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851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851B1
KR101418851B1 KR1020070132163A KR20070132163A KR101418851B1 KR 101418851 B1 KR101418851 B1 KR 101418851B1 KR 1020070132163 A KR1020070132163 A KR 1020070132163A KR 20070132163 A KR20070132163 A KR 20070132163A KR 101418851 B1 KR101418851 B1 KR 10141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ort
case
air
air condition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822A (ko
Inventor
박태용
이정재
박민우
정윤섭
김주훈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2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8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8Connections between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를 삭제하고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의 드레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 상측에 메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과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드레인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배출구 및 보조 배출구에 의한 2중 배출구 구조와 각 배출구의 결합면을 엇갈리게 형성한 구조에 의해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에서도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하부케이스의 삭제에 의한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장치, 공조케이스, 드레인부, 메인 배출구, 보조 배출구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를 삭제하고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의 드레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 상측에 메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과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드레인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배출구 및 보조 배출구에 의한 2중 배출구 구조와 각 배출구의 결합면을 엇갈리게 형성한 구조에 의해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에서도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하부케이스의 삭제에 의한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써,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상기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기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 1 은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내기유입구(21)와 외기유입구(22)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내,외기유입구(21)(2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내외기전환도어(23)가 설치되며, 내,외기를 공조케이스(40)의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송풍장치(10)와, 상기 송풍장치(1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3)와 이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44)가 구비되며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증발기(41) 및 히터코어(42)가 설치된 공조케이스(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외기전환도어(23)는 목적에 따라 판(Plate)형, 공기의 압력을 적게 받는 돔(Dome)형, 원통형, 반구형 등 여러가지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도 2 는 상기한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Semi center type) 공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상기 공조장치(1)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43)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공기토출구(44)가 형성된 공조케이스(40)와, 상부측에 형성된 내기유입구 및 외기유입구(22)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기유입구(43)측으로 강제송풍하는 송풍장치(1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증발기(41) 및 히터코어(미도시)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아울러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에는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조절도어(미도시) 및 다양한 공조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도어(미도시)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조장치(1)에 의하면 상기 송풍장치(10)의 작동으로 상기 공조케이스(4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41)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공기는 온도조절도어에 의해 히터코어를 선택적으로 거치는 과정에서 냉각 또는 가열되며, 이와 같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상기 다수의 공기토출구(44)와 연결된 각 덕트(미도시)를 통해 차량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차량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시, 상기 증발기(41)는 그 내부에 차가운 냉매가 순환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41) 주위에는 응축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기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1)를 타고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공조케이스(40) 하부로 낙하한 후, 공조케이스(4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드레인부(40d)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40)는 통상적으로 상부케이스(40a)(40b)와,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일체형 하부케이스(40c)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40a)(40b)와 하부케이스(40c)의 사이에 증발 기(41)를 조립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40a)(40b)는 좌측 케이스(40a)와 우측 케이스(4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공조케이스(40)는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형 하부케이스(40c)를 별도로 구성해야 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상기 하부케이스(40c)의 결합시 스크류(나사)로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케이스를 삭제하고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의 드레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 상측에 메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과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드레인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배출구 및 보조 배출구에 의한 2중 배출구 구조와 각 배출구의 결합면을 엇갈리게 형성한 구조에 의해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에서도 응축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하부케이스의 삭제에 의한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케이스와 우측케이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측케이스의 내부 바닥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출구와,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상기 하부 결합면을 통해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를 삭제하고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의 드레인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 상측에 메인 배출구를 형성하고 하측에는 상기 메인 배출구에서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보조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과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여 드레인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메인 배출구 및 보조 배출구에 의한 2중 배출구 구조와 각 배출구의 결합면을 엇갈리게 형성한 구조에 의해 좌,우측케이스로 이루어진 공조케이스에서도 응축수의 누설이 방지되고, 이로인해 하부케이스의 삭제에 의한 원가절감 및 작업공수가 절감된다.
또한, 상기 보조 배출구에 누설방지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배출구로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누설방지턱에 의해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으로 누설되지 않으므로 누설 방지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후방측에 위치한 상기 좌,우측케이스의 하부 결합면 에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출구내로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배출구의 하부 결합면을 통해 응축수가 차량 실내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드레인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드레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드레인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증발기의 후방측 하부 결합면에 홀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홀이 형성된 하부 결합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대시패널(엔진룸과 차실내를 구분하는 벽)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기유입구(131)(132)를 통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하는 인테이크 덕트(13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인테이크 덕트(130) 하류측에 설치되는 블로어(12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를 포 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에 스크롤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는 상기 블로어(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블로어(120)의 송풍휠(121) 부분은 상기 스크롤부(11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어(120)는 상기 스크롤부(1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휠(121)과, 상기 송풍휠(121)을 회전시키는 모터(123)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볼트 결합되는 모터하우징(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크롤부(111)의 타측에는 상기 블로어(120)의 작동시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를 통해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내,외기를 상기 송풍휠(121)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인렛링(1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인 상기 스크롤부(111)의 일측에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가 결합되고, 출구측에는 모드도어(113)에 의해 개도가 조절되는 다수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a),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2b) 및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2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벤트(112,112b,112c)들은 모드 도어(113)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되어 다양한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 공기통로상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는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102)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측인 상기 스크롤부(111)의 인렛링(111a)이 위치한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의 내부에는 내기유입구(131)와 외기유입구(132)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135)가 설치되며,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35)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는 드레인(drain)부(1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101)를 타고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리거나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한 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드레인부(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드레인부(14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 결합면(a)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분할 되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좌,우 양쪽으로 분할된 드레인부(14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시 완성된 드레인부(14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부(140)의 단부에는 호스(147)가 연결되어 상기 드레인부(140)를 통해 배출되는 응축수를 차량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부(14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 바닥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출구(141)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배출구(141)에서 상기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구(145)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드레인부(14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상기 메인 배출구(141)와 보조 배출구(145)로 이루어진 2중 배출구 구조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대부분 상기 메인 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되지만, 일부는 상기 메인 배출구(141)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메인 배출구(141)의 하부에 있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될 수 있으며, 이처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된 응축수는 모두 상기 보조 배출구(145)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케이스 외측면으로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상기 드레인부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드레인부(140)는 상기 메인 배출구(141)의 하부에 있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좌,우측케이스 파팅라인)과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보조 배출구의 파팅라인)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과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하게 되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되는 응축수가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낙하할 때,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으로 곧바로 낙하하지 않고 보조 배출구(145)의 평평한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되어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으로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배출구(145)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낙하하여 유입된 응축수가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배출구(145)와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 사이에 누설방지턱(146)이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보조 배출구(145)는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을 기준으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 중 일측 케이스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며, 이때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측 단부에는 보조 배출구(145) 높이 만큼 상기 누설방지턱(14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누설방지턱(146)에 의해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쪽으로 넘어가지 못하게 되므로 누설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출구(141)의 하부에 있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은 상기 보조 배출구(145) 방향으로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응축수가 누설될 때 상기 계단 형태로 단차진 하부 결합면(a)을 따라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 하측에 형성된 상기 보조 배출구(145)는 후방측이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면(파팅라인)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일정높이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바닥쪽으로 낙하할 때 바람에 의해 비산하더라도,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결합면(파팅라인)을 통해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35)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조절도어(114) 및 모드도어(113) 등은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 및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캠(미도시) 등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에 위치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에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홀(1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흘러 들어갈 경우,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공간 협소로 인해 응축수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거나 배출되는 속도가 느려서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을 통해 차량 실내로 누설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 하부 결합면(a)에 홀(150)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공간이 협소한 보조 배출구(145)내에 응축수가 유입된 상태일 때, 상기 홀(150)을 통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가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에 있는 응축수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켜줌으로써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을 통해 응축수가 차량 실내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 하부 결합면(a)은 상기 온도조절도어(114)와의 실링면 형성을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일정높이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 하부 결합면(a)에 형성된 홀(150)은 상기 증발기(101)와 마주하게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홀(150)을 통해 보조 배출구(145)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 다.
먼저, 차량용 공조장치(100)의 가동에 의하여 블로어(120)의 송풍휠(121)이 스크롤부(111)의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그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내기유입구(131) 또는 외기유입구(132)를 통하여 내기 또는 외기가 인테이크 덕트(130) 내부로 흡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인테이크 덕트(1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인렛링(111a)을 통해 상기 송풍휠(121)의 내부로 유동한 후 송풍휠(121)의 반경방향으로 배출된 후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냉,난방모드에 따라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상기 온도조절도어(114)에 의해 상기 히터코어(102)를 거치거나 바이패스하여 온기 또는 냉기로 바뀐다. 상기 온기 또는 냉기로 바뀐 공기는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이 수행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드레인부(14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공조장치(1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바닥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상기 메인 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메인 배출구(141)를 통해 응축수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배출구(141)의 바닥쪽인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일 부 응축수가 누설될 수 있는데, 이처럼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된 응축수는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보조 배출구(145)에 형성된 누설방지턱(146)에 의해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으로 누설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드레인부(140) 구조를 차량용 공조장치 중 센터 마운팅 타입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 센터 타입과 쓰리 피스 타입 등 모든 공조장치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 중에서 세미 센터 타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드레인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드레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드레인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증발기의 후방측 하부 결합면에 홀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홀이 형성된 하부 결합면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0a: 좌측케이스 110b: 우측케이스
111: 스크롤부 111a: 인렛링
112a: 디프로스트벤트 112b: 페이스벤트
112c: 플로어벤트 113: 모드도어
114: 온도조절도어 120: 블로어
121: 송풍휠 122: 모터하우징
123: 모터 130: 인테이크 덕트
131: 내기유입구 132: 외기유입구
135: 내,외기 전환도어 140: 드레인부
141: 메인 배출구 145: 보조 배출구
146: 누설방지턱 150: 홀

Claims (4)

  1. 좌측케이스(110a)와 우측케이스(110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 형성되는 드레인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140)는,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의 상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내부 바닥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메인 배출구(141)와,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메인 배출구(141)에서 상기 하부 결합면(a)을 통해 누설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구(145)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과 상기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은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출구(145)에는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응축수가 보조 배출구(145)의 하부 결합면(b)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보조 배출구(145)와 상기 하부 결합면(b) 사이에 누설방지턱(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측에 위치한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 결합면(a)에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출구(145)내로 유입된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홀(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70132163A 2007-12-17 2007-12-1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163A KR101418851B1 (ko) 2007-12-17 2007-12-1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163A KR101418851B1 (ko) 2007-12-17 2007-12-1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822A KR20090064822A (ko) 2009-06-22
KR101418851B1 true KR101418851B1 (ko) 2014-07-14

Family

ID=40993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163A KR101418851B1 (ko) 2007-12-17 2007-12-1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7199B2 (ja) 2013-12-19 2017-1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FR3051723A1 (fr) * 2016-05-26 2017-12-01 Valeo Systemes Thermiques Boitier pour systeme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e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245A (ja) * 1995-04-17 1996-10-29 Zexel Corp 空調ユニット
JP2001315525A (ja) * 2000-04-28 2001-11-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ドレン構造
KR20070049284A (ko) * 2005-11-08 2007-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245A (ja) * 1995-04-17 1996-10-29 Zexel Corp 空調ユニット
JP2001315525A (ja) * 2000-04-28 2001-11-13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空調装置のドレン構造
KR20070049284A (ko) * 2005-11-08 2007-05-11 한라공조주식회사 센터 마운팅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822A (ko)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US991957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13892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41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235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3190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352879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1900305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67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70081274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4506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16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도어
KR100601833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683565B1 (ko) 자동차용 멀티-존 공기조화장치
KR1019976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379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976827B1 (ko) 차량용 송풍 유니트
KR20050104114A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KR20170091831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차량용 보조 독립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