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225B1 -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225B1
KR101709225B1 KR1020160006567A KR20160006567A KR101709225B1 KR 101709225 B1 KR101709225 B1 KR 101709225B1 KR 1020160006567 A KR1020160006567 A KR 1020160006567A KR 20160006567 A KR20160006567 A KR 20160006567A KR 101709225 B1 KR101709225 B1 KR 101709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late
sealing
air knife
support
seal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기복
김윤자
강법성
강식
강민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에코
Priority to KR102016000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설치하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도금강판(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실링몸체(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도금강판(A)의 전면 및 후면으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한 쌍의 에어나이프(130); 상기 실링몸체(1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실링판(140); 상기 실링몸체(12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의 양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실링판(160);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80);를 포함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링판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 및 밀폐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탕면과 에어나이프 사이를 밀폐시켜 도금강판의 불량 및 표면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실링판의 전면 및 후면 또는 양측을 작업공정 또는 유지보수에 따라서 개방 또는 밀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링판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질소가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non-oxizational hot dipping coating air knife system for plating high-anticorosive}
본 발명은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링판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하여 무산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도금강판의 도금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나이프는 도금강판의 표면에 고압가스를 분사하여 아연의 도금부착량을 조절하고, 실링판(실링박스)은 에어나이프를 전체적으로 밀폐하여 도금강판의 표면 산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링판은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에어나이프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할 경우 신속한 대응이 불가능하여 무산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밀폐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구조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여기서 대기중의 공기 및 이물질이 실링판의 내부로 쉽게 유입되면서 도금강판의 불량 및 표면 산화 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의 실링판은 에어나이프의 와이핑 과정에서 외측으로 밀려나오면서 질소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어 도금강판의 생산품질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일본공개특허 제55062154호(1980.05.10) 일본공개특허 제55110767호(1980.08.26) 일본공개특허 제55110770호(1980.08.26) 일본공개특허 제59226169호(1984.12.19) 한국등록특허 제10-0723125호(2007.05.30) 한국등록특허 제10-0928805호(2009.11.25) 한국등록특허 제10-0929485호(2009.12.02) 한국등록특허 제10-1222346호(2013.01.14) 한국등록특허 제10-1461720호(2014.11.1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나이프의 위치에 따라서 실링판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하여 에어나이프와 탕면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실링판의 전방 및 후방 또는 양측을 개별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링판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100)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설치하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도금강판(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실링몸체(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도금강판(A)의 전면 및 후면으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한 쌍의 에어나이프(130); 상기 실링몸체(1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실링판(140); 상기 실링몸체(12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의 양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실링판(160);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상기 에어나이프(130)를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포지셔너(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실링판(140)의 내측에 맞닿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보조실링판(14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1걸림턱(14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실링판(160)의 내측에 맞닿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보조실링판(161)을 구비하고,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2걸림턱(1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구동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51); 상기 제1실링판(140)의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롤러(151)를 순환하는 다수개의 연결체(152); 상기 연결체(152)를 서로 연결하는 나선축(153);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나선축(153)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54); 상기 기어박스(154)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구동부재(17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71);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72); 양측에 보조롤러(173)를 구비하는 지지대(174); 상기 고정구(172)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롤러(173)와 롤러(171)를 순환한 후 상기 제2실링판(160)과 설치하는 연결체(175);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74)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76); 상기 기어박스(176)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7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180)는 상기 제1실링판(140)의 제1보조실링판(141) 및 상기 제2실링판(160)의 제2보조실링판(161)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지지구(181);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형성한 힌지축(18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대(183); 상기 연결대(183)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롤러(184);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축(185);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8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통공(181a)을 형성하고,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연결대(183)와 맞닿아 정지시키는 걸림축(18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링판의 높이 및 길이를 조절하여 작업효율 및 밀폐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탕면과 에어나이프 사이를 밀폐시켜 도금강판의 불량 및 표면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실링판의 전면 및 후면 또는 양측을 작업공정 또는 유지보수에 따라서 개방 또는 밀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실링판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질소가스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설치하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도금강판(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실링몸체(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도금강판(A)의 전면 및 후면으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한 쌍의 에어나이프(130); 상기 실링몸체(1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실링판(140); 상기 실링몸체(12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의 양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실링판(160);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8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상기 에어나이프(130)를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포지셔너(11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포지셔너(111) 및 에어나이프(130)와 유입관(131)은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몸체(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도금강판(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은 작업공정 또는 유지보수에 따라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개방 또는 밀폐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은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을 갖는 것으로, 내부에 에어나이프가 위치하고 도금강판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실링판(140)은 에어나이프(130)의 위치 및 작업효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실링몸체(120)의 전방 및 후방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실링판(140)의 내측에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보조실링판(141)을 구비하여 에어나이프(13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1실링판(140)과 제1보조실링판(141)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탕면과 에어나이프(130)의 사이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1걸림턱(142)을 형성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이 상승할 경우 상기 제1걸림턱(142)과 맞닿아 동시에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1실링판(14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의 외측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미 도시함)를 구비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과 제1보조실링판(141)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질 경우 빈틈을 방지하여 질소가스의 외부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은 상기 실링몸체(12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되므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와 실링몸체(120)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유도축(121)을 구비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이 유도축(12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구동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51); 상기 제1실링판(140)의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롤러(151)를 순환하는 다수개의 연결체(152); 상기 연결체(152)를 서로 연결하는 나선축(153);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나선축(153)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54); 상기 기어박스(154)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5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선축(153)은 상기 기어박스(154)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상기 연결체(152)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제1실링판(14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롤러(151) 및 연결체(152)는 스프로킷 및 체인 또는 풀리 및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55)의 작동으로 상기 기어박스(154)와 나선축(153)이 회전하면서 상기 제1실링판(140)을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실링판(160)은 에어나이프(130)의 위치 및 작업효율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면서 상기 실링몸체(120)의 양측을 개방 또는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판(160)의 내측에 맞닿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보조실링판(161)을 구비하여 에어나이프(130)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제2실링판(160)과 제2보조실링판(161)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면서 길이를 조절하여 탕면과 에어나이프(130)의 사이를 효율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2걸림턱(162)을 형성하여 상기 제2실링판(160)이 상승할 경우 상기 제1제2걸림턱(162)과 맞닿아 동시에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2실링판(160)의 내측면 또는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의 외측면에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밀착돌기(미 도시함)를 구비하여 상기 제2실링판(160)과 제2보조실링판(161)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질 경우 빈틈을 방지하여 질소가스의 외부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은 상기 실링몸체(120)의 상부면에 맞닿게 되므로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110)와 실링몸체(120)의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유도축(121)을 구비하여 상기 제2실링판(160)이 유도축(121)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구동부재(17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71);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72); 양측에 보조롤러(173)를 구비하는 지지대(174); 상기 고정구(172)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롤러(173)와 롤러(171)를 순환한 후 상기 제2실링판(160)과 설치하는 연결체(175);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74)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76); 상기 기어박스(176)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7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롤러(173) 및 연결체(175)는 스프로킷 및 체인 또는 풀리 및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77)의 작동으로 상기 기어박스(154)가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대(174)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제2실링판(160)을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180)는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에어나이프(130)의 와이핑 과정에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1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판(140)의 제1보조실링판(141) 및 상기 제2실링판(160)의 제2보조실링판(161)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지지구(181);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형성한 힌지축(18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대(183); 상기 연결대(183)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롤러(184);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축(185);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8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통공(181a)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축(12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하부에 상기 연결대(183)와 맞닿아 정지시키는 걸림축(181b)을 구비하여 상기 연결대(183)가 더 이상 내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186)은 평소에 상기 연결대(183)의 상부를 외측으로 밀어서 상기 힌지축(182)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롤러(184)가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표면에 맞닿아 흔들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185)은 볼트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회전시켜 상기 연결대(183)의 상부가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강판(A)의 도금부착량 또는 작업효율에 따라서 에어나이프(13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실링판(140)과 제1보조실링판(141) 및 제2실링판(160)과 제2보조실링판(161)이 서로 펼쳐진 상태로 탕면과 에어나이프(130)의 사이를 밀폐시켜 도금강판의 불량 및 표면 산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110: 몸체 111: 포지셔너
120: 실링몸체 130: 에어나이프
140: 제1실링판 141: 제1보조실링판
142: 제1걸림턱
150: 제1구동부재 151: 롤러
152: 연결체 153: 나선축
154: 기어박스 155: 모터
160: 제2실링판 161: 제2보조실링판
162: 제2걸림턱
170: 제2구동부재 171: 롤러
172: 고정구 173: 보조롤러
174: 지지대 175: 연결체
176: 기어박스 177: 모터
180: 지지부재 181: 지지구
181a: 통공 181b: 걸림축
182: 힌지축 183: 연결대
184: 지지롤러 185: 지지축
186: 스프링
A: 도금강판

Claims (9)

  1.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중앙에 설치하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도금강판(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실링몸체(120); 상기 몸체(110)의 내측 전방 및 후방에 설치하여 도금강판(A)의 전면 및 후면으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한 쌍의 에어나이프(130); 상기 실링몸체(1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실링판(140); 상기 실링몸체(12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의 양측면과 맞닿은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2실링판(160);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외측면을 지지하여 외측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부재(18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180)는 상기 제1실링판(140)의 제1보조실링판(141) 및 상기 제2실링판(160)의 제2보조실링판(161) 상부에 각각 설치하는 지지구(181);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형성한 힌지축(182)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연결대(183); 상기 연결대(183)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제1실링판(140) 및 제2실링판(160)의 표면에 맞닿아 회전하는 지지롤러(184);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축(185); 상기 지지구(181)와 연결대(183)의 사이에 형성하는 스프링(18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상기 에어나이프(130)를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포지셔너(1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판(140)의 내측에 맞닿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보조실링판(14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보조실링판(141)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1걸림턱(142)을 형성하며, 상기 제2실링판(160)의 내측에 맞닿을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2보조실링판(161)을 구비하고, 상기 제2보조실링판(161)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제2걸림턱(16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1실링판(14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재(15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51); 상기 제1실링판(140)의 일측에 시작하여 상기 롤러(151)를 순환하는 다수개의 연결체(152); 상기 연결체(152)를 서로 연결하는 나선축(153);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나선축(153)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54); 상기 기어박스(154)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5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상부에 상기 제2실링판(16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재(17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하는 다수개의 롤러(171); 상기 몸체(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하는 고정구(172); 양측에 보조롤러(173)를 구비하는 지지대(174); 상기 고정구(172)를 연결하여 상기 보조롤러(173)와 롤러(171)를 순환한 후 상기 제2실링판(160)과 설치하는 연결체(175); 상기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174)과 연결하는 기어박스(176); 상기 기어박스(176)의 일측에 연결하는 모터(17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81)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통공(181a)을 형성하고,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연결대(183)와 맞닿아 정지시키는 걸림축(181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KR1020160006567A 2016-01-19 2016-01-19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KR101709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567A KR101709225B1 (ko) 2016-01-19 2016-01-19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567A KR101709225B1 (ko) 2016-01-19 2016-01-19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225B1 true KR101709225B1 (ko) 2017-02-24

Family

ID=5831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567A KR101709225B1 (ko) 2016-01-19 2016-01-19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22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2154A (en) 1978-11-02 1980-05-10 Nippon Steel Corp Hot dipping unit
JPS55110770A (en) 1979-02-20 1980-08-26 Nippon Steel Corp Gas wiping method in hot dipping process
JPS55110767A (en) 1979-02-16 1980-08-26 Nippon Steel Corp Hot dipping apparatus of strip
JPS59226169A (ja) 1983-06-03 1984-12-19 Kawasaki Heavy Ind Ltd 溶融めつき設備の密閉装置
KR100723125B1 (ko) 2005-07-05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 주변의 가스 포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아연도금 방법
KR100928805B1 (ko) 2002-12-27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이 미려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0929485B1 (ko) 2002-12-23 2009-12-02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장치
KR20120032283A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포스코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101222346B1 (ko) 2010-12-13 2013-01-14 동부제철 주식회사 용융도금강판 제조장치
KR20140081624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KR101461720B1 (ko) 2012-10-26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조 탕면의 이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2154A (en) 1978-11-02 1980-05-10 Nippon Steel Corp Hot dipping unit
JPS55110767A (en) 1979-02-16 1980-08-26 Nippon Steel Corp Hot dipping apparatus of strip
JPS55110770A (en) 1979-02-20 1980-08-26 Nippon Steel Corp Gas wiping method in hot dipping process
JPS59226169A (ja) 1983-06-03 1984-12-19 Kawasaki Heavy Ind Ltd 溶融めつき設備の密閉装置
KR100929485B1 (ko) 2002-12-23 2009-12-02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0928805B1 (ko) 2002-12-27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이 미려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KR100723125B1 (ko) 2005-07-05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 주변의 가스 포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아연도금 방법
KR20120032283A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포스코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101222346B1 (ko) 2010-12-13 2013-01-14 동부제철 주식회사 용융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1461720B1 (ko) 2012-10-26 2014-11-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조 탕면의 이물 제거장치
KR20140081624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포스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40060B (zh) 热浸镀覆钢板的冷却装置
KR101461746B1 (ko)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KR101815571B1 (ko) 접착용 유체 자동도포장치
WO2016024537A1 (ja) 鋼帯の製造装置
KR101709225B1 (ko)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CN105129426A (zh) 水转印生产线
KR101709226B1 (ko)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장치
KR20160053661A (ko) 틸트 기능을 가진 피도금물 캐리어 이송장치
CN105525322A (zh) 一种板材输送机构以及电镀设备
KR101803817B1 (ko)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씰링장치
KR101307941B1 (ko) 자동차 차체 하도 도장용 이송 장치
JP4807621B2 (ja) 塗装処理装置及び塗装処理方法
CN210718518U (zh) Led支架电镀用连续烘干设备
KR101222346B1 (ko) 용융도금강판 제조장치
KR101039785B1 (ko) 건조기
CN214422721U (zh) 一种热镀锌加工用工件挂具结构
KR200218294Y1 (ko) 후행 스트립의 선단부 안내장치
US1187601A (en) Wind-motor.
CN204980367U (zh) 水转印生产线
KR20220027542A (ko) 아연도금조의 드로스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용융아연 도금 설비
JP2016037659A (ja) 鋼帯の製造方法及び鋼帯
KR20190111211A (ko) 도금욕조의 잉곳 공급장치
KR200486576Y1 (ko) 도장용 레시프로케이터
CN103691622B (zh) 一种自动涂料机
KR101527923B1 (ko) 침지식 코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