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168B1 -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168B1
KR100910168B1 KR1020070036995A KR20070036995A KR100910168B1 KR 100910168 B1 KR100910168 B1 KR 100910168B1 KR 1020070036995 A KR1020070036995 A KR 1020070036995A KR 20070036995 A KR20070036995 A KR 20070036995A KR 100910168 B1 KR100910168 B1 KR 100910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fixed
console box
drive shaf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276A (ko
Inventor
김학신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36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168B1/ko
Priority to US12/080,481 priority patent/US20080252127A1/en
Priority to EP08007088A priority patent/EP1982865B1/en
Priority to JP2008104482A priority patent/JP5237676B2/ja
Priority to CN2008100904392A priority patent/CN101289157B/zh
Publication of KR20080093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Abstract

운전석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콘솔박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구동축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과,
서스펜션에 장착되는 하판부재와,
하판부재에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판부재에 타단이 고정되며, 장비의 전후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하판부재에 대한 상판부재의 상대운동으로 감쇄시키는 완충수단과,
상판부재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며 콘솔박스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푸셔 조작시 하판부재에 대해 상판부재의 슬라이딩이동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수단과,
프레임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 외측면에 타단이 고정되며, 조정레 버가 소정높이의 위치에서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정핸들의 조작력이 제로(zero)되도록 소정의 인장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웨이트 밸런싱, 중장비용 콘솔박스, 높낮이 조절장치

Description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heavy equipment console box of having height adjusting control device with weight balanc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콘솔박스 높낮이 조절장치의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해 콘솔박스의 조종레버 높낮이 조절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장착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완충수단이 장착되는 하판부재와 상판부재의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로킹수단의 요부발췌확대도,
도 7(a,b)은 도 6에 로킹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틸팅수단의 개략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틸팅수단 및 완충수단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서, 조정핸들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장치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개략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서스펜션
52; 상판부재
54; 콘솔박스
56; 힌지축
58; 조정핸들
60; 조정레버
62; 인장코일스프링
64; 회전축
66; 유니온
68; 동력전달부재
70; 결합편
72; 제1로커
74; 탄성부재
본 발명은 최적의 운전자세에서 조정레버(RCV)를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의 조정레버 높낮이를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박스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콘솔박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구동축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서스펜션(1)(완충수단이 내부에 설치됨)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2)와,
베이스플레이트(2)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구동축(3) 및 힌지축(4)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며, 구동축(3)에 연결되는 조정핸들(9) 회전시 힌지축(4)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좌측 및 우측 콘솔박스(7,8)(console box)를 포함한다.
전술한 콘솔박스(7,8)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시 조작량에 대응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붐 또는 아암 등의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조정레버(5,6)(RCV)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콘솔박스 높낮이 조절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2)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브라킷(10)과,
브라킷(10)에 고정되는 상부핀(11)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아암(12)과,
상부아암(12) 하단에 고정되는 조절핀(13)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하부아암(14)과,
한 쌍의 조절핀(13)중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고 다른 하나를 통과하는 핸들축(15)의 구동에 따라, 상부아암(12)과 하부아암(14)을 링키지운동시키는 조정핸들(9)과,
하부아암(14) 하단에 고정되는 하부핀(17)과 구동축(3)에 양단이 고정되며, 조정핸들(9) 회전력을 구동축(3)에 전달하는 회전아암(18)을 포함한다.
따라서, 조정핸들(9)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아암(12)과 하부아암(14)을 핸들축(15)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킴에 따라, 하부핀(17)에 연결되는 회전아암(18)을 도면상,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즉, 회전아암(18)이 구동축(3)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 우, 하부핀(17)에 고정되는 콘솔박스(7,8)가 힌지축(4)을 중심축으로 하여 운전석쪽으로 틸팅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와 조정레버(5,6)사이의 거리는 좁혀진다.
반면에, 회전아암(18)이 구동축(3)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하부핀(17)에 고정되는 콘솔박스(7,8)가 힌지축(4)을 중심축으로 하여 운전석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와 조정레버(5,6)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는 장비의 특성상, 동일한 작업을 장시간 동안 반복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많게 되므로 운전자는 운전 습관, 체형에 따라 최적의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콘솔박스(8)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운전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조금 높여야될 경우(상향조정), 조정핸들(9)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콘솔박스(8)에 설치되는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A"지점(H 높이를 가짐)에서 "B"지점(H1 높이를 가짐)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콘솔박스(8)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핸들(9)을 회전시킬 경우, 콘솔박스(8)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구동축(3)에 가해지므로 조정핸들(9)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큰 힘이 요구된다.
한편,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조금 낮추어야될 경우(하향조정), 조정핸들(9)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콘솔박스(8)에 설치되는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A"지점(H 높이를 가짐)에서 "C"지점(H2 높이를 가짐)으로 조정할 수 있 다.
이때, 전술한 콘솔박스(8)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조정핸들(9)을 회전시킬 경우, 콘솔박스(6)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구동축(3)에 가해지므로 조정핸들(9)을 적은 힘으로도 조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높일 경우에는 조정핸들(9)을 회전시 큰 힘이 요구되므로 운전자는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또한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낮출 경우에는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므로, 조정레버(6)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조작력이 불균일하여 장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솔박스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콘솔박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적은 힘으로 구동축을 회전시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솔박스의 조정레버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콘솔박스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정핸들의 조작력이 일정하여 장비의 신뢰성을 갖도록 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과,
서스펜션에 장착되는 하판부재와,
하판부재에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재와,
하판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판부재에 타단이 고정되며, 장비의 전후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하판부재에 대한 상판부재의 상대운동으로 감쇄시키는 완충수단과,
상판부재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며 콘솔박스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프레임 일측에 설치되는 푸셔 조작시 하판부재에 대해 상판부재의 슬라이딩이동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수단과,
프레임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 외측면에 타단이 고정되며, 조정레버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을 조작하는모우멘트가 제로(zero)되도록 프레임에 대해 구동축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과,
서스펜션에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고정되고 콘솔박스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과,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과, 구동축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정하는 조정핸들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프레임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 외측면에 타단이 고정되며, 콘솔박스에 설치되는 조정레버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을 조작하는 모우멘트가 제로(zero)되도록 프레임에 대해 구동축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술한 높낮이 조절수단은,
프레임 일측면 전방에 고정되는 브라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조정핸들이 일단에 형성되고 나사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도록 결합공이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유니온과,
유니온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 외측면에 장착된 브라킷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조정핸들 회전시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니온에 의해 동력전달부재를 밀거나 잡아당겨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구동축을 회동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한다.
전술한 로킹수단은,
하판부재 바닥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로킹홈과,
상판부재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이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판부재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이 상면에 형성되는 제1로커와, 제1로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커로 이루어진 로커와,
로킹홈에 결합편이 로킹되도록 제1로커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푸셔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고정편에 타단이 고정되며, 푸셔 조작에 따라 로킹홈에 대해 결합편을 착탈시켜 하판부재에 대해 상판부재를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50)과,
서스펜션(50)에 장착되는 하판부재(51)와,
하판부재(51)에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재(52)와,
하판부재(5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판부재(52)에 타단이 고정되며, 장비의 전후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하판부재(51)에 대한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으로 감쇄시키는 완충수단과,
상판부재(52)에 장착되는 프레임(53)과, 프레임(53)에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56)과, 프레임(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57)과, 구동축(57)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핸들(58)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프레임(53) 일측에 설치되는 푸셔(59) 조작시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슬라이딩이동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수단과,
프레임(53)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쇠(90)에 타단이 고정되며, 조정레버(60,61)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57)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58)을 조작하는 모우멘트(M)가 제로(M = 0)되도록 프레임(53)에 대해 구동축(57)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62)을 포함한다.
전술한 높낮이 조절수단은,
프레임(53) 일측면 전방에 고정되는 브라킷(6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조정핸들(58)이 일단에 형성되고 나사부(65)가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축(64)과,
나사부(65)에 나사결합되도록 결합공이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유니온(66)과,
유니온(66)의 양단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장착된 브라킷(67)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68)를 포함하여,
조정핸들(58) 회전시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니온(66)에 의해 동력전달부재(68)를 밀거나 잡아당겨 힌지축(56)을 중심축으로 하여 구동축(57)을 회동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한다.
전술한 로킹수단은,
하판부재(51) 바닥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로킹홈(69)과,
상판부재(52)에 형성된 결합홈(75)에 결합되는 결합핀(76)에 의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킹홈(69)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70)이 바닥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판부재(52)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71)이 상면에 형성되며 일측면에 결합핀(77)이 형성되는 제1로커(72)와, 제1로커(7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핀(77)이 결합되는 결합홈(78)이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로커(73)로 이루어진 로커와,
로킹홈(69)에 결합편(70)이 로킹되도록 제1로커(7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74)(일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상판부재(52)와 제1로커(72) 상면사이에 설치됨)와,
푸셔(59)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고정편(71)에 타단이 고정되며, 푸셔(59) 조작에 따라 로킹홈(69)에 대해 결합편(70)을 착탈시켜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를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케이블(79)을 포함한다.
즉, 운전자에 의해 푸셔(59) 조작시 케이블(79)에 의해 로킹홈(69)에 대해 결합편(70)을 착탈시킴에 따라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슬라이딩이동 되는 것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킬 수 있다.
전술한 완충수단은,
상판부재(52)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1고정봉(84)에 일단이 고정되고, 하판부재(51)의 중간위치에 형성되는 고정편(85)에 타단이 고정되는 제1탄성부재(86)와,
하판부재(51)의 고정편(85)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판부재(52)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2고정봉(87)에 타단이 고정되며, 제1탄성부재(86)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88)와,
상판부재(52) 후방에 헤드부가 고정되고 하판부재(51)의 전방에 형성되는 고정편(미도시됨)에 로드부가 고정되며, 제1,2탄성부재(86,88)와 대항되게 배치되는 댐퍼(89)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2탄성부재(86,88) 및 댐퍼(89)는 장비의 전후 방향(장비가 주행하는 X축 방향을 말함)으로 인장력 및 완충력이 발휘되도록 설치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91은 푸셔(59)가 전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레임(53)에 장착되는 플레이트이고, 100은 프레임(53)에 장착되고 시이트의 쿠션이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는 플레이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서스펜션(50)과, 조작레버(60,61)의 조작량에 대응하여 구동되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붐 등의 작업장치를 제어하는 콘솔박스(54,55)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프레임(53) 전방에 형성되는 푸셔(59)를 조작하여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푸셔(59) 바닥면에 고정되는 케이블(79)의 인장력에 의해 제1,2로커(72,73)를 장비의 후방으로 잡아당긴다. 제1,2로커(72,73)의 회동으로 제1,2로커(72,73) 바닥면에 형성된 결합편(70)이 하판부재(51)의 로킹홈(69)으로부터 각각 이탈된다. 이로 인해 하판부재(51)에 대한 상판부재(52)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진다. 상판부재(52)의 좌우측에 설치된 롤러(80,81)가 하판부재(51)의 좌우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82,83)을 따라 소정구간내에서 장비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중 또는 주행중 장비에 전후 방향으로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제1,2탄성부재(86,88)의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에 의해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댐퍼(89)의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완충력에 의해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1,2탄성부재(86,88)의 인장력과 댐퍼(89)의 완충력에 의해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중 또는 주행시 장비에 전후 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해 푸셔(59)를 초기위치로 들어올리는 경우, 케이블(79)의 압축력에 의해 고정편(71)를 장비의 전방으로 가압한다. 제1,2로커(72,73)의 회동으로 인해 제1,2로커(72,73) 바닥면에 형성되는 결합편(70)이 하판부재(51)의 로킹홈(69)에 각각 결합된다. 이로 인해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는 로킹된다.
즉, 하판부재(51)에 대한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이 불가능해져 장비에 전후 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쇄시키는 완충기능이 해제된다.
한편, 중장비는 장비 특성상, 동일한 작업을 장시간 동안 반복하여 작업하는 경우가 많게 되므로, 운전자는 운전 습관, 체형에 따라 최적의 운전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콘솔박스(54,55)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운전자에 의해 조정핸들(5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은 회전축(64)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66)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로 인해 유니온(66)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동력전달부재(68)를 장비의 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좌측 및 우측 콘솔박스(54,55)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57)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콘솔박스(54,55)를 운전자 쪽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반면에, 조정핸들(58)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64) 타단에 나사결합되는 유니온(66)에 의해 동력전달부재(68)를 장비의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좌측 및 우측 콘솔박스(54,55)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57)을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콘솔박스(54,55)를 운전실 내부 바닥면쪽으로 끌어내리게 된다.
따라서, 운전석의 좌측 및 우측에 장착되는 콘솔박스(54,55)의 조정레버(60,61)를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 요구되는 최적의 운전자세에서 조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며 쾌적한 작업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53)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쇠(90)에 타단이 고정되는 인장코일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해 조정핸들(58)을 적은 힘으로 조작하여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핸들(58)을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축(57)을 기준으로 모우멘트가 제로(zero)가 될 경우 아래의 관계식이 성립된다.
((P(LH) × L1) + (P(RH) × L1)) = (P(SPRING) × L2).....(1)
P(SPRING) = ((P(LH) × L1) + (P(RH) × L1)) / L2..........(2)
이때, P(LH)는 구동축(57)의 우측단에 형성되어 우측 콘솔박스(55)를 회전시키는 레버(57a)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의미하고, P(RH)는 구동축(57)의 좌측단에 형성되어 좌측 콘솔박스(54)를 회전시키는 레버(57b)에 작용하는 회전력을 의미하며, L1은 구동축(57)의 중심축과 레버(57a,57b)의 중심축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하며, L2는 구동축(57)의 중심축과 인장코일스프링(62)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중심점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하며, P(SPRING)은 인장코일스프링(62)에 작용하는 인장력이다.
즉, 콘솔박스(54,55)의 조정레버(60,61)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조정레버(6)가 도 3에 도시된 "A"위치에 놓인 초기상태를 말함), 인장코일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해 조정핸들(58)을 조작시 소요되는 힘이 제로(도 3에 도시된 조정레버의 "A"위치에서의 모우멘트 값을 "0"으로 정의한다)이므로, 구동축(57)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정핸들(58)을 시계방향으로 조작하여 콘솔박스(54,55)를 운전자쪽으로 들어올릴 경우(도 3에 도시된 조정레버(6)의 높이를 변경(H→H1)할 경우를 말함), 조정핸들(58)을 조작하는 모우멘트가 제로인 상태에서(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레버(6)가 높이(H)를 유지할 경우를 말함), 인장코일스프링(62)의 인장력이 프레임(53)에 대해 구동축(57)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항시 작용하게 되므로, 조정핸들(58)을 조작시 적은 힘이 요구되어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반대로, 조정핸들(58)을 반시계방향으로 조작하여 콘솔박스(54,55)를 운전실 바닥면쪽으로 끌어내릴 경우, 인장코일스프링(62)의 인장력에 의해 콘솔박스(54,55)를 들어올릴 경우와 동일한 조작력이 요구되므로 장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50)과,
서스펜션(50)에 장착되는 프레임(53)과, 프레임(53)에 고정되고 콘솔박스(54,55)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56)과, 프레임(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57)과, 구동축(57)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정하는 조정핸들(58)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과,
프레임(53)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쇠(90)에 타단이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에 설치되는 조정레버(60,61)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57)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58)을 조작하는 모우멘트가 제로(zero)되도록 프레임(53)에 대해 구동축(57)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62)을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높낮이 조절수단 및 인장코일스프링(6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프레임(53) 일측면에 콘솔박스(54,55) 높낮이 조절수단을 설치하고, 프레임(53) 타측면과 구동축(57) 외측면에 인장코일스프링(62)의 양단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에 사용되는 해당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운전석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는 콘솔박스의 자중으로 인한 하중이 콘솔박스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구동축을 적은 힘으로 회전시켜 콘솔박스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콘솔박스의 조정레버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콘솔박스의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정핸들의 조작력이 일정하여 장비의 신뢰성을 갖는다.

Claims (5)

  1.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50);
    상기 서스펜션(50)에 장착되는 하판부재(51);
    상기 하판부재(51)에 장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판부재(52);
    상기 하판부재(51)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판부재(52)에 타단이 고정되며, 장비의 전후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하판부재(51)에 대한 상판부재(52)의 상대운동으로 감쇄시키는 완충수단;
    상기 상판부재(52)에 장착되는 프레임(53)과, 프레임(53)에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56)과, 프레임(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57)과, 구동축(57)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정핸들(58)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상기 프레임(53) 일측에 설치되는 푸셔(59) 조작시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의 슬라이딩이동을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로킹수단; 및
    상기 프레임(53)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타단이 고정되며, 조정레버(60,61)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57)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58)을 조작하는 모우멘트가 제로(zero)되도록 프레임(53)에 대해 구동축(57)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53) 일측면 전방에 고정되는 브라킷(6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조정핸들(58)이 일단에 형성되고 나사부(65)가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축(64);
    상기 나사부(65)에 나사결합되도록 결합공이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유니온(66); 및
    상기 유니온(66)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장착된 브라킷(67)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68)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핸들(58) 회전시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니온(66)에 의해 동력전달부재(68)를 밀거나 잡아당겨 힌지축(56)을 중심축으로 하여 구동축(57)을 회동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하판부재(51) 바닥면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로킹홈(69);
    상기 상판부재(5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로킹홈(69)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70)이 바닥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판부재(52) 상측으로 돌출되는 고정편(71)이 상면에 형성되는 제1로커(72)와, 제1로커(7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로커(73)로 이루어진 로커;
    상기 로킹홈(69)에 결합편(70)이 로킹되도록 제1로커(7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74); 및
    푸셔(59)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고정편(71)에 타단이 고정되며, 푸셔(59) 조작에 따라 로킹홈(69)에 대해 결합편(70)을 착탈시켜 하판부재(51)에 대해 상판부재(52)를 로킹 및 로킹해제시키는 케이블(7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
  4. 운전실 내부 바닥면에 장착되는 서스펜션(50);
    상기 서스펜션(50)에 장착되는 프레임(53);
    상기 프레임(53)에 고정되고 콘솔박스(54,55) 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힌지축(56)과, 프레임(5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 전방에 양단이 고정되는 구동축(57)과, 구동축(57)에 연결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콘솔박스(54,55) 높낮이를 조정하는 조정핸들(58)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수단; 및
    상기 프레임(53) 타측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타단이 고정되며, 콘솔박스(54,55)에 설치되는 조정레버(60,61)가 소정높이의 위치에 셋팅될 경우, 구동축(57)을 회전시키도록 조정핸들(58)을 조작하는 모우멘트가 제로(zero)되도록 프레임(53)에 대해 구동축(57)을 탄성지지하는 인장코일스프링(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53) 일측면 전방에 고정되는 브라킷(6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조정핸들(58)이 일단에 형성되고 나사부(65)가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축(64);
    상기 나사부(65)에 나사결합되도록 결합공이 중앙에 관통형성되며,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유니온(66); 및
    상기 유니온(66)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축(57) 외측면에 장착된 브라킷(67)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68)를 포함하여,
    상기 조정핸들(58) 회전시 회전축(6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유니온(66)에 의해 동력전달부재(68)를 밀거나 잡아당겨 힌지축(56)을 중심축으로 하여 구동축(57)을 회동시켜 콘솔박스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 콘솔박스.
KR1020070036995A 2007-04-16 2007-04-16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KR100910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95A KR100910168B1 (ko) 2007-04-16 2007-04-16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US12/080,481 US20080252127A1 (en) 2007-04-16 2008-04-03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heavy equipment console box having weight balancing
EP08007088A EP1982865B1 (en) 2007-04-16 2008-04-10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heavy equipment console box having weight balancing
JP2008104482A JP5237676B2 (ja) 2007-04-16 2008-04-14 重量バランスを有する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高低調節装置
CN2008100904392A CN101289157B (zh) 2007-04-16 2008-04-14 用于具有重量平衡的重型设备控制箱的高度调节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995A KR100910168B1 (ko) 2007-04-16 2007-04-16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276A KR20080093276A (ko) 2008-10-21
KR100910168B1 true KR100910168B1 (ko) 2009-07-31

Family

ID=3967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995A KR100910168B1 (ko) 2007-04-16 2007-04-16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52127A1 (ko)
EP (1) EP1982865B1 (ko)
JP (1) JP5237676B2 (ko)
KR (1) KR100910168B1 (ko)
CN (1) CN10128915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857B1 (ko) * 2013-04-01 2015-08-27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레버스탠드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4273B1 (fr) * 2015-11-30 2018-01-05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Console coulissante, gamme de consoles, procede de production correspondant
CN106004555A (zh) * 2016-06-18 2016-10-12 金余和 一种双向提篮式安全座椅底座总成
CN107075834B (zh) * 2016-10-21 2019-05-1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JP6606117B2 (ja) * 2017-03-29 2019-11-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DE102017129556B4 (de) * 2017-12-12 2023-03-09 Grammer Aktiengesellschaft Fahrzeugsitz mit Verstelleinrichtung
EP3663128B1 (en) * 2018-12-06 2023-10-04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CN112429670B (zh) * 2020-11-24 2021-07-09 为康(苏州)基因科技有限公司 一种基因检测设备移动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506Y2 (ja) * 1988-05-20 1995-1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基板回路検査装置
KR19990014185A (ko) * 1997-07-25 1999-02-25 오오우라 히로시 반도체 디바이스 시험장치의 테스트헤드 위치결정장치
JPH11128277A (ja) 1997-10-23 1999-05-18 Akira Korosue レバー操作式車椅子
JP2000093393A (ja) * 1998-09-09 2000-04-04 Siemens Ag 医療装置の調整可能な検査装置に対する重量バラン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29017A (en) * 1943-06-14 1947-10-14 Rose John P De Adjustable seat support
US3853298A (en) * 1973-06-11 1974-12-10 Gen Motors Corp Energy absorbing seat adjuster
US4125242A (en) * 1974-09-28 1978-11-14 Messrs. Willibald Grammer Spring mounted seat with height adjustment
FR2374186A1 (fr) * 1976-12-17 1978-07-13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Siege pour vehicules, en particulier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4344597A (en) * 1980-04-21 1982-08-17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Vehicle seat with fore-and-aft shock isolation
JPS59102658U (ja) * 1982-12-25 1984-07-10 三菱農機株式会社 作業車輛におけるシ−ト装置
US4607884A (en) * 1984-08-06 1986-08-26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easy entry seat latching mechanism
US4611783A (en) * 1985-01-04 1986-09-16 Tachikawa Spring Co., Ltd. Body-weight adjusting device of a seat suspension
JPS6282828U (ko) * 1985-11-14 1987-05-27
US5011109A (en) * 1989-03-18 1991-04-30 Tachi-S Co., Ltd. Suspension device for seat
JPH06228987A (ja) * 1993-02-03 1994-08-1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における回動式操作レバー装置
US5364060A (en) * 1993-03-19 1994-11-15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mechanized seat suspension
JPH0790882A (ja) * 1993-09-27 1995-04-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操作スタンド装置
JP3757320B2 (ja) * 1995-07-19 2006-03-22 カイペル・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 自動車の座席を長手方向に調節する装置
JPH09302726A (ja) * 1996-05-11 1997-11-25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操縦装置
CN2299762Y (zh) * 1997-06-24 1998-12-09 上海交运股份有限公司 工程机械座椅可调式缓冲装置
KR100430399B1 (ko) * 2001-12-18 2004-05-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조종박스의 높낮이 조절장치
JP3696574B2 (ja) * 2002-05-28 2005-09-21 しげる工業株式会社 車両の座席高さ調節装置
JP2005096746A (ja) * 2003-08-22 2005-04-14 Komatsu Ltd 作業車両の運転シート支持装置
KR100900434B1 (ko) * 2007-04-16 2009-06-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전후방향의 완충수단이 장착된 중장비용 시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506Y2 (ja) * 1988-05-20 1995-12-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基板回路検査装置
KR19990014185A (ko) * 1997-07-25 1999-02-25 오오우라 히로시 반도체 디바이스 시험장치의 테스트헤드 위치결정장치
JPH11128277A (ja) 1997-10-23 1999-05-18 Akira Korosue レバー操作式車椅子
JP2000093393A (ja) * 1998-09-09 2000-04-04 Siemens Ag 医療装置の調整可能な検査装置に対する重量バラン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857B1 (ko) * 2013-04-01 2015-08-27 임국건 작업용 차량의 레버스탠드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7676B2 (ja) 2013-07-17
CN101289157B (zh) 2013-09-11
EP1982865A3 (en) 2009-10-21
EP1982865A2 (en) 2008-10-22
CN101289157A (zh) 2008-10-22
EP1982865B1 (en) 2012-02-29
US20080252127A1 (en) 2008-10-16
JP2008267131A (ja) 2008-11-06
KR20080093276A (ko)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68B1 (ko)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JP5362248B2 (ja) 前後方向の緩衝手段を備えた建設機械用シート
US8690221B2 (en) Working vehicle
KR102037294B1 (ko)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JP4286183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CN110126745B (zh) 可调式升降扶手箱
JP3408920B2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
JP6743298B2 (ja) 家具駆動装置
JP6537283B2 (ja) 作業機
KR102023198B1 (ko) 건설기계용 시트장치
JP5437091B2 (ja) 乗用型田植機
WO2023153348A1 (ja) 建設機械
WO2024043003A1 (ja) 操作機構及び作業車
JP4304455B2 (ja) 草刈り機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CN218986840U (zh) 卡丁车车架及其装配机构
KR102201633B1 (ko) 지게차 시트의 서스펜션
CN218986839U (zh) 一种卡丁车及其车架
JP2014210519A (ja) 座席シートの高さ調節装置
KR100322407B1 (ko) 시트서스펜션장치
JPH071927Y2 (ja) トラクタのドラフ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1352802A (ja) 耕耘ロータリ装置のハンガーロッド支持構造
JPH10181405A (ja) シー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9238856A (ja) 理美容用機器の昇降及び前後移動用装置
JPH0639567U (ja) 荷重調整式座席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