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994B1 -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994B1
KR101730994B1 KR1020150047169A KR20150047169A KR101730994B1 KR 101730994 B1 KR101730994 B1 KR 101730994B1 KR 1020150047169 A KR1020150047169 A KR 1020150047169A KR 20150047169 A KR20150047169 A KR 20150047169A KR 101730994 B1 KR101730994 B1 KR 10173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metal conductor
layer
adhesive resi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664A (ko
Inventor
다카야 사카모토
히데카즈 가토
히데타카 사토
구니아키 스즈키
요시나오 다니구치
마사카즈 가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0Adjustable resistors
    • H01C10/30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 H01C10/32Adjustable resistors the contact sliding along resistive element the contact moving in an arcuat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00Details
    • H01C1/14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specially adapted for resistors; Arrangements of terminals or tapping points or electrodes on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금형(20)의 내부에서, 금속 도체의 판부(11)가 지지 돌출체(21)로 지지된 상태로, 용융 수지가 사출되어 기체(3)의 바닥벽부(3a)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성형 후에는 바닥벽부(3a)에 개구부(3d)가 형성된다. 개구부(3d)의 주위에는,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지층(30)이 개재되고, 접착 수지층(32)이 바닥벽부(3a)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어 있다. 개구부(3d, 3e)의 주위에 연결 수지층(30)이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개구부(3d, 3e)의 주위 부분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하우징 등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기체(基體)에 금속 도체가 인서트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전자 부품의 하우징이나 케이스에는, 금속 도체가 매설된 합성 수지제의 기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이 종류의 기체는 소위 인서트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자 부품에서는, 금속 단자가 인서트 성형으로 매설된 덮개체와, 하우징으로 수납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체를 제조하는 인서트 성형 공정에서는, 단자가 금형 내에서 누름 핀으로 눌러진 상태로, 금형 내에 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수지압에 의해 금형 내에서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 성형 공정에서는, 성형 후의 덮개체에, 상기 누름 핀의 형상에 대응한 핀 구멍이 형성된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10-55906호 공보
금속판재로 형성된 단자는, 표면에 도금이 실시되고 그 표면에 방부 처리 등이 실시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 때문에,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금속 단자의 표면과 덮개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밀착성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아, 덮개체와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수납실의 기밀성을 유지하는데에 한계가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덮개체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단자까지 통과하는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핀 구멍의 주위 부분에 있어서 금속 단자와 덮개체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핀 구멍의 주위의 시일성이 손상되기 쉬워져, 핀 구멍의 주위로부터 수납실에 액체가 침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소위 인서트 성형 공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의 주위에 있어서, 금속 도체와 기체 사이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합성 수지제의 기체의 내부에 금속 도체가 매설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는, 상기 금속 도체의 표면까지 도달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도체의 표면에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전체 둘레 영역에, 단층 또는 복층의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이 상기 기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성(相溶性)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개구부의 주위의 전체 둘레 영역에 있어서, 금속 도체와 기체의 사이가 연결 수지층으로 메워지기 때문에, 개구부의 주위에서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어, 기체로 형성되는 하우징의 내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체는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상기 금속 도체를 금형 내에 지지하는 지지 돌출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과, 상기 기체를 형성하는 상기 합성 수지가, 동일한 계의 주성분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주성분은 폴리아미드 수지이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계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연결 수지층과 기체의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은, 상기 기체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기체가 성형될 때의 냉각 공정 등에 있어서 기체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가 수축되었을 때에도, 연결 수지층이 이 변형에 추종할 수 있어, 연결 수지층과 기체의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전자 부품은, 상기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도체의 표면은 활성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활성화 처리에 의해, 금속 도체와 연결 수지층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금속 도체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지층이 상기 금속판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전역(全域)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개구부의 위치가 공차(公差)에 의해 어긋났다고 해도, 개구부의 주위의 전체 둘레에 연결 수지층을 배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인서트 성형으로 기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에 있어서, 개구부의 주위 전체 둘레에서, 금속 도체와 기체의 사이에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주위 전체 둘레에서 시일성을 높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기체로 하우징을 형성했을 때에 하우징 내의 밀폐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전자 부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전자 부품을 Ⅱ-Ⅱ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접착 수지층의 열처리 시의 성질을 나타내는 선도(線圖)이다.
도 8은 금속 도체와 기체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단면 사진이다.
도 1의 (a), (b)와 도 2에 나타내는 전자 부품(1)은, 하우징(2)을 갖고 있다. 하우징(2)은 기체(3)와 덮개체(4)로 구성되어 있다. 덮개체(4)는 휨 변형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3)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바닥벽부(3a)와 4개의 측벽부(3b)를 갖고 있다. 기체(3)는 측벽부(3b)의 상단(上端)으로 둘러싸인 개구부를 갖고 있고, 이 개구부가 덮개체(4)로 폐쇄되어, 하우징(2)의 내부에 밀폐 공간인 수납 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미소한 구조이고, 정육면체나 직육면체이며, 1변의 최대값이 5㎜ 이하, 나아가서는 2㎜ 이하로 형성된다.
하우징(2)의 수납 공간(5)의 내부에 검지 소자(6)가 수납되어 있다. 검지 소자(6)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소자이고, 실리콘 기판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검지 소자(6)는 힘 센서이고, 외부의 압력으로 변형부가 휘며, 그 휨량이 전하의 변화에 의해 검출되는 것이다. 덮개체(4)가 가요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압력에 따라 덮개체(4)가 변형되고, 그때의 수납 공간(5)의 내부 압력의 변화가 검지 소자(6)로 검지된다. 따라서, 수납 공간(5)은 외부 공기로부터 차단된 기밀 공간인 것이 필요하다.
도 1의 (a), (b)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의 바닥벽부(3a)의 내부에 4장의 금속 도체(10)가 소위 인서트 성형법에 의해 매설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금속 도체(10)는, 제 1 판부(11)와 제 2 판부(12)를 갖고 있다. 제 1 판부(11)는, 바닥벽부(3a)의 바닥면(3c)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제 2 판부(12)는, 제 1 판부(11)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며, 바닥면(3c)과 수직하게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판부(11)와 제 2 판부(12)의 경계가 굴곡부(15)이다. 금속 도체(10)에는, 제 1 판부(11)에 연속하는 외부 단자부(14)와, 제 2 판부(12)에 연속하는 내부 단자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 단자부(13)는 제 2 판부(12)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바닥면(3c)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금속 도체(10)는, 제 1 판부(11)와 제 2 판부(12)가, 기체(3)의 바닥벽부(3a)의 내부에 매설되어 있다. 외부 단자부(14)는, 기체(3)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부 단자부(13)는, 그 상측 표면(13b)이 수납 공간(5) 내에 노출된 상태로 그 이외의 부분이 바닥벽부(3a)에 매설되어 있다. 수납 공간(5)의 내부에서는, 4장의 금속 도체(10)의 내부 단자부(13)의 상측 표면(13b)이 노출되어 있다. 검지 소자(6)에는 4개소에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전극과 각각의 내부 단자부(13)가 일대일의 관계로 땜납 필렛(fillet)(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의 바닥벽부(3a)에서는, 바닥면(3c)으로부터 제 1 판부(11)의 하측 표면(11a)에 걸쳐 제 1 개구부(3d)가 개구되어 있고, 바닥면(3c)으로부터 내부 단자부(13)의 하측 표면(13a)에 걸쳐 제 2 개구부(3e)가 개구되어 있다.
기체(3)를 제조하는 인서트 형성 공정에서는, 도 5와 도 6에 일부가 나타내어져 있는 금형(20)의 내부에 금속 도체(10)가 설치된다. 이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부(11)가 금형(20) 내에 설치된 지지 돌출체(21)로 지지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부(13)가 지지 돌출체(22)로 지지된 상태로, 금형(20)의 내부에 용융 수지가 사출된다. 금속 도체(10)가, 지지 돌출체(21, 22)로 지지됨으로써, 금형(20)의 캐비티(cavity) 내에서 금속 도체(10)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여, 기체(3)의 사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금형(20) 내에 사출된 용융 수지가 냉각되어 고체화하면, 지지 돌출체(21, 22)가 금형(20) 내에서 후퇴하여 바닥벽부(3a)로부터 발출(拔出)되고, 또한 금형(20)이 분리되어 성형 후의 기체(3)가 취출된다. 기체(3)는, 지지 돌출체(21)가 발출된 장소에 제 1 개구부(3d)가 형성되고, 지지 돌출체(22)가 발출된 장소에 제 2 개구부(3e)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도체(10)는, 장소에 따라 표면 처리의 조건이 상이하다. 그 조건의 차이에 따라, 금속 도체(10)를 구간 (ⅰ), (ⅱ), (ⅲ), (ⅳ)로 나눌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구간 (ⅰ)에서는, 제 1 판부(11)의 하측 표면(11a) 및 제 2 판부(12)의 좌측 표면(12a)과, 내부 단자부(13)의 하측 표면(13a)에 동일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6은, 도 3의 Ⅳ부, Ⅴ부, Ⅵ부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구간 (ⅰ)에서는, 제 1 판부(11)의 하측 표면(11a) 및 제 2 판부(12)의 좌측 표면(12a)과, 내부 단자부(13)의 하측 표면(13a)에, 연결 수지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수지층(30)은, 상기 표면(11a, 12a, 13a)에 밀착되어 형성되는 절연 수지층(31)과, 상기 절연 수지층(31) 상에 적층된 접착 수지층(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착 수지층(32)이, 연결 수지층(30)의 표면층이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간 (ⅱ)에서는, 제 1 판부(11)의 상측 표면(11b)과, 제 2 판부(12)의 우측 표면(12b)에 접착 수지층(32)만이 형성된다.
구간 (ⅰ)에 있어서는, 금속 도체(10)의 표면(11a, 12a, 13a)과, 연결 수지층(30)의 하층이 되는 상기 절연 수지층(31)의 밀착성을 높일 필요가 있고, 구간 (ⅱ)에서는, 금속 도체(10)의 표면(11b, 12b)과 상기 접착 수지층(32)의 밀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구간 (ⅰ)에 있어서의 표면(11a, 12a, 13a)과, 구간 (ⅱ)에 있어서의 표면(11b, 12b)에 대하여, 상기 수지층(31, 32)을 형성하기 전의 공정에서 활성화 처리가 실시된다.
실시형태에서의 금속 도체(10)는 인청동판의 양쪽 표면에 은 도금이 실시되어 있고, 또한 은 도금의 표면에, 불소계의 황화 방지제나 방청제 등의 각종 보호제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활성화 처리로서는, 금속 도체(10)를 형성하는 금속판재의 표면에 진공 자외광이 조사된다. 진공 자외광의 광원으로서는, 크세논 가스를 봉입한 엑시머 UV 램프(파장 172㎚)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진공 자외광은 대기 중에서의 감쇠가 크기 때문에, 금속 도체(10)와 램프의 거리는 수 ㎜에서 수십 ㎜로 근접시켜 조사한다. 진공 자외광이 조사되면, 저(低)파장의 자외광으로 금속 도체(10) 표면의 유기물의 결합이 절단되고, 또, 램프와 금속 도체(10) 사이의 공기 중의 산소가 분해되어 오존이 형성되는 등 하여, 표면의 상기 보호제가 제거된다. 이와 함께, 금속 도체(10)의 표면의 극성화가 촉진되어 표면 자유 에너지가 높아져서 젖음성이 향상된다.
연결 수지층(30)을 구성하는 상기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은, 서로 친화성이 있는 수지 재료가 선택되어 형성된다. 또, 절연 수지층(31)이 형성된 후에, 그 표면에 진공 자외광을 조사하고, 절연 수지층(31)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높인 후에, 그 위에 접착 수지층(32)을 형성함으로써,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의 밀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접착 수지층(32)은,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성을 갖는 것이고, 접착 수지층(32)과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는 동계(同系)의 것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가 폴리아미드계이고, 소위 엔지니어 플라스틱의 1종인 나일론 9T가 사용되어 있다. 접착 수지층(32)은, 2액 혼합 타입의 접착용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의 접착용 수지는, 나일론계의 주제(主劑)와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가 혼합되어 폴리아미드 수지가 형성되고, 열처리에 의해 가교 반응을 생기게 한다.
도 7에는, 나일론계의 상기 접착용 수지의 온도 상승과 상태 변화의 관계가 나타내어져 있다. 가로축은 가열 온도이고, 세로축은 열 변화를 나타내며, 세로축의 플러스 측은 발열 반응을 나타내고, 마이너스 측은 흡열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a)의 범위는, 접착용 수지를 건조시키고 있는 과정이고, 접착용 수지는 소위 핫멜트 상태이다. 109℃ 부근까지 가열되어 용제가 증발하면, (b)의 범위에 들어가서 건조 상태가 되고, 온도 상승과 함께 가교 반응이 개시된다. 또한 온도가 150℃ 또는 160℃를 넘어 (c)의 범위가 되면, 3차원 가교가 촉진되어 수(水)불용성이 된다.
상기 접착 수지층(32)은, 접착용 수지를, 금속 도체(10)를 구성하는 금속판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도 7에 있어서 (b)로 나타내는 범위의 온도 조건으로 가열한 상태로 사용된다. 즉 110℃∼150℃ 또는 110℃∼160℃의 가열 조건으로 접착용 수지가 건조된 상태이며, 완전한 가교 상태가 되어 있지 않은 가(假)경화 상태 즉 부분 가교 상태로 사용된다. 인서트 성형법에서는, 금형 내에 사출되는 용융 수지와 접촉함으로써 접착 수지층(32)이 가열되어 용융되고, 접착 수지층(32)과 기체(3)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가 상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성형 후의 기체(3)는 금속 도체(10)와 고착된다.
또, 접착 수지층(32)은, 기체(3)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즉, 탄성계수가 낮은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 수지층(32)의 탄성계수를,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보다 낮게 해 두면, 인서트 성형의 냉각 공정에서,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열 수축이 생긴 경우라도, 접착 수지층(32)이 그 변형에 추종하여, 접착 수지층(32)과 기체(3)의 상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다.
상술과 같이, 상기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은, 서로 친화성이 있고 밀착성이 좋은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절연 수지층(31)이 우레탄 수지로 형성되고, 경화제로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된다. 접착 수지층(32)을 형성하고 있는 나일론 수지와 우레탄 수지는, 화학적 구조가 근사한 것이 주지이고, 또한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으로 동일한 이소시아네이트계의 경화제를 사용하고 있다.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으로서 상기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수지층 사이의 밀착성이 좋아진다.
절연 수지층(31)은, 접착 수지층(32)과 같은 가경화 상태가 아니고, 3차원 가교가 촉진되어 대략 불용성이 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접착 수지층(32)은 가교의 정도가 낮은 가경화의 상태로 형성되지만, 절연 수지층(31)은, 접착 수지층(32)보다 3차원 가교가 촉진된 것이 사용된다. 그 때문에, 절연 수지층(31)은 접착 수지층(32)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 처리되어 사용된다. 절연 수지층(31)의 가열 처리 온도는, 예를 들면 18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성형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지만, 절연 수지층(31)은,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완전한 상용 상태는 되기 어려워, 절연 수지층(31)으로서, 금속 도체(10)의 표면에 남게 된다.
도 8은, 금속 도체(10)가 인서트된 기체(3)의 일부 단면을 촬영한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금속 도체(10)는, 표면을 진공 자외광 조사로 활성화 처리한 후에 절연 수지층(31)을 형성하고, 또한 절연 수지층(31)의 표면을 진공 자외광 조사로 활성화시키고 나서 접착 수지층(32)을 형성한 것이다. 이 사진은 50,000배이다. 도 8에서는, 10이 금속 도체, 10a가 도금층이다. 도금층(10a)의 표면에 절연 수지층(31)이 밀착되고, 또한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의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어 있는 구조가 나타내어져 있다.
인서트 성형 후의 기체(3)에서는, 금속 도체(10)의 제 1 판부(11)의 2개의 표면(11a, 11b)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어 있고, 제 2 판부(12)의 2개의 표면(12a, 12b)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금속 도체(10)와 기체(3)의 바닥벽부(3a)의 밀착부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도 2에 나타내는 하우징(2)의 내부의 수납 공간(5)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간극으로부터 수납 공간(5)의 내부에 수분이나 플럭스 등의 용제나 그 밖의 액체가 침투할 가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금속 도체(10)에서는, 제 1 판부(11)와 제 2 판부(12)의 경계의 굴곡부(15)의 양면에도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굴곡부(15)에 있어서도, 금속 도체(10)와 기체(3)를 구성하고 있는 합성 수지를 강고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굴곡부(15)를 갖는 금속 도체(10)를 이용한 인서트 성형법에서는, 굴곡부(15)의 주위에서 용융 수지의 흐름이 나빠지기 때문에, 수지가 냉각되어 고체화할 때에, 굴곡부(15)의 주위에 싱크 마크(sink mark)라고 불리는 변형이 발생되기 쉬워진다. 또 바닥벽부(3a)가 얇으면, 굴곡부(15)가 매설되어 있는 부분에서 수지 강도가 저하되기 쉽다. 그러나, 굴곡부(15)를 사이에 두는 양측에 위치하는 제 1 판부(11)와 제 2 판부(12)의 양면에 접착 수지층(32)이 설치되고, 또한 굴곡부(15)의 표면에도 접착 수지층(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15)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금속 도체(10)와 기체(3)가 강고하게 고착되도록 되어, 싱크 마크의 문제나 강도 저하의 문제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로부터 외부 단자부(14)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제 1 판부(11)의 2개의 표면(11a, 11b)에 형성된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를 구성하는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어, 제 1 판부(11)와 기체(3)가 강고하게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단자부(14)의 돌출 기부(基部)에 있어서, 금속 도체(10)와 기체(3)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 수납 공간(5)의 기밀성을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단자부(14)의 돌출 기부의 주위에서의 기체(3)의 강도를 높일 수도 있다.
금속 도체(10)는, 2개의 표면에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된 금속판재(이른바 후프 기재)로부터 절단되기 때문에, 금속 도체(10)는, 하측을 향하는 표면(11a, 12a, 13a)에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되고, 상측을 향하는 표면(11b, 12b)에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되지만, 절단 가공 시의 절단면이 되는 측면(판 두께가 나타내어지는 측면)은, 어느 수지층도 형성되지 않는다. 다만, 인서트 성형 공정에서, 금속 도체(10)가 가열되기 때문에, 판부(11)의 2개 표면(11a, 11b)과 판부(12)의 2개의 표면(12a, 12b) 및 판부(13)의 표면(13a)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 수지층(32)이 가열되어 용융 상태가 되고, 사출 성형 시의 용융 수지의 압력에 의해 용융 상태가 된 접착 수지(32)의 일부가 금속 도체(10)의 측면으로 돌아 들어간다. 이에 따라, 금속 도체(10)의 측면과 기체(3)의 바닥벽부(3a)의 사이에서, 적어도 일부에 접착 수지층(32)이 존재하게 되고, 금속 도체(10)의 측면과 바닥벽부(3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려워져, 하우징(2)의 내부의 수납 공간(5)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구간 (ⅲ)에서는, 내부 단자부(13)의 하측 표면(13a)이 접착 수지층(32)에 의해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에 고착시켜져 있다. 한편, 도 6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단자부(13)의 상측 표면(13b)은 바닥벽부(3a)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이 상측 표면(13b)에는 절연 수지층(31)이나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진공 자외광을 사용한 상기 활성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은 도금이 황화 방지제 등의 보호제로 덮인 그대로이다.
구간 (ⅳ)에서는, 외부 단자부(14)가 기체(3)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지만, 외부 단자부(14)의 상측 표면(14b)과 하측 표면(14a)에도, 절연 수지층(31)이나 접착 수지층(3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진공 자외광을 사용한 상기 활성화 처리도 실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면(14a, 14b)은, 은 도금이 황화 방지제 등의 보호제로 덮인 그대로이다.
따라서, 내부 단자부(13)의 상측 표면(13b)과, 외부 단자부(14)의 하측 표면(14a) 및 상측 표면(14b)은, 은 도금이 부식되기 어려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를 인서트 성형하는 공정에서는, 금형 내에 있어서, 제 1 판부(11)의 하측 표면(11a)이 지지 돌출체(21)에 맞닿아서 지지되고, 내부 단자부(13)의 하측 표면(13a)도 지지 돌출체(22)에 맞닿아서 지지된 상태로, 금형 및 지지 돌출체(21, 22)가 가열된다. 이때, 지지 돌출체(21, 22)가 맞닿아 있는 부분에서, 가경화 상태의 접착 수지층(32)이 용융되고, 지지 돌출체(21, 22)가 맞닿는 부분에서 접착 수지층(32)이 제거된다. 또, 접착 수지층(32)은, 도 7에 나타내는 (b)의 범위에서 가열 처리되어 있고, (a)의 범위의 핫멜트 상태에 비해 점착성이 저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용융된 접착 수지층(32)은, 지지 돌출체(21, 22)의 선단면(先端面) 등에 부착되기 어렵다.
한편, 절연 수지층(31)은 3차원 가교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 온도에 의해 용해되지 않고, 지지 돌출체(21, 22)가 맞닿는 부분에 있어서도, 금속 도체(10)의 표면이 절연 수지층(31)으로 덮인 상태로 유지된다.
인서트 성형 후의 기체(3)에서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의 바닥벽부(3a)에 바닥면(3c)으로부터 금속 도체(10)에 통과하는 개구부(3d, 3e)가 복수 개소에 형성된다.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d, 3e)의 주위에서는, 연결 수지층(30)의 표면층이 되는 접착 수지층(32)과 기체(3)를 구성하는 수지가 상용 상태가 되고나서 경화된다. 그 때문에, 개구부(3d, 3e)의 주위 전체 둘레는,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의 2층 구조로 되는 연결 수지층(30)으로 메워진 구조로 되며, 이 주위 부분에서, 금속 도체(10)와 기체(3)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시일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수납 공간(5) 내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바닥벽부(3a)의 바닥면(3c)에 개구되는 개구부(3d, 3e)의 내부에 금속 도체(10)가 노출되지만,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d, 3e)의 내부에서, 금속 도체(10)의 표면이 절연 수지층(31)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금속 도체(10)의 절연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2)은 1변이 5㎜ 이하 나아가서는 2㎜ 이하의 미소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기체(3)의 바닥면(3c)에 액체(플럭스 등의 용제도 포함함)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으면, 액체가 복수 개소의 개구부(3d, 3e)에 동시에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러나, 개구부(3d, 3e)의 바닥부에 나타내어져 있는 금속 도체(10)의 표면이 절연 수지층(31)으로 덮여,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에 의해 금속 도체(10)끼리가 단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각의 금속 도체(10)는 띠 형상이며, 도 1의 (b)의 좌우 방향이 길이 방향이고, 상하 방향이 폭 방향이다. 연결 수지층(30)은, 금속 도체(10)의 폭 방향의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금형 내에서 금속 도체(10)가 지지될 때에, 지지 돌출체(21, 22)와 금속 도체(10)의 사이에, 폭 방향(도 1의 (b)의 도시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의 공차 어긋남이 생기고 있었다고 해도, 개구부(3d, 3e)의 주위 전체 둘레에 연결 수지층(30)이 위치하는 상태를 구성하기 쉽다. 또, 도 5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수지층(30)은 길이 방향의 긴 범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돌출체(21, 22)와 금속 도체(10)의 사이에 도 1의 (b)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위치의 공차 어긋남이 생기고 있었다고 해도, 개구부(3d, 3e)의 주위 전체 둘레에 연결 수지층(30)이 위치하는 상태를 구성하기 쉽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개구부(3d, 3e)의 주위 부분에, 절연 수지층(31)과 접착 수지층(32)의 2층 구조로 되는 연결 수지층(30)이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 도체(10)의 하측 표면(11a)과 하측 표면(13a)에 접착 수지층(32)만의 1층 구조의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개구부(3d, 3e)의 주위 전체 둘레에서는, 금속 도체(10)와 기체(3)의 사이에 접착 수지층(32)이 개재되고, 이 접착 수지층(32)이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개구부(3d, 3e)의 주위 전체 둘레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체(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를 나일론 9T, 접착 수지층(32)을 구성하는 접착용 수지를 나일론 수지, 절연 수지층(31)을 형성하는 수지를 우레탄 수지로서 설명했지만, 이들 수지는 서로 상용성이나 친화성이 있으면 상기 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우레탄계-우레탄계, 아크릴계-아크릴계, 올레핀계-올레핀계, 에폭시계-에폭시계, 이소시아네이트계-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의 동일계의 재료 외에, 에폭시계-우레탄계, 우레탄계-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이소시아네이트계 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또, 극성화를 촉진하는 활성화 처리는, 진공 자외광의 조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즈마 처리, UV 오존 처리, 코로나 처리, 화성 처리, 화염 처리, 가열 처리, 양극 산화 처리 등이어도 된다.
1: 전자 부품 2: 하우징
3: 기체 3a: 바닥벽부
3d, 3e: 개구부 5: 수납 공간
6: 검지 소자 10: 금속 도체
11: 제 1 판부 11a: 하측 표면
11b: 상측 표면 12: 제 2 판부
12a: 좌측 표면 12b: 우측 표면
13: 내부 단자부 13a: 하측 표면
13b: 상측 표면 14: 외부 단자부
15: 굴곡부 20: 금형
21, 22: 지지 돌출체 30: 연결 수지층
31: 절연 수지층 32: 접착 수지층

Claims (13)

  1. 합성 수지제의 기체의 내부에 금속 도체가 매설되어 있는 전자 부품에 있어서,
    상기 기체에는, 상기 금속 도체의 표면까지 도달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도체의 상기 개구부 측의 표면의 적어도 상기 개구부와 상기 기체에 대향되는 영역에, 단층 또는 복층의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이 상기 기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와 상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과 상기 기체를 형성하는 합성 수지가, 동일한 계의 합성 수지이고,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과 상기 기체가 상용 상태가 되어 경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계의 합성 수지는 폴리아미드 수지인 전자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지층의 표면층은, 상기 기체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 전자 부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도체의 표면은 진공 자외광 조사 처리에 의해 활성화 처리되어 있는 전자 부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는 금속 도체의 표면은 진공 자외광 조사 처리에 의해 활성화 처리되어 있는 전자 부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체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지층이 상기 금속판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체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지층이 상기 금속판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체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지층이 상기 금속판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체는, 띠 형상의 금속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 수지층이 상기 금속판재의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47169A 2014-04-04 2015-04-03 전자 부품 KR101730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8237 2014-04-04
JP2014078237A JP6210922B2 (ja) 2014-04-04 2014-04-04 電子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664A KR20150115664A (ko) 2015-10-14
KR101730994B1 true KR101730994B1 (ko) 2017-04-27

Family

ID=5427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169A KR101730994B1 (ko) 2014-04-04 2015-04-03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10922B2 (ko)
KR (1) KR101730994B1 (ko)
CN (1) CN1049796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9383A (ja) * 2015-12-16 2017-06-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複合成形部材、複合成形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
JP6716941B2 (ja) * 2016-02-18 2020-07-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台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8241A (ja) * 2001-04-02 2001-11-02 Sanken Electric Co Ltd 樹脂封止形リードフレーム組立体
JP2003243437A (ja) 2002-02-13 200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ウェーハレベルパッケージの空気パッドハンダ接合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8117B1 (ko) 1998-12-2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 방법
JP4689218B2 (ja) * 2003-09-12 2011-05-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660A (ja) * 1983-04-13 1984-10-27 Nec Corp 絶縁型半導体装置
JPS6132434A (ja) * 1984-07-24 1986-02-15 Sanken Electric Co Ltd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1135032A (ja) * 1987-11-20 1989-05-26 Hitachi Ltd 樹脂封止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786458A (ja) * 1993-09-09 1995-03-31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69786A (ja) * 1993-12-15 1995-07-04 Sony Corp 樹脂封止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樹脂封止用成形金型
JPH08139218A (ja) * 1994-11-08 1996-05-31 Hitachi Ltd 混成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0467B2 (ja) * 1996-03-12 2007-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接続部を有する成形品とその成形方法
US6214152B1 (en) * 1999-03-22 2001-04-10 Rjr Polymers, Inc. Lead frame moisture barrier for molded plastic electronic packages
JP4429962B2 (ja) * 2005-04-22 2010-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埋設部材成形体の製造方法
JP5707266B2 (ja) * 2011-04-14 2015-04-22 新神戸電機株式会社 モールドバスバーの製造法
JP2013051296A (ja) * 2011-08-31 2013-03-14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用パッケージ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H706557A2 (de) * 2012-05-24 2013-11-29 Schwanden Kunststoff Elektrische Kontaktleiterdurchführung durch eine Behälterw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117B1 (ko) 1998-12-2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배선 형성 방법
JP2001308241A (ja) * 2001-04-02 2001-11-02 Sanken Electric Co Ltd 樹脂封止形リードフレーム組立体
JP2003243437A (ja) 2002-02-13 200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ウェーハレベルパッケージの空気パッドハンダ接合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9218B2 (ja) * 2003-09-12 2011-05-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664A (ko) 2015-10-14
JP2015201494A (ja) 2015-11-12
CN104979673A (zh) 2015-10-14
CN104979673B (zh) 2017-08-25
JP6210922B2 (ja)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96702B2 (ja) 複合モールド品
US8378239B2 (en) Hermetic feed-through with hybrid seal structure
JP6408822B2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US10074927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KR101730994B1 (ko) 전자 부품
US9980407B2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tructure provided with electronic device
KR20140127900A (ko) 제1금속 부품과 피복된 제2 금속 부품과의 연결장치
CN111755890B (zh) 连接器装置
US11005151B2 (en) Radome for veh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radome
KR101853973B1 (ko) 전기 연결 장치
TW201838260A (zh) 電連接器
KR101730997B1 (ko) 전자 부품
KR101950899B1 (ko) 전자부품의 제조 방법
CN109638333B (zh) 镶嵌成形方法以及镶嵌成形部件
JP2015162448A (ja) ブレーカー及びそれを備えた安全回路並びに2次電池回路
US10106107B2 (en) Waterproof type control unit and waterproof type control unit manufacturing method
KR100312084B1 (ko) 접속소자를구비한페인과그의제작방법및실행장치
US10973137B2 (en) Circuit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it device and connector
WO2015129236A1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13951B2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58075B2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79678A (ja) 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電池モジュール部品
JP2015162594A (ja) 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222924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ンテナ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