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761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7618A
KR20080097618A KR1020070042707A KR20070042707A KR20080097618A KR 20080097618 A KR20080097618 A KR 20080097618A KR 1020070042707 A KR1020070042707 A KR 1020070042707A KR 20070042707 A KR20070042707 A KR 20070042707A KR 20080097618 A KR20080097618 A KR 20080097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ing
cold
conditioning cas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7618A/ko
Publication of KR20080097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공기를 인출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온장고의 온/오프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서 분기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의 변동 및 좌,우 풍량의 분배 불균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공조 공기를 냉온장고에 공급할 수 있으며 공조케이스와 냉온장고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의 길이도 축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다수의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차량 실내에 설치된 냉온장고(51)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하는 연결덕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홀(120)이 형성되되, 상기 인출홀(12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 는 영역(C)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인출홀, 연결덕트, 냉온장고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공조장치에 설치된 분기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분기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하는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공조케이스의 인출홀에서 연결덕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통로 112: 공기유입구
113: 공기토출구 113a: 디프로스트벤트
113b: 페이스벤트 113c: 플로어벤트
114: 템프도어 115a: 디프로스트 도어
115b: 페이스 도어 115c: 플로어 도어
120: 인출홀 121: 결합부
122: 걸림홈 125: 결합수단
130: 연결덕트 131: 돌기
132: 주름관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내의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공기를 인출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온장고의 온/오프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서 분기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의 변동 및 좌,우 풍량의 분배 불균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공조 공기를 냉온장고에 공급할 수 있으며 공조케이스와 냉온장고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의 길이도 축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에 관한 것이다.
차랴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공조장치 중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조장치(1)는,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전환도어(23) 및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통해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46)에 의해 개폐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는 증발기(41)를 통과한 공기를 히터코어(42)로 선택적으로 보내는 템프도어(4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를 내외기전환도어(23)의 개폐 선택에 따라 송풍팬(3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도입하고, 이 공기를 공조케이스(40)를 따라 증발기(41)를 통과하게 하고 템프도어(45)의 조작에 의해 히터코어(42)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른 다수의 모드도어들(46)의 개폐 선택에 따라 각 분기덕트(60)로 분기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난방 또는 환기한다.
최근에는 차량의 조수석 앞 글로브 박스(50)내 일부공간에 냉온장고(51)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는 상기 냉온장고(51)의 내부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냉/온장으 로 차량 탑승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때, 상기 냉온장고(51)측으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공조시스템을 구축하면 비용이 상승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상기 전방 공조장치(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냉온장고(51)측으로 분기하여 공조 효과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공조장치의 분기덕트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분기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하는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4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토출시키도록 설치되는 분기덕트(60)의 조수석방향 일측면에 연결덕트(65)를 분기 형성하여 상기 글로브 박스(50)내에 설치되는 냉온장고(51)내로 공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덕트(60)는 사람의 얼굴쪽 및 운전석/조수석의 측면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벤트덕트(61)와, 차량의 앞면 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디프로스트덕트(62)와, 사람의 다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플로어덕트(63)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연결덕트(65)는 상기 벤트덕트(61)의 조수석방향 일측면에서 분기 형성되어 상기 냉온장고(51)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상기 공조케이스(40)에서 열교환된 공조 공기를 상기 냉온장고(51)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벤트덕트(61)의 조수석방향 일측면에서 연결덕트(65)를 분기하여 냉온장고(51)에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즉, 조수석측 벤트덕트(61)를 통해 조수석방향으로 토출되는 공조 공기중 일부를 인출하여 냉온장고(51)의 냉/온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냉온장고(51)의 온시(공기 공급시) 그에 상응하는 만큼 조수석방향으로 토출되는 풍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40)의 공기토출구(44)에서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좌,우 풍량의 분배도 불균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공조장치(1)의 공조모드 중 상기 벤트덕트(61)측으로 공조 공기를 송풍하게 되는 벤트모드 이 외의 모드시에는 상기 냉온장고(51)로 공조 공기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도 있다.
한편,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벤트덕트(61)를 통해 소량의 공조 공기를 차량 측면 유리측으로 항상 공급하는 구조인 경우에는 벤트모드 이 외의 모드시,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되는 공조 공기량이 급감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내의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공기를 인출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온장고의 온/오프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서 분기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의 변동 및 좌,우 풍량의 분배 불균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공조 공기를 냉온장고에 공급할 수 있으며 공조케이스와 냉온장고를 연결하는 연결덕트의 길이도 축소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 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다수의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와 차량 실내에 설치된 냉온장고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로 공급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덕트의 입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홀이 형성되되, 상기 인출홀은 상기 공조케이스내에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공조케이스의 인출홀에서 연결덕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입구측에 공기를 유입 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디프로스트벤트(113a), 페이스벤트(113b), 플로어벤트(113c)로 구성된 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2)와 각 벤트(113a)(113b)(113c)들을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공기통로(111)를 갖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1)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히터코어(102)에 선택적으로 보내어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14)와,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히터코어(102)를 선택적으로 거친 공기를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의 특정 토출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벤트(113a)(113b)(113c)들을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공조 모드를 변환하는 디프로스트 도어(115a), 페이스 도어(115b), 플로어 도어(115c)로 구성된 모드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112)측에는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강제송풍하는 송풍장치(1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1)상에는 상기 템프도어(114)와 모드도어의 사이 공간에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냉풍)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온풍)가 혼합되는 영역(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와 템프도어(114)의 사이에는 냉풍영역(A)이 형성되고, 상기 히터코어(102)의 하류와 상기 공기혼합영역(C)의 사이에는 온풍영역(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템프도어(114) 및 모드도어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모드캠(미도시)에 연결되어 온도조절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실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캠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엑츄에이터(미도시)와 연결되어 동작하게 된다.
즉, 상기 템프도어(114) 및 모드도어는 사용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공조장치 제어용 컨트롤러(미도시)를 조작함에 따라, 그 조작스위치에 연동하여 작동되면서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하거나 분기덕트(60)를 통해 차량 실내측 특정 토출구와 연결된 각 벤트(113a)(113b)(113c)의 개폐량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 등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하여 차량의 조수석 앞 글로브 박스(50)내에 설치된 냉온장고(51)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덕트(1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덕트(130)의 출구는 상기 냉온장고(51)측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인출홀(120)의 크기는 공조 공기량 조절을 위해 다양하게 변경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출홀(12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냉풍)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온풍)가 혼합되는 영역(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냉온장고(51)의 온시(공조 공기 공급시) 상기 공조케이스(110) 의 공기토출구(113)로 토출되기 전인 상기 공기혼합영역(C)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51)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토출구(113)에서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좌,우(운전석/조수석) 풍량의 분배 불균형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냉온장고(51)의 온/오프시 차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의 변동도 적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드도어의 상류측인 상기 공기혼합영역(C)의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51)측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공조 공기를 냉온장고(51)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홀(120)의 둘레에는 외측방향으로 결합부(121)가 돌출 형성되고, 이때,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상기 결합부(121)는 결합수단(125)으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125)은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상기 결합부(121)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122)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걸리도록 돌기(1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상기 결합부(121)의 둘레방향으로 다수개의 걸림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측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걸리도록 다수개의 돌기(131)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측을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인출홀(120)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측에 형성된 돌기(131)가 상기 결합부(121)의 걸림홈(122)에 걸리면서 연결덕트(13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덕트(130)의 출구측은 상기 냉온장고(51)측에 통상의 방법으 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130)의 길이방향으로 중앙부 일정구간은 구부리기 쉽도록 주름관(132) 형태(자바라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덕트(130)의 양단부측을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냉온장고(51)측에 조립할 때 조립성을 향상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장치(100)가 세미-센터 타입(Semi-center type)일 경우에는 상기 인출홀(120)을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송풍장치(10)의 사이에 있는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성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인출홀(120)과 상기 조수석 앞쪽의 글로브 박스(50)내에 설치된 냉온장고(51)의 사이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상기 연결덕트(130)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장치(100)가 세미-센터 타입이 아닌 다른 타입(센터마운팅 타입, 쓰리피스 타입 등)일 경우에도 상기 인출홀(120)은 상기 조수석 앞쪽의 글로브 박스(50)내에 설치된 냉온장고(51)와 가까운 쪽에 있는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측을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혼합영역(C) 일측면에 형성된 인출홀(120)에 결합하고, 출구측은 상기 냉온장고(51)측에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31)가 상기 인출홀(120)의 둘레에 형성된 결합부(121)의 걸림홈(122)에 걸리 게 되어 연결덕트(130)가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조장치(100)를 냉방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풍이 상기 템프도어(114)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우회하여 상기 공기혼합영역(C)을 통과한 후,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각 벤트(113a)(113b)(113c) 및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냉온장고(51)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혼합영역(C)을 통과하는 냉풍 중 일부가 상기 인출홀(120) 및 연결덕트(130)를 통해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되어 냉온장고(51)에 저장된 내용물을 냉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공조장치(100)를 난방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템프도어(114)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온풍으로 열교환되어 상기 공기혼합영역(C)을 통과한 후,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각 벤트(113a)(113b)(113c) 및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냉온장고(51)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혼합영역(C)을 통과하는 온풍 중 일부가 상기 인출홀(120) 및 연결덕트(130)를 통해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되어 냉온장고(51)에 저장된 내용물을 온장하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공조장치(100)를 믹스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풍과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온풍이 상기 공기혼합영역(C)에서 서로 혼합되어 적정한 온도로 조절된 후, 공조모드에 따라 모드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 각 벤트(113a)(113b)(113c) 및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어 차실내를 적정한 온도로 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냉온장고(51)를 온 시키게 되면, 상기 공기혼합영역(C)을 통과하는 온도 조절된 공기가 상기 인출홀(120) 및 연결덕트(130)를 통해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되어 냉온장고(51)에 저장된 내용물을 적정한 온도로 보관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공조모드 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냉온장고(51)로 공조 공기를 공급할 때,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혼합영역(C)에서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분기덕트(60)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좌,우 풍량의 분배 불균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냉온장고(51)에 보관되는 내용물의 냉/온장으로 차량 탑승시의 쾌적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100)와 냉온장고(51)를 연결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와 히터코어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공기를 인출하여 냉온장고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냉온장고의 온/오프시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서 분기 덕트를 통해 차실내로 공급되는 풍량의 변동 및 좌,우 풍량의 분배 불균형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혼합영역에서 공기를 인출함으로써 공조모드에 관계없이 일정한 양의 공조 공기를 냉온장고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의 인출홀에 상기 연결덕트의 입구를 결합수단으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덕트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덕트의 일정구간을 구부리기 쉽게 주름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덕트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가 세미-센터 타입일 경우, 상기 인출홀을 상기 공조케이스와 송풍장치의 사이에 있는 공조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출홀과 상기 조수석 앞 쪽에 설치되는 냉온장고의 사이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상기 연결덕트의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5)

  1. 일측에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유입구(11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11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다수의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와 차량 실내에 설치된 냉온장고(51)를 연결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하여 상기 냉온장고(51)로 공급하는 연결덕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홀(120)이 형성되되, 상기 인출홀(12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공기가 혼합되는 영역(C)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홀(120)의 둘레에는 외측방향으로 결합부(121)가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상기 결합부(121)는 결합수단(125)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25)은 상기 연결덕트(130)의 입구와 상기 결합부(121)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홈(122)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걸림홈(122)에 걸리도록 돌기(1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덕트(130)의 일정구간은 구부리기 쉽도록 주름관(132)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장고(51)는 차량의 조수석 앞 글로브 박스(50)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70042707A 2007-05-02 2007-05-02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976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707A KR20080097618A (ko) 2007-05-02 2007-05-02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707A KR20080097618A (ko) 2007-05-02 2007-05-02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618A true KR20080097618A (ko) 2008-11-06

Family

ID=4028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707A KR20080097618A (ko) 2007-05-02 2007-05-02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76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529B1 (ko) * 2010-12-15 2013-10-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95B1 (ko) * 2011-12-27 2014-09-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93B1 (ko) * 2011-12-30 2014-09-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5B1 (ko) * 2008-12-09 2015-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215B1 (ko) * 2008-12-09 2015-06-1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20529B1 (ko) * 2010-12-15 2013-10-2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95B1 (ko) * 2011-12-27 2014-09-2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2593B1 (ko) * 2011-12-30 2014-09-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7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060000595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201389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9333834B2 (en) Air controlling system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20153132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544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97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482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0697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305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2921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4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3598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000059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207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