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755A -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 Google Patents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755A
KR20220124755A KR1020227026997A KR20227026997A KR20220124755A KR 20220124755 A KR20220124755 A KR 20220124755A KR 1020227026997 A KR1020227026997 A KR 1020227026997A KR 20227026997 A KR20227026997 A KR 20227026997A KR 20220124755 A KR20220124755 A KR 20220124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old
injection molding
preform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테루 오이케
요이치 츠치야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4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7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29C49/061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 B29C49/062Injection blow-moulding with parison holding means displaceable between injection and blow stations following an arcuate path, e.g. rotary or oscillating-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B29C45/1625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84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29C2049/2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only parts of the preforms or parisons are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 B29C2949/074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longitudinal, e.g. from top to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69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lip, i.e. very top of preform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bottom
    • B29C2949/078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bottom characterised by the sprue, i.e. injection ma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20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 B29C2949/22Preforms or parisons whereby a specific part is made of only one component, e.g. only one layer at neck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tangentially different components within one layer, e.g. longitudinal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86Interaction between two or more components, e.g. type of or lack of bonding
    • B29C2949/3088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Coloured
    • B29K2995/0021Multi-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29L2031/716Bottles of the wide mouth type, i.e. the diameters of the bottle opening and its body are substantially iden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유저 통 모양의 프리폼의 제1 층을, 제1의 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 공정과, 제1의 수지 재료와는 색이 다른 제2의 수지 재료를 제1 층의 홈 내에 사출하고, 제1 층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제2 층을 적층하는 제2 사출 성형 공정과,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다층의 프리폼을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는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고, 제2 층에 의한 세로 줄무늬 모양의 색모양을 가지는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 공정을 가진다.

Description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본 발명은,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이나 유액(乳液) 등을 수용하는 용기에는,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높이기 위해, 용기 자체에 미적 감상을 할 수 있는 외관이 요구된다. 이런 종류의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용기에는, 중후감이나 고급감이 있고, 반복 사용해도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유리제의 병이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 용기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용기에, 내부 착색으로 세로 줄무늬의 모양을 넣는 요구가 있다.
그런데, 유리제의 병은 무겁고 깨지기 쉽고, 수송이나 제조에 걸리는 코스트도 비싸다. 그 때문에, 화장품 등을 수용하는 용기에서도 유리제의 병을 수지제 용기로 대체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의 하나로서, 핫 패리슨(hot parison)식의 블로우 성형 방법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핫 패리슨식의 블로우 성형 방법은, 프리폼(preform)의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이용하여 수지제 용기가 블로우 성형된다. 그 때문에, 콜드 패리슨(cold parison)식과 비교하여 다양하고 또한 미적 외관이 뛰어난 수지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내지 4에는, 용기의 가스 배리어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PET 수지제의 용기의 중간층으로서 세로 띠모양의 가스 배리어 수지를 둘레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다중 노즐 내에서 2종의 수지를 합류시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충전하고, 적층 프리폼을 성형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495317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5765656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제6058484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제6058485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 내지 4의 기술에서는, 복수 종류의 수지를 동시에 사출하여 중간층의 폭, 위치, 형상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실제로는 매우 곤란하고, 또 사출 성형 장치의 구성도 복잡하며 고가의 것이 된다. 그 때문에, 특허 문헌 1의 기술은, 블로우 성형 후의 용기에 내부 착색으로 세로 줄무늬의 색모양을 안정되게 형성하는 용도에는 반드시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블로우 성형 후의 용기에 내부 착색으로 세로 줄무늬의 색모양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인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유저(有底, 바닥을 가짐) 통 모양의 프리폼의 제1 층을, 제1의 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 공정과, 제1의 수지 재료와는 색이 다른 제2의 수지 재료를 제1 층의 홈 내에 사출하고, 제1 층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제2 층을 적층하는 제2 사출 성형 공정과,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다층의 프리폼을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는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고, 제2 층에 의한 세로 줄무늬 모양의 색모양을 가지는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 공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블로우 성형 후의 용기에 내부 착색으로 세로 줄무늬의 색모양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다층 구조의 프리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수지제 용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블로우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예의 프리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2 예의 프리폼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용기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프리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블로우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용기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요부 이외의 구조나 요소에 대해서는, 간략화 또는 생략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등은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실제의 형상, 치수 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프리폼의 구성예>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다층 구조의 프리폼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프리폼(10)의 종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Ib-Ib선 단면도이다. 도 1의 (c)는, 본 실시 형태의 제2 예의 프리폼(10)의 종단면도이고, 도 1의 (d)는 도 1의 (c)의 Id-Id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 예 및 제2 예의 프리폼(10)의 전체 형상은, 모두 일단측이 개구되고, 타단측이 폐색된 유저(有底) 원통 형상이다. 이들 프리폼(10)은, 원통 모양으로 형성된 몸통부(14)와, 몸통부(14)의 타단측을 폐색하는 저부(15)와, 몸통부(14)의 일단측의 개구에 형성된 머리부(13)를 구비한 제1 층을 구비한다. 또, 이들 프리폼은, 제1 층(11)에 제2 층(12)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제1 층(11)과 제2 층(12)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2단계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의 (a),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예의 프리폼(10)에서는, 제1 층(11)의 외주측에 각각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홈(11a)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층(11)의 홈(11a)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도 1의 (b)에 나타내는 제1 층(11)의 횡단면은 외치차(外齒車)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층(11)의 외주측의 각 홈(11a)에는, 홈(11a)의 공간을 메우도록 제2 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의 (c), (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예의 프리폼(10)에서는, 제1 층(11)의 내주측에 각각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홈(11b)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층(11)의 홈(11b)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이것에 의해 도 1의 (d)에 나타내는 제1 층의 횡단면은 내치차(內齒車) 모양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1 층(11)의 내주측의 각 홈(11b)에는, 홈(11b)의 공간을 메우도록 제2 층(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의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예의 프리폼(10)에서는, 제1 층(11)의 저부 중앙에 구멍(16)이 형성되고, 제2 층(12)에 의해서 제1 층(11)의 구멍(16)이 내측으로부터 막혀져 있다.
또한, 제1 층(11) 및 제2 층(12)의 형상이나 치수 등의 사양은, 제조하는 용기의 형상이나, 용기에 형성하는 색모양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된다.
이하, 제1 층(11)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를 제1의 수지 재료라고도 칭하고, 제2 층(12)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를 제2의 수지 재료라고도 칭한다.
제1의 수지 재료 및 제2의 수지 재료는, 모두 열가소성의 합성 수지이고, 용기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료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N(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CTA(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Tritan(트라이탄(등록상표):이스트만 케미컬사제의 코폴리에스테르),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 PC(폴리카보네이트), PES(폴리에테르설폰), PPSU(폴리페닐설폰), PS(폴리스티렌), COP/COC(환상(環狀) 올레핀계 폴리머), PMMA(폴리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 PLA(폴리락트산),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에는, 착색제 등의 첨가재가 적절하게 첨가될 수 있다.
또, 상기의 각 프리폼(10)에서, 제1 층(11)과 제2 층(12)은 색이 다른 수지 재료가 채용된다. 예를 들면, 제1의 수지 재료와 제2의 수지 재료는, 착색제의 분량(색의 농담)이나 착색제의 종류(색의 종류)가 다르다. 제1의 수지 재료와 제2의 수지 재료 중 일방에는 착색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1 층(11) 및 제2 층(12) 중 모두 혹은 적어도 일방, 예를 들면, 외주에 면(面)하는 부분이 있는 층은, 광을 투과시키는 성질(투광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한, 투광성을 가지는 층은 착색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수지 재료가 투명인 것(투광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제1의 수지 재료와 제2의 수지 재료는, 용기의 사양에 따라서 조합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서로 용착성의 높은 재료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제1의 수지 재료와 제2의 수지 재료를, 착색제의 조성이 다른 동종의 수지 재료(예를 들면, PET끼리)로 해도 괜찮다.
<수지제 용기의 구성예>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지제 용기(이하, 간단하게 '용기'라고도 칭함)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2의 (a)는, 제1 예의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하여 얻은 용기(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IIb-IIb선 단면도이다. 도 2의 (c)는, 제2 예의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하여 얻은 용기(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d)는 도 2의 (c)의 IId-IId선 단면도이다. 도 2의 (a), (c)의 각 도면에 있어서, 도면 중 오른쪽 절반은 용기(2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면 중 왼쪽 절반은 용기(20)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 (c)에 나타내는 용기(20)에는, 예를 들면, 화장수나 유액 등이 수용된다. 용기(20)는, 상단에 개구를 가지는 머리부(21)와, 머리부(21)로부터 연속하는 원통 모양의 몸통부(22)와, 몸통부(22)로부터 연속하는 저부(23)를 가지고 있다.
이들 용기(20)의 몸통부(22)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색모양이 둘레 방향으로 줄무늬 모양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모양의 장식이 입혀짐으로써 용기(20)의 미관이 향상되고, 화장품 용기 등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용기(20)의 색모양은, 제1 층(11)과 제2 층(12)의 두께 분포에 의해 형성된다.
용기(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층(11)의 홈(11a, 11b) 이외의 부분(두둑(11c, 11d)의 부분)은 거의 제1 층(11)만으로(제1 층(11)의 비율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층(11)의 색이 나타난다.
한편, 용기(20)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1 층(11)의 홈(11a, 11b)의 부분에는 각각 제2 층(12)이 적층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층(11)의 홈(11a, 11b)의 부분에는, 도 2의 (a), (b)이면 외주에 위치하는 제2 층(12)의 색, 또는 도 2의 (c), (d)이면 투명한 제1 층(11) 너머로 내층측의 제2 층(12)의 색이 나타난다.
또한, 용기(20)의 몸통부(22)의 두께를 저부(23)에 대해서 상당히 얇게 형성하고, 몸통부(22)는 두께가 균일환된 두께 분포로 해도 괜찮다. 용기(20)를 상기의 두께 분포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면 고급감이나 중량감이 강조되고, 용기(20)를 소비자가 가지는 화장품 용기의 이미지에 보다 가깝게 할 수 있다.
<용기의 제조 장치의 설명>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블로우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블로우 성형 장치(30)는, 용기의 제조 장치의 일례로서, 프리폼(10)을 실온까지 냉각하지 않고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내부 열량)을 활용하여 용기(20)를 블로우 성형하는 핫 패리슨 방식('1 스테이지 방식'이라고도 칭함)을 채용한다.
블로우 성형 장치(30)는, 제1 사출 성형부(31)와, 제2 사출 성형부(32)와, 온도 조정부(33)와, 블로우 성형부(34)와, 취출부(35)와, 반송 기구(36)를 구비한다. 제1 사출 성형부(31), 제2 사출 성형부(32), 온도 조정부(33), 블로우 성형부(34) 및 취출부(35)는, 반송 기구(36)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면 72도)씩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기구(36))
반송 기구(36)는, 도 3의 지면 수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송판(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이송판에는, 프리폼(10)의 머리부(13)(또는 용기(20)의 머리부(21))를 유지하는 넥형(neck型)(36a)(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이송판이 단일의 대략 원반 모양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넥형(36a)은 소정 각도마다 각각 1이상 배치되어 있다. 이송판이 성형부마다로 분할된 대략 부채꼴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넥형(36a)은 분할된 이송판 각각에 1이상 배치된다.
반송 기구(36)는, 이송판을 회전시킴으로써, 넥형(36a)에 의해서 머리부가 유지된 프리폼(10)(또는 용기(20))을, 제1 사출 성형부(31), 제2 사출 성형부(32), 온도 조정부(33), 블로우 성형부(34), 취출부(35)의 순서로 반송한다. 따라서, 넥형(36a) 각각은, 복수의 성형 스테이션에서(적어도 제1 사출 성형부(31)와 제2 사출 성형부(32)에서) 공용된다. 또, 넥형(36a)의 외측면(또는 내측면)에는, 테이퍼부(36a1)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36a1)가 각 성형 스테이션의 금형과 접촉 또는 감합(嵌合)함으로써, 성형시에서의 양자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반송 기구(36)는, 이송판을 승강시킬 수도 있고, 제1 사출 성형부(31)나 제2 사출 성형부(32)에서의 형닫음이나 형열림(이형(離型))에 관한 동작도 행한다.
(제1 사출 성형부(31))
제1 사출 성형부(31)는, 캐비티형(40), 코어형(41), 핫 러너형(42)으로 구성되는 제1 사출 성형용의 금형을 구비하고,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제조한다. 제1 사출 성형부(31)에는, 핫 러너형(42)에 제1의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제1 사출 장치(37)가 접속되어 있다. 캐비티형(40)은, 핫 러너형(42)에 면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감합부(감합용 요철부, 위치 규제부)(40b)를 구비한다(도 4의 (a), 도 5의 (a), (b) 참조). 감합부(40b)는, 넥형(36a)의 테이퍼부(36a1)와 대략 상사형(相似形)의 테이퍼부(40b1)를 가지고, 넥형(36)의 테이퍼부(36a1)를 테이퍼부(40b1)에서 받는다.
도 4의 (a)는, 제1 예의 프리폼(10)(도 1의 (a))의 제1 층(11)을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부(31a)를 나타낸다. 도 5의 (a), (b)는, 제2 예의 프리폼(10)(도 1의 (c))의 제1 층(11)을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부(31b)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출 성형부(31a, 31b)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제1 사출 성형부(31)라고 총칭한다.
도 4의 (a), 도 5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사출 성형부(31)에서는, 상기의 캐비티형(40), 코어형(41)과, 반송 기구(36)의 넥형(36a)을 형닫음 하여 제1 층(11)의 형(型) 공간(성형 공간)을 형성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캐비티형(40)은, 프리폼(10)의 내층(제1 층(11))의 외주 형상을 규정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코어형(41)은, 캐비티형(40) 내에 삽입되고, 내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한다.
한편,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캐비티형(40)은, 프리폼(10)의 외층(제1 층(11))의 외주 형상을 규정한다.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코어형(41)은, 캐비티형(40) 내에 삽입되고, 외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한다.
그리고, 상기의 형 공간 내에 핫 러너형(42)를 통해서 제1 사출 장치(37)로부터 제1의 수지 재료를 흘려 넣음으로써, 제1 사출 성형부(31)에서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제조된다.
여기서, 제1 사출 성형부(31a)의 캐비티형(40)의 내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돌기(40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캐비티형(40)의 내면은 내치차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캐비티형(40)의 각 돌기(40a)는 제1 층(11)의 홈(11a)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의 캐비티형(40)에 의해, 도 1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층(11)의 외주에는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11a) 및 두둑(폭이 좁고 가늘고 긴 돌기)(11c)이 형성된다.
한편, 제1 사출 성형부(31b)의 코어형(41)의 표면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돌기(41a)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도시를 생략하지만 코어형(41)의 횡단면은 내치차 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코어형(41)의 각 돌기(41a)는 제1 층의 홈(11b)에 대응하는 형상이고, 상기의 코어형(41)에 의해, 도 1의 (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층(11)의 내주에는 각각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11b) 및 두둑(11d)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의 (a), (b)에서는, 코어형(41)의 돌기(41a)의 부분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사출 성형부(31b)에서는, 코어형(4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 핀(43)이 핫 러너형(42)의 내부에 마련된다. 밸브 핀(43)은, 제1의 수지 재료가 형 공간에 충전될 때까지는 핫 러너형(42)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1의 수지 재료가 형 공간에 충전된 후에 코어형(4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돌출한다. 이러한 사출 성형시의 밸브 핀(43)의 이동에 의해, 제1 층(11)의 저부 중앙에, 수지 재료의 두께가 주변부보다도 얇은 박막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 사출 성형부(31)의 형열림을 했을 때에도, 반송 기구(36)의 넥형(36a)은 개방되지 않고 그대로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유지하여 반송한다. 제1 사출 성형부(31)에서 동시에 성형되는 프리폼(10)의 수(즉, 블로우 성형 장치(30)에서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용기(20)의 수)는,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제2 사출 성형부(32))
제2 사출 성형부(32)는, 캐비티형(50), 코어형(51), 핫 러너형(52)으로 구성되는 제2 사출 성형용의 금형을 구비하고, 제1 층(11)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에 제2 층(12)을 사출 성형한다. 제2 사출 성형부(32)에는, 핫 러너형(52)에 제2의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제2 사출 장치(38)가 접속되어 있다. 또, 캐비티형(50)은, 핫 러너형(52)에 면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감합부(위치 규제부)(50b)를 구비한다(도 4의 (b), 도 5의 (c) 참조). 감합부(50b)는, 넥형(36a)의 테이퍼부(36a1)와 대략 상사형의 테이퍼부(50b1)를 가지고, 넥형(36)의 테이퍼부(36a1)를 테이퍼부(50b1)에서 받는다.
도 4의 (b)는, 제1 예의 프리폼(10)(도 1의 (a))의 제2 층(12)을 성형하는 제2 사출 성형부(32a)를 나타낸다. 도 5의 (c)는, 제2 예의 프리폼(10)(도 1의 (c))의 제2 층(12)을 성형하는 제2 사출 성형부(32b)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대해서 제2 사출 성형부(32a, 32b)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제2 사출 성형부(32)라고 총칭한다.
제2 사출 성형부(32a)는, 제1 사출 성형부(31a)에서 사출 성형된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수용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사출 성형부(32a)를 형닫음한 상태에서는, 제1 층(11)의 외주측의 몸통부로부터 저부에 걸쳐, 캐비티형(50)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 공간이 형성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코어형(51)은, 프리폼(10)의 내층(제1 층(11))에 삽입되고, 내층을 내측으로부터 유지한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캐비티형(50)은, 코어형(51)이 삽입되는 내층을 받아 들임과 아울러, 내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외층(제2 층(12))의 형 공간을 형성하고, 외층의 외주 형상을 규정한다.
상기의 형 공간 내에 핫 러너형(52)을 통해서 제2 사출 장치(38)로부터의 제2의 수지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제1 층(11)의 홈(11a)의 부분에 각각 제2 층(12)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1 예의 프리폼(10)이 제조된다.
제2 사출 성형부(32b)는, 제1 사출 성형부(31b)에서 사출 성형된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수용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사출 성형부(32b)를 형닫음한 상태에서는, 제1 층(11)의 내주측의 홈(11b)과, 코어형(51)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 공간이 형성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캐비티형(50)은, 프리폼(10)의 외층(제1 층(11))을 받아 들여, 외층을 외측으로부터 유지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코어형(51)은, 외층의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외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내층(제2 층(12))의 형 공간을 형성하고, 내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한다.
상기의 형 공간 내에 핫 러너형(52)을 통해서 제2 사출 장치(38)로부터 제2의 수지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제1 층(11)의 홈(11b)의 부분에 각각 제2 층(12)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제2 예의 프리폼(10)이 제조된다. 또, 제2 사출 성형부(32)에서는, 두둑(11c)과 캐비티형(50) 또는 두둑(11d)과 코어형(51)과의 사이의 좁은 형 공간을 마련하고, 두둑(11c, 11d)의 외표면에도 얇은 제2 층(12)을 형성시켜도 괜찮다. 두둑(11c, 11d)에서의 제2 층(12)의 두께는, 홈(11a, 11b)에서의 두께의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홈(11a, 11b)에서의 두께의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의 (c)에서는, 제1 층(11)에서 홈(11b)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의 종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온도 조정부(33))
온도 조정부(33)는, 도시하지 않는 온도 조정용의 금형(온조(溫調) 포트나 온조 코어)을 구비한다. 온도 조정부(33)는, 제2 사출 성형부(32)로부터 반송되는 프리폼(10)을 소정 온도로 유지된 금형 유닛에 수용함으로써 균온화(均溫化)나 편온(偏溫) 제거를 행하고, 프리폼(10)의 온도를 최종 블로우에 적절한 온도(예를 들면 약 90℃~105℃)로 조정한다. 또, 온도 조정부(33)는, 사출 성형 후의 고온 상태의 프리폼(10)을 냉각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또한, 온조 포트는, 넥형(36a)과 접촉하여 감합 가능한 감합부(위치 규제부)를 구비하고, 감합부는 넥형(36a)의 테이퍼부(36a1)와 대략 상사형의 테이퍼부를 가진다.
(블로우 성형부(34))
블로우 성형부(34)는, 온도 조정부(33)에서 온도 조정된 프리폼(10)에 대해서 블로우 성형을 행하고, 용기(20)를 제조한다.
블로우 성형부(34)는, 용기(20)의 형상에 대응한 한쌍의 분할형(分割型)인 블로우 캐비티형과, 저형(底型)과, 연신 로드 및 에어 도입 부재(블로우 코어, 모두 미도시)로 구성되는 블로우 성형용의 금형을 구비한다. 블로우 성형부(34)는, 프리폼(10)을 연신하면서 블로우 성형한다. 이것에 의해, 프리폼(10)이 블로우 캐비티형의 형상에 부형(賦形)되어 용기(20)를 제조할 수 있다. 한쌍의 블로우 캐비티형은, 넥형(36a)과 접촉하여 감합 가능한 감합부(위치 규제부)를 구비하고, 감합부는 넥형(36a)의 테이퍼부(36a1)와 대략 상사형의 테이퍼부를 가진다.
(취출부(35))
취출부(35)는, 블로우 성형부(34)에서 제조된 용기(20)의 머리부(21)를 넥형(36a)으로부터 개방하고, 용기(20)를 블로우 성형 장치(30)의 외부로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취출부(35)는, 넥형(36a)의 개구부로부터 삽입되는 취출 로드(취출용의 금형)를 구비한다. 취출 로드는 넥형(36a)과 대략 맞닿음 가능한 감합부(위치 규제부)를 구비한다.
<용기의 제조 방법의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블로우 성형 장치(30)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용기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S101:제1 사출 성형 공정)
먼저, 도 4의 (a), 도 5의 (a)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사출 성형부(31)에서, 캐비티형(40), 코어형(41) 및 반송 기구(36)의 넥형(36a)으로 형성된 형 공간에 제1 사출 장치(37)로부터 제1의 수지 재료가 사출되고,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성형된다. 제1 예의 프리폼(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사출 성형부(31a)가 이용되고, 제2 예의 프리폼(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사출 성형부(31b)가 이용된다.
제1 사출 성형부(31b)에서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성형된 후, 코어형(4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밸브 핀(43)을 돌출시키는 공정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제1 층(11)의 저부 중앙에는, 두께가 주변부보다도 얇은 박막부(18)가 형성된다.
그 후, 제1 사출 성형부(31)이 형열림 되면, 반송 기구(36)의 이송판이 소정 각도 회전하고, 넥형(36a)에 유지된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포함한 상태에서 제2 사출 성형부(32)로 반송된다.
(스텝 S102:제2 사출 성형 공정)
이어서, 제2 사출 성형부(32)에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수용되고, 제2 층(12)의 사출 성형이 행하여진다. 제1 예의 프리폼(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사출 성형부(32a)가 이용되고, 제2 예의 프리폼(1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2 사출 성형부(32b)가 이용된다.
제2 사출 성형부(32a)에서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층(11)의 외주측의 홈(11a)과, 제1 층(11)의 외주에 면하는 캐비티형(50)과의 사이에 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의 형 공간 내에 핫 러너형(52)으로부터 제2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다.
도 4의 (b)에서 제1 층(11)의 내주측에는 코어형(51)이 삽입되고, 코어형(51)에 의해서 제1 층(11)의 형상이 내주측으로부터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2의 수지 재료가 제1 층(11)과 접촉하여도 제1 층(11)의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예의 프리폼(10)을 성형하는 경우, 제1 층(11)의 외주측에 제2 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출 성형부(32b)에서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1 층(11)의 내주측의 홈(11b)과, 제1 층(11)의 내주에 면하는 코어형(51)과의 사이에 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의 형 공간 내에 핫 러너형(52)으로부터 제2의 수지 재료를 충전한다. 또한, 제1 층(11)의 저부에는 박막부(18)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2의 수지 재료의 사출압에 의해 박막부(18)가 파단되어 저부에 구멍(16)이 생기고, 상기의 구멍(16)으로부터 제2의 수지 재료가 제1 층(11)의 내주측으로 안내된다.
도 5의 (c)에서 제1 층(11)의 외주측에는 캐비티형(50)이 면하고, 캐비티형(50)에 의해서 제1 층(11)의 형상이 외주측으로부터 유지된다. 이 때문에, 제2의 수지 재료가 제1 층(11)과 접촉하여도 제1 층(11)의 열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예의 프리폼(10)을 성형하는 경우, 제1 층(11)의 내주측에 제2 층(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의 제1 층(11)은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고, 비교적 변형하기 쉬운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형 공간에 제2의 수지 재료를 사출하면, 형 공간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는 제1 층(11)을 조금 탄성변형 시키면서 상방으로 밀려 나와 배기된다. 그 때문에, 제2 층(12)의 성형시에 공기가 머물기 어렵기 때문에, 프리폼(10)의 성형 불량은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사출 성형 공정 및 제2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1 예 또는 제2 예의 프리폼(10)이 제조된다.
그 후, 제2 사출 성형부(32)가 형열림 되면, 반송 기구(36)의 이송판이 소정 각도 회전하고, 넥형(36a)에 유지된 프리폼(10)이,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포함한 상태에서 온도 조정부(33)로 반송된다.
(스텝 S103:온도 조정 공정)
이어서, 온도 조정부(33)에서, 온도 조정용의 금형 유닛에 프리폼(10)이 수용되고, 프리폼(10)의 온도를 최종 블로우에 적절한 온도에 근접시키기 위한 온도 조정이 행하여진다. 그 후, 반송 기구(36)의 이송판이 소정 각도 회전하고, 넥형(36a)에 유지된 온도 조정 후의 프리폼(10)이, 블로우 성형부(34)로 반송된다.
(스텝 S104:블로우 성형 공정)
이어서, 블로우 성형부(34)에서, 용기(20)의 블로우 성형이 행하여진다.
먼저, 블로우 캐비티형을 형닫음 하여 프리폼(10)을 형 공간에 수용하고, 에어 도입 부재(블로우 코어)를 하강시킴으로써, 프리폼(10)의 머리부(13)에 에어 도입 부재가 맞닿게 된다. 그리고, 연신 로드를 강하시켜 프리폼(10)의 저부(15)를 내면으로부터 억제하여, 필요에 따라서 세로축 연신을 행하면서, 에어 도입 부재로부터 블로우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프리폼(10)을 가로축 연신한다. 이것에 의해, 프리폼(10)은, 블로우 캐비티형의 형 공간에 밀착하도록 팽출하여 부형되고, 용기(20)로 블로우 성형된다. 또한, 프리폼(10)이 용기(20)보다 긴 경우, 저형은, 블로우 캐비티형의 형닫음 전에는 프리폼(10)의 저부와 접촉하지 않는 하부의 위치에서 대기시키고, 형닫음 후에 성형 위치까지 빠르게 상승시킨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예 또는 제2 예의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제1 층(11)과 제2 층(12)의 연신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색이 변화하는 세로 줄무늬의 줄무늬 모양이 입혀진 용기(20)가 제조된다.
(스텝 S105:용기 취출 공정)
블로우 성형이 종료되면, 블로우 캐비티형이 형열림 된다. 이것에 의해, 블로우 성형부(34)로부터 용기(20)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반송 기구(36)의 이송판이 소정 각도 회전하고, 용기(20)가 취출부(35)로 반송된다. 취출부(35)에서, 용기(20)의 머리부(21)가 넥형(36a)으로부터 개방되고, 용기(20)가 블로우 성형 장치(30)의 외부로 취출된다.
이상으로,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1개의 사이클이 종료된다. 그 후, 반송 기구(36)의 이송판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의 S101로부터 S105의 각 공정이 반복된다. 또한, 블로우 성형 장치(30)의 운전시에는, 1공정씩의 시간 차이를 가지는 5세트분의 용기의 제조가 병렬로 실행된다.
또, 블로우 성형 장치(30)의 구조상, 제1 사출 성형 공정, 제2 사출 성형 공정, 온도 조정 공정, 블로우 성형 공정 및 용기 취출 공정의 각 시간은 각각 동일한 길이가 된다. 마찬가지로 각 공정 사이의 반송 시간도 각각 동일한 길이가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사출 성형 공정에서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사출 성형되고,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 제1 층(11)의 내주측 또는 외주측의 홈(11a, 11b)에 제2 층(12)을 사출 성형하여 다층 구조의 프리폼(10)이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단계의 사출 성형에 의해 다층 구조의 프리폼(10)을 각각 성형함으로써, 제1 층(11)의 홈(11a, 11b)과, 홈(11a, 11b)에 형성되는 제2 층(12)과의 형상 및 두께 분포를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20)에 내부 착색에 의해 세로 줄무늬의 줄무늬 모양을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2 단계의 사출 성형에 의해 다층 구조의 프리폼(10)을 제조하고,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는 상태에서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하여 용기(20)를 제조한다. 그 때문에, 1회의 사출 성형에 의해 다층 구조의 프리폼을 제조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각각의 사출 성형부의 장치 구성이나 제어를 심플하게 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냉각된 프리폼을 감합하여 다층 구조의 프리폼을 제조하고, 재가열 후에 블로우 성형을 행하는 경우(콜드 패리슨 방식)와 비교하면,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프리폼을 상온 근처까지 냉각하지 않아도 되고, 프리폼의 조립이나 재가열의 공정도 불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프리폼(10)의 사출 성형에서부터 용기(20)의 블로우 성형까지의 일련의 공정을 비교적 단시간에 완료시킬 수 있고, 세로 줄무늬의 줄무늬 모양을 가지는 용기(20)를 보다 짧은 사이클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을 행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2 단계의 사출 성형에 의해 2층 구조의 프리폼(10)을 성형하고, 이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하는 예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블로우 성형 장치(30)에서, 사출 성형부를 더 추가하고, n단계의 사출 성형에 의해 n층 구조의 프리폼을 성형하도록 해도 괜찮다(다만, n은 3이상의 정수). 이것에 의해, 보다 복잡한 배색의 색모양의 용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출 성형부를 3이상 마련하는 경우에는, 각 층의 보유열을 바람직한 온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사출 성형부의 사이에 온도 조정부를 적절히 추가해도 괜찮다.
또, 본 발명의 줄무늬의 패턴은, 상기 실시 형태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서 도 7의 (a)는, 도 1의 (b)의 변형예로서, 제1 층(11)의 외주에서 홈(11a)(두둑(11c))을 180°간격으로 2개소 형성한 프리폼(10)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의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한 경우, 2개의 세로 줄무늬의 색모양을 가지는 용기(20)가 형성된다. 또한, 동종의 용기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층(11)의 내주에 홈(11b), 두둑(11d) 및 제2 층(12)을 형성해도 괜찮다. 또, 두둑(11c) 또는 홈(11b)을 형성하는 제1 층(11)은 투명하기 때문에(투광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둑(11c) 또는 홈(11b)에 대응한 용기(20)의 몸통부는,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부위로도 된다.
또, 도 7의 (b)는, 도 1의 (d)의 변형예로서, 홈(11b)의 홈 깊이가 둘레 방향으로 곡선 모양으로 변화하는 프리폼(10)의 횡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b)의 프리폼(10)을 블로우 성형한 경우, 제2 층(12)의 둘레 방향의 두께 변화에 수반하여, 용기(20)의 둘레 방향으로 세로 줄무늬 모양의 주기적인 그라데이션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종의 용기를 형성하는 경우, 제1 층(11)의 외주에 홈(11a) 및 제2 층(12)을 형성해도 괜찮다.
또한, 도 2의 (d)에서, 제1 층의 두둑(11d)을, 용기(20)의 중심축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하고, 용기 내측으로 볼록 리브를 형성해도 괜찮다. 용기(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볼록 리브는, 몸통부(22)의 적어도 하방으로부터 저부(23) 내측으로 연재(延在)하도록 형성되고, 그들 볼록 리브의 간격은 대략 균등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용기(20)의 강성도나 내압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변형예로의 홈의 갯수, 폭, 간격 등의 사양은,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이른바 5 스테이션형의 블로우 성형 장치(30)의 구성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블로우 성형 장치는, 제1 사출 성형부(31)와 제2 사출 성형부(32)와의 사이에,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보조적으로 가열 또는 냉각하는 온도 조정부를 가지는 6 스테이션형의 블로우 성형 장치라도 괜찮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로서 6 스테이션형의 블로우 성형 장치(30a)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용기의 제조 방법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또한,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요소에 관한 중복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블로우 성형 장치(30a)는, 제1 사출 성형부(31)와, 온도 조정부(39)(제1 온도 조정부)와, 제2 사출 성형부(32)와, 온도 조정부(33)(제2 온도 조정부)와, 블로우 성형부(34)와, 취출부(35)와, 반송 기구(36)를 구비한다. 제1 사출 성형부(31), 온도 조정부(39), 제2 사출 성형부(32), 온도 조정부(33), 블로우 성형부(34) 및 취출부(35)는, 반송 기구(36)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예를 들면 60도)씩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블로우 성형 장치(30a)의 반송 기구(36)는, 도 8의 지면 수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송판(36b)을 구비한다. 이송판(36b)은, 넥형에 의해 머리부가 유지된 프리폼(10)(또는 용기(20))을, 제1 사출 성형부(31), 온도 조정부(39), 제2 사출 성형부(32), 온도 조정부(33), 블로우 성형부(34), 취출부(35)의 순서로 반송한다.
또, 온도 조정부(39)는, 온도 조정부(33)과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으로서, 도시하지 않는 온도 조정용의 금형(온조 포트나 온조 코어)을 구비한다. 온도 조정부(39)는, 제1 사출 성형부(32)로부터 반송되는 프리폼(10)의 제1 층(11)을 소정 온도로 유지된 금형 유닛에 수용함으로써, 제1 층(11)의 보조적인 가열 또는 냉각을 행한다.
도 9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다른 실시 형태의 블로우 성형 장치(30a)에 의한 용기의 제조 방법에서는, 제1 사출 성형 공정(S101)과 제2 사출 성형 공정(S102)의 사이에 제1 온도 조정 공정(S101a)이 실행되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과 상위(相違)하다.
제1 온도 조정 공정(S101a)에서는, 온도 조정부(39)에서, 온도 조정용의 금형 유닛에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수용되고, 제1 층(11)의 냉각과, 온도 분포의 조정(균온화나 편온 제거)이 행하여진다. 이 때, 온도 조정부(39)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제1 층(11)의 가열이 행하여져도 괜찮다.
그 후, 반송 기구(36)의 이송판(36b)가 소정 각도 회전하고, 넥형에 유지된 프리폼(10)의 제1 층(11)이, 제2 사출 성형부(33)로 반송된다. 또한, 도 9의 다른 공정은, 도 6의 공정과 마찬가지이다.
이에 더하여,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고, 특허의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0 : 프리폼 11 : 제1 층
11a, 11b : 홈 12 : 제2 층
13 : 머리부 14 : 몸통부
15 : 저부 16 : 구멍
18 : 박막부 20 : 용기
22 : 몸통부 30 : 블로우 성형 장치
31 : 제1 사출 성형부 32 : 제2 사출 성형부
34 : 블로우 성형부 37 : 제1 사출 장치
38 : 제2 사출 장치 50 : 캐비티형
51 : 코어형

Claims (11)

  1.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유저(有底) 통 모양의 프리폼의 제1 층을, 제1의 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 공정과,
    상기 제1의 수지 재료와는 색이 다른 제2의 수지 재료를 상기 제1 층의 상기 홈 내에 사출하고, 상기 제1 층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제2 층을 적층하는 제2 사출 성형 공정과,
    상기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다층의 프리폼을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는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고, 상기 제2 층에 의한 세로 줄무늬 모양의 색모양을 가지는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 공정을 가지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1 층의 외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코어형이 상기 제1 층의 내주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층의 외주측에 면하는 캐비티형과 상기 홈과의 사이에 상기 제2의 수지 재료가 사출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1 층의 내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층의 형상을 유지하는 캐비티형이 상기 제1 층의 외주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층의 내주측에 면하는 코어형과 상기 홈과의 사이에 상기 제2의 수지 재료가 사출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제1 층의 일부에 두께가 얇은 박막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는, 상기 제2의 수지 재료의 사출에 의해 상기 박막부를 파단시켜, 상기 제1 층의 내주측으로 상기 제2의 수지 재료를 안내하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지 재료 및 상기 제2의 수지 재료는, 착색제의 조성이 다른 동종의 수지 재료인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6.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을 가지는 유저(有底) 통 모양의 프리폼의 제1 층을, 제1의 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부와,
    상기 제1의 수지 재료와는 색이 다른 제2의 수지 재료를 상기 제1 층의 상기 홈 내에 사출하고, 상기 제1 층의 외주측 또는 내주측에 제2 층을 적층하는 제2 사출 성형부와,
    상기 제2 사출 성형 공정에서 얻어진 다층의 프리폼을 사출 성형시의 보유열을 가지는 상태에서 블로우 성형하고, 상기 제2 층에 의한 세로 줄무늬 모양의 색모양을 가지는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부를 가지는 수지제 용기의 제조 장치.
  7. 다층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부 및 제2 사출 성형부와, 상기 다층의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부를 구비하는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금형 유닛으로서,
    상기 프리폼의 유저(有底) 통 모양의 내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1 사출 성형부에서 사용되는 제1의 금형과,
    상기 내층의 외측에 상기 프리폼의 외층을 적층하기 위한 상기 제2 사출 성형부에서 사용되는 제2의 금형을 가지고,
    상기 제1의 금형은,
    상기 내층의 외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1의 캐비티 금형과,
    상기 제1의 캐비티 금형 내에 삽입되고, 상기 내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1의 코어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금형은,
    상기 내층에 삽입되고, 상기 내층을 내측으로부터 유지하는 제2의 코어 금형과,
    상기 제2의 코어 금형이 삽입되는 상기 내층을 받아 들임과 아울러, 상기 내층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외층의 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외층의 외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2의 캐비티 금형과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의 캐비티 금형의 내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금형 유닛.
  8. 다층의 프리폼을 성형하는 제1 사출 성형부 및 제2 사출 성형부와, 상기 다층의 프리폼을 블로우 성형하여 수지제 용기를 제조하는 블로우 성형부를 구비하는 제조 장치에서 사용되는 금형 유닛으로서,
    상기 프리폼의 외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제1 사출 성형부에서 사용되는 제1의 금형과,
    상기 외층의 내측에 상기 프리폼의 유저(有底) 통 모양의 내층을 적층하기 위한 상기 제2 사출 성형부에서 사용되는 제2의 금형을 가지고,
    상기 제1의 금형은,
    상기 외층의 외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1의 캐비티 금형과,
    상기 제1의 캐비티 금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외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1의 코어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금형은,
    상기 외층을 받아 들여, 상기 외층을 외측으로부터 유지하는 제2의 캐비티 금형과,
    상기 외층의 내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외층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내층의 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층의 내주 형상을 규정하는 제2의 코어 금형을 포함하며,
    상기 제1의 코어 금형의 표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는 금형 유닛.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사출 성형부 및 상기 제2 사출 성형부에서 공용되고, 상기 제1 사출 성형부의 성형물을 파지하여 상기 제2 사출 성형부로 반송하는 넥형(neck型)을 더 가지고,
    상기 제1의 캐비티 금형 및 상기 제2의 캐비티 금형은, 상기 넥형의 위치를 규제하는 위치 규제부를 각각 가지는 금형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출 성형부 및 상기 제2 사출 성형부와는 다른 상기 제조 장치의 공정에서 사용되고, 상기 위치 규제부를 구비한 제3의 금형을 더 가지는 금형 유닛.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의 금형은, 상기 프리폼 또는 상기 제1 사출 성형부의 성형물의 온도를 조정하는 온도 조정부, 상기 블로우 성형부, 상기 수지제 용기의 취출부 중 어느 것에서 사용되는 금형인 금형 유닛.
KR1020227026997A 2020-01-14 2021-01-12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KR202201247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03915 2020-01-14
JP2020003915 2020-01-14
PCT/JP2021/000722 WO2021145314A1 (ja) 2020-01-14 2021-01-12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製造装置および金型ユニ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755A true KR20220124755A (ko) 2022-09-14

Family

ID=7686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997A KR20220124755A (ko) 2020-01-14 2021-01-12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4023A1 (ko)
EP (1) EP4091793A4 (ko)
JP (1) JP7480186B2 (ko)
KR (1) KR20220124755A (ko)
CN (1) CN114945454A (ko)
WO (1) WO202114531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485B2 (ja) 1979-04-13 1985-12-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変速機の2段操作機構
JPS6058484B2 (ja) 1978-05-11 1985-12-20 株式会社東芝 定位置停止検知方法
JP4953178B2 (ja) 2008-06-30 2012-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積層壜体、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JP5765656B2 (ja) 2011-10-31 2015-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2623A (en) * 1979-04-24 1980-11-07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of forming optical pattern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de product and method of reinforcing optical pattern formed by the said method
US4705907A (en) * 1985-05-29 1987-11-10 Showa Shell Sekiyu Kabushiki Kaisha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from gas containing lower hydrocarbon
US5468443A (en) * 1992-04-24 1995-11-21 Nissei Asb Machine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JP4037578B2 (ja) * 1999-10-08 2008-01-23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ボトル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剥離容器の製造装置
CN1195620C (zh) * 2000-10-19 2005-04-06 帝人株式会社 多层预成型体及其制造方法
FR2898293B1 (fr) * 2006-03-08 2012-08-10 Evian Saeme Sa Preforme multicouches a parois minces et son procede d'obtention
US20080118686A1 (en) * 2006-11-20 2008-05-22 Katherine Glasgow Injection blow molding process and article
KR20100086999A (ko) * 2007-10-12 2010-08-02 가부시키가이샤 유포 코포레숀 사출성형 복합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JP6065266B2 (ja) * 2012-11-30 2017-01-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窓付き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JP6058484B2 (ja) 2013-06-28 2017-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JP6058485B2 (ja) 2013-06-28 2017-01-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JP6257488B2 (ja) 2014-09-26 2018-01-10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の固定子
CN110225811A (zh) 2017-10-19 2019-09-10 日精Asb机械株式会社 树脂制的容器的制造方法、模具单元以及成型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484B2 (ja) 1978-05-11 1985-12-20 株式会社東芝 定位置停止検知方法
JPS6058485B2 (ja) 1979-04-13 1985-12-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変速機の2段操作機構
JP4953178B2 (ja) 2008-06-30 2012-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積層壜体、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JP5765656B2 (ja) 2011-10-31 2015-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314A1 (ja) 2021-07-22
JPWO2021145314A1 (ko) 2021-07-22
EP4091793A1 (en) 2022-11-23
EP4091793A4 (en) 2024-03-20
US20230084023A1 (en) 2023-03-16
JP7480186B2 (ja) 2024-05-09
CN114945454A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9530B1 (en) Preforms made of two or more materials and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EP2159031B1 (en) Mou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layered preforms by overmoulding, and double-layer preform
WO2012147501A1 (ja)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及び合成樹脂製壜体
CA2721993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preform and a preform
WO2021206082A1 (ja) 剥離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220124755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KR20220124754A (ko)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제조 장치 및 금형 유닛
WO2021106929A1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22014540A1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23034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esin container
US20230321889A1 (en) Resi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die unit, and blow molding device
WO2022196658A1 (ja) 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24101420A1 (ja) 剥離容器、プリフォーム、剥離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42573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esin container
WO2020262644A1 (ja) 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二重壁容器および二重壁容器の製造方法
WO2022220274A1 (ja) 樹脂製二重容器および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