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15B1 -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15B1
KR102047215B1 KR1020190131830A KR20190131830A KR102047215B1 KR 102047215 B1 KR102047215 B1 KR 102047215B1 KR 1020190131830 A KR1020190131830 A KR 1020190131830A KR 20190131830 A KR20190131830 A KR 20190131830A KR 102047215 B1 KR102047215 B1 KR 10204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sliding
actuato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국수
안영민
안예림
Original Assignee
안국수
안영민
안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국수, 안영민, 안예림 filed Critical 안국수
Priority to KR1020190131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건설 기계의 운전석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의 외측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방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 각각의 내측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승강가이드의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 한 쌍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승강가이드 각각의 상부 및 지지부 하부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봉 각각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는 승강스프링과,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지지판과 수평 구비되고, 상부가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판과, 상기 승강가이드판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전기신호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을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지지판에 고정되어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지지구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액츄에이터봉 일측에 전방이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승강가이드판의 고정돌기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과 아울러 절곡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조절모터와, 상기 각도조절모터의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 구비되어 각도조절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부에는 기어산을 갖는 각도조절기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지지부 상에 내측이 힌지 연결되며, 하부에는 각도조절기어의 기어에 대응되는 각도변경기어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부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타측힌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일측과 힌지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지지부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일측힌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은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감싸지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 및 일측힌지판 각각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쿠션케이스와, 상기 쿠션케이스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 및 일측힌지판이 연결되고, 내측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파형으로 관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공에 걸림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쿠션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걸림공 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부가 형성되는 걸림볼트와, 상기 쿠션케이스의 하부 전방에 하부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볼트의 연장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버튼과, 상기 걸림볼트의 연장부 상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버튼의 상부 및 쿠션케이스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텐션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딩버튼과 이격된 쿠션케이스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액츄에이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도모하는 높이조절버튼과, 상기 슬라이딩버튼과 이격된 쿠션케이스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도조절모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각도조절모터의 작동을 도모하는 각도조절버튼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Arm rest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 시트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암 레스트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전후방 및 상하로 가변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팅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휠로더와 같은 건설기계는 캐빈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정의 작업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건설기계들의 각종 가동부는 주로 유압에 의하여 작업에 필요한 작동을 하고, 작업자는 캐빈의 내부에서 각종 조작 레버를 작동하여 상기 가동부를 작동 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건설기계는 성능의 향상에 주안점을 두어 건설기계에 탑승하는 작업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였다.
특히, 작업자는 캐빈의 내부에서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각종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편의장치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그 중에서도 작업자의 팔을 지지하는 암 레스트는 단지 시트의 양측에 부착되어 작업자의 팔을 지지하고 있을 뿐,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높이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 장시간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많은 피로를 유발시키는 요소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고, 가이드 레일부에 결합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내측 레일과, 상기 내측 레일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아암 레스트 측면에 장착되는 외측 레일과, 상기 외측 레일의 외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결합돌기에 끼워맞춤되는 로킹홈이 하단부에 형성되는 로커와, 상기 로커에 고정되고,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로커를 고정핀을 중심으로 회동시킬 경우 상기 결합돌기로부터 상기 로킹홈을 이탈시키는 조정레버와, 상기 외측 레일의 하단부에 상기 로커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내측 레일의 가이드 레일부와 이와 대향되는 외측 레일의 절곡부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레일에 대한 외측 레일의 상하방향 이동량을 조절하며, 상기 내측 레일로부터 외측 레일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718834호에서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지 암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것으로 운전자가 운전석 시트에 용이하게 타고 내리기 위한 암 레스트의 틸팅 기능,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암 레스트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운전자의 체형에 암 레스트를 맞춰 사용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188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운전석 시트의 좌,우측에 장착되는 암 레스트를 운전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전후방 및 상하로 가변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틸팅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설 기계의 운전석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의 외측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전방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가이드 각각의 내측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승강가이드의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 한 쌍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승강가이드 각각의 상부 및 지지부 하부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봉 각각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는 승강스프링과, 상기 지지판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지지판과 수평 구비되고, 상부가 지지부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판과, 상기 승강가이드판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전기신호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을 갖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지지판에 고정되어 액츄에이터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지지구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액츄에이터봉 일측에 전방이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승강가이드판의 고정돌기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과 아울러 절곡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조절모터와, 상기 각도조절모터의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 구비되어 각도조절모터의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부에는 기어산을 갖는 각도조절기어가 형성되는 각도조절판과, 상기 각도조절판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지지부 상에 내측이 힌지 연결되며, 하부에는 각도조절기어의 기어에 대응되는 각도변경기어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부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타측힌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의 일측과 힌지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지지부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일측힌지판과,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은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감싸지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 및 일측힌지판 각각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는 쿠션케이스와, 상기 쿠션케이스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 및 일측힌지판이 연결되고, 내측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파형으로 관통되는 걸림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공에 걸림되는 단턱부가 형성되고, 단턱부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쿠션케이스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걸림공 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부가 형성되는 걸림볼트와, 상기 쿠션케이스의 하부 전방에 하부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볼트의 연장부와 상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버튼과, 상기 걸림볼트의 연장부 상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버튼의 상부 및 쿠션케이스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텐션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딩버튼과 이격된 쿠션케이스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액츄에이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도모하는 높이조절버튼과, 상기 슬라이딩버튼과 이격된 쿠션케이스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도조절모터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각도조절모터의 작동을 도모하는 각도조절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높이조절버튼으로 인해 쿠션케이스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모터를 제어하는 각도조절버튼으로 인해 쿠션케이스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쿠션케이스의 틸팅 또한 각도조절기어와 각도변경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틸팅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버튼으로 인해 쿠션케이스의 전후방 이송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가 틸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의 개략 일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의 개략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의 개략 일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는 건설 기계의 운전석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의 외측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0)과, 상기 지지판(10)의 전방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12)와,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내측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승강가이드(12)의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봉(14)과, 상기 승강봉(14) 한 쌍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16)와,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상부 및 지지부(16) 하부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봉(14) 각각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는 승강스프링(18)과, 상기 지지판(10)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지지판(10)과 수평 구비되고, 상부가 지지부(16)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돌기(20)가 다수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판(22)과, 상기 승강가이드판(22)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전기신호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24)을 갖는 액츄에이터(26)와, 상기 액츄에이터(2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지지판(10)에 고정되어 액츄에이터(26)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지지구(28)와, 상기 액츄에이터(26)의 액츄에이터봉(24) 일측에 전방이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승강가이드판(22)의 고정돌기(2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과 아울러 절곡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돌기(20)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홈(30)이 형성되는 고정판(32)과,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조절모터(34)와, 상기 각도조절모터(34)의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 구비되어 각도조절모터(34)의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부에는 기어산을 갖는 각도조절기어(36)가 형성되는 각도조절판(38)과, 상기 각도조절판(38)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지지부(16) 상에 내측이 힌지 연결되며, 하부에는 각도조절기어(36)의 기어에 대응되는 각도변경기어(4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타측힌지판(44)과,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6)의 일측과 힌지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일측힌지판(46)과, 상기 지지부(16)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은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감싸지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 각각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공(48)이 형성되는 쿠션케이스(50)과, 상기 쿠션케이스(50)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이 연결되고, 내측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파형으로 관통되는 걸림공(52)이 형성되는 슬라이딩판(54)과, 상기 슬라이딩판(54)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공(52)에 걸림되는 단턱부(56)가 형성되고, 단턱부(56)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쿠션케이스(50)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걸림공(52) 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부(58)가 형성되는 걸림볼트(60)와, 상기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전방에 하부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와 상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버튼(62)과, 상기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 상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버튼(62)의 상부 및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텐션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스프링(64)과,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6)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액츄에이터(26)의 작동을 도모하는 높이조절버튼(66)과,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도조절모터(34)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각도조절모터(34)의 작동을 도모하는 각도조절버튼(68)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건설 기계의 운전석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의 외측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10)의 전방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12)는 지지판(10) 상에 고정 구비되는 것이며, 승강이드(12)로 인해 후술되는 승강봉(14)이 상하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한 것이다.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내측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승강가이드(12)의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봉(14)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봉(14) 한 쌍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1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6)의 후방 타측에는 후술되는 안착홈(42)에 대응되게 일측으로 돌출되는 각도제한격벽(70)이 형성되는 것이며, 각도제한격벽(70)으로 인해 쿠션케이스(50)가 전방 하부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상부 및 지지부(16) 하부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봉(14) 각각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는 승강스프링(1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스프링(18)은 지지부(16)의 원활한 상승을 도모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지지부(18)의 하강을 위해 운전자가 힘을 주어 후술되는 쿠션케이스(50)를 누를 시에 적당한 저항감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승강스프링(18)으로 인해 지지부(16)와 승강가이드(12)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10)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지지판(10)과 수평 구비되고, 상부가 지지부(16)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돌기(20)가 다수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판(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가이드판(22)의 고정돌기(20)는 지지부(16)의 상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후술되는 액츄에이터(26)의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고정판(32)의 고정돌기(20)로 인해 도 4에서와 같이 승강가이드판(22)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승강가이드판(22)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전기신호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24)을 갖는 액츄에이터(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6)는 후술되는 높이조절버튼(66)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리니어 솔레노이드가 사용되는 것이나 전기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봉(24)을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액츄에이터(2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지지판(10)에 고정되어 액츄에이터(26)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지지구(28)가 구비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6)의 액츄에이터봉(24) 일측에 전방이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승강가이드판(22)의 고정돌기(2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과 아울러 절곡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돌기(20)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홈(30)이 형성되는 고정판(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2)은 도 4에서와 같이 액츄에이터(26)의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24)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것이며, 고정판(32)의 고정홈(30)이 승강가이드판(22)의 고정돌기(20)에 끼움됨으로써, 승강가이드판(22)이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조절모터(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모터(34)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버튼(68)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며,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모터(34)의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 구비되어 각도조절모터(34)의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부에는 기어산을 갖는 각도조절기어(36)가 형성되는 각도조절판(3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각도조절판(38)은 도 4에서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만 각도조절기어(36)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로 인해 후술되는 하부에만 기어산이 형성되는 타측힌지판(44)의 각도변경기어(40)와 맞닿아 쿠션케이스(50)의 각도를 일정 각도에 한정해서 변경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도조절기어(36)와 각도변경기어(40)이 맞닿지 않을 경우에는 쿠션케이스(50)의 틸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판(38)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지지부(16) 상에 내측이 힌지 연결되며, 하부에는 각도조절기어(36)의 기어에 대응되는 각도변경기어(4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타측힌지판(4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타측힌지판(44)의 상부는 후술되는 슬라이딩판(54)의 하부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타측힌지판(44)의 안착홈(42)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것임과 아울러 안착홈(42)에는 후술되는 각도제한격벽(70)이 안착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후술되는 쿠션케이스(50)가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변경기어(40)로 인해 각도조절모터(3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술되는 쿠션케이스(5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용이하게 각도가 변경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6)의 일측과 힌지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일측힌지판(4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일측힌지판(46)은 타측힌지판(44)과 함께 상부가 후술되는 슬라이딩판(54)에 연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6)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은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감싸지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 각각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공(48)이 형성되는 쿠션케이스(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쿠션케이스(50)의 내측 양측에는 각각 전후방으로 길게 내입되는 슬라이딩홈(78)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쿠션케이스(50)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이 연결되고, 내측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파형으로 관통되는 걸림공(52)이 형성되는 슬라이딩판(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판(54)의 양측은 쿠션케이스(5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78)에 안착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판(54)의 걸림공(52) 상에 후술되는 걸림볼트(60)의 단턱부(56)가 삽입될 시에는 슬라이딩판(54)이 고정되는 것이며, 슬라이딩버튼(62)을 조작하여 걸림공(52) 상에 걸림공(52)이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는 연장부(58)가 삽입될 시에는 슬라이딩판(54)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판(54)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공(52)에 걸림되는 단턱부(56)가 형성되고, 단턱부(56)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쿠션케이스(50)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걸림공(52) 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부(58)가 형성되는 걸림볼트(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볼트(60)로 인해 슬라이딩판(54)의 고정 및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상기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전방에 하부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와 상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버튼(6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 상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버튼(62)의 상부 및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텐션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스프링(64)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6)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액츄에이터(26)의 작동을 도모하는 높이조절버튼(6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도조절모터(34)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각도조절모터(34)의 작동을 도모하는 각도조절버튼(68)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16)의 내측 일측에는 타측으로 돌출되는 틸팅스프링지지구(72)가 구비되며, 틸팅스프링지지구(72)의 상부 일측힌지판(46)의 타측에는 타측으로 돌출되는 힌지돌부(74)가 구비되고, 틸팅스프링지지구(72) 및 힌지돌부(74) 상에는 양단이 각각 틸팅스프링지지구(72) 및 힌지돌부(74)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틸팅스프링(7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틸팅스프링으로 인해(76) 쿠션케이스(50)의 틸팅 상태가 고정됨과 아울러 쿠션케이스(50)의 틸팅을 해제할 시에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는 액츄에이터(26)를 제어하는 높이조절버튼(66)으로 인해 쿠션케이스(5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모터(34)를 제어하는 각도조절버튼(68)으로 인해 쿠션케이스(5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쿠션케이스(50)의 틸팅 또한 각도조절기어(36)와 각도변경기어(40)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용이하게 틸팅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버튼(62)으로 인해 쿠션케이스(50)의 전후방 이송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지지판 12 : 승강가이드
14 : 승강봉 16 : 지지부
18 : 승강스프링 20 : 고정돌기
22 : 승강가이드판 24 : 액츄에이터봉
26 : 액츄에이터 28 : 액츄에이터지지구
30 : 고정홈 32 : 고정판
34 : 각도조절모터 36 : 각도조절기어
38 : 각도조절판 40 : 각도변경기어
42 : 안착홈 44 : 타측힌지판
46 : 일측힌지판 48 : 슬라이딩공
50 : 쿠션케이스 52 : 걸림공
54 : 슬라이딩판 56 : 단턱부
58 : 연장부 60 : 걸림볼트
62 : 슬라이딩버튼 64 : 슬라이딩스프링
66 : 높이조절버튼 68 : 각도조절버튼
70 : 각도제한격벽 72 : 틸팅스프링지지구
74 : 힌지돌부 76 : 틸팅스프링
78 : 슬라이딩홈

Claims (5)

  1. 건설 기계의 운전석 양측에 각각 대칭 구비되어 운전자의 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에 있어서,
    운전석의 외측에 고정 구비됨과 아울러 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0);
    상기 지지판(10)의 전방 상부에 내측이 관통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승강가이드(12);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내측에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구비되며, 상하부가 각각 승강가이드(12)의 상하부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봉(14);
    상기 승강봉(14) 한 쌍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가 연결 구비되며, 양측이 각각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16);
    상기 승강가이드(12) 각각의 상부 및 지지부(16) 하부 사이에 구비되며, 승강봉(14) 각각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각각 구비됨과 아울러 수직 방향으로 텐션력을 제공하는 승강스프링(18);
    상기 지지판(10)의 전방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지지판(10)과 수평 구비되고, 상부가 지지부(16)의 하부에 고정되며, 일측 하부에는 내측으로 내입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돌기(20)가 다수개 형성되는 승강가이드판(22);
    상기 승강가이드판(22)의 전방 하부에 전방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전기신호에 의해 양측으로 이동되는 액츄에이터봉(24)을 갖는 액츄에이터(26);
    상기 액츄에이터(2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후방이 지지판(10)에 고정되어 액츄에이터(26)를 고정하는 액츄에이터지지구(28);
    상기 액츄에이터(26)의 액츄에이터봉(24) 일측에 전방이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승강가이드판(22)의 고정돌기(20) 방향으로 절곡 연장됨과 아울러 절곡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돌기(20)에 대응되는 요철 형상의 고정홈(30)이 형성되는 고정판(32);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전기신호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각도조절모터(34);
    상기 각도조절모터(34)의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 구비되어 각도조절모터(34)의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부에는 기어산을 갖는 각도조절기어(36)가 형성되는 각도조절판(38);
    상기 각도조절판(38)의 상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됨과 아울러 지지부(16) 상에 내측이 힌지 연결되며, 하부에는 각도조절기어(36)의 기어에 대응되는 각도변경기어(4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내입되는 안착홈(42)이 형성되며, 상부는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타측힌지판(44);
    상기 지지부(16)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6)의 일측과 힌지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지지부(16)의 상부를 지나 연장되는 일측힌지판(46);
    상기 지지부(16)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은 운전자의 팔을 편안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쿠션감이 있는 재질로 감싸지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 각각이 관통되는 슬라이딩공(48)이 형성되는 쿠션케이스(50);
    상기 쿠션케이스(50)의 내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 후방에는 타측힌지판(44) 및 일측힌지판(46)이 연결되고, 내측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칭된 파형으로 관통되는 걸림공(52)이 형성되는 슬라이딩판(54);
    상기 슬라이딩판(54)의 상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하부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로 연장되어 걸림공(52)에 걸림되는 단턱부(56)가 형성되고, 단턱부(56)의 하부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쿠션케이스(50)를 관통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걸림공(52) 보다 직경이 작은 연장부(58)가 형성되는 걸림볼트(60);
    상기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전방에 하부측으로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와 상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딩버튼(62);
    상기 걸림볼트(60)의 연장부(58) 상에 구비되며, 슬라이딩버튼(62)의 상부 및 쿠션케이스(5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어 텐션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스프링(64);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액츄에이터(26)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액츄에이터(26)의 작동을 도모하는 높이조절버튼(66);
    상기 슬라이딩버튼(62)과 이격된 쿠션케이스(50)의 하부에 눌림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각도조절모터(34)에 전기신호를 전송하여 각도조절모터(34)의 작동을 도모하는 각도조절버튼(68);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6)의 후방 타측에는 안착홈(42)에 대응되게 일측으로 돌출되는 각도제한격벽(7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6)의 내측 일측에는 타측으로 돌출되는 틸팅스프링지지구(72)가 구비되며, 틸팅스프링지지구(72)의 상부 일측힌지판(46)의 타측에는 타측으로 돌출되는 힌지돌부(74)가 구비되고, 틸팅스프링지지구(72) 및 힌지돌부(74) 상에는 양단이 각각 틸팅스프링지지구(72) 및 힌지돌부(74)와 연결되어 장력을 제공하는 틸팅스프링(76)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케이스(50)의 내측 양측에는 전후방으로 길게 내입되는 슬라이딩홈(78)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홈(78) 상에는 슬라이딩판(54)의 양측이 슬라이딩홈(78)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KR1020190131830A 2019-10-23 2019-10-23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KR10204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30A KR102047215B1 (ko) 2019-10-23 2019-10-23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830A KR102047215B1 (ko) 2019-10-23 2019-10-23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215B1 true KR102047215B1 (ko) 2019-11-20

Family

ID=6872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830A KR102047215B1 (ko) 2019-10-23 2019-10-23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6297A (zh) * 2021-11-30 2022-03-01 深圳市飞天鹰科技有限公司 一种poe电源适配器及其挂架
CN115644628A (zh) * 2022-11-05 2023-01-31 广州市弘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扶手
KR102507126B1 (ko) * 2022-06-17 2023-03-07 건영테크(주) 중장비 차량용 암레스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5Y1 (ko) * 1994-03-08 1999-01-15 김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용 팔걸이
KR0178484B1 (ko) * 1996-05-27 1999-03-20 양재신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20040021034A (ko) * 2002-09-02 200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KR20150038005A (ko) * 2012-08-08 2015-04-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20160013405A (ko) * 2014-07-25 2016-02-04 현대다이모스(주)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5Y1 (ko) * 1994-03-08 1999-01-15 김무 위치 조절이 가능한 중장비용 팔걸이
KR0178484B1 (ko) * 1996-05-27 1999-03-20 양재신 리어시트의 암 레스트 설치구조
KR20040021034A (ko) * 2002-09-02 200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센터콘솔 암레스트
KR20150038005A (ko) * 2012-08-08 2015-04-08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101718834B1 (ko) 2012-08-08 2017-03-22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시트용 아암 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20160013405A (ko) * 2014-07-25 2016-02-04 현대다이모스(주) 암레스트용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6297A (zh) * 2021-11-30 2022-03-01 深圳市飞天鹰科技有限公司 一种poe电源适配器及其挂架
CN114126297B (zh) * 2021-11-30 2024-03-12 深圳市飞天鹰科技有限公司 一种poe电源适配器及其挂架
KR102507126B1 (ko) * 2022-06-17 2023-03-07 건영테크(주) 중장비 차량용 암레스트
CN115644628A (zh) * 2022-11-05 2023-01-31 广州市弘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扶手
CN115644628B (zh) * 2022-11-05 2023-11-14 广州市弘锦科技有限公司 一种可调节扶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15B1 (ko) 건설 기계용 암 레스트
CN101332779B (zh) 尤其用于双门车辆的、能够向前移动的机动车辆座椅
CN103661018B (zh) 用于安全带高度调节设备的锁止和解锁的设备及车辆座椅
KR101635485B1 (ko) 높이 및 각도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US20100026068A1 (en) Apparatus for tilting vehicle seat cushion
US10106057B2 (en) Seat for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eat
JP4254616B2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の位置調整装置
JP6781626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0910168B1 (ko)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KR102002053B1 (ko) 소음방지구조와 위치고정구조 및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CN109572500B (zh) 一种实现座椅易进入功能的联动结构
CN102785595B (zh) 车辆座椅
CN110126745B (zh) 可调式升降扶手箱
EP2389840B1 (en) Chair adjustment structure
KR101791106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CN107625323B (zh) 一种用于办公椅底盘的托架驱动机构
US8172324B2 (en) Preference control mechanism
KR101440918B1 (ko) 의자용 팔걸이
JP3359862B2 (ja) ロッキング装置
CN108248461B (zh) 一种座椅调节装置及一种座椅
CN212415260U (zh) 一种椅子及其可用于安装靠背的椅子扶手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4773801B2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JPH0223172Y2 (ko)
CN111616538A (zh) 一种转动椅背锁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