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18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18A
KR20100005918A KR1020080066032A KR20080066032A KR20100005918A KR 20100005918 A KR20100005918 A KR 20100005918A KR 1020080066032 A KR1020080066032 A KR 1020080066032A KR 20080066032 A KR20080066032 A KR 20080066032A KR 20100005918 A KR20100005918 A KR 20100005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air conditioning
connecting mean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1694B1 (ko
Inventor
김학규
주영복
정재경
최영호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6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16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92Add-on devices, e.g. heat/cooling boxes, compartment dividers, upgrade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에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에 각각 별도의 덕트 접속수단을 단차지게 설치함으로써, 덕트 조립시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을 통해 상호 간섭없이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기 공기토출구(44)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와, 상기 덕트 삽입부(47a)(47b)에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63)(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덕트 삽입부(47a)에는 상기 덕트(64)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각각 덕트 접속수단(100)이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100)은 공조케이스(40)측으로부터 상호 단차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공기토출구, 덕트 삽입부, 덕트 접속수단, 덕트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공조케이스에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에 각각 별도의 덕트 접속수단을 단차지게 설치함으로써, 덕트 조립시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을 통해 상호 간섭없이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Semi-Center type)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각각 모드도어(46)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44a), 페이스 벤트(44b) 및 플로어 벤트(44c,44d)로 이루어진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기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40)에 내장되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와;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플로어 벤트(44c,44d)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44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로 분리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토출구(44)측에는 덕트(60)가 연결 설치되어 공기토출구(44)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덕트(60)는 사람의 얼굴쪽 및 운전석/조수석의 측면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벤트덕트(61)와, 차량의 앞면 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디프로스트덕트(62)와, 앞좌석 사람의 다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앞좌석 플로어덕트(63)와, 뒷좌석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뒷좌석 플로어덕트(6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 중에는 상기 덕트(60)가 결합될 수 있 도록 덕트 삽입부(47a)(4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4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41)를 거치면서 증발기(41)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상기 냉풍유로(P1)를 통해 믹싱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벤트 모드, 바이레벨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디프로스트 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44a~44d)를 통해 각 덕트(60)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45)는, 상기 냉풍유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풍유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한 후 온풍유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42)를 거치면서 히터코어(4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챔버(MC)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44a~44d)를 통해 각 덕트(60)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한편,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도어(45)는 중립위치로 회전하여, 상기 믹싱챔버(MC)에 대하여 상기 냉풍유로(P1) 및 상기 온풍유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41)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42)를 거친 온기가 믹싱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44a~44d)를 통해 각 덕트(60)로 분기되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공조케이스(4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 중 상기 뒷좌석용 플로어벤트(44d)에 형성되는 덕트 삽입부(47a) 처럼 두 개의 덕트 삽입부(47a)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경우,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각각 분리된 단일의 덕트를 조립하게 되면 덕트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덕트 조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써 도 2와 같이, 상기 상호 인접한 두 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각각 조립되던 두 개의 덕트를 하나의 일체형 덕트(64)로 성형할 경우에는 덕트(64)의 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조케이스에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에 각각 별도의 덕트 접속수단을 단차지게 설치함으로써, 덕트 조립시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을 통해 상호 간섭없이 조립이 가능함은 물론 탈착이 용이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기토출구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와, 상기 덕트 삽입부에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덕트 삽입부에는 상기 덕트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각각 덕트 접속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은 공조케이스측으로부터 상호 단차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에서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에 각각 별도의 덕트 접속수단을 단차지게 설치한 후, 상기 덕트 접속수단에 덕트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덕트 조립시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을 통해 상호 간섭없이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함은 물론 덕트의 탈착도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을 참조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이 덕트 삽입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이 덕트 삽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덕트가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종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 됨과 아울러 내부의 공기통로상에는 냉풍유로(P1)와 온풍유로(P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기 공조케이스(40) 내부의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와, 상기 증발기(41)와 히터코어(42)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히터코어(4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유로(P1)와 상기 히터코어(42)를 통과하는 온풍유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에는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출구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44a)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44b)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44c,44d)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로어 벤트(44c,44d)는, 앞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44c)와, 뒷좌석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로 분리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각 벤트(44a~44d)들은 모드 도어(46)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온도조절도어(45)와 모드도어(46)들은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로 구동되는 캠(미도시)이나 레버(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회전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유로(P1)(P2)와 상기 각 벤트(44a~44d)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40)에 형성된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측에는 상기 공기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공급하도록 덕트(60)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상단에 형성되는 디프로스트 벤트(44a)와 페이스 벤트(44b)측에는 차량의 앞면 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덕트(60)와 사람의 얼굴쪽 및 운전석/조수석의 측면유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덕트(60)가 안착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4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44c)와 상기 공조케이스(40)의 하단 후면측에 형성되는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에는 앞좌석 사람의 다리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덕트(63)와 뒷좌석쪽으로 공조 공기를 보내는 덕트(64)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앞좌석용 플로어 벤트(44c)와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측에는 상기 덕트(63)(64)가 조립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가 형성된다.
상기 덕트 삽입부(47a)(47b)는 공조케이스(40)의 외측면에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덕트 삽입부(47a)에는 상기 덕트(64)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각각 덕트 접속수단(100)이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100)은 상기 공조케이스(40)측으로부터 상호 단차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조케이스(4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 및 덕트 삽입부(47a)(47b) 위치는 공조케이스(4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조케이스(40)의 공기토출구(44)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덕트 삽입부(47a)에 상기 별도의 덕트 접속수단(100)을 설치하여 덕트(64)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측에 상호 인접되게 형성되어 동일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두 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이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만 일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이 결합되는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는 상호 상이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뒷좌석용 플로어 벤트(44d)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의 외측면에 상기 복수개(2개)의 덕트 삽입부(47a)를 돌출 형성할 때 상호 상이한 길이로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덕트 삽입부(47a)에 조립되는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도 공조케이스(40)측으로부터 상호 단차지게 설치되게 된다.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은,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64)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64a)가 한 쪽 방향에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홈(121)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결합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ㄱ"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때 상기 몸체(110)는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에 강제 삽입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지만, 도 6과 같이, 상기 덕트 삽입부(47a)에 결합되는 몸체(110)를 고정할 수 있도 록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에는 돌기(47c)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돌기(47c)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112)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10)를 상기 덕트 삽입부(47a)에 결합시 몸체(110)의 걸림홈(112)이 덕트 삽입부(47a)의 돌기(47c)에 걸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U"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121)의 일측은 개방되고 반대편 끝단부측은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64)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64a)가 상기 슬라이딩홈(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조립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121)은 개방된 입구측에서부터 폐쇄된 끝단부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로인해, 상기 슬라이딩홈(121)에 덕트(64)의 플랜지부(64a)를 슬라이딩 조립할 때 상기 슬라이딩홈(121)의 입구측 각도가 커서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20)의 슬라이딩홈(121)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를 상기 몸체(110)측으로 밀착시키도록 돌기(122)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122)는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와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딩홈(121)의 내측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21)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를 상기 몸체(110)측으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20)에 슬라이딩 결합된 덕트(64)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과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보스부(111)(64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보스부(111)(64b)는 나사결합 된다.
상기 보스부(111)(64b)는 상기 몸체(110)의 슬라이딩 결합부(120) 반대편측에 형성되며, 이때, 상기 몸체(110)측에 형성되는 보스부(111)는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64a)측에 형성되는 보스부(64b)는 상기 몸체(110)에 돌출 형성된 보스부(111)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에는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의 몸체(110)가 걸리도록 걸림턱(47d)이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으로 상기 몸체(110)가 결합될 때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47d)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110)의 결합위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와 상기 몸체(110)의 마주하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실링부재(64c)가 부착 설치되어 상기 몸체(110)와 덕트(64)의 결합부위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덕트 삽입부(47a) 두 개가 상호 인접되게 형성된 경우만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덕트 삽입부(47a) 세 개 또는 네 개가 상호 인접되게 형성된 경우에도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을 통해 덕트(64)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각각 상기 몸체(110) 결합시, 상기 몸체(110)의 슬라이딩 결합부(12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덕트(64)의 삽입 방향이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결합되도록 몸체(110)의 결합방향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덕트(64)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공조케이스(40)의 공기토출구(44)에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상기 복수개(2개)의 덕트 삽입부(47a) 외측면에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인 몸체(110)를 삽입 결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110)는 상기 상호 인접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 중 높이가 작은 덕트 삽입부(47a) 부터 먼저 결합한다.
이처럼, 상호 단차지게 형성된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도 상호 단차지게 설치되게 된다.
이후,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를 상기 각각의 몸체(110)에 형성된 슬라이딩 결합부(120)의 슬라이딩홈(121)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고, 결합한 후에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보스부(111)와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에 형성된 보스부(64b)를 나사로 고정하여 상기 덕트(64)의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덕트(64)를 분해할 경우에는 상기 나사만 풀면 간편하게 분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40)에 상호 인접하여 형성된 덕트 삽입부(47a)에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을 단차지게 설치한 후,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에 상기 덕트(64)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각각의 덕트(64)를 조립할 때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덕트(64)의 조립 및 분해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에 결합되는 각 몸체(110)의 결합방향을 바꾸게 되면 상기 각 몸체(1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덕트(64)의 삽입 방향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의 공기 순환과정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이 세미-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설치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덕트접속수단(100)이 상기 덕트 삽입부(47a)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도 상기 덕트접속수단(100)과 상기 덕트 삽입부(47a)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공조케이스의 공기토출구에 덕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이 덕트 삽입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접속수단이 덕트 삽입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덕트가 조립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 공조케이스 44: 공기토출구
47a,47b: 덕트 삽입부 47c: 돌기
47d: 걸림턱 64: 덕트
64a: 플랜지부 64b,111: 보스부
100: 덕트 접속수단 110: 몸체
112: 걸림홈 120: 슬라이딩 결합부
121: 슬라이딩홈 122: 돌기

Claims (7)

  1. 일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기 공기토출구(44)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와, 상기 덕트 삽입부(47a)(47b)에 연통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토출구(44)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덕트(63)(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47b) 중 상호 인접 배치되는 덕트 삽입부(47a)에는 상기 덕트(64)의 탈착이 용이하도록 각각 덕트 접속수단(100)이 구비되되, 상기 각각의 덕트 접속수단(100)은 공조케이스(40)측으로부터 상호 단차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이 결합되는 복수개의 덕트 삽입부(47a)는 상호 상이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은,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64)의 단부에 형성되 는 플랜지부(64a)가 한 쪽 방향에서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슬라이딩홈(121)을 형성하는 슬라이딩 결합부(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20)의 슬라이딩홈(121) 내측면에는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를 상기 몸체(110)측으로 밀착시키도록 돌기(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부(120)에 슬라이딩 결합된 덕트(64)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면과 상기 덕트(64)의 플랜지부(64a)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보스부(111)(64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보스부(111)(64b)는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에는 상기 덕트 접속수단(100)이 걸리도록 걸림턱(47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삽입부(47a)에 결합되는 몸체(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 삽입부(47a)의 외측면에는 돌기(47c)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에는 상기 돌기(47c)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66032A 2008-07-08 2008-07-08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6032A KR101481694B1 (ko) 2008-07-08 2008-07-08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6032A KR101481694B1 (ko) 2008-07-08 2008-07-08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18A true KR20100005918A (ko) 2010-01-18
KR101481694B1 KR101481694B1 (ko) 2015-01-12

Family

ID=4181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66032A KR101481694B1 (ko) 2008-07-08 2008-07-08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16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2503A1 (en) * 2007-07-31 2009-02-12 Naoto Tani Air-conditioning duct
WO2014195603A1 (fr) * 2013-06-05 2014-12-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Jonction aéraulique entre deux modules comportant des conduits d'ai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540A (ja) * 1994-02-21 1995-09-05 Suzuki Motor Corp 空調装置のダクト結合部構造
JP2005349921A (ja) * 2004-06-09 2005-12-22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のダクト接続構造
KR20070067524A (ko) * 2005-12-23 2007-06-28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전방 플로어 덕트의 연결구조
JP2008137549A (ja) 2006-12-04 2008-06-19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2503A1 (en) * 2007-07-31 2009-02-12 Naoto Tani Air-conditioning duct
US8801511B2 (en) * 2007-07-31 2014-08-12 Kyoraku Co., Ltd. Air-conditioning duct
WO2014195603A1 (fr) * 2013-06-05 2014-12-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Jonction aéraulique entre deux modules comportant des conduits d'air
FR3006630A1 (fr) * 2013-06-05 2014-12-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Jonction aeraulique entre deux modules comportant des conduits d'air
CN105452024A (zh) * 2013-06-05 2016-03-30 标致·雪铁龙汽车公司 包括空气管道的两个模块之间的气动连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1694B1 (ko) 201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7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491119B2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201389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587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59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4848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9761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07405980A (zh) 车辆空调装置
KR101418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68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2322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16742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2079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10000550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KR20100016743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238230B1 (ko) 차량 공조장치용 공조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