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452B1 - 예취 수확기 - Google Patents

예취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452B1
KR101696452B1 KR1020090089456A KR20090089456A KR101696452B1 KR 101696452 B1 KR101696452 B1 KR 101696452B1 KR 1020090089456 A KR1020090089456 A KR 1020090089456A KR 20090089456 A KR20090089456 A KR 20090089456A KR 101696452 B1 KR101696452 B1 KR 10169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ut
traveling
state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595A (ko
Inventor
히로시 이께다
히로아끼 마쯔시따
신 히라따
마사유끼 호리우찌
마사유끼 다까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489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1179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6880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68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0380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969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0003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이동 주행용의 고속 위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적절하게 연계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18)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7M)를 표준 위치로 조작한다.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7M)를 저속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18)를 고속 위치로 조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용 공전륜이 상부 공전륜이나 그것의 지지 구조 부분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측면에서 보아 가장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상방에, 이 접지용 공전륜(10018)을 크게 상승 요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과 함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바로 위 혹은 바로 위 가까이에 상부 공전륜(10025)을 축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과,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에 삽입하여 급동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탈곡구를 구비한 탈곡기에 있어서,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박힘 방지체에 검불 막힘의 회피 기능과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시킨다.
급실(2002)에 비산된 탈곡 처리물을 급실(2002)에 삽입된 예취 곡물대(200C)의 상방에서 수용하여 급동측으로 유동시키는 박힘 방지체(20030)를 급실(2002)에 있어서의 탈곡구(20014)의 내측에 배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박힘 방지체(20030)에, 급동(20010)의 급치(treshing teeth)(20010b)가 통과되도록 급동(20010)을 향하여 개방한 절결부(20032)를 형성하고 있다. 급치(20010b)가 이 급동 드럼(20010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200L)의 절반 이상의 길이(200L1)에 걸쳐 절결부(20032)에 인입된다.
인위 조작구, 변속 장치, 주행용, 표준 예취 상태, 도복, 공전륜, 무게 중심, 지지 구조, 축지지, 접지용, 급실, 급치, 예취 곡물대, 돌출 길이, 절결부

Description

예취 수확기 {REAPING 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예취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구동용 회전륜을 축지지하고, 기체 프레임에 지지된 트랙 프레임의 후단부에 긴장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의 긴장용 공전륜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피봇축의 전후에, 전후로 쌍을 이루는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구동용 회전륜과 긴장용 공전륜과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에 걸쳐 크롤러 벨트를 감아 돌리고, 구동용 회전륜과 긴장용 공전륜 사이의 접지용 공전륜보다도 상측에 크롤러 벨트를 수용하는 상부 공전륜을 배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급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과,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실에 삽입하여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탈곡구를 구비한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예취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서는,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용으로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특허 문헌1의 도 2 및 도 4의 참조 부호 10)를 구비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펌프(특허 문헌1의 도 2 및 도 4의 참조 부호 13)를 전진측 및 후진측에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특허 문헌1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특허 문헌1의 도 2 및 도 4의 참조 부호 14)(주행용의 변속 장치에 상당)를, 표준 위치(중속 위치) 및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펌프와는 별도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를 조작하는 인위 조작구(특허 문헌1의 도 3 및 도 4의 참조 부호 34, 3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에 있어서, 작물의 도복이 별로 없는 통상의 작물의 상태에서는, 중속 위치(표준 위치)를 사용하는 것이고, 경작지에서의 예취 작업에 있어서 작물의 도복이 심한 부분에 도달한 경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를 저속 위치로 조작한다.
이렇게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할 경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함으로써, 작물의 상태에 대하여 기체의 주행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예취부에 의한 예취가 제시간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예취부가 지연되는 일 없이 도복한 작물을 예취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출원 공본 제2005-265052호 공보(도 2, 도 3, 도 4)
특허 문헌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32557호 공보(도 2 및 도 22)
또한, 특허 문헌3에는 기체 프레임(6)의 전방측에 구동용 회전륜(10)을 축지지하고, 기체 프레임(6)에 지지된 트랙 프레임(7)의 후단부에 긴장용 공전륜(8)을 축지지하고, 트랙 프레임(7)에 있어서의 긴장용 공전륜(8)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아암부(26)]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26)의 피봇축의 전후에, 전후로 쌍을 이루는 접지용 공전륜(9)을 축지지하고, 구동용 회전륜(10)과 긴장용 공전륜(8)과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9)에 걸쳐 크롤러 벨트(12)를 감아 돌리고, 구동용 회전륜(10)과 긴장용 공전륜(8) 사이의 접지용 공전륜(9)보다도 상측에 크롤러 벨트(12)를 수용하는 상부 공전륜[상부 가이드 륜(11)]을 배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공전륜(11)은 전후에 배치된 3조의 요동 밸런스 기구 중 가운데의 요동 밸런스 기구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접지용 공전륜(9, 9) 중간에 있어서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3 > 일본 특허 출원 공본 제2008-137435호 공보
또한, 예를 들어 특허 문헌4에 개시된 탈곡기에서는, 곡물대(K)를 피드 체인(18)과 협약 레버(19)가 협동하여 반송하는 유로의 상방 근방 위치에 박힘 방지체(20)를 배치하여, 박힘 방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즉, 박힘 방지체(20)는 브러시(22b, 23b)를 구비하고 있다. 급동(12)의 급치(14)가 브러시(22b, 23b)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고, 이 통과 시 급치(14)가 갖고 회전하는 탈락 곡물이 급실(11)의 내측으로 탈락되어 피드 체인(18)에 의해 반송되는 곡물대(K)에 탈립이 박히는 일이 없다(부호는 공보에 기재된 것 이다).
<특허 문헌4> 일본 특허 출원 공본 제2001-120044호 공보
예취 수확기에서는 특허 문헌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구비한 기종이 있어, 경작지에서의 예취 작업에 있어서 작물의 도복이 심한 부분에 도달한 경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함으로써, 예취부가 지연되는 일 없이 도복한 작물을 예취한다. 이에 의해,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할 경우에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속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예취 수확기에 대하여,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조합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이동 주행용의 고속 위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적절하게 연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트랙 프레임(7)을 기체 프레임(6)에 대하여 그다지 하강시키지 않고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부 공전륜(11)과 접지용 공전륜(9)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작은 융기부를 통과할 때마다 접지용 공전륜(9)이 상부 공전륜(11)에 근접하여 상부 공전륜(11)이나 상부 공전륜(11)의 지지 구조 부분에 진흙이 부착되기 쉬워 진흙 막힘이 빈번히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용 공전륜이 상부 공전륜이나 그것의 지지 구조 부분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한 탈곡기에 있어서, 급실에 비산되는 탈곡 처리물이 급실에 삽입된 예취 곡물대에 접촉하면 곡립이 예취 곡물대의 대(culm)에 박혀, 박힌 곡립이 탈곡 배출 볏짚과 함께 탈곡기체 밖으로 배출되는 곡립 손실이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회피하려고 한 경우, 내구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즉, 브러시에 급치와의 접촉에 의한 마멸이나 털빠짐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털빠짐의 진행이 빨라져 브러시의 교환을 조기에 행할 필요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립 박힘의 방지를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박힘 방지체에 검불 막힘의 회피 기능과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시킬 수 있는 탈곡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성)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주행용의 변속 장치와,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와,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인위 조작구를 구비하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으로 표준 위치보다도 저속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으로 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는 제1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저속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작용)
[I]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작물의 도복이 별로 없는 통상의 작물의 상태에서는,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를 설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어, 통상의 작물의 상태에 대하여 주행용의 변속 장치 및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적절한 속도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도복이 심한 작물의 상태에서는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를 설정하면 된다. 이에 의해,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도복이 심한 작물의 상태에 대하여 주행용의 변속 장치 및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적절한 속도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의 표준 위치로의 조작 및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표준 위치로의 조작의 양쪽의 조작이 행하여지므로,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의 표준 위치로의 조작과,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표준 위치로의 조작을 따로따로 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저속 위치로의 조작 및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의 양쪽의 조작이 행하여지므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저속 위치로의 조작과,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따로따로 행할 필요가 없다.
[Ⅱ]
전항 [I]에 있어서, 저속 예취 상태(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부터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될 경우에, 예를 들어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나서,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하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순간에, 일시적으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가 발생한다.
전항 [I]에 있어서, 표준 예취 상태(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부터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될 경우에, 예를 들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나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하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순간에, 일시적으로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되는 상태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발생하면, 작물에 대하여 예취부의 작동 속도가 너무 고속으로 되는 상태가 일시적으로 발생하므로,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작물에 대하여 예취부의 작동 속도가 너무 고속으로 됨으로써 예취부에 있어서 작물로부터 곡립이 탈립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전동 하방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가 발생하면, 예취부의 작동 속도가 너무 고속으로 되어 예취부의 진동이 커져 예취부의 파손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저속 예취 상태(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부터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될 경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될 때,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이미 표준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표준 예취 상태(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부터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될 경우,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고, 이 후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될 때,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이미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으므로,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되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 및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구비한 경우, 주행용의 변속 장치 및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서로 적절하게 연계시키면서, 인위 조작구에 의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의 설정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표준 예취 상태의 설정 시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저속 예취 상태의 설정 시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되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작물에 대하여 예취부의 작동 속도가 너무 고속으로 되는 것에 의한 문제를 방지하여 예취 수확기의 수확 성능의 향상 및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구성)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는 이동 주행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예취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3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작용)
특허 문헌1에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모터에 있어서, 중속 위치(표준 위치) 및 저속 위치 외에 추가로, 중속 위치(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를 구비하고 있어, 두렁이나 경작지에서의 이동 주행용으로서 고속 위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표준 예취 상태(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이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부터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될 경우에, 예를 들어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상태채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면,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전동 하방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상태채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면, 예취부가 고속으로 작동하는 상태로 되어, 예취부의 진동이 커져 예취부의 파손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할 때는 예취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여 예취부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므로,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상태채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 경우, 예취 클러치의 차단 상태로의 조작 및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의 양쪽의 조작이 행하여지므로, 예취 클러치의 차단 상태로의 조작과,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따로따로 행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예취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기 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채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가 일시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는 일은 없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클러치의 차단 상태로의 조작과, 주행용의 변속 장치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을 따로따로 행할 필요가 없는 점, 및 예취 클러치가 전동 상태채로,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되는 상태가 일시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는 일이 없는 점에 의해, 이동 주행 상태의 설정 시의 조작성의 향상 및 예취 수확기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제3 발명의 구성〕
본 제3 발명의 구성은, 기체 프레임의 전방측에 구동용 회전륜을 축지지하고, 기체 프레임에 지지된 트랙 프레임의 후단부에 긴장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트랙 프레임에 있어서의 긴장용 공전륜의 전방측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을 요동 가능하게 피봇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피봇축의 전후에, 전후로 쌍을 이루는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구동용 회전륜과 긴장용 공전륜과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에 걸쳐 크롤러 벨트를 감아 돌리고, 구동용 회전륜과 긴장용 공전륜 사이의 접지용 공전륜보다도 상측에 크롤러 벨트를 수용하는 상부 공전륜을 배치하고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 중, 측면에서 보아 가장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상방에, 당해 접지용 공전륜을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요동에 의해 크게 상승 요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고,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과 함께 요동 밸런스 프레임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의 바로 위 혹은 전후 방향 바로 위 가까이에 상부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작용〕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 트랙 프레임에 요동 밸런스 프레임을 구비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전후 부분에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한 경우,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 무게 중심(G)에 가까운 접지용 공전륜(18)쪽이,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8)보다도 더 크게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 은, 크롤러 주행 장치가 지면의 융기물을 타고 올라 통과할 경우, 기체 무게 중심의 바로 아랫 부분이 융기부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접지 반력이 크고, 기체 무게 중심으로부터 전후로 이격되는 부분일수록, 융기부를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접지 반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본 제3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전후 부분에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한 경우, 크게 들어올려지는 접지용 공전륜(기체 무게 중심에 가깝다)의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고, 그다지 들어올려지지 않는 접지용 공전륜(기체 무게 중심으로부터 멀다)의 상방에 상부 공전륜을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크롤러 벨트의 상방측 부분을 상부 공전륜에서 수용하도록 하면서, 가장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상방으로의 요동이 방해받지 않고, 가장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상방에 형성된 충분한 공간에 의해 주행 중에 진흙이 상부 공전륜이나 상부 공전륜의 지지 구조 부분에 부착될 우려도 적어진다.
〔제3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제3 발명에 따르면, 가장 기체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상방에 형성된 충분한 공간에 의해, 주행 중에 진흙이 상부 공전륜이나 상부 공전륜의 지지 구조 부분에 부착될 우려도 적어지고, 진흙 막힘이 발생되어 메인터넌스가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 다.
〔제4 발명의 구성〕
본 제4 발명은 제3 발명의 크롤러 주행 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과, 당해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 사이의 거리를,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과, 상기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에 축지지되어 있는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 사이의 거리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다.
〔제4 발명의 작용 효과〕
본 제4 발명에 따르면, 주행 중에 지면의 융기부를 타고 넘듯이 통과할 때에, 가장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축심과 가장 기체 무게 중심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에 인접하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축심 사이의 범위에 지면의 융기부가 위치하여, 기체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큰 접지 반력으로 크롤러 벨트가 융기부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도 크롤러 벨트의 지지간 거리가 길므로 크롤러 벨트가 비교적 완만하게 만곡하여, 크롤러 벨트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크롤러 벨트가 극단적으로 굴곡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가 오랫동안 파손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제5 발명은, 급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과,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상기 급실에 삽입하여 상기 급동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탈곡구를 구비한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급실에 비산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급실에 삽입된 예취 곡물대의 상방에서 수용하여 급동측으로 유동시키는 박힘 방지체를, 상기 급실에 있어서의 상기 탈곡구의 내측에 배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박힘 방지체에, 상기 급동의 급치가 통과하도록 상기 급동을 향하여 개방한 절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급치가 이 급동 드럼으로부터의 돌출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에 걸쳐 상기 절결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제5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급실 내의 곡립이 급실에 삽입된 예취 곡물대를 향하여 날아도, 곡립은 예취 곡물대의 상방에서 박힘 방지체에 의해 수용되고, 박힘 방지체에 의한 안내에 의해 급동측으로 유동한다. 급치가 급동 드럼으로부터의 돌출 길이의 절반 이상에 걸쳐 박힘 방지체의 절결부에 인입됨으로써 박힘 방지체를 최대한 급동 드럼의 근방까지 위치시켜 박힘 방지체에 의한 곡립의 수용을 예취 곡물대의 대 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 행하게 할 수 있다.
박힘 방지체의 절결부에 의해, 박힘 방지체와 급치의 접촉을 회피하여 박힘 방지체의 마멸이나, 박힘 방지체에 브러시부를 구비한 경우의 털빠짐을 회피하기 쉽다.
검불 등의 덩어리가 박힘 방지체와 급치 사이에 막힐 것 같으면 박힘 방지체 는 급치에 의한 덩어리를 개재한 조작에 의해 급치의 회전 방향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켜 급치에 의한 덩어리의 긁어내기를 행하기 쉽게 한다.
따라서,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효과적으로 회피하여 상기한 곡립 손실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서, 박힘 방지체의 마멸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박힘 방지체에 브러시부를 구비시켜도 털빠짐이 발생하기 어려워, 박힘 방지체가 탄성판이나 브러시 등 어떤 것으로 이루어져도 박힘 방지체의 장기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하고, 게다가 박힘 방지체에 있어서의 검불 등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운 탈곡기를 얻을 수 있다.
본 제6 발명에서는, 상기 박힘 방지체에 상기 절결부를 갖는 탄성판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6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판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박힘 방지체에 있어서의 검불 등의 막힘을 회피할 수 있고, 탄성판부의 절결부에 의해, 급치를 돌출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에 걸쳐 박힘 방지체에 인입하게 하여 박힘 방지체를 급동 드럼의 최대한 근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힘 방지체에 의한 곡립의 수용을 예취 곡물대의 대 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 행하게 하여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면서, 검불 등의 막힘 방지와, 박힘 방지체의 장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제7 발명에서는 상기 박힘 방지체에 상기 절결부를 갖는 탄성 브러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제7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 브러시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박힘 방 지체와 급치 사이에 검불 등이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탄성 브러시부의 절결부에 의해 급치를 돌출 길이의 절반 이상의 길이에 걸쳐 박힘 방지체에 인입하게 하여, 박힘 방지체를 급동 드럼의 최대한 근방에 위치시키면서 브러시부의 급치와의 접촉에 의한 털빠짐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박힘 방지체에 의한 곡립의 수용을 예취 곡물대의 대 방향에서의 광범위에 걸쳐 행하게 하여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면서, 검불 등의 막힘 방지와, 박힘 방지체의 장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예취 수확기에 있어서,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이동 주행용의 고속 위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한 경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적절하게 연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지용 공전륜이 상부 공전륜이나 그것의 지지 구조 부분에 진흙이 부착 퇴적되는 일을 적게 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실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과,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급실에 삽입하여 급동의 회전 축심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탈곡구를 구비한 탈곡기에 있어서, 곡물대의 곡립 박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박힘 방지체에 검불 막힘의 회피 기능과 우수한 내구성을 구비시킬 수 있다.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1)로 지지된 기체의 전방부에 예취부(2)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체의 전방부의 우측에 운전부(3)가 구비되고, 기체의 후방부의 좌측에 탈곡 장치(4)가 구비되고, 기체의 후방부의 우측에 그레인 탱크(5)가 구비되어, 예취 수확기의 일례인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부(3)의 하측에 엔진(6)이 구비되고, 기체의 전방부의 좌우 중앙 부근에 미션 케이스(8)가 구비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가 미션 케이스(8)의 우측부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과 엔진(6)의 출력축(6a)에 걸쳐 전동 벨트 및 텐션 풀리에 의해 구성된 텐션 형식의 주 클러치(9)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출력축(7b)이 미션 케이스(8)에 삽입되어,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저속 기어(10)[전동축(12)]에 연결되어 있어, 저속 기어(10)의 동력이 전동 기어(19)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8)에 내장 된 직진용의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 조향용의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 완선회 클러치(도시하지 않음),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 및 역전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1)의 스프로킷(1a)(도 1 참조)으로 전달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9) 및 선회 모드 스위치(30)가 운전부(3)에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 레버(29) 및 선회 모드 스위치(30)의 조작 위치가 제어 장치(31)에 입력되어 있다. 조작 레버(29)는 중립 위치(N)로부터 기체 좌우 방향으로, 우측 및 좌측 제1 선회 위치(R1, L1), 우측 및 좌측 제2 선회 위치(R2, L2)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고, 중립 위치(N)로부터 기체 전후 방향으로 상승 위치(U) 및 하강 위치(D)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 모드 스위치(30)는 완선회 위치, 신지 선회 위치 및 초신지 선회 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모드 스위치(30)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조작 레버(29)가 중립 위치(N)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어, 동력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1)로 전달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조작 레버(29)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우(좌)측의 사이드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 기체는 완만하게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모드 스위치(30)가 완선회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9)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완선회 클러치를 통하여 우(좌)측의 주행 장치(1)에 저속의 동력이 전달되어 기체는 우(좌)측으로 완선회된다.
선회 모드 스위치(30)가 신지 선회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29)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브레이크를 통하여 우(좌)측의 주행 장치(1)에 제동이 걸려 기체는 우(좌)측으로 신지 선회된다.
선회 모드 스위치(30)가 초신지 선회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 버(29)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역전 클러치를 통하여 우(좌)측의 주행 장치(1)에 역회전의 동력이 전달되어, 기체는 우(좌)측으로 초신지 선회된다.
[2]
이어서, 예취부(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축(12)에 고속 기어(11)가 고정되고, 출력축(13)에 저속 기어(14) 및 고속 기어(1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저속 기어(10, 14) 및 고속 기어(11, 15)가 맞물려 있고, 시프트 부재(16)가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출력축(13)에 슬라이드 및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출력축(13)과 예취부(2)의 입력축(2a)에 걸쳐 전동 벨트 및 텐션 풀리에 의해 구성된 텐션 형식의 예취 클러치(17)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부재(16)를 저속 기어(14)에 맞물리게 하면(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출력축(7b)의 동력이 저속 기어(10, 14) 및 시프트 부재(16)를 통하여 표준 상태로 예취부(2)로 전달된다. 시프트 부재(16)를 고속 기어(15)에 맞물리게 하면(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으로 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출력축(7b)의 동력이 고속 기어(11, 15) 및 시프트 부재(16)를 통하여 고속 상태로 예취부(2)로 전달된다. 이상과 같이, 저속 기어(10, 14) 및 고속 기어(11, 15), 시프트 부재(16) 등에 의해, 고저 2단으로 조작 가능한 예취 변속 장치(18)(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에 상당)가 구성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 치(7)의 전동 하방에 예취 변속 장치(18)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0)이 기체의 횡축 중심(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경작지의 작물을 분초하는 디바이더(21), 작물을 일으켜세우는 일으키기 장치(22), 일으켜세운 작물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 형식의 예취 장치(23), 절단된 작물의 밑동을 모으는 회전 패커(24), 모아진 작물의 밑동을 끼움 지지하여 후방으로 반송하여 피드 체인(28)으로 전달하는 끼움 지지 반송 장치(25), 모아진 작물의 이삭 끝을 걸어 후방으로 반송하는 걸림 반송 장치(26) 등이, 지지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예취부(2)가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0)과 기체에 걸쳐 단동형의 유압 실린더(27)가 접속되어, 유압 실린더(27)에 의해 예취부(2)를 승강 조작하는 것이고, 유압 실린더(27)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전자기 조작 형식의 제어 밸브(32)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9)가 상승 위치(U)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제어 밸브(32)가 상승 위치로 조작되고 유압 실린더(27)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유압 실린더(27)가 신장 작동하여, 예취부(2)가 상승한다. 조작 레버(29)가 하강 위치(D)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제어 밸브(32)가 하강 위치로 조작되고 유압 실린더(27)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고, 유압 실린더(27)가 수축 작동하여, 예취부(2)가 하강한다. 조작 레버(29)가 중립 위치(N)로 조작되면, 제어 장치(31)에 의해 제어 밸브(32)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어, 유압 실린더(27)가 정지하고, 예취부(2)가 승강을 정지한다.
[3]
이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회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는 유압 펌프(7P) 및 유압 모터(7M)(주행용의 변속 장치에 상당)를 구비하고, 유압 펌프(7P) 및 유압 모터(7M)를 한 쌍의 유로(7c)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는 중립 위치(N), 전진측(F) 및 후진측(R)에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부(3)에 구비된 변속 레버(43)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의 경사판이, 연계 링크(33)를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변속 레버(43)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의 경사판을 조작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를 중립 위치(N), 전진측(F) 및 후진측(R)으로 조작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에 챠지 펌프(44) 및 유압 펌프(60)가 접속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입력축(7a)에 의해 챠지 펌프(44) 및 유압 펌프(60)가 구동된다. 챠지 펌프(44)로부터 연장된 챠지 유로(45)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로(7c)에 접속되고 챠지 유로(45)에 필터(49)가 구비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8)와는 별도로 구비된 오일 탱크(46)와 챠지 펌프(44)에 걸쳐 유로(47)가 접속되어 있고, 유로(47)에 필터(48)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펌프(60)의 작동유가 제어 밸브(32)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는 이동 주행용의 고속 위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을 조작하는 조작 실린더(56)가 구비되고, 챠지 유로(45)로부터 유로(57)가 분기되어 있으며, 유로(57)의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여 조작 실린더(56)를 조작하는 제어 밸브(58)가 구비되어 있다. 챠지 유로(45)에 릴리프 밸브(50)가 접속되고, 릴리프 밸브(50)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를 수용하는 케이스(51)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51)와 오일 탱크(46)에 걸쳐 유로(52)가 접속되고, 유로(52)에 오일 쿨러(53)가 구비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탱크(46)의 작동유가, 필터(48), 유로(47), 챠지 펌프(44), 필터(49) 및 챠지 유로(45)를 통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로(7c)로 공급되고, 챠지 유로(45)의 작동유가 유로(57) 및 제어 밸브(58)를 통하여 조작 실린더(56)에 급배 조작되는 것이며, 잉여의 작동유가 릴리프 밸브(50)를 통하여 케이스(51)로 배출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각 부로부터의 작동유 및 제어 밸브(58)의 작동유가 케이스(51)로 배출되는 것이며, 케이스(51)의 작동유가 유로(52) 및 오일 쿨러(53)를 통과하여 오일 탱크(46)로 복귀된다.
[4]
이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 예취 클러치(17) 및 예취 변속 장치(18)의 조작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43)의 상부의 파지부(43a)에 있어서, 변속 레버(43)의 파지부(43a)의 횡면부의 하부에, 제1 스위치(34)(인위 조작구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으며, 변속 레버(43)의 파지부(43a)의 후방면부의 상부에, 제2 스위치(35)(인위 조작구에 상당)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34, 35)는 누름 버튼 형식으로 구성되어 복귀측(돌출측)으로 압박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스위치(34, 35)의 조작 신호가 제어 장치(31)에 입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 클러치(17)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하는 조작 모터(36), 예취 변속 장치(18)를 표준 위치 및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조작 모터(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 장치(31)에 의해 조작 모터(36, 37)가 조작된다. 조작 모터(37)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40) 및 일으키기 장치(22)(도 1 참조)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수를 예취부(2)의 회전수(N)로서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 센서(40) 및 회전수 센서(41)의 검출값이 제어 장치(31)에 입력되어 있다. 예취 클러치(17)의 전동 상태를 점등에 의해 표시하는 예취 램프(42)가 운전부(3)에 구비되고, 예취 변속 장치(18)의 표준 위치 및 고속 위치를 표시하는 예취 표시부(54)[표준 램프(54a) 및 고속 램프(54b)]가 운전부(3)에 구비되어 있으며, 예취 램프(42) 및 예취 표시부(54)가 제어 장치(31)에 의해 조작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38) 및 기체의 주행 속도(V)를 검출하는 주행 속도 센서(39)가 구비되어 있으며, 위치 센서(38) 및 주행 속도 센서(39)의 검출값이 제어 장치(31)에 입력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 의 경사판의 위치를 표시하는 변속 표시부(55)[표준 램프(55a), 고속 램프(55b) 및 저속 램프(55c)]가 운전부(3)에 구비되어 있으며, 변속 표시부(55)가 제어 장치(31)에 의해 조작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주행 상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스위치(34, 35)의 조작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제1 제어 수단(61), 제2 제어 수단(62) 및 제3 제어 수단(63)이 제어 장치(31)에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34, 35), 제1, 2, 3 제어 수단(61, 62, 63)에 의해, 제어 밸브(58)[조작 실린더(56)], 조작 모터(36, 37), 예취 램프(42) 및 예취 표시부(54), 변속 표시부(55)가 이하와 같이 조작되어 이동 주행 상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주행 상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소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상태[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의 점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예취 상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점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의 점등]로 조작된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예취 상태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점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예취 표시부(54)의 고속 램프(54b)의 점등]로 조작된 상태이다.
[5]
이어서, 제1 스위치(34)에 의한 이동 주행 상태의 설정의 흐름에 대해서,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준 예취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점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상태(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의 점등)]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된 것으로 한다(스텝S1).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되었으므로(스텝S1),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된다(스텝S3).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스텝S11), 예취 램프(42)가 소등되고(스텝S12),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소등되고 고속 램프(55b)가 점멸된다(스텝S13).
이러한 경우,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어도, 예취부(2)는 바로 정지하지 않으므로, 회전수 센서(41)에 의해 예취부(2)의 회전수(N)가 검출되고(스 텝S14), 예취부(2)의 회전수(N)가 「0」으로 될 때까지[예취부(2)가 정지할 때까지](스텝S15),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유지되고,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의 점멸이 유지된다(스텝S13).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가 점멸됨으로써 운전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유지되어 아직 고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예취부(2)의 회전수(N)가 「0」으로 되면[예취부(2)가 정지하면](스텝S15),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스텝S16),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가 점등된다(스텝S17).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가 점등됨으로써 운전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것을 인식한다(이상,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예취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3 제어 수단이 작동한 상태에 상당).
후술하는 [7]에 기재된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되면(스텝S1, S3),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어 스텝S11 내지 S17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것이며[스텝S13에 있어서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가 소등된다],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스텝S18), 조작 모터(37)[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에 도달한 것이 위치 센서(40)에 의해 검출되면, 예취 표시부(54)의 고속 램프(54b)가 소등되고 표준 램프(54a)가 점등된 다(스텝S19).
[6]
이어서, 제1 스위치(34)에 의한 표준 예취 상태의 설정의 흐름에 대해, 도 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동 주행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소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상태(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의 점등)]로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된 것으로 한다(스텝S1).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되었으므로(스텝S1),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된다(스텝S3).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가 소등되고 표준 램프(55a)가 점멸되고(스텝S21),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다(스텝S22).
이러한 경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표준 위치로의 조작이 즉시 종료되는 일은 없으므로, 위치 센서(38)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의 위치가 검출되고(스텝S23),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이 표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스텝S24),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유지되고,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의 점멸이 유지된다(스텝S21).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멸됨으로 써, 운전자는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아직 표준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이 표준 위치에 도달하면(스텝S24),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등되고(스텝S25),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스텝S26), 예취 램프(42)가 점등된다(스텝S27).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등됨으로써, 운전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것을 인식하는 것이며, 예취 램프(42)가 점등됨으로써 운전자는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것을 인식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될 때마다, 이동 주행 상태 및 표준 예취 상태가 교대로 설정된다.
[7]
이어서, 제2 스위치(35)에 의한 저속 예취 상태의 설정의 흐름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표준 예취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점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상태(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의 점등)]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된 것으로 한다(스텝S2).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되었으므로 (스텝S2),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된다(스텝S4).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소등되고 저속 램프(55c)가 점멸되고(스텝S31),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스텝S32).
이러한 경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저속 위치로의 조작이 즉시 종료되는 일은 없으므로, 위치 센서(38)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의 위치가 검출되고(스텝S33),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이 저속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스텝S34),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유지되고,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의 점멸이 유지된다(스텝S31).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가 점멸됨으로써, 운전자는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에 유지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아직 저속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경사판이 저속 위치에 도달하면(스텝S34),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가 점등된다(스텝S35). 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스텝S36), 조작 모터(37)[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에 도달한 것이 위치 센서(40)에 의해 검출되면, 예취 표시부(54)의 표준 램프(54a)가 소등되고 고속 램프(54b)가 점등된다(스텝S37).
이와 같이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가 점등됨으로써(스텝S35), 운전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 것을 인식한다. 예취 표시부(54)의 고속 램프(54b)가 점등됨으로써(스텝S37), 운전자는 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것을 인식한다(이상,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저속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2 제어 수단이 작동한 상태에 상당).
전항 [5]에 기재된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되면(스텝S2, S4),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어 스텝S31 내지 S37의 조작이 행하여진다[스텝S31에 있어서 변속 표시부(55)의 고속 램프(55b)가 소등된다].
[8]
이어서, 제2 스위치(35)에 의한 표준 예취 상태의 설정의 흐름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저속 예취 상태[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고(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의 점등),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예취 램프(42)의 점등), 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예취 표시부(54)의 고속 램프(54b)의 점등)]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된 것으로 한다(스텝S2).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되었으므로(스텝S2),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된다(스텝S4).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다(스텝S41). 예취 표시부(54)의 고속 램프(54b)가 소등되고 표준 램프(54a)가 점등되 고(스텝S42), 변속 표시부(55)의 저속 램프(55c)가 소등되고 표준 램프(55a)가 점멸된다(스텝S4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전동 하방에 예취 변속 장치(18)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취 변속 장치(18)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어도,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충분한 저회전수까지 저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고속측으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
이러한 경우, 회전수 센서(41)에 의해 예취부(2)의 회전수(N)가 검출되고(스텝S44), 주행 속도 센서(39)에 의해 기체의 주행 속도(V)가 검출되고(스텝S45), 예취부(2)의 회전수(N)와 기체의 주행 속도(V)의 비(N/V)가, 사전에 설정된 설정값(N1)과 비교된다(스텝S46)[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부터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상승해도,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지나치게 고속으로 되지 않는다(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의 표준 위치에 대하여,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적절한 값으로 되는) 값으로, 설정값(N1)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고속측으로 조작되어 있고, 비(N/V)가 설정값(N1)보다도 크면(스텝S46),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충분히 저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저속 위치로 유지되고,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의 점멸이 유지된다(스텝S43). 이렇게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멸됨으로써 운전자 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아직 표준 위치로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저속측으로 조작되고, 비(N/V)가 설정값(N1)보다도 작아지면(스텝S46), 예취부(2)의 회전수(N)가 충분히 저하되었다고 판단되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스텝S47),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등된다(스텝S48).
이와 같이 변속 표시부(55)의 표준 램프(55a)가 점등됨으로써(스텝S48), 운전자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모터(7M)가 표준 위치로 조작된 것을 인식한다(이상,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는 제1 제어 수단이 작동한 상태에 상당).
이상과 같이 제2 스위치(35)가 누름 조작될 때마다,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가 교대로 설정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도 2에 있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와는 별도로, 전동축(12)의 전동 하방에 부변속 장치(도시하지 않음)(주행용의 변속 장치에 상당)를 구비하고, 부변속 장치를 이동 주행용의 고속 위치,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한 경우, 이동 주행 상태에 있어서 부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 표준 예취 상태에 있어서 부변속 장치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 저속 예취 상태에 있어서 부변속 장치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대신에, 이동 주행 상태에 있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 표준 예취 상태에 있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표준 위치로 조작되고, 저속 예취 상태에 있어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7)의 유압 펌프(7P)가 저속 위치로 조작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예취 클러치(17)가 자동적으로 전동 상태로 조작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위치(34, 35)와는 별도의 인위 조작구(예를 들어 예취 클러치 레버)에 의해, 예취 클러치(17)를 전동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표준 예취 상태에서 별도의 인위 조작구에 의해 예취 클러치(17)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스위치(34)가 누름 조작됨으로써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 클러치(17)가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내지 [발명의 실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스위치(34, 35)를 폐지하고, 하나의 변속 스위치(인위 조작구에 상당)(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이동 주행 상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변속 스위치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로부터 이동 주행 상태를 설정할 경우, 저속 예취 상태로부터 표준 예취 상태를 설정하고, 이 후에 표준 예취 상태로부터 이동 주행 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변속 스위치에 의해 이동 주행 상태로부터 저속 예취 상태를 설정할 경우, 이동 주행 상태로부터 표준 예취 상태를 설정하고, 이 후에 표준 예취 상태로부터 저속 예취 상태를 반드시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1 및 제2 스위치(34, 35)나 전술한 변속 스위치를, 변속 레버(43)의 파지부(43a)가 아니라, 운전부(3)의 전방측부의 조종 패널이나 횡측부의 사이드 패널에 구비해도 좋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다른 형태]
전술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의 제1 다른 형태] 내지 [발명의 실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예취 변속 장치(18)를 무단 변속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예를 들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나 벨트 무단 변속 장치).
이렇게 구성한 경우, 표준 예취 상태에서 예취 변속 장치(18)가 저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예취 변속 장치(18)를 저속 위치의 부근에서 적정한 변속 위치로 무단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다. 저속 예취 상태로 예취 변속 장치(18)가 고속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 있어서, 예취 변속 장치(18)를 고속 위치의 부근에서 적 정한 변속 위치로 무단 변속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은, 피드 체인을 구비한 자탈형의 예취 수확기나, 보통형(전체 대 투입형)의 예취 수확기, 그레인 탱크(5) 대신에 포장용의 호퍼(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예취 수확기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 1001)에 의해 자주하고, 운전 좌석(1002)이 장비된 탑승형의 운전부(1003)와, 운전 좌석(1002)의 하방에 원동부를 갖는 자주 기체(1004)의 기체 프레임(1005)의 전방부에 예취 전처리부(1006)의 전처리부 프레임(1007)의 기단부측을 기체 횡방향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1005)에 탈곡 장치(1008) 및 곡립 탱크(1009)를 탑재하여, 콤바인을 구성하고 있다.
본 콤바인은, 벼·보리 등의 곡립을 수확하는 것으로서, 전처리부 프레임(1007)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10010)를 조작하면, 이 리프트 실린더(10010)가 전처리부 프레임(1007)을 상하로 요동 조작하여 예취 전처리부(1006)를 지면 위 가까이까지 하강한 작업 위치와, 지면 위로부터 높게 부상한 상승 비작업 위치로 승강 조작한다. 예취 전처리부(1006)를 하강 작업 위치로 하여 자주 기체(1004)를 주행시키면, 예취 전처리부(1006)가 예취 대상의 복수의 이식 조의 이식 곡물대를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일으키기 장치(10011)에 의해 각각 따로 일으키기 처리하는 동시에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10012)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곡물대를 밑동측에 작용하는 끼움 지지 반송 장치와 이삭 끝측에 작용하는 걸림 반송 장치로 이루어지는 반송 장치(10013)에 의해 기체 후방측으 로 반송한다. 반송 장치(10013)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탈곡 피드 체인(10014)에 의해 기체 후방을 향하여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로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고, 곡립 탱크(1009)에 탈곡 장치(1008)로부터의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해 간다.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와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는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의 설명을 생략하고,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쪽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1)는 기체 프레임(1005)의 좌측 옆에 전후 한 쌍의 요동 링크(10015, 1001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기체 전후를 향한 트랙 프레임(10017), 이 트랙 프레임(10017)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어 트랙 프레임(10017)에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는 복수개의 접지용 공전륜(10018), 트랙 프레임(10017)의 후단부에 장력 조정용 볼트(10019)를 개재하여 공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는 긴장용 공전륜(10020), 기체 프레임(1005)의 전단부측에 고정된 미션 케이스(10021)와 좌측의 기체 프레임(1005)의 전방부에 설치된 브래킷(10022)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크콜러 구동용 회전륜(10023), 좌측의 기체 프레임(1005)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설치된 브래킷(10024)에 공회전 지지되어 있는 상부 공전륜(10025), 상기한 모든 회전륜(10018, 10020, 10023, 10025)에 걸쳐 감아 돌려져 있는 고무제의 크롤러 무단 벨트로서의 크롤러 벨트(1002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미션 케이스(10021)에 내장된 주행용 미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크롤러 구동용 회전륜(10023)을 구동하고, 긴장용 공전륜(10020)에 의해 크롤러 벨트(10026)를 긴장 상태로 하면서, 또한 각 접지용 공전륜(10018)에 의해 크롤러 벨트(10026)의 하부측을 접지하도록 안내하면서 크롤러 구동용 회전륜(10023)에 의해 크롤러 벨트(10026)를 각 회전륜(10018, 10020, 10023, 10025)을 따라 회전하는 상태로 구동하게 되어 있다.
접지용 공전륜(10018)은, 2개 1조의 쌍으로 되어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전후로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을 통하여 트랙 프레임(10017)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는 탈륜 방지용의 동철 형상 가이드(100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후 한 쌍의 요동 링크(10015, 10016) 중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측의 전방측 요동 링크(10015)의 기부(10015a)에 기체 횡방향의 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29)의 일단부측을 스플라인 연결하고, 기체 프레임(1005)에 브래킷(10022)을 개재하여 통체를 고정함으로써 기체 프레임(1005)에 설치된 통축형의 전방 링크 지지부(10030)를 형성하고, 전방측 링크 지지부(10030)에 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29)을 장착함으로써 전방측 요동 링크(10015)의 기부(10015a)를 기체 프레임(1005)의 전방측 링크 지지부(10030)에 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29)의 축심(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요동 링크(10015)의 자유 단부측의 전방측 링크 자유 단부축(10031)은 트랙 프레임(10017)의 전단부측에 연결 브래킷(10032)을 고정하여 설치한 전방측 링크 연결부(10033)에 연결되어 있다.
도 9, 도 1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한 쌍의 요동 링크(10015, 10016) 중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요동 링크(10016)에 있어서, 이 후방측 요동 링크(10016)의 기부(10016a)에 기체 횡방향의 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34)을 스플라인 연결하고, 기체 프레임(1005)에 브래킷(10024)을 통하여 설치한 후방측 링크 지지부(10035)에 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34)을 장착함으로써 후방측 요동 링크(10016)를 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34)의 축심(100P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있다. 후방측 요동 링크(10016)의 자유 단부측은 링크 피봇축(10036)을 통하여 융통 링크(10037)의 상부와 연결되고, 융통 링크(10037)의 하단부는 트랙 프레임(10017)에 연결하는 후방측 베어링 블록(10038)에 지지된 아암 피봇축(10039)을 통하여 횡축심(100P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34)의 후방측 링크 지지부(10035)의 기체 내측이 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0)에 연결되고, 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0)의 상단부에 복동형 유압식 승강 실린더(10041)의 피스톤 로드(10041a)의 단부를 연결하고, 승강 실린더(10041)의 실린더 튜브(10041b)의 단부를 기체 프레임(1005)에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전방측 링크 지지부(10030)에 지지되어 있는 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29)의 기체 내측단부에 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2)을 연결하고, 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2)과 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0)을 연결 로드(10043)를 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승강 실린더(10041)가 구동 조작되면 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0)이 요동 조작되는 동시에 연결 로드(10043)를 통하여 전방측 링크 조작 아암(10042)도 요동 조작되고, 전방측 요동 링크(10015) 및 후방측 요동 링 크(10016)는 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29) 및 후방측 링크 기단부축(10034)의 축심(100P1, 100P2) 주위에서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요동 조작되고, 전방측 요동 링크(10015) 및 후방측 요동 링크(10016)가 트랙 프레임(10017)을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승강 조작하게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10041)의 피스톤 로드(10041a)가 가장 단축측으로 조작되면, 트랙 프레임(10017)이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여 거의 평행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트랙 프레임(10017)에 대한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다.
트랙 프레임(10017)은 상부 트랙 프레임부(10044)와 하부 트랙 프레임부(10045)를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부 트랙 프레임부(10045)에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을 지지하기 위해 트랙 프레임(10017)의 전후 중간부에 베어링부(10046), 전단부에 전방측 베어링 블록(10047), 후방부에 상기 후방측 베어링 블록(10038)을 설치하고, 상부 트랙 프레임부(10044)의 후단부에는 긴장용 공전륜(10020)을 지지하는 슬라이드 부재(10048)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트랙 프레임(10017)의 후단부의 외측에 장력 조정용 볼트(10019)를 설치하는 볼트 지지 부재(10049)를 설치하고 있다.
전방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바로 위에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을 규제하는 요동 규제판(100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요동 규제판(10060)은 하단부가 전후 방향에서 수평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측 베어링 블 록(10047)에 고정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10017)을 하강시킨 상태에서는 전방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지지된 전후의 접지용 공전륜(10018, 10018)은 자유롭게 요동 가능해지지만,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10017)을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시키면, 전방측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지지하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전방측의 보스부(10027a)가 요동 규제판(10060)에 접촉되어 전방측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상승 요동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크롤러 벨트(10026)가 풀어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10017)이 기체 프레임(1005)에 대하여 최상승 위치까지 상승된 상태에서는 전방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은 조금 앞이 올라간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전방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지지된 한 쌍의 접지용 공전륜(10018, 10018) 중, 후방측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1)의 높이는, 지면이 수평일 때, 그보다 후방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2, 100K3, 100K4)의 높이와 동일하고, 전단부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은 다른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보다도 조금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요동 규제판(10060)에 접촉되어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랙 프레임(10017)의 내측면과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크롤러 벨트(10026)가 젖혀져 올라가서 트랙 프레임(10017)의 코너부에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환봉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10050)를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10050)는 접지용 공전륜(10018) 및 긴장용 공전륜(10020)의 기체 내측에 위치하 는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부호 10054는 그리스를 공급하는 그리스 니플로서, 각각 후방측 링크 지지부(10035), 융통 링크(10037)의 기부(10037a) 및 후방측 베어링 블록(10038)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지지축(10018a)을 축지지하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전후 한쪽의 보스부(10027a)에 그리스 니플(10054)을, 다른 쪽의 보스부(10027a)에 오일 마개(10051)를 설치하는 동시에, 유로(10052)를 통하여 전후의 상기 지지축(10018a)과 보스부(10027a) 사이의 그리스 저류(10053) 및 밸런스축(10055)과 밸런스 보스부(10027b) 사이의 그리스 저류(10053)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부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밸런스축(10055)은, 후방의 아암 피봇축(10039)을 겸하고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1001)는 상기와 같이 기체 프레임(1005)의 전방측에 구동용 회전륜(10023)을 축지지하고, 기체 프레임(1005)에 지지된 트랙 프레임(10017)에 그 후단부에 긴장용 공전륜(10020)을 축지지하고, 긴장용 공전륜(10020)의 전방측에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을 구비하는 동시에, 트랙 프레임(10017)에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을 피봇하고,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피봇축의 전후로 2개 1조로 상기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상기 구동용 회전륜(10023)과 긴장용 공전륜(10020)과 복수의 접지용 공전륜(10018)에 걸쳐 크롤러 벨트(10026)를 감아 돌리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1005)에 구동용 회전륜(10023)과 긴장용 공전륜(10020) 사이의 접지용 공전륜(10018)보다도 상측에 배치되어 크롤러 벨트(10026)를 수용하는 상부 공전륜(10025)을 구비하고 있다.
예취 전처리부(1006)를 포함하는 기체 무게 중심(100G)은, 측면에서 보아 3조의 요동 밸런스 기구 중, 중앙의 요동 밸런스 기구에 있어서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지지된 전후 한 쌍의 접지용 공전륜(10018) 중 전방측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근방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3조의 요동 밸런스 기구에 있어서의 각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전후 방향의 배치 간격은, 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1)과 중간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2) 사이의 거리(100Y1)가 중간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2)과 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3) 사이의 거리(100Y2)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되고,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2)과 당해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1) 사이의 거리(100L1)가, 기체 무게 중심(100G)의 위치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3)과, 상기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상기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 용 공전륜(10018)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4) 사이의 거리(100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주행 중에 크롤러 주행 장치(1001)가 지면의 융기부나 각재 등의 장해물을 타고 오른 경우에는 기체 무게 중심(100G)의 바로 아래의 접지 반력이 가장 크고, 기체 무게 중심(100G)으로부터 전후로 이격될수록 융기부에 있어서의 접지 반력이 작아지는 점에서, 융기부나 장해물 위를 통과할 경우, 전후 방향에서 기체 무게 중심(100G)에 가까운 접지용 공전륜(10018)일수록 융기부 등을 타고 오를 때에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이 크게 상방으로 요동되고 접지용 공전륜(10018)이 크게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크롤러 벨트(10026)를 수용하는 상부 공전륜(10025)이 전후 방향에서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있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상방 가까이에 배치되는 것을 피하고, 동일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후방에 이웃한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측면에서 보아 바로 위 혹은 바로 위로부터 벗어난 전후 방향 바로 위 가까이의 개소에서 상부 공전륜(10025)이 축지지되도록 배치되고,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있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상방에 충분히 큰 공간을 형성하여 접지용 공전륜(10018)이 상방으로 크게 들어 올려져도 그에 대응하여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있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이 상승 요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상방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크롤러 벨트(10026)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졌을 때에 크롤러 벨트에 부착된 진흙이 상방의 부재에 부착 퇴 적되어 진흙 막힘이 발생하는 것도 아울러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1001)가 융기부 등을 타고 오르면, 크롤러 벨트(10026)는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지만, 이때 크롤러 벨트(10026)는 융기부 등이 위치하는 전후의 접지용 공전륜(10018)에 지지된 상태에서 융기부 등에 위치하는 크롤러 벨트(10026)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기체 무게 중심(100G)이 위치하는 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2)과 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1) 사이의 거리(100Y1)를, 기체의 무게 중심(100G)이 위치하는 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2)과 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의 요동 축심(100X3) 사이의 거리(100Y2)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하고, 무게 중심 위치(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2)과, 당해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1) 사이의 거리(100L1)를,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3)과, 상기 다른 쪽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을 축지지하고 있는 요동 밸런스 프레임(10027)에 축지지되어 있는 기체 무게 중심(100G) 가까이에 위치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과는 반대측에 인접하는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4) 사이의 거리(100L2)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기체 무게 중심(100G)이 위치하는 측의 거리(100Y1)의 범위 내에 융기부 등이 위치하여 기체 무 게 중심(100G)을 통과하는 큰 접지 반력이 작용해도 크롤러 벨트(10026)의 지지간 거리가 길므로 크롤러 벨트(10026)가 비교적 완만하게 만곡되고, 크롤러 벨트(10026)가 신장되는 방향의 크롤러 벨트(10026)의 인장력이 완화되어, 크롤러 벨트(10026)가 극단적으로 굴곡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가 오랫동안 파손되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의 형태〕
도 9 및 도 12의 (a)(b)에 있어서,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3) 바로 위에 기체 무게 중심(100G)이 위치하도록 설정한 경우, 접지용 공전륜(10018)의 축심(100K2)의 바로 위에 상부 공전륜(10025)을 배치하고, 100L1보다도 100L2가 길게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는 트랙 프레임(10017)은 전후의 요동 링크(10015, 10016)를 통하여 기체(1005)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요동 링크(10015, 10016) 등의 승강 기구를 생략하고, 트랙 프레임(10017)을 기체 프레임(1005)에 고정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는, 좌우의 각 트랙 프레임(10017)은, 전후의 요동 링크(10015, 10016)를 연결 로드(10043)를 통하여 연결하고, 좌우 각각 단일의 승강 실린더(10041)로 전후의 요동 링크(10015, 10016)를 연동시켜 트랙 프레임(10017)을 기체(1005)에 대하여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전후의 요동 링크(10015, 10016)에 대하여 각각 따로 유압 실린더를 설치하여, 전후좌우 각각의 요동 링크(10015, 10016)를 독립하여 요동하도록 구성해도 좋 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서는, 3조의 요동 밸런스 기구를 구비했지만, 요동 밸런스 기구를 4조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3조의 요동 밸런스 기구의 전방측, 후방측, 혹은 전후 양쪽에 단일의 접지용 공전륜(10018)을 트랙 프레임(10017)에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1001)는 콤바인 외에, 양파나 인삼 등 각종 작물을 수확 대상물로 하는 수확기, 운반차, 백호 등 각종 차량에 장비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곡기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곡기는 탈곡기체(2001)와, 이 탈곡기체(2001)의 전단부측에 있어서의 상부의 내측에 설치한 급실(2002)을 갖는 탈곡부(200A)와, 상기 탈곡기체(2001)의 내부의 상기 급실(2002)의 하방에 설치한 요동 선별 장치(2003)를 갖는 선별부(200B)와, 상기 탈곡기체(2001)의 내부의 상기 급실(2002)의 후방에 구동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처리 회전체(2008)와, 상기 탈곡기체(2001)의 내측의 저부에 설치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2004) 및 2번 스크류 컨베이어(2005)와, 상기 탈곡기체(2001)의 내부의 상기 급실(2002)의 후방에 설치한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와, 상기 탈곡기체(2001)의 후방부에 연결한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를 구비하고 있다.
본 탈곡기는, 콤바인의 주행 기체에 탑재되어 콤바인의 예취부로부터의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고, 또한 탈곡 배출 볏짚을 세단 처리하여 방출하거나, 긴 짚 상태로 방출하거나 한다.
즉, 상기 탈곡부(200A)는 상기 급실(200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급실(2002)의 탈곡기체 전후 방향의 회전 축심(200P) 둘레에, 또한 회전 방향(200F)(도 17 참조)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급동(20010)과, 상기 급실(2002)의 하부에 급동(20010)을 따르게 하여 설치한 수망(20011)과, 상기 탈곡기체(2001)의 옆 외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탈곡 피드 체인(20012)을 구비하고 있다.
즉, 탈곡부(200A)는 콤바인의 예취부로부터의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탈곡기체 후방으로 반송하고, 이에 의해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탈곡기체(2001) 앞벽에 위치하는 공급구로부터 상기 급실(2002)의 급동(20010)의 하측에 삽입하고, 급동(20010)의 하측에 들어간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탈곡기체(2001)의 횡측벽에 위치하는 탈곡구(20014)(도 17 참조)에 의해 급동(20010)의 회전 축심(200P)을 따르는 방향으로 반송하여 이삭 끝측을 급동(20010)과 수망(20011)에 의해 탈곡 처리하여, 탈곡립 등의 탈곡 처리물을 수망(20011)의 그물코로부터 낙하시켜, 탈곡 배출 볏짚을 급실(2002)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송진구(20013)로부터 탈곡 피드 체인(20012)에 의해 배출한다.
상기 처리 회전체(2008)는 급실(2002)로부터 배출된 탈곡 배출 볏짚에 긁어내기 갈고리를 작용시켜, 탈곡 배출 볏짚에 박힌 곡립을 탈곡 배출 볏짚으로부터 긁어낸다.
상기 선별부(200B)는, 상기 요동 선별 장치(2003)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요동 선별 장치(2003)의 전단부의 하방에 설치한 풍구(20016)와, 상기 요동 선별 장치(2003)의 후단부의 상방에 설치한 배진 팬(20017)을 구비하고 있다.
즉, 선별부(200B)는 상기 수망(20011)으로부터 낙하된 탈곡 처리물을 상기 요동 선별 장치(2003)에 의해 수용하고, 이 요동 선별 장치(2003)에 의한 요동 선별과, 상기 풍구(20016)에 의해 탈곡기체 후방으로 공급되는 선별풍에 의해 곡립과 진애로 선별하여, 곡립을 요동 선별 장치(2003)로부터 낙하시키고 진애를 선별풍과 함께 배진 팬(20017)을 내장한 배진 케이스의 배출구(20018), 혹은 탈곡기체(20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진구(20019)로부터 탈곡기체 밖으로 배출한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004)는 요동 선별 장치(2003)로부터의 곡립 중 첫번째 것을 수납하여 탈곡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하여 탈곡기체(2001) 옆 외측으로 반출한다.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2005)는 요동 선별 장치(2003)로부터의 곡립 중 두번째 것을 수납하여 탈곡기체 횡방향으로 반송하여 탈곡기체(2001) 옆 외측으로 반출한다. 2번 스크류 컨베이어(2005)로부터의 두번째 것은, 스크류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환원 장치(20020)에 의해 탈곡기체(2001)의 횡벽의 상부에 위치하는 환원구에 리프팅되어 이 환원구로부터 탈곡기체 내로 투입되어 요동 선별 장치(2003)의 시단부측으로 환원된다.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으로부터 탈곡 배출 볏짚을 이어받아, 이어받은 탈곡 배출 볏짚을 옆으로 쓰러진 자세로 이삭 끝측을 탈곡기체(2001)의 횡벽측에 가까이 대면서 탈곡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고, 탈곡기체(2001)의 후방부에 위치하는 배출 볏짚 반출구(20021)로부터 탈곡기체(2001)의 외부로 반출한다.
도 16,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는 커터 케이스(20025)와, 이 커터 케이스(20025)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 볏짚 수납구(20026)를 개폐하는 1매의 요동 개폐 가능한 덮개판(20027)과, 상기 커터 케이스(20025)의 내부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한 한 쌍의 회전 커터(20028, 20028)를 구비하고 있다.
도 20는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의 세단 방출 상태에서의 종단 측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는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의 밑동 끼움 지지 반송부에 있어서의 끼움 지지 레일(20041)의 반송 종단부측 레일(20041b)이 단축 조절되고, 상기 덮개판(20027)이 상승 개방 조작되면 세단 방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로부터 낙하된 탈곡 배출 볏짚을 배출 볏짚 수납구(20026)로부터 커터 케이스(20025)의 내부로 낙하시키고, 커터 케이스(20025)에 들어간 탈곡 배출 볏짚을 회전하는 상기 한 쌍의 회전 커터(20028, 20028)에 의해 대 방향으로 세단하고, 세단 짚을 커터 케이스(20025)의 하부로부터 탈곡기체(2001)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도 21은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의 긴 짚 방출 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는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의 상기 반송 종단부측 레일(20041b)이 신장 조절되고, 상기 덮개판(20027)이 하강 폐색 조작되면 긴 짚 방출 상태로 된다.
즉,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로부터 낙하된 탈곡 배출 볏짚을 덮개 판(20027)의 기단부측 위에 낙하시키고, 긴 짚인 상태로 덮개판(20027)의 낙하 안내에 의해 커터 케이스(20025)의 후방으로 낙하시킨다.
도 22은 상기 배출 볏짚 처리 장치(2007)의 후방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20027)은, 이것의 자유 단부에 설치한 절결부(20027a)를 구비하고, 이 절결부(20027a)에 의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와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요동 개폐한다.
도 17은 상기 탈곡부(200A)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탈곡부(200A)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곡부(200A)는 상기 급실(2002)에 상기 탈곡구(20014)의 내측에 배치하여 설치한 박힘 방지체(200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박힘 방지체(20030)는 상기 탈곡구(20014)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탈곡기체 전후 방향 길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박힘 방지체(20030)는 탈곡기체(2001)의 횡측벽이 상기 탈곡구(20014)를 따르게 하여 구비하고 있는 상부 립 플레이트(upper lip plate)(20015)의 하부에 급실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장착된 전후 한 쌍의 분할 박힘 방지체(20030a, 2003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박힘 방지체(20030a)는, 상기 상부 립 플레이트(20015)에 연결 볼트와 덧댐판(20035)에 의해 체결하여 연결된 설치판부(20030b)와, 이 설치판부(20030b)로부터 급실 내측으로 연장된 탄성판부(20030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판부(20030b)와 상기 탄성판부(20030c)는 1매의 고무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분할 박힘 방지체(20030a)는, 상기 탄성판부(20030c)에 급동(200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절결부(2003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절결부(20032)는 급동(20010)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급동(20010)의 드럼(20010a)에 급동(20010)의 둘레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되어 있는 급치(20010b) 중 대응하는 급치(20010b)가 급동(20010)의 회전에 수반하여 박힘 방지체(2003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박힘 방지체(20030)에 접촉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9는 박힘 방지체(20030)의 급치 통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결부(20032)에 있어서, 급치(20010b)가 절결부(20032)를 통과할 때, 급치(20010b)의 상기 드럼(20010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200L)의 절반 이상의 길이(200L1)에 걸쳐 절결부(20032)에 인입된다.
즉, 박힘 방지체(20030)는 전후 한 쌍의 분할 박힘 방지체(20030a, 20030a)의 탄성판부(20030c)로 이루어지는 탄성판부(20030c)를 구비하고, 급실(2002)에 비산되어 탈곡구(20014)로부터 급실(2002)로 삽입된 예취 곡물대(200C)를 향한 탈곡 처리물을 예취 곡물대(200C)의 상방에서 탄성판부(20030c)에 의해 수용하고, 수용된 탈곡 처리물을 탄성판부(20030c)에 의한 안내에 의해 급동측으로 유동시켜, 이에 의해 비산된 탈곡 처리물 중 곡립이 예취 곡물대(200C)의 대에 박히는 것을 방지한다.
박힘 방지체(20030)는 급치(20010b)의 급동 드럼(20010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200L)의 절반 이상의 길이(200L1)가 절결부(20032)에 인입됨으로써 최대한 급동 드럼(20010b)의 근방까지 연장된 상태로 위치하여, 탈곡 처리물을 예취 곡물 대(200C)에 박히지 않도록 고정밀도로 수용한다.
박힘 방지체(20030)는 탄성판부(20030c)와 급치(20010b) 사이에 검불 등의 덩어리가 막힐 것 같으면, 급치(20010b)에 의한 검불 등의 덩어리를 개재한 탄성판부(20030c)의 조작에 의해 탄성판부(20030c)를 급동 회전 방향 하방으로 요동하도록 탄성 변형시켜, 탄성판부(20030c)의 탄성 변형에 의해 급치(20010b)에 의한 검불 등의 덩어리의 긁어내기를 행하기 쉽게 하여, 검불 등의 덩어리를 박힘 방지체(20030)로부터 제거시킨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 볏짚 반송 장치(2006)의 밑동 끼움 지지 반송부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으로부터의 탈곡 배출 볏짚의 밑동측을 무단 회전 체인(20040)과 상기 끼움 지지 레일(20041)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지지 레일(20041)은 상기 반송 종단부측 레일(20041b)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반송 종단부측 레일(20041b)을 신축 가능하게 지지하는 반송 시단부측 레일(20041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6은 상기 끼움 지지 레일(20041)의 지지 구조의 평면도이다. 이 도 26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 지지 레일(20041)은, 상기 반송 시단부측 레일(20041a)의 반송 시단부에 피봇 핀(20051)을 통하여 연결된 탈곡기체 상하 방향의 전방 지지축(20052)을 갖는 시단부측 지지 구조(20050)와, 상기 반송 시단부측 레일(20041a)의 반송 종단부에 피봇 핀(20061)을 통하여 연결된 탈곡기체 상하 방향의 후방 지지축(20062)을 갖는 종단부측 지지 구조(200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23은 상기 시단부측 지지 구조(20050)의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단부측 지지 구조(20050)는 상기 전방 지지축(2005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요전방 지지축(20052)을 스프링 받침에 겸용의 부시(20053)를 개재하여 회전 및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통체(20054)와, 이 통체(20054)에 연결된 스테이(20056)와, 이 스테이(20056)를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에 연결하고 있는 연결 볼트(20058)와, 상기 전방 지지축(20052)에 외부 삽입되어 전방 지지축(20052)을 상승 압박함으로써 끼움 지지 레일(20041)을 무단 회전 체인(20040)에 가까이 대는 스프링(20057)을 구비하고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는 상기 통체(20054)가 인입된 긴 구멍형의 통 지지 구멍(20055a)과, 상기 연결 볼트(20058)가 삽입 관통된 긴 구멍형의 볼트 구멍(20055b)을 구비하고 있다.
도 24의 (a)는 상기 종단부측 지지 구조(20060)의 측면도이다. 도 24의 (b)는 상기 종단부측 지지 구조(20060)의 정면도이다. 도 25은 도 24의 (b)의 Ⅹ-Ⅹ 단면 화살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단부측 지지 구조(20060)는 상기 후방 지지축(20062)을 구비하는 것 외에, 이 후방 지지축(20062)을 스프링 받침에 겸용의 부시(20063)를 개재하여 회전 및 상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강관으로 이루어지는 통체(20064)와, 이 통체(20064)를 탈곡기체(2001)에 고정된 브래킷(20065)의 탈곡기체 상하 방향의 연결면에 지지시키고 있는 스테이(20066)와, 상기 후방 지지축(20062)을 상승 압박함으로써 끼움 지지 레일(20041)을 무단 회전 체인(20040)에 가까이 대는 스프링(20067)을 구비하고 있 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20066)가 상기 브래킷(20065)에 연결 볼트(20068)에 의해 연결되도록 스테이(20066)에 설치한 연결 볼트 구멍(20066a)은,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20066)의 브래킷(20065)에 대한 연결 위치를 탈곡기체 상하 방향에서 봤을 때 배출 볏짚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시단부측 지지 구조(20050)에 있어서, 상기 통 지지 구멍(20055a)과 상기 볼트 구멍(20055b)의 긴 구멍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테이(20056)의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에 대한 연결 위치를 변경 조절함으로써, 전방 지지축(20052)의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에 대한 연결 위치가 변화되어 끼움 지지 레일(20041)을 배출 볏짚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종단부측 지지 구조(20060)에 있어서, 상기 볼트 구멍(20066a)의 긴 구멍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테이(20066)의 브래킷(20065)에 대한 연결 위치를 변경 조절함으로써, 끼움 지지 레일(20041)을 무단 회전 체인(20040)을 따른 설치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전방 지지축(20052)의 축심 둘레로 무단 회전 체인(20040)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 지지 구멍(20055a)과 상기 볼트 구멍(20055b)의 긴 구멍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방 지지축(20052)이 상기 통체(20054)와 함께 상기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에 대하여 이동하고, 끼움 지지 레일(20041)의 전방 지지축(20052)의 축심 둘레에서의 요동에 관계 없이 스테이(20066)를 브래킷(20065)의 탈곡기체 상하 방향의 연결면에 댈 수 있다.
도 27은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의 반송 시단부측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의 반송 시단부측을 위한 지지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의 반송 시단부측의 지지 구조는, 탈곡 피드 체인(20012)에 안내 작용하는 탈곡 피드 체인 가이드(20055)의 종판부(20055a)에 설치한 탈곡기체 횡방향의 지지축(20070)과, 이 지지축(20070)의 양단부에 볼 베어링을 부착하여 설치한 가이드 롤러(20071)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가이드 롤러(20071, 20071)에 탈곡 피드 체인(20012)의 반송 시단부를 감아 돌리게 하고 있다.
도 29는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에 대응한 끼움 지지 레일(20075)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9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곡 피드 체인(20012)에 대응한 끼움 지지 레일(20075)의 지지 구조는, 탈곡기체(2001)에 지지된 지지 프레임(20076)과, 이 지지 프레임(20076)의 탈곡기체 전후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20076)과 끼움 지지 레일(20075)에 걸쳐 설치한 지지 레버(20077)와, 상기 각 지지 레버(20077)에 장착한 스프링(2007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20078)은, 상기 지지 레버(20077)를 지지 프레임(20076)에 대하여 하강 압박함으로써, 끼움 지지 레일(20075)을 탈곡 피드 체인(20012) 가까이에 대어 압박한다.
도 30는 상기 지지 레버(20077)의 사시도이다. 도 30와 도 29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지지 레버(20077)는 지지 레버(20077)의 하단부에 설치한 스프링 받침부(20079)와 연결부(200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받침부(20079)는 상기 스프링(20078)의 하단부측을 수용하고 지지하여 스프링(20078)에 의한 지지 레버(20077)의 하강 압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연결부(20080)는 이 핀 구멍(20081)과 끼움 지지 레일(20075)에 걸쳐 장착되는 연결 핀에 의해 지지 레버(20077)를 끼움 지지 레일(20075)에 연결한다.
상기 스프링 받침부(20079)는 지지 레버(20077)의 하단부에 용접에 의해 연결된 판금 부재의 한 쌍의 절곡 설편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걸림부(20079a, 20079a)를 구비한 판금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0080)는 상기 판금 부재의 한 쌍의 절곡 설편으로 이루어지는 지지편(20080a, 80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3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박힘 방지체(20030)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32은 도 31의 ⅩVⅡ-ⅩVⅡ 단면 화살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박힘 방지체(20030)는 상부 립 플레이트(20015)의 하단부에 연결판(20031)을 개재하여 지지된 설치 레일부(20033)와, 이 설치 레일부(20033)로부터 급동(20010)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태로 상기 설치 레일부(20033)에 심어 설치된 탄성 브러시부(20034)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박힘 방지체(20030)는 상기 탄성 브러시부(20034)에 급동(20010)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설치한 절결부(20032)를 구비하고, 급동(20010)의 급치(20010b)가 대응하는 절결부(20032)를 박힘 방지체(20030)의 상방 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도록, 또한 급치(20010b)의 급동 드럼(20010a)으로부터의 돌출 길이(200L)의 절반 이상의 길이(200L1)에 걸쳐 절결부(20032)에 인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박힘 방지체(20030)는 박힘 방지체(20030)와 급치(20010b) 사이에 검불 등의 덩어리가 막힐 것 같으면, 급치(20010b)에 의한 검불 등의 덩어리를 개재한 탄성 브러시부(20034)에 대한 조작에 의해, 탄성 브러시부(20034)를 설치 레일부(20033)에 연결하고 있는 기단부측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급동 회전 방향 하방으로 요동하도록 탄성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급치(20010b)에 의한 검불 등의 덩어리의 긁어내기를 행하기 쉽게 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및 미션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변속 레버, 제1 및 제2 스위치, 조작 레버, 선회 모드 스위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조작 모터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의 유압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이동 주행 상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1 스위치에 의한 이동 주행 상태 및 표준 예취 상태의 설정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2 스위치에 의한 표준 예취 상태 및 저속 예취 상태의 설정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콤바인 전체의 측면도.
도 9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의 평면도.
도 11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후방측 요동 링크의 배면도.
도 12의 (a) 및 (b)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접지용 공전륜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13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일부 종단 측면도.
도 14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횡단 평면도.
도 15는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가 기체 무게 중심 부근에서 접지 반력을 받고 있는 작용도.
도 16은 탈곡기의 종단 측면도.
도 17는 탈곡부의 종단 정면도.
도 18은 탈곡부의 측면도.
도 19는 박힘 방지체의 급치 통과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는 배출 볏짚 처리 장치의 세단 방출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21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의 긴 배출 볏짚 상태에서의 종단면도.
도 22은 배출 볏짚 처리 장치의 후방면도.
도 23은 시단측 지지 구조의 단면도.
도 24의 (a)는 종단측 지지 구조의 측면도, (200b)는 종단측 지지 구조의 정면도.
도 25은 도 24의 (b)의 Ⅹ-Ⅹ 단면 화살표도.
도 26은 끼움 지지 레일의 지지 구조의 평면도.
도 27은 탈곡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측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
도 28은 탈곡 피드 체인의 반송 시단측의 지지 구조의 종단면도.
도 29는 탈곡 피드 체인에 대응한 끼움 지지 레일의 지지 구조의 측면도.
도 30는 지지 레버의 사시도.
도 31은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박힘 방지체의 종단 정면도.
도 32은 도 31의 ⅩVⅡ-ⅩVⅡ 단면 화살표도.
<부호의 설명>
2 : 예취부
7M : 주행용의 변속 장치
17 : 예취 클러치
18 :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
34, 35 : 인위 조작구
61 : 제1 제어 수단
62 : 제2 제어 수단
63 : 제3 제어 수단
1005 : 기체 프레임
10017 : 트랙 프레임
10018 : 접지용 공전륜
10020 : 긴장용 공전륜
10023 : 구동용 회전륜
10025 : 상부 공전륜
10026 : 크롤러 벨트
10027 : 요동 밸런스 프레임
10055 : 요동 밸런스 프레임의 피봇축
100G : 기체 무게 중심
100K1, 100K2, 100K3, 100K4 :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
100L1, 100L2 : 접지용 공전륜의 축심간의 거리
2002 : 급실
20010 : 급동
20010a : 급동 드럼
20010b : 급치
20014 : 탈곡구
20030 : 박힘 방지체
20030c : 탄성판부
20032 : 절결부
20034 : 브러시부
200L : 급치의 돌출 길이
200L1 : 급치의 절결부에 인입되는 길이

Claims (7)

  1. 주행용의 변속 장치와,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와,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인위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으로 상기 표준 위치보다도 저속의 저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예취 작업용의 표준 위치 및 도복이 심한 작물을 예취하는 도복 예취 작업용으로 상기 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인위 조작구에 의해 표준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표준 위치로 조작하는 제1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위 조작구에 의해 저속 예취 상태가 설정되면,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저속 위치로 조작하고, 이 후에 상기 예취부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예취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상기 표준 위치보다도 고속의 고속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가 고속 위치로 조작되는 이동 주행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이동 주행 상태가 설정되면, 예취부에 동력을 전동 및 차단 가능한 예취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고, 이 후에 상기 주행용의 변속 장치를 고속 위치로 조작하는 제3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예취 수확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89456A 2008-09-26 2009-09-22 예취 수확기 KR10169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48912A JP5117973B2 (ja) 2008-09-26 2008-09-26 脱穀機
JPJP-P-2008-248912 2008-09-26
JP2008268809A JP5426862B2 (ja) 2008-10-17 2008-10-17 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08-268809 2008-10-17
JPJP-P-2009-003800 2009-01-09
JP2009003800A JP5069698B2 (ja) 2009-01-09 2009-01-09 刈取収穫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62A Division KR101771363B1 (ko) 2008-09-26 2016-07-19 탈곡기
KR1020160091159A Division KR101760615B1 (ko) 2008-09-26 2016-07-19 크롤러 주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95A KR20100035595A (ko) 2010-04-05
KR101696452B1 true KR101696452B1 (ko) 2017-01-13

Family

ID=4221343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456A KR101696452B1 (ko) 2008-09-26 2009-09-22 예취 수확기
KR1020160091162A KR101771363B1 (ko) 2008-09-26 2016-07-19 탈곡기
KR1020160091159A KR101760615B1 (ko) 2008-09-26 2016-07-19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70104043A KR101821098B1 (ko) 2008-09-26 2017-08-17 탈곡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162A KR101771363B1 (ko) 2008-09-26 2016-07-19 탈곡기
KR1020160091159A KR101760615B1 (ko) 2008-09-26 2016-07-19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70104043A KR101821098B1 (ko) 2008-09-26 2017-08-17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696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260A (ko) 2020-12-28 2022-07-06 대상 주식회사 히스티딘에 의한 피드백 억제가 감소된 atp-prt 변이체 및 이를 발현하는 히스티딘 생산 균주
KR102433200B1 (ko) 2020-12-28 2022-08-19 대상 주식회사 히스티딘에 의한 피드백 억제가 감소된 atp-prt 변이체 및 이를 발현하는 히스티딘 생산 균주
KR20220094261A (ko) 2020-12-28 2022-07-06 대상 주식회사 히스티딘에 의한 피드백 억제가 감소된 atp-prt 변이체 및 이를 발현하는 히스티딘 생산 균주
KR20220094258A (ko) 2020-12-28 2022-07-06 대상 주식회사 히스티딘에 의한 피드백 억제가 감소된 atp-prt 변이체 및 이를 발현하는 히스티딘 생산 균주
KR20220094257A (ko) 2020-12-28 2022-07-06 대상 주식회사 히스티딘에 의한 피드백 억제가 감소된 atp-prt 변이체 및 이를 발현하는 히스티딘 생산 균주
CN112913482A (zh) * 2021-01-22 2021-06-08 江苏大学 一种齿杆单动可调脱粒装置及其动平衡调节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67A (ja) 1999-03-26 2000-10-03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1078545A (ja) 1999-09-10 2001-03-27 Iseki & Co Ltd 脱穀機の伝動装置
JP2006136335A (ja) 2005-12-27 2006-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195457A (ja) 2006-01-26 2007-08-09 Iseki & Co Ltd 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557A (ja) 1997-07-16 1999-02-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取駆動構造
JP3867421B2 (ja) 1998-10-30 2007-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稈供給搬送装置
JP4037580B2 (ja) 1999-10-28 2008-01-23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ささり防止構造
JP4093920B2 (ja) 2003-06-11 2008-06-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用脱穀機
JP2005102562A (ja) 2003-09-29 2005-04-2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4393237B2 (ja) 2004-03-18 2010-01-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走行用変速操作装置
JP4542481B2 (ja) * 2005-08-24 2010-09-15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4957213B2 (ja) 2006-11-29 2012-06-20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2008137435A (ja) 2006-11-30 2008-06-19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667A (ja) 1999-03-26 2000-10-03 Kubota Corp 脱穀装置の選別部構造
JP2001078545A (ja) 1999-09-10 2001-03-27 Iseki & Co Ltd 脱穀機の伝動装置
JP2006136335A (ja) 2005-12-27 2006-06-0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195457A (ja) 2006-01-26 2007-08-09 Iseki &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321A (ko) 2016-07-27
KR101821098B1 (ko) 2018-03-08
KR20170098205A (ko) 2017-08-29
KR101760615B1 (ko) 2017-07-21
KR20160089320A (ko) 2016-07-27
KR101771363B1 (ko) 2017-08-24
KR20100035595A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098B1 (ko) 탈곡기
US5463856A (en) Whole stalk sugar cane harvester that tops, cuts, cleans and loads
JP5966682B2 (ja) コンバイン
KR101427546B1 (ko) 콤바인 및 이것에 탑재 가능한 탈곡 장치
CN105025699A (zh) 联合收割机
WO2012077370A1 (ja)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1300922B1 (ko) 탈곡 장치
JP2011182743A (ja) コンバイン
JP5837760B2 (ja) コンバイン
JP5788169B2 (ja) 作業車両
WO2012077496A1 (ja) コンバイン
JP2000087772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6949073B2 (ja) コンバイン
JP6827356B2 (ja) コンバイン
JPH022193Y2 (ko)
JP5780628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6775459B2 (ja) コンバイン
WO2015178100A1 (ja) コンバイン
JP2011182744A (ja) コンバイン
JPH0649147Y2 (ja) コンバインの穀稈掻込装置
JP268814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前処理構造
CN205030132U (zh) 作业车辆
JP2003125636A5 (ko)
JP6192590B2 (ja) コンバイン
JP3517838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