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768Y1 -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 Google Patents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768Y1
KR200484768Y1 KR2020160004283U KR20160004283U KR200484768Y1 KR 200484768 Y1 KR200484768 Y1 KR 200484768Y1 KR 2020160004283 U KR2020160004283 U KR 2020160004283U KR 20160004283 U KR20160004283 U KR 20160004283U KR 200484768 Y1 KR200484768 Y1 KR 200484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essing member
liquid
rear en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2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에이치바이오
Priority to KR20201600042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768Y1/ko
Priority to PCT/KR2017/007203 priority patent/WO20180217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7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45Containers therefor, e.g. with heating means or with storage means for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07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introduc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A61M2210/1067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가 제시된다.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는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는 바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APPARATUS FOR INJECTING LIQUID IN BODY HAVING PISTON OF MULTI-STAGE STRUCTURE}
아래의 실시예들은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료 및 위생 등의 목적으로 여성의 질(膣, vagina) 또는 항문 내에 용액 형태의 치료약, 세척 용액 등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질 세척을 위한 세척 용액을 투여, 피임을 위한 용액 형태의 피임약을 투여, 또는 치질, 성병 등의 치료를 위한 용액 형태의 치료약을 투여, 및 성교 시의 윤활제 투여 등 그 활용 양태는 매우 다양하다. 여성의 질 또는 항문은 점막이 노출되는 부분으로 세균의 감염이 쉬우므로 체내 액체 투입 시 청결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러한 체내 액체 투여기는 위생 상의 문제 및 세척의 어려움으로 인해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액체가 미리 수용된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 따라 일회용의 체내 액체 투여기를 임의로 세척하여 재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질병 및 세균의 감염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체내 액체 투여기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3-0028796호는 이러한 여성 질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길이가 긴 노즐 주사기를 이용하여 체내 세척 및 살균 가능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질 세척액, 약액, 윤활제 등의 액체를 여성의 질이나 항문 내로 투여하기 위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액체 주입을 위해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피스톤 본체와 누름 부재가 분리되어 누름 부재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들은 바디와 피스톤이 수용되고 내측에 바디의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된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케이스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는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는 바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외주면에 소정 패턴이 형성되거나 외주면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바디를 수용하며, 전단부 내측에 마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상부 케이스; 및 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디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 일측에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누름 부재;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2 누름 부재; 및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끝단에 상기 누름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전단부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3 누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본체의 후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누름 부재의 전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3 누름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누름대에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의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1 누름 부재; 및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끝단의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스톤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누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후단부는 슬릿에 의해 이격된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누름 부재에 슬라이드된 후, 상기 제1 누름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서 팽창되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체 주입을 위해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피스톤 본체와 누름 부재가 분리되어 누름 부재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와 피스톤이 수용되고 내측에 바디의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된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케이스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상부 케이스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상하부 케이스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바디 및 피스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받침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질 세척액, 약액, 윤활제 등의 액체를 여성의 질이나 항문 내로 투여하기 위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 주입을 위해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피스톤 본체와 누름 부재가 분리되어 누름 부재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한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와 피스톤이 수용되고 내측에 바디의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된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케이스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상부 케이스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상하부 케이스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111)가 형성되는 바디(110)와,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바디(110)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112)와, 받침부(112)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127)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받침부(112)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124, 125, 126)와, 누름 부재(124, 125, 126)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122)를 포함하는 피스톤(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바디(110)를 수용하며, 전단부 내측에 마개(131)가 돌출 형성되어 바디(110)의 액체 분사구(111)에 삽입되는 상부 케이스(130), 및 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피스톤(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바디(110), 받침부(112), 및 피스톤(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상부 케이스(130) 및 하부 케이스(1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10)는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길이가 긴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바디(11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디(110)의 전단부에는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111)가 형성되어,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가압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가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바디(110)의 후단부에는 받침부(1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12)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바디(110)의 후단부에 결합되거나 바디(1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부(112)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바디(11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할 피스톤(120)과 연결된다.
받침부(112)의 표면에는 일정 영역 볼록 패턴 또는 오목 패턴 등의 소정의 패턴을 가져 사용자에 의해 파지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볼록 패턴 및/또는 오목 패턴은 다수의 링 형상, 나선형 형상, 도트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엠보싱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례로 받침부(112)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즉,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된) 다수의 링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링 형상의 패턴은 굴곡이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받침부(112)의 표면에 볼록 형성된 다수의 도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받침부(112)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라이프 형상의 패턴은 굴곡이 형성되어 볼록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받침부(112)의 표면에 벌집 엠보싱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112)의 표면에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체내 액체 투여를 위해 바디(110)의 받침부(112)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받침부(112)는 외주면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받침부(1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 형상, 오각기둥 형상, 육각기둥 형상, 칠각기둥 형상, 팔각기둥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2)는 다각기둥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또한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112)는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육각기둥 형상의 내부 관통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12)의 외주면은 바디(110)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 일측에 상부 케이스(130)가 결합되며 타측에 하부 케이스(1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스톤(120)은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바디(110)의 전단부로 전진이 가능하다. 피스톤(120)의 재질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피스톤(120)은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피스톤(120)은 피스톤 본체(122) 및 누름 부재(124, 125, 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누름 부재(124, 125, 126)는 제1 누름 부재(124), 제2 누름 부재(125), 및 제3 누름 부재(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누름 부재(124, 125, 126)는 받침부(112)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127)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받침부(112)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피스톤 본체(122)는 누름 부재(124, 125, 126)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피스톤 본체(122)는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후방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피스톤 본체(122)는 전단부에 패킹부(121)가 형성되어 가압에 따라 바디(110)에 밀착되어 전진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더욱이 피스톤 본체(122)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바디(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본체(122)는 바디(110)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최대 이동 시 끝단이 바디(110) 내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피스톤 본체(122)를 바디(1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피스톤 본체(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스톤 본체(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임의로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상부 케이스(130) 및 하부 케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마개와 케이스가 일체로 형성되어 별도의 파우치 등의 케이스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0)는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으로,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케이스(130)는 후단부가 개방된 길이가 긴 유선형,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바디(11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케이스(130)는 받침부(11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케이스(130)의 끝단에 걸림홈(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걸림홈(132)은 링 형상의 홈일 수 있다. 한편, 받침부(112)의 전측에 링 형상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13)가 형성되어 걸림홈(132)에 결합됨으로써 받침부(112)에 상부 케이스(1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부 케이스(130)가 받침부(112)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있으나, 상부 케이스(130)는 바디(110) 및 받침부(112)의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130)의 전단부 내측에는 마개(131)가 돌출 형성되어 바디(110)의 액체 분사구(111)에 삽입됨으로써, 바디(110)의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가 사용자의 의도와 상관 없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마개를 사용하지 않아 간편할 뿐만 아니라 마개만 별도 형성되는 경우 바디(110)로부터 마개가 쉽게 분리되어 액체(l)가 유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부 케이스(130)의 내부에 부드러운 재질의 스폰지 등이 구성되어 체내에 삽입되는 바디(110)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바디(110)를 보호할 수도 있다. 특히, 상부 케이스(130)의 내부에 스폰지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되어 스크래치의 발생을 방지하는 내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140)는 피스톤(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것으로,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케이스(140)는 전단부가 개방된 길이가 긴 유선형,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피스톤(12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케이스(140)는 받침부(112)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케이스(140)의 끝단에 걸림돌기(14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걸림돌기(141)는 링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한편, 받침부(112)의 내측에 링 형상으로 걸림홈(115)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41)가 결합됨으로써 받침부(112)에 하부 케이스(140)가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하부 케이스(140)의 내부에 부드러운 재질의 스폰지 등이 구성되어 피스톤(120)에 스크래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부 케이스(140)의 내부에 스폰지 등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된 내부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바디(110)와 피스톤(120)의 외부에 마개(131)가 포함된 상부 케이스(130) 및 하부 케이스(140)를 구성하여 전체 덮개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케이스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 아니라 체내에 삽입되는 바디(110)에 스크래치가 생기거나 오염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바디 및 피스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바디(110), 받침부(112), 및 피스톤(1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피스톤(120)은 피스톤 본체(122) 및 누름 부재(124, 125, 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피스톤(120)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이때, 피스톤(120)의 피스톤 본체(122)는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후방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의 바디(110), 받침부(112), 및 피스톤(120)에 대한 구성은 앞에서 설명하였으므로 간단히 설명하고, 바디(110) 내에 피스톤(120)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한 후 피스톤 본체(122)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는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1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길이가 긴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피스톤 본체(122)가 삽입된다.
그리고 바디(110)의 내부 공간의 소정 영역에는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의 액체 수용 공간에는 체내 투여되는 액체(l)가 수용된다.
바디(110)의 전단부에는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11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피스톤(120)의 누름 부재(124, 125, 126)를 가압함에 따라 피스톤 본체(122)가 바디(110)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되어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가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바디(110)의 후단부에는 받침부(112)가 연결된다.
이러한 받침부(112)의 표면에는 일정 영역 볼록 패턴 또는 오목 패턴 등의 소정의 패턴을 가져 사용자에 의해 파지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은 다수의 링 형상, 나선형 형상, 도트 형상, 스트라이프 형상, 엠보싱 형상 등의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데, 각각의 패턴은 돌출될 수도 있고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받침부(112)는 외주면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받침부(112)는 다각기둥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또한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112)의 외주면에 일정한 패턴이 형성되거나 일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체내 액체 투여를 위해 받침부(112)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120)은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가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피스톤(120)은 피스톤 본체(122) 및 누름 부재(124, 125, 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누름 부재(124, 125, 126)는 제1 누름 부재(124), 제2 누름 부재(125), 및 제3 누름 부재(12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 부재(124, 125, 126)는 받침부(112)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127)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받침부(112) 내에 수용된다.
제1 누름 부재(124)는 받침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받침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누름 부재(125)는 제1 누름 부재(124)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제1 누름 부재(124)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누름 부재(125)는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1 누름 부재(12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바디(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턱에 걸려 더 이상의 전진을 제한할 수 있다.
제3 누름 부재(126)는 제2 누름 부재(125)의 내측에 결합되고, 끝단에 누름대(127)가 형성되어 누름대(127)의 가압 시 제2 누름 부재(125)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3 누름 부재(126)는 전단부와 결합된 피스톤 본체(1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디(110) 내부의 액체(l)를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누름 부재(126)는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2 누름 부재(125)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바디(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턱 또는 내주면에 걸려 더 이상의 전진을 제한할 수 있다.
피스톤 본체(122)는 제1 누름 부재(124), 제2 누름 부재(125), 및 제3 누름 부재(126)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바디(110)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피스톤 본체(122)는 전단부에 패킹부(121)가 형성되어 가압에 따라 바디(110)에 밀착되어 전진함으로써 바디(110) 내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특히, 피스톤(120)은 피스톤 본체(122)의 후단부에 돌출부(123)가 형성되고, 제3 누름 부재(126)의 전단부에 돌출부(123)가 삽입된 홈부가 형성되어 누름대(127)의 가압 시 제3 누름 부재(126)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피스톤 본체(1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누름대(127)에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홈부에 삽입된 돌출부(123)가 분리되고 누름 부재(124, 125, 126)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피스톤 본체(122)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한편, 제1 누름 부재(124), 제2 누름 부재(125), 및 제3 누름 부재(126)는 걸림돌기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전진 또는 후진이 가능하며, 전진으로 최대 이동 시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받침부(1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피스톤 본체(122)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바디(11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 본체(122)는 바디(110)에 삽입되어 전방으로 최대 이동 시 끝단이 바디(110) 내에 수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피스톤 본체(122)를 바디(1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피스톤 본체(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피스톤 본체(12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임의로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는 피스톤 본체(122)의 후단부에 돌출부(123)가 형성되고, 제3 누름 부재(126)의 전단부에 돌출부(123)가 삽입된 홈부가 형성되어 누름대(127)의 가압 시 제3 누름 부재(126)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바디(110) 내에서 피스톤 본체(1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디(110) 내부의 액체(111)를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후, 피스톤(120)의 누름대(127)에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홈부에 삽입된 돌출부(123)가 분리됨으로써 누름 부재(124, 125, 126)만 후방으로 이동되고 피스톤 본체(122)의 후방 이동이 제한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의 피스톤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200)는 바디(210), 받침부(212), 및 피스톤(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예에 따라 상부 케이스(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 피스톤(220)를 덮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20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구성과 일부 유사하여 내용이 중복되므로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210)는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길이가 긴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디(210)의 중단부는 전단부에서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210)의 전단부에는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211)가 형성되어, 후단부에서 전단부 방향으로 가압 시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가 액체 분사구(2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바디(210)의 후단부는 중단부보다 점차적으로 직경이 커지며, 끝단에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받침부(2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12)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바디(210)의 후단부에 결합되거나 바디(21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212)는 외주면의 일정 영역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거나 소정의 형상을 가져 사용자에 의해 파지 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스톤(220)은 바디(210) 및 받침부(212)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누름 부재(223)를 가압함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2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피스톤(220)은 피스톤 본체(222) 및 누름 부재(223, 2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누름 부재(223, 225)는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끝단을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누름 부재(223, 225)는 제1 누름 부재(225)와 제2 누름 부재(223)로 이루어진 2단 구조일 수 있고, 제2 누름 부재(223)를 누름에 따라 제2 누름 부재(223)가 전방으로 이동된 후, 제1 누름 부재(225) 또는 제2 누름 부재(223)를 누름에 따라 제1 누름 부재(225)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누름 부재(225) 또는 제2 누름 부재(223)와 결합된 피스톤 본체(22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바디(210) 내의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누름 부재(223)는 피스톤 본체(2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누름 부재(225)는 피스톤 본체(222)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되 피스톤 본체(22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스톤 본체(222)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1 누름 부재(225) 또는 제2 누름 부재(223)와 결합된 피스톤 본체(222)는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서로 분리되어 피스톤 본체(22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누름 부재(225)는 받침부(212)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받침부(212)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누름 부재(223)는 제1 누름 부재(225)의 내측에 결합되어 끝단의 누름대의 가압 시 제1 누름 부재(225)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피스톤 본체(222)와 연결되어 피스톤 본체(2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누름 부재(223)의 후단부는 슬릿(224)에 의해 이격된 날개부(223a)가 형성되어 날개부(223a)가 압축된 상태로 제1 누름 부재(225)에 슬라이드된 후, 제1 누름 부재(225)에 형성된 홈부(226)에서 팽창되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 본체(222)의 후단부에 제2 누름 부재(223)가 형성되고, 제2 누름 부재(223)의 외주면에는 슬릿(224)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된 날개부(22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누름 부재(223)의 외측에 제1 누름 부재(225)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제2 누름 부재(223)를 가압하는 경우 제2 누름 부재(223)는 제1 누름 부재(225)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누름 부재(225)의 전단부 내측에 홈부(226)이 형성되어 제2 누름 부재(223)가 소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의 홈부(226)에 걸림으로써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제2 누름 부재(2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부(223a)가 압축된 상태로 제1 누름 부재(225)의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된 후, 링 형상의 홈부(226)에 진입하게 되는 경우 공간이 생겨 압축되어 있던 날개부(223a)가 슬릿(224)에 의해 외측으로 팽창된다. 이와 같이 제2 누름 부재(2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부(223a)는 팽창되므로 홈부(226) 내에 삽입 후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제1 누름 부재(225)는 받침부(212)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12)의 전단부 내측에 돌출부(214)가 형성되어 제1 누름 부재(225)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제2 누름 부재(223)를 가압하는 경우 제2 누름 부재(223)는 제1 누름 부재(225)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며, 제1 누름 부재(225)는 받침부(212)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되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212)의 전단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214)에 의해 제1 누름 부재(225)는 소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제1 누름 부재(225)의 전단부 내측에 형성된 홈부(226)에 의해 제2 누름 부재(223)는 소정 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된 후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300)는 바디(310), 받침부(312), 및 피스톤(320)으로 구성되며, 바디(310)의 개방된 후단부로 피스톤(320)이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바디(3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l)를 액체 분사구(31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킨다. 이때, 피스톤(320)은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누름 부재(324, 325)와 피스톤 본체의 결합이 분리되어 피스톤 본체의 후방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300)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1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300)의 피스톤(320)은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제1 누름 부재(324) 및 제2 누름 부재(325)를 포함하는 2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누름 부재(325)의 후단부에는 사용자가 제1 누름 부재(324) 및 제2 누름 부재(325)를 쉽게 누르도록 표면이 넓게 형성된 누름대(327) 및 누름대(327)와 제2 누름 부재(325)의 결합을 위한 보조 부재(32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누름대(327)를 가압함에 따라 제2 누름 부재(325)가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후 제1 누름 부재(324)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누름 부재(324)와 결합된 피스톤 본체가 바디(310)의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바디(310) 내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분사구(311)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제1 누름 부재(324)의 홈부에 피스톤 본체의 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1 누름 부재(324)에 형성된 홈부와 피스톤 본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결합되어 가압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은 가능하되 후방 이동 시 홈부와 돌출부의 결합이 분리됨으로써,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피스톤 본체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1 누름 부재(324) 및 제2 누름 부재(325)만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의 받침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받침부(312)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피스톤과 연결된다.
이러한 받침부(312)는 외주면에 소정 패턴이 형성되거나 외주면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피스톤을 누르기 위해 받침부(312)를 파지할 때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받침부(3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삼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팔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2)는 원통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312)는 다각기둥 형상의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또한 다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받침부(312)의 외주면은 바디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 일측에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타측에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체 주입을 위해 피스톤이 전방으로 이동 후 장력이 발생하는 경우 피스톤 본체와 누름 부재가 분리되어 누름 부재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피스톤 본체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바디와 피스톤이 수용되고 내측에 바디의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마개가 형성된 케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케이스 없이 위생적으로 보관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개만 별도 형성되는 경우 바디로부터 마개가 쉽게 분리되어 액체가 유출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200, 300: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110, 210, 310: 바디
112, 212, 312: 받침부
120, 220, 320: 피스톤
130, 230: 상부 케이스
140: 하부 케이스

Claims (5)

  1. 삭제
  2.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있어서,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는 바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피스톤;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바디를 수용하며, 전단부 내측에 마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상기 액체 분사구에 삽입되는 상부 케이스; 및
    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하부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디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져 일측에 상기 상부 케이스가 결합되며 타측에 상기 하부 케이스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소정 패턴이 형성되거나 외주면이 소정 형상으로 이루어져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3. 삭제
  4.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있어서,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는 바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 누름 부재;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2 누름 부재; 및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고, 끝단에 상기 누름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전단부와 결합된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3 누름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본체의 후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누름 부재의 전단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3 누름 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누름대에 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기 돌출부가 분리되고 상기 누름 부재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5.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에 있어서,
    내부에 액체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후단부가 개방된 유선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단부에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액체 분사구가 형성되는 바디;
    내부 관통구가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디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타측에 연결되며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후단부에 형성된 누름대를 누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 내에 수용되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가 순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바디의 개방된 후단부로 삽입되어 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액체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분사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고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피스톤 본체를 포함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내측에 결합되고, 내부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압 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받침부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 제1 누름 부재; 및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측에 결합되어 끝단의 상기 누름대의 가압 시 상기 제1 누름 부재의 내벽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피스톤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 본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2 누름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누름 부재의 후단부는 슬릿에 의해 이격된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가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 누름 부재에 슬라이드된 후, 상기 제1 누름 부재에 형성된 홈부에서 팽창되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KR2020160004283U 2016-07-26 2016-07-26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KR200484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83U KR200484768Y1 (ko) 2016-07-26 2016-07-26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PCT/KR2017/007203 WO2018021716A1 (ko) 2016-07-26 2017-07-06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283U KR200484768Y1 (ko) 2016-07-26 2016-07-26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768Y1 true KR200484768Y1 (ko) 2017-10-23

Family

ID=6040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283U KR200484768Y1 (ko) 2016-07-26 2016-07-26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768Y1 (ko)
WO (1) WO20180217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48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피케이원팜 약액 주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792A (ko) * 2003-11-28 2005-06-02 방지환 휴대용 약액 제트분사주입장치
KR20080112240A (ko) * 2006-03-22 2008-12-24 드러그테크 코포레이션 질내 약물 국소장치
KR20140000418A (ko) * 2012-06-22 2014-01-03 (주) 웨트러스트코리아 이탈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체내 액체 삽입장치
KR20140138324A (ko) * 2012-03-30 2014-12-0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914Y1 (ko) * 1985-02-28 1987-05-27 황창국 1회용 주사기
KR20030028796A (ko) * 2003-03-14 2003-04-10 구남서 여성 질 세척기
JP4582391B2 (ja) * 2003-12-26 2010-11-17 株式会社ウエットトラストジャパン 携帯用噴射注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1792A (ko) * 2003-11-28 2005-06-02 방지환 휴대용 약액 제트분사주입장치
KR20080112240A (ko) * 2006-03-22 2008-12-24 드러그테크 코포레이션 질내 약물 국소장치
KR20140138324A (ko) * 2012-03-30 2014-12-03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주사기형 정량 디스펜서
KR20140000418A (ko) * 2012-06-22 2014-01-03 (주) 웨트러스트코리아 이탈되는 실링부재가 구비된 체내 액체 삽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848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피케이원팜 약액 주입장치
KR102032177B1 (ko) 2017-12-11 2019-10-15 주식회사 피케이원팜 약액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716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416Y1 (ko) 체내 액체 투여기
JP5539459B2 (ja) 離脱するシーリング部材が備えられた体内液体挿入装置
US9884173B2 (en) Medicament applicator
JP2001520087A (ja) 自動分配装置用の、予め充填可能な注射器
US20180236183A1 (en) Disposable syringe for prevention of reuse
US7887518B2 (en) Syringe assembly including reuse prevention mechanism
KR101762152B1 (ko) 일회용 주사기
US20070225655A1 (en) Intravaginal medicament applicators
KR101956671B1 (ko) 밀대의 전진 또는 후퇴가 제한되는 구조의 체내 액체 삽입 장치
KR200484768Y1 (ko) 다단 구조의 피스톤이 형성된 체내 액체 투여기
KR20180003481A (ko) 체내 액체 투여기
US2869546A (en) Vaginal applicator
KR101830148B1 (ko) 주름 펌프 구조의 체내 액체 투여기
MXPA06001075A (es) Ensamble de jeringa que tiene un mecanismo para deshabilitacion.
KR200475457Y1 (ko) 일회용 주사기
KR102451546B1 (ko) 세정 효과가 향상된 체내 액체 분사기
US20240033418A1 (en) Drug injection module including slip-assisting unit
KR102302253B1 (ko) 체내 액체 주입장치
JP2010179130A (ja) 携帯用噴射注入具
JP2005205121A (ja) 携帯用噴射注入具
KR20010092865A (ko) 안전 주사기
ITAL950014U1 (it) Dispositivo iniettore di un liquido disinfettante particolarmente, ma non esclusivamente, per il lavaggio di un circuito di dialisi perit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