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34B1 -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34B1
KR101718834B1 KR1020157003139A KR20157003139A KR101718834B1 KR 101718834 B1 KR101718834 B1 KR 101718834B1 KR 1020157003139 A KR1020157003139 A KR 1020157003139A KR 20157003139 A KR20157003139 A KR 20157003139A KR 101718834 B1 KR101718834 B1 KR 101718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armrest
rail
outer rail
r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005A (ko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3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운전석 시트 좌,우측에 장착되는 아암 레스트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기 위한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건설기계용 운전석 시트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아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내측 레일과, 내측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아암 레스트 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과, 외측 레일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결합돌기에 끼워맞춤되는 로킹홈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커와, 로커에 고정되고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결합돌기로부터 로킹홈을 이탈시키는 조정레버와, 외측 레일의 하단부에 로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OF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 시트 좌,우측에 장착되는 아암 레스트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는,
붐 등의 작업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레버(RCV lever)(1,2)가 운전석 시트(3)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콘솔박스(4,5)에 각각 장착되며, 조작레버(1,2)를 조작하여 장시간동안 작업시 운전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아암레스트(6,7)가 운전석 시트(3)의 좌,우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전술한 아암레스트(6,7)는 볼트(8) 등에 의해 운전석 시트(3)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이로 인해 아암레스트(6,7)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조절이 불가능하고, 반면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운전석 시트(3)쪽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작레버(1,2)를 조작하여 장시간동안 작업하는 경우에, 운전자 팔을 아암레스트(6,7) 위에 밀착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하므로 운전자 피로도를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운전자의 다양한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아암레스트(6,7)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작업이 요구되는 반면에, 운전석 시트(3)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아암레스트(6,7)를 수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므로 유저로부터 장비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아암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운전자 팔을 아암 레스트 위에 밀착되도록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아암 레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건설기계용 운전석 시트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아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내측 레일과,
내측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아암 레스트 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과,
외측 레일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결합돌기에 끼워맞춤되는 로킹홈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커와,
로커에 고정되고,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결합돌기로부터 로킹홈을 이탈시키는 조정레버와,
외측 레일의 하단부에 로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내측 레일의 가이드 레일부와 이와 대향되는 외측 레일의 절곡부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레일에 대한 외측 레일의 상하 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며, 내측 레일로부터 외측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전술한 연결구는,
조정레버를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시 탄성력에 의해 로커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경우, 로커의 로킹홈이 내측 레일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뤄진다.
전술한 조정레버의 손잡이부 외측면에 그립부가 형성된다.
전술한 외측 레일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조정레버를 가압하여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외측 레일로부터 로커가 이탈되지않도록 로커의 상단부를 외측 레일쪽으로 가압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한다.
전술한 아암 레스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의 로킹부가 내구성을 갖도록, 로커의 로킹홈에 끼워맞춤되는 내측 레일의 결합돌기는 기어이빨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조정레버의 로드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제1결합홈에 끼워맞춤되도록 로커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편과, 조정레버의 로드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과, 제2결합홈에 끼워맞춤되도록 로커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편을 구비하여, 제1,2결합홈과 제1,2돌출편의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조정레버를 로커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아암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시 운전자 팔을 아암레스트 위에 밀착되도록 올려놓을 수 있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신체적인 체형을 갖는 운전자에 따라 아암 레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므로 장비에 대한 신뢰성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의 장착됨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내측 레일에 대해 외측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의 사용상태도,
도 6(a,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내측 레일에 대한 외측 레일의 로킹부의 로킹 및 언로킹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가이드 레일부
12; 내측 레일
14; 고정핀
16; 로커
18; 조정레버
20; 절곡부
22; 스토퍼
24; 지지편
26; 제1결합홈
28; 제2결합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용 운전석 시트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아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 시트(3) 측면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부(10)에 결합돌기(11)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내측 레일(12)과,
내측 레일(1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아암 레스트(6,7) 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13)과,
외측 레일(13)의 가이드 레일부(13a)에 형성된 결합공(13b)에 이면의 돌출부(16a)가 결합되고, 외측 레일(13)의 외측면에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결합돌기(1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맞춤되는 로킹홈(15)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커(16)와,
로커(16)에 고정되고, 손잡이부(17)를 가압하여 로커(16)를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결합돌기(11)로부터 로킹홈(15)을 이탈시키는 조정레버(18)와,
외측 레일(13)의 하단부에 로커(16)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19)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내측 레일(12)의 가이드 레일부(10)와 이와 대향되는 외측 레일(13)의 절곡부(20)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레일(12)에 대한 외측 레일(13)의 상하 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며, 내측 레일(12)로부터 외측 레일(1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1,22)를 구비한다.
전술한 연결구(19)는,
조정레버(18)를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시 연결구(19)의 탄성력에 의해 로커(16)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경우, 로커(16)의 로킹홈(15)이 내측 레일(12)의 결합돌기(11)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뤄진다.
전술한 조정레버(18)의 손잡이부(17) 외측면에 그립부(23)가 형성된다.
전술한 외측 레일(13)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조정레버(18)를 가압하여 로커(16)를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외측 레일(13)로부터 로커(16)가 이탈되지않도록 로커(16)의 상단부를 외측 레일(13)쪽으로 가압지지하는 지지편(24)을 구비한다.
전술한 아암 레스트(6,7)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내측 레일(12) 및 외측 레일(13)의 로킹부가 내구성을 갖도록, 로커(16)의 로킹홈(15)에 끼워맞춤되는 내측 레일(12)의 결합돌기(11)는 기어이빨(일 예로서 랙기어 형상의 이빨을 말함)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조정레버(18)의 로드부(25)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홈(26)과, 제1결합홈(26)에 끼워맞춤되도록 로커(16)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편(27)과, 조정레버(18)의 로드부(25) 끝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28)과, 제2결합홈(28)에 끼워맞춤되도록 로커(16)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편(29)을 구비하여, 제1,2결합홈(26,28)과 제1,2돌출편(27,29)의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조정레버(18)를 로커(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3c는 외측 레일(13)의 가이드 레일부(13a) 하단부에 관통형성되고 로커(16)의 로킹홈(15)이 형성된 돌출부(16b)가 끼워지는 절결부이고, 30은 외측 레일(13)의 외측면 하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로커(16) 회동시 외측 레일(13)로부터 연결구(19)가 이탈되지않도록 연결구(19)의 하단을 지지하는 홀더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운전석 시트(3)의 좌우측 아암 레스트(6,7)에 각각 장착되는데, 아암 레스트(6,7)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일측 아암 레스트(6)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운전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아암 레스트(6)의 높낮이를 가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운전자에 의해 조정레버(18)의 손잡이부(17)의 그립부(23)를 파지하여 운전석 시트(3)의 운전자쪽으로 잡아당 길 경우, 조정레버(18)의 로드부(25)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로커(16)가 고정핀(14)을 중심으로 외측 레일(13)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회동하게 된다. 즉 로커(16)는 이의 이면에 형성된 돌출부(16a)가 이와 대응되게 외측 레일(13)의 가이드 레일부(13a)에 형성된 결합공(13b)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로커(16)의 상단부는 외측 레일(13)의 외측면 상단에 돌출형성된 지지편(24)에 의해 지지되므로, 고정핀(14)을 중심으로 로커(16)의 회동시 외측 레일(13)으로부터 로커(16) 상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커(16)는 외측 레일(13) 하단부에 로커(16) 하단부를 연결시킨 연결구(29)의 길이와 이의 탄성력 범위내에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석 시트(3) 측면에 고정된 내측 레일(12)에 대해 아암 레스트(6) 측면에 고정된 외측 레일(13)의 로킹부의 로킹이 해제된다. 즉 조정레버(18)의 손잡이부(17)의 가압으로 인해 로커(16)를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내측 레일(12)의 가이드 레일부(10)에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유지하여 형성된 결합돌기(11)로부터, 로커(16)의 로킹홈(15)이 이탈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내측 레일(12)에 대해 외측 레일(13)을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즉 외측 레일(13)은 이의 가이드 레일부(13a)가 내측 레일(12)의 가이드 레일부(10)에 밀착되어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때 내측 레일(12)의 가이드 레일부(10)와 이와 대향되는 외측 레일(13)의 절곡부(20) 사이에 결합된 스토퍼(21,22)에 의해 외측 레일(13)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내측 레일(12)로부터 외측 레일(1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토퍼(21,22)는 내측 레일(12) 및 외측 레일(13)의 내측면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부(31,3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레버(18)를 가압시 로커(16)의 회동으로 인해 내측 레일(12)에 대한 외측 레일(13)의 로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조건에 맞도록 아암 레스트(6)를 수직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자의 신체적 체형에 맞도록 아암 레스트(6)의 높낮이를 조정한 후, 조정레버(18)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연결구(19)의 탄성력에 의해 로커(16)는 고정핀(1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로커(16)의 하단부에 형성된 로킹홈(15)이 내측 레일(12)의 가이드 레일부(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에 끼워맞춤된다.
이때, 로커(16)의 로킹홈(15)과 이와 대응되는 내측 레일(12)의 결합돌기(11)의 결합부가 기어이빨처럼 서로 맞물려 끼워맞춤되므로, 아암 레스트(6)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내측 레일(12) 및 외측 레일(13)의 로킹부가 내구성을 갖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아암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시 운전자 팔을 아암 레스트 위에 밀착되도록 올려놓을 수 있어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아암 레스트를 수직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 조절하여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내측 레일;
    상기 내측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아암 레스트 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
    상기 외측 레일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맞춤되는 로킹홈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커;
    상기 로커에 고정되고,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결합돌기로부터 상기 로킹홈을 이탈시키는 조정레버;
    상기 외측 레일의 하단부에 상기 로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
    상기 내측 레일의 가이드 레일부와 이와 대향되는 외측 레일의 절곡부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레일에 대한 외측 레일의 상하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며, 상기 내측 레일로부터 외측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조정레버를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커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경우, 상기 로커의 로킹홈이 상기 내측 레일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도록 탄성력을 갖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의 손잡이부 외측면에 그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레일의 외측면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조정레버를 가압하여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외측 레일로부터 로커가 이탈되지않도록 로커의 상단부를 외측 레일쪽으로 가압지지하는 지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레스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상기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의 로킹부가 내구성을 갖도록, 상기 로커의 로킹홈에 끼워맞춤되는 내측 레일의 결합돌기는 기어이빨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레버의 로드부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로커에 돌출 형성되는 제1돌출편과, 상기 조정레버의 로드부 끝단부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워맞춤되도록 상기 로커에 돌출 형성되는 제2돌출편을 구비하여, 상기 제1,2결합홈과 제1,2돌출편의 상호 끼워맞춤에 의해 조정레버를 로커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20157003139A 2012-08-08 2012-08-08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1718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6317 WO2014025077A1 (ko) 2012-08-08 2012-08-08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005A KR20150038005A (ko) 2015-04-08
KR101718834B1 true KR101718834B1 (ko) 2017-03-22

Family

ID=5006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139A KR101718834B1 (ko) 2012-08-08 2012-08-08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48764B2 (ko)
EP (1) EP2884009B1 (ko)
KR (1) KR101718834B1 (ko)
CN (1) CN104508213B (ko)
BR (1) BR112015002440A2 (ko)
CA (1) CA2880252C (ko)
WO (1) WO201402507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215B1 (ko) 2019-10-23 2019-11-20 안국수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KR20220138268A (ko) 2021-04-05 2022-10-12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통풍 기능을 갖는 건설 기계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12948A1 (en) 2013-05-28 2014-12-04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and angle of footrest support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2017043676A1 (ko) * 2015-09-10 2017-03-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장비 운전실의 운전석 조립체
AU2017245387B2 (en) * 2016-10-13 2023-04-13 The Raymond Corporation Adjustable armrest systems and methods for a material handling vehicle
JP7138010B2 (ja) * 2018-10-19 2022-09-15 株式会社オカムラ 肘掛け、背凭れおよび椅子
TWI723913B (zh) * 2020-07-08 2021-04-01 廣力達企業有限公司 高度調整結構
CN117302084B (zh) * 2023-11-29 2024-02-20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工业车辆智能调节操作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02A (ja) 1999-05-20 2000-11-28 Komatsu Ltd 作業機における運転席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4096A (en) * 1992-03-02 1994-06-28 Hon Industries Inc. Adjustable height chair arm
KR0116860Y1 (ko) 1995-08-11 1998-05-15 김정국 평행링크식 암레스트(Arm rest)
JP3752057B2 (ja) 1997-05-30 2006-03-08 住友建機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席アームレスト取付構造
US6062647A (en) * 1999-07-08 2000-05-16 Mei; Teng-Fu Adjustable armrest assembly
TWI280107B (en) * 2006-01-19 2007-05-01 Yi Chun Entpr Ltd Mechanism for relatively engaging and locking two member of chair arm
KR101283715B1 (ko) 2006-07-13 2013-07-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US20080036264A1 (en) * 2006-08-10 2008-02-14 Toung-Chun Pan Height adjustable chair armrest
US8016360B2 (en) * 2007-08-01 2011-09-13 Hni Technologies Inc. Adjustable arm rest for chair
CN202022116U (zh) * 2011-03-25 2011-11-02 湖南中联重科专用车有限责任公司 操纵箱、驾驶室座椅以及工程机械
DE202011050890U1 (de) * 2011-08-03 2011-09-27 Tsung-Wen Huang Armlehnenstruktu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02A (ja) 1999-05-20 2000-11-28 Komatsu Ltd 作業機における運転席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215B1 (ko) 2019-10-23 2019-11-20 안국수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KR20220138268A (ko) 2021-04-05 2022-10-12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통풍 기능을 갖는 건설 기계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48764B2 (en) 2016-02-02
EP2884009A4 (en) 2016-04-13
WO2014025077A1 (ko) 2014-02-13
EP2884009A1 (en) 2015-06-17
CN104508213A (zh) 2015-04-08
BR112015002440A2 (pt) 2017-07-04
CA2880252C (en) 2017-06-20
EP2884009B1 (en) 2017-06-07
CA2880252A1 (en) 2014-02-13
US20150165941A1 (en) 2015-06-18
KR20150038005A (ko) 2015-04-08
CN104508213B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34B1 (ko)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US8776941B2 (en) Road finishing machine with adjustable control panel
EP1961336A1 (en) Table Seat with rotatable sitting Portion
WO2015014008A1 (zh) 儿童汽车座
KR101623817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07692858B (zh) 煎烤机
US20160338490A1 (en) Foot Platform And Desk Comprising A Foot Platform
EP2869974B1 (de) Schnitttiefenbegrenzungsvorrichtung
KR102047215B1 (ko)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JP5916492B2 (ja) 眼科装置
KR20070075348A (ko) 벨트 가이드
US10342353B2 (en) Chair reclining adjustment mechanism
JP2013184010A (ja) 遊技機用肘掛装置
KR101362208B1 (ko) 중장비용 조이스틱
JP5843696B2 (ja) ヘッドレスト本体のロック機構
KR101575535B1 (ko) 클러치케이블 유격 자동조정기구
JP3206694U (ja) 連結具及び作業台
KR20200069863A (ko) 스마트 스틱 위치 조절장치
KR101562829B1 (ko) 암레스트
JP2019210747A (ja) 戸車
KR101283715B1 (ko)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JPS586352Y2 (ja) 机等の高さ調節装置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7077837A (ja) キャスタの操作装置
JPH0711110Y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アタッチメン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