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317B1 -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317B1
KR101699317B1 KR1020140039811A KR20140039811A KR101699317B1 KR 101699317 B1 KR101699317 B1 KR 101699317B1 KR 1020140039811 A KR1020140039811 A KR 1020140039811A KR 20140039811 A KR20140039811 A KR 20140039811A KR 101699317 B1 KR101699317 B1 KR 101699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setting
job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784A (ko
Inventor
토모노리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9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 H04N1/00514Personalising for a particular user or group of users, e.g. a workgroup or company for individual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을 하는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 기억 제어부는 개인설정 값을 어플리케이션마다 HDD에 기억한다. 인증부는 유저를 인증한다.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상기 유저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개인설정 값을 상기 HDD로부터 판독하고, 그 개인설정 값을 조작부에 표시한다.

Description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INITIAL SCREEN BASED ON PAST SETTING INFORM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형성장치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갖추고, 유저가 실행하는 조작도 복잡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유저가 공유하는 경우가 많은 화상형성장치에는, 다음 유저가, 유저가 변경한 설정 값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사용해버리지 않도록 소정기간 후에, 자동적으로 클리어하는 오토 클리어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할 경우, 각 유저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기 시작할 때마다,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초기 메뉴로부터 원하는 설정 화면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가 평소 사용한 설정이 미리 결정되거나 고정된 경우에도, 유저는 유저에게 번거로운 같은 설정을 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기 설정을 각 유저가 원하는 대로 가능한 커스터마이즈 기능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스터마이즈 기능에 있어서, 유저 자신이 커스터마이즈 설정 조작을 행해야 하므로, 유저가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할 때 익숙지 않은 경우에, 유저는 커스터마이즈 조작이 힘들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유저 인증후의 소정 기간이내에 복수의 기능을 유저가 순차로 선택할 때, 상세 내용 및 선택의 우선 순위를 유저와 관련하여 기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8-273126호 참조).
이 기술에서는, 표시 제어부가, 유저와 관련된 커스터마이즈 정보를 커스터마이즈 정보 기억부로부터 판독할 때, 표시 제어부는, 복수의 기능 중, 최초에 선택된 기능(우선 순위에 있어서 첫번째)에 관련된 초기 표시 화면을 판독하고, 터치패널에 표시시킨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복수의 유저마다 기능 선택의 우선 순위를 고려함으로써, 유저마다 적절하게 커스터마이즈된 초기 표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종래기술에서는, 각 초기 표시 화면은, 화상형성장치의 직전의 사용시에 최초에 선택된 기능과 관련된 화면이다. 이 때문에, 그 화상형성장치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설정 화면을 가질 경우, 일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초기 표시 화면을 표시한 후에, 그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면, 그 어플리케이션 전환 후 표시된 화면에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상술한 종래기술이 항상 편리성의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최초에 선택된 기능이 정상 종료하는 설정이 아닌 경우나, 잘못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 그 표시된 화면은 초기 표시 화면으로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다음번 화상형성장치 이용시에 유저가 다시 설정해야하는 불편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킨 화상형성장치, 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는,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마다 잡의 설정값을 기억하는 기억 유닛;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 유닛;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선택 유닛;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판독하는 판독 유닛;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잡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잡의 상기 판독된 설정값이 반영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저장되도록 하는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실행의 적어도 하나의 카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잡의 설정값이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서는,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 마다 잡의 설정값을 기억하는 기억단계;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판독하는 판독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잡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잡의 상기 판독된 설정값이 반영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단계;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마다,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저장되도록 하는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실행의 적어도 하나의 카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수신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잡의 설정값이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국면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마다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내용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저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을 표시시킬 때, 그 기억된 설정 내용이 반영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것은, 유저가 다시 설정 조작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블럭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화상형성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HDD에 기억된 개인 설정 값의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메인 메뉴 화면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카피(copy) 화면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송신 화면의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보존 화면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인쇄 설정 화면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에 표시된 기억 타이밍 설정 화면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기억 처리의 흐름도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에 의해 실행되는 기억 처리의 변형 예의 흐름도다.
도 12는, 도 10의 기억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에서 실행되는 재현 처리의 흐름도다.
도 13은, 도 11의 기억 처리의 변형 예에 있어서의 단계의 재현 처리의 변형 예의 흐름도다.
도 14는, 메인 메뉴 화면의 변형 예의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메인 메뉴 화면의 "유저 자신의 설정" 버튼이 눌릴 때 표시된 개인설정을 등록하기 위한 화면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개략 블럭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콘트롤러 유닛(100), 조작부(106), 스캐너(108), 및 프린터(109)로 구성된다.
한층 더, 콘트롤러 유닛(100)은, CPU(101), RAM(102), 조작부 인터페이스(10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 ROM(103), HDD(104), 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로 구성되어, 그것들은 시스템 버스(111)에 의해 상호접속되어 있다.
CPU(101)는, 시스템 버스(111)에 접속된 부품들을 통괄적으로 제어하여서, 화상형성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AM(102)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등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된다. RAM(102)에 기억된 프로그램은, CPU(101)에 의해 각각 실행된다. CPU(101)는, RAM(102), ROM(103), 및 HDD(104)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등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ROM(103)은,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폰트 정보등 화상형성장치에 필요한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기억부로서의 HDD(104)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시스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화상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후술하는 흐름도에서의 처리는, HDD(104)에 기억된 프로그램들 중 연관된 프로그램이 RAM(102)에 로드(load)되어, 그 프로그램을 CPU(101)가 실행함으로써 각각 실현된다. 이때, 소형의 화상형성장치일 경우에, 시스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등을 ROM(103)에 기억하고, HDD(104)를 화상형성장치에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 HDD(104)를 SSD(Solid State Drive)로 대체하여도 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터치패널을 가지는 조작부(106)와 콘트롤러 유닛(10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는, 조작부(106)에 표시하는 화상 데이터를 조작부(106)에 대하여 출력하고, 조작부(106)를 거쳐 유저가 입력한 정보를 CPU(101)에 전해준다. 표시부로서의 조작부(106)는, 유저에 의한 인쇄 시작등의 지시를 가능하게 하는 화면과, 용지에 대한 페이지 레이아웃의 설정, 스테이플등 의 피니셔 동작의 설정, 및 농도등의 화질설정을 포함하는 유저에 의한 인쇄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는,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108)와 콘트롤러 유닛(100)간의 인터페이스와, 또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109)와 콘트롤러 유닛(10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스캐너(108)로부터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RAM(102)이나 HDD(104)에 기억된다.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RAM(102)에 기억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화상처리등이 실행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를 통해 프린터(109)에 출력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외부기기에 및 외부기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나 화상형성장치(1)를 제어하는 정보등을 송수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부품 이외에, 화상형성장치(1)는, 팩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화상형성장치(1)와 메모리 카드 사이의 인터페이스, USB인터페이스등을 구비하여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화상형성장치(1)는, 기억제어부(204), 카피 잡 제어부(205), 보존 잡 제어부(206), 인증부(207), 네트워크 제어부(210), 조작 제어부(201), 화상판독제어부(202), 화상출력제어부(203), 화상처리부(208), 및 송신 잡 제어부(209)로 구성된다.
기억제어부(204)는, RAM(102) 및 HDD(104)에의 기억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카피 잡 제어부(205)는, 카피의 설정과 카피 동작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보존 잡 제어부(206)는, HDD(104)등에 기억된 인쇄 데이터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인증부(207)는,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를 이용하게 하기 위한 인증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인증부(207)는, 조작부(106)에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를 유저에 입력시키도록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부(106)에 상기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그 입력된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는, 조작부 인터페이스(105)를 통하여 인증부(207)에 보내진다. 인증부(207)는, 화상형성장치(1)의 HDD(104)에 기억된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조합의 유저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상기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를 확인하고, 유저 데이터베이스가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동일한 조합을 포함하고 있을 때에 유저를 인증한다.
이때, 상기 인증 방법 대신에, 비접촉형의 IC카드를 사용한 방법 등의 다른 인증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에 인증에 필요한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갖지 않지만, Actve Directory 등의 외부의 인증 서버는 유저 인증에 사용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제어부(210)는, 네트워크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조작 제어부(201)는, 조작부(106)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화상판독제어부(202)는, 원고의 판독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화상출력제어부(203)는, 인쇄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08)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용의 데이터로 처리하고, 예를 들면 집약 인쇄등, 유저의 설정에 따른 화상처리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행한다. 송신 잡 제어부(209)는, 잡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송신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상기 구성으로 카피 인쇄를 하기 위해 실행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 제어부(201)가, 카피 인쇄에 필요한 화면을 생성하고, 조작부(106)에 그 화면을 표시한다. 이때, 유저는, 인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유저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압판(platen)이나 ADF(Automatic Document Feeder)에 원고를 두어, 조작부(106)로부터 원고 판독 시작을 지시하면, 조작 제어부(201)는, 카피 잡 제어부(205)에 제어를 옮긴다. 카피 잡 제어부(205)에서는, 우선 원고를 판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화상판독제어부(202)에 원고판독을 지시한다.
화상판독제어부(202)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를 거쳐, 스캐너(108)를 제어하여서, 상기 압판이나 ADF에 두어진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 및 시스템 버스(111)를 거쳐,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RAM(102) 및 HDD(104) 중 한쪽에 기억된다.
다음에, 카피 잡 제어부(205)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해서, 화상출력제어부(203)에 대하여,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인쇄를 지시한다.
화상출력제어부(203)는,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유저가 지정한 인쇄 설정에 따라 화상처리를 실행하도록, 화상처리부(208)에 지시한다.
화상처리부(208)는, 인쇄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완료되면,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기억한다.
화상출력제어부(203)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시스템 버스(111)및 디바이스 인터페이스(107)를 경유하여, 프린터(109)에 송신한다. 프린터(109)에서는,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순차로 용지에 인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피 잡 제어부(205), 보존 잡 제어부(206), 및 송신 잡 제어부(209)를 총칭하여 잡 제어부라고도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HDD(104)에 기억된 개인설정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의 일례의 도면이다.
도 3의 데이터베이스는, 카피 설정 정보(502), 송신 설정 정보(505), 보존 설정 정보(508) 및 로그아웃전 상태(511)로 구성되어, 각 유저 식별자와 관련하여 기억된다.
유저 정보인 유저 식별자(501)는 로그인 유저를 유일하게 특정하기 위한 정보이며, 유저마다 다르게 설정된 값이다.
카피 설정 정보(502)는, 카피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503)과, 개인설정 값으로서 설정 내용을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기억 설정(504)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유저 식별자A00001과 관련된 개인설정(503)으로서, 양면 인쇄모드와 피니셔 모드가 기억되고, 기억 설정(504)은 설정 내용을 기억하는 것을 나타내는 ON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유저 식별자A00002와 관련된 기억 설정(504)이 ON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이와 관련된 설정 내용은 개인설정(503)으로서 아직 기억되지 않고 있다.
송신 설정 정보(505)는, 송신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506)과, 개인설정으로서 설정 내용을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기억 설정(507)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유저 식별자A00002와 관련된 개인설정(506)으로서, 양면 인쇄모드와 어드레스가 기억되어 있고, 기억 설정(507)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
보존 설정 정보(508)는, 보존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509)과, 개인설정으로서 설정 내용을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를 나타내는 기억 설정(510)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는, 유저 식별자A00001과 관련된 개인설정(509)에 있어서, 양면 인쇄모드와 피니셔 모드가 문서ID:01로 특정된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을 개인설정으로서 기억하고 있고, 기억 설정(510)은 ON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인설정(503, 506, 509)의 각 세트는 초기 설정으로부터의 차분 정보만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지만, 그 초기 설정을 포함하는 전체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기억 설정(504, 507, 510) 각각은, 유저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기억 설정(504, 507, 510)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마다 설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각에 대해 한번 이루어진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일부의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을 항상 이용하지만, 매회 설정이 변경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유저에 있어서도, 화상형성장치(1)의 사용 개시시에, 과거에 이루어진 설정을 해당 특정한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설정에 적절하게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조작의 편리성 향상에 기여한다.
로그아웃전 상태(state-before-logout)(511)는, 로그인한 유저가, 로그아웃 직전에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다. 도 3은, 유저 식별자A00001에 의해 특정된 유저가 카피의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아웃 직전에 이용하고, 유저 식별자A00002에 의해 특정된 유저가 송신의 어플리케이션을, 로그아웃 직전에 이용하였던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개인설정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을 한 유저를 나타내는 유저 정보에 관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전술한 카피 어플리케이션, 송신 어플리케이션, 및 보존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3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실시예에 직접 관계없는 키, 버튼, 모드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106)에 표시된 메인 메뉴 화면(301) 및 카피 화면(310)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투입시의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된 메인 메뉴 화면(301)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피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2)은, 카피 화면(310)에 이행하는데 사용된다. 송신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3)은, 송신 화면(320)에 이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의 "송신"이란, 화상형성장치(1)의 스캐너(108)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전자우편으로 송신하거나, 파일서버에 송신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보존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4A 및 304B는, 각각, 보존 화면(330) 및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에 이행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에서의 "보존"이란, 화상형성장치(1)의 스캐너(108)로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해(304A로 나타내는 "스캔 및 보존"의 처리),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304B로 나타내는 "보존 파일의 이용"의 처리)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카피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2)의 터치시에 표시된 카피 화면(310)을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는, 이 카피 화면(310)을 사용하여 용지에 대한 페이지 레이아웃의 설정, 스테이플등 피니셔 동작의 설정, 농도등의 화질설정을 포함한 출력에 관한 인쇄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 카피 화면(310)에는, 상기 설정에 대해 선택된 버튼이 반전 영상으로 표시된다.
양면 인쇄 버튼(312)은, 양면 인쇄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5에는, 양면 인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피니셔 버튼(311)은, 소팅(sorting)이나 스테이플링(stapling)에 관한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5에는, 피니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시작 버튼이 조작되면, 카피 잡 제어부(205)는 인쇄 설정에 따라 인쇄를 실행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메인 메뉴 화면(301)에 송신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3) 및 보존 어플리케이션 선택 버튼(304A)이 터치되었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106)에 각각 표시된 송신 화면(320) 및 보존 화면(3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는, 이 송신 화면(320)을 사용하여, 보낼곳의 설정과 원고 판독시의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원고 판독시의 설정으로서, 송신 화면(320)은, 양면 인쇄모드 설정(323), 컬러/흑백 판독 모드 설정(322), 및 원고 사이즈 혼재 모드 설정(324)을 표시한다.
양면 인쇄모드 설정(323)은, 원고의 양면 판독을 행하는 것이 필요한 것인가 아닌가에 관한 설정이다. 컬러/흑백 판독 모드 설정(322)은, 원고판독전에 컬러 원고와 흑백 원고를 자동 판별해서 그 판별에 따라 그 원고를 판독하게 하기 위한 설정이다. 원고 사이즈 혼재 모드 설정(324)은, 원고의 사이즈가 다른 경우에 사용된 설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저는, 이 보존 화면(330)을 사용하여서, 박스(33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박스를 선택할 수 있다. 그 박스 선택 후, 유저가 판독 지시를 하면, 후술하는 인쇄 설정을 포함하는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을 표시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조작부(106)에 각각 표시된,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 및 기억 타이밍 설정 화면(35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억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경우, 유저는 박스에 기억하고 있는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에 인쇄 설정을 행한다. 또한, 유저는 이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에 있어서, 용지에 대한 페이지 레이아웃의 설정, 스테이플등의 피니셔 동작의 설정, 및 농도등의 화질 설정을 포함하는 출력에 대한 인쇄 설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존 파일 이용 화면(340)에는, 설정에 대해 선택된 버튼이 반전 영상으로 표시된다. 양면 인쇄버튼(342)은, 양면 인쇄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8에서는 양면 인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피니셔 버튼(341)은, 소팅이나 스테이플링에 관한 모드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8에서는, 피니셔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린트 시작 버튼(343)이 터치되면, 인쇄 설정에 따라, 보존 잡 제어부(206)가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쇄를 실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개인설정 값을 기억하는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기억 타이밍 설정 화면(350)이, 상기 개인설정 값을 기억하는 타이밍의 설정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유저는, 원하는 기억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된 설정 항목의 체크 박스를 선택함으로써 기억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유저가 복수의 설정 항목을 동시에 선택할 수 없고, 조작 제어부(201)가 항상 1개의 항목만이 선택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체크 박스(601)는, 개인설정 값의 기억 타이밍으로서 잡 개시시를 선택하기 위해 체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잡 개시시를 상기 기억 타이밍에 대해 디폴트로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체크 박스(602)는, 화면을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 이행시를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으로서 선택하기 위해서 체크된다.
이 체크 박스(602)가 체크되었다면, 화면이, 예를 들면 카피 어플리케이션으로 잡 실행하지 않고 카피 화면(310)으로부터 송신 어플리케이션의 송신 화면(320)으로 전환하는 경우에, 화면 전환전의 카피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카피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으로서 기억된다.
체크 박스(603)는, 캔슬 버튼 조작시를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으로서 선택하기 위해서 체크된다.
이 체크 박스(603)가 체크되면, 캔슬 버튼이 조작될 때, 그 캔슬 버튼 조작전에 이루어진 동작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이, 개인설정으로서 기억된다.
체크 박스(604)는, 오토 클리어 조작이 실행되는 오토 클리어시를,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으로서 선택하기 위해 체크된다.
이 체크 박스(604)가 선택되면, 오토클리어 기능의 실행으로 동작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전에, 클리어되기 전의 설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으로서 기억된다.
캔슬 버튼(605)은, 체크 박스의 선택을 캔슬하는데(체크 박스의 체크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갱신 실행 버튼(606)은, 체크된 체크 박스와 관련된 기억 타이밍에서 개인설정을 기억하는 설정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기억 타이밍 설정 화면(350)에서 설정된 내용은,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설정을 HDD(104)에 기억하는 타이밍은 유저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기억 처리의 흐름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증부(207)에 의해 유저가 유저 식별자를 사용해서 인증되어, 로그인하면(단계S401에서 YES), 재현한 메뉴, 메인 메뉴등을 표시하는 후술하는 재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402). 상기 단계S401은, 유저를 인증하도록 구성된 인증 유닛의 동작에 대응한다.
이어서, 조작 제어부(201)는, 상술한 카피 화면(310), 송신 화면(320), 및 보존 화면(330) 중 한쪽을 거쳐, 인쇄 설정과 원고 판독 설정을 접수한다(단계S403).
그리고, 조작 제어부(201)는, 잡의 시작이 지시되면(단계S404에서 YES), 그 잡의 시작이 지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잡이 시작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405). 단계S405에서는,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잡 시작이 가능한 설정의 정보이면, 조작 제어부(201)는 잡이 시작 가능하다고 판별한다.
단계S405에서 잡이 시작 가능하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단계S405에서 NO), CPU(101)는 단계S404에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405에서 잡이 시작 가능하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S405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판별한다(단계S406).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HDD(104)에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를 유저에 의해 어플리케이션마다 설정가능해서, 그 설정에 따라 개인설정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406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S406에서 NO), CPU(101)는 단계S409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406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단계S406에서 YES),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한다(단계S407).
한층 더, 기억제어부(204)는, 상기 유저 식별자와 개인설정을 관련시킨다(단계S408). 예를 들면, 카피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설정 내용이면, 양면 인쇄버튼(312)에 의해 설정된 양면 인쇄모드와, 피니셔 버튼(311)에 의해 설정된 피니셔 모드가, 개인설정으로서 기억된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개인설정이 추기된다. 새롭게 개인설정을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는, 유저마다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다음에, 잡 제어부는 개인설정에 따라서 잡을 실행시켜(단계S409), 유저가 로그 아웃하고 나서(단계S410),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기억 처리에서는 개인설정 값을 기억하는 타이밍을, 도 9에 도시된 예에 따라 잡 시작시로 설정하고 있지만, 도 9를 참조하여 기억 타이밍 설정 화면(350)에 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잡 시작시이외의 시이어도 되고, 유저마다 설정 가능하게 해도 된다.
이때, 조작 제어부(201)가 잡 실행이 불가능한 설정의 조합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잡 시작의 지시를 내리는 것이 가능하면, 예외없이 잡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계S405는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잡 제어부는, 실행되어 있는 설정 정보에 따라 잡 시작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별해도 된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기억 처리의 변형 예의 흐름도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증부(207)에 의해 유저가 유저 식별자를 사용해서 인증되어, 로그인하면(단계S701에서 YES), 재현한 메뉴, 메인 메뉴등을 표시하는 후술하는 재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702).
이어서, 조작 제어부(201)는,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는 지시가 내려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3).
단계S703에서 현재 표시된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하는 지시가 내려지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3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캔슬이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4).
단계S704에서 캔슬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4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오토 클리어 동작이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5).
단계S705에서 오토 클리어 동작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5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잡 시작이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6)
한편, 단계S703, S704, S705에 대한 응답 중에서 어느 것이라도 긍정(YES)인 경우에, CPU(101)는 직접 단계S707에 진행된다.
단계S706에서 잡 시작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NO), CPU(101)는 단계S703에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706에서 잡 시작이 지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6에서 YES), CPU(101)는, 단계S707에 진행된다. 단계S707에서는, 조작 제어부(201)는, 단계S703∼S706중 어느 하나에서 지시되었다고 판별된 지시의 타이밍이,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과 일치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 제어부(201)는, 단계S703∼S706 중에서 어느 하나에서 지시된 동작이,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된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과 일치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9에 나타낸 화면으로부터, 유저는 기억 타이밍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 타이밍이, 화면이 체크 박스(602)에 의해 설정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화면 이동시로 설정되었을 경우, 단계S703의 질문에 대한 긍정 응답(YES)에 의해 단계S707에 진행되면, 이 단계S707의 질문에 대한 응답이 긍정(YES)이다.
단계S707에서 그 지시된 동작의 타이밍이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과 일치한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7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단계S703∼S706에 대한 응답 중 관련된 응답이 긍정(YES)이었을 때에 상기의 지시 중 1개가 지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그 특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상기 잡을 실행 가능한 설정의 정보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8).
단계S707에서 그 지시된 동작의 타이밍이 개인설정의 기억 타이밍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7에서 NO), CPU(101)는 단계S709에 진행된다.
단계S708에서 그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잡을 실행 가능한 설정의 정보가 아니라고 판별한 경우, CPU(101)는 단계S709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708에서 그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잡을 실행 가능한 설정의 정보라고 판별한 경우(단계S708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그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가를 판별한다(단계S712).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마다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HDD(104)에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에 관해 유저가 설정 가능하고, 그 설정에 따라서 개인설정을 기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S712에서 그 어플리케이션이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한 경우(단계S712에서 NO), CPU(101)는 단계S709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712에서 그 어플리케이션이 개인설정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판별한 경우(단계S712에서 YES), 기억제어부(204)는 그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을 HDD(104)에 기억한다(단계S713).
한층 더, 기억제어부(204)는, 상기 유저 식별자와 개인설정을 관련되게 만든다(단계S714).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 개인설정이 추기된다. 새롭게 개인설정을 기억할 것인가 아닌가는, 유저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어서, CPU(101)는 단계S709에 진행된다.
단계S709에서, 조작 제어부(201)는 잡 시작이 지시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09). 이 판별은, 잡 시작이 지시되는가를 판정하는 단계S706을 경과하지 않고 이 단계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행된다.
단계S709에서 잡 시작이 지시되지 않았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9에서 NO), CPU(101)는 단계S716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709에서 잡 시작이 지시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709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상기 잡의 시작이 지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그 잡이 시작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710).
단계S710에서 잡이 시작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710에서 NO), CPU(101)는 단계S703에 되돌아가는 반면에, 단계S710에서 잡이 시작 가능할 경우에는(단계S710에서 YES), CPU(101)는 단계S715에 진행된다.
단계S715에서는, 잡 제어부는 개인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내용에 따라서 잡을 실행시키고 나서, 단계S716에서, 유저가 로그아웃한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12는, 도 10의 기억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S402의 재현 처리의 흐름도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작 제어부(201)는 도 4를 참조하여 나타낸 메인 메뉴 화면(301)을 표시한다(단계S802).
이어서, 조작 제어부(201)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있었는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803).
단계S803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없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803에서 NO), CPU(101)는 단계S802에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803에서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단계S803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지어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로그인한 유저의 유저 식별자에 일치하는 유저 식별자를 가지는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804).
단계S804에서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다고 판별한 경우(단계S804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그 일련의 개인설정을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로부터 취득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취득된 개인설정이 반영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내용으로서 재현 설정을 표시하고 나서(단계S8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번에 유저가 사용한 화면을 어떠한 지시도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재현 가능하다. 상기 단계S805는,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된 유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에 따라,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의 동작에 대응함으로써,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되게 만든 개인설정 값을 기억 유닛으로부터 판독하고, 그 개인설정 값을 표시부에 표시한다.
단계S804에서 일련의 개인설정이 없다고 판별한 경우(단계S804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초기 설정으로 표시하고 나서(단계S806), 본 처리를 종료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개인설정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된 재현 설정의 예는 다음과 같다.
유저 식별자A00001에 해당하는 유저가 로그인하고, 단계S803에서 카피 화면에의 이동이 지시되었을 경우, 도 5에 나타낸, 양면 인쇄모드와 피니셔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카피 화면이 재현된다.
도 13은, 도 11의 기억 처리의 변형 예에 있어서의 단계S702의 재현 처리의 변형 예의 흐름도다.
로그인 직후에 메인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재현 처리를 나타내는 도 12와는 별개의 것으로서, 도 13은, 메인 메뉴 화면을 표시하지 않고,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로그인 직후에 표시하는 재현 처리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작 제어부(201)는, 로그인한 유저가 사용한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902). 이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저의 개인설정을 검색하고, 개인설정이 검색될 때 로그아웃전 상태(511)를 참조하여서 취득될 수 있다.
단계S902에서 유저가 사용한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2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로그인한 유저의 유저 식별자에 일치하는 유저 식별자를 가지는 상기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906). 예를 들면, 도 3에서는, 유저 식별자A00002와 관련된 로그아웃전 상태(511)는 송신 어플리케이션이고, 따라서, 조작 제어부(201)는 송신 설정 정보(505)와 관련된 일련의 개인설정(506)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의 경우에는, 조작 제어부(201)는 상기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다고 판별한다.
단계S906에서 상기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일련의 개인설정이 없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6에서 NO), CPU(101)는, 단계S908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906에서 상기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6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상기 일련의 개인설정을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로부터 취득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그 취득된 개인설정이 반영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으로서 재현 설정을 표시하고 나서(단계S907),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렇게, 유저가 로그인했을 때에, HDD(104)로부터 선행하는 경우의 로그아웃 직전에 유저가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고, 그 취득된 설정 내용이 반영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을 조작부(106)에 표시되게 한다.
다시 단계S902를 참조하면, 단계S902에서 유저가 사용한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의 정보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2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도 4에 나타낸 메인 메뉴 화면(301)을 표시한다(단계S903).
다음에, 조작 제어부(201)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904).
단계S904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없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4에서 NO), CPU(101)는 단계S903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904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이행하는 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4에서 YES), 조작 제어부(201)는 기억제어부(204)에 의해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로그인한 유저의 유저 식별자에 일치하는 유저 식별자를 가지는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905).
단계S905에서 상기 일련의 개인설정이 있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5에서 YES), CPU(101)는 단계S907에 진행된다.
한편, 단계S905에서 상기 일련의 개인설정이 없다고 판별한 경우에는(단계S905에서 NO), 조작 제어부(201)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초기 설정으로 표시하고 나서(단계S908),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재현 처리에 있어서, 유저 식별자A00002에 해당하는 유저가 로그인하고, 송신이 최후 이용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도 6에 도시된 송신 화면은, 양면 인쇄모드와 어드레스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재현된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상기 재현처리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각 유저가 원하는 설정 값을 적절하게 재현할 수 있어, 편리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마다 개인설정이 기억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는 경우나, 최초에 선택된 기능이 정상종료하는 설정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 또는 한층 더 잘못 조작하는 경우에, 개인설정이 반영된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플리케이션마다 개인설정을 기억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화면을 표시시키면, 그 설정 화면은 개인설정이 반영된 설정 내용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다시 설정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관한 설정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예들로서, 카피 어플리케이션, 송신 어플리케이션, 및 보존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지만(도 4에 나타내는 버튼 302∼304B와 도 3을 참조),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상형성장치(1)가 팩스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팩스 어플리케이션에도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개인설정 값이 화상형성장치(1)의 HDD(104)에 기억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개인설정 값은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블루레이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등에 기억되어도 된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서버 또는 복수의 서버에 개인설정 값을 기억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에서는, 개인설정 값을 기억하는 타이밍은, 잡의 개시시, 화면천이시, 캔슬 버튼 조작시, 또는 오토 클리어시인 것으로 가정하였지만(도 8을 참조),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단계S701에서 로그인한 후에, 해당 로그인 유저에 개인설정 값을 설정시키기 위해 촉구하는 설정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는, 도 12의 재현 처리의 단계S802 또는 도 13의 재현 처리의 변형 예의 단계S903에 표시하는 메인 메뉴 화면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메인 메뉴 화면 대신에, 도 14의 메인 메뉴 화면을 조작부(106)에 표시한다. 또한, 도 14의 메인 메뉴 화면의 좌측부에 보이는 "유저 자신의 설정"을 유저가 터치한 것을 검출하면, CPU(101)는, 도 15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하고, 이 화면을 거쳐서 입력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개인설정 값을 로그인 유저의 개인설정 값으로서 HDD(104)에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설정 값을 도 3에 나타낸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이 설명에서 참조한 정보외에도 이하에 설명한 개인설정 값이 있다.
<표시 언어>
맞춤형(personalization)으로서, 조작부(106)의 터치패널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표시 언어설정을 유저마다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표시 언어설정은, 언어와 키보드 배열의 설정이다. 로그인 유저가 설정가능한 언어나 키보드 배열의 종류는, 화상형성장치(1)가 설정가능한 표시 언어, 키보드 배열의 종류와 같다고 가정한다. 유저를 인증해서 해당 유저를 화상형성장치(1)에 로그인시킨 시점에서, 해당 로그인 유저가 설정한 표시 언어설정으로 화상형성장치(1)의 표시 언어설정을 전환하고, 해당 유저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로그 아웃한 시점에서, 개인설정 값으로부터,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공유 언어의 설정 값(이하에서는 "디바이스 설정 값"이라고 한다)의 표시 언어설정으로 전환한다.
로그인 유저의 표시 언어의 개인설정 값이 HDD(104)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지 않고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개인설정 값에 의하지 않고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의 기능이 OFF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맞춤형의 기능의 ON/OFF 설정은, 화상형성장치(1)의 초기 설치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다.
<액세시빌리티(accessibility) 설정>
맞춤형으로서, 액세시빌리티 설정을 유저마다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액세시빌리티 설정은, 키 리피트(repeat), 화면색 반전, 음성입력 모드의 설정이다. 음성입력 모드 설정으로서, 본 장치의 기동시의 음성입력 모드, 음성 가이드의 종류, 음성 가이드의 음량, 음성 가이드의 속도, 음성입력의 타임아웃기간, 및 음성입력에 의해 지시된 조작의 실행 확인 표시가 설정되어 있다. 유저를 인증해서 해당 유저를 화상형성장치(1)에 로그인시킨 시점에서, 화상형성장치(1)의 액세시빌리티 설정은 해당 로그인 유저가 설정한 액세시빌리티 설정으로 전환되고, 유저를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로그 아웃한 시점에서, 화상형성장치(1)의 액세시빌리티 설정은 액세시빌리티의 디바이스 설정 값으로 전환된다. 음성입력 모드의 기동은, 조작부(106)의 리셋 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가압하여 홀딩(holding)하거나, 또는, 푸시 투 토크(Push-to-Talk)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가압하여 홀딩함으로써 지시된다.
이때, 제한 사항으로서, 음성입력 모드를 설정하고 있을 때, 표시 언어가 전환되면, 음성입력 모드는 종료하기 때문에, 개인설정 값의 표시 언어를 다른 언어로 전환한 후에 음성입력 모드를 유저가 이용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다시 음성입력 모드를 기동할 필요가 있다.
액세시빌리티의 개인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각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의 기능이 OFF일 경우도,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로그인후의 초기 화면>
맞춤형으로서, 로그인 후에 최초에 표시하는 초기 화면을 유저마다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초기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화면은, 도 4에 나타낸 메인 메뉴 화면, 그 메인 메뉴에 표시된 각 버튼과 관련된 조작 화면, 커스텀 메뉴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및 상황확인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유저가 인증해서 화상형성장치(1)에 로그인한 시점에서, 화상형성장치(1)의 화면은, 유저가 설정한 초기 화면으로 전환된다.
그러나, 기능별 인증 모드(유저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가 구비하는 기능의 선택 타이밍에서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드)로 화상형성장치(1)가 동작중인 경우에, 메인 메뉴 화면으로부터 지정된 기능과 관련된 화면으로 천이하는 시점에서 유저 인증을 실행하므로, 로그인후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이 설정되어 있었다고 한 경우에도, 그 설정은 무효로 된다.
서버와의 연계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1)를 다른 화상형성장치와 동기시켜서, 유저마다 초기 화면설정을 공유할 수 있다. 그 동기된 초기 화면설정이 화상형성장치(1)로 이용할 수 없는 기능의 화면의 설정인 경우, 화면은 도 4의 메인 메뉴 화면으로 천이한다.
로그인후의 초기 화면의 개인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의 기능이 OFF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디폴트 화면>
어플리케이션마다, 어플리케이션이 기동되었을 때에 표시된 디폴트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카피 어플리케이션에는, "퀵" 또는 "통상"중 한쪽의 화면을 디폴트 화면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송신 어플리케이션에는, "주소록", "자주 사용하는 설정", "원 터치", 및 "통상"의 화면의 1개를 디폴트 화면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팩스 어플리케이션에는, "주소록", "자주 사용하는 설정", 및 "통상"의 화면의 1개를 디폴트 화면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잡 상황 및 이력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는, "카피/프린트", "송신/수신", "보존", 및 "소모품/기타"의 화면의 1개를 디폴트 화면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디폴트 화면의 개인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 기능이 OFF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설정의 이력(콜(Call))>
설정의 이력(콜)은, 카피 기능, 스캔해서 송신 기능, 및 팩스 기능으로, 실행한 잡의 설정을 기억하여서, 잡 설정을 간단하게 복원할 수 있는 기능이다. 맞춤형으로서, 유저마다, 상기 각 기능에 대하여 최대 3잡(job)전까지의 설정의 이력을 기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서버와의 연계시에, 설정의 이력은, 다른 디바이스와 동기되지 않는다. 동기하지 않은 이유는, 설정의 이력(콜)이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보존하므로, 다른 디바이스와 동기하면, 유저는 상기 콜의 내용을 알기 어려워져버리기 때문이다.
상기 설정의 이력의 개인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과거의 잡의 설정 이력 없이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 기능이 OFF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화상형성장치(1) 전체에 최대 3잡을 기억한다.
<디폴트 잡 설정>
카피 기능(카피 어플리케이션), 스캔해서 송신 기능(송신 어플리케이션), 보존 파일의 이용 기능 혹은 스캔해서 보존 기능(보존 어플리케이션), 팩스 기능(팩스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잡 설정 화면의 디폴트의 잡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맞춤형으로서, 유저마다, 각 어플리케이션의 디폴트의 잡 설정을 기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유저에 의해 설정된 디폴트 잡 설정은, 화면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잡 설정 화면으로 천이한 시간에, 관련된 각 어플리케이션의 설정에 반영된다.
디폴트 잡 설정의 개인설정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공장 설정에 따라서 동작한다. 또한, 맞춤형 기능이 OFF일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 설정 값에 따라서 동작한다.
서버와의 연계에 의해, 다른 디바이스와 동기하고, 유저마다 디폴트 잡 설정을 공유할 수 있다.
<커스텀 메뉴>
커스텀 메뉴는, 설정을 기억한 쇼트컷 버튼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커스텀 메뉴가 제공하는 쇼트컷 버튼은, 모든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버튼과, 유저마다 이용할 수 있는 마이(my) 버튼을 포함한다.
그 커스텀 메뉴를 맞춤형과 호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버와의 연계에 의해 공유 버튼과 마이 버튼을 다른 디바이스와 동기하여서, 그 버튼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유저가 아무도 로그인 하고 있지 않을 때, 마이 버튼은 이용될 수 없다.
<주소록>
주소록은, 송신 어플리케이션이나 팩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스캔해서 얻어진 화상을 송신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기능이다. 상기 주소록으로서, 모든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주소록을 제공한다. 상기 주소록을 맞춤형과 호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저마다 이용할 수 있는 마이 주소록과, 그룹마다 이용할 수 있는 그룹 주소록이 제공된다.
서버와의 연계에 의해, 유저마다, 공유 주소록, 마이 주소록 및 그룹 주소록을 다른 디바이스와 동기하고,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의 기능이 OFF일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공유 주소록을 이용할 수 있지만, 마이 주소록이나 그룹 주소록을 이용할 수 없다.
<리포트 출력>
수동 출력되는 리포트는, 로그인한 유저의 표시 언어에 따라서 출력된다. 또한, 자동출력되는 리포트는, 출력시에 로그인하고 있었던 유저의 표시 언어에 따라서 출력된다. 맞춤형 기능이 OFF일 경우에, 표시 언어의 디바이스 설정에 따라서 리포트가 출력된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3년 4월 8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3-080388과, 2014년 2월 25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4-034161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11)

  1.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마다 잡의 설정값을 기억하는 기억 유닛;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 유닛;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선택 유닛;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판독하는 판독 유닛;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잡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잡의 상기 판독된 설정값이 반영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마다,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저장되도록 하는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제1 설정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실행의 적어도 하나의 카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 유닛에 의해 선택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잡의 설정값이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제2 설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 유닛은 충족되어지는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기억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잡 개시 시간, 또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화면 전환 시간, 취소 버튼 조작 시간 및 자동 클리어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근거하여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저장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독된 설정값이 반영되는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저장된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표시되고,
    상기 잡의 디폴트 설정값이 반영되는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저장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은 상기 유저의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선택 유닛은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유저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각각 마다 잡의 설정값을 기억하는 기억단계;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단계;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판독하는 판독단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잡에 대한 설정을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잡의 상기 판독된 설정값이 반영되는 제1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제어단계; 및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마다,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저장되도록 하는지 아닌지를 설정하는 설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은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실행의 적어도 하나의 카피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수신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잡의 설정값이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고,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은, 상기 선택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이 상기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도록 설정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인증된 유저의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도록 기억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조건설정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억단계는 충족되어지는 상기 조건에 따라 상기 잡의 상기 설정값을 기억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제어단계는 상기 유저의 상기 인증에 따라,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위한 제2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제2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7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40039811A 2013-04-08 2014-04-03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699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0388 2013-04-08
JP2013080388 2013-04-08
JPJP-P-2014-034161 2014-02-25
JP2014034161A JP6335544B2 (ja) 2013-04-08 2014-02-25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784A KR20140121784A (ko) 2014-10-16
KR101699317B1 true KR101699317B1 (ko) 2017-01-24

Family

ID=5047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811A KR101699317B1 (ko) 2013-04-08 2014-04-03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710201B2 (ko)
EP (1) EP2790395B1 (ko)
JP (1) JP6335544B2 (ko)
KR (1) KR101699317B1 (ko)
CN (2) CN1041048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5544B2 (ja) * 2013-04-08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85158B2 (ja) * 2014-06-24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019184A (ja) * 2014-07-09 2016-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02637B2 (ja) * 2014-09-05 2019-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499423B2 (ja) 2014-11-18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460760B2 (ja) * 2014-12-03 2019-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5337A (ja) 2014-12-15 2016-06-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形成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600961B2 (ja) * 2015-03-30 2019-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6575214B2 (ja) * 2015-08-11 2019-09-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00541B2 (ja) * 2016-03-17 2021-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700881B2 (ja) 2016-03-17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379798B2 (en) * 2017-03-21 2019-08-13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obtains and displays synchronized setting inform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690595B2 (ja) * 2017-04-28 2020-04-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設定プログラム
JP6882936B2 (ja) * 2017-05-26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939442B2 (ja) * 2017-11-09 2021-09-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47250B2 (ja) * 2018-05-09 2022-10-0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47592B2 (ja) * 2018-05-22 2022-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画面の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0008982A (ja) * 2018-07-04 2020-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ント監視装置
JP7404716B2 (ja) * 2019-08-30 2023-12-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58219B2 (ja) * 2019-12-02 2023-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71493B2 (ja) * 2019-12-27 2023-10-3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22145185A (ja) * 2021-03-19 2022-10-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グラム、設定方法、電子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2890A (ja) * 2008-06-13 2009-12-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0033182A (ja) 2008-07-25 2010-02-12 Kyocera Mita Corp 印刷設定プログラム
JP2011166781A (ja) * 2010-02-12 2011-08-25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設定方法
JP2012078917A (ja) 2010-09-30 2012-04-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8560A1 (en) * 2003-09-30 2005-03-31 Ferlitsch Andrew R. Providing application specific printing with an arbitrary printing device
JP2008273126A (ja) 2007-05-07 2008-11-1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913168B2 (en) * 2007-05-25 2011-03-22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program
US20090024950A1 (en) * 2007-07-17 2009-01-22 Xerox Corporation Printer Driver Interface and Methods
EP2075692A1 (en) * 2007-12-26 2009-07-01 Canon Kabushiki Kaisha Personalisation of image processing workflows
JP5247207B2 (ja) * 2007-12-26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フロー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41634B2 (ja) * 2008-06-20 2011-08-0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送信装置
EP2075693A1 (de) * 2008-07-22 2009-07-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utomatisierungsgerät und Verfahren zur Aktualisierung von Daten eines Automatisierungsgeräts
US8681355B2 (en) * 2008-10-18 2014-03-25 Xerox Corporation Printer driver with context based restrictions
JP2010157890A (ja) * 2008-12-26 2010-07-15 Fuji Xerox Co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0231406A (ja) * 2009-03-26 2010-10-14 Canon Inc 情報配信装置、インストールプログラム配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478937B2 (ja) * 2009-05-19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068677B2 (en) 2009-08-25 2011-11-29 Satyam Computer Servic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image processing
JP4914469B2 (ja) * 2009-08-27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複合機、及び認証サーバ
JP5373549B2 (ja) * 2009-10-22 2013-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237875A (ja) * 2010-05-06 2011-11-2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インストール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インストール方法
US8773676B2 (en) * 2011-03-07 2014-07-08 Sharp Kabushiki Kaisha Multifunction peripheral, multifunction peripheral control system, and multifunction peripheral control method for preparing information display screen including changing default conditions
JP5259769B2 (ja) 2011-04-13 2013-08-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出力システム
JP5864887B2 (ja) * 2011-04-21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管理方法
US20120281251A1 (en) * 2011-05-05 2012-11-08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printer drivers for multiple printing devices
JP5528511B2 (ja) * 2012-07-30 2014-06-25 株式会社 ディー・エヌ・エー ゲームを提供するサーバ装置及びゲームプログラム
JP6335544B2 (ja) * 2013-04-08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00500B2 (ja) * 2013-11-29 2018-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38470B2 (ja) * 2014-06-24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4195B2 (ja) * 2015-07-30 2019-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302890A (ja) * 2008-06-13 2009-12-2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0033182A (ja) 2008-07-25 2010-02-12 Kyocera Mita Corp 印刷設定プログラム
JP2011166781A (ja) * 2010-02-12 2011-08-25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設定方法
JP2012078917A (ja) 2010-09-30 2012-04-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0920A1 (en) 2014-10-09
JP2014218075A (ja) 2014-11-20
CN107241524B (zh) 2019-07-26
US9710201B2 (en) 2017-07-18
CN107241524A (zh) 2017-10-10
CN104104819B (zh) 2017-08-08
JP6335544B2 (ja) 2018-05-30
KR20140121784A (ko) 2014-10-16
EP2790395A2 (en) 2014-10-15
CN104104819A (zh) 2014-10-15
EP2790395A3 (en) 2015-04-01
EP2790395B1 (en) 2021-08-04
US20170269880A1 (en)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317B1 (ko) 과거의 설정 정보에 근거하는 초기 화면 표시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N104917917B (zh) 图像形成装置、系统及信息处理方法
JP645859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86192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ation supporting system, and image formation supporting method which communicates with a handheld device
KR101227077B1 (ko) 화상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469258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7678706B (zh) 图像形成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KR101784211B1 (ko)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US1057483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CN109688286B (zh) 作业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JP202101241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3247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9193158A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347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JP6580198B2 (ja) 過去の設定情報に基づく初期画面表示が可能な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GB2607402A (en) Method,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11464712B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
JP6809573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658856B2 (ja)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JP2016019184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100795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016371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