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337B1 -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337B1
KR102622337B1 KR1020160084808A KR20160084808A KR102622337B1 KR 102622337 B1 KR102622337 B1 KR 102622337B1 KR 1020160084808 A KR1020160084808 A KR 1020160084808A KR 20160084808 A KR20160084808 A KR 20160084808A KR 102622337 B1 KR102622337 B1 KR 10262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se
pipe
fixing pip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5301A (ko
Inventor
정준식
김호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160084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3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0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를 결합하는 구조로써, 차량의 공조장치 하부에 배치되고, 외주면 중 일부의 둘레를 따라 제1 록킹 돌기가 돌출되는 드레인관; 일단을 통해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되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일단의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 삽입 방향의 상기 홀 내주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록킹 돌기와 걸리어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록킹 돌기와, 상기 호스 고정관의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고정하는 제3 록킹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에 외부에서 회전력이 인가될 때,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Drain hose connecting structure in vehic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관에 드레인 호스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냉방장치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로 유입되어 냉각팬의 강제송풍에 의해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응축된 다음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차례로 거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블로워 유니트의 블로워 팬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 상태로 유입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및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방 및 냉방을 수행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된다. 차량 공조장치는 냉매가 통과되는 증발기를 통해 냉방을 실시하고, 냉각수가 지나는 히터코어를 이용하여 실내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공조 장치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 외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므로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 외부를 흐르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증발기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된다. 이 응축수는 소정의 호스를 통해 외부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이때, 차량 엔진의 동작과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이 호스로 인가되므로, 호스는 소정의 고정 구조에 의해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응축수가 예정된 경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차량 공조 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호스의 결합 구조가 등록실용신안 20-043171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을 살펴보면, 차량 공조장치 케이스에는 외면에 록킹 돌기가 형성된 드레인 관부가 형성되어 있고, 록킹 돌기가 걸리어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 관부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상기한 기술은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드레인 관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록킹 돌기가 걸림부에 걸리면서, 드레인 호스가 고정된다.
그러나,외력에 의해 드레인 호스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드레인 호스는 록킹 돌기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호스의 꼬임이 발생한다. 호스의 꼬임에 의해 드레인 호스 내부의 유로가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고, 이에 따라 응축수가 배출되지 못하고 적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드레인 관부는 공조장치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드레인 호스를 연결하는 작업 수행 시 작업자는 작업 자세를 낮추어야 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에 외부에서 회전력이 인가될 때,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관의 단부가 호스 고정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드레인 호스의 내주에 접하지 않게 되어, 드레인 호스가 회전할 때 드레인관의 단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의 공조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를 결합하는 구조로써, 차량의 공조장치 하부에 배치되고, 외주면 중 일부의 둘레를 따라 제1 록킹 돌기가 돌출되는 드레인관; 일단을 통해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고정관을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되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일단의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 삽입 방향의 상기 홀 내주에 복수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록킹 돌기와 걸리어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록킹 돌기와, 상기 호스 고정관의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고정하는 제3 록킹 돌기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호스 고정관은,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되는 일단의 내경은 상기 드레인관의 외경에 대응하고, 타단의 외경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경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호스 고정관의 외주 중간으로는 상기 드레인 호스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타단은 외주 둘레를 따라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호스 고정관의 결합 시, 상기 드레인관의 단부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단부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호스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록킹 돌기는, 상기 상단부에서 하부로 상기 드레인관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록킹 돌기는, 상기 홀의 내주에서 상기 호스 고정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록킹 돌기는, 상기 드레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록킹 돌기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에 외부에서 회전력이 인가될 때,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드레인관의 단부가 호스 고정관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드레인 호스의 내주에 접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호스 고정관이 회전이 이루어져 드레인 관의 단부에 의해 드레인 호스의 내주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 고정관의 내경은 드레인관 상에 돌출된 제1 록킹 돌기의 높이를 커버할 수 있어, 호스 고정관의 변형 없이 호스 고정관에 드레인관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사용하는 차랑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과 드레인 호스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레인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본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레인관과 호스 고정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스 고정관과 드레인 호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를 사용하는 차랑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과 드레인 호스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공조장치(1)의 하부에는 드레인관(100)이 배치되고, 드레인관(100)에는 호스 고정관(300)이 개재되어 드레인 호스(200)가 연결됨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은 드레인관(100)의 내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레인 호스(200)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큰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레인관(100)과 드레인 호스(200) 사이에는 호스 고정관(300)이 개재되어 있어서, 호스 고정관(300)과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200)는 외부에서 소정의 회전력이 인가되면, 호스 고정관(3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호스 고정관(300)은 그 단부가 드레인 호스(200)로 삽입되므로, 드레인관(100)의 외경과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은 서로 대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드레인관(100)은 차량 공조장치에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레인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레인관(100)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드레인관(100)의 중간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호스 고정관(300)으로의 삽입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관(100)의 내경은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응축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이때, 드레인관(100)의 내경이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보다 큰 경우, 드레인 호스(200)의 고정력은 향상될 수 있으나, 드레인관(100)에서 드레인 호스(200)로의 응축수 흐름에 저항력이 발생될 수 있다. 드레인관(100)의 내경이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보다 작은 경우, 드레인 호스(200)의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관(100)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드레인관(100)의 단부가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으로 노출되는 경우, 드레인 호스(200)의 내주가 드레인관(100)의 단부 모서리 부위와 접촉하며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관(100)이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었을 때, 드레인관(100)의 단부가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드레인 호스(200) 측으로 삽입되는 호스 고정관(300)의 단부 내측으로 드레인관(100)의 단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드레인관(100)의 외주면 중 일부의 둘레를 따라 제1 록킹 돌기(110)가 돌출된다.
제1 록킹 돌기(110)는 드레인관(100)의 소정의 폭과 높이로 형성되고, 상단부에서 하부로 드레인관(100)의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록킹 돌기 (110)의 경사진면의 후면은 수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록킹 돌기(110)는 그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참조하면, 호스 고정관(300)은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써, 일단을 통해 내측으로 드레인관(100)이 삽입되고, 타단은 드레인 호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 즉, 드레인관(100)이 삽입되는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은 타단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은 그 내경이, 드레인관(100)의 외경에 대응하고,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은 그 외경이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에 대응한다. 그리고, 호스 고정관(300)의 외주면 중간부에는 걸림턱(340)이 돌출된다.
따라서,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이 드레인 호스(200)로 삽입될 때, 드레인 호스(200) 내로 호스 고정관(300)이 삽입될 때, 호스 고정관(300)의 삽입은 걸림턱(340)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은 그 외주 둘레를 따라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드레인 호스(200)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부 즉, 드레인관(100)이 삽입되는 일단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직경을 갖는 홀(31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드레인관(100)이 삽입되는 방향의 홀(310)의 내주에는 제1 록킹 돌기(110)에 걸리는 제2 록킹 돌기(320)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4의 A 방향에서 본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본 호스 고정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2 록킹 돌기(320)는 홀(310)의 내주에서 호스 고정관(30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포함한다. 돌출편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돌출편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고 소정의 탄성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써, 드레인관(100)의 삽입시, 돌출편의 단부는 제1 록킹 돌기(1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 후, 제1 록킹 돌기(110) 경사면의 후면에 걸리어 드레인관(100)의 삽입 상태를 유지한다.
도면에 의하면 돌출편의 개수는 8개이지만, 그 개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돌출편의 경사정도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록킹 돌기(330)는 호스 고정관(30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된다. 제3 록킹 돌기(330)는 호스 고정관(30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된다.
도면에서, 제3 록킹 돌기(330)는 90도의 이격거리를 두고 4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개수와 이격거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록킹 돌기(330)는 상기 드레인관(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단면 형태가 직각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드레인관과 호스 고정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드레인관(100)은 호스 고정관(300)의 일단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다.
드레인관(100)이 삽입되면, 제2 록킹 돌기(320)의 단부는 제1 록킹 돌기(110)의 경사면에 접한다. 드레인관(100)의 계속적인 삽입에 의해 제2 록킹 돌기(320)의 단부는 제1 록킹 돌기(110)의 경사면을 지난 후, 제1 록킹 돌기(110)의 후면에 접하게 된다.
제2 록킹 돌기(320)가 제1 록킹 돌기(110)의 후면에 접하게 되면, 별도의 외력에 의해 제2 록킹 돌기(320)를 젖히지 않는 범위에서, 호스 고정관(300)은 드레인관(10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호스 고정관(300)은 드레인관(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드레인관(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레인관(100)과 호스 고정관(300)이 서로 연결되면, 호스 고정관(300)이 드레인 호스(20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스 고정관과 드레인 호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레인 호스(200)의 단부 내측을 통해 호스 고정관(300)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호스 고정관(300)이 드레인 호스(20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록킹 돌기(330)는 드레인 호스(200)의 내주면에 걸리어 호스 고정관(300)에서 드레인 호스(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드레인 호스(200)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호스 고정관(3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삽입 후에는 드레인 호스(200)의 신축력에 의해 드레인 호스(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드레인관(100)과 드레인 호스(200)의 내경이 서로 동일하므로, 드레인관(100)을 통해 드레인 호스(200)로 응축수가 배출될 때, 응축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관에 연결되는 드레인 호스에 외부에서 회전력이 인가될 때, 드레인 호스가 드레인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조장치
100: 드레인관 110: 제1 록킹 돌기
200: 드레인 호스 300: 호스 고정관
320: 제2 록킹 돌기 330: 제3 록킹 돌기

Claims (11)

  1. 차량의 공조장치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를 결합하는 구조로서,
    차량의 공조장치 하부에 배치되고, 외주면 중 일부의 둘레를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하며 사면이 단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이루는 제1 록킹 돌기가 돌출되는 드레인관;
    일단을 통해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고정관;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되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일단의 둘레를 따라 홀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 삽입 방향의 상기 홀 내주에 복수로 돌출되되, 상기 호스 고정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일단 내측으로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 연결되면, 상기 돌출편의 단부가 상기 제1 록킹 돌기의 후면에 걸리며 상기 호스 고정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록킹 돌기; 및
    상기 호스 고정관의 외주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돌출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를 고정하는 제3 록킹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 고정관은,
    상기 드레인관이 삽입되는 일단의 내경은 상기 드레인관의 직경과 상기 제1 록킹돌기의 높이의 합에 대응하고,
    상기 호스 고정관으로 삽입된 상기 드레인관의 단부는 상기 호스 고정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주와 이격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고정관의 외주 중간으로는 상기 드레인 호스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돌출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호스 고정관의 타단은 외주 둘레를 따라 라운딩 처리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 호스의 내경은 동일한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호스는,
    고무를 포함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록킹 돌기는,
    상기 드레인관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록킹 돌기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KR1020160084808A 2016-07-05 2016-07-05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KR10262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08A KR10262233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08A KR10262233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01A KR20180005301A (ko) 2018-01-16
KR102622337B1 true KR102622337B1 (ko) 2024-01-10

Family

ID=6106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08A KR102622337B1 (ko) 2016-07-05 2016-07-05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34383A (zh) * 2018-08-20 2019-02-15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主机冷凝水排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937A (ja) * 2002-12-27 2004-07-29 Totaku Industries Inc ドレンホース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227U (ko) * 1989-06-08 1991-01-22
KR100356204B1 (ko) * 2000-06-14 2002-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 흡입덕트의 드레인 호스 장착구조
KR20090012970U (ko) * 2008-06-16 2009-12-24 주식회사 에어-텍 냉매회수 재생 충전기용 꼬임방지호스
KR101733472B1 (ko) * 2011-02-16 2017-05-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드레인호스
KR101666562B1 (ko) * 2013-08-19 2016-10-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52983B1 (ko) * 2014-01-20 2018-06-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52981B1 (ko) * 2014-01-20 2018-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52976B1 (ko) * 2014-01-20 2018-04-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1937A (ja) * 2002-12-27 2004-07-29 Totaku Industries Inc ドレンホ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5301A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3755A9 (en) Indoor device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EP3026168B1 (en) Clothes drying device
US10871172B2 (en) Fan guard assembly and outdoor unit having the same
US20080035317A1 (en) Air conditioner
US11118809B2 (en) Drain hos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0415838B2 (en) Portable air conditioner
US9903600B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9291360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622337B1 (ko) 차량 공조장치의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US20080087035A1 (en) Condensed water drain structure
KR1017036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KR20140033600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의 배관연결부재
US20180202704A1 (en) Condensate drain pan port
KR101172636B1 (ko) 차량 공조장치의 응축수 드레인 구조
CN106016544B (zh) 支撑防护件及空调一体机
US20210003293A1 (en) Compressor cover,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1326807B2 (en) Condensate receptor for vertical mounted v-coil heat exchanger
US20220355643A1 (en) Piping system for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vehicle
KR1023781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56544B1 (ko) 1방향 팬코일 유니트
KR1013499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90526B1 (ko)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JP3161616U (ja) 排水用受け筒
KR1026339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6557633U (zh) 空调底座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