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039B1 -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039B1
KR100379039B1 KR10-2000-0084838A KR20000084838A KR100379039B1 KR 100379039 B1 KR100379039 B1 KR 100379039B1 KR 20000084838 A KR20000084838 A KR 20000084838A KR 100379039 B1 KR100379039 B1 KR 10037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oor
cooling
heating
conditio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5641A (ko
Inventor
오만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0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송풍 모터를 상방향 직립으로 구성하고, 노이즈의 진원지인 송풍기를 엔진룸에 장착하며, 후드의 상단 중앙 위치에 설치하여 좌우대칭으로 구성하는 한편, 공기 흡입 루트를 단축시키는 송풍기 구조와 U자형 유로를 가져 통풍 저항을 줄이고,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RHD/LHD차량에 적용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 모터를 상방향 직립으로 구성하고, 노이즈의 진원지인 송풍기를 엔진룸에 장착하며, 후드의 상단 중앙 위치에 각각의 유닛을 설치하여 좌우대칭으로 구성하는 한편, 공기 흡입 루트를 단축시키는 송풍기 구조와, U자형 유로를 가져 통풍 저항을 줄이고,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RHD/LHD차량에 적용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은 블로어 팬(11), 히터 코어(21), 냉/난방 도어(23)로 구성되어 자동차의 실내 환경에 맞도록 벤트, 서리 제거, 냉방 및 난방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여러가지 기후나 주행 조건에서도 운전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동시에 유리창의 흐림과 서리 등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고,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 시트템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된 공기를 송출시키는 블로어 모터(10)와, 상기 블로어 모터(10)에서 배출된 공기를 증발시켜 차갑게 하는 증발기 코어(21)와, 난방시 공기를 뜨겁게 하여주는 히터 코어(22)와, 상기 증발기 코어(22) 및 히터 코어(21)에 의해 차가워지거나 뜨거워진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냉/난방 도어(23)와, 공기를 벤트 덕트(26) 와 풋 덕트(24) 및 디프로스터 덕트(25)로 흐르도록 개폐시키는 도어(27, 28)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풍량 유로가 길어 열효율이 떨어지며, 실내에 각각의 유닛을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상의 제약으로 증발기 전열 면적의 저하되어 에어컨 성능이 저하되는 한편, 각각의 유닛을 횡으로 배치함으로써, 조수석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사고시 승객의 안전에 위협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풍기가 실내에 설치되어져 모터 노이즈 및 풍량 노이즈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송풍 모터를 상방향 직립으로 구성하고, 노이즈의 진원지인 송풍기를 엔진룸에 장착하며, 후드의 상단 중앙 위치에 설치하여 좌우대칭으로 구성하는 한편, 공기 흡입 루트를 단축시키는 송풍기 구조와 U자형 유로를 가져 통풍 저항을 줄이고,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어 RHD/LHD차량에 적용가능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로어 모터 11 : 블로어 팬
12 : 내/외기 도어 13 : 드레인 호스
20 : 히터부 21 : 히터 코어
22 : 증발기 코어 23 : 냉/난방 도어
24 : 풋 덕트 25 : 디프로스트 덕트
26 : 벤트 덕트 27 : 풋 도어
28 : 벤트/디프로스트 도어 30 : 크래쉬 패드
이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를 송출시키는 블로어 모터(10)와; 상기 블로어 모터(10)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증발시켜 차갑게 하는 증발기 코어(22)와; 난방시공기를 뜨겁게 하여주는 히터 코어(21)와; 상기 증발기 코어(22) 및 히터 코어(21)에 의해 냉, 난방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도어로 이루어진 히터부(20)로 구성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0)는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 엔진룸에 장착되고, 수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블로어 모터(10)가 팬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블로어 모터(10)의 하부에 내/외기 도어(12)가 설치되는 한편, 공기의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13)가 엔진룸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U자형상의 유로를 가진 상기 히터부(20)가 크래쉬 패드(30)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히터부(20)는 중앙 집중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는 한편, 히터 코어(21)와 증발기 코어(22) 사이에 냉/난방 도어(23)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냉/난방 도어(23)는 냉/난방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부(20)의 냉/난방 공기는 풋 도어(27)를 가진 풋 덕트(24)와 벤트/디프로스트 도어(28)를 가진 밴트 덕트(26) 및 디프로스트 덕트(25)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외기 도어(12)와 벤트/디프로스트 도어(28)는 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블로어 모터를 나타낸다.
상기 블로어 모터(10)는 흡입된 공기를 송출시키는데 있어서,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외, 즉 엔진룸에 장착되며, 공기의 수분을 차단하기 위해 블로어 모터(10)가 블로어 팬(11)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블로어 모터(10)의 하부에는 내/외기 도어(12)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드레인 호스(13)가 설치되는바, 상기 드레인 호스(13)는 공기 흡입 덕트(미도시)를 지나 히터부(20)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해 엔진룸측에 설치되는데, 본 고안은 공기 흡입 덕트를 제거하고 대신에 드레인 호스(13)를 일체로 설치하여 공간을 축소시켰다.
또한, 냉/난방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도어로 이루어진 히터부(20)는 U자형상의 유로를 가지며, 히터 코어(21)와 증발기 코어(22)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냉/난방 도어(23)가 구비된 한편, 크래쉬 패드(30)의 하부에 설치된 중앙 집중형으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RHD/LHD 차량에 공용 적용 가능하며, 덕트 길이가 짧아지므로 흡입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U자형상을 갖는 유로는 통풍 저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냉/난방 도어(23)는 개폐량에 따라 상기 히터 코어(21)와 증발기 코어(22)로 흐르도록 제어되는바, 상기 증발기 코어(22)는 히터부(2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히터 코어(21)는 상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히터 코어(21)와 증발기 코어(22)를 지난 냉/난방 공기는 풋 덕트(24)와 디프로스트 덕트(25) 및 벤트 덕트(26)로 토출된다.
상기 풋 덕트(24)의 전면부에는 풋 도어(27)가 설치되고, 외부 덕트를 이용하여 풋 덕트(24)로 풍량을 유도한다.
특히, 벤트/디프로스트 도어(28)는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노이즈의 진원지인 송풍기를 공기 흡입 덕트와 결합하여 엔진룸에 장착하므로 노이즈의 실내 유입을 차단하고, 좌/우 대칭으로 구성하여 RHD/LHD 차량에 공용 적용 가능하며, 덕트 길이가 짧아지므로 흡입 효율이 향상되는 한편, 하부의 공기를 상부로 흡입하므로 물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유로가 U자형으로 구성되어 통풍저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풍량 배분이 균일하여 좌/우 풍량 제어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흡입된 공기를 송출시키는 블로어 모터(10)와; 상기 블로어 모터(10)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증발시켜 차갑게 하는 증발기 코어(22)와; 난방시 공기를 뜨겁게 하여주는 히터 코어(21)와; 상기 증발기 코어(22) 및 히터 코어(21)에 의해 냉, 난방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도어로 이루어진 히터부(20)로 구성된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 모터(10)는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해 엔진룸에 장착되고, 수분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블로어 모터(10)가 팬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블로어 모터(10)의 하부에 내/외기 도어(12)가 설치되는 한편, 공기의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13)가 엔진룸측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U자형상의 유로를 가진 상기 히터부(20)가 크래쉬 패드(30)의 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20)는 중앙 집중형으로 형성되고, 좌/우 대칭형으로 구성되는 한편, 히터 코어(21)와 증발기 코어(22) 사이에 냉/난방 도어(23)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냉/난방 도어(23)는 냉/난방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20)의 냉/난방 공기는 풋 도어(27)를 가진 풋 덕트(24)와 벤트/디프로스트 도어(28)를 가진 밴트 덕트(26) 및 디프로스트 덕트(25)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기 도어(12)와 벤트/디프로스트 도어(28)는 필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000-0084838A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037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38A KR100379039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838A KR100379039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641A KR20020055641A (ko) 2002-07-10
KR100379039B1 true KR100379039B1 (ko) 2003-04-08

Family

ID=2768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838A KR100379039B1 (ko) 2000-12-29 2000-12-29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0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77B1 (ko) * 2002-10-19 2009-09-1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641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683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9905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334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US6796894B1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745078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116671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9090867A (ja) 車両用掃気システム
KR1015781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28057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15589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49402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7057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82851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의 냉각수 유입/배출 파이프 고정구조
KR20070048828A (ko) 차량용 리어 공기조화장치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442465Y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벤트 도어
KR20010065954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03341351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0422779B1 (ko) 자동차용 히터 유닛의 일체형 도어 구조
KR10082130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55061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트 덕트 구조
KR100461194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141333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글라스 성에 제거장치
KR20220154342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