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472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72B1
KR101733472B1 KR1020110013624A KR20110013624A KR101733472B1 KR 101733472 B1 KR101733472 B1 KR 101733472B1 KR 1020110013624 A KR1020110013624 A KR 1020110013624A KR 20110013624 A KR20110013624 A KR 20110013624A KR 101733472 B1 KR101733472 B1 KR 101733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hose
preventing member
deformation preventing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246A (ko
Inventor
박태용
정윤섭
김주훈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드레인호스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독립적인 부품 상태의 변형방지부재를 이용하여 대시패널에 드레인호스를 조립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배출구와 대시패널 사이에서 드레인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레인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는, 차 실내측에서 호스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레인호스의 길이방향 중 꼬임발생부에 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DRAIN HOSE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레인호스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독립적인 부품 상태의 변형방지부재를 이용하여 대시패널에 드레인호스를 조립함으로써, 공조케이스의 배출구와 대시패널 사이에서 드레인호스가 꼬이지 않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 증발기 유니트(Evaporator Unit) 및 히터코어 유니트(Heater Core Unit)의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세미 센터 타입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케이스(1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2a), 페이스 벤트(Face Vent; 12b), 플로어 벤트(Floor Vent; 12c,12d)가 형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벤트(12a~12d)측에는,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12a~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에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유입구(11)에는, 공기를 공조케이스(10)에 공급하는 송풍장치(5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한 송풍장치(50)는, 인테이크덕트(51)와 스크롤케이스(52)로 형성되는 송풍기케이스(53)을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케이스(53)에는, 실내외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54) 및 외기유입구(56)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입구들(54)(56)은, 이들 사이에 설치된 내외기전환도어(58)에 의하여 개폐 조절된다.
또한, 상기 송풍기케이스(52)에는, 상기 유입구(54)(56)들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기(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송풍기(60)는, 송풍모터(62)와, 상기 송풍모터(62)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64)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64)은, 내외기전환도어(58)의 회동으로 개방되는 내기유입구(54) 또는 외기유입구(56)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송풍팬(64)은, 내기유입구(54) 또는 외기유입구(56)를 거쳐 유입된 내/외기를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조케이스(10)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송풍장치(50)에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2)에서 냉풍으로 열교환된 후 모드도어(3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실내에 공급된다.
이때, 증발기(2)에는 송풍 공기를 열교환시킴에 따라 표면에 응축수 가 맺히게 된다.
상기한 증발기(2)에 맺혀 있다가 바닥에 떨어진 응축수가 차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드레인호스(70)가 연결되는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40)에는, 응축수가 공조케이스(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고무재로 형성된 드레인호스(70)가 연결된다.
상기한 드레인호스(70)는, 드레인호스(70)의 일측 단부를 배출구(40)에 연결하고 타측 단부를 대시패널(72)에 뚫려 있는 호스 삽입구멍(74)을 통해 차실내에서 엔진룸(E) 측으로 삽입시킨 후, 엔진룸(E)측에서 당겨 조립시킨다.
상기한 드레인호스(70)에는, 호스 삽입구멍(74)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고 호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그로멧(Grommet) 타입 변형방지부재(80)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엔진룸(E)측에서 변형방지부재(80)를 통해 호스 삽입구멍(74)에 삽입된 드레인호스(70)를 비틀어 당기면서 당겨 작업하다 보면, 차실내(I)측 드레인호스(70)가 꼬인 상태(T)로 조립됨으로써, 조립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드레인호스(70)가 차실내(I)측에서 꼬이게 되면,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고이게 됨으로써, 에어콘 가동시 불쾌한 냄새가 차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로멧 일체형 변형방지부재를 차실내측 드레인호스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독립부품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시패널에 미리 조립시킨 변형방지부재를 이용하여 드레인호스를 설치함으로써, 드레인호스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고 차실내측에서 꼬이지 않도록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호스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응축수의 배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에 장착되는 드레인호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는, 차 실내측에서 호스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레인호스의 길이방향 중 꼬임발생부에 변형방지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는, 일정 길이의 내외부호스로 형성된 드레인호스가 꼬이지 않고 차실내외 측에서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그로멧(Grommet) 일체형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는, 대시패널의 호스 삽입구멍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차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플랜지부에서 엔진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연결관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는, 드레인호스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는,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호스의 벤딩부분이 꼬이지 않도록 벤딩부분의 외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는 파이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꼬임발생부는, 대시패널의 호스 삽입구멍에 인접한 드레인호스의 벤딩부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호스의 조립시 변형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차실내측 벤딩부분이 꼬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호스의 조립시 변형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응축수가 고이지 않고 깨끗이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수가 드레인호스를 통해 깨끗이 배출됨에 따라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호스의 조립작업시 차실내측 드레인호스의 꼬임을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신속하고 간단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공조케이스에 드레인호스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호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드레인호스의 설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변형방지부재를 이용한 드레인호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나타낸 변형방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흡입모드에 따라 내/외기를 도입하여 차실내로 토출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는 송풍장치(50)와; 상기 송풍장치(5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레인호스(70)를 통해 차실외로 배수되도록 배출구(40)가 형성되는 공조케이스(1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호스(70)는, 조립시 차 실내측에서 호스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에 조립되는 변형방지부재(80)를 구비한다.
그리고 드레인호스(70)는, 차실내측에 설치되는 내부호스(70a)와 엔진룸측에 설치되는 외부호스(7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그로멧(Grommet) 일체형 변형방지부재(80G)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그로멧 일체형 변형방지부재(80G)는,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82)를 구비한다.
상기한 플랜지부(82)는, 엔진룸(E)측에서 변형방지부재(80G)를 당기더라도 대시패널(7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플랜지부(82)는, 호스 삽입구멍(74)을 이탈하지 않고 대시패널(72)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방지부재(80G)는, 상기 플랜지부(82)에서 차실내측으로 곡선으로 돌출되는 제1연결관(84)을 구비한다. 상기한 제1연결관(84)은, 대시패널(72)에 공조케이스(10)의 배출구(40)를 향하도록 조립된다.
이러한 제1연결관(84)은, 드레인호스(70)를 타고 배수되는 응축수를 차실내측에서 차실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변형방지부재(80G)는, 상기 플랜지부(82)에서 엔진룸(E)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연결관(86)을 구비한다. 상기한 제2연결관(86)은, 엔진룸(E)측에서 연결되는 드레인호스(7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80G)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외 측에 각각 양분시킨 드레인호스(70)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변형방지부재(80G)는, 제1연결관(84)에 양분된 드레인호스(70) 중 차실내(I)측 내부호스(70a)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배출구(40)에서부터 호스 삽입구멍(74)까지 내부호스(70a)를 이용하여 설치하면, 드레인호스(70)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변형방지부재(80G)에 내부호스(70a)를 일체로 형성하면,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 및 배출구(40)에 대한 조립을 신속하고 정확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재(80G)의 제1연결관(84)에 내부호스(70a)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이중 사출방법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호스(70)의 조립시 꼬임이 예상되는 벤딩부분(B)에 설치되는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을 구비한다.
상기한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는, 차실내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을 커버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은 꼬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에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를 이중 사출로 성형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은 두께가 두꺼워지는데, 조립시 엔진룸(E)측에서 드레인호스(70)를 비틀더라도 차실내측 드레인호수(70)의 벤딩부분(B)이 두꺼워져 있어 꼬이지 않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내부호스(70a) 및 외부호스(70b)로 분리된 드레인호스(70)를 설치하기 위하여 대시패널(72)에 그로멧 일체형 변형방지부재(80G)를 호스 설치구멍(74)에 삽입한다.
즉, 변형방지부재(80G)의 직선연결관(86)을 차실내(I)측에서 대시패널(72)의 호스 설치구멍(74)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공조케이스(10)의 배출구(40)와 변형방지부재(80G)의 제1연결관(84) 각각에 드레인호스(70) 중 내부호스(70a)를 삽입시켜 연결하면, 차실내(I)측에 대한 내부호스(70a)의 조립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레인호스(70) 중 내부호스(70a)가 차실내(I)에 조립되면, 대시패널(72)의 호스 설치구멍(74)을 통해 엔진룸(E)측으로 인출되어 드러난 제2연결관(86)에 외부호스(70b)를 연결한다.
상기한 내외부호스(70a)(70b)가 대시패널(72)을 사이에 두고 변형방지부재(80G)에 의하여 조립되면, 드레인호스(70)는 정확히 연결된다.
즉, 대시패널(72)에 조립된 상기 변형방지부재(80G)의 제2연결관(86)에 외부호스(70b)를 엔진룸(E)측에서 연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차실내(I)측의 내부호스(70a)는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변형방지부재(80G)의 제1연결관(84)에 내부호스(70a)를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제1연결관(84)과 내부호스(70a)를 연결하는 작업공수가 생략되기 때문에 드레인호스(70)의 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히 할 수 있다.
한편, 드레인호스(70) 중 차실내(I)측에 위치하는 내부호스(70a)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변형방지부재(80P)는, 벤딩부분(B)이 예상되는 내부호스(70b)에 미리 삽입시켜 사용한다.
벤딩부분(B)에 변형방지부재(80P)를 삽입시킨 내부호스(70a)를 배출구(40)와 곡선연결관(84)에 연결 설치한 상태에서 조절을 하면, 주변부품의 간섭 때문에 외부호스(70b)를 비틀면서 엔진룸(E)측에서 조립하더라도, 벤딩부분(B)은 변형방지부재(80P)에 의하여 두께가 증가되어 있기 때문에 꼬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로멧을 이용하여 종래의 드레인호스(70)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상기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80P)를 차실내측 벤딩부분(B)에 삽입시켜 사용하면, 엔진룸측에서 드레인호스(70)를 비틀더라도 벤딩부분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드레인호스(70)는 꼬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차실내측 드레인호스의 벤딩부분이 꼬이지 않도록 그로멧 일체형 및 파이프형 변형방지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통로를 확실하게 확보하여 응축수가 차실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형방지부재를 이용하여 드레인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차실내측 드레인호스가 꼬이지 않고 정확히 조립되도록 한 것으로, 차량 공조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2: 증발기 70: 드레인호스(Drain Hose)
72: 대시패널(Dash Panel) 74: 호스 삽입구멍
80: 변형방지부재 82: 플랜지부
84: 제1연결관 86: 제2연결관

Claims (6)

  1. 삭제
  2. 증발기(2)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증발기(2)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드레인호스(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70)는,
    차실내측에서 호스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레인호스(70)의 길이방향 중 꼬임발생부(T)에 변형방지부재(80)를 설치하며,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일정 길이의 내외부호스(70a)(70b)로 형성된 드레인호스(70)가 꼬이지 않고 차실내외 측에서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그로멧(Grommet) 일체형 부재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드레인호스(70)가 회전하더라도 같이 회전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82)와, 상기 플랜지부(82)에서 차실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연결관(84)과, 상기 플랜지부(82)에서 엔진룸(E)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연결관(84)과 연통되는 제2연결관(8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드레인호스(7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5. 증발기(2)를 내부에 장착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증발기(2)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차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0)에 장착되는 드레인호스(7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호스(70)는,
    차실내측에서 호스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레인호스(70)의 길이방향 중 꼬임발생부(T)에 변형방지부재(80)를 설치하며,
    상기 변형방지부재(80)는,
    차실내(I)측에 배치되는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분(B)이 꼬이지 않도록 벤딩부분(B)의 외부에 일정 길이로 삽입되는 파이프부재이며,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드레인호스(70)가 회전하더라도 같이 회전하지 않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발생부(T)는,
    대시패널(72)의 호스 삽입구멍(74)에 인접한 드레인호스(70)의 벤딩부 구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KR1020110013624A 2011-02-16 2011-02-16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KR101733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24A KR101733472B1 (ko) 2011-02-16 2011-02-16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624A KR101733472B1 (ko) 2011-02-16 2011-02-16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46A KR20120094246A (ko) 2012-08-24
KR101733472B1 true KR101733472B1 (ko) 2017-05-08

Family

ID=46885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624A KR101733472B1 (ko) 2011-02-16 2011-02-16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630B1 (ko) * 2013-03-18 2019-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의 드레인 호스
KR101666562B1 (ko) * 2013-08-19 2016-10-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66565B1 (ko) * 2013-08-20 2016-10-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05873780B (zh) * 2014-01-20 2018-09-25 翰昂系统株式会社 用于车辆的空气调节设备
US10618382B2 (en) 2014-01-20 2020-04-14 Hanon System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852983B1 (ko) * 2014-01-20 2018-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22337B1 (ko) * 2016-07-05 2024-01-10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937A (ja) 1998-11-25 2000-06-13 Denso Corp クーラ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937A (ja) 1998-11-25 2000-06-13 Denso Corp クーラ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246A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CN107914542B (zh) 车用空调系统
KR101201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036576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JP2004161142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5292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09494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09971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4276861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JP401338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282851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냉각수 유입/배출 파이프 고정구조
KR1017157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09894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05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4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 및 구동유닛 조립체
KR1011726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2499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ケース構造
KR1016598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WO2010150334A1 (ja) 空調ユニットの配設構造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0656029B1 (ko) 세미-센터 타입 공기조화장치용 공기조화기케이스
KR1017482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