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408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4080B1
KR101754080B1 KR1020110050144A KR20110050144A KR101754080B1 KR 101754080 B1 KR101754080 B1 KR 101754080B1 KR 1020110050144 A KR1020110050144 A KR 1020110050144A KR 20110050144 A KR20110050144 A KR 20110050144A KR 101754080 B1 KR101754080 B1 KR 101754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ixing member
air
hose fixing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1748A (ko
Inventor
김진국
김진욱
이용흥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408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4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쿨박스에 냉기를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후크부 형성에 사용된 금형틀 빼기홀은 호스의 결합시 결합단부를 이용하여 정확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플로어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각 벤트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부 벽에 형성된 호스고정부재와, 상기 호스고정부재에 결합 고정되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재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에 의하여 그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금형틀의 분리로 호스고정부재의 둘레에 해당되는 공조케이스 벽면에 관통 형성되는 금형틀 빼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쿨박스에 냉기를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후크부 형성에 사용된 금형틀 빼기홀은 호스의 결합시 호스의 결합단부를 이용하여 정확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기(Blower Unit)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증발기(Evaporator Unit) 및 히터코어(Heater Core Unit)의 배치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장치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및 히터코어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가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Mounting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장치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세미 센터 타입 차량 공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장치(40)에 연결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12a), 페이스벤트(Face Vent; 12b), 플로어벤트(Floor Vent; 12c)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와, 상기 각 벤트(12a~12c)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12a~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를 포함한다.
상기한 공조케이스(10) 입구단에는 송풍장치(40)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40)는 송풍모터(42)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4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44)의 상부에는, 실내외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내기유입구(46) 및 외기유입구(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유입구들(46)(48)은 그 사이에 설치된 내외기전환도어(50)의 회동에 따라 개폐 조절된다.
송풍모터(42)의 구동으로 송풍팬(44)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송풍팬(44)은 내외기전환도어(50)의 회동으로 개방되는 내기유입구(46) 또는 외기유입구(48)측의 공기를 유입한다.
상기한 외기유입구(48) 또는 내기유입구(46)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는, 송풍팬(44)에 의하여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로 송풍된다.
한편, 고급 승용차 및 레져(Leisure)용 차량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나 음료 등을 냉장 보관하기 위한 차량용 쿨박스(60)가 조수석 앞 글로브 박스(도시 생략)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차량용 쿨박스(60)는, 냉/온장시킨 식품을 차량내에서 편리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식품을 냉/온장시키는 쿨박스(60)에는, 증발기(2)로부터 열교환 된 냉/온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공조케이스(10)의 측면 호스고정부재(72)에 유연한 호스(70)가 연결된다.
상기한 호스고정부재(72)에는 호스(70)를 삽입시켜 연결할 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내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후크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호스고정부재(72)의 내주면에 후크부(74)를 형성할 경우,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은 공조케이스(10)의 제조시 공조케이스에 흔적을 남기지 않고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유연한 호스(70)에는, 상기 호스고정부재(72)의 내주면에 돌출된 후크부(74)에 걸리도록 호스의 외주면에 결합홀(7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호스고정부재(72)에 호스(70)를 연결할 때에는,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와 호스(70)의 결합홀(76)을 동일 선상에 두고 호스고정부재(72) 내부에 호스(70)를 밀어 넣는다.
이때, 호스(70)의 결합홀(76)이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걸리게 되면, 호스(70)의 연결이 완료되는데, 호스(70)가 호스고정부재(72)의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정확한 결합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70)가 유연하기 때문에 호스(70)를 호스고정부재(72) 내부에 밀어 넣기 어려워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호스(72)의 결합홀(76)이 호스고정부재(72)의 내부에서 후크부(74)에 결합되기 때문에 오조립시 유연한 호스(72)가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쿨박스에 냉기를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후크부를 형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크부 형성에 사용된 금형틀의 분리로 형성되는 금형틀 빼기홀을 호스의 결합단부로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를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삽입시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플렉시블한 호스가 호스고정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를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결합시킴으로써, 호스고정부재의 후크부에 호스의 결합홀을 정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 페이스벤트, 플로어벤트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각 벤트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부 벽에 형성된 호스고정부재와 차량 실내에 설치된 쿨박스를 연결하여 공조케이스내부의 공기가 쿨박스에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재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에 의하여 그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금형틀의 분리로 호스고정부재의 둘레에 해당되는 공조케이스 벽면에 관통 형성되는 금형틀 빼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금형틀 빼기홀은,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호스의 결합단부의 밀착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호스는,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홀이 호스고정부재의 후크부에 결합되도록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호스고정부재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공조케이스의 외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간격이 상기 호스의 결합단부와 상기 결합홀사이 간격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호스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호스고정부재에 호스가 견고하게 결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후크부를 형성함으로써, 쿨박스에 냉기를 공급하는 호스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의 분리로 형성되는 금형틀 빼기홀을 호스의 결합시 결합단부의 밀착을 통해 용이하게 밀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스를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삽입시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유연한 호스가 호스고정부재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세미 센터타입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공조케이스와 쿨박스가 호스로 연결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호스고정부재에서 호스가 분리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고정부재에 호스가 연결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나타낸 호스고정부재에서 호스가 분리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A-A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12a), 페이스벤트(Face Vent; 12b), 플로어벤트(Floor Vent; 12c)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와, 상기 각 벤트(12a~12c)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12a~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부 벽에 형성된 호스고정부재(72)와 차량 실내에 설치된 쿨박스(60)를 연결하여 공조케이스 (10)내부의 공기가 쿨박스(60)에 공급되도록 설치되는 호스(7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호스고정부재(72)는,
상기한 호스고정부재(72)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에 의하여 그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74)를 구비한다.
상기한 후크부(74)는, 공조케이스(10)의 제조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에 의하여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후크부(74)를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형성함으로써, 호스(70)의 연결작업을 쉽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후크부(74)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이 사용된다.
이러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은,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후크부(74)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공조케이스(10)의 외부에서 설치 및 분리를 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0) 제조 금형에 상기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을 설치하게 되면, 공조케이스(10)의 제조시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후크부(74)를 형성할 수 있지만, 금형틀(M)의 분리시 금형틀 빼기홀(H)이 공조케이스(10)에 남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이 분리된 호스고정부재(72)의 밑단 둘레에는, 공조케이스(10) 벽면에 관통되는 금형틀 빼기홀(H)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금형틀 빼기홀(H)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70)의 결합시 결합단부(F)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호스(70)는 금형틀 빼기홀(H)을 정확히 밀폐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70)에는,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76)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호스고정부재(72)는, 상기 후크부(74)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간격(d1)이 상기 호스(70)의 결합단부(F)와 상기 결합홀(76)사이 간격(d2)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즉, 호스(70)를 공조케이스(10) 벽면으로 가압하면 상기 결합홀(76)을 씰링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공조케이스(10)의 제조시 메인금형(도시 생략)에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을 준비한다.
상기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은,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호스(7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후크부(74)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을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빼낼 수 있도록 메인금형(도시 생략)에 조립한다.
공조케이스(10)를 제조한 메인금형에서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후크부(74)를 형성하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을 빼낸다.
이에 따라, 공조케이스(10)에 형성된 호스고정부재(72)의 둘레에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이 분리됨에 따라 금형틀 빼기홀(H)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크부(74)가 호스고정부재(72)에 형성되면, 쿨박스(60)에 연결할 호스(70)를 호스고정부재(72)에 삽입시킨다.
이때, 호스(70)는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즉,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호스(70)의 결합홀(76)이 걸릴 수 있도록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을 이용하여 호스(7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한 호스(70)를 호스고정부재(72)에 삽입시킬 때, 호스(70)의 결합홀(76)이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결합되도록 호스(70)를 공조케이스(10)의 벽면으로 가압하여 삽입시키면 호스(70)는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한 호스(70)의 결합단부(F)는, 호스고정부재(72)의 둘레에 형성된 금형틀 빼기홀(H)을 밀폐하게 된다.
즉, 상기 호스(70)를 호스고정부재(72)에 결합시키면, 호스(70)는 후크부(74)에 의하여 호스고정부재(72)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고, 호스(70)의 결합단부(F)는 금형틀 빼기홀(H)을 막아 공조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호스(70)가 호스고정부재(72)의 외부에 결합되기 때문에 호스(70)의 연결 작업을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호스(70)가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됨에 따라, 금형틀 빼기홀(H)을 통해 공기가 누출되는 일 없이 공조케이스 내부의 공기가 쿨박스에 공급되어 저장된 식품 등을 냉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쿨박스에 냉기를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호스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후크부 형성에 사용된 금형틀 빼기홀을 호스의 결합단부를 이용하여 정확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용 공조장치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11: 공기유입구 12a: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12b: 페이스벤트(Face Vent) 12c: 플로어벤트(Floor Vent)
20: 온도조절도어 30: 모드도어
60: 쿨박스(Cool Box) 70: 호스
72: 호스고정부재 74: 후크(Hook)부
76: 결합홀 M: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
H: 금형틀 빼기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12a), 페이스벤트(Face Vent;12b), 플로어벤트(Floor Vent;12c)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상기 증발기(2)와 히터코어(3)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코어(3)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히터코어(3)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와, 상기 각 벤트(12a~12c)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각 벤트(12a~12c)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3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부 벽에 형성된 호스고정부재(72)와, 상기 호스고정부재(72)에 결합 고정되어 공조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외측으로 인출하도록 설치되는 호스(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스고정부재(72)는,
    후크부 형성용 금형틀(M)에 의하여 그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74)와, 상기 금형틀(M)의 분리로 호스고정부재(72)의 둘레에 해당되는 공조케이스(10)벽면에 관통 형성되는 금형틀 빼기홀(H)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틀 빼기홀(H)은,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호스(70) 결합단부(F)의 밀착으로 밀폐되며;
    상기 호스(70)는, 결합단부(F)의 두께방향부분으로 상기 금형틀 빼기홀(H)을 밀폐하되, 상기 금형틀 빼기홀(H)을 충분히 밀폐할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홀(76)이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결합되도록 호스고정부재(72)의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호스고정부재(72)는,
    상기 후크부(74)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외부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간격(d1)이 상기 호스(70)의 결합단부(F)와 상기 결합홀(76)사이 간격(d2)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되어, 상기 호스(70)를 공조케이스(10) 벽면으로 가압하면 상기 호스고정부재(72)의 후크부(74)에 호스(70)의 결합홀(76)이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홀(76)을 씰링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0050144A 2011-05-26 2011-05-26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5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44A KR101754080B1 (ko) 2011-05-26 2011-05-26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0144A KR101754080B1 (ko) 2011-05-26 2011-05-26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48A KR20120131748A (ko) 2012-12-05
KR101754080B1 true KR101754080B1 (ko) 2017-07-05

Family

ID=4751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0144A KR101754080B1 (ko) 2011-05-26 2011-05-26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4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880B1 (ko) * 2018-09-07 2023-07-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59879B1 (ko) * 2018-09-07 2023-07-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727A (ja) 2001-11-30 2003-06-13 Tigers Polymer Corp ドレンホースの接続構造
JP2006248351A (ja) * 2005-03-10 2006-09-21 Denso Corp 空調装置のダクト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6727A (ja) 2001-11-30 2003-06-13 Tigers Polymer Corp ドレンホースの接続構造
JP2006248351A (ja) * 2005-03-10 2006-09-21 Denso Corp 空調装置のダクト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1748A (ko)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29410B (zh) 汽车用空调装置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KR1017540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80103B1 (ko) 실내기의 전면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82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482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4972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KR20080097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6698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500685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305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100341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EP3738805A1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50755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1299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5936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005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9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97626B1 (ko) 콘솔 덕트 오조립 방지핀을 구비한 차량 공조 장치
KR10165987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8700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71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4111454A (ja) 車両の外気導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