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76B1 -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6376B1 KR101736376B1 KR1020120120670A KR20120120670A KR101736376B1 KR 101736376 B1 KR101736376 B1 KR 101736376B1 KR 1020120120670 A KR1020120120670 A KR 1020120120670A KR 20120120670 A KR20120120670 A KR 20120120670A KR 101736376 B1 KR101736376 B1 KR 101736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organic particles
- group
- porous
- organic
- particl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3—Particulat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and layer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polarizable organic/inorganic particle)가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균일하게 결합된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다공성 기재의 제공 단계, 슬러리의 형성 단계, 슬러리 층의 형성 단계,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정렬 단계 및 다공성 코팅층의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에서 더욱 균일한 기공, 우수한 이온 전달 및 전해질 함침, 막 두께의 감소 등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더욱 구체적으로는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화학소자 분야에서 그의 안전성 확보에 대해 크게 주목하고 있다. 특히, 전기화학소자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은 그의 재료적 특성 및 제조 공정 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고온 등의 상황에서 극심한 열 수축 거동을 보임으로써 내부 단락 등의 안전성 문제를 갖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유/무기물 입자와 바인더 고분자의 혼합물을 다공성 기재에 코팅시킴으로써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한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분리막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다공성 코팅층 내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지 않아서 일부 무기물 입자들이 이탈되거나, 또는 너무 밀집되거나 성기게 분산되어 있는 유/무기물 입자들이 소자 내에서 국부적 결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코팅층과 기재 사이의 접착력 약화로 인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문제를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무기물 입자들이 코팅층 안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다공성 코팅층을 다공성 기재 상에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재되는 수단 또는 방법, 및 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polarizable organic/inorganic particle)가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균일하게 결합된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분리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다공성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를 바인더 고분자와 용매의 바인더 고분자 용액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슬러리를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슬러리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슬러리 층에 전기장, 자기장 또는 둘다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슬러리 층 내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을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정렬된 슬러리 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막에서 더욱 균일한 기공, 우수한 이온 전달, 향상된 전해질의 함침성, 분리막 두께의 감소, 분리막 제조 공정속도의 증가 등을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분리막이 구비된 전지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 및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원리를 더욱 잘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성 코팅층 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정렬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슬러리 중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전기장 또는 자기장 인가에 따라 균일하게 정렬된 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성 코팅층 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정렬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슬러리 중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전기장 또는 자기장 인가에 따라 균일하게 정렬된 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되고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공성 코팅층 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정렬되어 있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porous base film);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다공성 코팅층(porous coating layer)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습식법 또는 건식법 등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다공성 코팅층에는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균일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공성 기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oxid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naphtha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고분자막 또는 이들의 다중막, 직포 및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약 1㎛ 내지 약 100㎛ 또는 약 5㎛ 내지 약 50㎛이다. 다공성 기재에 존재하는 기공의 크기 및 기공도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각각 약 0.001㎛ 내지 약 50㎛ 및 약 10% 내지 약 95%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전기유변(electro-rheological) 또는 자기유변(magneto-rheological) 현상을 나타내는 유/무기물 입자를 지칭하며, 그 비제한적인 예로는 전기적(electrically)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 및 자기적(magnetically)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있다.
전기적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실리카(silica), 흑연(graphite),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p-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나프탈렌 퀴닌 라디칼)(poly(naphthalene quinine radical), 폴리(나프탈렌디아민)(poly(phenylenediami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vinylene), 폴리티에닐렌(polythienylene), 알루미나(alumina), 제올라이트(zeolite),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자기적 분극성 입자는 통상적으로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예컨대 철, 코발트, 니켈 및 이들의 합금, 및 페리자성체(ferri-magnetic substance), 예컨대 페라이트(ferrite) 등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자기적 분극성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철(iron), 카보닐 철(carbonyl iron), 철 산화물(iron oxide), 예컨대 마그헤마이트(maghemite, γ-Fe2O3), 적철석(hematite, α-Fe2O3), 자철석(magnetite, Fe3O4, 마그네타이트), 타이타늄철석(ilmenite, FeTiO3), 이산화크롬(chromium dioxide, CrO2), 타이타늄산바륨(barium titanate),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네오디뮴 자성체(neodymium magnet), 황철석(pyrite), 백철석(marcasite),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ocrocite, 이는 또한 esmeraldite 또는 hydrohematite라고도 지칭됨), 침철석(goethite), 이산화티탄(titanium dioxide, titania, TiO2), 예컨대 루틸(rutile), 예추석(anatase, 아나타제), 브루카이트(brookite) 등이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평균입경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균일한 두께의 다공성 코팅층 형성 및 적절한 공극률을 위하여, 약 0.001㎛ 내지 약 1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유/무기물 입자의 평균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불균일한 정렬 또는 분산성 저하를 막을 수 있고, 다공성 코팅층을 적절한 두께로 조절할 수 있다.
고분자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polypropylene glycol),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TDI, toluene diisocya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 풀루란(cyanoethyl pullulan), 시아노에틸 폴리비닐알코올(cyanoethyl 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복실 메틸 셀룰로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리덴플루로라이드(PVDF)계 바인더 고분자는 예컨대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코-트라이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코-에틸렌 등이 있다. 상기 바인더 고분자는 바인더 고분자와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 또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속하면,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 사이의 결합력이 충분하게 높게 되며, 이로 인해 최종 다공성 코팅층 자체의 구조적 완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라, 슬러리 중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전기장 또는 자기장 인가에 따라 균일하게 정렬된 상태로 변화하는 현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또는 자기적 분극성 입자는 전기 또는 자기의 비인가 상태(non-applied state)에서는 슬러리 중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이 불균일하게 분포해 있으며, 이러한 분포를 갖는 슬러리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가하면(즉, 전기 또는 자기의 인가 상태(applied state)가 되면), 슬러리 중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이 전기유변 또는 자기유변 현상에 따라 균일하게 정렬되어 있는 슬러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특정 용매 중에 분산되어 현탁액(suspension) 또는 분산액(dispersion)과 같은 유체(fluid)를 형성하는 경우,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유체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데, 이는 상기 인가에 의해 유체가 뉴톤적(Newtonian) 상태로부터 비뉴톤적(non-Newtonian) 상태, 즉 외부 힘(예컨대, 중력 등)에 대항하는 저항성(resistance)을 나타내며, 일정 배향으로 정렬된 상태, 예컨대 도 2에 제시된 사슬 구조와 같이 양쪽의 전극(electrode) 또는 자석(magnet)을 향하는 배향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전기적 분극성 물질(electrically polarizable material), 자기적 분극성 물질(magnetically polarizable material) 또는 분극성 유기 물질(polarizable organic material)에 의해 코팅된 유/무기물 입자일 수 있다. 코팅되는 유/무기물 입자는 당업계에 분리막 기재 상에 코팅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무기물 입자로서 공지되어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전기적 및 자기적 분극성 물질은 앞서 본원에서 기재한 바와 같은 전기적 및 자기적 분극성 입자의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극성 유기 물질로는 유레아(urea), 싸이오유레아(thiourea), 멜라민(melamine) 및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셀룰로스(cellulose), 전분(starch), 및 분자 내에 유레아, 싸이오유레아, 멜라민 및 아크릴아미드 기를 갖는 물질 등이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충전용 무기물 입자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이 충전용 무기물 입자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로서, 상기 분리막은 전술된 다공성 분리막인 전기화학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전기화학소자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이 전기화학소자는 전기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인 예를 들면, 모든 종류의 일차전지,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또는 슈퍼 커패시터 소자와 같은 커패시터(capacitor)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이차전지 중 리튬 이차전지, 예컨대 리튬 이온 이차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 등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공정의 각 단계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기재의 제공 단계(S1), 슬러리의 형성 단계(S2), 슬러리 층의 형성 단계(S3),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정렬 단계(S4) 및 다공성 코팅층의 형성 단계(S5)를 포함한다.
S1 단계에서, 전기화학소자의 분리막의 기재(base film)로서 기공(pore)을 갖는 기재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는 목적하는 공극률 및 통기성을 갖도록 다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기재이다. 이러한 기공은 전지에서 기본적으로 이온의 통로 역할을 담당하지만, 외부 요인 또는 단락 등의 내부 요인의 이유로 인해 일정 범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 기공을 형성하는 막 내부가 용융 붕괴되어 막의 통로를 막음으로써 전지의 추가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셧다운(shutdown)). 이러한 다공성 기재에 대한 설명은 앞서 본원에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에 관하여 기재한 바와 같다.
S2 단계에서, 다공성 코팅층을 위한 슬러리를 형성한다. 우선, 바인더 고분자를 용매 중에 용해시켜 바인더 고분자 용액을 수득한다. 이 바인더 고분자 용액 중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를 혼합하여 분산시킴으로써 슬러리를 얻는다.
이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 및 바인더 고분자에 대한 설명은 앞서 본원에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에 관하여 기재한 바와 같다.
용매는 사용하고자 하는 바인더 고분자와 용해도 지수가 유사하고 끓는점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혼합 및 용해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 용매를 건조시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 용매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그 안에 존재하여 이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전기유변 또는 자기유변 현상을 발생시키도록 유체로서 작용한다. 상기 용매는 슬러리의 총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90 중량부, 또는 약 1 내지 약 90 중량부로 포함된다.
S3 단계에서, 상기 S2 단계에서 형성된 슬러리는 상기 S1 단계에서 제공된 다공성 기재 위에 코팅되어 슬러리 층을 형성한다.
코팅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딥(dip) 코팅, 슬롯(slot) 코팅, 다이(die) 코팅, 롤(roll) 코팅, 예컨대 그라뷰어(gravure) 코팅, 콤마(comma) 코팅 또는 이들의 혼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S4 단계에서, 상기 S3 단계에서 형성된 슬러리 층에 전기장, 자기장 또는 둘다를 인가한다. 여기서, 인가 방법은 당업계의 공지되어 있는 여러 절차 및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러리 층이 위에 형성된 다공성 기재를 일정 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그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인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반대 전극 또는 자석을 배치하고, 배치된 전극 또는 자석에 대해 각각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한다. 이러한 인가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은 슬러리 층 내에 존재하는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을 그의 유변현상에 의해 각 좌우측의 전극 또는 자석을 향하여 나열된 사슬 모양으로 균일하게 정렬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기장 및 자기장은 사용되는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면, 전기장의 크기는 0.01 내지 4 kV/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kV/mm이다. 특히, 자기장의 크기는 사용되는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종류에 따라 크게 달라지는 경향을 갖는 데, 예컨대 0.1 내지 340 kA/m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크기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고분자 입자와의 조성비, 용매의 함량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S5 단계에서, 상기 S4 단계에서 정렬된 슬러리 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다. 예를 들면, 이 제거는 사용된 용매의 증기압을 고려한 온도 범위에서 오븐 또는 가열식 챔버 등을 사용하여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건조시킴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전기장 및/또는 자기장의 인가, 및 용매의 제거에 의해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목적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이 제조된다.
Claims (26)
-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polarizable organic/inorganic particle)가 바인더 고분자에 의해 균일하게 결합된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다공성 코팅층 내에서 전기 유변 현상 또는 자기 유변 현상에 따라 정렬된 것이며,
상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전기적(electrically)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 및 자기적(magnetically) 분극성 입자 중 1종 이상;이거나, 전기적 분극성 물질(electrically polarizable material), 자기적 분극성 물질(magnetically polarizable material) 또는 분극성 유기 물질(polarizable organic material)에 의해 코팅된 유/무기물 입자;인 것이며,
여기에서, 상기 전기적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p-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나프탈렌 퀴닌 라디칼)(poly(naphthalene quinine radical), 폴리(나프탈렌디아민)(poly(phenylenediami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vinylene), 폴리티에닐렌(polythienyl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며,
상기 자기적 분극성 입자가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페리자성체(ferri-magnetic substance), 카보닐 철(carbonyl iron), 이산화크롬(chromium dioxide, CrO2), 타이타늄산바륨(barium titanate),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네오디뮴 자성체(neodymium magnet), 황철석(pyrite), 백철석(marcasite),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ocrocite) 및 침철석(goethi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고,
상기 분극성 유기 물질은 유레아(urea), 싸이오유레아(thiourea), 멜라민(melamine) 및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셀룰로스(cellulose), 전분(starch), 및 분자 내에 유레아, 싸이오유레아, 멜라민 및 아크릴아미드 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eimide), 폴리벤지미다졸(polybenzimidazol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폴리페닐렌옥사이드(polyphenyleneoxide), 사이클릭 올레핀 코폴리머(cyclic olefin copolymer),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sulfide)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naphthal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고분자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형성된 고분자막 또는 이들의 다중막, 직포 또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PEG, 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polypropylene glycol), 톨루엔 다이이소시아네이트(TDI, toluene diisocya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코-비닐 아세테이트(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셀룰로스(cyanoethylcellulose),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cyanoethyl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복실 메틸 셀룰로스(carboxyl methyl cellulose),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및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와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인더 고분자가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제1항에 있어서,
충전용 무기물 입자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무기물 입자가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로서,
상기 분리막은 제1항의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이거나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인 전기화학소자.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학소자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 - 다공성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를 바인더 고분자와 용매의 바인더 고분자 용액에 첨가하여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슬러리를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여 슬러리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슬러리 층에 전기장, 자기장 또는 둘다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형성된 슬러리 층 내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들을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정렬된 슬러리 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다공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은 전기 유변 현상 또는 자기 유변 현상에 따른 것이고,
여기에서, 상기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는, 전기적(electrically)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 및 자기적(magnetically) 분극성 입자 중 1종 이상;이거나, 전기적 분극성 물질(electrically polarizable material), 자기적 분극성 물질(magnetically polarizable material) 또는 분극성 유기 물질(polarizable organic material)에 의해 코팅된 유/무기물 입자;인 것이며,
상기 전기적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가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피
롤(polypyrrol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폴리(p-페닐렌)(poly(p-phenylene)), 폴리(나프탈렌 퀴닌 라디칼)(poly(naphthalene quinine radical), 폴리(나프탈렌디아민)(poly(phenylenediamin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vinylene), 폴리티에닐렌(polythienyle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며,
상기 자기적 분극성 입자가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페리자성체(ferri-magnetic substance), 카보닐 철(carbonyl iron), 이산화크롬(chromium dioxide, CrO2), 타이타늄산바륨(barium titanate),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네오디뮴 자성체(neodymium magnet), 황철석(pyrite), 백철석(marcasite), 레피도크로사이트(lepidocrocite) 및 침철석(goethit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고,
상기 분극성 유기 물질은 유레아(urea), 싸이오유레아(thiourea), 멜라민(melamine) 및 아크릴아미드(acrylamide), 셀룰로스(cellulose), 전분(starch), 및 분자 내에 유레아, 싸이오유레아, 멜라민 및 아크릴아미드 기를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인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의 크기가 0.01 내지 1 kV/mm이거나, 또는 상기 자기장의 크기가 0.1 내지 340 kA/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아세톤(aceto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사이클로헥산(cyclohexane)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의 총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용매가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고분자와 분극성 유/무기물 입자의 총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바인더 고분자가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충전용 무기물 입자가 더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무기물 입자가 유전율 상수가 5 이상인 무기물 입자, 리튬 이온 전달 능력을 갖는 무기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670A KR101736376B1 (ko) | 2012-10-29 | 2012-10-29 |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0670A KR101736376B1 (ko) | 2012-10-29 | 2012-10-29 |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769A KR20140054769A (ko) | 2014-05-09 |
KR101736376B1 true KR101736376B1 (ko) | 2017-05-29 |
Family
ID=5088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0670A KR101736376B1 (ko) | 2012-10-29 | 2012-10-29 |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637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0230A (ko) | 2019-07-19 | 2021-01-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내열성의 수계 고분자 바인더가 결합된 유무기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KR20210010228A (ko) | 2019-07-19 | 2021-01-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적 안정성이 개선된 유무기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7730B1 (ko) * | 2014-07-25 | 2017-01-1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출력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
US9666852B2 (en) * | 2014-10-02 | 2017-05-3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Composite separator with aligned particles |
KR102350440B1 (ko) * | 2018-01-26 | 2022-01-1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분리막의 결함 위치 탐지 방법 |
KR102673075B1 (ko) * | 2018-09-21 | 2024-06-10 |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CN109411679A (zh) * | 2018-10-22 | 2019-03-01 | 乐凯胶片股份有限公司 | 陶瓷浆料、陶瓷隔膜和锂离子电池 |
JP7289194B2 (ja) * | 2018-12-18 | 2023-06-09 | 住友化学株式会社 | 多孔質層の製造方法、積層体、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
CN110867550A (zh) * | 2019-11-25 | 2020-03-06 | 天津工业大学 | 一种锂硫电池用复合膜及其制备方法 |
CN112421042B (zh) * | 2020-11-20 | 2022-02-11 | 北京理工大学重庆创新中心 | 一种用于锂硫电池的复合粘结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2600364B1 (ko) * | 2021-02-23 | 2023-11-09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대류 유도형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CN113675533B (zh) * | 2021-06-29 | 2023-12-01 | 东莞凯德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复合涂层钠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
CN118783034A (zh) * | 2023-04-07 | 2024-10-15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二次电池及用电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4437A (ja) * | 2006-03-29 | 2007-11-08 | Hitachi Maxell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12003938A (ja) | 2010-06-17 | 2012-01-05 | Hitachi Maxell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
2012
- 2012-10-29 KR KR1020120120670A patent/KR1017363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4437A (ja) * | 2006-03-29 | 2007-11-08 | Hitachi Maxell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JP2012003938A (ja) | 2010-06-17 | 2012-01-05 | Hitachi Maxell Ltd | 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0230A (ko) | 2019-07-19 | 2021-01-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내열성의 수계 고분자 바인더가 결합된 유무기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KR20210010228A (ko) | 2019-07-19 | 2021-01-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열적 안정성이 개선된 유무기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4769A (ko) | 2014-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6376B1 (ko) | 유/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다공성 코팅층을 구비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JP6824558B2 (ja) | 機能性バインダーが適用された電池用分離膜及びこれを適用した電気化学素子 | |
KR102155635B1 (ko) | 접착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상기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 |
KR102134424B1 (ko) | 전극접착층을 구비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KR101676446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EP2695907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ous membrane | |
KR102405618B1 (ko) | 적층 가능한, 치수-안정성 미세다공성 웹 | |
KR20160118979A (ko) | 리튬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 |
Chen et al. | A novel sandwiched porous MXene/polyaniline nanofibers composite film for high capacitance supercapacitor electrode | |
KR102352507B1 (ko) | 복합막의 제조 방법 및 복합막의 제조 장치 | |
CN110249447A (zh) | 包括粘合剂层的锂二次电池隔板 | |
KR20140026009A (ko) | 분리막-접착층 및 전극-접착층을 갖는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CN116325331A (zh) | 用于锂二次电池的隔板和包括其的锂二次电池 | |
KR20140029691A (ko) | 코어-쉘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소자,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 |
KR20140062295A (ko) | 패턴화된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40037660A (ko) | 금속 이온을 흡착하기 위한 다공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상기 분리막의 제조방법 | |
US10115952B2 (en) | Porous separator having inverse opal structur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770697B1 (ko) | 분극성 무기물 입자가 균일하게 정렬된 전기화학소자용 다공성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180050178A (ko) |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KR20160121177A (ko) | 전극접착층을 갖는 세퍼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KR20200138266A (ko) |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용 세퍼레이터 및 그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 |
US20210005862A1 (en) | Dimensionally-stable microporous webs | |
KR101759336B1 (ko) | 다공성 코팅층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16478B1 (ko) |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 |
KR101697730B1 (ko) | 고출력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