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554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554B1
KR101300554B1 KR1020100124349A KR20100124349A KR101300554B1 KR 101300554 B1 KR101300554 B1 KR 101300554B1 KR 1020100124349 A KR1020100124349 A KR 1020100124349A KR 20100124349 A KR20100124349 A KR 20100124349A KR 101300554 B1 KR101300554 B1 KR 10130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lower
air
air conditio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3250A (ko
Inventor
황동우
한중만
정동미
박상규
한영흠
김두훈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55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기 케이스 및 공조케이스가 상호 대응하는 측면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들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기가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된 내외기가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급되고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 및 공조케이스가 대응하는 상호 측면에 양측 케이스를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재는, 상기 송풍기 케이스 또는 공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메일부재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메일부재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피메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부재 및 피메일부재는,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부 및 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 케이스 및 공조케이스가 상호 대응하는 측면에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결합할 수 있는 결합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들을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 증발기 유니트(Evaporator Unit) 및 히터코어 유니트(Heater Core Unit)의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세미 센터 타입 차량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0)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케이스(1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 벤트(Defrost Vent; 12a), 페이스 벤트(Face Vent; 12b), 플로어 벤트(Floor Vent; 12c,12d)가 형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는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벤트(12a~12d)측에는,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12a~12d)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10)에는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는 송풍기 케이스(4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 케이스(40)의 상부에는, 실내외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46) 및 외기유입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입구들(46)(48)은, 이들 사이에 설치된 내외기전환도어(50)에 의하여 개폐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케이스(40)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구(46)(48)들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송풍기(4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송풍기(41)는, 송풍모터(42)와, 상기 송풍모터(42)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44)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44)은, 내외기전환도어(50)의 회동으로 개방되는 내기유입구(46) 또는 외기유입구(48)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한 송풍팬(44)은, 외기유입구(48) 또는 내기유입구(46)를 거쳐 유입된 내/외기를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조케이스(10)에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공조케이스(10) 및 송풍기 케이스(40)는, 공기의 유입과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 케이스(40)가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재(C)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 고정부재(C)는,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 케이스(40)를 상호 지탱하도록 하여 처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 고정부재(C)는, 송풍기 케이스(40)의 일측에 각주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메일부재(60)와, 상기 메일부재(60)가 삽입되도록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한 피메일부재(70)와, 상기 메일부재(60) 및 피메일부재(70)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하는 체결부재(80)를 포함한다.
즉, 송풍기 케이스(40)에 형성된 메일부재(60)를 공조케이스(10)의 피메일부재(70)에 삽입시킨 다음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80)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송풍기 케이스(40) 및 공조케이스(10)는 결합 고정부재(C)에 의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 고정부재(C)는, 사각기둥과 사각관 형태로 형성시켜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고정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부재(8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재(80)는, 메일부재(60)내에 체결용 보스(61)와 피메일부재(70)에 형성되는 체결공(71)을 이용하여 체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공조장치는, 송풍기 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결합 고정을 위하여 스크류 및 볼트 등의 체결부재(80)를 사용하게 됨에 따라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고정부재(C)는, 메일부재(60)를 피메일부재(70)에 조립할 때 삽입 깊이 조절이 용이하지 아니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 고정부재(C)는, 메일부재(60)의 삽입 후에 체결부재(80)로 체결해야 함으로써 체결에 따른 작업 공수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송풍기 케이스와 공조케이스가 결합 고정부재의 조립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 고정부재의 결합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피메일부재에 대한 메일부재의 삽입시 케이스의 간격 조정 및 결합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 고정부재에 후크 결합구조를 더 형성함으로써, 조립시 결합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풍기가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된 내외기가 공기유입구를 통해 공급되고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 및 공조케이스가 대응하는 상호 측면에 양측 케이스를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재는, 상기 송풍기 케이스 또는 공조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메일부재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메일부재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피메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부재 및 피메일부재는,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부 및 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이 돌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메일부재와 피메일부재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와 가이드홈에 의해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단차부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이드부의 돌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가 연장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돌출면에는 상기 레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이드부의 돌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이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돌출면에는 상기 레일홈에 삽입 고정되는 레일부가 연장 성형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레일부는, 가이드부의 선단부로터 길이방향으로 후크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가이드홈에는, 후크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레일홈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후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레일홈과 레일부는, 메일부재 및 피메일부재 삽입방향의 길이에 의해 상기 메일부재와 피메일부재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송풍기 케이스와 공조케이스가 대응하는 상호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재의 조립만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 고정부재는 피메일부재에 메일부재를 삽입할 때 케이스들의 간격 조정 및 결합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합 고정부재에 후크 결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후크에 의하여 결합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 및 가이드홈에 형성되는 요입 형상의 단차부는 결합 고정부재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형성되더라도 메일부재 및 피메일부재의 접합면적을 동등 이상으로 확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공조케이스 및 송풍기 케이스에 결합 고정부재가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결합 고정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결합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고정부재가 공조케이스 및 송풍기 케이스에 형성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결합 고정부재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결합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5에 나타낸 결합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결합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41)가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스(40)와, 상기 송풍기(41)에 의하여 송풍된 내외기가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되고 증발기(2) 및 히터코어(3)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40) 및 공조케이스(10)가 대응하는 상호 측면에 양측 케이스(10)(40)를 연결하여 서로 위치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재(C)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결합 고정부재(C)는, 상기 송풍기 케이스(40) 또는 공조케이스(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메일부재(60)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메일부재(6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피메일부재(70)를 구비한다.
상기한 메일부재(60) 및 피메일부재(70)는,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부(62) 및 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72)이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한 메일부재(60)의 가이드부(62)는, 송풍기 케이스(40) 측면에 길이방향을 중심축으로 하고 3방향인 상부/양측면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62)는, 공조케이스(1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송풍기 케이스(40) 측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가이드부(62)의 돌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68)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68)에는, 가이드부(62)의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후크(60H)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한 후크(60H)는, 레일홈(78)의 후크홈(70G)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피메일부재(70)의 가이드홈(72)은, 송풍기 케이스(40)와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의 측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72)의 돌출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홈(78)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한 레일홈(78)은, 메일부재(60)의 레일부(68)를 안내하고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72)에는, 후크(60H)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레일홈(78)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후크홈(70G)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홈(70G)은 진입하는 후크(60H)가 억지 결합할 수 있도록 레일홈(78)이 끝나는 단부의 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60H) 및 후크홈(70G)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형 돌기(60T)와 홈(70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반원형 돌기(60T) 및 홈(70S)의 결합은 후크(60H)와 후크홈(70G)의 결합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일부재(60)와 피메일부재(7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복수의 가이드부(62)와 가이드홈(72)에 의해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단차부(F)가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요입 형상의 단차부(F)는, 결합 고정부재(C)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형성하면서도 메일부재(60) 및 피메일부재(70)의 접합면적은 동등 이상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 케이스(40)가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결합 고정부재(C)를 일치시킨다.
즉, 공조케이스(10)의 피메일부재(70)에 송풍기 케이스(40)의 메일부재(60)를 용이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62)와 가이드홈(72)을 어긋나지 않도록 일치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가이드부(62)를 가이드홈(72)에 삽입시겨 결합 고정부재(C)를 결합시킨다. 즉, 가이드부(62)의 레일부(68)를 레일홈(78)에 결합시킨 다음 가이드부(62)를 가이드홈(72)에 삽입시키면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피메일부재(70)의 레일홈(78) 끝단에 메일부재(60)의 레일부(68)이 닿게 되면, 피메일부재(70)에 대한 메일부재(60)의 예비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한 메일부재(60)를 더 밀게 되면, 레일부(68)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60H)가 피메일부재(70)의 레일홈(78) 안쪽 끝단에 형성된 후크홈(70G)에 억지로 결합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62) 및 가이드홈(72)의 결합 외에 레일부(68)의 후크(60H)와 레일홈(78)측의 후크홈(70G)이 서로 억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 케이스(40)가 변형이나 처침이 없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0)와 송풍기 케이스(40)를 서로 지지하도록 결합시키는 결합 고정부재(C)에 스크류 및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피메일부재(70)와 메일부재(60)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부재의 삭제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케이스들의 결합력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수단 등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후크 및 후크홈이 형성된 메일부재와 피메일부재를 구비한 결합 고정부재의 결합만으로 송풍기 케이스와 공조케이스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2: 증발기 3: 히터코어(Heater Core)
10: 공조케이스 11: 공기유입구
40: 송풍기 케이스 41: 송풍기
60: 메일부재 60H: 후크(Hook)
62: 가이드(Guide)부 68: 레일(Rail)부
70: 피메일부재 70G: 후크홈
72: 가이드홈 78: 레일홈
C: 결합 고정부재

Claims (7)

  1. 송풍기(41)가 설치되는 송풍기 케이스(40)와, 상기 송풍기(41)에 의하여 송풍된 내외기가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급되고 증발기(2) 및 히터코어(3)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0)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40) 및 공조케이스(10)가 대응하는 상호 측면에 양측 케이스(10)(40)를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고정부재(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고정부재(C)는,
    상기 송풍기 케이스(40) 또는 공조케이스(1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메일부재(60)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메일부재(60)를 내부에 삽입 고정하는 피메일부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일부재(60) 및 피메일부재(70)는, 그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의 가이드부(62) 및 이를 수용하는 복수의 가이드홈(72)이 돌출 성형되며,
    상기 메일부재(60)와 피메일부재(70)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62)와 가이드홈(72)에 의해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요입 형성된 단차부(F)가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62)의 돌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부(68)가 연장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홈(72)의 돌출면에는 상기 레일부(68)가 삽입 고정되는 레일홈(78)이 형성되며,
    상기 레일홈(78)과 레일부(68)는,
    메일부재(60) 및 피메일부재(70) 삽입방향의 길이에 의해 상기 메일부재(60)와 피메일부재(70)의 결합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62)의 돌출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78)이 성형되고, 상기 가이드홈(72)의 돌출면에는 상기 레일홈(78)에 삽입 고정되는 레일부(68)가 연장 성형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68)는,
    가이드부(62)의 선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후크(60H)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72)에는,
    후크(60H)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레일홈(78)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후크홈(70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삭제
KR1020100124349A 2010-12-07 2010-12-0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49A KR1013005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349A KR1013005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50A KR20120063250A (ko) 2012-06-15
KR101300554B1 true KR101300554B1 (ko) 2013-09-03

Family

ID=4668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49A KR101300554B1 (ko) 2010-12-07 2010-12-0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0932B2 (en) * 2020-01-29 2023-05-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purg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46U (ko) * 1997-12-29 1999-07-26 신영주 열교환 응축수 배출을 위한 파이프 조립구조
JP2001225632A (ja) 2000-02-18 2001-08-21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空調ユニットケース
KR20090126783A (ko) * 2008-06-05 2009-12-09 우리산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용 컨트롤 조립체
JP2010149759A (ja) 2008-12-25 2010-07-08 Calsonic Kansei Corp 分割ユニットケースの位置決め結合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946U (ko) * 1997-12-29 1999-07-26 신영주 열교환 응축수 배출을 위한 파이프 조립구조
JP2001225632A (ja) 2000-02-18 2001-08-21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 空調ユニットケース
KR20090126783A (ko) * 2008-06-05 2009-12-09 우리산업 주식회사 공기조화용 컨트롤 조립체
JP2010149759A (ja) 2008-12-25 2010-07-08 Calsonic Kansei Corp 分割ユニットケースの位置決め結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250A (ko) 201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73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US9783021B2 (en) Integrated HVAC case and pipe retention feature
KR1013005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1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698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105082931B (zh) 轻质hvac模块
KR20090066420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7405980A (zh) 车辆空调装置
CN210116357U (zh) 用于车辆的空调总成及具有其的车辆
KR20050110134A (ko) 자바라 구조가 적용된 자동차 리어 히팅 덕트
KR1017540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232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30616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1572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76861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5030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9382415U (zh) 除霜除雾系统及汽车
KR10150755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8635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0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60093185A (ko) 차량용 리어공조장치의 케이스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