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624A -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624A
KR20140081624A KR1020120151571A KR20120151571A KR20140081624A KR 20140081624 A KR20140081624 A KR 20140081624A KR 1020120151571 A KR1020120151571 A KR 1020120151571A KR 20120151571 A KR20120151571 A KR 20120151571A KR 20140081624 A KR20140081624 A KR 20140081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wiping
gas
wiping unit
side wall
wa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746B1 (ko
Inventor
이동은
이태현
이옥산
김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1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7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1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는, 한 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실링 구조체; 또는,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는 실링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와이핑 설비를 포위하는 실링 설비(박스)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차단을 통한 안정적인 무산화 분위기의 유지를 구현하고, 미산화 아연 입자는 도금조 탕면에서 용융되어,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 발생을 억제 가능하게 하고, 드로스 제거에 따른 조업 부하나 도금 강판의 표면 결함 요인을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강판 도금시 고속 통판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Inoxidizable Gas Wi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와이핑 설비를 포위하는 실링 설비(박스)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차단을 통한 안정적인 무산화 분위기의 유지를 구현하고, 미산화 아연 입자는 도금조 탕면에서 용융되어,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 발생을 억제 가능하게 하고, 드로스 제거에 따른 조업 부하나 도금 강판의 표면 결함 요인을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강판 도금시 고속 통판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가능하게 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강판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특히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용 강판용 사용되는 도금강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와 관련된 강판의 도금과 관련된 도금 환경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강판(S)은 스나우트(210)를 통과하여 용융금속(222)이 채워진 도금조(220)의 싱크롤(230)과 스테빌라이징 롤(240)을 거쳐 가스 와이핑 장치(100)사이에서 도금두께가 조정된다.
이때, 가스 와이핑 장치(100)의 주변으로 와이핑 장치를 포위하는 실링박스(110)가 제공되어 도금강판(S)은 실링박스(110)의 출구(미부호)를 통과하여 진행되면서 아연 도금이 이루어진다.
즉, 강판의 연속 도금시 강판(냉연강판)은 도금용액 즉, 용융아연이 채워진 도금조(220)를 통과하여 도금되는데, 이와 같은 도금강판의 도금두께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금조 상에서 가스를 강판을 향하여 분사하는 가스 와이핑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가스 와이핑 장치(100)에서 분사된 와이핑 가스(Wiping Gas)는 강판 충돌 후, 강판 벽면을 따라 측면 제트를 형성하고 와이핑 제트에 의한 전단응력이 응고전 아연 표층에 형성된 미세한 산화막(ZnO)의 파열에 필요한 임계응력을 초과하는 경우, 미세 웨이브(Wave) 즉, 도금강판에 흐름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즉, 강판과 아연 도금층의 표층부에 (고상) 산화막이 발생되고, 이와 같은 아연 산화막 (고상 산화막)은 순수 아연도금층과의 유동성 차이로 가스 와이핑시 산화막에서 크랙으로 발전하고, 이와 같은 크랙으로 인하여 도금강판의 표면에 흐름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아연 도금강판의 표층부에 발생되는 대표적인 표면결함 즉, 흐름무늬를 억제하기 위하여는 도금 표층부에 형성되는 산화막(고상 산화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는 것과 함께 가스 와이핑시 산화막을 파쇄(크랙시키는)하는 전단 응력의 최소화가 중요한 인자가 된다.
예를 들어, 표층의 산화막(층)이 발생되지 않으면 가스 와이핑시 전단응력이 높아도 도금층의 표면장력이 균일하기 때문에, 흐름무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이와 같은 흐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산화막의 형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스 와이핑이 이루어지는 가스 와이핑 존을 포위하는 차폐수단 예컨대, 실링박스(110)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실링박스(110)와 관련되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27917호와 일본 공개특허 제2011-105987호 등에서 관련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공개 특허들에서 제안하는 종래의 다른 실링박스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스 와이핑 존을 포위하는 실링박스을 제공하여 가스 와이핑을 무산화 분위기에서 수행하도록 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도금 표층부의 (고상) 산화막의 형성을 억제하여 도금 강판의 흐름무늬 결함을 방지하나, 고정 설치 구조이기 때문에, 도금조 탕면상의 상부 드로스의 배출이 어렵고, 또는 실링박스의 하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상부 드로스의 배출을 유도하나, 실제 조업시 상기 구멍은 쉽게 막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고정 구조의 실링박스에 개폐부(도어)나 내열천을 설치하여 그 부분을 통하여 작업자가 긴 작업대를 이용하여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 를 제거하기는 하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가스 와이핑 설비를 포위하는 실링 설비(박스)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차단을 통한 안정적인 무산화 분위기의 유지를 구현하고, 미산화 아연 입자는 도금조 탕면에서 용융되어,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 발생을 억제 가능하게 하고, 드로스 제거에 따른 조업 부하나 도금 강판의 표면 결함 요인을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강판 도금시 고속 통판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가능하게 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실링 구조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한 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금강판이 통과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는 실링 구조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들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고 가스 와이핑 유닛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측벽 부재;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전,후 벽;
을 포함하여 무산화 실링을 구현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벽 부재는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지지판들을 매개로 통기부를 형성토록 조립되는 제1,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중 하나는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이 연계되는 설비 프레임에 제공된 구동수단과 연계되거나 또는,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에 연계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 측벽 중 제1 측벽이 구동수단 또는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과 연계되되, 상기 제1 측벽과 가스 와이핑 유닛 사이에 제공되어 제1 측벽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설비 프레임상에 제공된 구동원을 매개로 수직하게 회전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바아는, 상기 제1 측벽의 상단에 체결되거나, 상기 제1 측벽과 연결되는 별도 연결체에 체결되어 구동원 작동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설비 프레임과 제1 측벽의 상단 또는 연결체 사이에 제공되는 가이드봉;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벽 부재를 구성하는 제2 측벽과 상기 전,후벽의 하단부는 내열벽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벽에는 점검창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벽은 설비 프레임에 설치된 핸들 또는 구동원으로서 조작되는 제2 스크류바아가 체결되는 연결대에 연계되어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도금 강판의 도금 두께를 제어하는 가스 와이핑 설비를 포위하여 강판 주위를 무산화 유지하는 실링 설비(박스)의 구조 개선을 통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차단을 통한 안정적인 무산화 분위기의 유지를 구현하고, 미산화 아연 입자는 도금조 탕면에서 용융되어,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 발생을 최대한 억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금조 탕면 상의 상부 드로스의 제거 주기가 연장되어 조업 부하를 감소시키고, 상부 드로스에 의한 도금 강판의 표면 결함 요인도 제거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강판 도금시 고속 통판을 통한 생산성 증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실링 설비에서 도금조의 용탕(용융아연)에 침지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실링 설비에서의 내부 관찰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도 편리하고 내구성도 강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스 와이핑 유닛과 실링박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측벽 부재와 전,후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 가스 와이핑 유닛과 측벽부재간 여러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일부 변형된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 장치에 구비된 실링 구조체(10)의 여러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가스 와이핑 유닛(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설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 관련 상세한 설명은 간략하고, 다만,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은 이동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알려진 것으로서 도금조 탕면과의 높이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도금조 관련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는, 기본적으로 한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그 사이로 도금조(220)를 통과한 도금강판(S)이 통과하여 도금 두께가 와이핑되는 가스(G)를 이용하여 조정되도록 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100)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실링 구조체(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는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으로 포함하되,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는 실링 구조체(10)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들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고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측벽 부재(12)와,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전,후 벽(20)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는 서로 마주하는 한쌍의 가스 와이핑 유닛(100)에서 고압의 가스 예를 들어, 실링 구조체(10)의 내부 분위기를 무산화 분위기로 유지하도록 에어 대신에 비활성 가스인 질소가스(G)를 분사하고, 따라서 강판과 충돌하면서 가스 와이핑 유닛 사이의 실링이 이루어 지고, 가스 와이핑 유닛을 포위하는 한쌍의 측벽부재(12)와 전,후벽(20)이 가스 와이핑 유닛을 사방으로 긴밀하게 밀착 포위하면서 가스 와이핑 존에서의 무산화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는, 먼저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후방으로 제공되는 상기 한 쌍의 측벽부재(12)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에 일 구성적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도 7 내지 도 10에서 본 발명 장치의 여러 작동형태를 설명하듯이, 본 발명의 상기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한쌍의 측벽부재(12)는, 도 1과 같이 도금조 탕면상에 형성되는 상부 드로스(D)를 실링 구조체(10)에서 제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물론, 기타 원인으로 실링 구조체(10)의 측벽부재의 상승이 필요한 경우에도 본 발명 장치를 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측벽 부재(12)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사이에는 통기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와이핑 유닛(100)에서 고압의 질소가스(G)가 토출되면, 진행되는 도금강판에 충돌하여 강판 표면으로 상류와 하류로 가스 제트를 형성하고, 이와 같은 하류로 향하는 제트 가스는 실링 구조체(10)의 내부에서 도금조 탕면을 향하여 가스 유동이 형성되고, 이때 유동되는 가스중 일부가 이중 구조인 측벽부재(12)의 통기부를 통하여 외부 배출된다.(가스 G')
따라서, 적어도 강판의 도금이 진행되는 상태에서는 가스의 와이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일부 유동가스(G')는 이중 구조의 측벽부재(12)에 형성된 통기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유동 가스(G')의 흐름은 실링 구조체(10)의 내부 비산 입자들은 외부로 유출시키어 도금조 탕면상에 낙하하여 상부 드로스를 형성시키지 않도록 하고, 특히 통기부를 통하여 압력을 갖고 연속으로 배출되는 유동 가스(G')의 배출 흐름으로 인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도 차단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경우, 가스 와이핑이 연속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외부 공기가 측벽부재(12)와 전,후벽(2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링 구조체(10)의 양 측벽 부재(12)와 전,후벽(20)의 하부는 도금조 탕면에 일부 침지되고, 따라서 실링 구조체(10)의 내부 공간은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고, 통기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유동 흐름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무산화가 유지되고, 따라서 실링박스의 내부에서 와이핑된 가스의 유동으로 용융아연의 입자가 비산되어도, 도금조 탕면에 낙하되면 용융되어 상부 드로스로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측벽 부재(12)는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지지판(18)들을 매개로 통기부를 형성토록 조립되는 제1,2 측벽(14)(16)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2 측벽 사이에는 상기 지지판들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통기부)가 형성되고, 지지판들은 수직하게 배열되면서 통기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2 측벽(14)(16)은 지지판(18)으로 서로 연결 고정되고,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제1 측벽(14)은 가스 와이핑 유닛(100)이 연계되는 설비 프레임(102)에 제공된 구동수단(30)과 연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벽(14)은 상기 구동수단(30)의 작동에 따라, 전,후벽(20)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측벽(14)과 가스 와이핑 유닛(100)사이에는 제1 측벽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2)가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쳄버 후면(미부호)에 부착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2)와 상기 제1 측벽(14)사이에 가이드 레일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22)에는 수평 레일(25a)이 의 제공되고, 상기 수평레일(25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25c)이 형성된 수평하고 길게 신장된 이동레일(25b)이 밀착되며, 상기 이동레일(25b)은 제1 측벽(14)의 후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측벽(14)은 승강시 가이드 레일 구조로 인하여 가이드 플레이트(22)을 따라 안정적이고 일정하게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3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비 프레임(102)상에 제공된 구동원(32)(모터)을 매개로 수직하게 회전 구동되는 하나 이상 예를 들어, 한쌍의 스크류바아(34)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스크류 바아(34)는, 상기 제1 측벽(14)의 상단(14a)에 체결되고,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의 구동원(32)은 기어박스(36)들 사이의 회전봉(38)을 통하여 한쌍의 수직한 스크류바아(34)와 연계되고, 따라서 구동원(32)의 작동에 따라 스크류바아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때 제1 측벽(14)은 상승 또는 하강하고, 일체로 제2 측벽(16)이 상승 및 하강하고,결국 제2 측벽은 도금조 탕면에서 침지되어 있다가 상승하면서 탕면 상의 상부 드로 등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22)와 제1 측벽(14)이 고정되고, 가이드 플레이트(22)가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100)에 제공되어도 제1,2 측벽(14)(16)의 상승 및 하강이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서, 상기 스크류바아(34)와 별도의 연결체(26)가 연결되어 상승 또는 하강되고, 상기 연결체(26)가 본 발명의 제1 측벽(14)의 상단(14a)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연결체(26)는 제 1 측벽의 상단부에서 외곽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스크류바아(34)를 직접 제1 측벽(14)의 상단(14a)에 조립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사용될 수 있고, 여러 체결 구멍들을 미리 제공하므로 설비 구축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더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비 프레임(102)과 제1 측벽(14)의 상단(14a) 또는 연결체(26)사이에 제공되는 가이드봉(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바아(34)의 회전시 제1 측벽(14) 또는 연결체(26)의 상승 및 하강시 상기 가이드 봉(24)은 그 이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바아(34)의 외측에는 스크류바아의 안정적인 회전을 유지하도록 하는 서로 겹쳐지는 커버체(35)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더 바람직하게는 도 2,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측벽 부재의 제2 측벽(16)과 상기 전,후벽(20)의 하단부(16a)(20a)는 도금조 탕면에 침지되므로 세라믹 판과 같은 내열벽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4,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쌍의 전,후벽(20)에는 내부 가스 와이핑 상태와 강판의 도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파악하도록 하는 점검창(21)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전,후벽(20)은 가스 와이핑 유닛(100)이 연계되는 설비 프레임(102)에 설치된 핸들(42) 또는 구동원(모터)으로서 조작되는 기어박스(45)를 매개로 제2 스크류바아(44)가 체결되는 연결대(46)에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핸들(42)을 조작하거나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작동시키면 기어박스 내부에서의 핸들의 스크류부분과 제2 스크류바아의 체결 구조로 인하여 제2 스크류바아(44)는 전,후벽과 연결되는 연결대(46)와 일체로 승강되고 따라서, 필요시 전,후벽(20)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 장치의 제1,2 측벽(140(16)과 전,후벽(20)은 모두 필요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어, 실링 구조체(10)의 내부 공간의 설비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1)의 실링 구조체(10)의 여러 작동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만,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측벽부재(12) 즉, 제1 측벽(14)과 제2 측벽(16) 및 그 사이의 통기부를 형성하는 지지판(18)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링 구조체(10)의 제2 측벽(16)은 도금조 탕면에 침지하고 있고, 상부 드로스의 제거를 위한 필요시에는 도 7b에서와 같이 제1 측벽(14)과 일체로 제2 측벽(16)을 상승시키고, 또는 도 7c와 같이 제1 측벽(14)을 최대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어, 설비의 보수-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또는, 도 8a 및 도 8b에서와 같이, 이동형으로 제공되는 가스 와이핑 유닛(100)이 도금조 탕면상에서의 높이가 조절되면, 이에 대응하여 제1,2 측벽(14) (16)의 높이도 조정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이드 플레이트(22)와) 제1 측벽(14)을 가스 와이핑 유닛의 쳄버에 고정하면, 가스 와이핑 유닛(100)을 이동형으로 제공하는 경우, 가스 와이핑 유닛(100)간 간격 조정시에도 이에 대응하여 연동하여 측벽들이 이동하고, 도 10a 내지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조와 탕면과의 높이를 조정하면서 측벽 들의 높이도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10의 경우에는 측벽은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100)에 고정되어도 제1,2 측벽들 사이에는 통기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유동가스(G')의 외부 배출로 가스 와이핑 존의 아연입자 비산을 억제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도 차단되는 것이다. 이때, 도 7 내지 도 10에서 미설명 도면부호 102는 배플 플레이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10.... 실링 구조체
12.... 측벽부재 14.... 제1 측벽
16.... 제2 측벽 18.... 지지판
20.... 전,후벽 22.... 가이드 플레이트
24.... 가이드봉 26.... 연결체
30.... 구동수단 34, 44.... 스크류바아
100.... 가스 와이핑 유닛 220.... 도금조

Claims (10)

  1. 한 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금강판(S)이 통과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100);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벽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실링 구조체(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2. 한 쌍이 마주하여 배치되고 도금강판(S)이 통과하는 가스 와이핑 유닛(100);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을 포위하여 무산화 분위기를 유지토록 복수의 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벽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는 실링 구조체(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들은 승강 가능하게 제공되면서 이중 구조로 제공되어 통기부를 형성하고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폭 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측벽 부재(12); 및,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전,후 벽(20);
    을 포함하여 무산화 실링을 구현토록 구성된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재(12)는 간격을 갖고 배열되는 지지판(18)들을 매개로 통기부를 형성토록 조립되는 제1,2 측벽(14)(16)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들 중 하나는 상기 가스 와이핑 유닛(100)이 연계되는 설비 프레임(102)에 제공된 구동수단(30)과 연계되거나 또는,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100)에 연계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측벽 중 제1 측벽(14)이 구동수단(30) 또는 이동형 가스 와이핑 유닛(100)과 연계되되,
    상기 제1 측벽(14)과 가스 와이핑 유닛 사이에 제공되어 제1 측벽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설비 프레임(102)상에 제공된 구동원(32)을 매개로 수직하게 회전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류바아(34)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바아(34)는, 상기 제1 측벽(14)의 상단(14a)에 체결되거나, 상기 제1 측벽과 연결되는 별도 연결체(26)에 체결되어 구동원 작동시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프레임 및, 제1 측벽의 상단 또는 연결체(26) 사이에 제공되는 가이드봉(2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8. 제3항에 잇어서,
    상기 측벽 부재를 구성하는 제2 측벽(16)과 상기 전,후벽(20)의 하단부(16a)(20a)는 내열벽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20)에는 점검창(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20)은 설비 프레임(102)에 설치된 핸들(42) 또는 구동원으로서 조작되는 제2 스크류바아(44)가 체결되는 연결대(46)에 연계되어 승강 가능하게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KR1020120151571A 2012-12-21 2012-12-21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KR10146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71A KR101461746B1 (ko) 2012-12-21 2012-12-21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571A KR101461746B1 (ko) 2012-12-21 2012-12-21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24A true KR20140081624A (ko) 2014-07-01
KR101461746B1 KR101461746B1 (ko) 2014-11-14

Family

ID=5173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571A KR101461746B1 (ko) 2012-12-21 2012-12-21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7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97A (ko) * 2015-07-14 2017-01-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드로스 발생 저감장치
KR101709226B1 (ko) * 2016-01-19 2017-02-24 주식회사 삼우에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장치
KR101709225B1 (ko) * 2016-01-19 2017-02-24 주식회사 삼우에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KR101867731B1 (ko) * 2016-12-2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치
WO2019225770A1 (ko) * 2018-05-21 2019-11-2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치
KR20220089481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798B1 (ko) * 2018-10-19 2020-11-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도금강판의 냉각장치
KR102305755B1 (ko) * 2019-12-16 2021-09-27 주식회사 포스코 산화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5576B2 (ja) * 1995-06-09 2003-12-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金属めっきのワイピング方法及び装置
KR100525907B1 (ko) 2001-11-16 2005-11-02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방법
JP3841725B2 (ja) 2002-06-07 2006-11-01 日新製鋼株式会社 連続式溶融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シールボックス
KR100723125B1 (ko) 2005-07-05 2007-05-30 주식회사 포스코 에어나이프 주변의 가스 포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아연도금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597A (ko) * 2015-07-14 2017-01-24 현대제철 주식회사 드로스 발생 저감장치
KR101709226B1 (ko) * 2016-01-19 2017-02-24 주식회사 삼우에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장치
KR101709225B1 (ko) * 2016-01-19 2017-02-24 주식회사 삼우에코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 에어나이프 시스템
KR101867731B1 (ko) * 2016-12-22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치
WO2019225770A1 (ko) * 2018-05-21 2019-11-28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장치
KR20220089481A (ko) *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포스코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746B1 (ko) 2014-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46B1 (ko)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EP2634284B1 (en) Gas wiping device
EP185136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gerichtet erstarrter blöcke aus halbleitermaterialien
CN112840060B (zh) 热浸镀覆钢板的冷却装置
CA3093497C (en) Method for dip-coating a metal strip
JP2023025027A (ja) 金属ストリップの浸漬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656283B1 (ko) 연속식 용융 아연 도금 설비
KR20130001729A (ko) 피벗식 슬래그 도어
JP6363182B2 (ja) 調整可能な閉じ込めボックスを備える金属ストリップを溶融めっきするための設備
CN106064878B (zh) 浮法玻璃的制造装置、浮法玻璃的制造方法
EP2698588B1 (de) Ofen zur Entfernung von Verunreinigungen aus Metallschmelzen
US8616148B2 (en) Gas wiping apparatus
KR101709226B1 (ko) 고내식 도금용 무산화 용융도금장치
KR102180806B1 (ko) 스나우트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강판 도금장치
CN102854035B (zh) 副枪系统和采取试样的方法
KR20130122312A (ko) 스나우트 장치
KR101670183B1 (ko) 드로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드로스 제거방법
KR101620670B1 (ko) 도금 장치 및 도금 방법
DE1771331A1 (de) Schwimmkammer zur Herstellung von Tafelglas
KR20130110723A (ko) 도금조 탕면 커버장치
KR101270967B1 (ko) 이동식 절단정반
JP4888916B2 (ja) 溶融炉、薄板製造装置および薄板製造方法
KR20240010922A (ko) 도금장치 및 도금방법
KR101568505B1 (ko) 도금 장치
JP2012092362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製造装置及び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