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207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207B1
KR101748207B1 KR1020110123335A KR20110123335A KR101748207B1 KR 101748207 B1 KR101748207 B1 KR 101748207B1 KR 1020110123335 A KR1020110123335 A KR 1020110123335A KR 20110123335 A KR20110123335 A KR 20110123335A KR 101748207 B1 KR101748207 B1 KR 101748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door
air
door wing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563A (ko
Inventor
김종수
진수용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20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의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와 도어날개 사이의 결합력 및 파손저항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 및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미도시)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온도조절 공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0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는, 도어축(112);과, 도어축(112)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실링부고정홈부(120)가 형성된 도어날개(111);와,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영역에 결합 부착되는 실링부(170);와, 상기 도어날개(111)와 상기 실링부(170)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실링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링부재(171)의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어에 장착되는 실링부재의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와 도어날개 사이의 결합력 및 파손저항력을 향상시킨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 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이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에 구성되는 모드도어(9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모드도어(90)에 장착된 실링부재(7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링부재(70)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도어(90)의 개략적인 부분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1)는,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 및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미도시)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90)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통과한 공기를 히터코어(42)로 선택적으로 보내는 템프도어(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드도어(90)는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공기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작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양측 단부는 공조케이스(4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어지는 엔드피봇(80)으로 구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에는 무게 감소를 위한 살빼기홈(92)이 형성된 도어축(91)과, 도어축(91)의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도어날개(93)와 도어 날개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공기통로를 차폐하는 경우 공기 누설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재(70)가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실링부재(70)는 도 3과 같이, 일측 측면에 고정홈(71)이 형성되어, 고정홈(71)에 접착재 등을 충진한 후 도어날개(93)의 측면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도어(90)의 테두리 영역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링부재(70)는 템프도어(45)의 테두리영역에도 동일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부착된 실링부재(70)는 모드도어(90)가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통로를 차폐하는 경우 공기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밀봉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일정 압력을 가지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되므로 모드도어(90) 또는 템프도어(45)에는 일정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90) 또는 템프도어(45)는 항상 개폐를 위해 회전 운동을 하게 되므로 회전 동작 중 내부 공기흐름에 의해 압력을 받게 되어 일시적인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질의 실랭부재(70)의 경우에는 도어날개(93)와 비교하여 더 큰 형상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드도어(90) 또는 템프도어(45)를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는 경우 공기흐름에 의한 압력 및 형상변형, 그리고 도어날개(93)와 실링부재(70)의 형상변형크기의 차이로 인해 실링부재(70)가 도어날개로부터 이탈하거나 도 4와 같이 실링부재(70)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에 부착되는 실링부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이탈방지 기능을 구비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실링부재가 도어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 및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미도시)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온도조절 공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0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는, 도어축(112);과, 도어축(112)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실링부고정홈부(120)가 형성된 도어날개(111);와,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영역에 결합 부착되는 실링부(170);와, 상기 도어날개(111)와 상기 실링부(170)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실링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날개(111)는 상기 실링부고정홈(121);과, 상기 도어날개(111)의 측면의 사이를 가로질러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실링지지바홈(122);을 포함하는 실링고정홈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날개(111)는, 또한, 테두리 영역에서 두께가 감소되는 것에 의해 도어날개(111)의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날개(111)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11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날개홈(1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고정부(180)는, 상기 도어날개(111) 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실링지지바(182);와, 상기 실링지지바(182)의 단부에서 상기 실링부고정홈(112)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실링고정돌기(18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지지바(182)는 상기 실링지지바홈(122)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링고정돌기(181)는 상기 실링고정홈(12)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어의 테두리 영역에서 밀봉을 수행하는 실링부재(180)들이 실링고정돌기(181)와 도어날개(111)의 실링고정홈(121)에 삽입 결합되고, 실링지지바(182)들이 실링지지바홈(122)에 삽입결합되는 것에 의해 실링부(170)의 도어날개(111)의 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크게 하여 실링부(170)가 도어날개(11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실링부(170)를 도어날개(111)에 견고히 고정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실링부재(171)의 파손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링고정돌기(181)와 상기 실링지지바(182)를 도어날개(111)의 면에서 삽입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날개(111)와 실링부재(180)을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유지보수를 신속히 수행하고 유지보수 비용 또한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에 구성되는 모드도어(9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모드도어(90)에 장착된 실링부재(70)의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링부재(70)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드도어(90)의 개략적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100)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살배기홈(192)의 도어날개(111)의 실링고정홈(121)과 실링지지바홈(122), 실링부(170)의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지지바(18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도어(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살배기홈(192)의 도어날개(111)의 실링고정홈(121)과 실링지지바홈(122)으로 이루어지는 실링고정홈부(120), 실링부(170)의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지지바(18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는, 도어날개(111)와 도어날개(111)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밀봉을 수행하는 실링부(170)와, 실이부(170)와 도어날개(111)를 기구적으로 결합 고정시키는 실링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날개(111)는 양측 단부가 공기통로의 측벽을 형성하는 공조케이스(4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어지는 피봇부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다수의 살빼기홈(92, 도 2 참조)이 형성된 도어축(112)을 구비하고, 상기 도어날개(111)는 상기 도어축(112)의 측방향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고 연장형성된다. 상기 도어축(112)에도 종래기술과 같이 살빼기홈이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어날개(111)의 실링부(170)가 결합되는 테두리영역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실링고정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고정홈(121)은 도어날개(111)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6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다각형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고정홈(121)과 도어날개(111)의 측면을 연결하는 도어날개(111)의 면 상에는 도어날개(111)를 관통하지 않는 깊이를 가지고 채널을 형성하도록 파여진 실링지지바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고정홈(121)과 상기 실링지지바홈(123)은 실링고정홈부(120)를 형선한다.
또한, 상기 도어날개(111)의 측면은 도어날개(111)보다 감소된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측면을 따라 도어날개(111)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115)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날개(115)는 도어날개(111)의 실링부재(171)가 결합되는 측면 전체 영역에 형성되거나,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영역의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의 실링부재(171)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링부재(171)의 내측면에는 결합날개(11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날개홈(172)이 결합날개(115)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날개홈(172) 또한 결합날개(115)가 도어날개(111)의 실링부재(171)가 결합되는 측면 영역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실랭부재(171)의 대응하는 측면 전체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날개(115)가 도어날개(111)의 실링부재(171)가 결합되는 측면 영역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결합날개(1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가 형성된다.
상기 실링고정부(180)는 상기 실링부(170)의 내측면에서 도어날개(111) 측으로 돌출 형성된 후 기구적으로 실리부(170)를 도어날개(1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도 6과 같이,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지지바(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링고정돌기(181)는 상술한 실링고정홈(12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고정홈(121)의 내면에 대응하는 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고정돌기(181)의 높이는 상기 실링고정홈(121)의 내면 깊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실링고정돌기(181)가 실링고정홈(121)에 삽입 결합되는 경우 실링고정돌기(181)의 상부면 또는 저면이 도어날개(111)의 상부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공기흐름에 대한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은 물론, 와류발생 등을 방지하여 공기 토출 압력의 저하 등의 원하지 않는 작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실링지지바(182)는 실링지지바홈(122)의 깊이와 폭에 대응하는 두께와 폭을 가지도록 실링부재(171)의 측면으로부터 도어날개(111)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단부에는 실링고정돌기(181)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링지지바(182) 실링부(170)가 도어날개(111)에 결합되는 경우 도어날개(111)의 상부면 또는 저면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실링지지바홈(122)의 깊이와 폭에 대응하는 두께와 폭을 가지는 것과 동시에 실링부재(171)의 내측면의 특정 높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실링지지바(182)의 도어날개(111)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상부면이 실링고정돌기(181)의 상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실링고정돌기(181)와 결합된다.
상술한 도어날개(111)와 실링부(170) 및 실링고정부(180)는 모두 사출성형되며, 이 경우 실링부(170)와 실링고정부(180)는 일체로 한번에 사출성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도어(100)는 먼저, 결합날개(115)를 결합날개홈(172)에 삽입하여 실링부재(171)를 도어날개(111)의 측면에 부착한다. 그리고 실링고정홈(121)들과 실링지지바홈(122)들에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지지바(182)들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실링부(170)를 도어날개(111)에 기구적으로 결합시킨다. 이 경우 실링고정홈(121), 실링지지바홈(122), 결합날개(115), 결합날개홈(172), 실링지지바(182)의 저면과 측면, 실링고정돌기(181)의 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기구적 결합을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의 도어(100)는 실링고정돌기(181)에 의해 실링부재(171)가 도어날개(1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실링지지바(122)에 의해 실링부재(171)의 국부적인 영역에서의 도어날개(111)의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실링고정부(180)의 기구적 결합 작용에 의해 도어날개(111)와 실링부(170)의 상대적 이동이 최소화되어 결합 고정력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실링부(170)가 도어날개(1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이에 의해 실링부(170)의 파손율 또한 현저히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100)는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지지바(182)를 도어날개(111)의 상부면(또는 저면)에서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실링부(170)를 도어날개(111)에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실링고정부(180)에 의한 도어날개(111)와 실링부(178)의 기구적 결합을 위한 도어날개(111)와 실링부(170) 및 실링고정부(180)의 사출 성형 작업 또한 현저히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 및 도 6의 경우 도어(100)를 단일 판 형상의 도어날개(111)를 구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도어(100)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다수의 판을 가지는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100)는 모드도어 및 템프도어 등의 모든 도어를 포함한다.
1: 차량용 공조장치
40: 공조케이스, 41: 증발기, 42: 히터코어, 43: 공기유입구
44: 공기토출구, 100: 도어, 111: 도어날개, 112: 도어축, 115: 결합날개
120: 실링고정홈부, 121: 실링고정홈, 122; 실리지지바홈
170: 실링부, 171: 실링부재, 172: 결합날개홈
180: 실링고정부, 181: 실링고정돌기, 182: 실링지지바

Claims (7)

  1. 내,외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 및 상기 내,외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 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미도시)와,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온도조절 공기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00)가 형성되고,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100)는: 도어축(112)과; 도어축(112)의 축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실링부고정홈(121)을 갖는 실링부고정홈부(120)가 형성된 도어날개(111)와;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영역에 결합 부착되는 실링부(170); 및 상기 도어날개(111)와 상기 실링부(170)를 기구적으로 결합시키는 실링고정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링고정부(180)는: 상기 도어날개(111) 측으로 평행하게 돌출형성되는 실링지지바(182)와; 상기 실링지지바(182)의 단부에서 실링부고정홈(121)에 삽입 결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실링고정돌기(18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실링고정돌기(181)는 실링부고정홈(12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링부고정홈(121)의 내면에 대응하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지지바(182)는 실링고정돌기(181)와 실링고정부(180)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날개(111)는,
    상기 실링부고정홈(121);과, 상기 도어날개(111)의 측면의 사이를 가로질러 일정 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실링지지바홈(122);을 포함하는 실링고정홈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날개(111)는,
    테두리 영역에서 두께가 감소되는 것에 의해 도어날개(111)의 측면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170)는,
    상기 도어날개(111)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도어날개(111)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날개(115)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날개홈(17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지지바(182)는,
    도어날개(111)에 형성되는 실링지지바홈(122)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고정돌기(181)는,
    도어날개(111)에 형성된 실링고정홈(12)의 깊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0123335A 2011-11-24 2011-11-24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48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35A KR101748207B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335A KR101748207B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63A KR20130057563A (ko) 2013-06-03
KR101748207B1 true KR101748207B1 (ko) 2017-06-16

Family

ID=4885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335A KR101748207B1 (ko) 2011-11-24 2011-11-24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3382B (zh) * 2015-05-08 2018-09-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N105202629A (zh) * 2015-08-14 2015-12-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出风结构
DE102019205929A1 (de) * 2019-04-25 2020-10-29 Mahle International Gmbh Kraftfahrzeugklimaanlage
WO2021039745A1 (ja) * 2019-08-30 2021-03-04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空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427A (ja) 2000-12-20 2002-07-02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ベンチレータ
KR100848358B1 (ko) 2006-11-01 2008-07-24 조은이 환기덕트용 댐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7427A (ja) 2000-12-20 2002-07-02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ベンチレータ
KR100848358B1 (ko) 2006-11-01 2008-07-24 조은이 환기덕트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63A (ko)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82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248953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KR10131943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2891847B1 (en) Indoor air-conditioning unit
KR101403431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N104236202A (zh)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冰箱
KR1020240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42049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00094719A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17540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140527B2 (ja)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1198955A (ja) 通風路切替用ドアの製造方法
CN107405980A (zh) 车辆空调装置
KR20130057562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1051790A (zh) 空气调节机的室内机
KR101890842B1 (ko) 쉬라우드
KR1021113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1407166B (zh) 汽车空调门
WO2022255347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05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366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5683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80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17146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