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583B1 -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583B1
KR102074583B1 KR1020180088841A KR20180088841A KR102074583B1 KR 102074583 B1 KR102074583 B1 KR 102074583B1 KR 1020180088841 A KR1020180088841 A KR 1020180088841A KR 20180088841 A KR20180088841 A KR 20180088841A KR 102074583 B1 KR102074583 B1 KR 10207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ed article
cosmetic container
preparing
intermediate solution
spir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180088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은, PET, PETG, 폴리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1300 내지 1500℃에서 용해시키는, 원료 용해 단계; 용해된 상기 원료를 성형틀에 부은 후 성형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품을 냉로에 투입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 처리하여 화장품 용기를 완성하는,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수지를 원료로 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생산성을 가져 대량 생산을 기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용기 안의 내용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겁고 깨지기 쉽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ET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화장품 용기를 제작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682140호(발명의 명칭 : 투명유리 대용 페트 화장품용기의 제조방법)에서는 투명 유리용기 대용으로 페트 재질로 화장품 용기를 제조함으로서 질감과 시각적인 미감이 유리용기와 동일하게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사전에 제작되는 프리폼을 만들고자 하는 화장품 용기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작하여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프리폼을 좌우 금형과 하부금형으로 분리되는 성형 몰드에 설치하되 좌우금형은 결합상태이고 하부 금형은 소정의 간격으로 벌린 상태로 프리폼을 설치하는 단계; 상시 설치된 프리폼 내부에 연신봉을 삽입한 후 연신봉 하단에 형성된 에어 분출구를 통하여 프리폼 하단부를 냉각하는 단계; 상기 프리폼 하단부를 냉각하고 연신봉으로 프리폼을 이격된 하부금형 상면까지 연신시키는 단계; 상기 연신된 프리폼이 연신봉과 프리폼 입구를 통하여 에어를 불어 블로잉 함과 동시에 하부금형으로 올려 수축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으로써 화장품 용기를 성형하는 방법은 제안하고 있다.
다만, 상기 기술은 프리폼이라는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불필요하게 복잡해지는 문제가 따른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62505호(고안의 명칭 : 화장품용기)에서는 밀폐 보관 시 화장품내용물이 접하는 공기의 양을 최소화하는 한편, 화장품내용물을 잔량 없이 완전 소비가 가능하게 하고, 화장품내용물이 완전 소비에 근접하였음을 인지 가능하게 하는 화장품용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고안은 화장품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11) 양단에 각각 개방부1,2(111)(112)가 마련되고, 상기 용기본체(11)의 일측 단에 결합되어 개방부1(111)을 개폐시키는 덮개(12); 상기 개방부2(112)를 통해 인서트되어 상기 용기본체(11)의 타측 단을 차단하되,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용기본체(11) 내에 수용된 화장품내용물(1)을 개방부1(111) 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가압수단(13)을 갖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13)의 상단 부분에 스퀴지(13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 기술에 의하면 화장품 용기가 별도의 가압수단을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해지고 용기 제작 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 및 환경에서 화장품의 적정 보관 온도를 용이하게 파악함과 더불어 화장품에 전달된 열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명하고 생산성이 높은 플라스틱 수지로 화장품 용기를 상대적 원가절감을 추구하며 제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품 용기 내용물의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물질을 화장품 용기의 표면에 코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품 용기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은, PET, PETG, 폴리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1300 내지 1500℃에서 용해시키는, 원료 용해 단계; 용해된 상기 원료를 성형틀에 부은 후 성형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품을 냉로에 투입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 처리하여 화장품 용기를 완성하는,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는, PCDA(10,12-Pentacosadiynoic acid)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식별 도료를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 1 도포 단계로 이루어지고,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도료를 상기 식별 도료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 2 도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식별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PCDA 20 내지 45중량%, DMPC(1,2- Dimyristoyl-sn-glycero-3-phosphorulcholine) 1 내지 15중량%, 클로로포름(Chloroform)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혼합 물질을 함유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1차 건조물을 생성하는, 1차 건조물 생성 단계; 상기 1차 건조물을 60 내지 9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생성한 후 10 내지 4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2차 건조물 처리 단계; 초음파 처리된 상기 2차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식별 도료를 완성하는, 식별 도료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혼합 물질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콜레스테롤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3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중간 용액 60 내지 95중량%와 상기 제 2 중간 용액 5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3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3 중간 용액 5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한 후 초음파 분산 처리하여 혼합 용액을 완성하는, 혼합 용액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1)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원가절감을 추구하면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2) 온도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을 도포함으로써 내용물의 온도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 화장품 용기의 표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내용물에 전달된 열을 신속히 방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의 표면에 나선형 홈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는 기본적인 과정은 원료 준비 단계(S100), 원료 용해 단계(S200), 성형 단계(S300), 냉각 단계(S400), 완성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원료 준비 단계(S100)는 PET, PETG, 폴리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준비하는 것으로서, 이때 원료를 이루는 PET, PETG, 폴리에스터는 투명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를 원료로 하여 화장품 용기를 제조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생산성이 높고 단가가 저렴하여 이를 원료로 하는 제품(본 발명에서는 화장품 용기(100))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원료는 분말 형상으로 분쇄하여 준비하거나 액상으로 준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료 용해 단계(S200)는 원료를 1300 내지 1500℃에서 용해시키는 것으로서, 원료로부터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단계(S300)(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를 거치기 위해 원료를 고온으로 용해시켜 성형성을 부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성형 단계(S300)는 용해된 상기 원료를 성형틀에 부은 후 성형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제작하고자 하는 화장품 용기(100)의 형상에 해당하는 성형틀을 준비한 후 용해된 원료를 부어 성형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냉각 단계(S400)는 성형품을 냉로에 투입시켜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고온의 성형품을 냉각시켜 경화시키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완성 단계(S500)는 냉각된 성형품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 처리하여 화장품 용기(10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도료는 화장품 용기(100) 제조 시 주지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수성 도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혹은 광택감이 도는 유광 도료나 광택감이 적은 무광 도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료를 성형품의 전체 표면에 도포한 후 코팅 처리를 수행하여 화장품 용기(100)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코팅 처리 방법으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에어 스프레이, 정전 등이 있다.
여기서, 성형품의 포면에 도포되는 도료는 무색투명 혹은 유색 투명한 것으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도료(120)와 PCDA(10,12-Pentacosadiynoic acid)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식별 도료(110)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식별 도료(110)는 PCDA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PCDA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색된다는 특징을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온도가 30 내지 70℃, 즉 비교적 넓은 온도 범위에서 변색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PCDA는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파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는 특성을 가진다.
화장품 용기(100)의 주변 온도가 상승하면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 온도 역시 상승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온도에 의해 변색되는 식별 도료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의 내용물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베이스 도료(120)는 무색투명 혹은 유색 투명한 것으로서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제 2 도포 단계(S52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식별 도료(110) 및 베이스 도료(120)를 이용하여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의 온도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완성 단계(S500)에서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는 제 1 도포 단계(S510)와 제 2 도포 단계(S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도포 단계(S510)는 PCDA(10,12-Pentacosadiynoic acid)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식별 도료(110)를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PCD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특성을 지닌 물질로,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도포 단계(S520)는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베이스 도료(120)를 상기 식별 도료(110)의 표면에 도포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베이스 도료(120)는 무색/투명의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베이스 도료(120)의 유효 성분으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 도료(120)의 유효 성분인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는 코팅 기능을 우수하게 수행하는 물질로서, 베이스 도료(120)를 식별 도료(1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식별 도료(110)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 사용자의 손이나 다른 곳에 묻어나지 않도록 보호함과 동시에 화장품 용기(100) 표면에 스크래치가 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도료(110)를 제조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혼합 용액 제조 단계, 1차 건조물 생성 단계, 2차 건조물 처리 단계, 식별 도료 완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혼합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PCDA 20 내지 45중량%, DMPC(1,2- Dimyristoyl-sn-glycero-3-phosphorulcholine) 1 내지 15중량%, 클로로포름(Chloroform)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혼합 물질을 함유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온도에 의해 변색되는 특징을 가지는 PCDA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혼합 용액을 제조하여 열 변색을 특징으로 하는 식별 도료(110)를 제조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DMPC는 인지질로서, PCDA가 리포솜(liposome)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온도에 의해 변색되는 PCDA가 외부 환경에 쉽게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클로로포름은 상술한 PCDA와 DMPC의 용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혼합 용액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1차 건조물을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질소 가스를 통해 혼합 용액 내의 용매(즉, 클로로포름)를 제거하여 PCDA와 DMPC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1차 건조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후, 2차 건조물 처리 단계는 1차 건조물을 60 내지 9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생성한 후 10 내지 4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건조 과정을 통해 1차 건조물 내의 기타 수분 및 용매를 추가적으로 제거하여 2차 건조물을 생성하고, 초음파 처리를 통해 2차 건조물의 고른 분산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초음파 처리된 상기 2차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식별 도료(110)를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자외선 조사를 통해 2차 건조물을 경화 및 건조시켜 2차 건조물로부터 완성된 식별 도료(110)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별도로 수행함으로써, 식별 도료(110)가 화장품의 적정 보관온도(10 내지 20℃)를 알려줄 수 있도록 식별 도료(110)의 온도 변색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식별 도료(110)의 온도 변색 범위를 좀 더 좁게 조절하여 화장품 용기(100) 내용물의 적정 보관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혼합 용액을 제조 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제 1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제 2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제 3 중간 용액 제조 단계, 혼합 용액 완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중간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제 1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혼합 물질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혼합 물질을 용해시킨 제 1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후, 제 2 중간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제 2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콜레스테롤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콜레스테롤은 PCDA의 말단기를 치환하면서 PCDA의 온도 변색 범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콜레스테롤의 치환 정도에 따라(즉, 제 2 중간 용액 제조 시 혼합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조절하면) PCDA의 온도 변색 범위를 달리 조절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닌다.
다음으로, 제 3 중간 용액 제조 단계는 전체 제 3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중간 용액 60 내지 95중량%와 상기 제 2 중간 용액 5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3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를 통해 PCDA와 콜레스테롤의 반응을 유도하여 콜레스테롤을 작용기로 가지는 PCDA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제 3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혼합 용액 완성 단계는 전체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3 중간 용액 5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한 후 초음파 분산 처리하여 혼합 용액을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초음파 분산 처리를 통해 용매인 물 내에 제 3 중간 용액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여 혼합 용액을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혼합 용액으로부터 제조된 식별 도료(110)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의 온도가 적정 보관 온도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시켜주는 기능을 제공하여 보다 안전하고 기능성이 저하되지 않은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온도가 높으면 화장품의 내용물이 변질되어 피부에 자극을 주거나 화장품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식별 도료(110)를 도포함과 더불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함으로써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2 및 도 3과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냉각 단계(S400)와 완성 단계(S500) 사이에는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하는 나선 홈 형성 단계(S410)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제 1 도포 단계(S510)는 나선형 홈(130)의 주변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나선형 홈(130)에 상기 식별 도료(110)를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나선형 홈(130)에 식별 도료(110)를 채워 넣는 것이 화장품 용기(100)의 전체 표면에 식별 도료(110)를 도포하는 것보다 적은 양의 식별 도료(110)를 사용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내용물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하고 나선형 홈(130)에 식별 도료(110)를 도포한 다음 화장품 용기(100)의 전체 표면에 베이스 도료(120)를 도포함으로써 최소한의 식별 도료(110) 사용을 통해 온도에 의한 변색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나선형 홈(130)에 의해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에 전달된 열을 신속히 전달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하면, 화장품 용기(100)의 열전달계수가 80 내지 170%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 온도가 40% 이상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하고 나선형 홈(130)에 식별 도료(110)를 채워 넣음으로써 화장품 용기(100)에 보관된 내용물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나선형 홈(130)을 형성하는 나선 홈 형성 단계(S410)는 준비 단계, 감광제 도포 단계, 건조 단계, 마스크 배치 단계, 노광 단계, 가열 건조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준비 단계는 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질소 가스로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에탄올 세척 과정을 통해 성형품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질소 가스로 건조시킴으로써 세척에 쓰인 에탄올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감광제 도포 단계는 세척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감광제(131)를 도포하는 과정이다.
이때 감광제(131)는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도포되어 감광막을 형성시키는 물질로서, 특정 파장의 빛에 반응하여 화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나선형 홈(130)을 형성할 시에 감광제(131)는 positive 감광제를 사용하여 노광된 부분이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고 노광되지 않은 부분은 감광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건조 단계는 감광제(131)가 도포된 성형품을 70 내지 95℃에서 1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성형품의 표면에 도포된 감광제(131)를 경화시키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마스크 배치 단계는 건조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것으로서, 나선형 모양으로 관통 홈이 형성된 마스크를 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감광제(131)를 나선형의 모양으로 에칭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노광 단계는 마스크가 배치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1 내지 1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마스크의 나선형 관통 홈에 대응되는 위치의 감광제(131)가 화학적 변화를 일으켜 에칭되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잔여하는 감광제(131)와 에칭된 부분으로 이해 나선형 홈(130)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가열 건조 단계는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증류수로 1 내지 5회 세척한 후 80 내지 100℃에서 가열 건조시키는 것으로서, 에칭된 감광제의 잔여물을 제거하고 가열 건조 과정을 통해 세척에 사용된 증류수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130)은 화장품 용기(100)의 표면을 기계적 방식으로 직접 깎아 형성된 것이 아닌 감광제(131)를 이용하여 나선형 홈(130)을 새롭게 형성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나선형 홈(130)은 화장품 용기(100)의 내용물에 전달된 열을 보다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0 : 화장품 용기 110 : 식별 도료
120 : 베이스 도료 130 : 나선형 홈
131 : 감광제
S100 : 원료 준비 단계 S200 : 원료 용해 단계
S300 : 성형 단계 S400 : 냉각 단계
S410 : 나선 홈 형성 단계 S500 : 완성 단계
S510 : 제 1 도포 단계 S520 : 제 2 도포 단계
S521 : 열처리 단계 S522 : 기포 형성 단계
S530 : 코팅제 도포 단계 S540 : 경화 단계

Claims (10)

  1.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PET, PETG, 폴리에스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료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 단계;
    상기 원료를 1300 내지 1500℃에서 용해시키는, 원료 용해 단계;
    용해된 상기 원료를 성형틀에 부은 후 성형시켜 성형품을 제조하는, 성형 단계;
    상기 성형품을 냉로에 투입시켜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료를 도포한 후 코팅 처리하여 화장품 용기를 완성하는, 완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도료를 도포하는 단계는,
    PCDA(10,12-Pentacosadiynoic acid)를 포함하는 식별 도료를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 1 도포 단계 및
    스티렌-부타디엔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베이스 도료를 상기 식별 도료의 표면에 도포하는 제 2 도포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도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PCDA 20 내지 45중량%, DMPC(1,2- Dimyristoyl-sn-glycero-3-phosphorulcholine) 1 내지 15중량%, 클로로포름(Chloroform)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한 혼합 물질을 함유한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혼합 용액 제조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여 1차 건조물을 생성하는, 1차 건조물 생성 단계;
    상기 1차 건조물을 60 내지 90℃에서 5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켜 2차 건조물을 생성한 후 10 내지 4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는, 2차 건조물 처리 단계;
    초음파 처리된 상기 2차 건조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식별 도료를 완성하는, 식별 도료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혼합 물질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1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콜레스테롤 1 내지 10중량%와 에탄올 90 내지 99중량%를 혼합하여 제 2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3 중간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중간 용액 60 내지 95중량%와 상기 제 2 중간 용액 5 내지 40중량%를 혼합하여 제 3 중간 용액을 제조하는, 제 3 중간 용액 제조 단계;
    전체 혼합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3 중간 용액 5 내지 20중량%와 물 80 내지 95중량%를 혼합한 후 초음파 분산 처리하여 혼합 용액을 완성하는, 혼합 용액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와 상기 완성 단계 사이에는,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나선형 홈을 형성하는, 나선 홈 형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도포 단계는,
    상기 나선형 홈의 주변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기 나선형 홈에 상기 식별 도료를 채워 넣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 홈 형성 단계는,
    냉각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질소 가스로 건조시키는, 준비 단계;
    세척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는, 감광제 도포 단계;
    상기 감광제가 도포된 성형품을 70 내지 95℃에서 1 내지 30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마스크를 배치하는, 마스크 배치 단계;
    상기 마스크가 배치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에 1 내지 1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는, 노광 단계;
    자외선이 조사된 상기 성형품의 표면을 증류수로 1 내지 5회 세척한 후 80 내지 100℃에서 가열 건조시키는, 가열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8841A 2018-07-30 2018-07-30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7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41A KR102074583B1 (ko) 2018-07-30 2018-07-30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41A KR102074583B1 (ko) 2018-07-30 2018-07-30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583B1 true KR102074583B1 (ko) 2020-03-02

Family

ID=69805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41A KR102074583B1 (ko) 2018-07-30 2018-07-30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429A (ko) * 2002-07-29 2002-09-30 태산도장 주식회사 화장품용 용기의 도장방법 및 화장품용 용기
KR20030011420A (ko) * 2001-08-02 2003-02-11 이중성 무광택 펫트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930262B1 (ko) * 2007-08-13 2009-12-09 한국과학기술원 위조방지용지
KR20100086999A (ko) * 2007-10-12 2010-08-02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420A (ko) * 2001-08-02 2003-02-11 이중성 무광택 펫트용기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74429A (ko) * 2002-07-29 2002-09-30 태산도장 주식회사 화장품용 용기의 도장방법 및 화장품용 용기
KR100930262B1 (ko) * 2007-08-13 2009-12-09 한국과학기술원 위조방지용지
KR20100086999A (ko) * 2007-10-12 2010-08-02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73464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piezas pintadas o barnizadas de material plastico.
CA2448375C (en) Plastic overmolded bottle
US6740283B2 (en) Mold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using a side-gated injection mold with vacuum assist and resulting blow molded article
BRPI0905637A2 (pt) processo de decoração de um frasco transparente ou translúcido
NL8000168A (nl) Flesvormige houder en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daarvan.
KR102074583B1 (ko) 화장품 용기의 제조 방법
CA3071576C (en) Molded article, container and a method for printing thereon
TWI395674B (zh) 橡皮擦成形玩具
TW201534244A (zh) 化妝品製法及化妝品裝置
US20060029779A1 (en) Injection molded part having an energetic beam markable article
CN100579763C (zh) 具有背胶的硅橡胶制品的成形方法
JPH09277356A (ja) 射出及び吹込成形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426498B2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123938Y2 (ko)
US20240131774A1 (en)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CN101606779A (zh) 透明或半透明小瓶的装饰方法
CN113729387B (zh) 一种内外浮雕化妆品、其制备方法及模具
EP406704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resin-made container
CA1132464A (en) Bottle made of saturated polyester resi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TWI276525B (en) Mold for sticking labels on products during molding
GB1598416A (en) Space air treat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said device
CN114945454A (zh) 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制造装置以及模具组件
JPH10129200A (ja) 身体型のインテリア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06840A (ja) 立体模様形成成形品の製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凹凸模様付フィルム
JP2008119994A (ja) 型の製造方法及び塗膜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