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487B1 -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487B1
KR101703487B1 KR1020167034452A KR20167034452A KR101703487B1 KR 101703487 B1 KR101703487 B1 KR 101703487B1 KR 1020167034452 A KR1020167034452 A KR 1020167034452A KR 20167034452 A KR20167034452 A KR 20167034452A KR 101703487 B1 KR101703487 B1 KR 10170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aterial
label
container
resin
materi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4517A (ko
Inventor
다카시 후나토
히로미치 야스다
마사유키 고바야시
요시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산요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산요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Publication of KR20160144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1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inserts being completely encap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2045/1486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4901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 B29C2045/14918Coating a sheet-like insert smaller than the dimensions of the adjacent mould wall in-mould-lab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4Labels, badges, e.g. marker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Abstract

본 발명의 사출성형 복합용기는, 암금형(雌金型)의 내벽에 라벨을 배치하여 제1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하고, 얻어진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완전히 내포하도록, 제1 수지재료부와 금형으로 형폐(型閉)하고 제2 수지재료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라벨이 수지재료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라벨의 양면이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Injection molding composite vess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식품, 약품,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수지제의 용기와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벨을 내포하는 수지제 용기로서, 현저히 외관이 개량되어 있어, 용기 내에 수용하는 내용물을 오염시킬 염려가 없고, 라벨과 수지가 일체화되어 있는 용기와, 그의 간편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라벨이 첩착(貼着)된 수지 성형체를 일체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인몰드 성형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금형의 내벽에 미리 라벨이나 블랭크를 장착해 두고,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성형용 수지를 용융하여 그 금형 내에 직접 공급하고, 금형 내에서 수지의 부형에 수반하여 용융 수지에 라벨을 첩착하는 것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이와 같은 금형 내에서 첩착하는 라벨을 인몰드 라벨(In-Mold Label, IML)이라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인몰드 라벨로서는, 그라비아 인쇄된 수지 필름, 오프셋 다색 인쇄된 합성지(예를 들면,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참조), 또는, 알루미늄박의 이면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을 라미네이트 하고, 그 박의 표면에 그라비아 인쇄한 알루미늄 라벨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인몰드 라벨은, 통상, 성형체의 외주(外周)를 형성하는 암금형(雌金型)의 내벽에 흡입이나 정전기를 이용하여 장착 고정되고, 이어서 금형 내에 용융 수지를 공급하여 성형체를 형성해서 이것을 일체화하기 위해, 성형체의 외주에 첩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라벨 부착 성형체에 있어서, 보다 의장성을 높일 목적으로, 라벨을 성형체의 외측이 아닌 내측에 배치하여, 투명 또는 불투명한 성형체를 매개로 하여 라벨을 시인(視認, 눈으로 보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시도가 행해졌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5~8에는,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로 되는 이중구조의 용기 사이에, 라벨(인쇄물, 장식필름)을 장전하는(끼우는, 배치하는, 메워넣는) 복합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들 용기는, 라벨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볼 수 있어, 고급 제품에 걸맞는 외관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동 발명에 있어서 라벨은, 외측용기에는 융착되어 있지 않고, 접해 있을 뿐 일체로는 되어 있지 않다. 용기 외관으로부터 라벨 내용은 시인할 수 있으나, 양자간에는 공기의 층이 있어, 용기 내측의 표면과 라벨의 표면 각각의 계면에서 개별적으로 광반사나 회절이 일어나기 때문에, 라벨의 표면에 실시된 인쇄 등의 장식은 빛의 확산에 의해 흐릿해져 보여, 용기와 라벨의 일체감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고급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외측용기와 라벨은 융착되어 있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이 요망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7, 8의 발명은 제법상, 패리슨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내측용기를 형성하여 라벨을 고정화할 때까지, 라벨이 자유롭게 움직여 버리기 때문에 어긋남이나 낙하가 발생하기 쉬워, 제품 품질이 안정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용기의 내측에 라벨을 배치하고 이것을 일체화하는 발명으로서는, 특허문헌 9~11의 수법이 보여진다. 이들은 금형 내에 미리 라벨을 삽입해 두고, 성형체의 성형시에 이 내측에 라벨을 첩착하여 일체화하는 인몰드 성형법의 응용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9에는, 열수축성이 있는 라벨을 수금형(雄金型)의 형상에 맞추어 가열 수축시켜 두고, 이어서 암금형과 형폐(型閉)하고 사출성형을 행하는, 라벨 부착 용기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동 방법에 의하면, 내측에 라벨이 어긋남 없이 일체화된 용기를 얻을 수 있으나, 동 방법은 라벨 소재의 선택지가 적고, 또한 제법상, 라벨을 수금형의 정위치에 설치하여, 라벨을 가열 수축시키기 위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기 1개 성형하기 위한 쇼트 사이클이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특허문헌 9에서 얻어지는 용기의 문제점은, 내용물이 직접 라벨에 닿기 때문에, 안전상의 염려가 있는 것이다. 이번의 제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요망을 감안하면, 식품이나 약품, 화장품 등 인체에 직접 사용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대해서, 이들 내용물이 장기간에 접하는 것은 수지 용기 본체이기에 이 점, 전술한 특허문헌 5~8의 양태와 같이, 라벨이 이중용기 사이에 배치되어 내용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9의 양태에서는, 인자면(印字面)이 용기 내부측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라벨 단면으로부터의 인쇄 잉크의 용출 가능성을 회피할 수 없다. 동 발명이 라벨의 디자인까지 콘트롤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는 내용물성분(유분)이 라벨에 침투하여 팽윤되어 용기 외관이 악화될 염려와, 라벨 자체가 박리되어 내용물에 접할 염려가 있다.
특허문헌 10에는, 사전에 금형 외벽에 고정해 둔 인몰드 라벨을, 유입 수지의 흐름에 따라 내측으로 밀어넣고, 최종적으로 내주면(內周面)에 라벨을 첩부(貼付)하는 통형상 용기의 성형방법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라벨 이동시의 위치 어긋남이나, 수지 압력에 의한 라벨의 구멍 뚫림이나 인쇄의 흐름, 유입 수지의 라벨 표리 돌아들어감에 의한 제품 외관 악화와 수율 저하 등의 생산성 악화의 문제는 피할 수 없다.
특허문헌 11에는, 컵형상의 1차 성형품의 내부에, 외주면에 라벨을 장착한 코어 금형을 삽입하고, 가열에 의해 1차 성형품을 코어 금형에 밀착하도록 수축시켜서 라벨을 용기의 내주면에 접착하는 컵형상 용기의 성형방법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도, 라벨을 코어 금형의 정위치에 설치하여, 용기를 가열 수축시키기 위해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기 때문에, 용기 1개를 성형하기 위한 쇼트 사이클이 매우 길어지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은 것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10, 11에 있어서도, 상기 특허문헌 9와 마찬가지로 라벨이 내용물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안전면에서의 염려는 해결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9~11에 기재된, 용기의 내측에 라벨을 배치하여 이것을 일체화하는 발명은 생산성이 좋지 않은 점에서 실현화되어 있지 않고, 그 때문에 이들과 특허문헌 5~8을 조합시킨 복합용기도 또한, 아직 실현화되어 있지 않다. 특히, 특허문헌 5~8에 기재된, 개별적으로 내측용기와 외측용기를 만들어 조합시키는 수법이나, 먼저 외측용기를 만들고 나서 나중에 내측용기를 블로우 성형으로 만드는 수법의 경우는, 라벨을 외측용기에 일체화할 수 없는 문제, 라벨을 확실히 정위치에서 고정할 수 없는 문제, 또는 번잡하고 시간이 걸려 현실적이지 않은 작업공정을 회피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상기 기술분야와는 별도로, 특허문헌 12에는, 식기의 제조방법에 관해, 내측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공정과, 이 내측부재의 배면에서 외측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의 사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외측부재의 사출성형시의 용융 수지재의 열과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시트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 또는 오목부에 설치함으로써 취부하는 공정과, 이 시트를 취부한 내측부재의 외측에 외측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공정으로 되는 식기의 제조방법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2의 발명은, 내부에 삽입하는 시트의 양면이 내측부재, 외측부재의 각 수지재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특허문헌 5~8의 발명과 마찬가지로, 용기와 라벨의 일체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2의 발명은, 그 주된 내용으로부터, 내부에 삽입하는 시트는 외측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경우의 사출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면 충분한 것으로, 이 점에서도, 시장에서 받아들여질 정도의 외관 개량의 관점에서 불충분하다.
또한, 그 제조방법의 관점에서도, 한번 내측부재를 사출성형한 후, 이 내측부재의 배면에 시트를 취부하는 별도의 공정을 갖는 것으로, 복잡하다.
또한 특허문헌 13에는, 편면에 무늬가 형성된 제1 투명 수지로 되는 성형품을, 무늬측이 수형에 면하도록 인서트 성형용 금형의 암형에 배치하고, 금형을 닫은 후에 제1 투명 수지로 되는 성형품과 금형의 수형 사이에 제2 투명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제1 투명 수지와 제2 투명 수지로 무늬를 끼워넣는 성형품이 얻어지는 무늬 부착 성형품의 제조방법의 기재가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3의 발명은 본래, 가전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메이커명이나 상품명 등을 나타내는 엠블렘으로서 바람직한 무늬 부착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을 라벨을 내포하는 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전용(轉用)한 경우는, 먼저 용기의 내측에 라벨을 배치한 외측용기를 제1 투명 수지로 되는 성형품으로서 얻고, 이어서 제1 성형품을 암형의 일부로서 그 내측에 제2 투명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내측용기로 하여, 제1 투명 수지와 제2 투명 수지로 무늬를 끼워넣는 용기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용기의 내측에 라벨을 배치한 제1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특허문헌 9~1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은 기술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실시는 곤란하다. 또한 외측용기를 형성한 후에, 이 내측에 사출성형에 의해 내측용기를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의하면, 외측용기와의 계면인 라벨부분에 들뜸이 발생하여 라벨과 수지재료가 일체화된 용기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사이에 라벨을 배치하고, 추가적으로 간극 없이 3자를 밀착시킴으로써 외관이 개량된 안전성이 높은 복합용기는 아직 실현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이 복합용기를, 라벨의 어긋남 없이,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실현에 도달하지 않은 것이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소58-06901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01-12522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고 평02-007814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02-084319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08-30126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06275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0-142684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1-287260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특허공개 평06-091692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45260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096012호 공보 특허문헌 12: 일본국 특허공개 소58-096533호 공보 특허문헌 13: 일본국 특허공개 평09-011275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재료 중에 라벨을 내포하는 복합용기로서, 용기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부터 라벨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어, 용기에 넣는 내용물에 대한 안전상의 염려가 없는 복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복합용기를 라벨의 어긋남 없이, 생산성 좋고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진행한 결과, 먼저 라벨을 융착한 내측용기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이어서 라벨이 내포되도록 외측용기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라벨의 양면이 내측용기와 외측용기에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또한, 이하에 기재되는 본 발명에서는, 내측용기는 제1 수지재료부의 일태양으로, 외측용기는 제2 수지재료부의 일태양으로 표기하고 있다.
[1]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로서, 상기 라벨은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상기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상기 라벨의 양면이 상기 각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내포란, 라벨이 수지재료의 내부에 포함하여 갖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라벨이 수지재료의 바깥에 노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가리킨다).
[2]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폴리알릴설폰, 및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3] 상기 제1 수지재료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및 폴리알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이고, 또한, 상기 제2 수지재료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엘라스토머,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비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부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폴리알릴레이트, 및 폴리알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4] 상기 사출성형 복합용기가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에 동일한 수지재료로 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그 중에서도,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뚜껑과의 감착부(嵌着部)를 갖는 용기의 형상을 갖는 제1 수지재료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로서,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는 동일한 수지재료로 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상기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의 측벽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상기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상기 라벨의 양면이 상기의 각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5] 상기 사출성형 복합용기가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는 서로 수지의 조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6] 상기 제1 수지재료부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뚜껑과의 감착부를 갖는 용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7] 상기 제2 수지재료부가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외측이란, 복합용기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영역에서 보다 먼 쪽을 가리킨다).
[8] 상기 제2 수지재료부도 용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9] 상기 제1 수지재료부나 상기 제2 수지재료부의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0] 상기 라벨의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1] 상기 라벨의 기재의 표면과 이면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0]에 기재된 사출성형용 복합용기.
[12] 상기 라벨이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외주벽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6]~[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3] 상기 라벨이 장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4] 상기 장식이 인쇄로 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5] 상기 장식이 금속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또는 [14]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6] 상기 라벨의 장식이 상기 수지재료를 통해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7] 상기 라벨의 장식이 용기 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내측이란, 복합용기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영역 또는 그 영역을 예상하는 공간을 가리킨다).
[18] 상기 라벨이 그의 적어도 편면에 히트 실링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19] 상기 라벨이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20] 상기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외표면이 장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
[21]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1) 제1 금형의 암금형측의 내벽에 라벨을 배치하여 고정하고, 형폐(型閉)한 후에, 상기 제1 금형 내에 제1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라벨이 융착된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2)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완전히 내포하도록, 수형 또는 수형의 일부로서의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암형으로서의 제2 금형으로 형폐하고, 제2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덮도록 제2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2] 상기 공정(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부를 뚜껑과의 감착부를 갖는 용기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3] 상기 제2 수지재료부를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외측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 또는 [22]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4] 상기 제2 수지재료부도 용기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 또는 [23]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5]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는 서로 수지의 조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6]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가 동일한 수지재료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7] 상기 라벨이 장식을 가지고 있고, 그 장식이 상기 제1 수시재료부, 상기 제2 수지재료부 또는 그 양쪽을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상기 제2 수지재료부의 불투명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8] 상기 라벨이 그 적어도 편면에 히트 실링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1]~[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복합용기는, 용기를 구성하는 수지재료에 내포되어 있는 라벨을, 수지재료를 매개로 하여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이 현저히 개량되어 있다. 또한, 라벨은 용기의 내용물에 직접 닿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에 대한 안전상의 염려는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라벨의 어긋남 없이 용이하게 상기의 특징을 갖는 복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용기를 제조하는 사출성형기의 일태양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되는 제1 수지재료부(내측용기)의 일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일실시태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 중, 1a는 제1 수지재료부(내측용기) 사출성형기, 1b는 제2 수지재료부(외측용기) 사출성형기, 2는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 3은 복합용기 반송용 컨베어, 4는 주행기, 5는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 11은 제1 수지재료부(내측용기)의 바닥부의 모서리, 12는 제1 수지재료부(내측용기)의 어깨부, 20은 복합용기, 21은 제1 수지재료부(내측용기), 22는 제2 수지재료부(외측용기), 23은 라벨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복합용기 및 그 복합용기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태양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수치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값 및 상한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수지재료
(제1 수지재료부)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제1 수지재료부는,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복합용기의 수지재료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1 수지재료부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복합용기의 본체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수지재료부는, 특히 복합용기의 내측용기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내측용기는, 적어도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복합용기에 넣는 내용물에 접하는 용기이다. 위쪽이 개방된 통형상, 컵형상, 또는 보틀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상단부에는 뚜껑을 감합(嵌合)하기 위한 나사결합(螺合) 감착 등의 감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측벽부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두께가 변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1 수지재료부는 투명해도 되고, 반투명이나 불투명해도 된다. 반투명이나 불투명으로 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충전제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수지재료부는 자연색이어도 되고, 착색되어 있어도 된다. 착색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착색제를 사용해도 된다. 복합용기의 내부로부터 복합용기 내에 내포되어 있는 라벨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외측용기를 불투명, 내측용기를 투명으로 함으로써,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의 시인은 불가능하나, 내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구성이 되어, 의장성과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뚜껑을 열거나 용기의 불투명한 내용물을 어느 정도 사용하거나 함으로써 비로소 라벨 내측의 정보나 장식을 시인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여, 예를 들면 위장이나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시큐리티 정보나, 현상(懸賞)이나 운세 등을 기재해 둘 수 있다. 라벨 상의 장식을 복합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라면,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는 반드시 투명 또는 반투명할 필요는 없고, 불투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수지재료로서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폴리알릴설폰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는, 단독중합체 뿐 아니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체는 2원계여도 되고 3원계 이상의 다원게여도 되며, 또한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가공 적성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공 적성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내열성, 강도, 광반사성, 기타 물성 및 의장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결정성을 높이는 처리를 실시해도 되고, 또는 이들의 수지에 공지의 충전제나 착색제, 첨가제를 첨가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수지재료부)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제2 수지재료부는, 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복합용기의 수지재료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제2 수지재료부는,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복합용기의 외측용기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외측용기는, 적어도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지고 있고, 복합용기에 넣는 내용물에 직접 접하지 않는 용기이다. 통상은 복합용기의 외측을 구성하는 용기이다. 제2 수지재료부는, 위쪽이 개방된 통형상, 컵형상, 또는 보틀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수지재료부의 일부 또는 전부와 상사형(相似形)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수지재료부는 제1 수지재료부의 감착부의 하단부로부터 측벽부(라벨부) 및 바닥부에 걸쳐 융착 일체화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제2 수지재료부의 상단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수지재료부의 감착부의 하단부로 말려들게 하여 계지(係止, 걸어멈춤)하도록 하고 내측에 꺾어 꾸부린 절곡부(折曲部)를 형성하여 제1 수지재료부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지재료부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측벽부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두께가 변화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2 수지재료부를 구성하는 수지재료로서는, 사출성형이 가능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계 아이오노머,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비결정성 PET,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스티렌-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부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등의 (메타)아크릴 수지,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알릴설폰,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아이오노머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바이오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 수지 등의 소위 그린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수지는, 단독중합체 뿐 아니라,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체는 2원계여도 되고 3원계 이상의 다원계여도 되며, 또한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제2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는, 제1 수지재료부에 사용한 수지재료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제2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는, 제1 수지재료부에 사용한 수지재료와 동계열이어도 되고, 이계열이어도 된다.
동계열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의 강고한 융착을 얻거나, 사용 후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모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중 어느 하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예를 들면 제1 수지재료부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제2 수지재료부에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양자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모두 동일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모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조성물로 되는 것이 양자의 수축률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에 동일한 수지를 사용해도,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에 첨가하는 염료나 색소를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의 색을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와 제2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를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수지에 의한 기능이나 특성을 조합시킨 복합용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합을 사용하면, 종래의 용기에 존재하고 있던 성능 상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용기의 용도에 따른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한, 제1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와 제2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를 상이한 것으로 함으로써,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이질감을 주어, 라벨을 두드러지게 눈에 띄게 하거나, 의장적인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태양은 특히 화장품의 용기에 있어서 유용하여,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의 수지재료가 상이한 계열인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제1 수지재료부의 수지재료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옥시알킬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제2 수지재료부의 수지재료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메타)아크릴 수지 조성물, 아이오노머계 수지 조성물, 엘라스토머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제1 수지재료부의 수지재료에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폴리옥시알킬렌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제2 수지재료부의 수지재료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조성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아이오노머계 수지 조성물, 엘라스토머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제1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와 제2 수지재료부에 사용하는 수지재료를 상이한 것으로 한 경우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몇 가지 예시한다. 예를 들면,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에는, 내(耐)내용물성(내유성, 내알코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옥시메틸렌 등을 선택해서 사용하고, 외측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에는, 고투명이고 또한 2차 가식성(加飾性)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아이오노머, 내광성·내후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내낙하성·내수상성(耐受傷性)이 우수한 엘라스토머나 아이오노머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뚜껑과의 감착부(나사부)를 갖는 내측용기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그 감착부 부착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에는 슬립성이 우수한(뚜껑과의 삐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선택해서 사용하고, 또한 외측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에는 미끄러짐성이 없어 손에 잘 잡히는 엘라스토머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투명 수지의 조합으로서,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에는 단단하고 가스 배리어성이 높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선택하고, 외측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에는 탄력성이 있고, 2차 장식도 용이한 아이오노머 등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 예시하는 조합을 채용함으로써, 2개의 수지의 특징을 함께 더한 효과에 더하여, 사출성형 복합용기로 했을 때의 라벨의 일체화, 안정성, 시인성도 보다 우수한 것이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를 중개하는 라벨에는, 그 적어도 편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에 히트 실링층을 설치하거나, 관통공을 설치하여 물리적인 감합의 효과를 갖게 하거나, 또는 라벨의 표리에 상이한 처리를 실시하는 등의 고안을 행함으로써, 양자간의 접착을 촉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용기의 외부로부터 복합용기 내에 내포되어 있는 라벨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는, 외측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재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라벨 상의 장식을 복합용기의 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으면 되는 것이라면, 외측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는 반드시 투명 또는 반투명할 필요는 없고, 불투명한 수지재료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프레이 도장이나 금속증착을 행함으로써 불투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수지재료부도 또한, 기존의 착색제를 사용하여 착색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공지의 충전제나 착색제, 첨가제를 첨가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수지부재와 마찬가지로 결정성을 높이는 처리를 해도 된다.
제2 수지재료부의 외표면은, 평활한 경면으로서 광택을 갖는 것이어도 되고, 크레이프지(梨地) 등의 조면(粗面)으로서 무광으로 해도 되며, 엠보스로서 요철을 부여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평활한 표면이다. 또한, 외표면에만 결정성을 높이는 처리를 해도 된다.
표면이 평활하면 고광택에 의한 추가적인 고급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이 평활하면 제2 수지재료부의 외표면에 라벨과는 별개의 장식을 행하기 쉽다. 여기서 말하는 장식으로서는, 점착 라벨, 인몰드 라벨, 스트레치 라벨, 슈링크 라벨, 직접인쇄, 도장, 금속박 전사, 금속증착, 조면화 가공,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표면이 평활하면 점착 라벨이나 인몰드 라벨의 첩착, 스트레치 라벨이나 슈링크 라벨의 장착, 실크인쇄 등에 의한 직접인쇄, 스프레이 등에 의한 도장, 핫 스탬프 등에 의한 금속박 전사, 금속증착 등에 의한 장식(이차적 가식)을 용이하게 부가할 수 있다.
크레이프지의 표면으로 하면, 그라데이션의 표현을 의도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엠보스를 부여한 경우, 그 요철이 렌즈로서 작용하여, 내부 라벨의 장식과 조합시킴으로써 입체감과 홀로그램의 효과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제2 수지재료부의 외표면에는, 복합용기에 내포되는 라벨과는 별도의 라벨이 융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내포되는 라벨에 풍경사진, 외측의 라벨에 창틀이나 액자 등의 장식을 행하여, 무늬의 겹침에 의해 임장감과 입체감 등을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6-14327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외측용기(제2 수지재료부)의 변형에 의한 무아레(moire)의 변화 등의 시각적 효과까지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용기는, 추가적으로 제3 수지재료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즉, 제1 수지재료부의 표면, 제2 수지재료부의 표면, 또는 이들의 양 표면에 걸치도록 제3 수지재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 제2 수지재료부의 표면에 융착된 라벨은, 제3 수지재료부에 의해 내포되어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3 수지재료부의 표면에는 추가적으로 별도의 라벨이 융착되어 있어도 된다.
라벨
(라벨의 시인성)
본 발명의 복합용기를 구성하는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완전히 내포되어 일체로 융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라벨은 내측용기를 구성하는 제1 수지재료부의 외주와 외측용기를 구성하는 제2 수지재료부의 내주에 일체로 융착되어 있다. 라벨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재료를 매개로 하여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외측용기(제2 수지재료부)를 매개로 하여 용기의 외부로부터 라벨을 시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투명 또는 반투명의 내측용기(제1 수지재료부)를 매개로 하여 용기 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더 나아가서는 이들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라벨의 장식면은, 외측용기(제2 수지재료부)의 내주면 및 내측용기(제1 수지재료부)의 외주면과 계면을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의 광택 등이 직접 라벨의 장식에 반영되어, 보다 고급감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매설되기 때문에, 용기의 내용물과 직접 닿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내용물이 라벨의 인쇄 잉크 등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안전 위생면에서의 염려가 없다.
(라벨의 기재)
기재란 라벨의 지지체로서, 라벨에 강도와 인쇄 적성, 경우에 따라 불투명성 등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라벨 성형시에는 히트 실링층을 지지해서 성형하기 쉽게 하는 것으로, 원료 재활용의 관점에서도 유리하게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라벨의 기재로서, 수지 필름, 알루미늄 라벨, 펄프 천연지를 비롯한 각종 소재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 불투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을 라벨 기재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용기와의 접착성이 좋고, 용기의 재활용이 용이한, 용기와 동계열의 수지재료를 사용한 수지 필름을 라벨 기재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수지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필름 성형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메틸-1-펜텐, 에틸렌-환상(環狀)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6,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젖산,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어택틱 폴리스티렌,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프로필렌을 단독 중합시킨 아이소택틱 중합체 또는 신디오택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 1-부텐, 1-헥센, 1-헵텐, 4-메틸-1-펜텐 등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을 공중합시킨 다양한 입체 규칙성을 갖는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체는 2원계여도 되고 3원계 이상의 다원계여도 되며, 또한 랜덤 공중합체여도 되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그의 공중합체로서는, 에틸렌글리콜을 주체로 하는 디올과, 테레프탈산을 주체로 하는 디카르복실산으로 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원료와 공중합 가능한 히드록시카르복실산으로 되는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2원계여도 되고 3원계 이상의 다원계여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은, 투명이어도 되고, 반투명이어도 되며, 불투명이어도 된다. 수지 필름 등을 기재로서 사용하고, 이들을 반투명, 불투명으로 하는 경우는, 수지 필름 중에 충전제로서 무기 미세분말 및/또는 유기 필러를 함유시켜도 되고, 무기 미세분말 및/또는 유기 필러 함유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 충전제를 핵으로서 형성된 미세한 공공(空孔)을 다수 갖는 미다공성의 연신 수지 필름으로 해도 되며, 인쇄나 도공에 의해 은폐층을 설치하여 광선투과율을 조정해도 되고, 이들의 수법을 조합시켜도 된다.
여기서 「투명」이란, 사용하는 라벨의 불투명도가 0~20%이고, 「반투명」이란 불투명도가 20%를 초과하고 80% 이하이며, 「불투명」이란 불투명도는 80%를 초과하고 100% 이하인 것을 나타낸다. 불투명도란 JIS P-8149:2000을 토대로 하여, 라벨 시험편 뒤에 표준흑색판을 대고 측정한 시감반사율을, 동일하게 시험편 뒤에 표준백색판을 대고 측정한 고유 시감반사율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수지 필름 중에 사용할 수 있는 무기 미세분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무기 미세분말로서는 예를 들면,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탈크, 황산바륨, 규조토,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규소, 실리카, 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이들은 지방산 등으로 표면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중질 탄산칼슘, 소성 클레이, 탈크가, 저렴하고 성형성이 좋아 바람직하다. 무기 미세분말은, 안정한 수지 혼련이나 필름 연신, 균일한 공공 형성의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통상 0.01~15 ㎛, 바람직하게는 0.02~8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4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 중에 사용할 수 있는 유기 필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필러로서는, 수지 필름의 주성분인 열가소성 수지와는 상이한 종류의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경우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설파이드,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멜라민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4-메틸-펜타-1-엔), 환상 올레핀의 단독중합체나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수지와 비상용이고, 융점이 120℃~300℃, 내지는 유리전이온도가 120℃~280℃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필러는, 무기 미세분말과 마찬가지로, 분산 후의 평균 입경이 통상 0.01~15 ㎛, 바람직하게는 0.02~8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4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무기 미세분말 및/또는 유기 필러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해도 된다. 수지 필름을 반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 수지 필름 중의 무기 미세분말 및/또는 유기 필러의 함유량은 0.5~65 중량%가 바람직하고, 3~5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광안정제, 산화방지제, 분산제, 활제, 형광증백제, 착색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은, 무연신의 것이어도 되고, 연신된 것이어도 된다. 사출성형시의 곡면 추종성의 관점에서 무연신의 것이어도 되나, 공공 형성에 의한 경량화나, 분자 배향에 의한 강도(剛度) 향상, 박막화나 두께 균일성의 향상 등의 관점에서, 적어도 일축방향으로 연신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표면과 이면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표면층과 이면층을 별도의 기재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장식을 행하기 쉬운 표면층과, 이면층으로서 후술하는 히트 실링층으로 되는 라벨이 얻어진다. 기재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때는, 적어도 그 한 층이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층을 연신하는 경우는, 각 층을 적층하기 전에 개별적으로 연신해 두어도 되고, 적층한 후에 연신해도 된다. 또한, 연신한 층을 적층 후에 다시 연신해도 지장없다. 또한, 기재에 히트 실링층을 성형한 후에 전체를 연신해도 된다.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 필름의 연신에는, 종래 공지의 각종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형 압출기에 접속된 T 다이나 I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시트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후, 그 시트를, 롤군의 주속차를 이용하여 연신하는 롤간 세로연신법, 텐터 오븐을 이용하여 연신하는 가로연신법, 텐터 오븐과 리니어 모터의 조합에 의해 연신하는 동시 이축연신법, 텐터 오븐과 팬터그래프형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연신하는 동시 이축연신법, 그 시트를 컷트한 후 팬터그래프형 연신장치를 사용하여 연신하는 동시 이축연신법, 스크류형 압출기에 접속된 원형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를 튜브형상으로 압출 성형한 후, 이것에 공기를 불어넣어 연신하는 동시 이축연신(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의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가 비결정 수지인 경우는 사용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점 이상, 결정성 수지인 경우에는, 비결정부분의 유리전이점 이상으로부터 결정부의 융점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보다 2~60℃ 낮은 온도로, 예를 들면 수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융점 155~167℃)일 때는 152~164℃, 고밀도 폴리에틸렌(융점 121~134℃)일 때는 110~120℃가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속도는 20~350 m/분이 바람직하다. 연신속도가 동 범위 내이면, 수지 필름의 생산성이 안정하여, 바람직하다.
(히트 실링층)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에는, 라벨의 최외층에 히트 실링제(일반적으로는 히트 실링 수지)의 층을 설치함으로써, 히트 실링층을 적어도 편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이란, 라벨과 용기의 접착을 촉진하는 것으로, 상온에서는 고체상이나, 금형 내에서 제1 수지재료부 또는 제2 수지재료부를 성형할 때 용융된 수지의 열로 활성화되어, 용융 수지와 융착하고, 냉각 후에는 다시 고형상이 되어 강고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에 있어서, 히트 실링층은, 상기 기재에 적층하여 라벨의 일부로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의 편면에 도공에 의해 설치하거나, 기재에 용융 라미네이트에 의해 설치하거나, 기재가 수지 필름이면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기재와 공압출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다.
히트 실링층의 형성을 포함하는 구체적인 라벨의 제조예로서, 먼저 필름 등의 기재의 편면에 히트 실링제를 도공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등의 수법에 의해 실시하거나, 또는 필름 성형시에 이것에 일체로 히트 실링층을 적층 공압출하여 실시함으로써, 히트 실링층을 설치하고, 이어서 기재의 다른 한쪽 면에 오프셋 인쇄 등에 의해 장식을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수법에 의해 기재의 편면에 장식을 설치할 수 있다. 라벨의 양면에 상이한 장식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는, 기재의 양면에 오프셋 인쇄 등에 의해 각각 장식을 행한 후에, 히트 실링제를 도공이나 압출 라미네이트 등의 수법에 의해 실시하여 히트 실링층을 설치할 수 있다.
히트 실링층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소재로서는, 사출성형에 의해 용기를 형성할 때 가열에 의해 라벨을 수지재료부에 접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히트 실링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DSC 측정에 의해 피크 온도로서 구한 융점이 60~130℃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미만이면 상온에서의 끈적거림에 의해 라벨의 미끄러짐성이 나빠져, 블로킹 등을 일으키기 쉽다. 그 때문에 라벨을 금형으로 인서트할 때, 2장 밀어넣기 등의 트러블이 다발하기 쉽다. 또한 130℃를 초과하여 크면 라벨과 성형체의 접착성이 나빠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구체적인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저밀도 내지 중밀도의 고압법 폴리에틸렌, 직쇄 선상 폴리에틸렌,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알킬기의 탄소수는 1~8),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금속염(Zn, Al, Li, K, Na 등) 등의 융점이 60~130℃인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히트 실링층에는, 히트 실링층에 요구되는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공지의 수지용 첨가제를 임의로 첨가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첨가제로서는, 염료, 핵제, 가소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안티블로킹제, 난연제, 자외선흡수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히트 실링층은, 인몰드 성형시의 라벨과 제1 수지재료부 사이의 공기 말려들어감에 의한 블리스터(부풀어오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그 표면이 JIS-B-0601:2001을 토대로 하는 삼차원 중심면 평균조도(SRa)가 1~10 ㎛인 요철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8 ㎛의 요철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요철형상을 부여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히트 실링층에는 엠보스 가공을 할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은 히트 실링층 성형시, 또는 성형 후에 엠보스롤 등에 압착하고 그 롤 패턴을 전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요철형상이 1 ㎛보다 작으면 사출성형시에 성형체와 라벨 사이에 공기가 갇혀, 블리스터라는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10 ㎛ 이상이면 요철 모양이 라벨 장식면측의 외관에도 나타나, 인쇄시에 인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금속박 전사시에 전사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은 엠보스형상에는, 정사각추의 정점을 깎은 형태의 볼록부(두절(頭切) 피라미드형)나 반구상의 볼록부를 등간격으로 배열한 규칙적인 요철형상,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장식)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은, 최외층에 인쇄나 금속박 전사 등의 장식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벨의 적어도 한쪽 면이 장식면이고, 또는 양면이 장식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라벨 상의 장식은, 용기와 접착하여 일체가 되어, 용기를 매개로 하여 시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에는, 장식으로서, 상품명, 브랜드명, 제조원, 판매회사명, 사용방법, 사용상의 주의, 연락처, 바코드나 2차원 바코드 등의 정보나, 기업 마크, 서비스 마크, 로고, 캐릭터, 디자인이나 패턴 등의 의장을 인쇄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인쇄방법으로서는, 매엽(枚葉) 오프셋 인쇄, 윤전(輪轉) 오프셋 인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레터프레스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각종 인쇄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쇄물의 선명함과 생산비용으로부터 매엽 오프셋 인쇄나 그라비아 인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쇄 잉크로서는, 유성 오프셋 잉크, UV 경화형 오프셋 잉크, 그라비아 잉크, 수성 플렉소 잉크, UV 플렉소 잉크, 유성 스크린 잉크, UV 스크린 잉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잉크는 각종 염료, 안료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염기성 염료, 산성 염료, 직접 염료, 형광 염료, 분산 염료, 반응성 염료 등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금속의 산화물 또는 황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 안료나, 통상 레이크로 불리고 있는 용해된 염료에 침전제를 첨가하여 불용성으로 한 유기 안료 등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복합용기에서는, 라벨이 용기 내용물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로의 잉크 누출은 일어날 수 없다. 그 때문에, 특히 안전성을 고려할 필요는 없어, 폭넓은 인쇄 잉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무기 안료로서는, 티탄화이트(이산화티탄), 아연화(산화아연), 탄산칼슘, 카올린, 흑연(카본 블랙), 군청(울트라마린 블루), 감청(프러시안 블루), 황토(옐로우 오커), 황연(크롬 옐로우), 아연황(징크 옐로우), 니켈 티탄 옐로우, 비스무트 바나듐 옐로우, 카드뮴 옐로우, 벵갈라(산화철), 연단(鉛丹), 진사(辰砂)(황화수은), 카드뮴 레드, 침강성 황산바륨, 산화바륨(baryta)분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로서는 레이크 안료 외에, 다환식계, 프탈로시아닌계, 용성 아조계, 불용성 아조계, 폴리아조계, 염색계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는 프로세스 4색, 백색, 특색, 체질안료 외에, 펄안료(산화규소, 산화티탄, 산화철 등의 무기염으로 표면처리한 탈크입자, 카올린입자, 마이카입자, 판상 실리카, 판상 알루미나, 판상 탄산칼슘 등), 금속분말(브론즈분말, 브론즈 페이스트, 리핑타입 알루미늄 페이스트, 논리핑타입 알루미늄 페이스트 등)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들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인쇄수법 외에 잉크 인쇄면의 형성은 도포에 의한 방법도 가능하고, 잉크의 도포방법으로서는, 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커튼 코트, 스프레이 코트, 다이 코트 등의 통상의 도장방식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에는, 추가적으로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핫 스탬프나 콜드 스탬프 등의 금속박 전사, 금속직접증착, 금속전사증착, 감광성 수지에 간섭 줄무늬를 노광하여 현상하는(홀로그램의 성형)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장식은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천공(穿孔))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은, 천공에 의한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관통공을 가짐으로써, 제1 수지재료부 및 제2 수지재료부의 융착시에, 용융 수지가 관통공으로 유입하여, 물리적인 감합에 의한 접착성 향상의 효과를 얻어, 보다 일체화하기 쉬워져, 바람직한 태양이 된다.
라벨을 관통하여 천공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이아몬드입자 부착 롤러, 열침, 펀칭칼날을 이용한 기계적 천공법, 레이저광 조사 천공법, 전자빔 조사 천공법, 플라즈마 천공법, 고압 방전 천공법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공법을 적용할 수 있고, 라벨의 재질, 두께, 통과속도, 천공 직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라벨에 형성하는 천공은, 서로 이웃하는 천공 간의 피치가, 바람직하게는 3~30 ㎜의 범위에서 분포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20 ㎜의 범위에서 분포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15 ㎜의 범위에서 분포하고 있다. 피치가 3 ㎜ 미만인 경우는, 천공이 장식 외관상 눈에 띄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30 ㎜를 초과하는 경우는, 감합에 의한 접착성 향상의 효과가 목적하는 정도로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천공은 라벨 상에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이 균일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라벨에 형성하는 천공은, 바람직하게는 0.05~2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8 ㎜의 공경(孔徑)을 갖는다. 여기서 공경이란, 구멍의 단면형상이 원인 경우는 직경, 그 이외의 경우는 장경(최대 직경)을 가리킨다. 천공 직경이 0.05 ㎜에 못미치는 경우는, 용융 수지가 천공에 유입되지 않아,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천공 직경이 2 ㎜를 초과하면, 천공이 장식 외관상 눈에 띄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이, 기재에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천공 주연부(周緣部)는 천공처리에 의해 열변형 또는 소성변형함으로써, 관통 후에 그 필름의 두께방향으로 말려올라가, 그 필름의 본래의 두께보다도 두께가 증가한 돌기부위(융기부위, 바리)가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그 돌기부는, 제1 수지재료부 또는 제2 수지재료부의 사출성형에 의해 라벨과 일체화할 때, 용기측으로 튀어나온 갈고리(錨)로서, 용기/라벨 계면에서 감합한 구조를 형성하여, 추가적으로 접착력 향상에 기여한다.
(라벨의 형상)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은, 전술한 라벨 기재가 장식, 히트 실링층의 부여, 천공 등의 공정을 거친 후, 복합용기에 사용되는 크기나 형상으로 펀칭되어 되고, 복합용기의 형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의 형상에 대해, 외주벽에 일체화하는 것이어도 되고, 바닥부에 일체화하는 것이어도 되며, 이들을 조합시킨 것이어도 된다. 외주벽 뿐 아니라 바닥부에도 라벨을 개재시킴으로써,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에 상이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접합면의 대부분을 이들 라벨이 중개함으로써, 양자간의 접착력을 향상시켜서 일체화하기 쉽게 하여, 라벨의 설계에 의해 차광성이나 가스 배리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라벨의 형상으로서는, 제1 수지재료부의 형상에 맞추어, 측벽부에는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부채꼴형상, 바닥부에는 원형이나 도넛형,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01-055970호 공보의 제1 도나 일본국 특허공개 평07-232723호 공보의 도 2,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블랭크의 평면도(전개도)와 같이, 측벽부와 바닥부에 사용하는 라벨을 일체로 한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구성에 의하면, 내용물과 라벨은 직접 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라벨의 형상으로서 어떤 형상을 선택했다 하더라도, 라벨 단부로부터 잉크 누출을 일으키는 경우는 없다.
수지재료와 라벨의 관계
(조합)
내측용기가 되는 제1 수지재료부와 외부용기가 되는 제2 수지재료부가 모두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또한, 라벨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는, 복합용기를 매개로 하여 내용물과 내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외측용기 및 내측용기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또한 라벨이 불투명한 경우는, 복합용기의 내외에서 라벨을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라벨의 표리에 상이한 장식을 행하고,
내측용기가 불투명하고, 또한, 외측용기 및 라벨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경우는, 내측용기의 품질을 용기 외관으로부터 시인함으로써,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3114093호와 동일한 길이의 깊은 색상을 갖는 용기에, 추가적으로 라벨 정보를 부여한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외측용기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내측용기 및 라벨이 불투명한 경우는, 라벨 상의 정보나 장식을 종래의 복합용기보다도 선명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용기는 내측용기, 외측용기 및 라벨이 일체화되어 있어, 내측용기 또는 외측용기와 라벨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게면에서의 빛의 반사나 회절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라벨의 표면에 행해진 인쇄 등의 장식은 빛의 확산에 의해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시인된다.
라벨을 사이에 끼우는 외측용기와 내측용기의 두께에 대해서는, 양자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지에 관계없이, 용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착색 수지를 복합용기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내측용기와 외측용기 측벽부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있어서 입체적인 그라데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융착과 일체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라벨의 양면이 각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융착」이란, 서로 접합하고자 하는 2개의 면을 구성하는 각 부재가 열에 의해 용융·확산되고, 2개의 면이 접한 상태에서 냉각함으로써 당해 2개의 면이 접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일체화」란, 복수의 부재의 각 접면(接面)에 들뜸이나 공기 고임이 없는 상태로 밀착 접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제조방법의 설명)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제조방법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복합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라벨 부착 제1 수지재료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고, 이어서 라벨을 내포하도록 제2 수지재료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다. 특히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이하의 2개의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다.
(1) 제1 금형의 암금형측의 내벽에 라벨을 배치하여 고정하고, 형폐한 후에, 상기 제1 금형 내에 제1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라벨이 융착된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2)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완전히 내포하도록, 수형 및 수형의 일부로서의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암형으로서의 제2 금형으로 형폐하고, 제2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덮도록 제2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공정(1)에서는, 제1 금형의 암금형측 내벽에 라벨을 배치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말하는 제1 금형은, 형성하고자 하는 제1 수지재료부의 형상에 대응한 캐비티 구조를 가지고 있다. 라벨은, 제1 수지재료부에 융착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는 위치에 대응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고정한다. 그때, 라벨을 흡인이나 정전기 등 주지의 수법을 이용하여 금형 내벽에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금형은 암금형과 수금형으로 되는 것이다. 즉, 암금형 내벽에 라벨을 고정해 두고, 수금형과 형폐한다.
이어서, 암금형측의 내벽에 라벨을 고정한 제1 금형 내에 제1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출과 성형은, 통상의 사출성형기술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공정(1)을 실시함으로써, 목적하는 위치에 라벨을 융착시킨 목적하는 형상을 갖는 제1 수지재료부를 얻을 수 있다. 제1 수지재료부는 용기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제조하고자 하고 있는 복합용기의 주된 용기를 구성하도록 성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벨은, 상기와 같이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융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의 형상을 갖는 제1 수지재료부의 측벽부 및/또는 바닥부에 라벨을 융착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라벨을 동시에 융착해도 되고, 1장의 라벨만을 융착해도 된다.
사출성형시에 라벨을 고정하는 암금형 내벽은, 만곡 또는 굴곡되어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좋게 향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만곡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라벨을 고정하는 암금형 내벽은, 곡면 또는 곡선(谷線)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곡면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곡면을 포함하는 경우, 라벨을 고정하는 암금형 내벽은, 전체에 걸쳐서 일정한 곡률로 만곡되어 있어도 되고, 곡률이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암금형 내벽의 일부가 만곡되어 있고, 다른 부분이 평면상이어도 된다. 라벨을 고정하는 암금형 내벽이 곡선을 포함하는 경우, 곡선에는 평면이 연접(連接)하고 있어도 되고, 곡면이 연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곡선은 복수 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제1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예를 들면,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측벽부와 바닥부로 되는 제1 수지재료부로서, 측벽부에 외측으로부터 라벨을 융착한 것(외주벽에 라벨을 융착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측벽부가 곡률을 갖는 부분과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으로 되어 있고, 곡률을 갖는 부분에 외측으로부터 라벨을 융착한 것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산선(山線)과 그것과 같은 수의 평면상 측판으로 되는 단면이 다각형인 측벽부와 바닥부로 되는 제1 수지재료부로서, 하나 이상의 산선에 걸치도록 라벨을 융착한 것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구체예에 있어서, 곡률을 갖지 않는 부분이나 곡선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에 라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라벨이 측벽부를 일주하여 머리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태양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장치로서는, 종래부터 공지의, 사출장치와 형체(型締)장치, 경우에 따라 라벨 인서터나 용기 꺼내기 로봇 등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라벨의 금형 내로의 삽입 및 성형된 제1 수지재료부의 금형으로부터의 꺼내기는 로봇에 의해 연속으로 행해도 되고 1 쇼트마다 손으로 행해도 된다. 제1 수지부재를 형성할 때, 라벨은 금형 내벽의 목적하는 위치에 장치 고정되나, 흡인 고정을 위한 흡인구멍의 가공을 금형에 실시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 대전장치로 라벨을 대전시켜서 금형 내벽에 대전 흡착시키거나, 또한 도 2와 같이 제1 수지재료부의 형상을 어깨부 및 용기 바닥부의 모서리를 세운 에지형상으로 함으로써, 금형 내에서 라벨을 자립시키고, 라벨을 금형 내벽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형상을 금형에 설치하는 것은, 종래 인몰드 필름에서 행하고 있는 흡인구멍의 가공을 금형에 실시하는 것이 불필요해져 경제적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1 수지재료부의 어깨부를 완전히 모서리로 해도 된다.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고, 공정(2)의 제2 수지재료부의 형성으로 이동하기 전에, 제1 수지재료부에는 추가적으로 스크린 인쇄 등에 의한 직접인쇄, 핫 스탬프 등에 의한 박입힘(箔押), 잉크젯이나 레이저에 의한 인자(각인), 점착 라벨 첩부 등에 의한 장식을 행해도 된다.
공정(2)에서는, 공정(1)에서 얻어진 라벨 부착 제1 수지재료부의 표면에, 라벨이 완전히 덮이도록 제2 수지재료부를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한다. 여기서는, 형폐를 제2 금형에서 행한다. 이때, 라벨이 금형 속에 완전히 내포되도록 형폐를 행한다. 제2 금형의 캐비티형상은, 형성하고자 하는 제2 수지재료부의 형상에 따라 결정한다. 제1 수지재료부가 용기의 형상을 하고 있을 때, 제2 금형은 제1 수지재료부의 외측과 형폐할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수지재료부는 제2 금형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2 수지재료부의 내측을 형성하는 금형(수금형) 또는 금형(수금형)의 일부의 역할을 이룬다. 그 후에 캐비티구조를 갖는 암금형으로서의 제2 금형으로 형폐하고, 제2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복합용기를 형성한다.
이 공정(2)를 실시함으로써, 목적하는 형상을 갖는 제2 수지재료부를 목적하는 위치에 형성한 복합용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수지재료부도 용기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는 일체가 되어 라벨을 내포하는 복합용기가 된다.
공정(2)의 실시시에, 제2 금형(암형) 내벽에 새로운 라벨을 고정하여 사출성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된 라벨 외에, 제2 수지재료부의 외표면에 융착된 제2 라벨도 갖는 복합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제2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장치로서는, 제1 수지재료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사출장치와 형체장치, 경우에 따라 용기 삽입 및 꺼내기 로봇, 라벨 인서터 등을 조합한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동 장치로의 제1 수지재료부의 삽입 및 복합용기의 꺼내기는 1 쇼트마다 손으로 행해도 된다.
제2 수지재료부의 외표면은, 사용하는 제2 금형(암금형)의 내벽을 가공함으로써, 평활한 경면으로서 광택을 발생시켜도 되고, 크레이프지 등의 조면으로서 무광으로 해도 되며, 엠보스로서 요철을 부여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평활한 표면이다. 또한, 이들의 제2 수지재료부의 외측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장식은, 제2 수지재료부의 형성과 동시에 행해도 되고, 제2 수지재료부의 형성 후에 행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라벨이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라벨의 양면이 각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사출성형 복합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벽부와 저면으로 되는 용기로서, 측벽부 내에 라벨이 머리띠형상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이나, 측벽부 내에 만곡 또는 굴곡된 1장 또는 2장 이상의 라벨이 내포되어 있는 것 등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벨을 내포하는 용기를 종래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자 해도, 수지재료로부터 라벨이 들떠버리거나, 수지재료와 라벨 사이에 공기 고임이 생겨버리거나, 라벨에 주름이나 물결이 생겨, 결국 라벨을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없었다. 라벨의 융착 일체화는, 본 발명의 참신한 제조방법에 의해 비로소 가능해진 것으로, 그것에 의해 라벨의 양면이 각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사출성형 복합용기가 비로소 제공되는데 이른 것이다.
얻어진 복합용기에 대해, 추가적으로 공정(2)에 준한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제3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3 수지재료부는, 제1 수지재료부의 표면에 형성해도 되고, 제2 수지재료부의 표면에 형성해도 되며,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의 각 표면에 걸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공정(2)에서 제2 라벨을 융착한 경우에는, 그 제2 라벨을 내포하도록 제3 수지재료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3 수지재료부의 표면에는 제3 라벨을 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동일하게 하여, 제4 수지재료부를 형성하거나, 그 표면에 라벨을 융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응용이나 개변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조태양)
상기의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제조태양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단, 이하에 기재하는 제조태양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이 제조태양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제조태양에서는, 제1 수지재료부와 제2 수지재료부가 모두 용기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내측의 제1 수지재료부와 외측의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라벨이 내포되어 있는 복합용기를 제조한다. 여기서는, 제1 수지재료부를 내측용기라 하고, 제2 수지재료부를 외측용기라 한다.
이 복합용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용기 성형기 및 외측용기 성형기의 2대의 사출성형기(1a 및 1b), 라벨 인서터(도시하지 않음),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2), 꺼낸 내측용기를 외측용기 성형기로 반송하는 주행기(4),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 복합용기 반송용 컨베어(3) 등으로 되는 복합용기의 성형기로 형성할 수 있다.
성형 순서로서는, 먼저 내측용기를 사출장치와 형체장치의 조합으로 되는 전단(前段)의 내측용기의 사출성형기(1a)로 성형한다. 이때 라벨을, 라벨 인서터 등을 사용해서 미리 금형 내에 삽입하고, 흡인이나 정전기 등 주지의 수법을 이용하여 암금형 내벽의 목적하는 위치에 장착 고정해 둔다. 이어서 수금형과 형폐하고 금형 내부에 제1 수지재료의 용융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외주에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내측용기를 성형할 수 있다. 사출성형기(1a)의 크기는, 용기의 크기, 취수(取數), 금형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다.
이어서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2)에 의해, 라벨이 융착된 내측용기가 금형으로부터 꺼내어지고, 계속해서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2)에 의해 내측용기는 주행기(4) 상의 지그에 장전된다. 내측용기가 장전된 지그는 주행기(4)에 의해 후단(後段)의 성형기(1b)측으로 보내어진다. 이 주행기(4) 상에서, 내측용기로의 추가적인 장식, 예를 들면 레이저에 의한 인자(각인) 등을 추가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에 의해, 라벨이 융착된 내측용기가 지그로부터 꺼내어지고, 계속해서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에 의해 외측용기의 성형기(1b)의 금형 내에 삽입되며, 수금형의 코어부에 설치되어, 코어부에 접속된 흡인장치에 의해 내측용기를 흡인하여 용기를 금형의 소정 위치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내측용기는 외측용기를 형성할 때의 수형(또는 그의 일부)으로서 사용된다.
이어서 암금형과 형폐하고 금형 내부에 제2 수지재료의 용융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내주에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외측용기를 성형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내측용기, 외측용기 및 라벨이 각각 융착된 복합용기가 성형된다. 사출성형기(1b)의 크기는, 용기의 크기, 취수, 금형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다.
외측용기의 사출성형기(1b)에 의해 복합용기의 성형이 끝나면,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은 복합용기를 금형으로부터 꺼내고, 다음의 배치의 내측용기를 금형 내에 재장전하여, 복합용기를 복합용기 반송용 컨베어(3) 상에 놓고, 추가적으로 다음의 배치의 내측용기가 주행기(4)의 지그에 의해 반송되어 올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작업의 반복에 의해 복합용기는 성형할 수 있다.
상기한 성형 설비에 있어서,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2)은 1 쇼트당 취수에 따른 흡인기가 부착된 척반 1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은, 내측용기를 주행기(4)로부터 후단의 사출성형기로 운송하기 위한 삽입용 척반과, 후단의 사출성형기에서 성형한 복합용기를 금형으로부터 꺼내는 척반의 2장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짐으로써 복합용기를 효율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용기의 성형방법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것은, 외측용기의 금형으로 내측용기를 금형 내의 상하좌우의 어긋남 없이 장전하는 것이다. 외측용기의 성형시에 내측용기가 금형 코어부로부터 어긋나 있거나, 비스듬하게 되어 있거나 하여 정위치에 완전히 설치하지 못한 경우, 목적하는 품질의 제품이 얻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금형이나 압출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부여하기 쉽다. 그 때문에 각 사출성형기(1a 및 1b), 내측용기 꺼내기 로봇(2), 주행기(4), 주행기의 지그, 내측용기 삽입 겸 복합용기 꺼내기 로봇(5), 금형의 제품간의 피치 등 모든 것에 있어서 위치 결정을 행하고, 각 용기를 지진이나 성형시의 진동에 의해 어긋나지 않도록 바닥 위에 볼트로 고정하는 등의 대책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되는 방법이나 그것에 준한 방법에 의해, 라벨이 수지재료에 내포되어 있고, 또한, 라벨의 양면이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사출성형 복합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즉, 이하의 제조예,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제조순서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벨 기재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라벨 기재의 제조예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8Q」, 닛폰 폴리프로(주)제) 88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10 중량% 및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2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A)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약 50℃의 온도가 될 때까지 필름을 냉각하였다. 이 필름을 약 153℃로 다시 가열한 후, 롤군의 주속도를 이용해 세로방향으로 4배 연신하여, 코어층이 되는 일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한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MQ」, 닛폰 폴리프로(주)제) 8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5 중량%,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10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B)을 별도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것을 상기 일축연신 필름의 표면에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적층하여, 표면층/코어층(B/A)의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이면층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AQ」, 닛폰 폴리프로(주)제) 93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6 중량%,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1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C)과, 히트 실링층으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을 공중합시켜서 얻은 MFR이 18 g/10분, 밀도가 0.898 g/㎤인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1-헥센 함량 22 중량%, 결정화도 30, 수평균 분자량 23,000) 75 중량%와, MFR이 4 g/10분, 밀도가 0.92 g/㎤, 결정화도(X선법)가 40%, 수평균 분자량이 18,000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중량%의 혼합물로 되는 수지 조성물(D)을 각각 별도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30℃에서 용융 혼련하고, 1대의 공압출 다이에 공급하여 다이 내에서 적층(C/D)하고,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상기 적층체(B/A)의 코어층측(A측)에 히트 실링층이 최외층이 되도록 적층하여, 표면층/코어층/이면층/히트 실링층의 4층구조의 적층체(B/A/C/D)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히트 실링층측을 금속롤과 고무롤로 되는 엠보스롤(1 인치당 150선, 깊이 40 ㎛, 역그라비아형)에 통과시켜, 히트 실링층(D)측에 0.17 ㎜ 간격의 패턴을 엠보스 가공하였다.
이 4층구조의 적층체를 텐터 오븐에 도입하여, 160℃까지 재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방향으로 7배 연신하고, 이어서 164℃에서 열세팅하여, 추가적으로 55℃까지 냉각하고 모서리부를 슬릿하여, 본 발명의 라벨에 사용하는 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합성지)을 얻었다. 이것의 두께는 75 ㎛, 불투명도는 14%였다.
(라벨 기재의 제조예 2)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8Q」, 닛폰 폴리프로(주)제) 67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10 중량% 및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23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A)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250℃에서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약 50℃의 온도가 될 때까지 필름을 냉각하였다. 이 필름을 약 150℃로 다시 가열한 후, 롤군의 주속도를 이용해 세로방향으로 4배 연신하여, 코어층이 되는 일축연신 필름을 얻었다.
한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MQ」, 닛폰 폴리프로(주)제) 51.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3.5 중량%,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42 중량%, 평균 입경 0.8 ㎛의 산화티탄분말 3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B)을 별도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것을 상기 일축연신 필름의 표면에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적층하여, 표면층/코어층(B/A)의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이면층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AQ」, 닛폰 폴리프로(주)제) 51.5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3.5 중량%, 평균 입경 1.5 ㎛의 탄산칼슘분말 42 중량% 및 평균 입경 0.8 ㎛의 산화티탄분말 3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C)과, 히트 실링층으로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과 1-헥센을 공중합시켜서 얻은 MFR이 18 g/10분, 밀도가 0.898 g/㎤인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1-헥센 함량 22 중량%, 결정화도 30, 수평균 분자량 23,000) 75 중량%와, MFR이 4 g/10분, 밀도가 0.92 g/㎤, 결정화도(X선법)가 40%, 수평균 분자량이 18,000인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 중량%의 혼합물로 되는 수지 조성물(D)을 각각 별도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30℃에서 용융 혼련하고, 1대의 공압출 다이에 공급하여 다이 내에서 적층(C/D)하여, 다이로부터 필름상으로 압출하고, 상기 적층체(B/A)의 코어층측(A측)에 히트 실링층이 최외층이 되도록 적층하여, 표면층/코어층/이면층/히트 실링층의 4층구조의 적층체(B/A/C/D)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히트 실링층측을 금속롤과 고무롤로 되는 엠보스롤(1 인치당 150선, 깊이 40 ㎛, 역그라비아형)에 통과시켜, 히트 실링층(D)측에 0.17 ㎜ 간격의 패턴을 엠보스 가공하였다.
이 4층구조의 적층체를 텐터 오븐에 도입하여, 155℃로 가열한 후,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방향으로 7배 연신하고, 이어서 164℃에서 열세팅하여, 추가적으로 55℃까지 냉각하고 모서리부를 슬릿하여, 본 발명의 라벨에 사용하는 불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합성지)을 얻었다. 이것의 두께는 100 ㎛, 불투명도는 94%였다.
(라벨 기재의 제조예 3)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8Q」, 닛폰 폴리프로(주)제) 81 중량%, 고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노바테크 HD HJ580」,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3 중량% 및 탄산칼슘 16 중량%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A)을, 250℃의 온도로 설정한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이것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추가적으로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하여, 무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이 시트를 150℃의 온도까지 다시 가열한 후, 주속이 상이한 롤군을 사용하여 세로방향 5배의 연신을 행하여, 5배 세로연신 필름(코어층)을 얻었다.
또한 표면층으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AQ」, 닛폰 폴리프로(주)제) 54 중량%와, 탄산칼슘 46 중량%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B)을 별도의 압출기로 250℃에서 용융 혼련한 후, 이것을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상기 공정에서 얻은 5배 세로연신 필름의 양면에 적층하여, 3층구조의 적층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이 3층구조의 적층필름을 60℃의 온도까지 냉각한 후, 오븐에 의해 155℃의 온도까지 재가열하고, 텐터를 사용하여 가로방향으로 7.5배 연신하여(면적 연신배율: 37.5배), 165℃의 온도에서 어닐링처리하고, 60℃의 온도까지 냉각하여 모서리부를 슬릿하고, 3층구조(일축연신/이축연신/일축연신)의 두께 60 ㎛(B/A/B=15 ㎛/30 ㎛/15 ㎛)의 열가소성 수지 연신 필름으로, 불투명도 95%의, 본 발명의 라벨에 사용하는 불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얻었다.
(라벨 기재의 제조예 4)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U」, 닛폰 폴리프로(주)제) 100 중량%로 되는 수지 조성물(A),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상품명 「카넬 KF360T」,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100 중량부에, 첨가제로서 대전방지제(상품명 「노바테크 LL LX-AS」, 닛폰 폴리에틸렌(주)제)를 5 중량부, 블로킹 방지제(상품명 「카넬 KMB32F」, 닛폰 폴리에틸렌(주)제)를 5 중량부 배합한 수지 조성물(B), 및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A3U」, 닛폰 폴리프로(주)제) 50 중량%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FB3C」, 닛폰 폴리프로(주)제) 20 중량%와, 말레산 변성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상품명 「모딕 AP A515」, 닛폰 폴리에틸렌(주)제) 30 중량%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블로킹 방지제(상품명 「노바테크 PP FMB1650B」, 닛폰 폴리프로(주)제)를 2 중량부 배합한 수지 조성물(C)을 각각 별도의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에서 용융 혼련하고, 이들을 1대의 공압출 T-다이에 공급하여, T-다이 내에서 B/A/C의 순서로 3층으로 적층하고, 이어서 240℃에서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여, 이들을 세미미러조(semi-mirror調) 칠롤과, 매트조(matte調) 고무롤 사이에 도입하고, 협압(狹壓)(선압 약 1.5 ㎏/㎝)하면서 냉각하여, 모서리부를 슬릿하고, 본 발명의 라벨에 사용하는 투명하고 무연신의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얻었다. 이것의 두께는 80 ㎛, 불투명도는 13%였다.
(라벨 기재의 제조예 5)
시판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O300E」, 미츠비시수지(주)제, 두께 100 ㎛)의 편면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계의 히트 실링제(상품명 「애드코트 AD1790-15」, 도요모톤(주)제)를 고형분량으로 3 g/㎡가 되도록 그라비아 도공하고, 건조시켜서, 본 발명의 라벨에 사용하는 투명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얻었다. 이것의 불투명도는 10%였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라벨의 제조예 1)
라벨 기재의 제조예 1에서 얻은 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국반절(菊半) 크기로 재단한 후, 표면층(B층)측의 표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이것을 매엽 오프셋 인쇄기 및 UV 오프셋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로고 및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였다. 인쇄 후에 기하학 모양을 행한 인쇄면측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계의 히트 실링제(상품명 「애드코트 AD1790-15」, 도요모톤(주)제)를 고형분량으로 2 g/㎡가 되도록 메이어 바 도공하고, 건조시켜서, 히트 실링층을 설치하고,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2)
라벨 기재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불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국반절 크기로 재단한 후, 표면층(B층)측의 표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이것을 매엽 오프셋 인쇄기 및 유성 오프셋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로고 및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였다. 또한 이 인쇄물의 인쇄면 상에 핫 스탬프로 박입힘을 실시하였다. 동 기재로부터 인쇄 후에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과 동 프로세스에서 펀칭칼날을 이용한 기계적 천공으로 천공간의 피치 10 ㎜, 천공 직경 0.6 ㎜의 관통공을 뚫어,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3)
라벨 기재의 제조예 3에서 얻은 불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국반절 크기로 재단한 후, 그 양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이것에 매엽 오프셋 인쇄기 및 UV 오프셋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편면에는 상품명이나 바코드 등의 정보, 다른 편면에는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였다. 인쇄 후에 기하학 모양을 행한 표면측에 폴리올레핀계 핫 멜트 접착제(상품명 「F 코트」, 닛폰 화공도료(주)제)를 메이어 바 도공하여 건조시키고,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히여,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4)
라벨 기재의 제조예 4에서 얻은 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C층측의 표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이것에 레터프레스 인쇄기 및 UV 오프셋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로고 및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였다. 인쇄 후에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5)
라벨 기재의 제조예 5에서 얻은 투명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히트 실링제 비도공면에, RI 전색(轉色)시험기 및 UV 경화형 잉크(상품명 「UV 161 남」, (주)T&K TOKA제)를 사용하여 민인쇄하였다. 경화 후의 인쇄면측에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수지계의 히트 실링제(상품명 「애드코트 AD1790-15」, 도요모톤(주)제)를 고형분량으로 2 g/㎡가 되도록 메이어 바 도공하고, 40℃로 설정한 오븐 중에서 2분간 건조시켜서 인쇄면측에도 히트 실링층을 설치하고,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6)
라벨 기재의 제조예 1에서 얻은 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의 B층측의 표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그라비아 인쇄기 및 리핑타이프 메탈릭 잉크를 사용하여 로고 및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여, 추가적으로 인쇄면 상에 라미네이트 필름(상품명 「루미러 P025」, 도오레(주)제, 두께 12 ㎛) 및 접착제(상품명 「TM595/CAT56」, 도요모톤(주)제, 2액형)를 사용하여, PET 필름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였다. 동 기재로부터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고, 펀칭과 동 프로세스에서 펀칭칼날을 이용한 기계적 천공으로 천공 간의 피치 10 ㎜, 천공 직경 0.6 ㎜의 관통공을 뚫어,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라벨의 제조예 7)
라벨 기재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불투명한 폴리올레핀계 필름을 국반절 크기로 재단한 후, 표면층(B층)측의 표면을 장식면으로 하고, 이것에 매엽 오프셋 인쇄기 및 유성 오프셋 프로세스 잉크를 사용하여 로고, 회사명, 연락처, 기하학 모양을 인쇄하였다. 인쇄 후의 기하학 모양을 행한 표면측에 폴리올레핀계 핫 멜트형 접착제(제품명 「ZAP-426」, (주)미츠와연구소제, 시작품)를 고형분량으로 1 g/㎡가 되도록 메이어 바 도공하고 건조시켜서 인쇄면측에도 히트 실링층을 설치하고, 동 기재로부터 인쇄 후에 용기형상에 맞추어 부채꼴형상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복합용기에 사용하는 라벨을 얻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복합용기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수지 압출기와 형체장치로 되는 사출성형기(상품명 「ES3000 ELJECT」, 닛세이수지공업(주)제)에, 도 2의 단면형상을 갖는 내경 55 ㎜, 내용적 약 60 ㎖의 내측용기를 한번에 4개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 취부하였다. 동 금형의 암금형 내에 라벨의 제조예 1에서 얻은 라벨을 손으로 인쇄면이 금형 표면에 접하도록 삽입하고, 약 150 t의 형체력으로 형체한 후, 내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G2T」, 닛폰 폴리프로(주)제)를 사용하고, 이것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에 약 2 t의 사출압력으로 금형 내에 사출하였다. 냉각 후에 금형 내로부터, 외주에 라벨이 융착된 내측용기를 꺼내 얻었다. 이어서 수지 압출기와 형체장치로 되는 별도의 사출성형기(상품명 「ES3000 ELJECT」, 닛세이수지공업(주)제)에, 외측용기를 한번에 4개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 취부하고, 동 금형의 수금형측에 얻어진 내측용기를 손으로 삽입하여, 흡인에 의해 고정한 후, 약 150 t의 형체력으로 형체하고,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J850NA」, (주)프라임 폴리머제)를 사용하여,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에 약 2 t의 사출압력으로 이것을 금형 내에 사출하여 외측용기를 형성하고, 냉각 후에 이것을 꺼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용기(21), 외측용기(22), 라벨(23)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20)를 얻었다(도 3).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라벨과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2)
라벨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여, 내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G2T」, 닛폰 폴리프로(주)제)에 티탄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이산화티탄 농도가 2 중량%가 되도록 조정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백색 불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라벨과 외측용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3)
라벨의 제조예 3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여, 내측용기 성형시에, 라벨의 상품명이나 바코드 등의 정보를 인쇄한 면이 금형에 접하도록 삽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라벨의 양면에 행해진 장식을 외측용기 및 내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정보 및 모양으로서 시인할 수 있고, 라벨과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4)
라벨의 제조예 4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 외부로부터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용기 내용물까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용기의 내측으로부터도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5)
라벨의 제조예 5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여, 내측용기 및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IP 142B」, (주)벨폴리에스테르 프로덕트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장치, 금형,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 외부로부터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내용물까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용기의 내측으로부터도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6)
라벨의 제조예 6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여,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IP 142B」, (주)벨폴리에스테르 프로덕트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7)
라벨의 제조예 2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여, 전단의 내측용기의 성형시에 실시예 1과는 라벨의 표리를 반대로 인쇄면이 금형 표면에 접하지 않는(캐비티측) 방향으로 금형 내에 삽입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어서 이 복합용기의 외측용기 표면에만 알루미늄 증착에 의한 금속 광택의 장식을 행하고, 추가적으로 그 위에 스크린 인쇄로 직접인쇄를 실시하였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는 금속증착에 의해 불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의 시인은 불가능하나, 내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복합용기의 내측으로부터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8)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아이오노머(상품명 「서린 PC2000」, 듀폰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9)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아이오노머(상품명 「하이밀란 1705」,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불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10)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품명 「제라스 MC717」, 미츠비시화학(주)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11)
라벨의 제조예 7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불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12)
라벨의 제조예 7에서 얻은 라벨을 사용하고, 또한 외측용기의 수지재로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아이오노머(상품명 「하이밀란 1705」, 미츠이·듀폰 폴리케미컬(주)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융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불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불투명하여,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실시예 13)
외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아이오노머(상품명 「서린 PC2000」, 듀폰제)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순서로 외측용기, 내측용기, 라벨이 접착하여 일체화된 복합용기를 얻었다. 이 복합용기는 내측용기가 투명, 외측용기가 투명, 라벨이 투명하여, 용기 외부로부터 외측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용기 내용물까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용기의 내측으로부터도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는 것이기도 했다. 라벨과 용기는 일체화되어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지지 않고 선명하게 보이는 것이었다.
(비교예 1)
수지 압출기와 형체장치로 되는 사출성형기(상품명 「ES3000 ELJECT」, 닛세이수지공업(주)제)에, 단면이 테이퍼형상을 갖는 외측용기를 성형할 수 있는 금형을 취부하였다. 동 금형은 수금형의 코어부를 흡인에 의해 라벨을 고정할 수 있도록 가공하고, 암금형측에 게이트부를 설치하여 수지를 사출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동 금형의 수금형의 코어부에 제조예 1에서 얻은 라벨을 인쇄면이 캐비티측을 향하도록 손으로 휘감고, 흡인에 의해 고정하였다. 약 150 t의 형체력으로 형체한 후, 내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프라임 폴리프로 J850NA」, (주) 프라임 폴리머제)를 사용하고, 이것을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에 약 2 t의 사출압력으로 금형 내로 사출하였다. 냉각 후에 금형 내로부터, 내면 주벽에 라벨이 융착된 외측용기를 꺼내 얻었다. 이어서 수지 압출기와 형체장치로 되는 별도의 사출성형기(상품명 「ES3000 ELJECT」, 닛세이수지공업(주)제)에, 내측용기를 형성할 수 있는 별도의 금형을 취부하였다. 동 금형은, 전단의 금형보다도 작은 코어부를 갖는 수금형으로서, 이것에 게이트부를 설치하여 수지를 사출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동 금형의 암금형측에 얻어진 외측용기를 손으로 삽입하고, 약 150 t의 형체력으로 형체하여, 내측용기의 수지재료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상품명 「노바테크 PP MG2T」, 닛폰 폴리프로(주)제)를 사용하고,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에 약 2 t의 사출압력으로 이것을 금형 내로 사출하여 내측용기를 형성하고, 냉각 후에 이것을 꺼내, 내측용기, 외측용기, 라벨을 갖는 복합용기를 얻었다. 그러나 이 복합용기는, 생산성이 매우 나쁜 것이며, 또한 품질면에서도 내측용기의 성형 후에, 내측용기의 금형 수축에 의해, 일단 접착한 라벨의 계면 박리에 의해 라벨의 들뜸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용기를 매개로 하여 라벨 상의 인쇄를 시인할 수 있으나, 라벨 상의 인쇄가 흐릿해져 선명하게 보이지는 않아, 라벨과 용기가 일체화되어 있지 않은 것이었다.
이 결과는, 다른 제조예에서 얻어진 라벨을 사용한 경우나, 실시예에서 사용한 다른 수지를 사용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라벨과 용기가 일체화된 이중용기는 얻어지지 않는다.

Claims (23)

  1. 사출성형에 의한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로서, 상기 라벨이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측벽부를 구비한 용기의 형상을 갖는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외주벽을 따라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상기 제2 수지재료부 사이에 내포되어 있고,
    상기 라벨의 상기 제1 수지재료부측 면 및 상기 제2 수지재료부측 면이 각각 상기 제1 수지재료부의 사출성형 시에 용융된 수지재료 및 상기 제2 수지재료부의 사출성형 시에 용융된 수지재료에 융착하여 일체화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에 융착되어 있는 라벨을 완전히 내포하도록 상기 제2 수지재료부를 사출하여 성형하고,
    상기 라벨이 기재와 상기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히트 실링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 및 상기 제2 수지재료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폴리알릴설폰, 및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및 폴리알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이고, 또한, 상기 제2 수지재료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4-메틸펜타-1-엔), 엘라스토머, 아이오노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젖산, 비결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에틸렌-초산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옥시메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부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폴리메타크릴스티렌, 폴리알릴레이트, 및 폴리알릴설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에 동일한 수지재료로 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는 서로 수지의 조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부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뚜껑과의 감착부(嵌着部)를 갖는 용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재료부가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용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부나 상기 제2 수지재료부의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기재가 폴리올레핀계 필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기재의 표면과 이면이 서로 상이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이 장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이 인쇄로 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이 금속박으로 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장식이 상기 수지재료를 통해 시인(視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장식이 용기 내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이 관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외표면이 장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
  18. 제1 수지재료부, 제2 수지재료부 및 라벨로 구성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으로서,
    (1) 제1 금형의 암금형(雌金型)측의 내벽에 라벨을 배치하여 고정하고, 형폐(型閉)한 후에, 상기 제1 금형 내에 제1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라벨이 융착된 제1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및
    (2)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완전히 내포하도록, 수형(雄型) 또는 수형의 일부로서의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암형으로서의 제2 금형으로 형폐하고, 제2 수지재료를 사출하여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의 라벨을 덮도록 제2 수지재료부를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라벨이 기재와 상기 기재의 양면에 설치된 히트 실링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부를 뚜껑과의 감착부를 갖는 용기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지재료부도 용기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는 서로 수지의 조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재료와 상기 제2 수지재료가 동일한 수지재료로 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이 장식을 가지고 있고, 그 장식이 상기 제1 수지재료부, 상기 제2 수지재료부 또는 그 양쪽을 통해 시인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지재료부와 상기 제2 수지재료부의 불투명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 복합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67034452A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034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7239 2007-10-12
JPJP-P-2007-267239 2007-10-12
JP2008098649 2008-04-04
JPJP-P-2008-098649 2008-04-04
PCT/JP2008/068470 WO2009048139A1 (ja) 2007-10-12 2008-10-10 射出成形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120A Division KR20150063166A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517A KR20160144517A (ko) 2016-12-16
KR101703487B1 true KR101703487B1 (ko) 2017-02-06

Family

ID=4054928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4452A KR101703487B1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57013120A KR20150063166A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07010228A KR20100086999A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120A KR20150063166A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07010228A KR20100086999A (ko) 2007-10-12 2008-10-10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213580B1 (ko)
JP (1) JP5641685B2 (ko)
KR (3) KR101703487B1 (ko)
CN (1) CN101821167B (ko)
ES (1) ES2608819T3 (ko)
WO (1) WO2009048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2255B2 (ja) * 2009-12-01 2014-02-12 株式会社ヤシマ精工 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5757379B2 (ja) * 2010-01-29 2015-07-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多重壁構造体
KR101243374B1 (ko) * 2010-04-02 2013-03-13 송경현 식품 저장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식품저장용기
JP2012012019A (ja) * 2010-06-29 2012-01-19 Yupo Corp 射出成形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61598B2 (ja) * 2010-06-30 2014-07-3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壁構造を有する合成樹脂製ボトル
JP5523963B2 (ja) * 2010-07-20 2014-06-18 株式会社ヤシマ精工 合成樹脂製多重容器とこの製造方法
JP5483201B2 (ja) * 2010-11-30 2014-05-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壁構造を有する合成樹脂製ボトル
CN102330465A (zh) * 2011-05-31 2012-01-25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一种双层功能性马桶水箱箱体及其制备方法
JP2013256084A (ja) * 2012-06-14 2013-12-26 Sanyo Kagaku Kogyo Kk 加飾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加飾方法
CN103521278B (zh) 2013-10-18 2015-06-17 杭州百伴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识别码的生物样品保存管及其制造方法
WO2015132812A1 (ja) * 2014-03-03 2015-09-11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フィルム及び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CN103935578B (zh) * 2014-03-17 2016-04-06 泰马克精密铸造(苏州)有限公司 覆膜注塑防潮容器及其制造方法
EP2952543B1 (en) 2014-06-05 2017-11-01 Omya International AG Polymer composition filled with an inorganic filler material mixture
US10486350B2 (en) * 2014-09-22 2019-11-26 Ecomarks Plastics, LLC Container and label
JP5753937B1 (ja) * 2014-11-28 2015-07-22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DE102016103488A1 (de) * 2016-02-26 2017-08-31 Inotech Kunststofftechnik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ehrkomponenten-Spritzguss-Formteiles
CN105885251A (zh) * 2016-05-20 2016-08-24 苏州倍力特物流设备有限公司 一种钢化塑料包装盒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98353A (ko) * 2016-06-24 2018-09-03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6782038B (zh) * 2016-12-20 2022-12-13 深圳市华星祥科技有限公司 金属树脂立体商标及金属树脂立体商标的成型方法
JP6430684B1 (ja) * 2016-12-28 2018-11-28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食品用容器の製造方法
JP6873558B2 (ja) * 2017-07-31 2021-05-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インサート成形容器の製造方法
JP7098296B2 (ja) * 2017-10-04 2022-07-11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94119A (ja) * 2017-11-27 2019-06-2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の透明容器
KR102074583B1 (ko) * 2018-07-30 2020-03-02 최유진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WO2020254677A1 (en) * 2019-06-21 2020-12-24 Berry Superfos Randers A/S Injection moulded container for food products, said container comprising a portion of recycled plastic material
KR20220124755A (ko) * 2020-01-14 2022-09-14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JP7217982B2 (ja) * 2020-05-20 2023-02-06 エム・エフ・ヴィ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容器の製造方法
CN111873591A (zh) * 2020-08-10 2020-11-03 江西禾尔斯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降解材料制品及其制备方法
EP4204201A1 (en) * 2020-08-31 2023-07-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in-molding labels and dispenser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34B1 (ko) 1996-02-02 2004-10-22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인-몰드성형용라벨,이를부착한용기및이러한용기의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9860U (ko) * 1976-05-26 1977-12-05
JPS5869015A (ja) 1981-10-22 1983-04-25 Oji Yuka Gouseishi Kk ラベルの貼着方法
JPS5896533A (ja) 1981-12-02 1983-06-08 Sanshin Kako Kk 食器の製造方法
JPS58112949A (ja) * 1981-12-21 1983-07-05 吉田工業株式会社 多層容器の製造法
JPS58169036U (ja) * 1982-05-06 1983-11-11 紀伊産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容器
ATE82544T1 (de) 1986-07-14 1992-12-15 Dow Chemical Co Coextrudierbares plastikfilmetikett fuer einschmelz-etikettierung.
JP2608918B2 (ja) 1988-06-14 1997-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一括形ガス絶縁開閉装置用計器用変流器
JP2542427B2 (ja) 1988-09-21 1996-10-09 王子油化合成紙株式会社 ラベル用合成紙の製造方法
JPH0670736B2 (ja) * 1989-01-11 1994-09-07 東洋製罐株式会社 型内ラベル貼着用ラベル及びラベル付プラスチック容器
JPH03114093U (ko) 1990-03-09 1991-11-22
JPH0753392B2 (ja) * 1990-05-30 1995-06-07 株式会社フジシール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91692A (ja) 1992-09-11 1994-04-05 Fuji Seal Kogyo Kk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461555B2 (ja) 1994-02-18 2003-10-2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光隠蔽性に優れた複合容器
JPH08301262A (ja) 1995-05-12 1996-11-19 Idemitsu Petro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製二重壁容器
JPH0911275A (ja) 1995-06-30 1997-01-14 Nissha Printing Co Ltd 図柄付成形品の製造方法
JP3935578B2 (ja) * 1997-10-07 2007-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
JP4093329B2 (ja) 1998-02-27 2008-06-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筒状成形物とそ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US6270868B1 (en) 1998-11-17 2001-08-07 Inoac Packaging Group Inc. Composite container with stabilized base
JP3732712B2 (ja) 2000-04-06 2006-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スケルトン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37624A (ja) 2003-07-18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モ−ルドラベル成形容器
JP4868778B2 (ja) 2004-06-30 2012-02-01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JP4202338B2 (ja) 2004-07-30 2008-12-24 アスカカンパニー株式会社 ラベルサンドカップ
JP4517053B2 (ja) 2004-09-30 2010-08-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ラベル付き合成樹脂製カップ状容器及びラベルの接着方法
JP2006143270A (ja) 2004-11-19 2006-06-08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加飾容器
JP4432080B2 (ja) 2004-12-27 2010-03-17 森永乳業株式会社 カップ状容器
EP1865482A4 (en) * 2005-03-30 2012-03-07 Yupo Corp MOLDING LABEL IN MOLD AND MOLDING PRODUCT USING SAME
JP4868936B2 (ja) 2005-05-17 2012-02-01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高輝度なラベル、該ラベルが貼着した容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DE102005023440A1 (de) * 2005-05-20 2006-11-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nzeige- und/oder Bedienungspaneel
JP3114093U (ja) * 2005-06-24 2005-09-29 三洋化学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二重容器
DE102005035899A1 (de) * 2005-08-01 2007-02-15 Rpc Bramlage Gmbh Im Zweikomponenten-Spritzverfahren hergestellter Gegenstand
CN101005738A (zh) * 2006-01-21 2007-07-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外壳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34B1 (ko) 1996-02-02 2004-10-22 오지유카고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인-몰드성형용라벨,이를부착한용기및이러한용기의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13580A4 (en) 2013-03-13
WO2009048139A1 (ja) 2009-04-16
CN101821167A (zh) 2010-09-01
JP2009263006A (ja) 2009-11-12
EP2213580A1 (en) 2010-08-04
ES2608819T3 (es) 2017-04-17
JP5641685B2 (ja) 2014-12-17
KR20160144517A (ko) 2016-12-16
EP2213580B1 (en) 2016-09-28
KR20100086999A (ko) 2010-08-02
KR20150063166A (ko) 2015-06-08
CN101821167B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487B1 (ko)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US10906218B2 (en) In-mould labelling process
KR100505822B1 (ko) 사출성형 동시 가식용 시트, 가식 성형품 및 사출성형동시 가식방법
JP5043177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EP2623319A1 (en) Use of a decorating sheet and of a decorated moulding resin, as well as their methods of production
EP1872969B1 (en) Transfer film, and synthetic resin molded product having decoration formed by transfer film
JPH05249895A (ja) インモールド用ラベル
US20130071589A1 (en) Embossed Thermoplastic Label
AU2016220908A1 (en)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in-mold molding label, and plastic container with labe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7264373A (ja) インモールド成形容器用ラベル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容器
JP4516214B2 (ja) 透明ラベル
US7807255B2 (en) Heat-shrinkable milky film, shrink label and container with label
US5925208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rinted in-mold labeled molded containers
US20030099793A1 (en) Plastic films and rolls for in-mold labeling, labels made by printing thereon, and blow molded articles labeled therewith
JP2012012019A (ja) 射出成形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54956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JP510942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容器
JP3190111U (ja) 射出成形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37624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モ−ルドラベル成形容器
JP3720153B2 (ja) ラベル貼着容器の製造方法
JP2002036345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該ラベル付き樹脂成形品
WO1993009925A2 (en) Plastic films and rolls for in-mold labeling, labels made by printing thereon, and blow molded articles labeled therewith
JP2005091594A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JP2006350313A (ja) 高輝度なラベル、該ラベルが貼着した容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3168787B (zh) 附带标签的树脂成型品、附带标签的树脂成型品的制造方法、以及标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