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196B1 -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196B1
KR101699196B1 KR1020157025134A KR20157025134A KR101699196B1 KR 101699196 B1 KR101699196 B1 KR 101699196B1 KR 1020157025134 A KR1020157025134 A KR 1020157025134A KR 20157025134 A KR20157025134 A KR 20157025134A KR 101699196 B1 KR101699196 B1 KR 10169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lid member
container
bott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2684A (ko
Inventor
준지 야마베
세이지 데라자와
마사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1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60161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52306A external-priority patent/JP60161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50122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병의 병 머리부와 맞닿는 뚜껑 부재를 상기 병 머리부로부터 당김으로써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한 후크를 구비하는 뚜껑 당김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 당김 기구는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공기가 쉽게 통과하는 토너 개구부 위에서의 뚜껑 부재와 용기 머리부 간의 거리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병 머리부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공기의 흡입이 방지된다. 또한, 용기의 병 머리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토너 비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는 토너상 형성 유닛과, 토너 용기에서 배출되는 토너를 토너상 형성 유닛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 공급되는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토너 공급 유닛으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5-178810호)에 기재된 토너 공급 유닛이 알려져 있다. 도 54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토너 공급 유닛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의 머리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토너 용기(9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도면은 원통형 토너 용기(900)의 원통 축선 방향의 선단부인 용기 머리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토너 용기(900)의 용기 머리부는 이 용기 머리부에 마련된 토너 배출구를 덮는 뚜껑 부재(901)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토너 공급 수단은 원통형 토너 용기(900)를 이 원통형 토너 용기(900)의 원통 축선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자세로 유지시킨다. 토너 용기(900)를 유지시키는 토너 공급 수단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900)의 뚜껑 부재(901)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901a)를 뚜껑 당김 기구(950)를 이용하여 유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뚜껑 당김 기구(950)는 토너 용기(900)의 원통 축선 방향을 따라 토너 용기(9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뚜껑 부재(901)가 토너 용기(900)의 용기 머리부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하고, 이에 의해 토너 배출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 머리부로부터 인출되는 뚜껑 부재(901)와 토너 배출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용기(900)는 이 토너 용기(900)의 원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에 따라, 토너 용기(9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의 작용에 의해 용기 내의 토너가 용기 후방 단부 측으로부터 용기 머리부 쪽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의해 토너 배출구를 통한 토너 배출이 촉진된다.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너는 도시되지 않은 반송 유닛에 의해 반송되어서 현상 장치로 공급된다.
상기 구성을 취하는 토너 공급 유닛에 있어서,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후, 그 배출된 토너는, 토너 배출구와 뚜껑 부재(901)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전체 영역 중에서도, 수직 방향에서의 하단부의 영역을 통과한다. 이에 반해, 간극의 수직 방향에서의 상단부 영역은 토너가 통과하지 않고, 그래서 그 안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토너 용기(900)가 회전 구동하는 동안, 공기가 그 공간을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통과하게 되어서, 용기 밖의 공기가 토너 배출구 안으로 쉽게 취입된다. 따라서, 취입되는 공기가 용기 내의 토너를 날려서,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토너 비산이 조장될 가능성이 있다.
토너 용기(900)를 회전 구동하게 구성하지 않는다 해도, 토너 배출구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에 대해 측방과 대면하도록 한 구성이면, 토너가 위와 마찬가지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용기(900)가 회전 구동하지 않아도,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를 반송시키는 반송 부재를 구동 및 회전시키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반송 부재의 구동 및 회전에 의해 공기가 상기 공간을 통해 용기 안으로 취입되어서, 토너가 주변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배기 팬 등의 구동에 의해 부드러운 기류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발생하게 되면, 그 기류가 도 5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용기에 대해 측방으로 대면하는 토너 배출구를 통해서 용기 안으로 들어가서, 토너가 주변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다. 토너 배출구를 용기에 대해서 측방으로 대면하게 하는 자세로 토너 용기를 토너 공급 유닛에 설치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 마찬가지로 토너가 주변으로 비산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토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 등은 토너 용기의 내부에서 외부로의 토너 비산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토너 용기는, 토너 배출구를 토너 용기에 대해 측방으로 대면하도록 하는 자세로, 토너 공급 수단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토너상 형성 유닛과;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토너 용기에 대해 측방으로 대면하게 하는 자세로, 토너 용기를 유지시키며,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과; 토너 용기의 본체에 맞닿아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뚜껑 부재를, 상기 토너 용기의 본체로부터 당겨서, 토너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뚜껑 당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이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5에 도시된 구성과는 다르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유로 인해, 토너 용기의 용기 머리부로부터 용기 외부로의 토너 비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5에서, 토너는, 토너 용기 머리부의 토너 배출구와 토너 용기 머리부로부터 인출되는 뚜껑 부재(901)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전체 영역 중에서, 수직 방향의 하단부 영역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 토너가 쌓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토너 배출구와 뚜껑 부재(901) 사이의 거리를 어느 정도까지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를 확보하기 위해서, 뚜껑 부재는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토너 용기 머리부의 토너 배출구와 토너 용기 머리부로부터 인출되는 뚜껑 부재 사이에 형성된 간극의 크기를 아래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해서 얻는다. 즉, 간극의 수직 방향에서의 전체 영역 중에서, 토너가 통과하는 하단부의 영역을, 공기가 통과하는 상단부의 영역보다 크게 한다. 이에 따라, 토너가 통과하는 하단부의 영역에, 토너 배출구와 뚜껑 부재 간의 적합한 거리가 확보되어서, 토너가 양호하게 배출된다. 또한, 토너가 통과하지 않는 상단부의 영역에서는, 토너 배출구와 뚜껑 부재 간의 거리가 감소되어서, 공기의 취입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공기가 쉽게 통과하게 되는 상단부의 영역에서 공기 취입이 방지되어서, 용기 머리부의 내부로부터 용기 외부로의 토너 비산 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생길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프린터에서 Y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현상 유닛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프린터의 토너 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뚜껑 부재가 열렸을 때의 토너 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프린터의 토너 공급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된 토너 병의 병 본체와 그 주위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토너 공급 장치의 병 구동 유닛의 Y 병 장착부와 Y 토너 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토너 병이 장착된 상태에서 Y 병 장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토너 공급 장치의 뚜껑 당김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구동 로드가 도 11에 비해 약간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뚜껑 당김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구동 로드가 도 12에 비해 약간 앞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뚜껑 당김 기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토너 병의 뚜껑 부재와 로드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토너 병의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뚜껑 부재가 인출된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상태에서의 병 머리부와, 열린 상태의 종래 구성의 뚜껑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뚜껑 부재와 로드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로드 유지 부재의 유지 구멍 주위의 테이퍼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로드 유지 부재의 유지 구멍 주위의 테이퍼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로드 유지 부재의 유지 구멍 주위의 테이퍼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뚜껑 부재의 배면 측에서 바라본, 뚜껑 부재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도 23은 병 머리부와, 병 머리부로부터 인출된 뚜껑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병 머리부와, 병 머리부에 맞닿아 있는 뚜껑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는 토너 배출구를 통과하는 토너의 거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7은 병 머리부와 뚜껑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토너를 교반하는 안내 로드의 거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단부에 교반 패들이 형성된 안내 로드를 구비하는 뚜껑 부재(1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단부에 교반 날개가 형성된 안내 로드를 구비하는 뚜껑 부재(1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1은 내주면에 나선 홈이 형성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32는 후단부에 테이퍼가 형성된 대경부(113)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은 비교 예의 손잡이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는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5는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3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뚜껑 부재가 맞닿아 있는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37은 상기 프린터에 있어서 뚜껑 부재가 인출되어 있는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38은 뚜껑 부재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9는 뚜껑 부재가 병 머리부에 닫혀 있는 중에 그 뚜껑 부재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0은 뚜껑 부재가 병 머리부와 맞닿기 직전의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2는 프린터 안의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3은 제 2 실시예의 프린터의 변형 예에 따른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5는 프린터 안의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7은 프린터 안의 토너 병의 뚜껑 부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4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의 토너 병의 병 머리부와 뚜껑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9는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1 변형 예에 따른 뚜껑 부재와 로드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50은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2 변형 예에 있어서의 뚜껑 부재와 로드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51은 제 2 변형 예에 따른 안내 로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2는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3 변형 예에 있어서의 뚜껑 부재와 로드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53은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4 변형 예에 따른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도 54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토너 공급 유닛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의 머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5는 뚜껑 부재가 개방된 상태에서 머리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6의 토너 병의 병 머리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58은 토너 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9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토너 공급 장치의 용기 유지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0은 용기 유지 유닛과, 이 용기 유지 유닛을 향해 이동한 토너 병의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61은 용기 유지 유닛에 가압되기 시작한 병 머리부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62는 용기 유지 유닛이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눌리는 병 머리부 상의 주변 돌기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63은 용기 유지 유닛에 안착된 병 머리부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64는 잘못된 색상 오장착이 방지된 상태에서 용기 유지 유닛과, 병 머리부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65는 용기 유지 유닛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와 토너 병의 오장착 방지 돌기의 주위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6은 비교 예에 있어서의 용기 유지 유닛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와 토너 병의 오장착 방지 돌기의 주위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7은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토너 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8은 토너 병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9는 토너 공급 장치의 관련 부품을 도시한 관련 부품 구성도이다.
도 70은 토너 병이 장착된 상태에서 관련 부품을 도시하는 관련 부품 구성도이다.
도 71은 제 5 실시예의 제 1 변형 예에 있어서의 용기 유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인 전자 사진 방식의 프린터(이하, 간단히 "프린터"라 함)에 적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기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프린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프린터는 옐로우, 시안, 마젠타, 블랙(이하, Y, C, M, K라고 칭함)의 4 개의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을 구비한다. 이들은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물질로서 서로 다른 색상의 Y, C, M, K 토너를 사용하지만, 그 이외는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Y 토너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유닛(1Y)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화상 형성 유닛인 화상 형성 유닛(1Y)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화상 형성 유닛(1Y)은 감광 유닛(2Y)과 현상 유닛(7Y)을 구비한다. 감광 유닛(2Y) 및 현상 유닛(7Y)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 유닛(1Y)으로서 프린터 본체에 일체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감광 유닛과 현상 유닛을 프린터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현상 유닛(7Y)을 감광 유닛에 착탈할 수 있다.
감광 유닛(2Y)은 드럼형 잠상 담지체인 감광 요소(3Y), 드럼 클리닝 장치(4Y), 제전 장치, 대전 장치(5Y) 등을 구비한다. 대전 유닛인 대전 장치(5Y)는 구동 수단에 의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감광 요소(3Y)의 표면을 대전 롤러(6Y)로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전원이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대전 롤러(6Y)에 대전 바이어스를 인가하고, 대전 롤러(6Y)가 감광 요소(3Y)로 근접하는 이동을 하거나 그에 접촉함으로써 감광 요소(3Y)가 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대전 롤러(6Y) 대신에 대전 브러시와 같은 다른 대전 부재를 상기 감광 요소에 근접하게 이동시키거나 그에 접촉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코로트론 대전기와 같은 대전 방법을 이용해서 감광 요소(3Y)를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 장치(5Y)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요소(3Y)의 표면은 후술하는 잠상 형성 유닛인 광학 기록 유닛(20)에서 나오는 레이저 광에 노광 주사되어, 그 표면 위에 Y용 정전 잠상을 담지한다.
도 4는 현상 유닛(7Y)의 내부를 도시하는 분해 구성도이다. 현상 유닛인 현상 장치(7Y)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반송 유닛인 제 1 반송 스크류(8Y)를 수용하는 제 1 제수용실(agent container)(9Y)을 구비한다. 상기 현상 유닛은 또한, 투자율 센서를 구비하는 토너 농도 검출 유닛인 토너 농도 센서(10Y), 현상제 반송 유닛인 제 2 반송 스크류(11Y), 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롤(12Y), 현상제 조절 부재인 닥터 블레이드(13Y) 등을 수용한, 제 2 제수용실(14Y)도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제수용실은 그 안에 형성된 순환 경로를 구비하며, 자성 담지체와 음 전기 대전성의 Y 토너를 포함하는 2 성분 현상제인 Y 현상제를 담는다. 제 1 반송 스크류(8Y)가 구동 유닛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에 따라 제 1 제수용실(9Y) 내의 Y 현상제가 도 2에서 앞쪽(도 4에서 화살표(B) 방향)으로 반송된다. Y 현상제가 반송되는 도중에, 제 1 이송 스크류(8Y)의 위쪽에 고정된 토너 농도 센서(10Y)는, 현상제 순환 방향에서 제 1 제수용실(9Y) 내의 토너 공급구(17Y)에 대향된 영역의 하류 측에 위치된 소정의 검출 영역을 통과하는 Y 현상제의 토너 농도를 검출한다. Y 현상제는 제 1 이송 스크류(8Y)에 의해 제 1 제수용실(9Y)의 단부까지 반송된 후, 연통구(18Y)를 통해 제 2 제수용실(14Y) 내로 들어간다.
제 2 제수용실(14Y) 내의 제 2 이송 스크류(11Y)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하고, 이에 따라 Y 현상제가 도 2에서 뒤쪽(도 4의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된다. Y 현상제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하는 제 2 반송 스크류(11Y)의 위에는, 현상 롤(12Y)이 제 2 이송 스크류(11Y)와 평행한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 현상 롤(12Y)은,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비자성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현상 슬리브(15Y) 내에 고정 배치된 자석 롤러(16Y)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제 2 이송 스크류(11Y)에 의해 반송되는 Y 현상제의 일부는 자석 롤러(16Y)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현상 슬리브(15Y)의 표면으로 끌어들여진다. 그리고서, 현상 슬리브(15Y)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닥터 블레이드(13Y)에 의해 그 현상제의 층 두께가 조절된 후, 그 현상제는 감광 요소(3Y)와 대향된 현상 영역까지 반송되고, 이에 의해 Y 토너가 감광 요소(3Y) 상의 Y 정전 잠상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에 의해, 감광 요소(3Y)에 Y 토너상이 형성된다. 현상 중에 Y 토너가 소비된 후, Y 현상제가 현상 슬리브(15Y)의 회전에 따라 제 2 이송 스크류(11Y)로 되돌아간다. Y 현상제는 제 2 반송 스크류(11Y)에 의해 제 2 제수용실(14Y)의 단부까지 반송된 후 연통구(19Y)를 통해서 제 1 제수용실(9Y)로 되돌아간다. 이렇게 해서, Y 현상제는 현상 유닛 내에서 순환되고 반송된다.
토너 농도 센서(10Y)에 의해 얻어진 Y 현상제의 토너 농도에 대한 검출 결과는 전기 신호로 제어 장치에 보내진다. 제어 장치는 RAM에서 토너 농도 센서(10Y)로부터 나온 출력 전압을 Y 현상제의 토너 농도로 변환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C, M, K용 현상 유닛(7C, 7M, 7K)에 설치된 토너 농도 센서(10C, 10M, 10K)로부터 나오는 출력 전압을 현상제(C, M, K 현상제)의 토너 농도로 변환한다. 또한, 투자율 센서인 토너 농도 센서로부터 나오는 출력 전압은 토너 농도와 상관된다. 현상제의 토너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상제의 투자율이 저하되어 토너 농도 센서로부터 나오는 출력 값이 저하된다.
Y용 현상 유닛(7Y)고 관련하여, 토너 농도 센서(10Y)로부터 나오는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토너 농도 검출 결과는 RAM에 기억된 Y 토너 농도의 제어 목표 값과 비교된다. 그 다음,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Y 토너의 양을 토너 공급구(17Y)를 통해 공급하기 위해, 토너 공급 장치의 Y 공급 모터가 그 양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구동된다. 따라서, 제 1 제수용실(9Y)에서, 현상 중의 Y 토너 소비로 인해 Y 토너 농도가 저하된 Y 현상제에 적절한 양의 Y 토너가 공급된다. 따라서, 제 2 제수용실(14Y) 내의 Y 현상제의 토너 농도는 토너 농도의 목표치 부근에 유지된다. 다른 색상의 현상 유닛(7C, 7M, 7K) 내의 현상제에 대해서도 위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1에서, 감광 요소(3Y)에 형성된 Y 토너상은 중간 전사 유닛인 중간 전사 벨트(41)에 중간에 전사된다. 감광 유닛(2Y)의 드럼 클리닝 장치(4Y)는 중간 전사 공정이 수행된 후에 감광 요소(3Y)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제거한다. 위와 같이 클리닝 작업이 수행된 감광 요소(3Y)의 표면은 제전 장치에 의해 제전된다. 이 제전에 의해, 감광 요소(3Y)의 표면이 초기화되고, 다음 화상 형성을 위해 대기된다. 다른 색상의 화상 형성 유닛(1C, 1M, 1K)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감광 요소(3C, 3M, 3K)에 C 토너상, M 토너상, K 토너상이 형성되어 중간 전사 벨트(41) 위로 중간 전사된다.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의 아래쪽에 광학 기록 유닛(20)이 설치된다. 광학 기록 유닛(20)은 화상 정보에 기초해서 레이저 광(L)을 발하고, 그 레이저 광(L)을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의 감광 요소(3Y, 3C, 3M, 3K)에 조사한다. 따라서, 감광 요소(3Y, 3C, 3M, 3K)에 Y 정전 잠상, C 정전 잠상, M 정전 잠상, K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광학 기록 유닛(20)에 있어서는, 광원으로부터 발한 레이저 광(L)을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폴리곤 미러(21)에 의해 편향되게 하면서, 그 레이저 광(L)을 복수의 광학 렌즈와 거울을 통해 감광 요소(3Y, 3C, 3M, 3K)에 조사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것 대신에 LED 어레이를 채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학 기록 유닛(20)의 하부에는 제 1 급지 카세트(31)와 제 2 급지 카세트(32)가 수직 방향에서 서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상기 급지 카세트들 각각은 기록재인 기록 시트(P)를 복수 매 겹쳐서 기록 시트 다발 상태로 수납하며, 상부의 기록 시트(P)는 제 1 급지 롤러(31a) 및 제 2 급지 롤러(32a)에 맞닿게 된다. 제 1 급지 롤러(31a)가 구동 유닛에 의해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때, 제 1 급지 카세트(31)의 상부의 기록 시트(P)가, 도 1에서 보았을 때 카세트의 우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급지로(33) 안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 2 급지 롤러(32a)가 구동 유닛에 의해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때에, 제 2 급지 카세트(32)의 상부의 기록 시트(P)가 급지로(33) 안으로 배출된다.
급지로(33)에는 복수의 반송 롤러쌍(34)들이 설치되고, 급지로(33) 안으로 보내지는 기록 시트(P)는 상기 반송 롤러쌍(34)의 롤러들 사이에 끼여서, 급지로(33)를 통해 수직 방향에서 위쪽을 향해 반송된다.
급지로(33)의 말단에는 정합 롤러(registration roller) 쌍(35)이 설치된다. 반송 롤러쌍(34)에서 보내오는 기록 시트(P)가 정합 롤러쌍(35)의 정합 롤러들 사이에 끼워지는 즉시 롤러의 회전이 일시 정지된다. 이어서, 기록 시트(P)는 적절한 시기에 아래에서 설명하는 2차 전사 닙을 향해 보내진다.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의 위에는, 안에 연장되어 있는 중간 전사 벨트(41)를 반시계 방향으로 무단 이동시키는 전사 유닛(40)이 설치된다. 전사 유닛(40)은 중간 전사 벨트(41) 외에, 벨트 클리닝 유닛(42), 제 1 브라켓(43), 제 2 브라켓(44) 등을 구비한다. 전사 유닛은 또한 4 개의 1차 전사 롤러(45Y, 45C, 45M, 45K), 2차 전사 백업 롤러(46), 구동 롤러(47), 보조 롤러(48), 닙 입구 롤러(49) 등도 구비한다. 중간 전사 벨트(41)는 상기 롤러들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동 롤러(47)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도 1에서 보았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무단 이동한다.
무단 이동하는 중간 전사 벨트(41)는 4 개의 1차 전사 롤러(45Y, 45C, 45M, 45K)와 감광 요소(3Y, 3C, 3M, 3K) 사이에 끼이는데, 이에 의해 이들 사이에 1차 전사 닙이 형성된다. 그리고서, 중간 전사 벨트(41)의 내주면에 토너의 극성과 반대인 극성(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의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중간 전사 벨트(41)가 그의 무단 이동에 따라 Y 1차 전사 닙, C 1차 전사 닙, M 1차 전사 닙, K 1차 전사 닙을 순차적으로 통과해가는 과정에서, 상기 중간 전사 벨트(41)의 외주면에 감광 요소(3Y, 3C, 3M, 3K) 위의 여러 색상의 토너상이 겹쳐지게 1차 전사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41) 위에 4색의 겹쳐진 토너상(이하, "4색 토너상"이라 함)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41)가 2차 전사 백업 롤러(46)와 중간 전사 벨트(41)의 루프 외부에 설치된 2차 전사 롤러(50) 사이에 끼이고, 이에 의해 2차 전사 닙이 형성된다. 전술한 정합 롤러쌍(35)은 롤러 사이에 끼이는 기록 시트(P)를, 중간 전사 벨트(41) 상의 4색 토너상과 동기화시킬 수 있는 시기에, 2차 전사 닙을 향해 보낸다. 중간 전사 벨트(41) 상의 4색 토너상은,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되는 2차 전사 롤러(50)와 2차 전사 백업 롤러(46) 사이에 형성되는 2차 전사 전계에 의해서, 혹은 닙 압력의 영향에 의해서, 2차 전사 닙에서 기록 시트(P)에 모두가 2차 전사된다. 그리고서, 기록 시트(P)의 백색과 함께 풀 컬러 토너상이 형성된다.
중간 전사 벨트(41)가 2차 전사 닙을 통과한 후, 중간 전사 벨트(41)에는 기록 시트(P)에 전사되지 않은 전사 잔류 토너가 부착되어 있다. 벨트 클리닝 유닛이 전사 벨트 위를 클리닝한다. 또한 벨트 클리닝 유닛은 클리닝 블레이드를 중간 전사 벨트(41)의 표면에 맞닿게 하며, 이에 따라 전사 잔류 토너가 벨트로부터 긁어내어져서 제거된다.
도면에서 2차 전사 닙 위에 정착 수단인 정착 유닛(60)이 설치된다. 정착 유닛(60)은 할로겐램프 등의 발열원을 포함하는 가압 가열 롤러(61)와, 정착 벨트 유닛(62)을 구비한다. 정착 벨트 유닛(62)은 정착 벨트(64), 할로겐램프 등의 발열원을 포함하는 가열 롤러(63), 장력 롤러(65), 구동 롤러(66), 온도 센서 등을 구비한다. 무단 정착 벨트(64)는 가열 롤러(63)와 장력 롤러(65)와 구동 롤러(66) 중에서 연장되면서 도 2에서 보았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무단 이동한다. 상기 무단 이동 중에, 정착 벨트(64)의 배면이 가열 롤러(63)에 의해 가열된다.
정착 벨트(64)가 가열 롤러(63) 둘레에 둘러싸이는 영역에서는 도 1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가압 가열 롤러(61)가 정착 벨트(64)의 전방 표면과 맞닿는다. 이에 따라, 가압 가열 롤러(61)가 정착 벨트(64)와 맞닿는 곳에 정착 닙이 형성된다.
정착 벨트(64) 루프 외측에는 온도 센서가 정착 벨트(64)의 표면과 소정의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정착 닙에 진입하기 직전의 정착 벨트(64) 표면 온도를 감지한다. 그 감지 결과는 정착 전원 회로로 보내진다. 정착 전원 회로는 온도 센서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가열 롤러(63)에 포함되는 발열원이나 가압 가열 롤러(61)에 포함되는 발열원으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한다. 그에 따라, 정착 벨트(64)의 표면 온도가 약 140℃로 유지된다.
기록 시트(P)는 2차 전사 닙을 통과 한 후에 중간 전사 벨트(41)로부터 분리되어서 정착 유닛(60)으로 반송된다. 기록 시트는 정착 유닛(60) 내의 정착 닙에 끼여서 도면에서 상향으로 반송되는 동안에 정착 벨트(64)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고, 이에 의해 풀 컬러 토너상이 기록 시트(P)에 정착된다.
이와 같이 기록 시트(P) 상에 정착 처리가 행해진 후, 기록 시트(P)는 배지 롤러쌍(67)의 롤러 사이를 통과한 다음 장치로부터 배출된다. 프린터 본체의 샤시의 상면에는 스택부(68)가 형성되고, 기록 시트(P)는 배지 롤러쌍(67)에 의해 장치로부터 배출되어서, 상기 스택부(68) 상에 순차적으로 쌓인다.
전사 유닛(40)의 위에는 Y 토너, C 토너, M 토너, K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인 4 개의 토너 병(100Y, 100C, 100M, 100K)이 설치된다. 토너 병(100Y, 100C, 100M, 100K) 내의 각 색의 토너는 토너 공급 장치에 의해서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 내의 현상 유닛(7Y, 7C, 7M, 7K)으로 적절하게 공급된다. 토너 병(100Y, 100C, 100M, 100K)은 화상 형성 유닛(1Y, 1C, 1M, 1K)과는 독립해서 프린터 본체에 탈착 가능하다.
도 5는 토너 병(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토너 병(100)들은 그 토너 병(100)에 수용된 토너(Y, M, C, K)의 색이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면에서는 도면 부호의 끝에 붙는 Y, M, C, K의 첨자를 생략하고 있다. 토너 병(100)은 원통형 병 본체(101)와 뚜껑 부재(110)를 구비한다. 병 본체(101)는 그 주변 벽에 마련된 나선 홈(101a)을 구비한다. 이 나선 홈(101a)은 엠보싱 되어 있으므로, 병 본체(101)의 외측에서 볼 때에는 나선형의 홈이고, 병 본체(101)의 내측에서 볼 때에는 나선형 돌기이다.
도 6은 뚜껑 부재가 열렸을 때의 토너 병(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원통형 토너 병(100)의 병 본체(101)의 원통 축선 방향의 한 단부에는 병 머리부(101b)가 마련되고, 상기 병 머리부(101b)의 직경은 다른 부분보다 작다. 병 머리부(101b)의 한 단부에는 병 본체(101)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토너 배출구(101c)가 설치된다. 토너 배출구(101c)는 병 머리부(101b)에 맞닿는 뚜껑 부재(101c) 의해 폐쇄된다. 토너 병(100)이 후술하는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된 때, 뚜껑 부재(101c)가 토너 공급 장치에 의해 병 머리부(101b)로부터 인출되어서 토너 배출구(101c)가 노출되고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병(100)이 토너 공급 장치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병 본체(101) 내의 토너가 나선 홈(101a)에 의해 병의 뒤쪽에서 머리 쪽으로 이동해서, 토너 배출구(10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이 프린터의 토너 공급 장치(7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토너 공급 유닛인 토너 공급 장치(70)는 4 개의 토너 병(100Y, 100C, 100M, 100K)이 배치되는 병 배치대(95); 각각의 토너 병을 개별적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병 구동부(96); 등을 구비한다. 병 배치대(95) 위에 설치된 토너 병(100Y, 100C, 100M, 100K)의 병 머리부는 병 구동 유닛(96) 안으로 삽입된다.
병 구동 유닛(96)에 장착되는 토너 병(100K)을 병 배치대(95) 상에서 도면에 화살표(X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병 구동 유닛(9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활주 이동시키면, 토너 병(100K)의 병 머리부가 병 구동 유닛(96)에서 이탈한다. 이렇게 해서 토너 공급 장치(70)에서 토너 병(100K)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토너 병(100K)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토너 공급 장치(70)에서는, 토너 병(100K)을 도면에서 화살표(X2)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배치대(95) 상에서 병 구동 유닛(9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활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토너 병(100K)의 병 머리부가 병 구동 유닛(96) 안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해서 토너 병(100K)이 토너 공급 장치(70)에 장착된다. 다른 색상의 토너(100Y, C, M)에 대해서도 위와 같은 조작을 행함으로써 토너 병들을 토너 공급 장치(70)에 탈착시킬 수 있다.
도 8은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된 토너 병의 병 본체(101)와 그 주위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도면 부호의 끝에 붙는 Y, M, C, K라는 첨자가 생략되어 있다. 이 도면에는 Y, M, C, K 중 어느 한 색의 병 본체(101)와, 토너 공급 장치의 부분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병 본체(101)의 병 머리부(101b) 바로 아래에는 토너 공급 장치의 호퍼부(71)가 위치된다. 병 본체(101)의 회전 구동에 따라 토너가 병 머리부(101b)의 토너 배출구(101c)를 통해서 떨어지고, 이어서 토너 호퍼부(71)로 진입한다.
호퍼부(71)는 도면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편평한 형상을 취하며, 이 도면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41)의 앞쪽에 위치되어 있다. 호퍼부(71) 내에서, 가요성 가압 필름(73)이 회전 가능한 회전축 부재(72)에 고정되어서, 회전축 부재(72)와 함께 회전한다. 호퍼부(71)의 내벽에는 토너 감지 센서(74)가 고정되고, 이 토너 감지 센서는 호퍼부(71) 내에서 토너의 유무를 감지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 필름(73)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포함되며, 그의 회전에 따라 토너를 토너 감지 센서(74)의 감지면을 향해 가압한다. 이에 따라, 토너 감지 센서(74)가 호퍼부(71) 내의 토너를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다. 토너 감지 센서(74)가 토너를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병 본체(101)의 회전 구동에 대한 제어가 수행된다. 따라서, 병 본체(101)가 충분한 양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는 한, 충분한 양의 토너가 병 머리부(101b)를 통해서 호퍼부(71) 안으로 떨어지고, 이에 의해 호퍼부(71)가 충분한 양의 토너로 채워진다. 위와 같은 상태가, 병 본체(101)를 자주 회전시킴에도 불구하고 토너 감지 센서(74)가 토너 감지를 못하게 되는 상태로 바뀌는 경우, 제어 장치는 병 본체(101) 내의 토너 잔류량이 적다고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토너 거의 끝"이라는 알림을 통지한다.
호퍼부(71)의 하부에 반송 노즐(75)이 연결되고, 호퍼부(71) 내의 토너는 자중에 의해 테이퍼면을 따라 미끄러져서 상기 반송 노즐(75) 안으로 떨어진다. 반송 노즐(75) 내에는 토너 공급 스크류(76)가 설치되고, 그 스크류의 회전 구동에 따라 토너가 반송 노즐(75)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가로 방향으로 반송된다.
반송 노즐(75)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는 낙하 안내 노즐(77)이 연결되는데,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자세로 연결된다. 낙하 안내 노즐(77)의 하단부는 현상 유닛(7)의 제 1 제수용실(9)의 토너 공급구(17)에 연결된다. 반송 노즐(75) 내의 토너 공급 스크류(76)가 회전하면, 토너가 반송 노즐(75)의 길이 방향 단부까지 반송되고, 낙하 안내 노즐(77)과 토너 공급구(17)를 통해서 현상 유닛(7)의 제 1 제수용실(9) 안으로 낙하한다. 이에 따라, 제 1 제수용실(9) 내로 토너가 공급된다.
다음으로, 이 프린터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토너 공급 장치의 병 구동 유닛(96)의 Y 병 장착부와 Y 토너 병(101Y)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병 구동 유닛(96)의 Y 병 장착부는 병 유지부(97Y), 뚜껑 당김 기구(80Y), 등을 구비한다. 병 유지부(97Y)는 병 구동 유닛(96)의 본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병 유지부(97Y)의 외주면에는 구동 수용 기어(98Y)가 설치된다. 구동 수용 기어(98Y)는 구동 전달 기어에 맞물려 있는 동안에 구동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병 유지부(97Y)가 회전 구동된다. 이렇게 회전 구동 가능한 병 유지부(97Y)에 토너 병(100Y)의 병 머리부(101bY)가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된다. 이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100Y)이 병 유지부(97Y)와 함께 병 구동 유닛(96)의 본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병 유지부(97Y)에는 뚜껑 당김 기구(80Y)가 설치된다. 뚜껑 당김 기구(80Y)는 토너 병(100Y)의 병 머리부(101bY)에서 뚜껑 부재(101cY)를 당겨서 머리부(101bY)의 토너 배출구(101c)를 열기 위한 것이다.
도 11은 뚜껑 당김 기구(80)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도면 부호의 끝에 붙는 Y, M, C, K라는 첨자가 생략되어 있다. 뚜껑 당김 기구(80)는 활주 로드(81), 후크(82), 유지통(83) 등을 구비한다. 유지통(83)은 브라켓으로 병 구동 유닛(96)에 움직이지 않게 부착된다. 활주 로드(81)가 유지통(83)을 관통해서 삽입되고, 도면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활주 이동할 수 있게 유지통(83)에 의해서 유지된다. 활주 로드(81)는 구동 유닛에 의해서 도면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면에서의 화살표(A) 방향은 토너 병의 길이 방향과 동일하다.
활주 로드(81)의 내주면으로부터 핀(81a)이 돌출된다. 또한, 유지통(83)에는 화살표(A)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83a)이 형성되고, 핀(81a)은 이 슬릿(83a)을 관통해서 활주 이동한다. 핀(81a)이 슬릿(83a)을 관통해서 활주 이동하므로, 활주 로드(81)의 로드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도면에서, 후크(82)가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향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활주 로드(81)의 로드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도 12는 활주 로드(81)가 도 11에 비해 더 전방(토너 병을 장착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 뚜껑 당김 기구(80)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활주 로드(81)가 도 11의 상태에 비해 약간 더 앞으로 이동하면, 핀(81a)이 그 이동에 따라 슬릿(83a)을 통해 안내되고, 활주 로드(81)의 원주 방향의 움직임이 안내되고, 이에 따라, 활주 로드(81)는 후크(82)가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자세를 취한다.
도 13은 활주 로드(81)가 도 12에 비해 더 전방(토너 병을 장착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한 상태에서 뚜껑 당김 기구(80)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활주 로드(81)가 도 12의 상태에 비해 약간 더 앞으로 이동하면, 핀(81a)이 그 이동에 따라 슬릿(83a)을 통해 안내되고, 활주 로드(81)의 원주 방향의 움직임이 안내되고, 이에 따라, 활주 로드(81)는 후크(82)가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자세를 취한다.
도 14는 토너 병의 뚜껑 부재(100)와 로드 유지 부재(101d)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로드 유지 부재(101d)는 병 본체(10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 점선은 토너 병의 원통 중심 축선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에 긴밀하게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뚜껑 부재(110)는 그 원반형 뚜껑 부재(110)의 중심 축선이 토너 병의 원통 중심 축선과 맞추어지도록 하는 자세를 취한다.
뚜껑 부재(110)는 원반형 뚜껑 본체(111); 뚜껑 본체(111)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병의 앞쪽(병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손잡이부(114); 그리고 뚜껑 본체의 배면의 중심으로부터 병 뒤쪽(병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안내 로드(120)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부(114)는 병의 앞쪽, 즉 뚜껑 부재를 인출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봉형 부분(112)과, 봉형 부분(112)의 단부에 설치된 대경부(113)를 구비한다.
병 본체의 내주면에 로드 유지 부재(101d)가 부착되고, 이 로드 유지 부재는 토너 병의 중심 축선에 위치된 유지 구멍, 즉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뚜껑 부재(110)의 안내 로드(120)가 상기 유지 구멍 안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로드 유지 부재는 뚜껑 부재(110)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뚜껑 당김 기구(80)는 도 11 내지 도 12의 움직임에 따라 후크(82)에 뚜껑 부재(110)의 손잡이부(114)의 대경부(113)가 걸려 있는 동안에 뚜껑 부재(110)를 병의 앞쪽을 향해 당기면서 이동시킨다. 따라서, 토너 병의 머리부에 맞닿아 있는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에서 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서, 뚜껑 당김 기구(80)의 활주 로드(81)가 활주 이동 방향에서 홈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후크(8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 있는 뚜껑 부재(110)의 손잡이부(114)의 대경부(113)에 걸리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상기 상태로부터 뚜껑 당김 기구(80)의 활주 로드(81)가 도면에서 약간 전방(토너 병을 장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로 바뀌는 동안,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부재(82)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원통 중심 축선(가상선)에 대해 비스듬히 위쪽(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후크는 뚜껑 부재(110)의 대경부(113)에 걸려 있는 동안에 뚜껑 부재(110)를 병 머리부(101b)로부터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인출한다.
뚜껑 부재(110)가 위와 같이 인출되므로, 뚜껑 부재(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히 위쪽으로 향하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병 머리부(101b)의 토너 배출구(101c)와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된 뚜껑 부재(1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는 수직 방향에서 동일하지 않게 된다. 간극의 수직 방향에서의 전체 영역과 관련해서, 토너가 통과하는 하단부의 영역은 공기가 통과하는 상단부의 영역보다 크다. 이에 따라, 토너가 통과하는 하단부의 영역에서 토너 배출구(101c)와 뚜껑 부재(110) 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서 토너를 양호하게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토너가 통과하지 않는 상단부의 영역에서는, 토너 배출구(101c)와 뚜껑 부재(110) 간의 거리가 작아져서 공기의 취입이 감소하므로, 병 머리부(101b)로부터 용기 외부로의 토너 비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뚜껑 부재(110)를 원통 중심 축선을 따라 똑바로 인출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상기 상단부의 영역에서의 뚜껑 부재(110)와 병 머리부(101b) 간의 거리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인출되는 동안, 뚜껑 부재(110)의 배면에서 병 뒤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안내 로드(120)는 기울어진 자세를 취한다. 안내 로드(120)가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내 로드(120)를 활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과 안내 로드(120)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이 마련된다.
도 19는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 주위에 마련된 테이퍼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20은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 주위에 마련된 테이퍼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21은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 주위에 마련된 테이퍼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확대 구성도이다. 상기 예들 중 임의의 예에서, 테이퍼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한 각도 β는 뚜껑 부재(110)가 인출되는 각도 α보다 크다. 이러한 테이퍼를 마련함으로써, 유지 구멍의 직경을 어느 정도까지 감소시킬 수 있어서 안내 로드(120)의 백래쉬가 방지될 수 있고, 그러면서도 안내 로드(120)가 유지 구멍 내에서 당김 각도 α로 경사진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도 22는 뚜껑 부재의 배면 측에서 바라본, 뚜껑 부재(110)의 사시도 및 배면도이다. 뚜껑 부재(110)의 뚜껑 본체(111)의 배면에는, 뚜껑 본체(11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외경을 가지며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링형 밀봉 부재(115)가 설치된다. 뚜껑 본체(111)의 배면에는 또한, 뚜껑 부재(110)가 뒤로 당겨지는 방향으로(병의 뒤쪽으로) 돌출하는 원통형(구체적으로는, 절두 원추형) 마개 부재(116)가 설치된다.
도 23은 병 머리부(101b)와, 병 머리부로부터 인출된 뚜껑 부재(110)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병 머리부(101b)와, 병 머리부에 맞닿아 있는 뚜껑 부재(100)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병 머리부(101b)에는 토너 배출구(101c)를 둘러싸는 링형 돌기(101b-1)가 설치되고, 이 링형 돌기(101b-1)는 병 머리부(101b)의 링형 가장자리면(101b-2)에서 솟아 있다. 링형 가장자리면(101b-2)은 링형 돌기(101b-1)에 비해 외주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서 토너 배출구(101c)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뚜껑 부재(110)의 링형 밀봉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의 가장자리면(101b-2)에 맞닿아서 탄성 변형된다. 이에 따라, 토너 배출구(101c)의 밀봉 성능이 확보되어서, 토너 배출구(101c)를 통한 병 외부로의 토너 비산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은 때에, 뚜껑 본체(111)의 배면에서 병의 뒤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마개 부재(116)는 병 머리부(101b) 내부에서 토너 배출구(101c) 내측에 위치된다.
도 25는 토너 배출구(101c)를 통해서 배출되는 토너의 거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가 병 머리부(101b)의 토너 배출구(101c)를 통해 배출될 때, 토너는 병 머리부(101b)에 있어서 병의 단부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링형 돌기(101b-1)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질 수 있게 토너 배출구(101c)에서 배출된다. 이 때, 토너는 링형 돌기(101b-1)와 맞닿게 되므로, 그 링형 돌기에 많은 양의 토너가 부착된다. 그러나, 가장자리면(101b-2)은 링형 돌기(101b-1)에 비해 병의 뒤쪽에 위치하므로, 가장자리면(101b-2)에는 토너가 접촉하지 않게 된다.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 있을 때에 밀봉 부재(115)에 맞닿아 있는 가장자리면(101b-2)에는 토너가 접촉하지 않으므로, 가장자리면(101b-2)에 부착될 토너가 가장자리면(101b-2)과 밀봉 부재(115) 사이에 개재됨으로 인해 야기되는 밀봉 성능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6은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병 머리부(101b)의 링형 돌기(101b-1)의 원주 방향의 전체 영역 상의 소정의 위치에 노치(K)가 마련된다. 이 노치(K)는,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 있을 때에, 토너를 밀봉시킨 상태에서 토너 병(100)의 안과 밖으로 공기를 출입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토너 병(100) 내의 공기는 노치(K) 및 밀봉 부재(도 24에서 도면 부호 115)를 통해서 병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스폰지 등의 다공질 재료로 구성되고 그 구멍의 직경은 토너보다 작으므로, 공기만 통과가 허용된다. 또한 토너 병(100) 밖의 공기는 밀봉 부재와 노치(K)를 통해 토너 병(100) 안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밀봉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공기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므로, 토너 병(100) 내의 기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토너 병(100)이 회전 구동될 때, 뚜껑 부재(110)는 토너 병(100)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병 본체(101)만 회전하고, 손잡이부(114)는 후크에 걸려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하지 않는 안내 로드(120)가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의 내벽 상에서 활주하게 되어, 토너가 그 활주 부위에 마찰하여 토너 응집 덩어리의 발생이 조장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프린터에서는,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된 뚜껑 부재(110)가 토너 병(100)의 병 본체와 함께 회전한다.
도 27은 병 머리부(101b)와 뚜껑 부재(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으로서 다이아몬드형이 채용된다. 또한, 단면 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인 안내 로드(1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안내 로드(120)의 단면은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보다 작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이 모두 원형인 경우, 병 본체(101)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로드 유지 부재(101d)는 안내 로드(120) 둘레에서 겉돈다. 반면에, 본 프린터에 있어서처럼,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이 모두 다이아몬드형인 경우, 안내 로드(120)의 단면의 가장자리가 유지 구멍의 내벽에 꽂히고, 이에 따라 안내 로드(120)는 물론이고 뚜껑 부재(110)도 병 본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은 다이아몬드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이 다각형인 경우, 다이아몬드형과 동일한 효과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을 다른 다각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안내 로드(120)의 길이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대해 비스듬히 열린 상태에서 안내 로드(120)의 단부가 원통 중심 축선보다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하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토너 병(100)이 회전 구동함에 따라 토너 병(100) 내의 토너가 안내 로드(120)의 단부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교반 패들(128) 또는 도 30에 도시된 교반 날개(129) 등과 같은 토너 교반을 용이하게 하는 날개 부재를 안내 로드(120)의 단부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내 로드(120)를 사용해서 토너를 더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병 머리부(101b)의 내주면에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선형 돌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병 머리부(101b)에서의 토너 배출을 촉진하여 병 머리부(101b)에 토너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의 단부에 설치된 손잡이부(114)의 대 경부(113)와 봉형 부분(112) 사이의 경계 부분에는, 뚜껑 부재(110)의 후단 측에서 선단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테이퍼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114)의 봉형 부분(112)의 내주면과 대경부(113)의 경계 부분이 실질적으로 90°의 각도를 취하게 된다. 뚜껑 당김 기구의 후크(82)는 90°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기 내주면과 배면(대경부(113) 중에서도 봉형 부분(112)에 더 근접한 표면) 사이에 끼워지는데, 이 때 한쪽 가장자리는 상기 내주면에 맞닿게 되고 다른 쪽 가장자리는 상기 배면에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장자리와 상기 내주면 또는 배면 간의 마찰 저항이 아주 커지고, 그에 따라 구동 부하가 증대된다.
반면에,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경부(113)와 봉형 부분(112) 사이의 경계 부분에 테이퍼를 마련한 경우에는, 그 테이퍼와 봉형 부분(120)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도는 90°보다 크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큰 각도를 이루고 있는 상기 테이퍼와 상기 내주면 사이에 끼워지는 후크(82)의 가장자리와 테이퍼 또는 내주면 간의 마찰 저항이 감소된다. 이에 따라, 구동 부하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병 머리부(101b)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본체(101)에 맞물린다. 구체적으로, 병 머리부(101b)와 병 본체(101)는 개별적으로 성형된 후 서로 맞물려진다. 병 머리부(101b)의 외주면 상의, 병 본체(101)와 병 머리부(101b) 간의 경계에는 지그를 삽입하기 위한 지그 삽입 홈(101f)이 마련된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 삽입 홈(101f)의 병의 횡단면 방향에서의 길이 b는 병의 축선 방향에서의 길이 a보다 더 길다. 지그(900)를 지그 삽입 홈(101f) 안으로 삽입시켜서 회전시킴으로써 병 머리부(101b)가 병 본체(101)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실시형태의 프린터에 더 특징적인 구성이 부가된 각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으면, 각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것과 동일하다.
[제 1 실시예]
도 36은 뚜껑 부재(110)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맞닿아 있는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37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뚜껑 부재(110)가 인출되어 있는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안내 로드(120)의 후단에는 스프링 수용 부재(121)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안내 로드(120)는 스프링 수용 부재(121)와 로드 유지 부재(101d) 사이에 개재된 코일 스프링(122)을 구비한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된 때, 안내 로드(120)의 후단에 설치된 스프링 수용 부재(121)와 로드 유지 부재(101d) 간의 거리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22)이 압축된다.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 있는 중에, 그 뚜껑 부재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100)의 원통 중심 축선을 따라서 존재하는 자세를 취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22)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때에, 코일 스프링(122)은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기울어진 뚜껑 부재(110)를 병 머리부(101b) 쪽을 향해 뒤로 당겨서, 그 뚜껑 부재(110)를 원통 중심 축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킨다. 그러나, 뚜껑 당김 기구의 후크가 뚜껑 부재(110)를 여는 위치에 머물러 있을 때에, 후크는 뚜껑 부재(110)가 뒤로 당겨지는 것을 저지한다. 뚜껑 당김 기구가 구동 로드를 이동(토너 병을 장착시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크를 후퇴시킨 때, 뚜껑 부재(110)는 코일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의해 강제로 병 머리부(101b)와 맞닿게 되는 위치까지 뒤로 당겨져서, 그 뚜껑 부재(110)의 자세가 원통 중심 축선을 따르는 똑바른 자세로 교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세를 복귀시키는 유닛인 코일 스프링(122)이 뚜껑 부재(110)를 병 머리부(101b)와 맞닿게 되는 위치까지 강제로 뒤로 당겨서, 그 자세를 강제로 똑바른 자세에 놓이도록 하고, 그래서, 뚜껑 당김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뚜껑 부재(110)를 닫기 위해 뚜껑 당김 기구에 의해 수행되는 작동이 고정밀도로 설정되지 않는다 해도, 뚜껑 부재(110)를 병 머리부(101b)에 제대로 맞물리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뚜껑 당김 기구의 작동을 고정밀도를 설정함이 없이 뚜껑 당김 기구의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22)이 뚜껑 부재(110)를 뒤로 당길 때, 안내 로드(120)가 로드 유지 부재(101d)의 유지 구멍을 관통해서 활주 이동하고, 이에 의해 뚜껑 부재(110)를 원래의 똑바른 자세로 되돌아 갈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다.
도 38은 뚜껑 부재(110)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뚜껑 부재(110)의 원통형(더 구체적으로는 절두원추형)의 마개 부재(116)의 법선 방향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테이퍼면(116a)을 마련되는데, 상기 테이퍼면(116a)은 원반형 뚜껑 부재(110)의 원 중심 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마개 부재(116)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테이퍼면(116a)의 외측 가장자리의 직경은, 마개 부재(116)에 있어서 뚜껑 부재(110)의 배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상승부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양자 간의 원통 축선 방향의 위치에는 직선 단차부(116b)가 마련되어 있다.
도 39는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닫혀 있는 중에 그 뚜껑 부재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편의상 코일 스프링(12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뚜껑 부재(110)가 코일 스프링의 힘에 의해 병 머리부(101b)와 맞닿게 되는 위치를 향해 뒤로 당겨지는 도중에, 뚜껑 부재(110)는 때로는 뚜껑 부재의 경사진 자세가 충분히 똑바로 되기 전에 맞닿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마개 부재(116)의 테이퍼면(116a)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머리부(101b)의 링형 돌기(101b-1)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뚜껑 부재(101)의 위치가 똑바른 자세로 교정된다. 이에 따라, 뚜껑 부재(110)를 오장착 없이 병 머리부(101b)에 맞닿게 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완전히 맞닿기 바로 직전에, 마개 부재(116)의 단차부(116b)의 표면이 병 머리부(101b)의 링형 돌기(101b- 1)의 내벽에 접촉하게 된다. 단차부(116b)의 표면과 링형 돌기(101b-1)의 표면은 모두가 원통 축선 방향(일점쇄선)으로 연장되므로, 단차부(116b)는 마개 부재(116)를 링 돌기(101b-1) 내부에서 원통 축선 방향에서 병 선단 측으로부터 후단 측으로 이동하게 안내한다. 이에 따라,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 완전히 맞닿기 바로 직전에, 뚜껑 부재(110)는 원통 축선 방향에서 병 선단 측으로부터 후단 측을 향해 똑바로 안내되어, 병 머리부(101b)에 정확하게 맞닿게 된다.
이 도면에서, D는 로드 유지 부재(101d)를 유지하기 위한 개구인 유지 구멍의 내경인 유지 구멍 내경을 나타낸다. 또한, d는 안내 로드(120)의 외경인 로드 외경을 나타낸다. 또한, BD는 링 돌기(101b-1)의 내경인 링 돌기 내경을 나타낸다. 또한, LD는 마개 부재(116)의 외경인 마개 외경을 나타낸다. 또한, G는 밀봉 부재의 내경과 마개 부재(116)의 내경 간이 차이의 1/2을 나타낸다. 또한, E는 손잡이부(114)의 봉형 부분(112)의 외경인 로드 외경을 나타낸다. 또한, F는 손잡이부(114)의 대경부(113)의 외경인 대경부 외경을 나타낸다.
본 프린터에 있어서, 유지 구멍 내경 D와 로드 외경 d 간의 차이는 마개 부재(116)의 테이퍼(116a)의 내경과 밀봉 부재(115)의 외경 간의 차이(도면에서 G X 2)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작다(D-d ≤ G). 이러한 구성으로는,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를 닫는 중에, 마개 부재(116)의 테이퍼면(116a)이 병 머리부(101b)의 링형 돌기(101b-1)에 맞닿게 되는 것이 보장되어서, 뚜껑 부재(110)의 자세가 똑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다.
또한, 본 프린터에 있어서, 링형 돌기 내경 BD와 마개 부재 외경 LD 간이 차이는 대경부 외경 F와 로드 외경 E 간의 차이보다 작다(φBD-φLD < F). 이러한 구성으로는, 토너 병(100)을 장착할 때, 뚜껑 부재(110)의 손잡이부(114)의 대경부(113)가 뚜껑 당김 기구의 후크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토너 병(100)을 확실하게 병 구동 유닛 안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마개 외경 LD와 밀봉 부재(115)의 내경 간의 차이(마개 부재(116)와 밀봉 부재(115) 간의 간격)는 약 2mm 내지 3mm이다.
[제 2 실시예]
도 41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42는 프린터 안의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뚜껑 부재(110)에 안내 로드가 마련되지 않는다. 또한, 병 머리부(101b)의 내부에 로드 유지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다. 대신에, 병 머리부(101b)의 내부에 스프링 고정 부재(101g)가 마련된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122)의 일단이 뚜껑 부재(110)의 배면에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122)의 타단이 스프링 고정 부재(101g)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22)과 스프링 고정 부재(101g)의 조합은, 병 머리부(101b)로부터 인출되어서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뚜껑 부재(110)를, 원통 중심 축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자세 복귀 유닛으로 기능한다. 본 프린터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22)은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 있는 뚜껑 부재(110)에, 그 뚜껑 부재를 원통 중심 축선(도면에서 일점쇄선)을 따라 병 머리부(101b) 쪽을 향해 당기는 힘을 가한다. 또한,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로부터 인출되고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는 중에 코일 스프링(122)이 굽혀졌을 때, 코일 스프링(122)은 뚜껑 부재(110)를 원통 중심 축선을 따르는 자세로 교정하는 힘(코일 스프링(122)의 복원력)을 뚜껑 부재(110)에 가한다. 이에 따라, 기울어져 있는 뚜껑 부재(100)가 똑바른 상태로 병 머리부(101b)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병 머리부(101b)의 원통 중심축선 방향에서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해도 뚜껑 부재(110)를 양호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43은 제 2 실시예의 프린터의 변형 예에 따른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이 변형 예에서 사용된 코일 스프링(122)은 그 외경이 병 머리부(101b)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같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되어서 코일 스프링(122)이 연장된 때, 코일 스프링(122)의 형상은 나선 형상으로 변한다. 이러한 나선 형상은 병 머리부(101b) 내의 토너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토너 배출구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병 머리부(101b)의 내주면에 나선 돌기를 마련하지 않고도 병 머리부(101b) 내에 토너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4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45는 프린터 안의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는 병 머리부(101b)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 코일 스프링(122)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병 머리부(101b)의 내부에 스프링 고정 부재가 마련되지 않는다. 게다가, 코일 스프링(122)의 선단이 뚜껑 부재(110)의 배면에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122)의 후단이 병 머리부(101)의 가장자리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뚜껑 부재(11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22)이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머리부(101b)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 부재(11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122)의 코일들 사이의 간극을 통해 토너가 배출된다. 코일 스프링(122)이 병 머리부(101b)의 일부로 기능하므로, 저비용으로 병 머리부(101b)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4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맞닿고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47은 프린터 안의 토너 병(100)의 뚜껑 부재(11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는, 병 머리부(101b) 내부에 로드 유지 부재(101h)가 마련되고, 상기 로드 유지 부재(101h)는 원형 핀 수용부를 구비한다. 뚜껑 부재(110)의 안내 로드(120)는 로드 유지 부재(101h)의 원통형 수용부 안에 삽입되어서 이 수용부를 관통해서 원통 길이 방향으로 활주 이동한다.
또한, 안내 로드(120)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 부재(110)가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된 때, 로드 유지 부재(101h)로부터 돌출하는 안내 로드(120)의 부분이 원통 축선 방향에 비스듬히 굽혀진다. 이 굽힘으로 인해, 뚜껑 부재(110)의 사선 이동이 허용되고, 안내 로드(120)가 뚜껑 부재(110)에, 뚜껑 부재(110)를 원통 중심 축선 방향을 따르는 똑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힘을 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안내 로드(120)와 로드 유지 부재(101h)의 조합이 자세 복귀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코일 스프링을 마련하지 않고도, 뚜껑 부재가 병 머리부(101b)에 맞닿게 될 때에 뚜껑 부재(110)의 자세를 똑바른 자세로 교정시킬 수 있다.
도 4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의 토너 병의 병 머리부(101b)와 뚜껑 부재(11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로드 유지 부재(101h)의 핀 수용부 구멍의 평면 형상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형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단면 형상이 다이아몬드형인 안내 로드(120)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다. 안내 로드(120)의 단면은 로드 유지 부재(101h)의 핀 수용부의 구멍보다 작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이 모두 원형이면, 병 본체와 함께 회전 구동되는 로드 유지 부재(101h)는 안내 로드(120) 둘레에서 겉돌게 된다. 반면에, 본 프린터에 있어서처럼,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이 모두 다이아몬드형인 경우, 안내 로드(120)의 단면의 가장자리(모서리부)가 유지 구멍의 내벽 또는 모서리부에 꽂히고, 이에 따라 안내 로드(120)와 뚜껑 부재(110)가 병 본체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유지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은 다이아몬드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 다이아몬드형과 동일한 효과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구멍의 평면 형상과 안내 로드(120)의 단면 형상을 다른 다각형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49는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1 변형 예에 따른 뚜껑 부재(110)와 로드 유지 부재(101h)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1 변형 예에서, 벨로우즈 모양의 형상을 취하는 안내 로드(120)가 사용된다. 안내 로드(120)는 벨로우즈 모양의 형상으로 인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안내 로드(120)의 벨로우즈 모양의 형상으로 인해, 병 머리부(101b)에서 인출된 뚜껑 부재(110)에, 이 뚜껑 부재의 자세를 똑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50은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2 변형 예에 따른 뚜껑 부재(110)와 로드 유지 부재(101h)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또한, 도 51은 제 2 변형 예에 따른 안내 로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2 변형 예에 따른 프린터에서는, 비교적 경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된 안내 로드(120)가 사용된다. 안내 로드(120)가 단순한 핀 형상인 경우, 안내 로드를 똑바른 자세에서 휘기 어렵다. 그러나, 제 4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안내 로드(120)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공부(120a)가 마련된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공부는 안내 로드(120)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어떤 이유로 인해 고경도 재료를 안내 로드(120)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안내 로드(120)를 유연하게 굽힐 수 있으며, 안내 로드(120)를 자세 복귀 유닛의 일부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2는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3 변형 예에 따른 뚜껑 부재(110)와 로드 유지 부재(101h)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3 변형 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신축성 재료가 안내 로드(120)용으로 사용된다. 그 신축력으로 인해, 안내 로드(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하게 굽혀질 수 있고, 자세 복원 수단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53은 제 4 실시예의 프린터의 제 4 변형 예에 따른 병 머리부(101b)를 도시하는 확대 구성도이다. 제 4 변형 예에 따른 프린터에서는, 로드 유지 부재(101h)의 핀 수용부의 외주면에 스크류 날개(101j)를 세워지게 설치한다. 토너 병(100)이 회전 구동될 때, 스크류 날개(101j)는 병 본체와 로드 유지 부재(101h)와 함께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병 머리부(101b)의 토너가 토너 배출구(101c)를 향해 반송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토너 병(100)은 병 머리부(101b)를 중력 방향에서 아래로 향하게 하여 장기간 보관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토너가 병 머리부(101b) 내에서 압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초기 운전 중에 스크류 날개(101j)를 사용하여 압축된 토너를 병 머리부(101b)에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날개(101)는, 로드 유지 부재(101h)의 핀 수용부의 외주면 대신에, 핀 수용 부로부터 돌출하는 안내 로드(120)의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는, 토너 병(100)이 토너 공급 장치(70)(프린터)에 부적절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토너 병(100)이 토너 공급 장치(70)(프린터)에 부적절하게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은 전술한 제 1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 5 실시예와 관련하여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토너 공급 유닛으로서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10-48935호)에 기재된 토너 공급 유닛이 알려져 있다. 도 67은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토너 공급 장치에 장착되는 토너 용기인 토너 병(901)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원통형 토너 병(901)은 그의 주변 벽에 나선 홈(903)을 구비한다. 이 나선 홈(903)은 엠보싱 되게 형성되므로, 용기의 외측에서 볼 때에는 나선형의 홈이고, 용기의 내측에서 볼 때에는 나선형 돌기이다. 토너 병(901)이 구동 유닛에 의해 원통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때, 용기 내의 토너가 홈(903)의 움직임에 의해 용기 후단 측에서 선단 측을 향해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어서, 토너가 용기의 단부에 마련된 토너 배출구를 통해 용기 밖으로 배출된다.
토너 병(901)의 단부에는 외주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변 돌기(902)가 설치된다. 주변 돌기(902)들은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901)의 외주면 상에서 원통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69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토너 공급 장치(910)의 관련 부품을 도시한 관련 부품 구성도이다. 토너 공급 장치(910)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모자 모양의 커플링(911), 이 커플링(91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913), 등을 구비한다. 커플링(91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구멍을 횡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커플링은 그의 주변 벽에 맞물림 절결부(912)를 구비한다.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911) 안으로 토너 병(901)의 단부가 삽입된다. 여기서, 토너 병(901)의 주변 돌기(902)가 커플링(911)의 맞물림 절결부(912)에 맞물린다. 구동 모터(913)의 구동에 의해 커플링(911)이 회전 구동할 때, 커플링(911)의 맞물림 절결부에 주변 돌기(902)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토너 병(901)이 커플링(911)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커플링(911)과 함께 회전 구동한다. 토너 병(901)이 위와 같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병 내의 토너가 병의 단부의 토너 배출구를 향해 반송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토너 공급 장치(910)에서 작업자가 토너 병(901)을 커플링(911)에 삽입시킬 때에, 작업자는 토너 병(901)의 위치를 커플링(911)에 대해 회전 방향으로 정렬시켜야 하고, 그래서, 위치 조정에 시간이 소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901)의 외주면 상에 2개의 주변 돌기(902)들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9는 주변 돌기(902)가 맞물리는 맞물림 절결부(912)를 하나만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커플링(911)의 주변 벽 상의, 도시된 맞물림 절결부(912)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는 위치에도 맞물림 절결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2개의 맞물림 절결부(912)에 토너 병(901)의 2개의 주변 돌기(902)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토너 공급 장치(910) 상에 놓이는 토너 병(901)을 커플링(911) 쪽으로 밀어 넣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위치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 조정은, 토너 병(901)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면서 토너 병(901)의 2개의 주변 돌기(902)의 위치를 회전 방향에서 커플링(911)의 2개의 맞물림 절결부(912)에 맞추는 것이다. 작업자가 이러한 위치 조정을 하는 데에는 시간이 소비된다.
다음으로, 본 프린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토너 병(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7은 토너 병(100)의 병 머리부(101b)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머리부(101b)에는 외주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된 주변 돌기(131)가 설치되어 있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돌기(131)들이 병 머리부(101b)의 외주면 상에서 원통 중심 축선(L1)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59는 토너 공급 장치(70)의 용기 유지 유닛(78)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이 용기 유지 유닛(78)은 도 9에 도시된 병 구동 유닛(9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병 구동 유닛(96)을 향해 밀어 넣어지는 토너 병(100)의 병 머리부(101b)를 내부로 받아들여서 토너 병(100)을 유지시킨다. 또한, 4 개의 병 유지 유닛(78)이 상기 병 구동 유닛(96)에 설치되며, 이들은 각각 Y, C, M, K의 4 색에 대응하지만, 도 59에서는 그들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9에서는 도면 부호의 끝에 붙는 Y, C, M, K라는 첨자가 생략되어 있다.
용기 유지 유닛(78)은, 이 용기 유지 유닛(78)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 토너 병의 병 머리부(101b)의 주변 돌기(131)들과 맞물리는 2개의 절결부(78a)를 구비한다. 이 절결부(78a)들은 용기 유지 유닛(78)의 회전 중심 축선(L2)을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용기 유지 유닛(78)에는 테이퍼면(78c)이 마련되는데, 상기 테이퍼면(78c)은 병을 밀어 넣는 방향에서의 절결부(78a)의 상류 측의 위치를 기점으로 해서, 병을 밀어 넣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결부(78a)의 입구까지 이른다.
작업자가 토너 병(100)을 토너 공급 장치(70)의 병 배치대(95) 위에 놓으면,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100)의 회전 중심 축이 용기 유지 유닛(78)의 회전 중심 축선의 연장선 상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토너 병(100)을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공급 장치의 용기 유지 유닛(78)을 향해 활주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병(100)의 주변 돌기(131)가 결국에는 용기 유지 유닛(78)의 테이퍼면(78c)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병(100)을 용기 유지 유닛(78)을 향해 더 밀어 넣으면,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병(100)의 주변 돌기(13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과 수직 방향에서 위쪽으로 움직이는 힘이 테이퍼면(78c)에 가해진다. 그러면, 용기 유지 유닛(78)이 후자의 힘에 의해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용기 유지 유닛(78)에 마련된 절결부(78a)의 입구가 회전 방향에서 주변 돌기(131)의 위치까지 정렬되어서,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78a)에 주변 돌기(131)가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 다음, 토너 병(100)이 도 63에 도시된 위치까지 밀어 넣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장치에 있어서는, 토너 병(100) 병 머리부(101b)를 토너 공급 장치의 용기 유지 유닛(78) 안으로 밀어 넣을 때, 용기 유지 유닛(78)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용기 유지 유닛(78)의 절결부(78a)의 입구가 주변 돌기(131)와 정렬된다. 따라서, 토너 병(100)의 위치를 회전 방향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토너 병(100)을 토너 공급 장치 안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돌기(131)들이 토너 병(100)의 병 머리부(101b)의 외주면 상에서 원통 중심 축선(L1)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지 유닛(78)은 주변 돌기(131)들 중 하나를 수용하는 절결부(78a)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 유지 유닛은 주변 돌기(131)들 중 다른 하나를 수용하는 절결부(78a)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절결부(78a)들은 원통 중심 축선(L2)을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용기 유지 유닛(78)은 상기 주변 돌기(131)들 중 한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78c)과, 상기 주변 돌기(131)들 중 다른 하나의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78c)을 구비한다. 상기 테이퍼면(78c)들은 원통 중심 축선(L2)을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토너 병(100)을 어떠한 회전 각도 및 자세로 용기 유지 유닛(78)을 향해 밀어 넣는다 해도, 주변 돌기(131)들 중 어느 하나의 주변 돌기가 테이퍼면(78c)들 중 어느 한 테이퍼면에 확실히 맞닿게 된다. 또한, 주변 돌기(131)들 중 다른 하나가 테이퍼면(78c)들 중 다른 하나에 확실히 맞닿게 된다. 이 결과, 토너 병(100)을 어떠한 회전 각도 및 자세로 용기 유지 유닛(78)을 향해 밀어 넣는다 해도, 용기 유지 유닛(78)을 확실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이 회전으로 인해, 2개의 절결부(78a)들이 주변 돌기(131)들에 각각 정렬될 수 있다.
토너 병(100)의 2개의 주변 돌기(131)들의 폭이 같다. 또한, 용기 유지 유닛(78)의 2개의 절결부(78a)들의 폭이 같다. 따라서, 주변 돌기(131)들 중 하나가 2개의 절결부(78a)들 중 하나에 수용되고 주변 돌기(131)들 중 다른 하나가 2개의 절결부(78a)들 중 다른 하나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너 병(100)을 어떠한 회전 각도 및 자세로 용기 유지 유닛(78)을 향해 밀어 넣는다 해도, 2개의 절결부(78a)들 각각이 주변 돌기(131)와 확실하게 정렬된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머리부(101b)에는 상기 주변 돌기(131) 외에 오장착 방지 돌기(132)도 설치된다. 오장착 방지 돌기(132)는 병을 밀어 넣는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에서의 주변 돌기(131)의 상류 측의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장착 방지 돌기(132)들이 병 머리부(101b)의 외주면 상에서 원통 중심 축선(L1)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의 위치는 병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서로 같다.
또한,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지 유닛(78)에 2개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가 원통 중심 축선(L2)을 기준으로 서로 점대칭인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2개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는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를 각각 수용한다. 용기 유지 유닛(78)의 회전에 따라, 용기 유지 유닛(78)의 절결부(78a)가 토너 병(100)의 주변 돌기(131)에 정렬되고, 이와 동시에 후속한 정렬이 행해진다. 즉,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지 유닛(78)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는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와 회전 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정렬이 행해진 후,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가 용기 유지 유닛(78)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에 수용된다.
도 57은 Y, C, M, K용 토너 병(100)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있다. Y, C, M, K용 토너 병(100)은 다른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또한 Y, C, M, K용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의 설치 위치도 원주 방향에서 서로 다르다.
또한, 도 59는 Y, C, M, K용 용기 유지 유닛(78)들 중 어느 하나로서 도 57에 도시된 토너 병(100)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Y, C, M, K용 용기 유지 유닛(78)들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들의 설치 위치는 원주 방향에서 서로 다르다.
아래에서는, 도 59에 도시된 용기 유지 유닛(78)이 Y, C, M, K 중 Y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본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용기 유지 유닛(78Y)에 C용 토너 병(100C)이 장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지 유닛(78Y)의 절결부(78aY)는 토너 병(100)의 주변 돌기(131)와 정렬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용기 유지 유닛(78)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Y)의 위치가 토너 병(100C)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C)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토너 병(100C)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C)가 용기 유지 유닛(78Y)의 테이퍼면(78cY)에 걸려서, 용기 유지 유닛(78Y)에 토너 병(100C)을 장착하는 것이 저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프린터에서는, 용기 유지 유닛(78)에 장착할 토너 병(100)이 그 용기 유지 유닛(78)의 대응 색과는 다른 색인 경우, 상기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2)가 상기 용기 유지 유닛(78)의 테이퍼면(78c)에 걸린다. 이에 따라, 용기 유지 유닛(78)에 다른 색상의 토너 병(100)이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8에서, 토너 병(100)의 2개의 오장착 방지 돌기(131)들의 폭은 같다. 또한, 도 59에서, 용기 유지 유닛(78)의 2개의 오장착 방지 활주 절결부(78b)들의 폭이 같다. 또한, 이 폭은 도 58에 나타낸 주변 돌기(131)의 폭보다 좁다. 따라서, 토너 병(100)의 주변 돌기(131)를 오장착 방지 활주 절결부(78b) 안으로 잘못 진입시킴이 없이 절결부(78a) 안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도 65는 용기 유지 유닛(78)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와 토너 병의 오장착 방지 돌기(131)의 주위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은 토너 병이 밀어 넣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용기 유지 유닛(78)의 제 1 테이퍼 부분(78c-1)은 가압 방향에서 볼 때에 테이퍼면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의 상류 측에 있는 테이퍼 부분이다. 또한, 제 2 테이퍼 부분(78c-2)은 가압 방향에서 볼 때에 테이퍼면의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의 하류 측에 있는 테이퍼 부분이다. 또한, 가상 연장선(L3)은 제 1 테이퍼 부분(78c-1)의 테이퍼를 가압 방향에서 하류 측을 향해 연장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프린터에서는, 제 2 테이퍼 부분(78c-2)의 테이퍼는 가압 방향에서 볼 때에 가상 연장선(L3)의 하류 측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의 가장자리(E)가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1)에 걸리는 일이 없이 오장착 방지 돌기(131)가 테이퍼면 상에서 부드럽게 활주할 수 있다.
반면에,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테이퍼 부분(78c-2)의 테이퍼는 가상 연장선(L3)과 같은 위치에 마련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장착 방지 절결부(78b)의 가장자리(E)가 토너 병(100)의 오장착 방지 돌기(131)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는 용기 유지 유닛(78)에 복수의 절결부(78a)가 설치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절결부(78a)를 하나만 설치한 것으로도, 용기 유지 유닛(78)의 회전에 따라 절결부(78a)를 병 머리부(101b)의 주변 돌기(131)를 향해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1에 도시된 테이퍼면(78c)을 마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토너 용기의 위치를 회전 방향으로 조정함이 없이 원통형 토너 용기를 토너 공급 유닛의 용기 유지 유닛을 향해 밀어 넣어서, 토너 용기의 단부 상의 주변 돌기를 토너 공급 유닛의 용기 유지 유닛의 테이퍼면에 접촉시키게 된다. 그 다음, 토너 용기를 토너 공급 수단의 용기 유지 유닛을 향해 더 밀어 넣는다. 그러면,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토너 용기의 주변 돌기가 용기 유지 유닛의 테이퍼면 상에서 활주하면서 용기 유지 유닛을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따라, 용기 유지 유닛에 설치된 맞물림부의 입구가 회전 방향에서 토너 용기의 주변 돌기로 접근하는 이동을 하여 주변 돌기의 위치와 정렬되어서, 맞물림부가 주변 돌기와 맞물린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토너 용기의 단부를 토너 공급 유닛단의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밀어 넣을 때, 용기 유지 유닛은 토너 용기의 주변 돌기와의 맞닿음으로 인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기 유지 유닛의 맞물림부의 입구를 토너 용기의 주변 돌기에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토너 용기의 위치를 회전 방향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토너 용기를 토너 공급 유닛 안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예는 오로지 일례이며, 본 발명은 다음의 태양 각각과 관련하여 특유의 효과를 일으킨다.
[태양 A]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을 형성하는 토너상 형성 유닛(예: 화상 형성 유닛(1) 및 광학 기록 유닛(20))과; 토너 용기(예: 토너 병)의 토너 배출구(예: 토너 배출구(101c))를 토너 용기에 대해 측방으로 대면하게 하는 자세로, 토너 용기를 유지시키며,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예: 토너 공급 장치(70))과; 토너 용기의 본체(예; 병 머리부(101b))에 맞닿아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뚜껑 부재(예: 뚜껑 부재(110))를, 용기 머리부로부터 당겨서, 용기 머리부 안에 있는 토너 배출구(예: 토너 배출구(101c))를 개방시키는 뚜껑 당김 유닛(예: 토너 당김 유닛(80))을 구비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이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 B]
태양 B는, 태양 A에 있어서,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이, 상기 뚜껑 부재를 원통형 토너 용기의 상기 가상선인 원통 축선(예: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해 비스듬히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유닛이, 상기 토너 용기를 상기 원통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토너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본체를 향해 이동시켜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한 토너 배출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C]
태양 C는, 태양 B에 있어서, 손잡이부(예: 손잡이부(114))가, 뚜껑 부재에서 뚜껑 부재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봉형 부분(예: 봉형 부분(112))과, 상기 봉형 부분의 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봉형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예: 대경부(113))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이, 자신의 후크 부재(예: 후크(82))를 상기 봉형 부분에 걸고, 후크 부재를 뚜껑 부재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대경부에 대해 가압해서 상기 뚜껑 부재를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D]
태양 D는, 토너 용기(예: 토너 병(100))가, 자신의 길이 방향의 한 단부에서 본체에 형성된 토너 배출구와, 상기 본체에 맞닿아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는 뚜껑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토너 용기가, 사용 시에, 상기 태양 A 내지 태양 C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E]
태양 E는, 태양 D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서 인출되어 있고 가상선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자세 복귀 유닛(예: 코일 스프링(122), 로드 유지 부재(101d))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F]
태양 F는, 태양 E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에 원통형 또는 링형 마개 부재(예: 마개 부재(116))와 링형 밀봉 부재(예: 밀봉 부재(115))가 설치되고;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뚜껑 부재가 뒤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원형 토너 배출구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원통형 또는 링형 마개 부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뒤로 당겨지는 방향에서 배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본체와 맞닿아서, 탄성 변형됨으로써 토너 용기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G]
태양 G는, 태양 F에 있어서, 링형 돌기(예: 링형 돌기(101b-1))가 토너 배출구를 둘러싸게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밀봉 부재의 내경이 상기 링형 돌기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링형 돌기보다 본체의 외주에 더 근접하게 위치된 상기 본체의 부분(예: 가장자리면(101b-2))에 맞닿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H]
태양 H는, 태양 G 또는 태양 F에 있어서, 마개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테이퍼면(예: 테이퍼면(116a))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마개 부재의 높이를 원통 또는 링의 중심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I]
태양 I는, 태양 H에 있어서, 뚜껑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상승부와 테이퍼면의 외측 가장자리에 직선형 단차(예: 단차부(116b))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J]
태양 J는, 태양 F 내지 태양 I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복귀 유닛에 코일 스프링(예: 코일 스프링(122))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본체에 맞닿은 상기 뚜껑 부재에,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라 상기 본체 쪽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인출되어 상기 가상선에서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중에, 상기 뚜껑 부재에,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교정하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K]
태양 K는, 태양 F 내지 태양 J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에 연장부(예: 안내 로드(120))가 설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승해서 상기 뚜껑 부재가 뒤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지 부재(예: 유지 부재(101d))가 상기 자세 복귀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연장부를 용기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L]
태양 L은, 태양 K의 토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연장부를 상기 가상선을 따라 활주 이동할 수 있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M]
태양 M은, 태양 L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고, 뚜껑 부재가 상기 본체에서 인출되어 있고 상기 가상선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중에 상기 연장부가 탄성 변형된 때에, 상기 연장부는 상기 뚜껑 부재에, 이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힘을 가하고, 이에 의해 상기 연장부가 자세 복귀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N]
태양 N은, 태양 M에 있어서, 벨로우즈 모양 구조 또는 중공 구조를 사용하여 탄성을 발생시키는 재료가, 상기 연장부를 구성하며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O]
태양 O는, 태양 K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그 안에 마련된 유지 개구(예: 유지 구멍)를 통해 봉형 연장부를 수용함으로써 봉형 연장부를 유지시키고, 코일 스프링이 자세 복귀 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본체에서 인출된 뚜껑 부재에, 뚜껑 부재를 본체로 다시 당기는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P]
태양 P는, 태양 O에 있어서, 유지 개구의 입구 측 상의 상기 유지 개구 주위의 영역에, 그리고 유지 개구의 출구 측 상의 상기 유지 개구의 주위의 영역에, 테이퍼가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는 유지 개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Q]
태양 Q는, 태양 O 또는 태양 P에 있어서, 태양 H 또는 태양 I의 구성이 사용되고, 상기 유지 개구의 내경과 상기 연장부의 외경 간의 차이가 링형 테이퍼면의 내경과 링형 밀봉 부재 사이의 차이와 같거나 이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R]
태양 R은, 태양 F 내지 태양 Q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사용 시에, 태양 C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뚜껑 부재가, 봉상 부분과 대경부를 구비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토너 배출구의 직경과 상기 마개 부재의 외경의 차이가 상기 봉상 부분의 외경과 상기 대경부의 외경 간의 차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S]
태양 S는, 태양 O, 태양 P 또는 태양 Q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에서의 한 단부에, 상기 토너 용기 내의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예: 교반 패들(1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T]
태양 T는, 태양 O, 태양 P, 태양 Q 또는 태양 R에 있어서, 사용 시에, 태양 C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고, 상기 연장부가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지 개구가 상기 연장부의 단면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지 개구의 내벽에 자신의 회전에 따라 걸리는 연장부에, 회전력을 가해서 상기 뚜껑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U]
태양 U는, 태양 T에 있어서, 토너 용기 내부의 토너를 토너 배출구 쪽을 향해 반송시키기 위해, 스크류 날개(예: 스크류 날개(101j))가 상기 유지 부재,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a]
이 태양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당해 화상 형성 장치가, 토너상 형성 유닛(예: 화상 형성 유닛(1) 및 광학 기록 유닛(20))과, 원통형 토너 용기(예: 토너 병(100))를 원통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토너 용기에서 배출된 토너를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에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예: 토너 공급 장치(70))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 공급 유닛이, 용기 유지 유닛(예: 용기 유지 유닛(78))과, 이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해 유지되는 토너 용기를 함께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이, 상기 토너 용기의 길이 방향에서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단부를 유지시키고; 상기 단부(예: 병 머리부)가, 외주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변 돌기(예: 주변 돌기(131))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이, 이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눌리는 상기 단부 상의 주변 돌기와 맞물리는 맞물림부(예: 절결부(78a))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서,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테이퍼면(예: 테이퍼면(78c))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주변 돌기가 눌리는 가압 방향에서 맞물림부의 상류 측의 위치를 기점으로 해서, 상기 가압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맞물림부의 입구까지 이르는 것이며; 상기 단부가 상기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눌릴 때에, 상기 주변 돌기가 상기 테이퍼면 상에서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며 활주함으로써,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서, 상기 맞물림부의 입구를 회전에 따라 주변 돌기 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b]
태양 b는, 태양 a에 있어서, 상기 주변 돌기는, 상기 원통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의 위치에서 상기 단부의 주변면에 마련되는 주변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주변 돌기들 중 한 돌기를 수용하는 맞물림부와,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의 상기 원통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마련된 상기 주변 돌기들 중 다른 하나의 돌기를 수용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주변 돌기들 중 한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과,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의 상기 원통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한 점대칭 위치에 마련된 상기 주변 돌기들 중 다른 하나의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c]
태양 c는, 태양 b에 있어서, 2개의 주변 돌기의 폭이 동일하고, 2개의 맞물림부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d]
태양 d는, 태양 c에 있어서, 오장착 방지 돌기들(예: 오장착 방지 돌기들(132))이, 가압 방향에서 상기 주변 돌기들의 상류 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단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오장착 방지 돌기는 정규 사양과 다른 사양을 갖는 용기 유지 유닛으로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이며; 2개의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가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는, 상기 2개의 오장착 방지 돌기들 각각과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e]
태양 e는, 태양 d에 있어서, 2개의 오장착 방지 돌기의 폭이 동일하고, 2개의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의 폭이 동일하며, 상기 폭들은 주변 돌기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f]
태양 f는, 태양 e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테이퍼면에 대해서, 상기 가압 방향에서 상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의 하류 측에 위치된 테이퍼부의 위치가, 상류 측에 위치된 테이퍼부로부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를 향해 연장된 가상 연장선에 비해, 가압 방향에서 하류 측으로 변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g]
태양 g는, 태양 a 내지 태양 f 중 어느 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에 토너 배출구(예: 토너 배출구(101c))와 뚜껑 부재(예: 뚜껑 부재(110))가 마련되고; 상기 토너 배출구는, 상기 단부 내의 토너를 가압 방향에서 상기 단부의 하류 측을 향해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단부와 맞닿아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것이고; 또한 상기 토너 공급 유닛에 장착된 상기 토너 용기의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단부에서 인출하여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뚜껑 당김 유닛(예: 뚜껑 당김 기구(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h]
태양 h는, 태양 g에 있어서, 상기 뚜껑 당김 유닛에 뚜껑 유지 유닛(예: 후크(82))이 설치되고, 상기 뚜껑 유지 유닛은 상기 단부에서 인출된 상기 뚜껑 부재를 계속해서 유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태양 i]
태양 i는, 태양 h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에 복귀력 인가 유닛(예: 안내 로드(120))이 설치되고, 상기 복귀력 인가 유닛은 상기 단부에서 인출된 상기 뚜껑 부재에, 이 뚜껑 부재를 상기 단부로 복귀시키는 방향의 힘을 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완전하고 명확한 개시를 위해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첨부 된 청구범위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떠오를 수 있으며 여기에 기재된 기본적인 가르침의 범위 내에 완전히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대안적인 구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화상 형성 유닛(토너상 형성 유닛의 일부)
20: 광학 기록 유닛(토너상 형성 유닛의 일부)
70: 토너 공급 장치(토너 공급 유닛)
78: 용기 유지 유닛
78a: 절결부(맞물림부)
78b: 오장착 방지 절결부(오장착 방지 맞물림부)
78c: 테이퍼면
80: 뚜껑 당김 기구(뚜껑 당김 유닛)
82: 후크(후크 부재, 뚜껑 당김 유닛)
100: 토너 병(토너 용기)
101b: 병 머리부(본체, 단부)
101b-1: 링형 돌기
101b-2: 가장자리면
101c: 토너 배출구
101d: 로드 유지 부재(자세 복귀 유닛의 일부)
101j: 스크류 날개
110: 뚜껑 부재
112: 봉형 부분
113: 대경부
114: 손잡이부
115: 밀봉 부재
116: 마개 부재(마개부)
116a: 터이퍼면
116b: 단차부(단차)
120: 안내 로드(로드 부분, 복귀력 인가 유닛)
120a: 중공부
112: 코일 스프링(자세 복귀 유닛의 일부)
128: 교반 패들(날개 부재)
131: 주변 돌기
132: 오장착 방지 돌기

Claims (31)

  1. 사용 중에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며 토너를 담는 토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토너 용기의 종방향 단부에 마련된 토너 배출구와,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뚜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용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토너 공급 유닛에 의해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자세로 유지되고;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뚜껑 당김 유닛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토너 배출구가 개방되는 것인 토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에서 인출되어 있고 상기 가상선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자세 복귀 유닛을 포함하는 하는 토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전면과 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은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을 때의 상기 토너 용기의 외부면의 일부이고, 상기 배면은 상기 토너 용기에 대향되고,
    상기 배면은 원통형 또는 링형의 마개 부재와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 부재는 상기 토너 배출구의 내주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토너 용기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원통형 또는 링형의 상기 마개 부재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상기 배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토너 용기와 맞닿아서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토너 배출구를 밀봉하는 것인 토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배출구의 내주 가장자리 주위에 링형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밀봉 부재의 내경은 상기 링형 돌기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밀봉 부재는 반경 반향에서 상기 링형 돌기의 외측에 위치된 상기 토너 용기의 일부와 맞닿게 되는 것인 토너 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테이퍼면(tapered surface)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마개 부재의 높이를 그 중심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인 토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마개 부재 상에 단차가 제공되고, 상기 단차는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토너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상승된 것인 토너 용기.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복귀 유닛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뚜껑 부재에,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 부재를 당기는 힘을 가하고, 또한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토너 배출구를 다시 폐쇄하는 방향으로 다시 당겨질 때에는, 상기 뚜껑 부재를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교정력을 가하는 것인 토너 용기.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복귀 유닛은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연장되는 로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토너 용기에서 인출되는 방향 또는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 부재가 이동될 때, 상기 로드 부분은, 상기 뚜껑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토너 용기 내에 마련된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인 토너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로드 부분이 상기 가상선을 따라 이동할 때에 활주하도록 상기 로드 부분을 유지하는 것인 토너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분은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토너 용기에서 인출되고 상기 토너 배출구를 다시 폐쇄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로드 부분은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교정력을 가하는 것인 토너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분은 벨로우즈 모양(bellows-like)의 구조 또는 중공(hollow)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토너 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로드 부분을 유지하는 유지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자세 복귀 유닛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뚜껑 부재에,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뚜껑 부재를 당기는 힘을 가하고,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토너 배출구를 다시 폐쇄하는 방향으로 당겨질 때에는,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로드 부분과 함께 상기 가상선을 따르는 자세로 복귀시키는 교정력을 가하는 것인 토너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개구의 일단 측 상의 상기 유지 개구의 주위의 일부에, 그리고 상기 유지 개구의 타단 측 상의 상기 유지 개구의 주위의 일부에서, 상기 유지 부재 상에 테이퍼(taper)가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는 상기 유지 개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인 토너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테이퍼면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마개 부재의 높이를 그 중심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고,
    상기 유지 개구의 내경과 상기 로드 부분의 외경 간의 차이는, 링형의 상기 테이퍼면의 내경과 링형의 상기 밀봉 부재 사이의 차이와 같거나 작은 것인 토너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마개 부재 상에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단차는 상기 뚜껑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토너 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상승된 것인 토너 용기.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단부에서, 상기 로드 부분에, 토너를 교반하는 교반 날개가 설치된 토너 용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분은 상기 로드 부분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의 단면에서 다각형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지 개구는 상기 유지 개구가 상기 토너 용기와 함께 회전될 때에 상기 로드 부분의 외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내벽면을 갖는 것인 토너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개구는 상기 로드 부분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인 토너 용기.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구를 향해 반송하는 스크류 날개가, 상기 유지 부재, 상기 로드 부분, 및 상기 토너 용기의 내벽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토너 용기.
  2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전방 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봉형 부분과,
    상기 전방 표면에서 떨어져 위치된 단부에서 상기 봉형 부분 상에 마련되고, 상기 봉형 부분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인 토너 용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배출구의 직경과 상기 마개 부재의 외경 간의 차이는 상기 봉형 부분의 외경과 상기 대경부의 외경 간의 차이보다 작은 것인 토너 용기.
  22.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토너 용기;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는 토너상 형성 유닛;
    상기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상기 토너 용기를 유지시키며,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 및
    상기 토너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뚜껑 부재를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인출해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뚜껑 당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은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은,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으로서의 상기 원통형 토너 용기의 원통 축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유닛은, 상기 토너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구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용기를 상기 원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한 토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4.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제20항에 따른 토너 용기;
    토너를 사용하여 토너상(toner image)을 형성하는 토너상 형성 유닛;
    상기 토너 용기의 토너 배출구를 수평 방향으로 향하게 하면서 상기 토너 용기를 유지시키며,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토너를 상기 토너상 형성 유닛으로 공급하는 토너 공급 유닛; 및
    상기 뚜껑 부재 상에 마련된 손잡이부에 맞물리는 후크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인출하여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개방하는 뚜껑 당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은, 상기 후크 부재를 상기 손잡이부의 봉형 부분에 걸고, 상기 후크 부재를 상기 뚜껑 부재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대경부에 대해 가압해서,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뚜껑 당김 유닛은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가상선으로서의, 상기 원통형 토너 용기의 원통 축선에 대해, 위쪽으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인출하고,
    상기 토너 공급 유닛은, 상기 토너 용기 내의 토너를 상기 토너 배출구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너 용기를 상기 원통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토너 배출구를 통한 토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 용기의 원통형 단부의 외주면에서 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주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토너 공급 유닛은, 용기 유지 유닛과,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토너 용기를 함께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은, 상기 토너 용기의 길이 방향에서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단부를 유지시키고;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은, 상기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눌리는 상기 단부의 상기 주변 돌기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테이퍼면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주변 돌기가 눌리는 가압 방향에서 상기 맞물림부의 상류 측의 위치로부터 시작해서, 상기 가압 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맞물림부의 입구까지 이르는 것이며;
    상기 단부가 상기 용기 유지 유닛 안으로 눌릴 때에, 상기 주변 돌기는 상기 테이퍼면 상에서 가압 방향으로 이동하며 활주하고, 이에 따라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상기 용기 유지 유닛을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서, 상기 맞물림부의 입구를 회전에 따라 상기 주변 돌기로 안내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돌기는,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단부의 주변면에 마련되는 주변 돌기들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주변 돌기들 중 하나의 주변 돌기를 수용하는 맞물림부와, 상기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마련된 상기 주변 돌기들 중 다른 하나의 주변 돌기를 수용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주변 돌기들 중 하나의 주변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과, 상기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마련된 상기 주변 돌기들 중 다른 하나의 주변 돌기 상에서 활주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주변 돌기는 동일한 폭을 갖고, 2개의 상기 맞물림부는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오장착 방지 돌기들이, 가압 방향에서 상기 주변 돌기들의 상류 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원통 중심 축선에 대하여 점대칭인 위치에서, 상기 단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오장착 방지 돌기는 정규 사양과 다른 사양을 갖는 용기 유지 유닛으로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이며;
    2개의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가 상기 용기 유지 유닛에 마련되며; 상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는, 상기 2개의 오장착 방지 돌기들 각각과 개별적으로 맞물리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오장착 방지 돌기는 동일한 폭을 갖고, 2개의 상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폭들은 상기 주변 돌기의 폭보다 좁은 것인 화상 형성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테이퍼면 각각에 대해서, 상기 가압 방향에서 상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의 하류 측에 위치된 테이퍼부의 위치는, 상류 측에 위치된 테이퍼부로부터 오장착 방지 맞물림부를 향해 연장된 가상 연장선에 대하여 상기 가압 방향에서 하류 측으로 변위된 것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7025134A 2013-03-14 2014-03-13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699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1185A JP6016120B2 (ja) 2013-03-14 2013-03-14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器
JPJP-P-2013-051185 2013-03-14
JPJP-P-2013-052306 2013-03-14
JP2013052306A JP6016121B2 (ja) 2013-03-14 2013-03-14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器
PCT/JP2014/057643 WO2014142353A1 (en) 2013-03-14 2014-03-13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684A KR20150122684A (ko) 2015-11-02
KR101699196B1 true KR101699196B1 (ko) 2017-01-23

Family

ID=5153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134A KR101699196B1 (ko) 2013-03-14 2014-03-13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54099B2 (ko)
EP (1) EP2972592B1 (ko)
KR (1) KR101699196B1 (ko)
CN (1) CN105209978B (ko)
MX (1) MX346597B (ko)
TW (1) TWI542959B (ko)
WO (1) WO2014142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1324B2 (ja) 2014-03-24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本体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379753B2 (ja) 2014-07-04 2018-08-29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N107111266B (zh) 2015-01-14 2020-08-18 株式会社理光 粉末容器和成像装置
US9594331B2 (en) 2015-02-27 2017-03-14 Ricoh Company, Ltd.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6911325B2 (ja) * 2016-10-21 2021-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容容器の製造方法
CN206249008U (zh) * 2016-11-23 2017-06-13 上福全球科技股份有限公司 碳粉匣
JP6919831B2 (ja) 2017-05-18 2021-08-18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08529B2 (en) * 2017-09-21 2021-02-02 Hp Indigo B.V. Print agent supply unit valve
CN111107980A (zh) * 2017-10-05 2020-05-0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用于存储构建材料的腔室
CN107589647A (zh) * 2017-11-01 2018-01-16 珠海维翼打印科技有限公司 输送嘴接收装置和碳粉筒
JP2020112690A (ja) 2019-01-11 2020-07-2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1173778A (ja) 2020-04-20 2021-11-01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1192075A (ja) 2020-06-05 2021-12-16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869A (ja) 1999-08-27 2001-03-16 Ricoh Co Ltd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134408A (ja) 2008-11-10 2010-06-17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37559A (ja) 2010-08-03 2012-02-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998B2 (ja) 1993-12-15 2001-12-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509385B2 (ja) * 1995-07-24 2004-03-22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ボトル
KR970007543A (ko) 1995-07-31 1997-02-21 미타 요시히로 토너보급장치 및 토너카아트리지
KR100227914B1 (ko) *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IT1283035B1 (it) * 1996-05-17 1998-04-03 Luigi Goglio Dispositivo antiefflusso per contenitori di liquidi
US5907756A (en) 1996-08-07 1999-05-25 Minolta Co., Ltd. Toner replenishment device and toner bottle
JP3417223B2 (ja) 1996-08-07 2003-06-16 ミノル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3650678B2 (ja) 1996-09-06 2005-05-2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のトナー容器
CN1122193C (zh) 1996-09-06 2003-09-24 株式会社理光 墨粉/显影剂用再循环瓶
JP3535721B2 (ja) * 1997-01-10 2004-06-0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
TWI272461B (en) 1998-12-22 2007-02-01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N1222839C (zh) 2000-01-07 2005-10-12 株式会社理光 粉体收纳容器,粉体排出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4011831B2 (ja) 2000-06-20 2007-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
JP2002221858A (ja) 2000-11-24 2002-08-09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及びこれを装着す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並びに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ES2382727T3 (es) * 2001-02-19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EP1233311B1 (en) 2001-02-19 2012-08-2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ES2369115T3 (es) 2001-02-19 2011-11-25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y sistema para suministro de toner.
JP4167589B2 (ja) * 2003-12-17 2008-10-15 株式会社リコー 収納容器、トナー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720416B2 (en) 2004-08-16 2010-05-18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toner bottl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ton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JP5053066B2 (ja) 2007-03-15 2012-10-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用内栓及び外栓
JP4995126B2 (ja) 2008-03-1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8295742B2 (en) 2008-11-10 2012-10-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container,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06372B2 (ja) * 2008-12-17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5311029B2 (ja) 2009-02-16 2013-10-09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532542B2 (en) 2009-07-23 2013-09-10 Ricoh Company, Limited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JP5582385B2 (ja)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869A (ja) 1999-08-27 2001-03-16 Ricoh Co Ltd トナー供給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10134408A (ja) 2008-11-10 2010-06-17 Ricoh Co Ltd 粉体収納容器、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37559A (ja) 2010-08-03 2012-02-2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2592A4 (en) 2016-11-16
EP2972592A1 (en) 2016-01-20
EP2972592B1 (en) 2020-10-28
US20160033898A1 (en) 2016-02-04
KR20150122684A (ko) 2015-11-02
TW201435522A (zh) 2014-09-16
CN105209978B (zh) 2019-08-09
CN105209978A (zh) 2015-12-30
MX2015012275A (es) 2016-01-08
WO2014142353A1 (en) 2014-09-18
MX346597B (es) 2017-03-24
TWI542959B (zh) 2016-07-21
US9454099B2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196B1 (ko) 토너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6558661B2 (ja) 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8918030B2 (en)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42745B2 (en) Developer amount detector,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positioning unit withi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330105A1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5037232B2 (ja) 粉体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50118890A1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42193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2017191182A (ja) 粉体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217952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1612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器
EP3246761B1 (en) Powder storage container and image-forming device
US9568859B2 (en) Toner conveying member for reducing bending of sam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48069B2 (en) Developing apparatus having a rib portioned conveyance screw
US201602098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1612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収容器
JP525693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20854B2 (en) Cartridge
JP2015018012A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