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99B1 -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99B1
KR101688599B1 KR1020100051964A KR20100051964A KR101688599B1 KR 101688599 B1 KR101688599 B1 KR 101688599B1 KR 1020100051964 A KR1020100051964 A KR 1020100051964A KR 20100051964 A KR20100051964 A KR 20100051964A KR 101688599 B1 KR101688599 B1 KR 10168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saving mode
timing control
control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126A (ko
Inventor
백동훈
이재열
배한수
최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99B1/ko
Priority to US13/117,744 priority patent/US9093020B2/en
Priority to TW100119328A priority patent/TWI540552B/zh
Priority to CN201110146545.XA priority patent/CN102270423B/zh
Publication of KR20110132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09G5/008Clock reco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구동IC에서 소비전류를 최소한으로 하는 모드전환방법 및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모드전환방법은, 디스플레이구동IC에 적용되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정상동작모드에서 전력절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절약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절약모드는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IC에 내장된 타이밍제어장치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Mode conversion method,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pply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데이터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시간 구간 동안 전력절약모드를 실행하여 소비전류를 감소시킨 디스플레이데이터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타이밍제어장치(Timing controller), 디스플레이구동IC(Display Driver IC) 및 패널(panel)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구동IC는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패널을 구성하는 화소(picture element)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소스구동장치(source driver) 및 게이트구동장치(gate driver)를 구비하는 집적회로인데, 타이밍제어장치를 더 구비하는 경우도 혼용된다. 타이밍제어장치는 입력된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구동IC에서 필요로 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구동IC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소비전류를 최소한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구동IC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과제는, 디스플레이구동IC에서 소비전류를 최소한으로 하는 모드전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과제는, 소비전류를 최소한으로 하는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IC는, 타이밍제어장치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을 구비하며,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타이밍제어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전력절약모드(power down mode)로 동작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방법은, 디스플레이구동IC에 적용되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정상동작모드에서 전력절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절약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절약모드는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IC에 내장된 타이밍제어장치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적용된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신호처리시스템은,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동하는 소스구동장치 및 상기 소스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밍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타이밍제어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하는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은 일정한 시간 구간에 전력을 최소한으로 소비하는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에 소비되는 전력을 최소한으로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4는 전력절약모드를 도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전력절약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정상동작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타이밍제어신호(TCON)와 데이터패킷의 관계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원발명은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이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을 감소시킨다.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는 시간 구간은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전체가 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초기화구간 중 일부구간, 데이터전송구간에 포함된 수평블랭크구간 중 일부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일부구간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경우, 초기화구간에서는 초기트레이닝모드로, 데이터전송구간에서는 디스플레이데이터모드로 그리고 수직블랭크구간에서는 수직트레이닝모드로 각각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상태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상태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100)은, 타이밍제어장치(110),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 n은 자연수) 및 패널(140)을 구비한다. 타이밍제어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데이터(image data), 제어데이터(control data) 및 클럭신호(clock signal)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데이터(display data, TD)는 복수 개의 신호라인들(130a, 130b, 130n)을 경유하여 해당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 각각에 전달된다.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 각각은 클럭복원장치(121, clock recovery unit), 병렬변환장치(122, deserializer), 데이터저장장치(123, data latch unit) 및 데이터변환장치(124, data transformation unit)를 구비하며, 패널(140, panel)은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영상을 재생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 클럭복원장치(121)는 클럭신호를 생성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클럭발생기와 혼용하여 사용될 것이다.
전원이 최초로 인가되면(200, power on) 타이밍제어장치(110)는 최초 트레이닝 모드(210, initial training)로 동작한다. 최초 트레이닝 모드(210) 일 때, 타이밍제어장치(110)는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을 구성하는 클럭복원장치(121)가 락(lock) 상태가 되는데 사용되는 클럭 트레이닝 신호를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전송한다.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포함된 클럭복원장치(121)는, 지연고정루프회로(Delay Locked Loop Circuit) 또는 위상고정루프회로(Phase Locked Loop)를 구비하며, 타이밍제어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클럭신호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최초 트레이닝 모드(210)를 통해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이 안정화되면 디스플레이데이터모드(220, display data)로 동작한다. 이 때, 타이밍제어장치(110)는 라인시작필드(Start Of Line, SOL)를 포함하는 데이터패킷(Data packet)을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전달함으로써, 디스플레이데이터모드(220)의 시작을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알릴 수 있으며, 데이터패킷에는 디스플레이데이터가 더 포함된다. 하나의 화면 즉 하나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분량의 디스플레이데이터를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전달하고 나면 디스플레이모드(220)는 완료되는데, 프레임동기신호(FSYNC)를 데이터패킷에 포함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데이터모드(220)의 종료를 알릴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데이터가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전달된 후에는 수직트레이닝모드(230)를 수행한다.
소스구동장치들(120a, 120b, 120n)에 포함된 클럭복원장치(121), 병렬변환장치(122), 데이터저장장치(123) 및 데이터변환장치(124)의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클럭복원장치(121)는 초기화구간동안에는 클럭트레이닝신호를 이용하여 락 상태로 안정화될 수 있으며, 데이터전송구간동안에는 디스플레이데이터(TD)로부터 복원클럭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원클럭신호에 따라 다중위상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다중위상클럭신호 및 디스플레이데이터(TD)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는 병렬변환장치(122)에 전달된다. 병렬변환장치(122)는 다중위상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직렬로 입력되는 이미지데이터를 병렬데이터로 변환시켜서 데이터저장장치(123)에 전달한다. 데이터저장장치(123)는 다양한 장치 및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로 구현하는 것은 그 중 하나가 된다. 데이터변환장치(124)는 데이터저장장치(123)에 저장된 디지털 형태의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4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의 간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구동시스템은 타이밍제어장치(110) 및 소스구동장치(120N, 120(N+1), N은 자연수)를 구비한다. 타이밍제어장치(110)는 논리회로(111) 및 논리회로(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120N, 120(N+1))와 포인트-투-포인트 방식으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출력장치(112, 113)들을 구비한다. 타이밍제어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은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120N, 120(N+1))들 각각에 구비된 수신장치(121, 123)를 경유 클럭발생 및 논리회로(122, 124)에 전달된다.
도 3에 도시된 타이밍제어장치(110) 및 소스구동장치(120N, 120(N+1))는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소비전류가 최소가 되는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한다.
도 4는 전력절약모드를 도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절약모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타이밍제어장치(110)의 논리회로(111)로부터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가 논리하이(HIGH)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는 데이터패킷(130)을 구성하는 구성필드(Configuration)에 포함 될 수 있다. 이 때 타이밍제어장치(110)의 출력장치들(112, 11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 값도 논리하이(HIGH) 및 논리로우(LOW) 상태 중 하나의 상태로 고정된다. 도 4에는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가 데이터패킷(130)에 포함되어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에 전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별도로 할당된 신호라인을 통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 각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절약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송된 데이터패킷(130)에 포함된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를 검출하거나, 데이터패킷(130)에 포함된 이미지데이터가 논리하이 또는 논리로우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거나, 별도로 할당된 신호라인을 통해 전달된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를 검출하는 방식이 그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력절약모드를 지시하는데 할당된 레지스터의 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또는 클럭발생기로부터 생성된 내부 클럭신호의 상태 및 클럭발생기의 락 상태로부터 전력절약모드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입방식의 조합에 의해서 전력절약모드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에는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가 논리하이(HIGH) 상태가 되는 것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논리로우(LOW) 상태가 활성화되는 것으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전력절약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절약모드에서는 타이밍제어장치(110)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 모두는 소비전력이 최소가 되는 전력절약모드(LOW POWER MODE)로 동작한다.
타이밍제어장치(110)가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클럭발생기(미도시) 등과 같이 소비전력이 큰 장치들의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또는 전혀 소비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 회로의 상태가 변경되어야 한다. 내부 회로의 상태를 변경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또는 전혀 전력을 소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이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들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소비전류가 많이 소비되는 회로의 바이어스 전류가 최소가 되거나 전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CMOS회로의 경우 소비전력의 대부분은 신호의 논리 값이 천이할 때 발생하므로, 전력절약모드에서 소비전력이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전송논리회로(111)로부터 출력장치들(112, 113)로 전달되는 신호도 논리하이 또는 논리로우 값 중 하나로 고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이밍제어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패킷(130)은 논리하이 또는 논리로우로 고정된 논리값을 포함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출력장치(112, 113)가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력절약모드일 때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도 내부회로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소비전류가 최소한으로 되도록 조절하는데, 타이밍제어장치(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를 실현할 수 있다. 수신장치(121, 123)에는 내부 ODT(On Die Termination) 저항이 존재하는데, 전력절약모드일 때 저항 값을 변경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정상동작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절약모드로부터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가 논리로우(LOW) 값으로 불활성화 되어야 한다. 이 때, 타이밍제어장치(110)를 구성하는 클럭발생기(미도시) 및 전송논리회로(1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므로, 데이터패킷(130)에는 정상적인 데이터가 포함되게 된다.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도 정상동작모드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내부회로들의 바이어스 전류를 정상으로 흐르도록 하거나 변경된 ODT 저항 값을 정상 값으로 재 변경시켜야 한다.
만일 디스플레이데이터시스템이 클럭신호가 데이터패킷에 포함되는 클럭매립형(Clock Embedded type)인 경우, 타이밍제어장치(110)가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에 정상동작모드를 지시하기 위해 타이밍패턴을 전송한다. 이 때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120N, 120(N+1))은 내부 클럭발생기(미도시)가 상기 타이밍패턴에 의해 트레이닝을 시작하는 시점을 정상동작모드의 시작점으로 인식한다.
도 7은 타이밍제어신호(TCON)와 데이터패킷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경우(710) 타이밍제어신호(TCON)가 활성화되었을 때, 초기화(711) 후, 제1프레임데이터(712) 및 수직블랭크(713)가 타이밍제어장치로부터 소스구동장치로 전달되고, 이어서 제2프레임데이터(714) 및 수직블랭크(715)가 하나의 단위로 되어 계속하여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는 초기화구간(711), 데이터전송구간(712, 714) 및 수직블랭크구간(713, 715)에서 최소한의 필요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 전력절약모드를 도입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패킷(720)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패킷(710)과 형식은 동일하지만, 초기화구간(721) 중 일부구간, 데이터전송구간(722)중 일부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723) 중 일부구간에 전력절약모드(STANDBY MODE)를 수행하도록 한다.
초기화구간은 타이밍제어장치에 전력이 최초로 공급될 때, 타이밍제어장치가 안정화하는데 필요한 시간이지만 할당된 초기화구간이 충분한 경우,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초기화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데이터전송구간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라인데이터가 데이터패킷에 포함되는데, 라인데이터와 라인데이터 사이에는 수평블랭크구간(Horizontal Blank Period)이 존재한다. 수평블랭크구간(HBP)은 라인 단위로 전달된 이미지데이터가 소스구동장치의 내부회로에서 처리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보전하여 주기위한 시간으로 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충분한 시간이 할당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블랭크구간(HBP) 중 최소한의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구간에 전력절약모드를 적용한다. 하나의 프레임(722)에는 복수 개의 라인데이터가 포함(730)되며, 전력절약모드는 복수 개의 라인데이터가 전송될 때 마다 수행된다.
수직블랭크구간(Vertical Blank Period)은 프레임과 프레임을 구별하기 위하여 존재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직블랭크구간(VBP) 중 최소한의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구간에 전력절약모드를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데이터구동시스템은, 초기화구간, 수평블랭크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구간동안 타이밍제어장치나 소스구동장치와 같은 장치들의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시스템 전체적으로 소비전력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타이밍제어장치
120: 소스구동장치
121: 클럭복원장치
122: 병렬변환장치
123: 데이터저장장치
124: 데이터변환장치
130: 데이터 패킷
140: 패널

Claims (10)

  1. 타이밍제어장치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구동IC에 있어서,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타이밍제어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가 전력절약모드(power down mode)로 동작하고,
    상기 전력절약모드일 때,
    상기 타이밍제어장치는 일정한 DC 전압 또는 하이임피던스상태를 상기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에 출력하며, 상기 타이밍제어장치에 포함된 클럭신호발생기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bias current)가 최소가 되거나 전혀 흐르지 않도록 내부회로가 제어되며,
    상기 소스구동장치는 내부 ODT(On Die Termination) 저항의 값을 변경시키는 는 디스플레이구동IC.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절약모드로 동작하는 구간은,
    상기 초기화구간, 상기 데이터전송구간 및 상기 수직블랭크구간 중 일부의 구간인 디스플레이구동IC.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전송구간에서의 전력절약모드는,
    상기 데이터전송구간에 포함되는 수평블랭크구간 중의 일부구간에서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절약모드일 때,
    상기 소스구동장치는 내부 바이어스 전류가 최소한이 되거나 전혀 흐르지 않도록 내부회로가 설정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절약모드는,
    상기 타이밍제어장치에서 생성되는 스탠바이제어신호(STANDBY)에 의해 활성화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IC이 클럭매립형(Clock Embedded type)인 경우 전력절약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 되는 때는,
    상기 타이밍제어장치는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가 불활성화 되는 때이고 이 때 트레이닝 패턴을 출력하며,
    상기 소스구동장치는 상기 트레이닝 패턴을 이용하여 내장된 클럭신호발생기가 트레이닝을 시작하는 시점인 디스플레이구동IC.
  8. 디스플레이구동IC에 적용되는 모드전환방법은,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정상동작모드에서 전력절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절약모드에서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전력절약모드는 초기화구간, 데이터전송구간 및 수직블랭크구간 중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상기 디스플레이구동IC에 내장된 타이밍제어장치 및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 적용되고,
    상기 전력절약모드일 때,
    상기 타이밍제어장치는 일정한 DC 전압 또는 하이임피던스상태를 상기 복수 개의 소스구동장치에 출력하며, 상기 타이밍제어장치에 포함된 클럭신호발생기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류(bias current)가 최소가 되거나 전혀 흐르지 않도록 내부회로가 제어되며,
    상기 소스구동장치는 내부 ODT(On Die Termination) 저항의 값을 변경시키는는 모드전환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동작모드에서 전력절약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를 활성화시키는 진입단계; 및
    상기 스탠바이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타이밍제어장치 및 상기 소스구동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절약단계를 구비하는 모드전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약단계일 때,
    상기 소스구동장치는 내부 바이어스 전류가 최소한이 되거나 전혀 흐르지 않도록 내부회로가 설정되는 모드전환방법.
KR1020100051964A 2010-06-01 2010-06-01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KR10168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64A KR101688599B1 (ko) 2010-06-01 2010-06-01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US13/117,744 US9093020B2 (en) 2010-06-01 2011-05-27 Mode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method
TW100119328A TWI540552B (zh) 2010-06-01 2011-06-01 模式轉換方法,使用該模式轉換方法之顯示驅動積體電路及影像處理系統
CN201110146545.XA CN102270423B (zh) 2010-06-01 2011-06-01 模式转换方法、显示驱动集成电路和图像处理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964A KR101688599B1 (ko) 2010-06-01 2010-06-01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126A KR20110132126A (ko) 2011-12-07
KR101688599B1 true KR101688599B1 (ko) 2016-12-23

Family

ID=4502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964A KR101688599B1 (ko) 2010-06-01 2010-06-01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93020B2 (ko)
KR (1) KR101688599B1 (ko)
CN (1) CN102270423B (ko)
TW (1) TWI5405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0254B2 (en) 2020-03-04 2022-09-20 Silicon Works Co., Ltd. Data driv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operating in low power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6398B2 (en) * 2011-10-06 2015-07-07 Himax Technologies Limited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4115210B (zh) * 2011-12-16 2018-08-03 英特尔公司 显示控制器的电力管理
KR101978937B1 (ko) * 2012-03-16 2019-05-15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전원 잡음에 둔감한 표시장치용 소스 드라이버
KR101962781B1 (ko) 2012-07-12 2019-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995290B1 (ko) * 2012-10-31 2019-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JP5805725B2 (ja) 2013-10-04 2015-11-04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6034273B2 (ja) * 2013-10-04 2016-11-30 ザイ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2112089B1 (ko) * 2013-10-16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154186B1 (ko) * 2013-12-03 2020-09-10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스트 효율성을 향상한 타이밍 콘트롤러, 소스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동작방법
KR102166897B1 (ko) * 2014-02-11 2020-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297232B2 (en) 2014-03-10 2019-05-21 Silicon Works Co., Ltd. Source driver
KR20150127500A (ko) * 2014-05-07 201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4762B1 (ko) * 2014-08-01 2021-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60328B1 (ko) * 2014-11-03 2021-06-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37026B1 (ko) * 2014-11-05 2021-04-06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0670B1 (ko) * 2015-03-27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회로,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427552B1 (ko) * 2015-08-03 2022-08-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6632864B2 (ja) * 2015-10-27 2020-01-22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ドライバ及び表示装置
JP6790435B2 (ja) 2016-04-20 2020-11-2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信号受信方法、信号送信方法、および通信方法
KR102522805B1 (ko) * 2016-10-31 2023-04-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3299B1 (ko) * 2017-12-12 2022-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503423B1 (ko) * 2018-09-21 2023-0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6695B1 (ko) * 2018-09-21 2023-09-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994436B (zh) * 2021-02-04 2022-06-03 重庆先进光电显示技术研究院 一种栅极开启电压产生电路、显示面板驱动装置及显示装置
TWI795960B (zh) * 2021-10-25 2023-03-11 大陸商常州欣盛半導體技術股份有限公司 具有低電磁干擾之源極驅動器及其資料移位方法
CN114373419A (zh) * 2022-02-10 2022-04-1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移动终端
TWI823622B (zh) * 2022-10-17 2023-1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系統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8540A1 (en) 2007-11-20 2009-05-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ynamically switching driving metho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JP2009265373A (ja) * 2008-04-25 2009-11-12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132B2 (ja) 2002-04-26 2008-05-2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4108623B2 (ja) 2004-02-18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599912B2 (ja) 2004-07-05 2010-12-15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4668202B2 (ja) 2004-09-30 2011-04-13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イミング信号生成回路、電子デバイス、表示装置、受像装置、及び電子デバイスの駆動方法
US20070262976A1 (en) 2004-10-14 2007-11-15 Eiji Matsuda Level Shifter Circuit,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N100426367C (zh) 2005-03-30 2008-10-15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控制信号传输方法
KR20070025662A (ko) * 2005-09-05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4853028B2 (ja) 2006-01-18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タイミング制御用半導体装置
JP4988258B2 (ja) 2006-06-27 2012-08-01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019573B2 (ja) 2006-10-18 201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メモリ制御回路とメモリシステム、及びそのメモリ制御方法、及び集積回路
JP2008249811A (ja) 2007-03-29 2008-10-16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駆動回路、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CN101499244B (zh) 2008-01-31 2011-03-30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器的脉冲驱动方法与驱动电路
US8284179B2 (en) 2008-02-21 2012-10-09 Himax Technologies Limited Timing controller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8540A1 (en) 2007-11-20 2009-05-2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dynamically switching driving metho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JP2009265373A (ja) * 2008-04-25 2009-11-12 Panas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0254B2 (en) 2020-03-04 2022-09-20 Silicon Works Co., Ltd. Data driv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device operating in low power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70423B (zh) 2017-04-12
US9093020B2 (en) 2015-07-28
KR20110132126A (ko) 2011-12-07
TW201235996A (en) 2012-09-01
US20110292024A1 (en) 2011-12-01
CN102270423A (zh) 2011-12-07
TWI540552B (zh) 201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599B1 (ko) 모드전환방법, 상기 모드전환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구동ic 및 영상신호처리시스템
US7050032B2 (en) Ram-incorporated driver, and display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850211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소스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lcd 장치
KR100875340B1 (ko) 데이터 비활성 기간에 부채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시스템
US9583070B2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associated timing controller of display
US8390613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US1125894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lane mapping, link training and lower power modes for a high speed bus interface
KR101315084B1 (ko) 임베디드 디스플레이포트 시스템과 그를 위한 패널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채용한 타이밍 컨트롤러 및 패널 셀프 리프레시 모드 제어 방법
CN105590574B (zh) 源极驱动器电路以及显示装置
KR20130070765A (ko) 티어링과 플리커를 방지하기 위한 동기 신호를 조절하는 장치들과 그 방법
TW201320043A (zh) 顯示元件中轉移資料的方法
US9761202B2 (en) Seamless video transitions
US20180166040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mitigating through current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2010134463A (ja) データストリームを利用した送受信システムの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KR100852885B1 (ko) 슬레이브 장치의 소모 전류 제어 회로 및 그 방법, 및아이투씨 인터페이스 회로
KR20190055876A (ko) 신호 송수신 장치, 상태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081152B2 (en) Timing control circuit with power-saving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04302415A (ja) 液晶表示装置
JP2006018149A (ja) 液晶表示装置
TWI525591B (zh) 源極驅動器及其操作方法
KR100303484B1 (ko) 전원 절전회로
JP6530066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6243164A (ja) Lcdインタフェイス装置
KR20240075966A (ko) 소스 드라이버 ic 및 그 구동 방법과, 타이밍 컨트롤러
JP2009065584A (ja) 映像信号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