌딩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열악한 날씨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전한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큰 외장 부재들, 특히 폭이 큰 외장 부재들의 안전 장착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간단하고, 속도가 빠르며, 이에 따라서 외장 부재들을 장착하기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고, 장착 비용을 상당히 낮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빌딩의 제 3 층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이전에 제 2 층 상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제 2 외장 부재가 상기 제 3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제 2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운송시키고, 상기 제 2 외장 부재에 대해 상기 단계 c)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장 부재들은, 이전에 장착된 외장 부재들의 외부 상에서, 하나씩 상기 외장 부재가 장착된 층으로, 운송된다. 외장 부재들이 설치 위치로 직접 운송되기 때문에, 층 상에 어떠한 스테이징(staging)도 필요 없게 됨으로써, 빌딩 내부에서 사용되는 작업 공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2 외장 부재는 툴(tool)에 의해서 슬롯들의 외부부에서 슬롯들의 내부부로 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툴은 외장 부재의 장착 위치로 외상 부재들을 이동시키는 상술된 공압 제어 시스템보다 매우 저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장비가 필요없기 때문에, 빌딩을 따른 서로 다른 수평 위치들 상에서 복수의 외장 부재들을 동시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층 상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툴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d) 및 e)는 상기 외장 부재가 상기 툴과 접촉될 때까지 상기 외장 부재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최종 장착 위치 상의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외장 부재의 상향 이동이 툴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되, 상기 툴이 작업 위치로 전환되도록 미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장작 위치를 향하여 상기 외장 부재를 내려가게 함으로써, 상기 툴이 상기 외장 부재를,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를 향하여 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툴은 빌딩의 외부 상에서 사람이 없이도 최종 장착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를 미는 것을 가능케 한다. 사람은 단지 빌딩의 내부로부터 수직 프로파일 상에 툴을 장착시키고, 외장 부재의 상향 및 하향 수직 이동을 제어하기만 하면 되며, 상기 외장 부재는 툴 내에 포함된 기계 장치에 의해 상기 외장 부재의 최종 장착 위치로 밀릴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툴은 외장 부재의 수직 하향 이동으로 구동된다. 이로써, 상기 툴에는 그 자체의 드라이브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툴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에는 제 1 체결 부재(fastening element) 및 제 2 체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빌딩 상에서, 대응하는 체결 부재와 맞물리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외장 부재 상에 구비된 대응하는 체결 유닛과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단계 a)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체결 부재들을 상기 제 2 층에 구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층 상의 체결 부재와 상기 제 1 체결 부재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상기 제 2 층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f)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들의 제 2 체결 부재들과 상기 외장 부재의 체결 유닛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빌딩에 상기 외장 부재(12)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 부재들은 수직 프로파일들에 사전에 부착된다.
이 실시예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가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미 장착되고, 빌딩의 층에 장착될 필요가 없다는 것으로 인해, 상기 외장 부재의 장착을 간단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빌딩에 체결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단계는 생략된다. 그러나, 외장 부재가 매우 폭이 크다면, 상기 외장 부재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외장 부재 상의 대응하는 체결 유닛들과 수직 부재들 사이의 층 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하나 이상의 여분 체결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빌딩에 관련된 외장 부재의 위치는, 제 1 체결 부재들이 빌딩의 체결 부재와 맞물릴 시에 수직 프로파일들이 빌딩에 대해 정의된 위치를 가지고 제 2 체결 부재들이 외장 부재 상에 체결 유닛들과 맞물릴 시에 수직 프로파일들에 대해 정의된 위치를 가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들은 단일 유닛에 통합되고, 공통의 하중 지탱 몸체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수직 프로파일에 체결 부재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나아가, 공통의 하중 지탱 몸체는 빌딩 상의 체결 부재로 상기 외장 부재의 중량을 이동시키고, 이로써, 외장 부재의 중량은 수직 프로파일이 아닌 빌딩에 의해 전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장 부재들은 트럭 트레일러에 의해 빌딩으로 전달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트럭 트레일러로부터 상기 빌딩의 베이스에 위치된 저장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들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방법은 빌딩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 트랙을 포함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저장 위치에서 원하는 수평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들을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현장 운송은 트럭 트레일러로부터 직접 외장 부재들을 상승시키고 한동안 층 상의 스테이징 없이, 상기 외장 부재들을 상기 외장 부재들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이는 내부 운송을 피한다. 나아가, 외장 부재들을 손상시키는 위험은, 지면 상 또는 층 상의 스테이징이 필요없기 때문에, 그리고 외장 부재들의 운송에 대해 완전한 제어가 있기 때문에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장 부재들은, 상기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층 위의 층에 또는 그 층 상에 상기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층 상에 위치된 리프팅 장치, 예를 들면 미니 크레인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많은 목적을 가진 리프팅 장치는 외장 부재의 수직 이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특별하게 제작된 드라이브 유닛은 외장 부재를 수직으로 이동하는데 있어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외장 부재들은 상기 외장 부재를 움켜잡는 그립핑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유닛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그립핑 장치는, 상기 외장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장 부재의 에지들이 빌딩 상에 장착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과 정렬되고, 이로 인해 외장 부재가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에 의해 상기 외장 부재들을 움켜잡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에 의해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상기 제 2 외장 부재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외장 부재를 삽입시키는 것은 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고, 설치 위치, 예를 들면, 빌딩의 하부에서부터 이격된 워커 스탠딩(worker standing)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은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리프팅 장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써, 상기 엘리베이터는 그 자체의 드라이브 시스템을 가질 필요성이 없다. 일반적으로, 많은 목적을 가진 리프팅 장치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엘리베이터 유닛으로 상기 외장 부재들을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럭에 의한 이동으로부터 설치까지의 외장 부재들의 흐름은 제공되고, 이동으로부터 설치까지의 외장 부재들의 연속적인 흐름도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수급업자들(contractors)은 외장 부재들의 불필요한 취급을 받지 않거나, 또는 타워 크레인들 또는 다른 트레이드들은 대기할 필요도 없다. 이는, 외장 수급업자가 사실 현장의 공통으로 공유된 크레인들 및 빌딩 호이스트들(hoists)과 독립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프로파일들을 장착하는 동안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는 외장 부재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지그에 의해 확보된다. 이 실시예는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를 가지고 수직 프로파일들을 장착하는 것이 빠르고 쉽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언급된 제 1 슬롯과 관련하여, 상기 프로파일의 대향 측 상에서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 2 슬롯을 가지고, 상기 제 2 슬롯은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내부부, 및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외부부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제 2 층의 프로파일들 중 하나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하나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을, 이전에 제 1 층 상에 장착된 하나의 프로파일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단계 b)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2 개의 수평 방향으로 정렬된 외장 부재들을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및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상부 상에서, 그리고 2 개의 정렬된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어댑터 블럭(adaptor block)을 장착하는 단계, 및 서로 다른 층들의 수직 프로파일들과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밀봉하기 위해, 2 개의 수평으로 정렬된 외장 부재들의 상부 상에서, 그리고 상기 어댑터 블럭의 상부 상에서 연속적인 밀봉 스트립(sealing strip)을 장착하는 단계, 및 그 후에 상기 밀봉 스트립 위의 다음의 층 상에 상기 외장 부재들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밀봉 스트립은 복수의 외장 부재들 및 수직 프로파일들을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는 외장 부재들 사이의 안전한 수평적인 밀봉을 확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수직 프로파일의 슬롯의 외부부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의 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외장 부재가 슬롯의 내부부로 이동될 시의 외장 부재 및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에 의해 유지되고,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에 의해 지지되는 2 개의 외장 부재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그루브에 의해 가이드되는 외장 부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상기 다층 건물 상의 외장 부재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장착되는 다층 건물의 일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가 지그(jig)로 어떻게 확보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8a는 체결 장치가 구비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 및 체결 부재가 구비된 빌딩의 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b는 체결 장치 및 체결 부재에 의해 빌딩의 층에 체결되는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c는 체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a는 체결 유닛 및 체결 장치가 구비된 외장 부재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체결 유닛 및 체결 장치가 구비된 외장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체결 장치에 의해 빌딩의 층에 부착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 파일 및 외장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12는 슬롯의 외부부에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슬롯의 내부부에로 외장 부재를 밀어내는 툴의 장착을 도시한다.
도 13, 14, 15a-b, 16a-b, 및 17a-b는 툴에 의해 외장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8a-c 및 19는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밀봉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20은 빌딩의 하부(foot)에서 빌딩에 설치될 위치까지 외장 부재들을 전달하는 전체 이동 라인을 도시한다.
도 21은 외장 부재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엘리베이터 유닛으로 어떻게 이동되지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위로 이동된 외장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상기 외장 부재의 에지들은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에 들어가게 된다.
도 1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의 예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수직 프로파일(1)은 프로파일의 길이 축을 따라 본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수직 프로파일들(1)은 외장 부재에 대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프로파일(1)은 빌딩을 향해 위치되도록 배치된 제 1 부분(2), 및 빌딩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facing away from) 위치되도록 배치된 제 2 부분(3)을 포함한다. 슬롯(4a-b)은 수직 프로파일(1)의 각 측 상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서 배치된다. 슬롯들(4a-b)은 프로파일(1)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다. 각각의 슬롯들은 내부부(5) 및 외부부(6)로 분할된다. 슬롯의 내부부(5)는 외장 부재의 에지 부분을 수용하고 덮기 위해 설계되고, 슬롯의 외부부(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에지 부분은 또한 외장 부재의 에지들 상에 구비된 어댑터일 수도 있기 때문에, 에지 부분은 프로파일 시스템에 대해 구성된다. 슬롯의 내부부(5)에는 복수의 가요성 부재들(7)이 구비된다. 가요성 부재들(7)은 탄성 물질로 구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시에 외장 부재를 지지하고, 외장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고, 외장 부재를 밀봉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 2 부분(3)은 외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면 상에는 복수의 지지 프로파일들(8)이 배치되고, 이때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은 프로파일(1)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에는 노치들(notches)(9)이 배치된다. 지지 프로파일들(8)은 하나 이상의 지지 장치들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부분(2)은 슬롯의 내부부(5)를 향한 내부면(10)을 포함하고, 제 2 부분(3)은 슬롯의 외부부(6)를 향한 내부면(11)을 포함한다. 수직 프로파일(1)은 제 1 및 제 2 부분들(2, 3)을 통하여 연장된 대칭 축에 대해 대칭적이다. 수직 프로파일(1)은 서로 다른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장착되기에 적합한 또 다른 예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WO2009/093948에 개시된다. 이 예에서, 외장 부재의 에지들은 돌출 부분을 가지지 않고, 대신에, 외장 부재의 전체 에지는 슬롯으로 들어가게 된다.
도 2는 수직 프로파일(1)의 슬롯의 외부부(6)에 의해 지지된 외장 부재(12)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6에서 도시된 장착을 통한 단면 A-A이다. 외장 부재들은 글라스 플레이트들(glass plates), 또는 적층된 글라스, 하나 이상의 풍우방지(weatherproof) 플레이트들 또는 글라스 플레이트들 및 풍우방지 플레이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글라스 플레이트들 및/또는 풍우방지 플레이트들을 유지시키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부재들에 형성된 서로 다른 플레이트의 조합은 외장에 사용될 수 있다. 외장 부재(12)의 에지에는 외장 부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 돌출 부분(13)이 구비된다. 외장 부재의 에지의 돌출 부분(13)은 슬롯(6)의 외부부에 위치된다. 외장 부재의 대향 에지에는 대응하는 돌출 부분(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대응하는 돌출 부분은 제 1 수직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유형의 또 다른 수직 부재의 슬롯의 외부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서, 외장 부재(12)는 슬롯들의 외부부들(6)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해, 외장 부재는 빌딩의 진동으로부터 방지된다.
도 3은 외부부(6)로부터 수직 프로파일(1)의 슬롯의 내부부(5)까지 이동될 시에의 외장 부재(12)를 도시한다. 외장 부재의 에지의 돌출 부분(13)은 제 1 부분(2)의 표면(10) 상에서 지탱된다. 가요성 부재들(7)은 외장 부재(12)를 지지한다. 도 3은 또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을 도시하고, 상기 수직 프로 파일은 슬롯의 외부부(6)에 맞춰지도록 설계되고, 그리고 수직 프로 파일이 장착될 시에 외장 부재(12)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다.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은 U-프로파일이라 칭한다.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에는 그루브(15)가 구비되고, 이때, 상기 그루브는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고, 외장 부재의 돌출 에지 부분(13)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다. 그루브(15)는 U-그루브라 칭한다. 수직 프로파일(14)은 프로파일의 길이 축을 따라 본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진다.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의 길이는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의 길이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2 유형의 프로파일(14)은 제 1 외장 부재(12)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배치된다. 프로파일(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시에 프로파일(1) 상의 제 2 부분(3)의 표면(11) 상에서 지탱되도록 설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장착된 2 개의 외장 부재들(12, 12b)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외장 부재들은 이들의 최종 장착 위치에 위치된다. 2 개의 외장 부재들(12, 12b)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 및 제 2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4)에 의해 수평으로 정렬되고 지지된다. 도 4는 도 6에 도시된 장착을 통한 단면 C-C이다.
도 5는 외장 부재(12c)의 장착 위치에 있는 외장 부재(12c)를 통한 단면을 도시한다. 외장 부재(12c)는 수직으로 이동될 시에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의 그루브(15)에 의해 가이드된다. 외장 부재들(12, 12b)은 이들의 최종 위치에서 이미 장착된다. 외장 부재(12c)는 외장 부재들(12, 12b)의 외부 상의 장착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외장 부재(미도시)의 다른 에지에는 돌출 부분(13)도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제 1 유형의 프로파일(1)에 배치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의 대응하는 그루브(15)에 의해 가이드된다. 도 5는 도 6에 도시된 장착을 통한 단면 B-B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외장 부재들이 장착된 다층 빌딩의 일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나아가, 상기 도면은 외장 장착 동안 외장 부재(12)의 운송을 도시한다. 빌딩은 슬라브들(slabs)로도 나타낸 벽 연장 층들(17) 사이에서 다양한 수직 하중-지탱 벽들(미도시)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평 하중-지탱 벽들을 포함한다. 외장 부재(12)는 제 1 주요 측 및 제 2 주요 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주요 측 및 제 2 주요 측은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외장 부재는 또한 제 1 에지(18a) 및 제 2 에지(18b)를 포함한다. 각각의 에지들(18a-b)은 돌출 부분(13)을 포함한다. 수평으로 정렬된 복수의 외장 부재들은 일 층 상에 장착된다.
제 1 유형의 수많은 수직 프로파일들(1a-d)은 빌딩의 층들에 부착된다. 수직 프로파일들은,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서로 포개져(above each other) 배치됨으로써, 수직 프로파일들의 컬럼들을 형성한다. 복수의 컬럼들의 수직 프로파일들은 외장 부재들의 폭에 본질적으로 대응하여 서로 수평으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수직 부재들(1)의 2 개의 이웃 컬럼들은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외장 부재들(12b-c)은 프로파일들의 2 개의 이웃 컬럼들 사이에 장착된다. 도 4는 장착 외장 부재들 및 수직 프로파일들을 통한 단면 C-C를 도시한다. 장착 외장 부재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4)에 의해 지지되고, 이때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의 슬롯들의 외부부들(6)에 들어가게 된다. 제 1 및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은 아래에서부터 외장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외장 부재가 장착 위치로 이동될 시에 외장 부재의 에지들을 지지하기 위해 장착된다. 지지 프로파일들(8)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외장 부재(12)가 그의 장착 위치로 이동될 시에, 외장 부재의 에지들(18a-b)의 돌출 부분들(13)은 수직 프로파일들의 2 개의 이웃 컬럼들의 제 2 유형의 최하부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15)에 삽입된다. 외장 부재(12)는 장착 위치의 층 아래의 층들 상에 이전에 장착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15)에 의해 가이드된 장착 위치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도 5는 외장 부재(12)가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그루브들(15)에 의해 가이드될 시에 상기 외장 부재를 통한 단면 B-B를 도시한다.
외장 부재가 장착된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1a, 1b)로 외장 부재가 이를 시에, 외장 부재(12)의 에지들(18a-b)의 돌출 부분들(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들(1 및 1b)의 슬롯들의 외부부들(6)에 삽입된다. 도 2는 외장 부재(12) 및 수직 프로파일(1)을 통한 단면 A-A이다. 외장 부재(12)는 장착 위치를 향한 수직 방향으로 슬롯들의 외부부들(6)에 의해 이동되어 가이드된다. 이 실시예에서, 툴(20)은 외장이 장착된 마지막 층 상에 있는 2 개의 이웃 수직 프로파일들(1 및 1b) 각각 상에 장착된다. 툴(20)은 슬롯들의 외부부(6)에서 슬롯들의 내부부들(5)로 외장 부재(12)를 밀어내기 위해 사용된다. 툴들(20)은 수직 프로파일들(1a,1b)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 지지 프로파일들(8)에 배치되고, 툴은 지지 프로파일들 사이의 노치들(9)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외장 부재(12)는, 외장 부재가 장착된 층 상의 층에 또는 층 위에 외장 부재가 장착된 층 상에 위치된 리프팅 장치(22)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된다. 리프팅 장치는 예를 들면 미니 크레인(mini crane)이다.
도 7은 제 1 유형(1a-b)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가 지그(23)로 어떻게 확보되는지를 도시하고, 이때 상기 지그는 장착되는 외장 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지그(23)는 바(bar)의 형태를 가진다.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a-b) 사이에서 정확한 거리 및 평행 위치가 확보된다. 수직 프로파일이 장착될 시에, 지그는 제거되고, 다음 수직 프로파일(1)을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그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상부 부분들에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지그(23)에는, 수직 부재들의 돌출 핀들(27)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 지그의 말단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홀들(holes)이 구비된다. 지그가 사용될 시에, 지그의 말단들 중 하나에 있는 홀들은 이미 장착된 수직 부재(1a)의 핀들 상에서 맞물리게 되고(threaded), 지그의 다른 말단 상의 홀들은, 장착되는 수직 프로파일(1b) 상에 맞물리게 된다.
이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 및 외장 부재들(12)을 빌딩에 체결하는 독창적인 방법은 도 8a-c, 9a-b 및 10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8a는 체결 장치(24)가 구비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상기 체결 장치는 빌딩 상의 체결 부재(28)에 체결되는 제 1 체결 부재(25), 및 외장 부재를 체결하는 제 2 체결 부재(2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체결 장치(24)는 빌딩 부위로 운반하기 전에 수직 프로파일(1)과 기조립된다(pre-assembled). 체결 장치(24)는 도 8c의 뒷부분 도면에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체결 장치(24)에는 2 개의 외장 부재들을 빌딩에 체결시키는 2 개의 제 2 체결 부재들(26)이 구비되고, 이때 상기 2 개의 외장 부재들은 수직 프로파일(1)의 대향 측면들 상에 장착된다. 외장 부재(12)를 빌딩에 체결시키기 위해, 적어도 2 개의 제 2 체결 부재들(26)이 각 에지(18a-b) 마다 필요하다. 체결 장치(24)는 공통의 하중-지탱 몸체(34)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들(25, 26)은 하중-지탱 몸체 상에서 구비된다.
수직 프로파일(1)의 상부 부분에는 돌출 핀들(27)이 구비되고, 이때 상기 돌출 핀들(27)은 수직 프로파일 위에 장착되는 다음의 수직 프로파일의 하부부 상에 구비된 대응하는 홀들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면은 빌딩의 층(17)을 더 도시한다. 체결 부재(28)는 층(17) 상에 장착되고, 수직 프로파일(1) 상의 제 1 체결 부재(25)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체결 부재(28)는 수직 연장 부분(30)을 포함하고, 제 1 체결 부재(25)는 체결 부재(28)의 부분(30)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32)을 포함하고, 이로 인해, 제 1 체결 부재(28)와 제 1 체결 장치(24) 사이에서는 맞물림이 제공된다. 수직 프로파일(1)의 장착 동안, 제 1 체결 부재(25)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28)의 수직 연장부(30)에 맞물리게 된다. 그 후에, 제 1 체결 부재(25)는 체결 부재(28)의 부분(30)에 고정된다(clamped). 도 8a-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프로파일들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들이 장착되는 층 상의 거리를 연장하도록 장착되어, 예를 들면, 도 19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밀봉 스트립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조인트(joint)는 층과 정렬될 수 있다.
도 9a는 제 2 체결 부재(26) 및 빌딩에 외장 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해, 체결 유닛(35)이 구비된 외장 부재(12)의 정면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9b는 외장 부재(12) 및 체결 장치(2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체결 유닛(35)은 외장 부재(12)의 에지의 오목부(37)에 구비된 핀(36)을 포함한다. 오목부(37)의 상부 부분에는 오목부를 강화시키도록 금속 플레이트(38)가 구비된다. 외장 부재(12)에는 그의 에지들(18a-b) 각각에서 하나의 체결 유닛(35)이 구비된다. 제 2 체결 부재(26)는 외장 부재에 구비된 체결 유닛(35)과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체결 부재(26)는 체결 유닛(35)의 핀(36)을 수용하기 위해 구성된 후크(hook)로 설계된다. 외장 부재(12)의 장착 동안, 외장 부재의 각 측 상의 체결 유닛들(35)은 수직 프로파일들(1a, 1b)이 이전에 장착될 시에, 층에 맞물리는 체결 장치들(24)의 제 2 체결 부재들(26)에 맞물린다. 이로써, 외장 부재는 빌딩의 층에 부착된다.
도 10은 체결 장치(24) 및 체결 부재(28)에 의해 빌딩의 층(17)에 부착된 외장 부재의 일 측 에지(18a)를 도시한다. 외장 부재의 맞은편의 타 측 에지(18b)는 체결 장치, 체결 부재 및 체결 유닛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빌딩의 층(17)에 부착된다.
도 11 및 12는 슬롯의 외부부에서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의 슬롯의 내부부로 외장 부재를 밀어내는 툴의 장착을 도시한다. 외장 부재가 그의 장착 위치에 이르거나 장착 위치에 근접하게 될 시에, 외장 부재는 외부부(6)에서 슬롯들의 내부부(5)로 이동해야 한다. 압박력(press power)은 수직 프로파일(1) 상의 가요성 부재들(7)로부터의 마찰로 인한 저항을 이겨내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특별하게 설계된 툴은 이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예를 들면, 툴(20)에 의해 행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툴(20)은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편심형 지지 디스크들(eccentrically supported discs)(58, 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툴(20)은 단지 하나의 디스크 또는 2 개 디스크들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크들은, 디스크의 최소 반경과 최대 반경 사이의 차이가 수평 이동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이때 상기 수평 이동은 슬롯의 외부부(6)에서 슬롯의 내부부(5)로 외장 부재를 밀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디스크의 최대 반경에서, 디스크에는 외장 부재 상에 지탱되기 위해 구성된 평면이 구비된다. 디스크의 평면은 마찰이 작은 물질로 덮이고, 만곡면(curved surface)은 마찰이 높은 물질로 덮이게 된다. 디스크의 각 운동(angular movement)은 디스크의 평면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와 평행할 시에 정지된다. 디스크들은, 외장 부재가 아래로 이동될 시에 외장 부재와 접촉되는 경우의 마찰로 인해 상기 디스크들이 회전하도록 설계된다. 외장 부재는 중력이 부재에 작용할 시에 그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외장 부재의 사하중(dead weight)은 외부에서 슬롯들의 내부부로 외장 부재를 이동시키기에 필요한 압박력을 이루기 위해 사용된다.
도 11 및 12에 개시된 툴에는, 수직 부재의 양 측들 상의 외장 부재들 상에 작용하도록, 수직 부재(1)의 대향 측들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2 쌍의 디스크들(58, 60)이 구비된다. 이는 툴이 이동되어야 하는 횟수를 감소시킨다. 외장 부재가 장착될 시에, 툴들 중 단지 하나는, 장착되는 다음 외장 부재의 장착 위치로 이동되어야 한다. 디스크들의 각도 위치는 트랜스미션(transmission)(미도시), 예를 들면, 체인(chain) 또는 동시성 트랜스미션 벨트(synchronous transmission belt)에 의해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도 11은 빌딩 상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의 지지 프로파일들(8)의 그루브(9)에 툴(20)이 어떻게 장착된 지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측 쌍의 디스크들(60)이 수직 프로파일(1)의 하부에 이를 때까지, 상기 한 쌍의 디스크들이 어떻게 지지 프로파일(8) 아래로 이동되는지를 도시한다. 타 측 쌍의 디스크들(58)은 수직 프로파일(1)의 상부 부분에 위치된다. 하나의 툴(20)은 외장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서로 이웃되게 배치되는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각각 상에 장착된다.
다음에서, 외장 부재의 장착은 도 13, 14, 15a-b, 16a-b, 17a-b에 대해 설명된다. 외장 부재(12)가 도 13 및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들의 하부 디스크들(60)과 접촉될 때까지 위로 이동된다. 외장 부재(12)가 하부 디스크(60)와 접촉될 시에, 외장 부재(12)는 디스크들(60 및 58)을 선회시킴으로써(turn away), 외장 부재와 디스크들 사이의 접촉은 디스크들이 그들의 가장 작은 반경을 가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서, 외장 부재(12)는 장애 없이, 디스크들(58, 60)을 통해 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디스크들의 표면들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로써, 외장 부재의 상향 이동은 디스크들(58, 60)에게 영향을 끼쳐서, 상기 디스크들은 작업 위치로 회전하게 되고, 즉, 상기 디스크들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의 가장 작은 반경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외장 부재(1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장착 위치 상의 위치까지 상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 후에, 외장 부재(12)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장착 위치를 향해 내려가게 되고, 동시에, 디스크들(58, 60)은 슬롯들의 내부부를 향해 외장 부재를 밀기 위해 구동된다. 외장 부재가 최종 장착 위치를 향해 아래로 이동할 시에, 디스크들(58, 60)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디스크들의 가장 큰 반경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들이 회전될 시에, 디스크들은 슬롯의 내부부를 향하여 외장 부재를 민다. 하향 이동 동안, 디스크들은 이들의 가장 큰 반경에 이를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디스크들이 상기 디스크들의 가장 큰 반경에 이를 시에, 도 9b, 10, 및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 상의 체결 유닛들(35)이 수직 프로파일들(1a-b) 상의 제 2 체결 부재들(26)에 맞물리게 되어, 외장 부재가 빌딩의 층에 부착될 때까지 외장 부재(12)는 최종 장착 위치에 접근하게 되고, 외장 부재는 도 1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외장 부재(12)는 이제 슬롯의 내부부들(5)에 위치되고,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a-b)의 체결 부재들(26)에 맞물리게 된다. 디스크들(58, 60)은 외장 부재와 접촉 해제되고, 툴은 수직 프로파일(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음 단계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를 지지하는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들(6)로 제 2 유형(14)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삽입하기 위한 단계이다.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14)은 프로파일들(14)의 상부 말단들에 부착된 로프들에 의해 고정된다. 프로파일들(14)이 장착 위치에 가까운 소정의 수평 위치에서 위치될 때까지, 상기 프로파일들은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a-b)을 따라 내려가게 된다. 그 후에, 프로파일들(14)은 수직 프로파일들(1a-b)의 슬롯의 외부부들(6)에 삽입됨으로써, 수직 프로파일(14)은 외장 부재(12)의 표면 및 슬롯의 외부부(6)의 표면(11) 상에서 지탱하게 된다. 프로파일(14)은 예를 들면, 스크류-조인트(screw-joint) 또는 스냅-피트 조인트(snap-fit joint)에 의해 프로파일(1)에 부착된다.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의 장착은 바람직하게, 특별하게 고안된 장착 툴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도 18a-c 및 19는 서로 다른 층들 상의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수평적인 밀봉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층 상의 모든 외장 부재들이 장착될 시에, 연속적인 밀봉 스트립(70)은 수직 프로파일들 및 외장 부재들의 상부 상에서 제공된다. 밀봉 스트립(70)이 장착될 수 있기 전에, 어댑터 블럭(65)은 층 상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의 상부 각각 상에서 장착된다. 어댑터 블럭(65)은, 수직 프로파일(1)의 각각의 측 상의 외장 부재들(12, 12b) 사이에서 맞춰지게 되고 외장 부재의 상부 에지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밀봉(70)을 위한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설계된다. 어댑터 블럭(65)의 상부 측은 외장 부재의 상부 측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어댑터 블럭(65)에는 밀봉 스트립(70)을 지지하고 가이드하기 위해 구성된 2 개의 평행 가이딩 레일들(parallel guiding rails)(66, 67)이 구비된다. 도 18a는 장착되기 전의 어댑터 블럭(65)을 도시하고, 도 18b는 어댑터 블럭이 수직 프로파일(1)의 상부 상에 장착될 시의 어댑터 블럭을 도시한다. 도 18c는 밀봉 스트립(70)의 장착을 도시한다. 층 상의 모든 수직 프로파일들(1)에 어댑터 블럭들(65)이 구비될 시에, 밀봉 스트립(70)은 서로 다른 층들의 수직 프로파일들과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밀봉하기 위해, 층 상의 수직 프로파일들 및 수평으로 정렬된 외장 부재들의 상부 상에서 일체부(one piece)로 펼쳐지게 된다. 밀봉 스트립은, 예를 들면, 고무 압출성형 스트립(rubber extruded strip)이다. 밀봉 스트립이 장착될 시에, 수직 부재들 및 외장 부재들은 이전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다음 층 상에 장착된다.
도 20은 트럭 트레일러(truck trailer)에 의한 빌딩의 베이스로의 운송으로부터 빌딩 상의 설치 장소까지의 외장 부재들(12)의 운송의 전체 라인을 도시한다. 도면으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부재들을 프로파일들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수직 프로파일들의 제 1 열은 빌딩의 베이스로부터 떨어져서 장착된다. 컨베이어 트랙(conveyer track)(72)을 포함한 컨베이어 시스템은 외장 부재들의 수평적인 운송을 제공하는 빌딩 주위에서 배치된다. 컨베이어 트랙은 빌딩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진행되고, 바람직하게는 빌딩 전체 주위에서 진행된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외장 부재들이 구비되는 제 1 층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하부에 가까이 장착된다. 컨베이어 시스템은 언로딩 위치(unloading position)의 트럭 트레일러로부터 자동으로 외장 부재들을 내려놓는 장비, 외장 부재들의 중간 저장부(74), 중간 저장부(74)에서 원하는 수평 위치까지 외장 부재들의 수평적인 운송 기관을 포함한다. 외장 부재가 원하는 수평 위치에 이를 시에, 외장 부재는 빌딩 상에 장착된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장착 위치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21은 컨베이어 시스템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유닛(80)으로 외장 부재가 어떻게 이동되는지에 대한 예를 보여준다. 도 22는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들어가는 외장 부재의 에지들과 함께 상향으로 이동되는 외장 부재를 도시한다. 외장 부재들은, 컨베이어 트럭으로부터, 외장 부재들을 움켜잡는 그립핑 장치(gripping device)가 구비된 엘리베이터 유닛(80)에 의해 수직 프로파일들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립핑 장치는 빌딩을 향한 방향으로 외장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됨으로써, 수직 프로파일의 제 2 유형(14)의 그루브들(15)에 외장 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유닛(80)은 수직 부재들(1)의 하부 말단들로 내려가게 된다. 컨베이어 트랙(72)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유닛(80) 아래에서 외장 부재(12)를 위치시킨다.
엘리베이터 유닛(80)의 하부는 장착된 외장 부재(12)를 향한 방향으로 외장으로부터 외부로 기울여지기(angle) 시작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핑 장치는 외장 부재의 상부 부분을 더 충분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제조된다. 엘리베이터 유닛이 리프팅 장치(22)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할 시에, 외장 부재는 컨베이어 트랙으로부터 해제되고, 외장 부재는, 엘리베이터 유닛의 하부가 직선 위치로 기울어 질 시에 빌딩을 향해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외장 부재의 상부 에지는 제 2 유형의 프로파일의 그루브들에 들어가게 되고, 리프팅 장치는 외장 부재와 함께 원하는 장착 위치로 엘리베이터 유닛을 이동시킨다. 외장 부재는 이미 아래에서 장착된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다.

Claims (16)

  1.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을 포함한 프로파일 시스템에 의해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12, 12b-c)을 장착시키는 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슬롯, 제 1 외장 부재(12c)의 에지(13c)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내부부(5) 및 상기 제 1 외장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배치된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4)을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된 슬롯의 외부부(6)를 가지고, 상기 제 2 유형의 프로파일은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그루브(15)를 구비하고, 제 2 외장 부재(12)의 에지(13)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해 설계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빌딩의 제 2 층에서,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a-b)을, 이전에 제 1 층 상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1c-d)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b) 외장 부재(12)가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1 층 상에 장착된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운송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상기 외장 부재가 들어가는 단계,
    d) 상기 외장 부재가 장착 위치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제 2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의 슬롯들의 외부부에 의해 가이드된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운송시키는 단계,
    e)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서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로 상기 외장 부재를 미는 단계,
    f) 상기 빌딩에 상기 외장 부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그루브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에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h)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빌딩의 제 3 층에서, 상기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을, 이전에 제 2 층 상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유형의 프로파일들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i) 제 2 외장 부재(12)가 상기 제 3 층 상에 장착된 수직 프로파일들에 이르게 될 때까지, 상기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의해 가이드된 제 2 외장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운송시키고, 상기 제 2 외장 부재에 대해 상기 단계 c)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12)는 상기 슬롯들의 외부부(6)에서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5)로 툴(20)에 의해 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상기 제 2 층 상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1a-b) 중 적어도 하나에 툴(20)을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d) 및 e)는:
    - 상기 외장 부재(12)가 상기 툴과 접촉될 때까지 상기 외장 부재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 최종 장착 위치 상의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외장 부재의 상향 이동이 툴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되, 상기 툴이 작업 위치로 전환되도록 미치도록 하는 단계, 및
    - 상기 최종 장착 위치를 향하여 상기 외장 부재를 내려가게 함으로써, 상기 툴이 상기 외장 부재를, 상기 슬롯들의 내부부(5)를 향하여 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툴(20)은 상기 외장 부재의 수직 하향 이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에는 제 1 체결 부재(25) 및 제 2 체결 부재(26)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빌딩 상에서, 대응하는 체결 부재(30)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외장 부재 상에 구비된 대응하는 체결 유닛(35)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단계 a)는:
    -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2 개의 체결 부재들을 상기 제 2 층에 구비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제 2 층 상의 체결 부재와 상기 제 1 체결 부재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상기 제 2 층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단계 f)는, 상기 제 2 체결 부재들과 상기 외장 부재의 체결 유닛들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기 빌딩에 상기 외장 부재(12)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들(25, 26)은 단일 유닛(24)에 통합되고, 공통의 하중-지탱 몸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은 트럭 트레일러에 의해 빌딩으로 운송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트럭 트레일러로부터 상기 빌딩의 베이스에 위치된 저장 위치(74)로 상기 외장 부재들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빌딩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 트랙(72)을 포함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저장 위치(74)에서 원하는 수평 위치로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을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는, 상기 외장 부재(12)가 장착되는 층 위의 층에 또는 그 층 상에 상기 외장 부재(12)가 장착되는 층 상에 위치된 리프팅 장치(2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은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을 움켜잡는 그립핑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유닛(80)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그립핑 장치는 상기 빌딩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외장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은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4)의 그루브들(15)에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에 의해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을 움켜잡는 단계, 및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에 의해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에 상기 제 2 외장 부재를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80)은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의 그루브들(15)에 의해 가이드되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리프팅 장치(2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72)에 의해 상기 저장 위치(74)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유닛(80)으로 상기 외장 부재들(12, 12b-c)을 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들을 장착하는 동안 상기 제 1 유형의 2 개의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의 정확한 거리는 외장 부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지그(23)에 의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은 언급된 제 1 슬롯(4a)과 관련하여, 상기 프로파일의 대향 측 상에서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된 제 2 슬롯(4b)을 가지고, 상기 제 2 슬롯은 외장 부재의 에지를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내부부, 및 상기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된 외부부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슬롯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상기 제 2 층의 프로파일들(1a) 중 하나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하나의 제 1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1e)을, 이전에 제 1 층 상에 장착된 하나의 프로파일 위에서 장착하되, 상기 프로파일들의 길이 방향 축들이 정렬되도록 장착하는 단계, 및 단계 b) 내지 g)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및 제 2 유형의 수직 프로파일들(1; 1a, 1e)의 상부 상에서, 그리고 2 개의 수평으로 정렬된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어댑터 블럭(65)을 장착하는 단계, 및
    - 서로 다른 층들의 수직 프로파일들과 외장 부재들 사이에서 밀봉하기 위해, 2 개의 수평으로 정렬된 외장 부재들(12b-c)의 상부 상에서, 그리고 상기 어댑터 블럭의 상부 상에서 연속적인 밀봉 스트립(70)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16639A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1738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6608P 2008-12-19 2008-12-19
US61/139,266 2008-12-19
PCT/EP2009/067481 WO2010070082A1 (en) 2008-12-19 2009-12-18 A method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497A Division KR101697846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20147035488A Division KR101654454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357A KR20110108357A (ko) 2011-10-05
KR101738703B1 true KR101738703B1 (ko) 2017-05-22

Family

ID=420267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639A KR101738703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20147035488A KR101654454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20147035497A KR101697846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488A KR101654454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KR1020147035497A KR101697846B1 (ko) 2008-12-19 2009-12-18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695308B2 (ko)
EP (3) EP2367995B1 (ko)
JP (1) JP4912515B1 (ko)
KR (3) KR101738703B1 (ko)
CN (1) CN102257229B (ko)
AU (1) AU2009329521B2 (ko)
BR (2) BRPI0922401B1 (ko)
CA (3) CA2747061C (ko)
DK (1) DK2894277T3 (ko)
EA (1) EA020265B1 (ko)
HK (3) HK1161324A1 (ko)
MY (1) MY158813A (ko)
SG (1) SG172030A1 (ko)
WO (1) WO2010070082A1 (ko)
ZA (1) ZA201105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6299B1 (en) * 2008-11-17 2020-09-30 Dovi Brock A method and a system for rapidly and controlled elevation of a raisable floor for pools
SE535145C2 (sv) * 2009-12-18 2012-04-24 Brunkeberg Industriutveckling Ab Ett verktyg och en metod för montering av fasadelement på en byggnad
WO2012072642A1 (en) 2010-11-30 2012-06-07 Brunkeberg Industriutveckling Ab A tool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building
ES2676043T3 (es) * 2012-07-05 2018-07-16 Lifecell Corporation Colectores de drenaje tisulares
JP5595574B1 (ja) * 2013-10-15 2014-09-24 勉 佐藤 板状体搬送装置
JP2015106069A (ja) * 2013-11-29 2015-06-08 三和サインワークス株式会社 パネル状構造体の取付装置
US9453344B2 (en) 2014-05-01 2016-09-27 David R. Hall Modular insulated facade
SE538432C2 (en) * 2014-10-14 2016-06-21 Brunkeberg Systems Ab A tool and a locking bracket for mounting faade elements on a building and a faade element
WO2016167706A1 (en) 2015-04-13 2016-10-20 Brunkeberg Systems Ab A lifting jig for lifting elements along the fagade of a building
US20180298606A1 (en) 2015-04-13 2018-10-18 Brunkeberg Systems Ab Facade Element and a Rail for the Facade Element
CN105003082A (zh) * 2015-07-09 2015-10-28 深圳建业工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幕墙安装设备及安装方法
CN109195776A (zh) * 2016-04-14 2019-01-11 德仕托金属有限公司 具有支撑结构的增材制造
CN107304631A (zh) * 2016-04-22 2017-10-31 中建四局第六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超高层建筑大面积单元体幕墙块的安装方法及系统
CN107700854B (zh) * 2017-07-05 2023-07-25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一种超高层核心筒的钢板墙滑移安装装置和安装方法
CN111287353B (zh) * 2020-02-14 2021-04-13 上海上安机械施工有限公司 一种单元幕墙吊装工艺
FR3120888B1 (fr) * 2021-03-18 2023-06-09 Citynox Procédé et dispositif d’instalation de parement et/ou d’isolation de façade
KR102523949B1 (ko) * 2021-11-01 2023-04-19 김현성 패널 시공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활용한 시공 방법
CN114412203B (zh) * 2022-02-28 2023-08-22 中建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预制墙体构件吊装定位辅助装置
SE2230127A1 (en) 2022-04-29 2023-10-30 Brunkeberg Systems Ab A method for installing structural elements for a multi-storey building
SE2230128A1 (en) 2022-04-29 2023-10-30 Brunkeberg Systems Ab A lifting unit for installing structural elements for a building
CN114809401B (zh) * 2022-05-19 2023-02-28 江苏煌朝真空玻璃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安装的抗震幕墙系统及其安装方法
SE2230170A1 (en) * 2022-05-31 2023-12-01 Brunkeberg Systems Ab Method and crane unit for vertically hoisting facade elements for a high-rise building
SE2230318A1 (en) * 2022-10-03 2024-04-04 Brunkeberg Systems Ab Suspendable conveyor trolley for facade elements for high-rise buildings and relate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8769A (ko) * 1959-05-08
US3525186A (en) * 1968-08-02 1970-08-25 Dominick A Lombardo Multi-story trailer building with lifting means
US3791094A (en) * 1972-10-16 1974-02-12 J Shann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DE2418824C3 (de) * 1974-04-19 1979-09-13 Gerrit Martin 7858 Weil Bolanz Gebäude in Skelettbauweise
CA1228708A (en) * 1983-04-21 1987-11-03 Hiromitsu Kaminaga Heat-insulating frame assembly for use in curtain wall construction
JPS6026542U (ja) 1983-07-29 1985-02-2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カ−テンウオ−ルの外壁材吊り上げ用ガイド治具
JPS60108618U (ja) * 1983-12-28 1985-07-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相互の連結装置
CN86102571A (zh) * 1986-04-08 1987-10-21 任华国 活动模框砖墙施工方法
JPS646436A (en) 1987-06-30 1989-01-11 Yoshida Kogyo Kk Execution of screen type curtain wall
US5181825A (en) * 1988-11-28 1993-01-26 Yoshida Kogyo K.K. Method for lifting and guiding elements on building site
AT397526B (de) * 1989-06-16 1994-04-25 Bug Alutechnik Gebäudeaussenverkleidung
ZA929791B (en) * 1991-12-19 1993-09-16 Knudson Gary Art Building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anel assemblies and connecting apparatus
KR950012462B1 (ko) * 1993-01-12 1995-10-18 천동문 이동식 건축용 안전망 빔의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H06248803A (ja) * 1993-02-26 1994-09-06 Maeda Corp 建造物における外装パネルの施工方法
JP3298086B2 (ja) * 1993-06-15 2002-07-02 出光興産株式会社 潤滑剤用添加剤、潤滑剤用添加剤組成物及び潤滑油組成物
JPH0762871A (ja) 1993-08-23 1995-03-07 Tateyama Alum Ind Co Ltd 外壁ユニットの取付け方法
DE4336142A1 (de) 1993-10-22 1995-04-27 Pilz Technologie Gmbh Fassadenkonstruktion sowie Arbeitsaufzug und Verfahren zu ihrer Montage
FI941274A0 (fi) * 1994-03-17 1994-03-17 Jukka Inkeroinen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ontering av laettelement
EP0683287B1 (de) * 1994-05-16 1998-08-12 Ul Tech Ag Profilschiene zur Befestigung flächiger Gegenstände
JPH08239926A (ja) * 1995-03-02 1996-09-17 Asahi Chem Ind Co Ltd 組立大型パネルの取付構造
AUPO291296A0 (en) * 1996-10-11 1996-11-07 Rudduck, Dickory Building elements
US5934038A (en) * 1997-04-23 1999-08-10 Clausen; Charles K. Method of pre-glazing a structural frame and window assembly for an office/commercial building in a controlled factory environment
JP4144718B2 (ja) * 1999-02-24 2008-09-03 オーエム機器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におけるコンセント取付孔の塞ぎ蓋
JP2002285665A (ja) * 2001-03-23 2002-10-03 Okamura Corp 間仕切パネル構造
US6658804B2 (en) * 2002-01-10 2003-12-09 Vladimir S. Leytes Self-bearing flexible curtain wall system
ATE443188T1 (de) * 2002-02-14 2009-10-15 Eurogramco Sl Verkleidungssystem für fassaden von bauwerken
US20040182019A1 (en) * 2003-01-17 2004-09-23 Patrick Flynn Panel rai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ITUD20030058A1 (it) * 2003-03-17 2004-09-18 Alprogetti Srl Procedimento di montaggio di pareti di copertura e parete di copertura adottante tale procedimento.
CN1525020A (zh) * 2003-09-17 2004-09-01 安建丞 建筑物玻璃幕墙的安装施工方法
JP2005146752A (ja) * 2003-11-19 2005-06-09 Tostem Corp カーテンウォール
CN1316128C (zh) * 2004-06-17 2007-05-16 杜军桦 玻璃幕墙的玻璃支撑方法及结构
AT501771B1 (de) * 2005-01-12 2007-03-15 Thurnher Julius Vorgefertigtes fassadenelement
JP2007255017A (ja) * 2006-03-22 2007-10-04 Okamura Corp 間仕切装置
WO2008094566A2 (en) * 2007-02-01 2008-08-07 Marlite, Inc. Wall panel system
SE531927C2 (sv) * 2008-01-25 2009-09-08 Brunkeberg Industriutveckling Ab Profil för en flervåningsbyggnads fasad och en flervåningsbyggnad med en sådan fasad
US20120233944A1 (en) * 2009-11-30 2012-09-20 Frener & Reifer Metallbau Gmbh/Srl Facade system with less visible supports
US8615938B2 (en) * 2010-04-21 2013-12-31 Peter Stephen Arbour Cast curtain wall unit for assembling a cast curtain wall and cast curtain wall assembled from the same
RU2570208C2 (ru) * 2011-05-17 2015-12-10 Армстронг Уорлд Индастриз, Инк. Крепеж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крепеж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ертикальных панелей
US8555577B2 (en) * 2011-11-09 2013-10-15 Bellcomb, Inc. Panel mount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7995A1 (en) 2011-09-28
BRPI0922401B1 (pt) 2019-02-12
HK1161324A1 (en) 2012-08-24
EP2894269A1 (en) 2015-07-15
CN102257229B (zh) 2014-06-18
DK2894277T3 (en) 2018-06-25
CA2900392C (en) 2017-01-03
EA201190061A1 (ru) 2012-02-28
CN102257229A (zh) 2011-11-23
CA2747061C (en) 2016-04-26
KR20110108357A (ko) 2011-10-05
WO2010070082A1 (en) 2010-06-24
US20120031036A1 (en) 2012-02-09
AU2009329521B2 (en) 2015-08-06
KR101697846B1 (ko) 2017-01-18
CA2747061A1 (en) 2010-06-24
HK1207139A1 (en) 2016-01-22
US8695308B2 (en) 2014-04-15
JP2012512976A (ja) 2012-06-07
HK1207136A1 (en) 2016-01-22
CA2900395C (en) 2018-01-16
CA2900392A1 (en) 2010-06-24
EP2894277B1 (en) 2018-03-21
KR101654454B1 (ko) 2016-09-05
CA2900395A1 (en) 2010-06-24
EA020265B1 (ru) 2014-09-30
SG172030A1 (en) 2011-07-28
EP2894277A1 (en) 2015-07-15
BR122014032366A2 (pt) 2016-01-05
KR20150011001A (ko) 2015-01-29
EP2367995B1 (en) 2017-03-01
MY158813A (en) 2016-11-15
AU2009329521A1 (en) 2011-06-30
BRPI0922401A2 (pt) 2015-12-15
EP2894269B1 (en) 2017-12-06
JP4912515B1 (ja) 2012-04-11
KR20150008915A (ko) 2015-01-23
ZA201105277B (en)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703B1 (ko) 다층 건물 상에 외장 부재들을 장착시키는 방법
WO2009093948A1 (en) Profile for the facade of a multi-storey building and a multi-storey building with such a facade
AU2014274656B2 (en) A method for mounting facade elements on a multi-storey building
WO2009093974A1 (en) Frame system for supporting facade elements and use of the frame system
US20180111802A1 (en) A Lifting Jig for Lifting Elements Along the Facade of a Building
JP2008063873A (ja) 天井の搬送機構及び施工方法
JP3238039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施工方法
JP2023098374A (ja) 係止治具、荷受ステージ、および揚重システム
SE542667C2 (en) A crane unit for hoisting faade elements
JP2022034786A (ja) スロープ構造
SE540198C2 (en) A facade element lifting jig comprising a stop arrangement
JP2514467Y2 (ja) 荷揚げ装置における荷受け渡し構造
JP2006233715A (ja) 床パネル設置方法
JPS63223248A (ja)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ト縦壁パネルの取付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