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837B1 -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837B1
KR101706837B1 KR1020147029695A KR20147029695A KR101706837B1 KR 101706837 B1 KR101706837 B1 KR 101706837B1 KR 1020147029695 A KR1020147029695 A KR 1020147029695A KR 20147029695 A KR20147029695 A KR 20147029695A KR 101706837 B1 KR101706837 B1 KR 10170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arm
piston
plunger
plunger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8324A (ko
Inventor
요시유키 카쿠타
토오루 토마
신야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82385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21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033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55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3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878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5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55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4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97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055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476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0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88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8607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88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8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688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4013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324A/ko
Publication of KR10170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9Dose expelling manners
    • A61M5/31593Multi-dose, i.e. individually set dose repeatedly administered from the same medicament reservoir
    • A61M5/31595Pre-defined multi-dose administration by repeated overcoming of means blocking the free advancing movement of piston rod, e.g. by tearing or de-blo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f the injector type
    • A61M11/08Pocket atomisers of the inject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Inhalators using medicine packages with incorporated spraying means, e.g. aerosol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5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with stepwise advancement of the piston, e.g. for spray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01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 A61M2005/31508Means for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provided on the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다단계 압입이 가능한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는 주사기(20); 주사기(20) 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된 플런저(P); 플런저(P)의 압입에 반응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43); 및 주사기(22)에 대해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탄성 변형부(43)의 복원력에 의해서 록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4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METERED-DOSE SYRINGE TYPE SPRAY DEVICE}
본 발명은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사기형 디스펜서로는, 플런저를 주사기 내로 압입하여, 예를 들어, 약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배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H07-213612A.
하지만, 종래의 주사기형 디스펜서는, 플런저가 단순히 주사기 내로 압입되는 것이었기 때문에, 내용물의 일부를 분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계 압입이 가능한 신규한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는, 주사기, 주사기 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플런저의 압입에 반응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 및 주사기에 대해서 록(lock)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탄성 변형부의 복원력에 의해서 록(lock)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주사기에 충전된 내용물에 대해서 단순히 플런저를 압입하고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다단계 압입이 달성된다.
도 1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그 조작 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의 일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1에 대응하는 다른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플런저 조작 부재가 압입되어 제 1 분출이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이 시작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2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의 결합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가압측으로부터 본 도 8의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피가압측으로부터 본 도 8의 플런저 조작 부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8의 플런저 조작 부재가 압입되고 또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8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가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8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를 압입하여 제 2 분출을 시작하기 바로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가압측으로부터 본 도 13의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피가압측으로부터 본 도 13의 플런저 조작 부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는, 다른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13의 플런저 조작 부재가 제 1 분출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b는, 일 측면으로부터 본, 도 13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c는, 일 측면으로부터 본, 도 13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이 시작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2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a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카트리지형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b는, 일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17a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a의 중간 부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a의 중간 부재를 피스톤 유지 부재에 조립하는 단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의 (a)는, 도 17b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또한 도 20의 (b)는, 도 17a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을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의 (a)는, 도 17a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5 분출을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고, 또한, 도 21의 (b)는, 제 5 분출이 완료되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17a의 카트리지형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가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가압측으로부터 본 중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5는, 일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2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6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2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이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7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2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2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8a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8b는, 도 28a에 도시한 선(X-X)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피스톤 유지 부재가 슬리브 부재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도 28a의 피스톤 유지 부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28a의 조작 전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다른 측면도이다.
도 31a는, 일 측면으로부터 본, 도 28a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b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다른 측면으로부터 본, 도 31a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는, 일 측면으로부터 본, 도 28a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이 시작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2b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다른 측면으로부터 본, 도 32a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는, 일 측면으로부터 본, 도 28a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2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b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다른 측면으로부터 본, 도 33a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서,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5a는, 손가락을 거는 측면으로부터 본 도 34의 손가락 걸이 커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b는, 손가락을 거는 측면으로부터 본 도 34의 손가락 걸이 커버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1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7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플런저의 압입을 해제하여 제 2 분출이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8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4의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에서, 제 2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9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조작 전의 초기 상태에 있는 주사기형 디스펜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0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9의 주사기형 디스펜서에서 바이패스가 생성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1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플런저의 록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2는,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9의 주사기형 디스펜서에서, 플런저의 압입을 해제하여 혼합물의 분출이 시작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3은, 부분 단면을 따라서 취한, 도 39의 주사기형 디스펜서에서, 혼합물의 분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도면 부호 20은 내용물(점비제)(C)로 충전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또는 유리제 주사기를 지칭한다. 주사기(20)는 중공 트렁크부(21), 및 어깨부(22)를 통해서 트렁크부(21)와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부(23)를 가지고 있다. 선단부(23)는 트렁크부(21)보다도 직경이 작다. 트렁크부(21)에 있어서, 선단부(23)에 대해서 대향하고 있는 그 후단부에는, 독립된 부재로서 손가락 걸이(24)가 제공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24)는 주사기(20)의 내측이 외측과 연통하는 개구(A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손가락 걸이(24)의 후단은 주사기(20)의 후단(20e)을 구성한다. 손가락 걸이(24)는 또한 트렁크부(2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 부호 P는 주사기(20) 내로 압입될 수 있는 합성 수지제로 형성되는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P)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피스톤(3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41)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30)은 본체(41)의 선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본체(41)는, 일체로 형성되는, 피스톤(3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41h)와, 네 개의 플레이트부(41a)가 십자형 단면을 갖도록 조립되는 네 개의 가늘고 긴 플레이트부(41a), 및 디스크부(41b)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3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피스톤(30)은 피스톤(30)과 주사기(20) 사이에서 공간(R)을 형성하는 본체(41)에 제공된다. 공간(R)은 내용물(C)로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용물(C)은 피스톤(30)의 가압에 반응하여 선단부(23) 내에 형성된 관통공(20a)으로 압송된다.
본체(41)는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42)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2)는 디스크부(41b)의 직경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 본체(42a)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본체(42a)는 축선(비강 분무액 디스펜서(1)의 중심 축선)을 따라서 디스크부(41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 본체(42a)는, 그 말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 본체(42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42b)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42b)는 헤드(42b)의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지는 경사면(42f)을 가지고 있다.
본체(41)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암(43)을 구비하고 있다. 암(4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43)이 샤프트(42)를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암(43)은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축선(O)을 따라서 디스크부(41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암(43)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단(43a)으로부터 반경 방향(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될 수 있다. 이 외력이 해제되면, 암(43)은 또한 초기 위치(본 실시예에서의 도 1에 도시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의 자유단(43e)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은 두께가 얇으며, 따라서, 암(43)은 용이하게 변형되고 또한 복원된다.
또한, 암(43)은 각각 일체화된 방식으로 슬라이드 돌기(4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44)는 슬라이드 돌기(44)가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마주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 돌기(44)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돌기(44)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게 되면, 암(43)은 고정단(43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고, 또한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드 돌기(44)는 대응하는 고정단(43a)을 향해서 테이퍼지는 경사면(44f)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암(43)은 또한 각각 암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는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마주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돌출부(45)는, 각각, 대응하는 슬라이드 돌기(44)의 후방을 향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5)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여 록(lock)될 때, 돌출부(45)는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주사기(20) 내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는 암(43)의 자유단의 일측 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45)의 후단면은 대응하는 암(43)의 자유단(43e)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은 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선분(수평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θ)로 외향으로 경사진(즉, 자유단(43e)이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내향되어 경사진) 테이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도(θ)는, 암(43)이 내향되어 경사지게 되면, 암(43)은 상술한 수평선과 평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는 단차(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46)는 암(43)의 내면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46)는 평평한 단차 저면(46a), 및 단차 저면(46a)에 연결된 단차 측면(46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 측면(46b)은 단차 저면(46a)로부터 암(43)의 자유단(43e)까지 외향으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본체(51)는, 그 후단에, 사용자가 플런저(P) 내로 압입할 수 있도록 일체화된 플런저 조작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내측에는, 내부 공간(R5)이 형성되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선단(50a) 및 후단(50b) 전체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샤프트(42)는 내부 공간(R5)을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42)는 축선(O)에 대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이동(불안정)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또한, 내부 공간(R5)에, 환형 돌기(53)를 구비하고 있다. 환형 돌기(53)는 본체(51)의 내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있다. 또한, 환형 돌기(53)는 내부 공간(R5)의 직경 보다도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개구(A3)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A3)는 샤프트 본체(42a)의 직경 보다는 크고, 또한 헤드(42b)의 직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 돌기(53)는 샤프트 본체(42a)가 관통되도록 하고 있고, 또한 환형 돌기(53)는 또한 헤드(42b)를 유지하여 헤드(42b)가 탈락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헤드(42b) 및 환형 돌기(53)는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유지하는 록(lock)부로서 기능하여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탈락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환형 돌기(53)는 후방을 향해서 감소하는 직경을 갖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된 내주면(53f)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42b)는 개구(A3)를 관통하여 환형 돌기(53)의 내측에 용이하게 조립된다. 또한, 환형 돌기(53)가 내부 공간(R5)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유격(51s)이 형성된다. 이 유격(51s) 덕분에, 헤드(42b)는 환형 돌기(53)의 후단측 상에 있는 내부 공간(R5)의 일부분에서 축선(O)을 따라서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축선(O)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는 내부 공간(R5)과 연통하는 복수의 절결부(5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42) 및 암(43)은 절결부(54)에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암(43)의 이동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을 따르는 동작만으로 제한된다. 각각의 절결부(54)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평한 막힌 선단면(55a), 및 막힌 선단면(55a)에 연결된 막힌 측면(55b)을 가진 막힌 단부(55)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막힌 선단면(55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이 수압면으로서 기능하면서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는 가압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막힌 선단면(55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플런저(P)의 압입 이동이 달성된다.
또한, 절결부(54)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막힌 단부(55)에서, 막힌 측면(55b)은 막힌 선단면(55a)을 향해서 테이퍼진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막힌 측면(55b)은 단차 측면(46b)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이며, 또한 갭(G)은 막힌 측면(55b) 및 단차 측면(46b)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도면 부호 60은 주사기의 선단부(23)에 결합된 노즐을 지칭한다. 노즐(60)은 내장 칩(61)을 가지고 있다. 칩(61)은 주사기(20)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되는 내용물(C)을 분무화하여 분출공(A1)을 통해서 내용물(C)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노즐(60)은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된 내용물(C)을, 분출공(A1)을 통해서 다양한 형태로 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장 먼저,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집게 손가락과 가운데 손가락을 손가락 걸이(24)에 거는 것에 의해서, 및 엄지 손가락으로 플런저 조작부(52)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유지하고 있다.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1)의 노즐(60)을 비강 내로 삽입한 다음,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한다. 이후에, 도 1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막힌 선단면(55a)은 수압면으로서 기능하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와 함께, 플런저(P)로서, 주사기(20) 내로 압입된다. 이때,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각각의 슬라이드 돌기(44)는 그 선단으로 향해서 테이퍼지는 경사면(44f)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막힌 선단면(55a)이 대응하는 암(43)의 단차 저면(46a)과 접촉하게 된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 또한 가압된다. 따라서, 암(43)의 단차(46)는 암(43)의 내향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암(43)의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접촉하고, 따라서, 자유단(43e) 측에서의 암(43)의 이동은 주사기(20)에 대해서 구속된다. 그 결과,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이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돌기(44)가 주사기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기 전까지 정량의 내용물(C)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비강 내로 분출된다.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어 록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돌출부(45)는 주사기(20)의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는 것에 의해서 스토퍼부를 구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분출은 공간(R) 내에 여전히 내용물(C)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완료된다. 이 때의 공간(R)의 체적은 소정의 사용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분출을 시작하기 전에 공간(R)의 체적의 절반으로 할 수도 있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다. 이후에,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휨 변형에 대한 복원력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여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이 복원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전체 암(43)이 복원되려고 하는 경우라고 해도,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여전히 받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은, 자유단(43e) 측만,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받은 고정단(43a) 측과 정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복원된다. 이에 따라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는 암(43)의 자유단(43e) 측을 따라서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되고, 또한 돌출부(45)의 록(lock) 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도 1의 확대도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막힌 측면(55b)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주사기(20) 내의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효과적으로 압입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암(43)의 자유단(43e)의 복원력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막힌 측면(55b)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에 의해서 안내되어 변위된다. 그 결과,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지는 상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의한 제한으로부터 해제되며, 또한, 따라서 용이하게 내향되어 복원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재차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막힌 선단면(55a)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제공된 암(43)의 자유단(43e)과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암(43)이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여 복원된다고 하더라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 에 의해서 주사기(20) 내로 압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다른 비강 내로 노즐(60)을 삽입하고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게 되면, 제 2 분출로서, 공간(R1) 내에 잔존하고 있는 내용물(C)이 다른 비강 내로 분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이 각도(θ)로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이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여 복원된다고 하더라도, 자유단(43e)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막힌 선단면(55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부드럽게 압입된다. θ 값은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1) 등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암(43)의 자유단(43e)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의 수평선에 대해서 평행한 평면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만큼의 내용물(C)이 분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분출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가능해지며, 따라서, 제 2 분출을 행할 때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디스펜서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 조작에 의해서 내용물(C)의 일부를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샤프트(42)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R5), 및 암(43)이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결부(54)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조립될 때 발생하는 불안정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용물(C)은 양호한 조작성이 유지되면서도 일부가 분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면 부호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이하에 있어서, 제 1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기(20)는, 유사해 보이기는 하지만, 손가락 걸이부(24)가 트렁크부(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것과는 상이하다.
도면 부호 P는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20)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주사기(20) 내에 수용되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선단부에 피스톤(30)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3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주사기(20) 및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된다. 공간(R)은 내용물(C)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R)에 충전된 내용물(C)은 플런저(P)의 압입에 반응하여 선단부(23)에 형성된 관통공(20a)으로 압송된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하는 네 개의 암(43)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암(43)은 슬라이드 돌기(44) 및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돌기(44) 및 돌출부(45)는 축선(O)을 따라서 후방으로 간격을 두고 슬라이드 돌기(44)와 돌출부(45)의 정해진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돌기(44)는 그 선단으로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44f)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고, 또한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플런저(P)의 압입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출부(45)는 주사기(20)의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어 플런저(P)의 압입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일체로 형성된 네 개의 암(43)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암(43)은 링부(41c)를 통해서 본체(41)에 결합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로서는, 예를 들어, 두 개의 대향 측벽 및 이들 측벽 사이에 걸쳐지는 하나의 수평벽을 가지는 H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채택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링부(41c)에 결합된 암(43)의 말단이 고정단(43a)으로 기능하면서, 변형되고 또한 복원되는 방식으로 휨 변형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돌출부(45)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암(43)의 자유단(43e)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의 후단면은 암(43)의 자유단(43e)을 구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은 테이퍼져 있고 또한 일정 각도(θ)로 외향으로 경사져(즉, 자유단(43e)이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내향되어 경사져) 있다. θ 값은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은 단차(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46)는 또한 암(43)의 자유단(43e)을 구성하고 있고, 또한 암(43)의 내주면 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46)의 단차 저면(46a)은 플런저 조작 부재(50) 본체(51)의 단면(51a)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의해서 가압되는 수압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단차 저면(46a)에 연결된 단차 측면(46b)은 또한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테이퍼지는 것과 같이 외향으로 연장된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원통형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도 6의 확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의 단면(51a)(이하, "본체 단면"이라 함)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이 수압면으로서 기능하면서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는 가압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며,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플런저(P)의 압입 이동이 달성된다. 본체(51)는 또한 단차 측면(46b)에 대응하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된 본체 단면(51a)의 외측 에지(51b)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에지(51b)는 단차 측면(46b)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이며, 또한 갭(G)은 외측 에지(51b), 및 단차 측면(46b)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본체(51)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56)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56)는 본체 단면(51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 본체(56a)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본체(56a)는 축선(O)을 따라서 선단으로 향해서 본체 단면(51a)으로부터 연장된다. 샤프트 본체(56a)는 그 선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56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피스톤 유지 부재(40)에는, 본체(41) 및 링부(41c) 사이에 공간(41s)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공간(41s)은 본체(41)의 수평벽의 일부에 개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공간(41s) 내에서, 헤드(56b)는 링부(41c)에 형성된 관통공(A4)을 통해서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는 크고, 또한 헤드(56b)의 직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가 관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헤드(56b)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헤드(56b)를 유지하고 있다. 헤드(56b) 및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유지하는 록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56b)는 헤드(56b)의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56f)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A4)은 링부(41c)의 내주면(41f)이 환형 테이퍼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주면(41f)은 선단(피스톤(30))을 향해서 직경이 감소하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56b)는 피스톤 측 상에 있는 링부(41c)의 단면(즉, 피스톤(30) 근처의 링부(41c)의 단면)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공간(41s)은 축선(O)을 따라서 헤드(56b)가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유격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축선(O)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도면 부호 60은 주사기의 선단부(23)에 결합된 노즐을 지칭한다. 노즐(60)은 내장 칩(61)을 가지고 있고, 또한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된 내용물(C)을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장 먼저, 도 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노즐(60)을 한쪽 비강 내로 삽입하고, 또한, 이후에, 사용자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한다. 이후에, 도 6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며,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와 함께 압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슬라이드 돌기(44)가, 선단으로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44f)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돌기(4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은 암(43)의 단차 저면(46a)과 접촉하게 되어, 단차 저면(46a)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암(43)의 자유단(43e)의 이동은 주사기(20)에 대해서 구속된다. 그 결과,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슬라이드 돌기(44)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되고, 또한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P)의 압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 내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기 전까지 정량의 내용물(C)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비강 내로 분출된다.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면, 플런저(P)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공간(R) 내에 내용물(C)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은 완료된다. 이 때의 공간(R)의 체적은 소정의 사용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제 1 분출 전의 공간(R)의 체적의 절반으로 할 수도 있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다. 이후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휨 변형에 대한 복원력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여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이 복원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단(43a)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여전히 받고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받은 고정단(43a) 측과 정렬되도록 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복원된다. 이에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돌출부(45)는 암(43)의 자유단(43e) 측을 따라서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되고, 또한 암(43)의 돌출부(45)의 록 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도 6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이 단차(46)를 가지고 있고, 또한 단차(46)의 단차 저면(46a)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의해서 가압되는 수압면으로서 및 자유단(43e) 상에 있는 암(43) 부분을 해제하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압입 및 복귀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대응하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 외측 에지(51b)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압입 및 복귀를 더욱 더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분출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유지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은 암(43)의 자유단(43e)(반경 방향으로 단차(46)로부터 더 외향되어 위치하고 있는 자유단(43e)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암(43)이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는 복원을 받게 된 이후,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압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암(43)의 자유단(43e)의 후단면이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이 슬라이드 돌기(44)로부터 시작하여 복원된다고 하더라도, 자유단(43e)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부드럽게 압입된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고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다른 비강 내로 노즐(60)을 삽입하고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게 되면, 공간(R1) 내에 잔존하고 있는 내용물(C)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다른 비강 내로 분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서의 것과 유사한 조작에 의해서, 필요한 만큼의 내용물(C)이 분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제 2 분출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가능하며, 또한, 따라서, 제 2 분출을 행할 때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디스펜서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 조작에 의해서 내용물(C)의 일부를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도 8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 2 실시예의 변형된 예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네 개의 플레이트부(41a), 및 링부(41c)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간(41)은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공간(41a)은 링부(41c)에 제공된 관통공(A4)을 통해서 외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암(43)을 구비하고 있다. 암(4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43)이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는, 예를 들어, 암(43) 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47)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7)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지지부(47)가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47)는 각각 링부(41c)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암(43)에 제공된 단차 저면(46a)에 대응하는 평면을 구성하는 단면(47a)(이하, "지지부 단면"이라 함)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그 선단부가 폐쇄된 원통 형상을 갖는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51)의 선단부는 원통형의 볼록부(57)의 형대로 되어 있다. 볼록부(57)는 평평한 볼록부 단면(57a) 및 볼록부 단면(57a)에 연결된 볼록부 측면(57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46)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57)가 각각 서로에 대해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된 오목부(46) 및 볼록부(57)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은 수평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은 축선(O)을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볼록부 단면(57a)은 모두 수압면으로서 기능하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플런저(P)의 압입 이동이 달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은 암(43)을 구속하고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구성한다.
한편, 도 8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과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을 따라서 삽입될 때,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은 암(43)의 내향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복귀하게 되면, 상호 접촉은 해제된다. 다시 말하자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은 상술한 제한부를 구성하고, 또한 돌출부(45) 및 주사기(20)의 후단(20e)의 록 상태가 돌출부(45) 상의 변위 제한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하는 스토퍼 해제부도 구성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제 2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기 전까지 내용물(C)이 분출된다.
그러나, 이때, 도 9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단차 측면(46b)(이하, "스토퍼 해제부(46b)"라고 함)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이하, "스토퍼 해제부(57b)"라 함)과 접촉하게 되고, 또한, 따라서, 암(43)의 내향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더라도, 돌출부(45) 및 주사기(20)의 후단(20e)의 록은 해제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을 검토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한 이후에, 플런저 유지 부재(50)는 암(43)으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이후에, 스토퍼 해제부(46b) 및 스토퍼 해제부(57b)의 접촉이 해제되고, 또한 암(43)의 자유단(43e)이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 측 상에서 생성된 복원력 때문에, 돌출부(45) 및 주사기(20)의 후단(20e)의 록 상태가 해제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재차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12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이 암(43)의 자유단(43e)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분출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자유단(43e)이, 도 12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θ)로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단면(57a)은 암(43)의 자유단(43e)과 수직으로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암(43)의 내측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암(43)의 내향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암(43)의 내측으로부터 후퇴하기 전까지 돌출부(45)의 록은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분출 중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암(43)은 주사기(20)에 대해서 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제 1 분출 중에 정지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 1 분출에 필요한 양이 정확하게 정량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43)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각각 서로에 대해서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오목부(단차(46)) 및 볼록부(볼록부(57))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및 오목부 저면(단차 저면(46a)) 및 볼록부 단면(57a)을 오목/볼록 결합부로 구성하고 또한 오목부 측면(단차 측면(46b)) 및 볼록부 측면(57b)을 스토퍼 해제부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펜서를 최초 사용한 이후에 플런저(P)의 위치 설정은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술한 설명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 저면(46a) 및 볼록부 단면(57a)이 수평선에 대해서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단차 저면(46a) 및 볼록부 단면(57a)은 적어도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압입이 달성되기만 한다면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단차 저면(46a) 및 볼록부 단면(57a)은 평면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경사면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13에 있어서, 도면 부호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도면 부호 P는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P)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피스톤(3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41)를 가지고 있다. 본체(41)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네 개의 가늘고 긴 플레이트부(41a), 및 링부(41c)를 가지고 있다. 링부(41c)는 관통공(A4)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A4)은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방 공간(41s)과 연통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4)은 선단(피스톤(30))을 향해서 직경이 감소하는 링부(41c)의 내주면(41f)에 의해서 구성되는 테이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41)는 두 개의 암(43)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암(4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43)이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은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축선(O)을 따라서 링부(41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암(43)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단(43a)으로부터 반경 방향(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될 수 있다. 암(43)은 또한 외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의 자유단(43e)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에 제공되어 있는 암(43)에는 슬라이드 돌기(44) 대신에 탄성 설편(48)이 제공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암(43)에 형성된 개구(A5)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설편(48)은, 개구(A5)를 구성하는 에지부 중에서, 암(43)의 고정단(43a) 측 상에 있는 개구 에지부(43b)로부터 일체화된 방식으로 형성된 고정단(48a)을 가지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의 고정단(48a)은 암(43)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은 두께가 얇으며,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되고 또한 복원된다. 탄성 설편(48)은 암(43) 보다도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설편(48)은 탄성 설편(48)이 암(43)의 자유단(43e)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설편(43)의 말단(48e)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두 개의 말단(48e)은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또한,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탄성 설편(48)이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게 되면, 자유단으로서 기능하는 말단(48e)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48) 부분은 고정단(48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고, 또한 말단(48e)에 의해서, 주사기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설편(48)은,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단(48e)을 향해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암(43)은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그 자유단(43e) 측 상에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돌출부(45)의 후단면은 암(43)의 자유단(43a)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자유단(43e)은 수평선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43e)은 테이퍼져 있고, 또한 수평선에 대해서 각도(θ)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설편(48)은 말단(48e)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48) 부분(자유단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48) 부분)이 돌출부(45)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은, 그 내측에, 단차(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46)는 암(43)의 내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46)는 평평한 단차 저면(46a), 및 단차 저면(46a)에 연결된 단차 측면(46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 측면(46b)은 또한 후방으로 및 외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지지부(47)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7)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지지부(43)가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 단면(47a)은 각각 링부(41c)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암(43)에 제공된 단차 저면(46a)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면을 구성한다.
한편,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사용자가 플런저(P)를 압입하기 위한 플런저 조작부(52)가 그 후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제공된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51)의 선단부는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형성하고 있다. 가압부는 평탄한 본체 단면(51a), 및 본체 단면(51a)에 연결되어 있는 본체 단면(51a)의 외측 에지(51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플런저(P)의 압입 이동이 달성된다. 본체 단면(51a)의 외측 에지(51b)는 본체 단면(51a)을 향해서 테이퍼진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에지(51b)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이며, 또한 갭은 외측 에지(51b), 및 단차 측면(46b) 사이에 제공되어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51)는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56)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56)는 본체 단면(51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 본체(56a)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본체(56a)는 축선(O)을 따라서 본체 단면(51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샤프트 본체(56a)는 그 선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56b)를 구비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56b)는 헤드(56b)의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56f)을 가지고 있다. 샤프트(56)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A4)에 결합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다.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는 크고, 또한 헤드(56b)의 직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가 관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헤드(56b)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헤드(56b)를 유지하고 있다. 헤드(56b) 및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직경이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증가하는 테이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56b)는 선단측 상에 있는 링부(41c)의 단면(피스톤(30) 근처의 링부(41c)의 단면)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개방 공간(41s)은 헤드(56b)가 축선(O)을 따라서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변위 가능한 유격을 한정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축선(O)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30)은 본체(41)의 선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3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주사기(20) 및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된다. 공간(R)은 내용물(C)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R)에 충전된 내용물(C)은 피스톤(30)의 압입에 반응하여 선단부(23)에 형성된 관통공(20a)으로 압송된다.
도면 부호 60은 주사기의 선단부(23)에 결합된 노즐을 지칭한다. 노즐(60)은 내장 칩(61)을 가지고 있고, 또한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된 내용물(C)을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다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한다. 이후에,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을 가압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와 함께 주사기(20) 내로 압입되어진다. 이 때,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탄성 설편(48)은 암(43)의 자유단(43e)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외향으로 만곡되며, 또한 탄성 설편(48)의 말단(48e)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 유지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이 암(43)의 단차 저면(46a)을 가압하여 암(43)의 자유단(43e)을 주사기(20)에 대해 구속하기 때문에,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진입할 할 때, 탄성 설편(48)은 암(43)에 연결된 자유단(48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따라서,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P)는 탄성 설편(48)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압입되기 때문에, 암(43)의 돌출부(45)가 탄성 설편(48)에 뒤이어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기 전까지 분출공(A1)을 통해서 정량의 내용물(C)이 분출된다.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면, 플런저(P)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1 분출은 공간(R) 내에 여전히 내용물(C)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완료된다.
이후에,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되돌려지게 된다. 따라서, 암(43)의 자유단(43e)은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그 결과,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접촉하고 있는 탄성 설편(48)에 기초하는 암(43)의 복원력은, 탄성 설편(48)을 제외한 암(43)이 내향되어 변형되도록 한다. 이때,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a)은 고정단(43a)으로부터 시작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된다. 이에 따라서,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의 록 상태는 돌출부(45)가 암(43)의 자유단(43e) 측을 따라서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되는 것에 의해서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주사기(20) 내측의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효과적으로 압입할 수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본체 단면(51a)의 외측 에지(51b)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에 의해서 안내되어 변형된다. 그 결과,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지는 상태에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의한 제한으로부터 해제되며, 또한, 따라서 암(43)의 변형은 용이하게 내향되어 복원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재차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 단면(51a)은 암(43)의 자유단(43e)과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출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주사기(20)에 대해서 록된 상태는 암(43)에 제공된 탄성 설편(48)에 기초하여 암(43)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 설편(48)이 암(43)에 대해서 어떤 위치에 위치 설정되더라도, 암(43)의 자유단(43e)에 대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가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주사기(20)에 록된 암(43)의 상태가 해제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돌출부(45)에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탄성 설편(48)은 암(43)이 돌출부(45)에 의해서 주사기(20)에 록되기 바로 직전까지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플런저(P)의 압입이 제 1 분출 중에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암(43)은 주사기(20)에 대해서 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설편(48)을 돌출부(45)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P)의 압입이 제 1 분출 중에 정지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제 1 분출에 필요한 양이 정확하게 정량된다.
상술한 설명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암(43)에 형성된 개구(A5)에 배치되는 경우, 탄성 설편(48)은 전체 디스펜서가 대직경을 갖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지만, 탄성 설편(48)은 개구(A5)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또한 암(43)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17a에 있어서, 도면 부호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는 제 4 실시예의 응용례이다.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부(41d)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샤프트부(41d)는 환봉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부(41d)는 직사각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 부호 70은 플런저(P)를 구성하는 중간 부재를 지칭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70)는 원통형 본체(71)를 가지고 있다. 본체(71)는 그 내측에 관통공(A6)을 가지고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6)은 샤프트부(41d)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중간 부재(70)는 샤프트부(41d)를 관통하여 조립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70)는 각각 일체화된 방식으로 두 개의 암(73)을 구비하고 있다. 암(7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73)이 관통공(A6)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암(7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암(43)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암(73)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단(73a)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될 수 있다. 암(73)은 또한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예컨대, 도 17a에 도시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암(73)은 또한 각각 탄성 설편(78)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 설편(7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탄성 설편(48)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탄성 설편(78)은 암(73)에 형성된 개구(A5)에 배치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78)은, 개구(A5)를 구성하는 에지부 중에서, 암(73)의 고정단(73a) 측 상에 있는 개구 에지부(73b)로부터 일체화된 방식으로 형성된 고정단(78a)을 가지고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78)의 고정단(78a)은 암(73)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다.
탄성 설편(48)과 유사하게, 탄성 설편(78)은 탄성 설편(78)이 암(73)의 자유단(73e)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외향으로 만곡되며, 또한 탄성 설편(78)의 말단(78e)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된다. 또한,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 돌기(44)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에서와 유사하게, 탄성 설편(78)이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게 되면, 자유단으로서 기능하는 말단(78e)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78) 부분은 고정단(78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탄성 설편(78)은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설편(78)은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78)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말단(78e)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78)은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암(73)은 또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5)와 유사한 돌출부(75)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75)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암(73)의 자유단(73e)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75)의 후단면은 암(73)의 자유단(73e)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73)의 자유단(73e)은 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수평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θ)로 외향으로 경사진(즉, 자유단(73e)이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내향되어 경사진) 테이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θ 값은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암(73)의 자유단(73e)은 또한 암(73)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75)의 후단면을 수평선과 평행한 평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돌출부(75)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78)은 말단(48e)(자유단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78) 부분)이 돌출부(75)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7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차(4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차(76)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차(46)에서와 유사하게, 단차(76)는 평평한 단차 저면(76a), 및 단차 저면(76a)에 연결된 단차 측면(76b)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부재(70)의 본체(71)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7)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지지부(77)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77)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지지부(77)가 관통공(A6)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지지부(77)의 지지부 단면(77a)은 본체(71)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암(73)에 제공된 단차 저면(76a)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면을 구성한다.
제 1 중간 부재(70)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샤프트부(41d)에 삽입되면,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일측 상에 있는 제 1 중간 부재(70)의 단면(70f)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의 후단면(41g)에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 중간 부재(70)는 축선(O) 방향으로 본체(41)에 대해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이후에, 제 2 중간 부재(70)가 샤프트부(41d) 내로 삽입되면, 본체 측 상에 있는 제 2 중간 부재(70)의 단면(70f)은 제 1 중간 부재(70)의 암(73)에 형성된 단차 저면(76a)과 접촉하며, 또한 제 1 중간 부재(70)의 지지부 단면(77a)과도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2 중간 부재(70)는 제 1 중간 부재(70)에 의해서 축선(O) 방향으로 본체(41)에 대해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및 제 4 중간 부재(70)는 축선(O) 방향으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에 대해서 위치 설정되어 있다.
한편,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내측에는, 관통공(A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7)은 샤프트부(41d)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체 측 상에 있는 중간 부재(70)의 단면(70f)에서와 유사하게,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이 제 4 중간 부재(70)의 암(73)에 형성된 단차 저면(76a)과 접촉하고, 또한 제 4 지지 부재(70)의 지지부 단면(77a)와도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제 4 중간 부재(70)에 의해서 축선(O) 방향으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에 대해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샤프트부(41d)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압입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제 4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7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압입한다. 이후에,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 개의 중간 부재(70)는 피스톤(30)에 의해서 공급되는 유압을 받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사용자에 의해서 가해진 가압력을 받는 플런저 조작 부재(50) 사이에 끼워져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 중간 부재(7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플런저(P)로서 주사기(20) 내로 일체로 압입된다. 이때,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73)에 제공된 탄성 설편(78)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제 1 중간 부재(70)의 탄성 설편(78)이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게 되면,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중간 부재(70)의 탄성 설편(78)은 암(73)에 연결된 고정단(78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따라서, 탄성 설편(78)의 말단(78e)은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P)는 탄성 설편(78)에 의해서 방해받지 않고 압입되기 때문에, 암(43)의 돌출부(75)가 탄성 설편(78)에 뒤이어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기 전까지 정량의 내용물(C)이 분출된다(도 17a에 도시한 스트로크(L1) 참조).
도 2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7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공간(R) 내에 내용물(C)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은 완료된다. 이 때의 주사기(20)의 체적은 소정의 사용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부재(7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전체 개수에 따라서, 각각의 분출의 분출량은 분출을 시작하기 전에 전체 체적의 5 분의 1로 설정된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제 1 중간 부재(70)에 제공된 암(73)의 자유단(73e)은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면의 형태로서의 단차면(76b) 때문에, 제 2 중간 부재(70)가 되돌려지고, 또한, 따라서, 제 3 및 제 4 중간 부재(7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슬라이드되어 샤프트부(41d)에 대해서 변위되어진다. 그 결과, 도 20의 (a)에서 도 20 b의 상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중간 부재(70)에 제공된 암(73)은 탄성 설편(78)의 고정단(78a)으로부터 시작하여 내향 변형된다. 따라서, 돌출부(75)와 주사기(20)의 후단(20e)의 록 상태는,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중간 부재(70)가 제 1 중간 부재(70)에 의해서 되돌려지면,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측 상에 있는 제 2 중간 부재(70)의 단면(70f)은 제 1 중간 부재(70)에 제공된 암(73)의 자유단(73e)에 접촉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20의 (a) 및 도 2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L2)에 대응하는 양에 대한 제 2 분출이 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네 개의 중간 부재(70)는 중간 부재(70)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샤프트부(41d)를 통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조립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사한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정량이 분출된다. 다시 말하자면,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회차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L5)에 대응하는 양에 대한 제 5 분출이 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중간 부재(70)에 대한 상술한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중간 부재(70)의 전체 개수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대응하는 복수회의 분출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로크(L1 ~ L5)가 동일한 양의 스크로크 체적으로 할당되어 있지만, 이 스트로크 체적은, 예를 들어, 중간 부재(70)를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20)는 내용물(C)이 충전된 카트리지(10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주사기(20)의 선단(2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25)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캡(25)은 선단부(23)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20a)을 밀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30)은 개구(A2)를 통해서 미리 주사기(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20) 내에 충전된 내용물(C)은 캡(25) 및 피스톤(30)에 의해서 밀봉되고 또한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피스톤(30)을 유지하고 있는 유지부(41e)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41e)는 그 선단에 나사부가 제공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30)은 본체(4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5)의 조립체에 있어서, 플런저 본체(P1)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카트리지(100) 내로 나사 결합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본체(P1)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중간 부재(7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본체(P1)는 카트리지(100) 내에 배치된 피스톤(30)에 고정되어 있다. 이후에, 주사기(20)로부터 캡(25)을 제거한 다음에, 주사기의 선단부(23)에 노즐(60)을 결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5)의 조립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기(20)에 대한 암(73)의 록(lock)이 암(73)에 제공된 탄성 설편(7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기 때문에, 탄성 설편(78)이 암(73)에 대해서 어떤 위치에 위치 설정되더라도, 암(73)의 자유단(73e)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암(73)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설편(78)은 돌출부(75)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탄성 설편(78)은 암(73)이 록되기 직전까지는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플런저(P)의 압입이 내용물(C)의 분출 중에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암(73)은 주사기(20)에 대해서 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설편(78)을 돌출부(75)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P)의 압입이 분출 중에 정지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정량된 내용물(C)에 영향을 주지 않고도 분출에 필요한 양이 정확하게 정량된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후단으로부터 본 중간 부재(7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73)의 고정단(73a)은 일체화된 방식으로 본체(71)의 후단면(71f)으로부터 세워지는 협폭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73)의 고정단(73a)은 탄성 설편(78)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암(73)은 탄성 설편(78)이 배치된 암(73) 부분이 고정단(73a)에서 보다도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암(73)은 고정단(73a)으로부터 시작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3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의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고, 또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상술한 설명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5)는 카트리지형 디스펜서일 필요는 없고, 또한 1 회용 주사기형 디스펜서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4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24에 있어서, 도면 부호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도면 부호 80은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80)는 피스톤(3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81)를 가지고 있다. 본체(81)는, 일체로 형성되는, 피스톤(3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81h)와, 네 개의 플레이트부(81a), 및 디스크부(81b)를 가지고 있다. 도면 부호 82는 사용자가 플런저(80)를 압입하기 위한 플런저 조작부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부(82)는 주사기(20)의 손가락 걸이(24)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디스크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면 부호 86은 본체(81) 및 플런저 조작부(82)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를 지칭한다. 본체(81) 및 플런저 조작부(82) 사이에는, 축 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지지부(87)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탄성부(86)는 지지부(8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탄성부(86)는 본체(81) 및 플런저 조작부(82) 사이에서 일체화된 방식으로 지지부(87)를 통해서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부(86)는 S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부(86)는 지지부(87)를 통해서 전달되는 부하에 따라서 변형 및 복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86)는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 상에 접촉부(86a)를 구비하고 있다. 접촉부(86a)는 서로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부(86)의 변형 강도를 조절한다.
도면 부호 83은 일체화된 방식으로 본체(81) 및 플런저 조작부(82)를 결합하는 암부를 지칭한다. 암부(83)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부(83)가 탄성부(86)를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암부(83)는 선단측 암(83a) 및 후단측 암(83b)을 가지고 있다. 선단측 암(83a)은 변형 가능하고 또한 복원 가능하며, 또한 본체(8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단측 암(83b)은 플런저 조작부(8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선단측 암(83a) 및 후단측 암(83b)은 일체화된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선단측 암(83a) 및 후단측 암(83b)의 결합부는 굴곡부(83c)를 구비하고 있다. 굴곡부(83c)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83c)는 전체 암부(83)가 외향으로 개방되도록 압입할 수 있다.
각각의 선단측 암(83a)은 또한 슬라이드 돌기(8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84)는 슬라이드 돌기(84)가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마주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 돌기(44)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드 돌기(84)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게 되면, 암(83)은 슬라이드 돌기(84)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드 돌기(84)는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고, 또한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라이드 돌기(84)는 본체(81)를 향해서 테이퍼지는 경사면(84f)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돌기(8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단측 암(83a)은 축선(O)을 따라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암(83a)은 굴곡부(83c) 측 상에 있는 선단측 암(83a)의 결합 기부(83a1)가 굴곡부(83c)를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후단측 암(83b)은 굴곡부(83c) 측 상에 있는 후단측 암(83b)의 결합 기부(83b1)가 굴곡부(83c)를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굴곡부(83c)는 돌출부(85)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85)는 돌출부(85)가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마주하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돌출부(85)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사기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면, 돌출부(85)는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85)는 주사기(20)의 후단(20e)과의 접촉면을 가지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면은 굴곡부(83c)로부터 더 외향으로 형성된 평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부(82) 측 상에 있는 후단측 암(83b)의 후단측 암(83b)은 결합부(88)를 통해서 플런저 조작부(82) 및 지지부(87)와 일체화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단측 암(83b)의 결합 기부(83b2)는 홈부(83d)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83d)는 후단측 암(83b)이 외향으로 용이하게 개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홈부(83d)는 결합 기부(83b2)의 외주면에 형성된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다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사용자는 플런저 조작부(82)를 압입한다. 이후에, 암부(83)에서, 선단측 암(83a)에 제공된 슬라이드 돌출부(84)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고, 또한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이때, 암부(83)의 굴곡부(83c)는 지지부(87)를 통해서 가세되는 탄성부(86)의 탄성력에 의해서는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런저(80)가 플런저 조작부(82)에 의해서 압입되더라도, 전체 암부(83)의 굴곡이 방지된다.
따라서, 굴곡부(83c)로부터 시작하는 굴곡을 받지 않고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암부(83)에 의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측 암(83a)은 슬라이드 돌기(8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플런저(80)는 슬라이드 돌기(84)의 방해없이 주사기(20) 내로 압입될 수 있다. 이 압입은 암부(83)에 제공된 돌출부(85)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20)가 후단(20e)과 접촉하여 록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85)는 주사기(20)의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기 전까지 정량의 내용물(C)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된다.
암부(83)에 제공된 돌출부(85)가 주사기(20)의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면, 플런저(P)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분출은 공간(R) 내에 여전히 내용물(C)이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완료된다. 제 1 분출의 체적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전체 분출 체적의 절반일 수도 있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부(82)의 압입이 해제되면, 탄성부(86)의 복원력은 플런저 조작부(82)에 의해서 공급되는 가압력이 암부(83)에 가해지지 않은 초기 상태로 암부(83)를 복원한다. 이때, 본체 측 상에 있는 선단측 암(83a)의 부분(83a2)은 슬라이드 돌기(8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여전히 받고 있다. 그 결과, 선단측 암(83a)의 결합 기부(83a1)는, 본체 측 상에 있고 또한 슬라이드 돌기(84)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받는 선단측 암(83a)의 부분(83a2)과 결합 기부(83a1)가 정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복원된다. 따라서, 굴곡부(83c)에 연결된 돌출부(85)는 결합 기부(83a1)를 따라서 굴곡부(83c)와 함께 대각선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되며, 또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85)의 록 상태는 해제된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82)의 압입이 해제되고 또한 암부(83)가 초기 상태로 복원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82)를 재차 삽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분출로서, 공간(R) 내에 잔존하고 있는 내용물(C)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된다.
도 28 내지 도 3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28a에 있어서, 도면 부호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플런저(P)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본체(41)를 가지고 있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1)의 링부(41c)는 수압부(90)를 구비하고 있으며, 링부(41c)와 수압부(90) 사이에는 축선(O) 방향으로 갭이 제공되어 있다. 수압부(9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압면(90f)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복수의 토션 스프링부(93)를 통해서 일체화된 방식으로 링부(41c)에 제공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부(93)는 수압부(9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에 반응하여 축선(O) 주위로 토션 변형을 생성한다. 토션 변형은 또한 수압부(90)에 의해서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될 때 토션 스프링부(93)에 복원력을 생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압부(90)에 의해 가해진 가압력이 해제되면, 수압부(90)는 수압부(90)가 가압되기 전의 초기 상태(본 실시예에서 도 28a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부(93)는 각각 축선(O) 주위로 링부(41c)로부터 세워지는 반나선 스프링 형상을 가지고 있다. 토션 스프링부(93)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토션 스프링부(93)가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토션 스프링부(93)는 링부(41c)에 대한 고정단(93a), 및 가압부(90)에 대한 고정단(93b)을 가지고 있다. 고정단(93a) 및 고정단(93b)을 연결하는 선분은 축선(O)에 대해서 45 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면(90)은 중공 링의 형태로 되어 있다. 수압부(90)의 수압면(90f)은 평면이다. 수압부(90)는 일체화된 방식의 측방 돌출부(94)를 구비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돌출부(94)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돌출부(94)가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94)는 반경 방향으로의 축선상에서 토션 스프링부(93)의 고정단(93a)과 정렬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도면 부호 110은 주사기(20) 내에 배치된 트렁크부(110a)를 가진 슬리브 부재를 지칭한다. 슬리브 부재(110)는, 트렁크부(110a)의 일 말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평평한 환형 오버행부(110b)를 가지고 있다. 오버행부(110b)는 축선(C) 주위로 연장된다. 오버행부(110b)의 외측 에지 상에는, 트렁크부(11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벽(110c)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트렁크부(110a)는 축선(O) 주위로 연장되는 환형 볼록부(110p)를 구비하고 있는 외주를 가지고 있다. 볼록부(110p)는 축선(O) 방향으로 오버행부(110b)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위치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리브 부재(110)의 트렁크부(110a)가 주사기(20) 내로 삽입될 때,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10)는 주사기(20)로부터 독립된 부재로서 제공된 손가락 걸이(24)의 내측 에지에 대해서 오버행부(110b)와 볼록부(110p) 사이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되면서 유지되어 있다.
슬리브 부재(110)의 내측에는,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축선(O)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슬리브 부재(110)는 축선(O)에 대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방지 수단(M)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방지 수단(M)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41a), 및 축선(O) 방향으로 플레이트부(41a)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안내 돌기(110d)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축선(O) 주위로 회전하지 않고 축선(O)을 따라서 슬리브 부재(1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선(O) 주위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위치에 회전 방지 수단(M)이 구비되어 있지만, 회전 방지 수단(M)은 네 개의 플레이트부(41a)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제공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10)는 수압부(90)에 제공되는 돌출부(94)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크랭크(11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랭크(111)는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111)는 트렁크부(110a)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슬릿(slit)의 형태로 되어 있다. 수압부(90)의 돌출부(94)는 크랭크(111)를 따라서 변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크랭크(111)는 토션 경로(111a)를 가지고 있다. 토션 경로(111a)는 축선(O)을 따라서 진행하며, 그 결과, 압입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축선(O)에 대해서 경사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압입될 수 있고 또한 토션 스프링부(93)에 토션을 제공한다. 그러나, 축선(O)을 따라서 진행하는 토션 경로(111a)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토션 경로(111a)는 제 1 압입 경로(111b)와 연통하고 있다. 제 1 압입 경로(111b)는 축선(O)을 따라서 연장되며, 따라서, 토션 스프링부(93)에 제공된 토션이 유지된 채로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압입 경로(111b)는 복귀 경로(111c)와 연통되어 있다. 복귀 경로(111c)는 복귀 경로(111c)가 축선(O)에 대해서 빼내어지는 방향(압입 방향에 대해서 대향인 방향)으로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토션 경로(111a)를 향해서 경사지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귀 경로(111c)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압입을 해제하고 또한 토션 스프링부(93)에 제공된 토션을 해제하게 되며, 따라서 토션 스프링부(93)가 복원된다.
복귀 경로(111c)는 제 2 압입 경로(111d)와 연통되어 있다. 제 2 압입 경로(111d)는 축선(O)을 따라서 복귀 경로(111c)로부터 연장되며,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압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랭크(111)는 복귀 경로(111c) 및 제 2 압입 경로(111d) 사이에 제공된 후퇴부(111e)를 가지고 있다. 후퇴부(111e)는 제 2 압입 경로(111d)에 대해서 복귀 경로(111c)를 약간 더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며, 또한, 후퇴부(111e)는 수압부(90)의 돌출부(94)에 의해서 해제 가능하게 걸려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사용자가 플런저(P)를 압입하기 위한 플런저 조작부(52)가 그 후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제공되는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본체(5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의 선단부는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가압하는 본체 단면(51a)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 단면(51a)은 평평한 가압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51)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56)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56)는 본체 단면(51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 본체(56a)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본체(56a)는 축선(O)을 따라서 본체 단면(51a)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다. 샤프트 본체(56a)는 그 선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56b)를 구비하고 있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56b)는 헤드(56b)의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56f)을 가지고 있다. 샤프트(56)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A4)에 결합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다.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는 크고, 또한 헤드(56b)의 직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가 관통하도록 하고 있고, 또한 헤드(56b)가 탈락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헤드(56b)를 유지하고 있다. 헤드(56b) 및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내주면(41f)은 직경이 후방으로 진행하면서 증가하는 테이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56b)는 선단측 상에 있는 링부(41c)의 단면(피스톤(30) 근처의 링부(41c)의 단면)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개방 공간(41s)은 헤드(56b)가 축선(O)을 따라서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변위 가능한 유격을 한정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축선(O)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8a에 도시한 보아 같이, 피스톤(30)은 본체(41)의 선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3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주사기(20) 및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된다. 공간(R)은 내용물(C)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R) 내에 충전된 내용물(C)은 피스톤(30)의 압입에 반응하여 주사기의 선단부(23)에 형성된 관통공(20a)으로 압송된다. 도면 부호 60은 주사기의 선단부(23)에 결합된 노즐을 지칭한다. 노즐(60)은 내장 칩(61)을 가지고 있고, 또한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된 내용물(C)을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0(도 28a)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압입되어 있다. 이후에,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단면(51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제공된 수압부(90)의 수압면(90f)을 가압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와 함께 슬리브 부재(110) 내로 압입되어진다. 이때, 수압부(90)의 돌출부(94)는 각각의 크랭크(111)의 토션 경로(111a)를 따라서 변위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압입됨에 따라서, 축선(O) 주위로의 토션이 토션 스프링부(93)에 제공된다. 또한, 도 3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부(90)의 돌출부(94)는 크랭크(111)의 토션 경로(111a)로부터 제 1 압입 경로(111b)를 따라서 변위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토션 스프링부(93)에 제공된 토션을 유지한 채로 더 압입된다. 따라서, 플런저(P)는 돌출부(94)가 제1 압입 경로(111b)의 말단에 도달하기 전까지 분출공(A1)을 통해서 정량의 내용물(C)을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94)가 제 1 압입 경로(111b)의 말단에 도달하게 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공간(R) 내에 내용물(C)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은 완료된다. 이 때의 공간(R)의 체적은 소정의 사용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분출을 시작하기 전에 공간(R)의 체적의 절반으로 할 수도 있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다. 이후에, 수압부(90)에 대한 가압은 해제되며, 따라서, 토션 스프링부(93)에 초래된 토션 변형 또한 해제된다. 그 결과, 토션 스프링(93)의 복원력 때문에,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부(90)는 본체(41)로부터 멀리 되돌려진다. 그 결과,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부(90)의 돌출부(94)는 복귀 경로(111c)를 따라서 제 1 압입 경로(111b)로부터 제 2 압입 경로(111d)(후퇴부(111e))로 변위된다.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각각의 크랭크(111)의 제 2 압입 경로(111d)를 따라서 재차 압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압부(90)의 돌출부(94)는 후퇴부(111e)에 걸려 있다. 또한, 후퇴부(111e)는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될 때 돌출부(94)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또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강력하게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잔존하는 내용물(C)은 돌출부(94)가 제 2 압입 경로(111d)의 말단과 접촉하기 전까지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강력하게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분출이 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축선(O) 주위로의 회전 방지는 또한 피스톤(30) 및 주사기의 내주면(20f) 사이에서 축선(O) 주위로 생성되는 동적 마찰력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회전 방지 수단(M)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각각의 크랭크(111)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조작되며, 또한, 따라서, 두 단계의 분출이 신뢰성있게 달성된다.
상술한 설명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위치에 크랭크(111)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크랭크(111)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조작되지만, 크랭크(111)를 단일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크랭크(111)는 관통공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크랭크(111)는 또한 트렁크부(110a)의 내주면에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굴곡부(압입 경로 및 복귀 경로)를 갖는 크랭크(111)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삼단 이상의 분출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4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34에 있어서, 도면 부호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도면 부호 120은 주사기(20)의 손가락 걸이(24)에 결합된 손가락 걸이 커버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걸이 커버(120)는 타원형 디스크 부재의 형태로서의 외관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축 방향의 양측 상에 제공된 영역(120a)은 손가락이 걸리는 영역을 구성한다.
손가락 걸이 커버(120)는 그 중간에 격벽(12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21)은 환형으로 돌출한 중공 원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격벽(121)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향해서 연장된 튜브 형상 몸체부(121c)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격벽(121)은 격벽(121)의 외측 에지부로부터 중간으로 향해서 형성되어 있는 두께가 얇은 평평한 환형부(121a)를 가지고 있다. 또한, 격벽(121)은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향해서 감소하는 직경을 갖는 격벽(121)의 환형부(121a)의 내측 에지에 의해서 형성된 콘 형상 만곡부(121b)를 가지고 있다. 만곡부(121b)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선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따라서 튜브 형상 몸체부(121c)를 형성한다.
격벽(121)은 또한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주위에 형성된 탄성 영역(E)을 가지고 있다. 탄성 영역(E)은 튜브 형상 몸체부(121c)가 변형되고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튜브 형상 몸체부(121c)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격벽(121)은, 탄성 영역(E)에, 축선(O)에 대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슬릿(122), 및 각각 인접한 슬릿(122) 사이에 제공된 복수의 연결편(123)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슬릿(122)은 환형부(121a) 및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상단부 사이의 대응하는 만곡부(121b)를 통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자면, 각각의 연결편(123)은 환형부(121a) 및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상단부 사이를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122)은 웨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122)이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슬릿의 폭은 넓어진다. 연결편(123) 또한 웨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편(123)이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상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그 폭이 증가한다. 도 35a 및 도 35b에 있어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부호 122 및 123은 각각 예시적으로 단일 위치에만 할당되어 있다.
도 34에 있어서, 도면 부호 P는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P)는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후방에 배치되는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피스톤(30)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41)를 가지고 있다. 본체(41)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네 개의 가늘고 긴 플레이트부(41a), 및 링부(41c)를 가지고 있다. 네 개의 플레이트부(41a)는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링부(41c)는 관통공(A4)을 구비하고 있다. 관통공(A4)은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방 공간(41s)과 연통하고 있다. 관통공(A4)은 선단(피스톤(30))을 향해서 직경이 감소하는 링부(41c)의 내주면(41f)에 의해서 구성되는 테이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41)는 두 개의 암(43)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암(4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43)이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암(43)은 각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있고 또한 축선(O)을 따라서 링부(41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암(43)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단(43a)으로부터 반경 방향(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될 수 있다. 암(43)은 또한 외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의 자유단(43e)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은 두께가 얇으며, 따라서, 암(43)은 용이하게 변형되고 또한 복원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돌기(44)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암(43)은 손가락 걸이 커버(120)의 튜브 형상 몸체부(121c)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암(43)은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내주면(121f)에 의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암(43)은,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의 직경(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내경)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가락 걸이 커버(120)의 탄성 영역(E)(본 실시예에서의 연결편(123))과 접촉하게 되면, 각각의 암(43)의 돌출부(45)는 록되고, 또한 그 결과,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정지하게 된다. 또한, 도 34의 확대도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암(43)의 돌출부(45)는, 그 외측에서, 고정단(43a)을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45f)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이 고정단(43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되면, 암(43)의 돌출부(45)는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내주면(121f)에 의해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또한 내주면(121f)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암(43)의 자유단(43e)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의 후단면은 암의 자유단(43e)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4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은 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수평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θ)로 외향으로 경사진(즉, 자유단(43e)이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내향되어 경사진) 테이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암(43)의 자유단(43e)은 수평선에 대해서 평행한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θ 값은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도(θ)는, 암(43)이 내향되어 경사지게 되면, 암(43)은 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수평선과 평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자유단(43e)은 단차(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46)는 암(43)의 내측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46)는 평평한 단차 저면(46a), 및 단차 저면(46a)에 연결된 단차 측면(46b)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차 측면(46b)은 또한 단차 측면(46b)으로부터 후방으로 및 외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두 개의 지지부(47)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47)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지지부(47)가 관통공(A4)을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지지부 단면(47a)은 각각 링부(41c)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암(43)에 제공된 단차 저면(46a)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면을 구성한다.
한편,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사용자가 플런저(P)를 압입하기 위한 플런저 조작부(52)가 그 후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제공된 본체(51)를 가지고 있다. 본체(51)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51)의 선단부는 볼록부(57)로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57)는 평편한 볼록부 단면(57a) 및 볼록부 단면(57a)에 연결된 볼록부 측면(57b)을 가지고 있다. 도 34의 확대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 단면(57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압입되면, 볼록부 단면(57a)은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플런저(P)의 압입 이동이 달성된다. 다시 말하자면, 단차 저면(46a) 및 볼록부 단면(57a)은 암(43)을 구속하고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성한다. 한편, 또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이 테이퍼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 측면(57b)은 단차 측면(46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이 내향 변형을 받게 되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을 안내하기 위한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은, 축선(O)을 따라서 외향으로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되돌릴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단차 측면(46b)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볼록부 측면(57b)은 암(43)의 내향 변형에 반응하여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되돌리기 위한 안내부를 구성한다.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51)는 또한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56)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56)는 볼록부 단면(57a)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 본체(56a)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본체(56a)는 축선(O)을 따라서 선단으로 향해서 볼록부 단면(57a)으로부터 연장된다. 샤프트 본체(56a)는 그 선단에 일체화된 방식으로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56b)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56b)는 그 선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경사면(56f)을 가지고 있다. 샤프트(56)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A4)에 결합되고 또한 유지되어 있다.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의 직경 보다는 크고, 또한 헤드(56b)의 직경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공(A4)은 샤프트 본체(56a)가 관통하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헤드(56b)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헤드(56b)를 유지하고 있다. 헤드(56b) 및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피스톤 유지 부재(40)가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유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링부(41c)의 내주면(41f)은 선단을 향해서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헤드(56b)는 선단측 상에 있는 링부(41c)의 단면(피스톤(30) 근처의 링부(41c)의 단면)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41a)를 절단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개방 공간(41s)은 헤드(56b)가 축선(O)을 따라서 전방으로 및 후방으로 변위 가능한 유격을 한정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유지 부재(40)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축선(O)을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변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스톤(30)은 본체(41)의 선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다. 피스톤(30)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주사기(20) 및 피스톤(30) 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된다. 공간(R)은 내용물(C)이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간(R)에 충전된 내용물(C)은 피스톤(30)의 압입에 반응하여 선단부(23)에 형성된 관통공(20a)으로 압송된다.
도 34에 있어서, 도면 부호 60은 주사기의 선단부(23)에 결합된 노즐을 지칭한다. 노즐(60)은 내장 칩(61)을 가지고 있고, 또한 관통공(20a)을 통해서 압송된 내용물(C)을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압입되어 있다. 이후에,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손가락 걸이 커버(120)의 튜브 형상 몸체부(121c)를 통과하고, 또한 주사기(20) 내로 압입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입은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손가락 걸이 커버(120)의 탄성 영역(E)(본 실시예에서 연결편(123))과 접촉하게 되면 정지하게 된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은 탄성 영역(E)이 탄성 변형을 받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탄성 영역(E)에 걸려서 록될 때까지 분출공(A1)을 통해서 정량의 내용물(C)을 분출할 수 있게 된다.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가 탄성 영역(E)과 접촉하게 되면, 플런저 유지 부재(50)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공간(R) 내에 내용물(C)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제 1 분출은 완료된다. 이 때의 공간(R)의 체적은 소정의 사용에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또한, 예를 들어, 분출을 시작하기 전에 공간(R)의 체적의 절반으로 할 수도 있다.
이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암(43)의 자유단(43e)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그 결과, 탄성 영역(E)의 변형은 즉각적으로 복원된다. 이때, 탄성 영역(E)의 즉각적인 복원 때문에, 암(43)의 돌출부(45)는 튜브 형상 몸체부(121c)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고 또한 고정단(43a)으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받으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되돌린다. 그 결과,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의 록이 해제되고, 또한 돌출부(45)는 탄성 영역(E)의 내측(즉, 만곡부(121b) 또는 튜브 형상 몸체부(121c)의 내측) 상에 걸려서 탄성 영역(E)의 내측 상에 유지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이후에, 탄성 영역(E)의 내측이 돌출부(45)에 의해서 걸려있는 것으로부터 초래되는 유지력 보다 큰 힘으로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더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탄성 영역(E)의 내측 상에 유지된 돌출부(45)는 탄성 영역(E)의 유지력에 저항하여 튜브 형상 몸체부(121c) 내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따라서,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재차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된 후에, 플런저 조작 부재(50)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R) 내에 잔존하고 있는 내용물(C)이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된다.
한편, 탄성 영역(E)은 탄성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인접한 슬릿(122) 사이에 각각 제공된 복수의 연결편(123)에 의해서 탄성 영역(E)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료를 탄성 영역(E)에 채택한 경우에도 큰 복원력을 즉각적으로 달성된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이 해제되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가 록된 상태는,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용이하게 되돌려질 수 있으면서,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영역(E)의 내측 상에 돌출부(45)가 유지되는 상태로 전이된다. 따라서, 암(43)에 제공된 돌출부(45)와 탄성 영역(E) 내측의 록 상태는 신속하게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암(43)에 제공된 단차 측면(46b)을 테이퍼면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및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본체(51)에 제공된 볼록부(57)를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암(43)의 내향 변형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한편, 주사기형 디스펜서 중에, 주사기 선단측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피스톤, 주사기의 선단측과 제 1 피스톤 사이에 충전되는 제 1 제(C1); 플런저에 제공된 제 2 피스톤, 제 1 피스톤 및 제 2 피스톤 사이에 충전되는 제 2 제(C2)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제 1 피스톤은 제 2 피스톤의 압입에 반응하여 변위되어 오목부와 제 1 피스톤 사이에 바이패스(우회로)를 형성하며, 오목부는 주사기의 내주면 상에 제공되며, 또한 제 1 제(C1)는 제 2 제(C2)와 혼합되어 내용물로서 배출되는 주사기형 디스펜서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주사기형 디스펜서에 있어서, 플런저는 주사기의 선단측까지 임의적으로 압입될 수 있다. 따라서, 주사기 내에 배치된 피스톤이 오목부를 단시간 동안 통과하게 되면, 바이패스가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그 결과, 제 1 제(C1)는 제 2 제(C2)에 완전하게 침투하지 않은 채로 분출될 수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사용자는 플런저를 조심스럽게 조작하여야 하였으며, 또한 조작성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도 39 내지 도 43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들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첨부하기로 한다. 도 39에 있어서, 도면 부호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합성 수지제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피스톤(31)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미리 주사기(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피스톤(31)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0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주사기(20) 선단측 상에는, 제 1 피스톤(31)에 의해서 밀봉되는 선단측 충전 공간(R1)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공간(R1) 내에는, 제 1 제(C1)가 내용물로서 충전되어 있다. 제 1 제(C1)의 예로는 동결 건조 분말 약제가 포함된다.
도면 부호 P는 주사기(20) 내에 수용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플런저를 지칭한다. 플런저(80)는 피스톤 유지 부재(4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제 2 피스톤(3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본체(41)를 가지고 있다. 본체(41)는 그 선단에 나사부(41e)가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피스톤(32)은 나사부(41e)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제 1 피스톤(31)에서와 유사하게, 제 2 피스톤(32)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주사기 트렁크부(21)의 내주면(21f)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주사기(20)의 후단 측 상에는, 제 1 피스톤(31) 및 제 2 피스톤(32)에 의해서 밀봉되는 충전 공간(R2)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 공간(R2) 내에는, 제 2 제(C2)가 내용물로서 충전되어 있다. 제 2 제(C2)의 예로는 동결 건조 분말 약제가 용해되는 용제가 포함된다.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본체(41)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부(41d)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샤프트부(41d)는 환봉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샤프트부(41d)는 직사각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41)는 두 개의 암(43)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암(43)은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암(43)이 샤프트부(41d)를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은 각각 본체(41)의 외주면을 따르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축선(O)을 따라서 본체(4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암(43)은,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고정단(43a)으로부터 반경 방향(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형될 수 있다. 암(43)은 또한 가해진 외력이 해제되면 초기 위치(예컨대, 도 39에 도시한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암(43)의 자유단(43e)은 반경 방향으로 내향되어 변위될 수 있고 또한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도 있다.
암(43)은 또한 각각 탄성 설편(48)을 구비하고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암(73)에 형성된 개구(A5)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 설편(48)은, 개구(A5)를 구성하는 에지부 중에서, 선단측(암(43)의 고정단(43a)) 상에 위치하는 개구 에지부(43b)에 대해서 일체화된 방식으로 형성된 고정단(48a)을 가지고 있다. 탄성 설편(48)의 고정단(48a)은 암(43)의 외측면과 동일면을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은 두께가 얇으며, 따라서, 용이하게 변형되고 또한 복원된다. 탄성 설편(48)은 암(43) 보다도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설편(48)은 탄성 설편(48)이 암(43)의 자유단(43e)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설편(43)의 말단(48e)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지향된다. 또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선(O)에 대해서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두 개의 단부(48e)는, 반경 방향으로, 최외측 직경 사이에, 주사기(20)의 내경(본 실시예에서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되는 개구(A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 보다 큰 간격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이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와 접촉하게 되면, 자유단으로서 기능하는 말단(48e)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48) 부분은 탄성 설편(48)의 고정단(48a)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설편(48)은 외향으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말단(48e)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은 주사기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암(43)은 또한 각각 일체화된 방식으로 돌출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는 일체화된 방식으로 암(43)의 자유단(43e)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의 후단면은 암(43)의 자유단(43e)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자유단(73e)은 축선(O)에 대해서 수직인 수평선에 대해서 일정 각도(θ)로 외향으로 경사진(즉, 자유단(73e)이 후방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내향되어 경사진) 테이퍼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도 1의 확대도 참조). θ 값은 주사기형 디스펜서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암(43)의 자유단(43e)은 또한 암(43)이 초기 상태에 있을 때 돌출부(45)의 후단면을 수평선과 평행한 평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의 말단(48e)(자유단 측 상에 있는 탄성 설편(48) 부분)이 돌출부(45)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45)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46)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46)는 암(43)의 내측 상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평평한 단차 저면(46a), 및 단차 저면(46a)에 연결된 단차 측면(46b)을 가지고 있다. 단차 저면(46a)은 수압면을 구성한다. 단차 측면(46b)은 또한 후방으로 및 외향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41)는 또한 축선(O)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 개의 지지부(47)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구비하고 있다(도 14 참조). 지지부(77)는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지지부(77)가 샤프트부(41d)를 사이에 끼고 있는 방식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 단면(47a)은 본체(47)로부터 측정한 길이가 암(43)에 제공된 단차 저면(46a)에 대응하는 길이의 평탄면을 구성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 단면(47a)은 단차 저면(46a)과 함께 수압면을 구성한다.
한편, 도 39에 있어서, 도면 부호 50은 플런저 조작 부재를 지칭한다. 한편,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원통형 본체(51) 및 플런저 조작부(52)를 가지고 있다. 본체(51)는 그 내측에 관통공(A7)을 가지고 있다. 관통공(A7)은 샤프트부(41d)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하고 있다.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이 피스톤 유지부(40)의 단차 저면(46a) 및 지지부 단면(47a)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서 축선(O) 방향으로 피스톤 유지 부재(4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피스톤 유지 부재(40)의 샤프트부(41d)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압입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그 후단에 플런저 조작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도면 부호 52는 사용자가 플런저(P)를 압입하기 위한 플런저 조작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50)는 플런저 조작 부재(40)를 주사기(20) 내로 압입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제 1 피스톤(31)이 주사기(20)에 대해서 액밀한 상태를 유지하는 한은, 충전 공간(R2)에 충전된 제 2 제(C2)는 플런저(P)의 압입에 반응하여 선단부(23)로 향해서 제 1 피스톤(31)을 가압한다.
또한, 주사기(20)의 트렁크부(21)는 그 내주면(20f) 측 상에 오목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26)는 주사기(20)의 선단부 측 상에 제공된 충전 공간(R1)의 축선(O) 주위의 적어도 단일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6)는 축선(O)을 따라서 연장되며, 또한 제 1 피스톤(31)의 전체 길이(슬라이딩부의 전체 길이) 보다 더 긴 길이(L)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31)이 주사기(20)의 선단을 향해서 변위되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사기(20)에 제공된 오목부(26) 및 제 1 피스톤(31) 사이에 바이패스(R3)가 형성된다. 바이패스(R3)는 충전 공간(R1)이 충전 공간(R2)과 연통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은 다른 실시예의 기본적인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39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플런저 조작 부재(50)는 압입되어 있다. 이후에, 제 2 피스톤(32)은 또한 주사기(20) 내로 압입되며, 또한, 따라서, 제 2 제(C2)는 압송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피스톤(31)은 제 2 제(C2)로부터 전달되는 가세력에 반응하여 선단부(23)를 향해서 변위된다. 이후에, 오목부(26)에 도달하게 되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피스톤(31)은 주사기(20)에 제공된 오목부(26)와 함께 바이패스(R3)를 형성한다. 바이패스(R3)는 충전 공간(R2) 내측의 제 2 제(C2)가 충전 공간(R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전 공간(R2) 내측의 제 2 제(C2)는 제 1 제(C1)로 침투하게 된다. 이때, 제 1 피스톤(31) 및 제 2 피스톤(32) 사이의 압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제 1 피스톤(31)은 오목부(26) 내에 정지하게 되어 바이패스(R3)를 확보하게 된다.
플런저(P)가 더 멀리 압입되면, 암(43)에 제공된 탄성 설편(48)은 후단을 향해서 외향으로 만곡되며, 또한 탄성 설편(48)의 말단(48e)은 외향으로 지향된다. 따라서, 플런저(P)는 주사기(20)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A2)를 통해서 주사기(20) 내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설편(48)이 주사기(20) 내로 진입하게 되면,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은 암(43)에 제공된 단차 저면(46a)을 수압면으로서 가압하며, 또한 암(43)을 구속한다. 따라서,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암(43)에 연결된 고정단(48e)으로부터 시작하는 휨 변형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탄성 설편(48)은 주사기(20)의 내주면(20f) 상에서 슬라이드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제(C2)는 탄성 설편(48)에 뒤이어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될 때까지 제 1 제(C1)에 침투될 수 있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가 주사기(20)의 후단(20e)과 접촉하게 되면, 플런저(P)는 더 이상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피스톤(32)이 제 1 피스톤(31)과 접촉하게 되는 위치에서 돌출부(45)가 주사기의 후단(20e)과 접촉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 2 제(C2)가 충전 공간(R1) 내로 완전하게 유입된다.
일단 플런저(P)를 압입할 수 없게 된 이후에, 플런저(P)의 압입이 해제되면, 암(43)의 자유단(43e)은 플런저 조작 부재(50)에 의해서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구속으로부터 해제된다. 이때, 반작용으로서, 주사기(20)의 내주면(20f)과 접촉하는 탄성 설편(48)의 휨 변형에 대한 복원력이 암(43)에 작용한다. 그 결과,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은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샤프트부(41d)를 따라서 되돌려지는 상태에서 고정단(43e)으로부터 시작하는 내향 변형을 받게 된다. 따라서,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 및 주사기(20)의 후단(20e)의 록 상태는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초기 상태로부터 플런저(P)가 압입되면,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은 암(43)의 단차 측면(46b)에 의해서 안내된다. 그 결과, 피스톤 유지 부재(40)는 안정적으로 또한 효과적으로 압입된다. 또한, 플런저(P)의 압입이 해제되면, 암(43)의 단차 측면(46b)은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선단부)을 되돌리기 위한 안내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상태에서, 자유단(43e) 측 상에 있는 암(43) 부분은 어렵지 않게 내향 변형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암(43)의 돌출부(45) 및 주사기(20)의 후단(20e) 사이에서의 록(lock)의 해제와 연동하여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진 이후에,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5)의 후단면은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과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45)의 후단면은 암(43)의 자유단(43e)으로서 및 각도(θ)로 경사진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43)의 자유단(43e)은 암(43)이 내향 변형을 받는 상태에서 평평한 수압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플런저(P)가 재차 압입되면, 암(43)의 자유단(43e)은 본체 측 상에 있는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단면(50f)으로부터의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런저(P)가 느슨해진 이후에, 플런저(P)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C1) 및 제 2 제(C2)의 내용물(C3)(혼합물)은 바이패스(R3)를 통해서 분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기(20)에 대한 암(43)의 록이 암(43)에 제공된 탄성 설편(48)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기 때문에, 탄성 설편(48)이 암(43)에 대해서 어떤 위치에 위치 설정되더라도, 암(43)의 자유단(43e)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암(43)의 록이 해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 설편(48)은 돌출부(45)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탄성 설편(48)은 암(43)이 록되기 직전까지는 변형되지 않으며, 또한 플런저(P)의 압입이 제 1 제(C1) 및 제 2 제(C2)의 혼합 중에 느슨해지거나 해제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암(43)은 주사기(20)에 대해서 록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설편(48)을 돌출부(45)에 가장 근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플런저(P)의 압입이 혼합 도중에 정지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플런저 조작 부재(50)가 되돌려지는 것에 반응하여 돌출부(45)가 해제되지 않고, 제 1 제(C1)가 제 2 제(C2)와 정확하게 혼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P)를 한번에 압입하더라도, 암(43)의 돌출부(45)는 주사기(20)의 후단(20e)에 의해서 록되어 있다. 따라서, 록 위치를 제 2 피스톤(32)이 제 1 피스톤(31)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피스톤(31)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바이패스(R3)와 함께 일단 정지하며, 또한, 이후에 제 1 피스톤(31)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피스톤(32)이 제 1 피스톤(31)과 접촉하기 전까지 주사기(20) 내로 직접적으로 압입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상태로부터 플런저(P)를 조심스럽게 압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바이패스(R3)가 유지된 상태로 제 1 피스톤(34)이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주사기형 디스펜서(9)를 흔드는 조작이 가능하다. 그 결과, 두 개의 제(agent)는 효과적으로 및 신뢰성 있게 혼합된다. 또한, 플런저(P)의 록이 플런저 조작 부재(50)의 압입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해제되기 때문에, 이후에, 주사기형 디스펜서(9)를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전달하지 않고도 플런저(P)를 재차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혼합물(C3)은 분출공(A1)을 통해서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제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혼합되며, 또한 혼합물(C3)은 일련의 조작에 의해서 분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암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짝수 개의 암을 제공하게 되면 축선(O) 주위로의 안정적인 균형이 달성되기 때문에 조작이 양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노즐(60)의 칩(61)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레이 대신에 거품 형태의 분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60)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채용된 구성품은 조합되어 적절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주사기와 주사기 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된 플런저를 가지고 있는 주사기형 디스펜서이기만 하면 다양한 유형의 디스펜서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로는 점비제 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내용물을 채용할 수 있다.
1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1 실시예)
2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2 실시예)
3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3 실시예)
4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4 실시예)
5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5 실시예)
6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6 실시예)
7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7 실시예)
8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8 실시예)
9 : 비강 분무액 디스펜서(제 9 실시예)
20 : 주사기
30 : 피스톤
31 : 제 1 피스톤(피스톤)
32 : 제 2 피스톤(피스톤)
40 : 피스톤 유지 부재
41 : 피스톤 유지 부재의 본체
41d : 샤프트부
41s : 유격
43 : 암(탄성 변형부)
43a : 암의 고정단
43e : 암의 자유단
44 : 슬라이드 돌기
44f : 경사면
45 : 돌출부(스토퍼부)
46 : 단차(제한부)
46a : 단차 저면
46b : 단차 측면
47 : 지지부
47a : 지지부 단면
48 : 탄성 설편
48a : 탄성 설편의 고정단
48e : 탄성 설편의 말단
50 : 플런저 조작 부재
51 : 플런저 조작 부재의 본체
51a : 본체 단면
51b : 본체 단면의 외측 에지
51s : 유격
52 : 플런저 조작부
57 : 본체의 볼록부
57a : 볼록부 단면
57b : 볼록부 측면
70 : 중간 부재
70f : 본체 측에 위치하는 중간 부재의 단면
71 : 중간 부재의 본체
71f : 본체의 후단면
73 : 암(탄성 변형부)
73a : 암의 고정단
73e : 암의 자유단
75 : 돌출부(스토퍼부)
76 : 단차
76a : 단차 저면
76b : 단차 측면
77 : 지지부
77a : 지지부 단면
78 : 탄성 설편
78a : 탄성 설편의 고정단
78e : 탄성 설편의 말단
80 : 플런저
81 : 본체
82 : 플런저 조작부
83 : 암(탄성 변형부)
83a : 선단측 암
83a1 : 굴곡부 측 상의 결합 기부
83a2 : 본체 측 상의 부분
83b : 후단측 암
83b1 : 굴곡부 측 상의 결합 기부
83c : 굴곡부
83d : 홈부
84 : 슬라이드 돌기
84f : 경사면
85 : 돌출부(스토퍼부)
86 : 탄성부(탄성 변형부)
86a : 접촉부
87 : 지지부
87a : 지지부 단면
90 : 수압부
90f : 수압면
93 : 토션 스프링부(탄성 변형부)
93a : 고정단
93b : 고정단
94 : 돌출부(스토퍼부)
100 : 카트리지
110 : 슬리브 부재
110a : 트렁크부
110b : 오버행부
110c : 주벽
111 : 크랭크
111a : 토션 경로
111b : 제 1 압입 경로
111c : 복귀 경로
111d : 제 2 압입 경로
111e : 후퇴부
120 : 손가락 걸이 커버
121 : 격벽
121a : 환형부
121b : 콘 형상 만곡부
121c : 튜브 형상 몸체부
121f : 튜브 형상 몸체부의 내주면
122 : 스플릿(탄성 영역)
123 : 연결편(탄성 영역)
A1 : 분출공
A2 : 주사기 후단 개구
A4 : 관통공
A5 : 개구
A6 : 관통공
A7 : 관통공
C : 내용물
C1 : 제 1 제
C2 : 제 2 제
C3 : 혼합물
E : 탄성 영역(탄성 변형부)
M : 회전 방지 수단
P : 플런저
R : 공간
R1 : 충전 공간(제 1 제)
R2 : 충전 공간(제 2 제)
R3 : 바이패스
R5 : 내부 공간

Claims (12)

  1.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에 있어서,
    주사기;
    상기 주사기 내로 압입되도록 구성된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압입에 반응하여 변형되도록 구성된 탄성 변형부; 및
    상기 주사기에 대해서 록(lock)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록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된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스토퍼부가 상기 주사기에 대해서 록되면 내향 가세력을 받게 되며, 또한 상기 가세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내향 변위가 제한되는 제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의 상기 록은 상기 제한부의 해제에 의해서 해제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암의 자유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사기 내로 가압하며,
    상기 암은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구성된 상기 제한부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암은 상기 탄성 변형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암은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 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주사기의 내주벽 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암을 내향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돌기, 및 상기 주사기의 상기 후단에 의해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돌기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암의 상기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구성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및 암을 일체화된 방식으로 가지고 있으며, 또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 및 상기 암이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절결부는 상기 암의 상기 자유단을 가압하는 가압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막힌 단부를 가지고 있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가 되돌려지도록 허용하는 유격, 및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의 샤프트에 제공된 헤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가 탈락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록부를 구비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 및 상기 암은, 상기 암의 내측이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암의 내향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암의 상기 내측으로부터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가 되돌아가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스토퍼부의 상기 록이 해제되도록 하는 스토퍼 해제부를 가지고 있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탄성 설편을 포함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피스톤 유지 부재, 복수의 중간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중간 부재는 상기 복수의 중간 부재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샤프트를 통해서 조립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중간 부재는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암의 자유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 내로 상기 피스톤을 압입하며,
    상기 암은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 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주사기의 내주벽 상에서 슬라이드 하는 동안 상기 암이 휨 변형을 받도록 구성되는 탄성 설편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 설편은 상기 탄성 변형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암은 상기 주사기의 상기 후단에 의해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 설편의 변형에 의해서 초래되는 상기 암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구성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9. 제 1 항에 있어서,
    피스톤을 갖는 피스톤 유지부; 상기 피스톤 유지부의 후단에 배치된 플런저 조작부; 및 상기 피스톤 유지부 및 상기 플런저 조작부를 일체형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암부는 각각 상기 피스톤 유지부에 연결된 선단측 암, 상기 플런저 조작부에 연결된 후단측 암, 및 상기 선단측 암부를 상기 후단측 암부에 결합하는 굴곡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선단측 암은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 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선단측 암이 상기 주사기의 내주벽 상에서 슬라이드 하면서 휨 변형을 받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복수의 암부는 상기 피스톤 유지부 및 상기 플런저 조작부를 일체화된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탄성부와 협동하여 상기 탄성 변형부를 구성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주사기의 상기 후단에 의해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돌기로부터 시작하는 상기 선단측 암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스토퍼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피스톤 및 축선 주위로 변형 및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압부 및 토션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압부는 상기 토션 스프링부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의 후방에 제공되며,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의 상기 수압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사기 내로 압입하며,
    상기 주사기는, 그 내측에,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 유지부의 상기 수압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에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부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구성된 측방 돌출부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측방 돌출부를 안내하도록 구성된 크랭크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토션 스프링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측방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구성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는 손가락 걸이 커버가 결합되는 손가락 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손가락 걸이 커버는 튜브 형상 몸체부 및 상기 튜브 형상 몸체부 주위에 제공된 탄성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튜브 형상 몸체부는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를 향해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탄성 영역은 변형 및 복원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는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암의 자유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사기 내로 압입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은 상기 탄성 영역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탄성 영역이 탄성 변형을 받고 또한 상기 탄성 영역의 복원력에 의해서 초래되는 상기 암의 내향 변형에 의해서 걸림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탄성 영역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탄성 변형부 및 상기 스토퍼부를 각각 구성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피스톤 유지 부재 및 플런저 조작 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피스톤 유지 부재는 피스톤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암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플런저 조작 부재는 상기 암의 자유단을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주사기 내로 압입하며,
    상기 암은 상기 주사기의 후단에 제공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주사기 내로 진입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주사기의 내주벽 상에서 슬라이드 하는 동안 상기 암이 휨 변형을 받도록 구성되는 탄성 설편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 설편은 상기 탄성 변형부를 구성하며, 또한
    상기 암은 상기 주사기의 상기 후단에 의해서 록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 설편의 변형에 의해서 초래되는 상기 암의 복원력에 의해서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스토퍼부를 구성하는,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KR1020147029695A 2012-03-30 2013-03-29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KR101706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2385 2012-03-30
JP2012082385A JP5882106B2 (ja) 2012-03-30 2012-03-30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103300 2012-04-27
JP2012103300A JP5855522B2 (ja) 2012-04-27 2012-04-27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123748 2012-05-30
JP2012123748A JP5868782B2 (ja) 2012-05-30 2012-05-30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124312 2012-05-31
JP2012124312A JP5819781B2 (ja) 2012-05-31 2012-05-31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2012125165A JP5855531B2 (ja) 2012-05-31 2012-05-31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125165 2012-05-31
JPJP-P-2012-170558 2012-07-31
JPJP-P-2012-170559 2012-07-31
JP2012170558A JP5847662B2 (ja) 2012-07-31 2012-07-31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2012170559A JP5868807B2 (ja) 2012-07-31 2012-07-31 シリンジ型二剤混合噴出器
JP2012218607A JP5868822B2 (ja) 2012-09-28 2012-09-28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218607 2012-09-28
JP2012218330A JP5868820B2 (ja) 2012-09-28 2012-09-28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JP-P-2012-218330 2012-09-28
PCT/JP2013/002204 WO2013145789A1 (ja) 2012-03-30 2013-03-29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324A KR20140138324A (ko) 2014-12-03
KR101706837B1 true KR101706837B1 (ko) 2017-02-14

Family

ID=4925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695A KR101706837B1 (ko) 2012-03-30 2013-03-29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78104B2 (ko)
EP (1) EP2832452B1 (ko)
KR (1) KR101706837B1 (ko)
CN (1) CN104470642B (ko)
AU (1) AU2013238598B2 (ko)
CA (1) CA2869155C (ko)
WO (1) WO20131457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17B1 (ko) 2018-05-04 2018-06-15 정의택 정량 반복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약물의 주입용량 설정방법
KR101986953B1 (ko) 2018-08-10 2019-06-07 정의택 정량 반복주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3849A1 (ja) 2012-11-30 2014-06-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284755B2 (ja) * 2013-11-29 2018-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284790B2 (ja) * 2014-03-10 2018-02-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305793B2 (ja) * 2014-03-13 2018-04-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322844B2 (ja) 2014-06-25 2018-05-16 東興薬品工業株式会社 医療用シリンジに用いられる点鼻用噴霧ノズル
DK3162378T3 (da) 2014-06-25 2024-03-18 Toko Yakuhin Kogyo Kk Nasalvaccinationssystem til influenzavaccine
CN107249672A (zh) 2015-02-24 2017-10-13 泰利福医疗公司 剂量分配注射器
FR3038518A1 (fr) * 2015-07-08 2017-01-13 Guerbet Sa Seringue et son procede d'assemblage
JP6579918B2 (ja) 2015-10-29 2019-09-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シリンジ型噴出器
KR200484768Y1 (ko) * 2016-07-26 2017-10-23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KR101956671B1 (ko) * 2017-07-19 2019-03-12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밀대의 전진 또는 후퇴가 제한되는 구조의 체내 액체 삽입 장치
CN111182932A (zh) * 2017-09-29 2020-05-19 西医药服务有限公司 带注射器保持功能的外壳
IL278415B2 (en) 2018-06-05 2023-10-01 Toko Yakuhin Kogyo Kk Transnasal administration system of hepatitis B vaccine
FR3088224B1 (fr) * 2018-11-14 2023-01-13 Aptar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IL294015A (en) * 2019-12-18 2022-08-01 Janssen Pharmaceutica Nv Packaging systems for drug delivery devices and packaging kits
US20230310752A1 (en) * 2020-09-01 2023-10-05 Janssen Pharmaceutica Nv Drug syringes with a mechanical stop for a second dose
CN113398387B (zh) * 2021-07-05 2023-07-07 山西瑞博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医用喷雾式快速上药器
USD982854S1 (en) 2022-02-23 2023-04-04 Jinhua Jiu Miao Enterprise Management Co., Ltd. Medicine syringe for a pet
USD982855S1 (en) 2022-08-19 2023-04-04 Jinhua Jiu Miao Enterprise Management Co., Ltd. Medicine syringe for a pet
KR102544224B1 (ko) * 2023-01-17 2023-06-16 아이엠플렉스주식회사 국부청결세럼 외용제 주입용 주사기
FR3145750A1 (fr) 2023-02-13 2024-08-16 Aptar France Sas Système de dosage bidose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FR3145751A1 (fr) 2023-02-13 2024-08-16 Aptar France Sas Système de dosage bidose pour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WO2024172555A1 (ko) * 2023-02-15 2024-08-22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86B1 (ko) * 2023-04-04 2024-07-05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99B2 (ja) 1991-10-03 1996-09-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装置
JP2531563B2 (ja) 1992-07-03 1996-09-04 信之 高橋 植物育成環境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0126A5 (ko) * 1978-03-10 1980-11-14 Tulcea Sa
JPS6130699U (ja) * 1984-07-26 1986-02-24 三菱鉛筆株式会社 注入器
US4950163A (en) * 1988-05-19 1990-08-21 Zimble Alan W Dental syringe for treating gums
CN2155231Y (zh) * 1993-04-02 1994-02-09 李新钢 医用喷雾注射器
JPH07213612A (ja) * 1994-02-04 1995-08-15 Kato Hatsujo Kaisha Ltd シリンジ
CA2329707A1 (en) 1998-04-30 1999-11-04 Abbott Laboratories Syringe assembly
FR2845016B1 (fr) * 2002-09-27 2004-12-03 Becton Dickinson France Dispositif de pulverisation ou d'injection permettant de delivrer au moins deux doses determinees de produit
US7726520B2 (en) * 2005-12-22 2010-06-01 Innopak Inc. Metered dispenser with feed-containing piston drive mechanism
JP2008200316A (ja) * 2007-02-21 2008-09-04 Kr Business:Kk 分割排出用シリンジ
CN201061658Y (zh) * 2007-06-22 2008-05-21 程波 一次性可塑型定量口咽喷雾头
JP5565840B2 (ja) * 2010-12-28 2014-08-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シリンジ容器
JP5747722B2 (ja) 2011-08-02 2015-07-15 ニプロ株式会社 鼻腔投与容器
JP5817304B2 (ja) 2011-08-03 2015-11-18 ニプロ株式会社 鼻腔投与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599B2 (ja) 1991-10-03 1996-09-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動歯ブラシ装置
JP2531563B2 (ja) 1992-07-03 1996-09-04 信之 高橋 植物育成環境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17B1 (ko) 2018-05-04 2018-06-15 정의택 정량 반복주사기 및 이를 이용한 약물의 주입용량 설정방법
KR101986953B1 (ko) 2018-08-10 2019-06-07 정의택 정량 반복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38598B2 (en) 2015-11-05
CA2869155C (en) 2017-01-31
EP2832452A1 (en) 2015-02-04
CN104470642B (zh) 2017-04-26
EP2832452A4 (en) 2015-11-25
AU2013238598A1 (en) 2014-10-09
US20150075520A1 (en) 2015-03-19
US9878104B2 (en) 2018-01-30
KR20140138324A (ko) 2014-12-03
WO2013145789A1 (ja) 2013-10-03
CN104470642A (zh) 2015-03-25
EP2832452B1 (en) 2017-02-01
CA2869155A1 (en) 201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837B1 (ko)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JP5858042B2 (ja) 鼻腔投与容器
EP2355873B1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JP2008521494A (ja) 自動還元注射器具
JP2017529941A (ja) 注入装置
EP2926849B1 (en) Metered syringe-type ejector
JP5833230B2 (ja) 材料自動組み合わせ機能付き注入器具
JP5855531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CN108136133B (zh) 注射器型喷出器
JP5847662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5868807B2 (ja) シリンジ型二剤混合噴出器
JP5868820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284755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306245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容器
JP6305793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6147117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容器
JP2014108209A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5868822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JP5868782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EP4342510A1 (en) Syringe
JP6165655B2 (ja) 定量シリンジ型噴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