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526B1 -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526B1
KR102190526B1 KR1020140111245A KR20140111245A KR102190526B1 KR 102190526 B1 KR102190526 B1 KR 102190526B1 KR 1020140111245 A KR1020140111245 A KR 1020140111245A KR 20140111245 A KR20140111245 A KR 20140111245A KR 102190526 B1 KR102190526 B1 KR 10219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surface
air vent
vent cover
vehicle
fix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484A (ko
Inventor
최익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526B1/ko
Publication of KR2016002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벤트 커버의 고정후크와, 고정후크를 삽입하는 크래쉬패드의 결합부에 방향성을 가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결합된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Air vent cover mounting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을 받아도 크래쉬패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조장치는(HVAC: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차량의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한 다음에 급격히 팽창후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시에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원리를 이용해서 외부의 공기를 증발기 표면에 송풍을 하여 열 교환된 찬바람을 얻는다.
공조장치에 의해 냉방된 공기는 에어벤트를 통해서 차량내부로 공급된다.
에어벤트는 공조장치의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는 덕트를 구비하고, 덕트의 토출구에 공기를 상하좌우로 조절하는 윙부재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벤트 커버가 위치한다.
에어벤트 커버는 일면에 고정후크가 성형되어 있고, 크래쉬패드의 메인 판넬에 상기 고정후크가 삽입되어 조립되는 조립홀이 형성되어,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에 고정후크와 조립홀을 매개로 조립되어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에서는, 크래쉬패드에 충격이 가해졌을 시, 크래쉬패드가 충격방향으로 변형을 일으켜, 이 변형에 의해 에어벤트 커버의 고정후크가 내측으로 눌려지고, 이에 따라 고정후크가 크래쉬패드의 조립홀로부터 분리되어 에어벤트 커버가 차실 내부로 돌출 또는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08-0101982 호 (2008.11.24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등에 의해 탑승자의 신체가 크래쉬패드에 부딪쳐서 크래쉬패드에 충격이 가해져도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는, 좌우 대칭되게 걸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걸림부 내측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고정후크가 일면에 성형된 에어벤트 커버; 및 상기 고정후크가 고정되고,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크래쉬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쉬패드의 내측에 연결되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덕트; 상기 에어벤트 커버의 내측에 연결되는 윙부재; 및 상기 윙부재를 조절하는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의 레그는,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벌려지고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각각 접촉하는 면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크래쉬패드에 충격이 발생하여 변형되면,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크래쉬패드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이고 관통하는 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상기 테두리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에 의하면, 에어벤트 커버의 고정후크와, 이 고정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크래쉬패드의 결합부에 방향성을 가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 등으로 인해 탑승자의 신체가 크래쉬패드에 부딪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에어벤트 커버의 고정후크가 크래쉬패드의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여,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로부터 돌출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에어벤트 커버의 차실 내부로의 돌출이나 이탈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에어벤트 커버의 후크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의 크래쉬패드의 결합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크래쉬패드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에어벤트 커버가 회전 거동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는, 좌우 대칭되게 걸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12a), 상기 레그(12a)의 걸림부 내측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고정후크(12)가 일면에 성형된 에어벤트 커버(10); 및, 상기 고정후크(12)가 삽입되어 결합되고, 고정후크(12)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22)를 구비한 크래쉬패드(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래쉬패드(20)의 내측에 연결되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덕트; 상기 에어벤트 커버(10)의 내측에 연결되는 윙부재; 및, 상기 윙부재를 조절하는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가 에어컨에서 냉각되거나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관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덕트의 토출구에서 공기가 배출될 때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상기 윙부재 및 상기 노브가 연결된 에어벤트 커버(10)가 크래쉬패드(2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윙부재는 가로세로방향으로 각각 다수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에어벤트 커버(10) 내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윙부재 중에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윙부재 중에 중심부에 위치한 윙부재에 설치된 상기 노브를 상하좌우로 조절하여 토출되는 바람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결합부(22)는 중앙의 관통하는 조립홀(22c)과, 이 조립홀(22c)을 둘러싸는 테두리(22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테두리(22d)와 조립홀(22c)의 형상은 타원형,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는 크래쉬패드(20)에 형성되며, 에어벤트 커버(10)를 조립시 에어벤트 커버(10)의 고정후크(12)가 조립홀(22c)을 관통하여, 고정후크(12)의 레그(12a)에 형성된 제 1 경사면(12b)과 제 2 경사면(12c)이 테두리(22d)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22b)에 접촉하고 고정될 수 있다.
평면상 조립홀(22c)의 길이가 고정후크(12)의 레그(12a)의 양측 끝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고, 조립홀(22c)의 폭은 고정후크(12)의 두께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단, 상기 조립홀(22c)의 폭은 길이보다 클 수 없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소정의 크기는 고정후크(12)를 조립홀(22c)에 삽입시 발생하는 공차 범위 정도가 적당하다.
테두리(22d)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래쉬패드(20)의 일면에서 소정의 크기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22d)의 상면에 제 1 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22b)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고정후크(12)를 구비한 한 쌍의 레그(12a)의 형상은, 제 1 경사면(12b)과 제 2 경사면(12c)에서 각각의 레그(12a)의 끝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정후크(12)를 조립홀(22c)에 삽입 조립시, 삽입은 용이하되 삽입된 고정후크(12)가 외부요인에 의해서 자동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고정후크(12)의 레그(12a)는,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벌려지고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후크(12)의 레그(12a)가 좌우 대칭되게 벌려져, 조립홀(22c)에 삽입하여 조립할 때, 좌우 대칭되게 벌려진 고정후크(12)의 레그(12a)가 모아지고, 조립홀(22c)을 관통하고 난 후 내측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좌우 대칭되게 벌려지게 된다. 그래서, 테두리(22d)에 고정후크(12)의 레그(12a)의 걸림부가 걸리게 된다.
상기 고정후크(12)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22)의 경사면은, 각각 접촉하는 면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고정후크(12)의 제 1 경사면(12b)과 결합부(22)의 제 1 경사면(22a)이 접촉하고, 고정후크(12)의 제 2 경사면(12c)과 결합부(22)의 제 2 경사면(22b)이 접촉할 수 있다.
도 4, 5를 참조하면, 고정후크(12)가 조립홀(22c)에 삽입되어 조립되면 고정후크(12)에 형성된 제 1 경사면(12b) 및 제 2 경사면(12c)과 테두리(22d)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2a) 및 제 2 경사면(22b)이 접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면과 면이 접촉함으로써 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후크(12)와 결합부(22)의 결속력을 더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12)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22)의 경사면은, 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고정후크(12)를 조립홀(22c)에 삽입 조립시, 테두리(22d)의 제 1 경사면(22a) 및 제 2 경사면(22b)과 접촉하는 고정후크(12)의 제 1 경사면(12b) 및 제 2 경사면(12c)은 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 테두리(22d)의 제 1 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22b) 또한 동일한 방향성을 가진다.
고정후크(12)의 제 1 경사면(12b)과 제 2 경사면(12c) 및 테두리(22d)의 제 1 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22b)은 시계가 회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고정후크(12)와 테두리(22d)에 형성되는 경사면의 방향은 시계방향뿐만 아니라 반시계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면은 고정후크(12)와 결합부(22) 사이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라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예시된 방향성 외에 다른 것으로도 치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후크(12)는, 상기 크래쉬패드(20)에 충격이 발생하여 변형되면, 상기 고정후크(12)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22)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결합부(22)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벤트 커버의 고정후크는 크래쉬패드의 변형에 의해 한 쌍의 레그로 형성된 고정후크가 서로 모이게 되어 결합부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 에어벤트 커버가 크래쉬패드에서 돌출되거나 이탈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고정후크(12)와 결합부(22)에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크래쉬패드(20)에 충격이 작용했을 때, 고정후크(12)의 레그(12a)가 서로 모이지 않고, 경사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에어벤트 커버(10)의 이탈이나 돌출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크래쉬패드(20)에 충격이 작용시, 고정후크(12)의 제 1 경사면(12b)과 제 2 경사면(12c)이 접촉한 결합부(22)의 제 1 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22b)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발생하여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후크(12)의 레그(12a)가 결합부(22)의 내측으로 모여들지 않고, 고정후크(12)가 결합부(22)사이에서 회전을 하여 결합부(22)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고정후크(12)의 레그(12a)가 폭 방향으로 걸리게 되기 때문에, 고정후크(12)가 결합부(22)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차량이 주행하면서 진동이나 충격이 에어벤트 커버(10) 및 크래쉬패드(20)에 가하여지더라도 고정후크(12)의 레그(12a)의 걸림부가 내측으로 모이지 않고 양측으로 벌려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에어벤트 커버(10)가 크래쉬패드(20)에서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는 결합부(22)와 고정후크(12)를 한 개만 표시하였지만, 복수의 결합부(22)와 고정후크(12)가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나머지 결합부(22)와 고정후크(12)의 결합방식은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에어벤트 커버 12: 고정후크
12a: 레그 12b: 고정후크의 제 1 경사면
12c: 고정후크의 제 2 경사면 20: 크래쉬패드
22: 결합부 22a: 결합부의 제 1 경사면
22b: 결합부의 제 2 경사면 22c: 조립홀
22d: 테두리

Claims (8)

  1. 좌우 대칭되게 걸림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레그와 상기 레그의 걸림부 내측부에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한 고정후크가 일면에 성형된 에어벤트 커버; 및
    상기 고정후크가 고정되고,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결합부를 구비한 크래쉬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시계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쉬패드의 내측에 연결되며,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차량 내부로 토출되는 덕트;
    상기 에어벤트 커버의 내측에 연결되는 윙부재; 및
    상기 윙부재를 조절하는 노브;
    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의 레그는,
    기하학적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벌려지고 내측으로 탄성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각각 접촉하는 면과 동일한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후크는,
    상기 크래쉬패드에 충격이 발생하여 변형되면, 상기 고정후크의 경사면과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결합부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크래쉬패드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테두리; 및
    상기 테두리에 의해 둘러싸이고 관통하는 조립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경사면은 상기 테두리의 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KR1020140111245A 2014-08-26 2014-08-26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KR10219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45A KR102190526B1 (ko) 2014-08-26 2014-08-26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245A KR102190526B1 (ko) 2014-08-26 2014-08-26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84A KR20160024484A (ko) 2016-03-07
KR102190526B1 true KR102190526B1 (ko) 2020-12-14

Family

ID=5553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45A KR102190526B1 (ko) 2014-08-26 2014-08-26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803B1 (ko) 2017-09-25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림형 에어벤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8964A (ja) * 2002-02-27 2003-09-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機器および携帯端末機器用コネクタカバー
JP3454730B2 (ja) 1998-10-20 2003-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組立部品のロッ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732B1 (ko) * 2005-11-09 2007-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벤트의 댐퍼도어 축 결합구조
KR20080101982A (ko) 2007-05-17 2008-11-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KR101555998B1 (ko) * 2009-10-07 2015-09-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벤트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4730B2 (ja) 1998-10-20 2003-10-06 矢崎総業株式会社 組立部品のロック構造
JP2003258964A (ja) * 2002-02-27 2003-09-12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機器および携帯端末機器用コネクタ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484A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99472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having wind visors
KR20150004471A (ko) 바람 가리개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조화기
JP61125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CN107355874B (zh) 空调器和导风结构
US10639969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2623876B1 (en) Air conditioner
KR102190526B1 (ko)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CN106678994A (zh) 厨房用空调器
EP3385633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0443902B2 (en) Outdoor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CN106594882B (zh) 空调柜机
KR101442387B1 (ko) 모터 마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모터 마운트의 제조방법
KR10240127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08765108U (zh) 空调室外机
US20170108230A1 (en) Heat exchange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CN209032197U (zh) 电控盒及洗碗机
JP5706257B2 (ja) ミックスドア構造
CN105757939B (zh) 风道组件及空调柜机
CN109119265A (zh) 可拆卸电器电保护结构及气体处理设备
JP6427031B2 (ja) 空気調和機
CN214370612U (zh) 一种暖通空调用散热结构
CN209167743U (zh) 一种散热后壳以及显示设备
KR20130086896A (ko) 에어컨용 윈드웨이
CN211716686U (zh) 空调器
KR200443748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덕트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