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26B1 -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26B1
KR101738026B1 KR1020110103406A KR20110103406A KR101738026B1 KR 101738026 B1 KR101738026 B1 KR 101738026B1 KR 1020110103406 A KR1020110103406 A KR 1020110103406A KR 20110103406 A KR20110103406 A KR 20110103406A KR 101738026 B1 KR101738026 B1 KR 101738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information
side mirro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9000A (ko
Inventor
이경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3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Navig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주행을 가이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차선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ECU를 통해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주행중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Side Mirrors to Reduce Blind Spot of a Driving Car}
본 발명은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을 가이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차선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ECU를 통해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주행중 차량의 주행 경로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이드미러는 차량의 프론트 도어의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운전중 보기 힘든 차량의 양측 후방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단이다. 상기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시야 높이에 따라 최대한의 후방시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각도로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운전자에 모두 맞출수는 없기 때문에 상기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임의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절이 차량 내부의 ECU를 통하여 손쉽게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운전자에 의하여 조절되기 전까지는 설정된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에게 항상 동일한 후방시계를 제공할 수 밖에 없으며, 운전자가 시계를 확보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항상 존재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미러는 일반적으로 주행중 차선을 변경할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차선 변경은 주행중인 다른 차선으로 이동을 하는 상황이므로 사고 발생 위험이 대단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며, 이 경우, 상기 사이드 미러의 역할이 대단히 중요해 진다.
그러나, 차선 변경시 상술한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에 다른 차량이 존재할 경우 해당 차량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으며, 이는 차선 변경을 위하여 선회(다른 차선으로 이동하기 위한)하는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 마저 함께 움직이며 또다른 사각지대를 형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공지의 기술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지의 기술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방향 지시등 신호를 입력 받아서, 해당 신호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조절하거나, 차량의 조향각 센서를 통하여 사이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는 공지의 기술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운전자가 차선 변경시 방향 지시등을 켜고 사이드 미러의 조절이 끝난 후에야 사각지대가 해소되어 방향전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만일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거나, 급격하게 차선변경을 함으로써, 조향각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조향각을 인식하여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기 전에 차선 변경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들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을 가이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차량의 진행 방향과 차량 속도에 대한 정보를 차선 변경 전에 수신하여 회전각도나 회전이 완료될 시간을 선행 계산함으로써, 차선 변경이 이루어지기 전에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을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차선 변경 및 회전시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사이드 미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GPS를 이용하여 현재위치를 인식하고, 지도정보를 저장하여 현재 위치 기반의 도로정보 및 차량 속도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모듈;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차량 속도 및 도로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경로를 인식하며, 주행 경로상의 도로정보에 대응하여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회전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모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상에 표시된 차선을 인식하여 차선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차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감지센서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커브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커브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기준 속도를 저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모터부를 구동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수신한 도로정보를 바탕으로 경로정보를 인식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진입시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모듈, 사이드 미러를 조정하기 위한 모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도로정보 및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부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도로정보 및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감지센서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커브각도를 산출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울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차량의 속도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차량 주행 경로를 사전에 수신하여 차량 주행 경로에 따른 차량의 회전 지점을 인식하고, 해당 지점에서의 차량 회전을 예상하여 사이드 미러의 회전 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차량의 회전 시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을 사전에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이드 미러의 제어를 위하여 구비된 사이드미러 모터를 주행중에도 자동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사용되지 않은 사이드 미러 모터를 주행중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만 사이드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저속 운행시 원하지 않는 사이드미러의 회전에 따른 불편 함을 해결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구비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통한 시야각 및 사각지대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각 상황에 대응하는 사이드 미러의 시야를 나타낸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모듈(10), 차선감지센서(20), 제어부(30) 및 모터부(40)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모듈(10)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를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길안내를 하는 모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은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사전에 지도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은 저장된 지도에 상기와 같이 위성위치확인시스템으로부터 인식한 현재위치를 매칭하여, 목적지 까지의 행 경로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은 공지의 기술을 가진 수단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내비게이션 모듈(10)은 후술할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하여 차량의 사이드 미러 조작에에 활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에서 상기 제어부(30)로 전송되는 정보는 차량의 속도 정보와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이 저장하고 있는 지도정보에 포함된 도로정보들일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이 GPS를 이용하여 인식한 현재 위치가 단위시간별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산출되어 상기 제어부(30)로 전송되며, 상기 차량의 속도정보를 제어부(30)로 전송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은 일정 속도 이상에서 효과적이므로, 이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로정보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이 저장하고 있는 지도정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경로와 현재 차량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지점까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동 경로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제어를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30)로 전송된다.
차선감지센서(20)는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상에 표시된 차선을 인식하는 공지의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공지의 CCD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전방에 설치된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행중인 도로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를 후술할 제어부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차선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말해서, 상기 차선감지센서(20)는 주행중인 도로상에 표시된 차선을 인식하여 생성한 차선정보를 후술할 제어부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차선정보로부터 차선 곡률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현재 차량의 커브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과 연동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바탕으로 후술할 모터부(40)를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어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로부터 차량의 속도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며 이를 통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속도 이상인지 판단하고, 현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속도 이상일 경우에만 사이드 미러의 제어를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로부터 도로정보를 수신하고, 차량의 주행 경로를 인식하며, 현재 차량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차량이 도로의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들어가는지 판단하여 주행 경로상의 도로정보에 대응하여 모터부(4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선감지센서(20)를 통하여 수신한 차선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커브 각도를 산출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말해서, 예를 들어, 상기 차선감지센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차량 전방)에 고정되어 설치되는데, 정상적인 차량의 직선 주행상태에서는 일정한 차선형태가 지속적으로 인식되게 된다. 그러나, 차량 선회 또는 차선 변경을 위하여 차량이 회전을 하면, 상기 차선감지센서(20)를 통하여 인식되는 차선의 각도가 직선 주행상태와는 다르게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이를 통하여 차선 곡률을 감지하여 커브 각도와 그 정도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선감지센서(20)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커브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커브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30)는 차량에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이거나,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포함된 모듈일 수 있다.
모터부(40)는 차량의 양측에 구비된 사이드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구동모터로서,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회전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모터부(40)는 상기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상기 제어부(3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사이드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조절되는 거울 각도는 차량의 커브 각도에 대응되며, 이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되어 사이드 미러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부(40)는 차량에 구비된 양 사이드 미러에 대응하여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터부(40)는, 운전자의 조작을 통하여 사이드미러의 거울 각도를 제어하도록 차량에 구비된 공지의 사이드 미러 조절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로부터 차량의 속도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001).
이때, 상기 기준속도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 중 임의의 속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 속도를 기준으로 그 이하의 속도에서는 상기 사이드 미러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설정된다, 이것은 불필요한 사이드미러의 제어로 인하여 오히려 주행안정성을 해치는 경우, 예를 들어, 주행중이지 않은 상태에서도사이드 미러의 제어가 이루어져 주차시 또는 운전 시작시 운전자가 인지해야 할 차량 주변의 시야가 가려지거나, 또는, 느린 속도로 주행중인 차량에서 운전자가 원치 않는 사이드 미러의 제어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에서 본발명의 제어부(30)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을 통하여 입력된 차량의 현재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를 초과하였는지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단계에서, 현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속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모터부(40)의 제어를 시작하고, 상기 모터부(40)를 작동시켜서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기준 속도 이전의 각도 보다 더 크게, 즉, 사이드 미러의 시야를 더 넓게 조정한다(S002). 따라서, 사이드 미러의 제어 시작과 동시에 사이드 미러로 보이는 운전자의 측면 시야를 확장시킴으로써, 차량의 속도가 증가할 경우 운전자에게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하게 한다.
만일, 상기 단계(S001)에서, 현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이 된다면, 상기 제어부(30)는 사이드 미러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모터부(40)의 제어를 중지한다(S007).
상기 단계(S002)에서 상기 제어부(30)가 모터부(40)의 제어를 시작하면, 상기 제어부(30)는 우선적으로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로부터 도로정보를 수신하고(S003), 상기 도로정보에 포함된 차량의 경로정보를 인식하여 현재 차량의 위치가 차량의 경로 중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해있는지 판단한다(S004).
상기의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와 같은 도로정보의 판단은 차량의 사각지대를 보상하기 위하여 사이드 미러를 제어함에 있어서, 직선주행의 경우에는 사각지대의 보상이 크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며,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의 경우에는 상기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의 주행을 위하여 차량이 선회함에 따라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가 함께 변하여 주행 안정성을 저해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계(S004)에서, 현재 차량이 커브도로나 합류도로를 주행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차선감지센서(20)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커브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커브각도를 바탕으로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를 최종적으로 산출한다(S005).
이때, 상기 사이드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는 상기 산출된 커브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브각도가 클 경우, 즉, 차량의 선회각이 클 경우에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를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의 산출은 사전에 다양한 차량의 커브각도에 따른 사이드미러의 사각지대를 실험적으로 산출하여 획득한 실험적 데이터로부터 설정되거나, 특정한 공식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험적 데이터의 설정은 당업자에게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단계(S005)에서,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가 산출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산출된 거울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모터부(40)를 제어하고, 상기 모터부(40)의 구동에 따라 차량에 구비된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가 회전한다(S006).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구비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각도 변화에 따른 시야각 및 사각지대의 변화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3의 각 상황에 대응하는 사이드 미러의 시야를 나타낸다.
도 3a는 차량이 기준속도를 초과하지 않고 직선주행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 사이드 미러는 자신의 차량이 운전자에게 보이도록 설정되며, 따라서, 사이드미러를 통한 운전자의 시야가 좁게 설정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지대가 도 3b의 경우 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반면, 도 3b는 차량이 기준속도를 초과할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시야를 확보하도록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가 조정된다.
따라서, 기준 속도를 초과한 차량은 자신의 차량을 보기보다는 자신의 차량 주변에 위치한 다른 차량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가 상대적으로 좁아짐에 따라 주행중인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b에 도시된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10) 및 상기 차선감지센서의 연동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30)에서 산출된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에 따라 제어되며, 이 경우에 차량의 회전에 따라 사각지대가 유동적으로 조절되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특정한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내비게이션 모듈 20: 차선감지센서
30: 제어부 40: 모터부

Claims (7)

  1. 차량의 사이드 미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GPS를 이용하여 현재위치를 인식하고, 지도정보를 저장하여 현재 위치 기반의 도로정보 및 차량 속도를 출력하는 내비게이션 모듈;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차량 속도 및 도로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경로를 인식하며, 주행 경로상의 도로정보에 대응하여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회전시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기준 속도를 저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수신한 차량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를 초과하면 모터부를 구동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수신한 도로정보를 바탕으로 경로정보를 인식하며, 차량의 현재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진입시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도로상에 표시된 차선을 인식하여 차선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차선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선감지센서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커브 각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커브 각도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내비게이션 모듈, 사이드 미러를 조정하기 위한 모터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도로정보 및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커브각도를 산출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차량의 속도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속도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차량의 속도가 상기 기준속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각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비게이션 모듈로부터 도로정보 및 경로정보를 수신하고,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는 현재 차량의 위치가 커브도로나 합류도로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선감지센서로부터 차선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의 커브각도를 산출하여 사이드 미러의 거울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울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방법.
  7. 삭제
KR1020110103406A 2011-10-11 2011-10-11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8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06A KR101738026B1 (ko) 2011-10-11 2011-10-11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06A KR101738026B1 (ko) 2011-10-11 2011-10-11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000A KR20130039000A (ko) 2013-04-19
KR101738026B1 true KR101738026B1 (ko) 2017-05-22

Family

ID=4843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406A KR101738026B1 (ko) 2011-10-11 2011-10-11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266B2 (en) 2018-11-05 2022-01-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unblocking a field of view of a motor vehicle during lane chan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202A (ko) 2014-12-19 2016-06-29 (주)엘이디스튜디오 주행차량의 사각지대를 제거하는 사이드미러 모듈
US20170036599A1 (en) * 2015-08-06 2017-02-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isplay and mirror
KR101702888B1 (ko) * 2015-10-12 2017-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방법
KR20180086898A (ko) 2017-01-24 2018-08-01 왕한호 사각지대를 방지하는 사이드 미러 장치 시스템
CN108045311A (zh) * 2017-12-14 2018-05-1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视镜角度调节系统及调节方法
CN113895357B (zh) * 2021-10-26 2023-08-04 上海集度汽车有限公司 一种后视镜调整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630B1 (ko) * 1997-07-16 2005-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주행시자동제어되는아웃사이드미러
JP2005199910A (ja) * 2004-01-16 2005-07-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ミラー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ミラー制御方法
US20100271720A1 (en) 2009-04-27 2010-10-28 MAGNETI MARELLI S.p.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ssistance at road intersec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630B1 (ko) * 1997-07-16 2005-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고속주행시자동제어되는아웃사이드미러
JP2005199910A (ja) * 2004-01-16 2005-07-2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ミラー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ミラー制御方法
US20100271720A1 (en) 2009-04-27 2010-10-28 MAGNETI MARELLI S.p.A.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ssistance at road interse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0266B2 (en) 2018-11-05 2022-01-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at least partially unblocking a field of view of a motor vehicle during lane chan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000A (ko) 201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26B1 (ko)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53247B1 (ko) 전방 차량 추종 제어 시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및 방법
CN101460353B (zh) 行驶辅助装置
JP4432930B2 (ja) 駐車支援装置及び駐車支援方法
JP7087623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14018054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20180025646A1 (en) Apparatus for vehicle driving assistance
JP4826349B2 (ja) 車両用車線維持支援装置
JP6930383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160075334A1 (en) Lane departure preven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20200029050A (ko) 운전 지원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및 주행 제어 장치
JP2018136700A (ja) 車両の制御装置
JP6327701B2 (ja) 車両の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JP2019011028A (ja) 車両制御装置
JP2019096117A (ja) 車両の制御装置
JP687335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5116853A (ja) 車両のアウトサイドミラーの視野調整装置
JP2021030990A (ja) 車両の車線逸脱抑制制御装置
JP5936279B2 (ja) 運転支援装置
KR102251574B1 (ko) 주차 정렬 조정 장치 및 방법
WO2017082289A1 (ja) 車線維持制御装置
KR20190062686A (ko) 자율 주행 제어 시스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8658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System
JP3675155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配光制御装置
JP2019087874A (ja) 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