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774B1 -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 Google Patents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774B1
KR101685774B1 KR1020147004417A KR20147004417A KR101685774B1 KR 101685774 B1 KR101685774 B1 KR 101685774B1 KR 1020147004417 A KR1020147004417 A KR 1020147004417A KR 20147004417 A KR20147004417 A KR 20147004417A KR 101685774 B1 KR101685774 B1 KR 10168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blue
range
color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816A (ko
Inventor
고지 쓰치야
마사히코 아오바
겐지로 마쓰모토
다케시 다마키
Original Assignee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치 세이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7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C07F1/08Copp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8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 C09B47/12Obtaining compounds having alkyl radicals, or alkyl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bound to the phthalocyanine skeleton
    • C09B47/16Obtaining compounds having alkyl radicals, or alkyl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bound to the phthalocyanine skeleton having alkyl 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6Preparation from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nhydrides, amides, mononitriles, phthalimide, o-cyanobenzamide
    • C09B47/065Preparation from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nhydrides, amides, mononitriles, phthalimide, o-cyanobenzamide having -COOH or -SO3H radicals or derivatives thereof, directly linked to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6Preparation from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nhydrides, amides, mononitriles, phthalimide, o-cyanobenzamide
    • C09B47/067Preparation from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nhydrides, amides, mononitriles, phthalimide, o-cyanobenzamide from phthalodinitriles naphthalenedinitriles, aromatic dinitriles prepared in situ, hydrogenated phthalodinitrile
    • C09B47/0678Preparation from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nhydrides, amides, mononitriles, phthalimide, o-cyanobenzamide from phthalodinitriles naphthalenedinitriles, aromatic dinitriles prepared in situ, hydrogenated phthalodinitrile having-COOH or -SO3H radicals or derivatives thereof directly linked to the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47/00Porphines; Azaporphines
    • C09B47/04Phthalocyanines abbreviation: Pc
    • C09B47/08Preparation from other phthalocyanine compounds, e.g. cobaltphthalocyanineamine complex
    • C09B47/24Obtaining compounds having —COOH or —SO3H radicals, or derivatives thereof, directly bound to the phthalocyanine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7/00Influencing the physical, e.g. the dyeing or printing properties of dyestuffs without chemical reactions, e.g. by treating with solvents grinding or grinding assistants, coating of pigments or dyes; Process features in the making of dyestuff preparations; Dyestuff preparations of a special physical nature, e.g. tablets, films
    • C09B67/0033Blends of pigments; Mixtured crystals; Solid solutions
    • C09B67/0034Mixtures of two or more pigments or dyes of the same type
    • C09B67/0035Mixtures of phthalocyan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1Organic pigments; Organic d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화상 형성시에, 종래의 청색의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결점을 해소하여, 고채도이고, 선명성, 명도, 분산성, 색상, 착색력 등이 뛰어난 녹미 청색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각종의 화상 기록 방법에 적용 가능한 청색 안료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목적은, 프탈이미드메틸기의 치환기 수 m의 범위가 1.0≤m≤ 5.0이고, 술폰기 R1의 치환기 수 n의 범위가 0.05≤n≤1.0인,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를 포함한 녹미 청색 안료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GREENISH BLUE PIGMENT, COLORANT COMPOSITION CONTAINING SAID PIGMENT, AND IMAGE RECORDING MATERIAL}
 본 발명은, 채도가 높은 녹미(綠味) 청색(greenish blue)의 색상을 나타내는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에 관한 것이다.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우수한 안료의 하나이며, 선명한 청색의 색조와 뛰어난 여러 견뢰성을 가지는 것을 특장점으로 한다. 특히, β형 결정의, C.I.피그먼트 블루 15:3(이후, PB 15:3으로 약칭) 혹은 분산 안정화시킨 C.I. 피그먼트 블루 15:4(이후, PB 15:4로 약칭)는, 종래부터 프로세스 인쇄에 이용되는 삼원색의 하나인 시안색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근래 쇄판(刷版)을 이용하는 종래의 인쇄 방식에 더하여, 전자 사진 기록 방식, 잉크젯 기록 방식, 열 전사 기록 방식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새로운 화상 기록 방식에 있어서,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확대하고 있으며, 그 경우에는 시안색에 대해서 종래와는 다른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즉, 이러한 기록 방식으로는, 화상의 형성에 즈음해, 보다 뛰어난 색 재현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시안색으로서 종래의 청색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대신하여, 청록색 색조를 가지는 안료 및 그것을 사용한 채도가 높고 선명한 화상 기록이 가능한 착색제(이하, 화상 기록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를 기대하는 새로운 요구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PB 15:3 혹은 PB 15:4)는, 분산성, 농도, 내광성, 내열성, 대전성, 안전성이 우수하지만, 단독으로는 소망하는 시안색보다 붉은 빛깔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색을 보정할 목적으로, C.I. 피그먼트 그린 7, C.I. 피그먼트 그린 36, C.I. 피그먼트 그린 58 등이 병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색상이 크게 다른 감색(減色) 혼합이 되기 때문에, 화상의 채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상기한 병용하는 안료는, 그 구조 중에 할로겐 분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폐기시의 환경에 대한 부하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
상기에 예로 든 종래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외에 공지의 시안색 안료로서는, 아래에 열거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에,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프탈이미드메틸 유도체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중에 합성 방법에 대한 기재는 없고, 본 발명자들이 이 안료를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한 바, 다량의 불순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색소 본래의 착색력을 얻을 수 없고, 또 채도도 저하하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없었다. 또, 특허 문헌 2에는, 벤젠 고리에 치환기를 가지는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로서 임의의 치환기를 가져도 좋은 프탈이미드메틸 유도체를 나타내는 일반식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그 실시예에 기재된 PIM라고 칭해지는 유도체는, 프탈로시아닌 구조에 프탈이미드메틸기 이외의 치환기를 가지지 않고, 그 외의 치환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시예도 없다. 물론, 이들 유도체의 색채적 특장(特長)도 기재되고 있지 않다. 또, 특허 문헌 3, 4에 기재되어 있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니켈 프탈로시아닌의 혼합물은, 전자 사진 기록용의 토너나, 잉크젯용 잉크 등의 용도에의 사용에서는, 니켈 프탈로시아닌이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그 사용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 특허 문헌 5에는, 프탈이미드메틸기를 가지는 구리 프탈로시아닌이 기재되어 있고,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는 0.6~2.1, 술폰기의 개수는 0.2~2.5인 것에 더하여, 필수 요건으로서 이들의 합계가 3보다 작은 것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상기 물질은, 안료의 결정 성장 억제제 혹은 분산 안정제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에 대해 개시한 것이 아니다.
또한, 특허 문헌 6에는, 농(濃)황산과 같은 산성 용매 중에서 파라포름알데히드와 프탈이미드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프탈이미드를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비스프탈이미드메틸에테르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비스프탈이미드메틸에테르와 반응시키는 방법, 또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그 실시예에, 술폰화된 프탈이미드기를 가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대한 기재는 없다.
또한,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는, 다른 청색의 안료에 비해, 선명한 청색의 색조나 착색력, 여러 견뢰성이 지극히 우수하지만, 근래 중금속인 구리를 다른 금속이나 비금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어, 특허 문헌 7 등, 여러 가지의 것이 제안되고 있으며 제품화도 되고 있다. 그렇지만, 구리 이외의 금속 프탈로시아닌 안료나 비금속의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있어서도, 먼저 말한 최근의 새로운 기록 방식에 있어서 요망되고 있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녹미 청색 안료의 실현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 58-20345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2-8074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 2009-151162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 2009-173800호 공보 특허 문헌 5 : 미국 특허 제 3,589,924호 공보 특허 문헌 6 : 미국 특허 제 2,761,868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개평 6-100787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안료는 모두 먼저 열거한 것과 같은, 최근에 현저히 진전된 새로운 화상 기록 방식에서 사용하는 화상 기록제에 요구되고 있는 시안색용으로 사용되는 색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기록 방식에 대해 요망되고 있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로서는 충분한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각종의 기록 방법에 적용 가능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화상 기록제용의 시안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채도의 녹미 청색 안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시안색 화상 기록제용의 안료의 결점을 해소하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각종의 기록 방법에 적용 가능한 물성을 가짐과 동시에, 고채도를 가지는 녹미 청색을 만족시킬 수 있는 안료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안료를 개발하는 것으로, 색상의 선명성, 명도, 투명성 등이 뛰어난 성질을 발휘시킬 수 있는 착색제 조성물을 얻고, 더욱이 그 착색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근래의 현저히 진전되고 있고,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각종의 기록 방법에 적용 가능한, 폐기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관해서도 문제가 없는 우수한 화상 기록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아래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미 청색 안료를 제공한다.
Figure 112014016759490-pct00001
(상기 식(I) 중, m은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m의 범위는 1.0≤m≤ 5.0이며, R1은 술폰기를 나타내고, n는 그 치환기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n의 범위는 0.05≤n≤1.0이다. 또, M은 배위자(配位子)를 가져도 좋은 Cu, Al 또는 Zn 금속 원자의 어느 쪽인가를 가리킨다)
상기 본 발명의 녹미 청색 안료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아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순도가, 95.0% 이상인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일반식(I) 중의, m의 범위가 2.5≤m≤4.0이고, 또한 n의 범위가 0.05≤n≤0.7인 녹미 청색 안료. 그 분광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 ~ 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내에 있어서의 최고 반사 스펙트럼이, 460nm ~ 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녹미 청색 안료.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적어도 안료와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료가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녹미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전자 사진, 전자 인쇄, 정전 기록 또는 열전사 기록 중 어느 하나의 기록 방법에 이용되는 화상 기록제이며, 상기의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형태로서 잉크젯 기록용의 화상 기록제이며, 상기의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 혹은, 칼라 필터용의 화상 기록제이며, 상기의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시안색 화상 기록제용 안료의 결점이 해소된, 안전성이 뛰어난 고채도인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신규 청색 안료가 제공된다.상세하게는 종래의 녹미 청색의 안료로서 알려져 있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PIM화물이나, 특허 문헌 3, 4에 기재된 니켈 프탈로시아닌이나 일본 화약의 제품 등이 있는 가운데, 본 발명에서는 특히, 내광성, 내열성,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뛰어난 프탈로시아닌을 기본 골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그 뛰어난 물성을 가미하는 것과 동시에, 그 치환기의 종류와 수를 상세하게 규정함으로써, 원하는 용도에 유효한 녹미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의 제공을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그 이유를, 이하와 같이 생각하고 있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안료는, 그 구조가 상기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안료 물성적으로 뛰어난 프탈로시아닌 안료의 특징인 결정성이, 그 전이(轉移)에 의해서, α,β,ε형 등 많은 결정형이 존재할 수 있고, 각각의 결정형이 적미(赤味:reddish), 녹미 등의 청색 색조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며, 더욱이 치환기의 선택에 의해서 최종 용도 목적에 따른 녹미 밸런스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결과 상기한 뛰어난 특장(特長)을 가지는 안료가 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색상의 선명성, 명도, 투명성 등이 뛰어난 성질을 발휘시킬 수 있는 착색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색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폐기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 근래에 현저히 진전되고, 널리 범용되고 있는, 각종의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의 색조에 대한 새로운 요망에 대응할 수 있는 뛰어난 화상 기록제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히 검토한 결과, 고채도의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특정의 구조를 가지는 안료를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서 개발한 안료를 이용해 종래의 기록 방식으로 시안색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적미가 강한 청색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대신하여 특히, 근래에 있어 그 이용이 현저한 각종의 화상 형성 방법에서 이용되는 화상 기록제로 적용하면, 보다 뛰어난 색 재현성을 실현할 수 있고, 고채도이며 선명한 화상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함유시키는 것으로, 색상의 선명성, 명도, 투명성 등이 뛰어난 성질을 발휘시킬 수 있는 착색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착색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여러 가지의 기록 방식으로 적용 가능한 우수한 화상 기록제로 할 수 있다.
Figure 112014016759490-pct00002
m :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를 나타내고, 1.0≤m≤ 5.0
n :술폰기의 치환개수를 나타내고, 0.05≤n≤1.0
R1 : 술폰기
M : 배위자를 가져도 좋은 Cu, Al 또는 Zn 금속 원자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안료 성분의 순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개발한 안료를 최종적으로 화상 기록제로서 사용했을 경우, 선명성, 명도, 투명성 등이 뛰어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특징은, 화상 기록제가 고체상 및 액체상인 어느 경우에 대해도 바람직하게 발현한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이하, 본 발명의 안료라고도 부른다)의 합성 방법에는,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황산과 같은 산성 용매 중에서, 파라포름알데히드와 프탈이미드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프탈이미드를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반응시키는 방법이나, 비스프탈이미드메틸에테르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비스프탈이미드메틸에테르와 반응시키는 방법, 또,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혹은 치환기를 가지는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와 반응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안료의 합성 방법)
이하에, 본 발명을 특징짓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안료의 합성 방법으로 대해서,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예에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구리 프탈로시아닌을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만든다. 다음에, 얻어진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와 프탈이미드를 반응시키고, 구리 프탈로시아닌을 프탈이미드메틸화하고, 다시 고온으로 함으로써 술폰화하여, 이것에 의해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얻는다. 이때 도입되는 술폰기로서는, 프리의 술폰기는 물론, 염기와의 염이라면 좋다. 또, 염기는, 예를 들면, 금속염(알칼리 금속이나, Ca, Ba, Al, Mn, Sr, Mg, Ni 등의 다가 금속의 염), 암모늄염, 아민염, 혹은 이들의 혼합이어도 좋다. 아민염을 형성하는 아민으로서는, (모노, 디 또는 트리) 알킬 아민류, 치환 또는 미치환의 알킬렌디아민류, 알칸올아민류, 알킬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하는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는, 상기와 같이,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이 하여 합성한 것을 이용했다. 프탈이미드와 포르말린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90~100℃로 가열하고, 이것을, 여과, 세정, 감압 건조하는 것에 의해서 얻었다. 합성물의 확인은, 적외 분광 분석법(IR)에 의한, 3,480cm-1(OH기), 1,780, 1,720cm-1(C=O기)의 적외 흡수스펙트럼의 존재와, 융점이 143~146℃(문헌치 142~145℃)인 것으로부터,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라고 분류했다.
상기에서는, 일반식 (I) 중의 M가 구리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반식 (I) 중의 M은, 배위자를 가져도 좋은 Cu, Al 또는 Zn의 금속원자의 어느 하나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테트라암민 구리착체, 구리, 아연, 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범용성, 제법면에서 안정하며, 내후성이 뛰어난 구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구리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식 (I) 중의 M이 상기한 어느 하나라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이 소기의 목적으로 하는 녹미 등의 청색이나 청록의 색상을 나타내는 선명한 청색 안료를 달성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구리 프탈로시아닌에 대신하여, 공지의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이나 아연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하면 좋다. 또, 이들 프탈로시아닌은,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구리를 알루미늄 등으로 치환하는 방법이나,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에 알루미늄 등을 배위시키는 등의,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안료 순도의 산출 방법)
추출 용매로서 아세토니트릴을 채용하고,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속슬렛법(Soxhlet method)에 의한 의한 추출처리를 행하여, 안료의 순도를 구했다. 아세토니트릴을 채용한 이유는, 아세토니트릴은, 합성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용해하지 않고 , 불순물인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프탈이미드 및 프탈산 등을 용해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합성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속슬렛법에 따른 추출을 실시했다.
ㆍ 추출용매: 아세토니트릴 100mL
ㆍ 시료: 합성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10.0g
ㆍ 증류속도: 50mL/7분
ㆍ 추출시간: 3~28시간에서의 감량(減量)을 측정
8시간 이후의 감량을 볼 수 없었던 것으로부터, 추출은 8시간에 거의 완료했다고 간주하고, 추출 시간을 모두 10시간으로 통일하였다. 추출 후, 유리 필터로 여과, 아세토니트릴로 충분히 세정하고, 105℃에서 5시간 건조하여, 정제 시료를 얻었다. 그 결과, 합성한 안료의 순도는, 이하의 식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순도(질량%)=(아세토니트릴 10시간 추출 후 건조물의 g수)×100/10.0g
본 발명자 등의 검토에 의하면, 상기에서 얻어진 안료 순도는, 색재로서의 최종 용도에 관련되어, 색상의 선명성, 명도, 착색력 등의 점에서 특히 중요한 요인이 된다. 게다가 하기에서 서술하는 바와 같이, 불순물이 존재하는 것에 의한 영향은 거기에 멈추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가능한 한 순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료를, 먼저 말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했을 경우에, 합성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주된 것은, 원료 중에 미반응인 채 남아있는 프탈이미드 및 반응중에 생성된 프탈이미드계 불순물(프탈이미드 또는 N-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끼리가 반응한 것)이다. 이러한 불순물은 유기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그 후에 안료화하는 공정에서, 예를 들면, 비즈를 이용한 습식의 매체 분산기로 분산했을 경우, 시간 경과와 함께 불순물끼리가 단단한 응집체를 형성해, 분산 불량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불순물량을 적극적으로 저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응집체가 혼입하는 것에 의한 영향으로서는,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기록제를 잉크젯 용도에 이용했을 경우, 불순물이 잉크젯 헤드의 노즐 부근 혹은 내부에 부착해, 잉크의 토출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또, 전자 사진 기록의 칼라 토너 용도에 적용했을 경우는, 불순물이 많으면 화상 착색력의 저하는 물론, 프린터의 드럼상에 부착한 불순물은 머신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 단, 사용하는 안료의 정제도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코스트면도 감안하여, 최종 용도에 따른 순도, 품질의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목적이나 효과가 한정된 사용 등에 있어서는, 그 목적 효과 이외의 효과에 관해서는 통상의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같은 수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족하다. 그리고,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로서 발현하는 효과의 관점으로부터, 순도 90% 정도에서도 충분히 유효하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은, 선명성, 명도, 투명성, 착색력 등에의 보다 높은 유효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점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구한 안료의 순도는 95%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탈로시아닌 골격에 도입하는 치환기 개수의 컨트롤 방법)
프탈이미드메틸기는, 일반적으로는, 황산 또는 발연(發煙)황산 중에서, 프탈로시아닌과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와 프탈이미드를 반응시키는 것으로 도입된다. 치환기 개수의 제어의 용이함으로부터,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와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때의 반응 온도는 70℃ 이상이 일반적이고, 또 프탈로시아닌에 대해 사용하는 히드록시메틸의 몰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도입 개수는 증가하지만, 미반응의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도 증가하기 때문에 순도는 저하하여, 색재로서 착색력 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를 필요로 한다. 덧붙여 미반응의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는, 도입 프탈이미드메틸기가 가수분해하지 않는 정도의 희(希)알칼리로 처리하는 것으로 제거할 수 있어, 순도 상승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반응 온도를 올리면 반응율도 올라, 그 결과 순도도 오르지만, 90℃이상이 되면, 동시에 술폰화도 일어난다. 반응은, 먼저 프탈이미드메틸화 또는 술폰화를 행하고, 그 후 반응 온도를 올리거나 내리거나 하여, 술폰화 또는 프탈이미드메틸화를 행하는 2단계법이어도, 동시에 프탈이미드메틸화와 술폰화를 실시하는 일단계법이라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황산 농도,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의 사용량, 반응 온도, 반응 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에서, 특정의 치환기가 각각 소망하는 개수로 도입된 유도체를 얻을 수 있다.
(프탈로시아닌 골격에 도입된 각 치환기 개수의 산출 방법)
각각, 본 발명의 안료의 제조 원료에 이용한 조제(粗製) 프탈로시아닌의 질량을 A1, 그 순도를 P1 질량%, 상기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질량을 A2, 그 순도를 P2 질량%로 한다. 또, 아세토니트릴로 정제한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형광 X선분석, 원소 분석에 의해 얻어진 황 질량%를 S 질량%로 한다. 이들 값으로부터,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치환기의 개수는, 아래 식에 의해 계산된다.
술폰기 개수: n=(A2 ×P2/A1 × P1) × 576 × S/3200
프탈이미드메틸기 개수:m={(A2 ×P2/A1 × P1) × 576 -576- 80×n}/159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치환기 수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안료 그 자체의 물성에 한하지 않고, 이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기록제를 적용하는 화상 방법에 특유한 물성의 발현에 직접 관련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열심히 검토한 결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대로, 프탈이미드메틸기의 치환기의 개수 m이 1.0≤m≤ 5.0의 범위 내에 있고, 동시에 술폰기의 치환기의 개수 n이 0.05≤n≤1.0의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된 안료일 때, 상기 안료는, 충분한 반사 농도를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색상이 선명한 녹미 청색을 나타내는 안료가 되는 것을 찾아내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보다 고채도로, 동시에 특히 선명한 녹미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치환기 수 m 및 n의 구성이, 2.5≤m≤4.0, 동시에, 0.05≤n≤0.7이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특히 선명한 녹미 청색 안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어느 범위에 있어서도, 그 뛰어난 특성으로부터 청색 안료로서 다용되고 있는 구리 프탈로시아닌과 비교했을 경우, 명확히 선명한 녹미를 가지고 있고, 더욱이 착색력 및 분산성의 면에서도 종래의 안료보다 뒤떨어짐이 없이 양호하다.
이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각 치환기 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외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 예를 들면, m의 수가 1 미만이면 선명성이 부족하고, m의 수가 5보다 많아지면, 반사 농도 저하를 일으킨다. 또한 n의 수가 0.05 미만이면 녹미가 약하고, n의 수가 1보다 많아지면, 녹미의 흐릿한 빛깔이 명확하게 강하게 표출되어 버려, 이 경우에는, 치환기 수 m에 의한 색상의 조정도 곤란하기 때문에, 선명한 녹미 청색을 얻을 수 없다. 상기한 것처럼, 각 치환기 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외이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고채도의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로서는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안료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이지만, 상기 일반식(I) 중의 각 치환기 수를 나타내는 m과 n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용도 등의 목적에 따른 선명한 녹미를 실현할 수 있고, 더욱이 이것을 이용함으로써 착색력이나 분산성이 뛰어난 조성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m, n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되는, 보다 유효한 색상의 조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구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치환기 수 m 및 n을, 1.0≤m<2.5의 범위일 때, 0.05≤n≤0.7로 조정하고(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B라 부른다), 혹은 4.0<m≤5.0의 범위일 때, 마찬가지로 0.05≤n≤0.7로 조정하면(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G라고 부른다), 보다 바람직한 선명한 녹미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술폰기의 수 n이, 0.7<n≤1.0일 때는,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 m을 2.5≤m≤4.0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하면(이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D라고 부른다), 바람직한 색상 및 녹미의 안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게다가 상기 (B)의, 1.0≤m<2.5, 동시에 0.05≤n≤0.7로 조정한 것과, m의 범위를 바꾼 2.5≤m≤4.0, 동시에 0.05≤n≤0.7로 조정된 것을 비교했을 경우, 후자가 한층 더 고채도, 선명한 녹미의 안료가 되는 것도 확인했다.
이상과 같이,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구성하는 각 치환기 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로 제어되어서 이루어지는 안료의 색상은, 종래 가장 다용되고 있는 청색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와 비교했을 경우, 눈으로 봐도 지극히 명백하게 색상이 다르고,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색상의 차이는, 육안이 아니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구조는, 육안의 평가에 더하여, 이 아래와 같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검토하는 것에 의해서 찾아낸 것이다.
색상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분광 반사율 측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광 반사율이 있지만, 그 수치로부터 계측되는 색도(色度), 즉, L*, a*, b*값 및 C*값을 산출함으로써, 아래와 같이 , 색상의 차이를 평가할 수 있다. 또, 각 절대값의 합(|a*|+|b*|)로 계산된 수치는, 채도의 지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값 중에서도, a*값이 마이너스가 될수록 녹미가 되고, 0에 가까워질수록 채도가 떨어지게 되며, 더욱, b*값이 마이너스가 될수록 청미(bluish)가 되고, 0에 가까워질수록 마찬가지로 채도가 저하하며, 이들 a*, b*값이 모두 수치가 커질수록 채도가 높은 것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이와 같이 이들 값은, 색상의 차이에 대한, 명확하고 객관적인 평가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육안의 평가에 더하여 이러한 값을 이용하여 색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구조중에 있어서의 m과 n의 차이에 의해 변화하는 색상의 차이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특히, 색상의 선명성, 명도, 착색력, 분산성을 각각 유효한 범위가 되는 치환기 수 범위가, 1.0≤m≤ 5.0이며, 또한 0.05≤n≤1.0인 것을 찾아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색상에 주목하면, 2.5≤m≤5.0(D, G)일 때, a*≤-25와 같이, 뛰어난 녹미 효과를 나타냈다. 또, 0.05≤n≤0.7(B, G)일 때, b*≤-30이 되어, 뛰어난 청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1.0≤m<2.5(B), 혹은 4.0<m≤5.0의 범위(G)에 있어서는, (|a*|+|b*|)≤70에 머무르는 색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고채도인 녹미 청색이 되는 범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2.5≤m≤4.0, 또한 0.05≤n≤0.7이며, a*, b* 값이 모두 마이너스값으로서 큰 수치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치환기 수 m 및 n이, 상기했던 것보다 바람직한 범위에 있는 안료에 의하면, 70=(|a*|+|b*|)가 달성되어, a*≤-25, 동시에 b*≤-30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행한 상세한 검토에 의해서, 상기한 치환기 수의 제어에 의한 하나의 유효한 방법 중에서, 술폰기 수를 늘리는 것이, 청미를 늘리는 경향의 하나의 수법인 것이 확인되고, 그 한편으로 술폰기 치환기 수 n이 0.7을 넘으면, 서서히 채도 저하를 일으켜 1 이상으로 하면, 채도 저하와 함께 녹미에 흐릿한 빛깔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안료와, 종래부터 알려져 있고 사용되고 있는 청색 안료(치환기 0)와의 차이를, 상기한 것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확인했다. 그 결과, 이미 시장에 시판되어 선명한 청색 안료로서 알려져 있는 β형 구리 프탈로시아닌(PB 15:3;제품명:크로모파인 블루- 4920, 순도 96%, 치환기 0:다이니치 세이카 고교(주) 제조)은, 색상 측정을 실시한 결과, L*가 47.29, a*가 -14.13, b*가 -51.44이며, 채도의 지표인(|a*|+|b*|)는 65.57이었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안료는, 마찬가지로 고채도를 가지는 골격이 동일한 안료 중에서도, 더욱 뛰어난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가지는 것인 것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 점을 특징으로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치환기인 프탈이미드메틸기와 술폰기의 수가, 그 용도에 따라 최적으로 제어된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그 용도에 응하여 보다 뛰어난 색재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치환기 개수의 범위를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각종의 기록 방법에 최적인 화상 기록제로 하기 위해서는, 하기의 것이 중요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소망하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안정되게 얻기 위해서는, 그 색상과의 관계에서, 화상 기록제 중에 함유 시킨 안료를 구성하고 있는 금속 프탈로시아닌 골격의 치환기인 프탈이미드메틸기와 술폰기의 수가 달성하고 있는 지표적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보다 치밀하게 색상을 미세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목적으로 하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있어서의 최고 반사율 파장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리 프탈로시아닌(β형 465nm ± 5nm)와 비교해 장파장측, 즉 녹미 측으로 시프트한 미(微)조정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색상이 녹미 청색이 되지만,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특히 그 분광 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 ~ 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최고 반사율 파장이 460nm~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이 소망하는 착색제에 의해 적합한 안료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자들의 검토에 의하면, 사용하는 안료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최고 반사율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이 상승하여, 보다 착색력이 있는 선명한 안료가 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안료를 구성하는 치환기 수의 조정은, 여러가지 용도에 따른 색상에의 유효한 조정법인 것과 동시에, 최고 반사율 파장이나, 반사율 조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소망하는 특징을 달성할 수 있는 색재로서의 안료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안료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색재인,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는, 그 안료 성분으로서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지만, 먼저 말한 것처럼 특히 상기 안료는 고순도의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안료는, 최종적으로 화상 기록제(착색제)로서 사용했을 경우에, 선명성, 명도, 투명성 등이 뛰어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또, 이러한 특징은 화상 기록제가 고체상 및 액체상의 어느 경우에 대해서도 발현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재를 제조하는 경우에 필요하게 되는, 상기 일반식 (I)로 표현되는 안료를 미세화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료를 산(酸)페이스트 처리하는 방법이나, 충돌 분쇄나 마쇄에 의해 미세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충돌 분쇄법에는, 볼 밀이나 진동 밀을 이용하는 드라이밀링법이 있고, 스틸 볼, 스틸 로드 등의 분쇄 매체가 사용되어, 필요에 따라 무기염이 마쇄 조제(助劑)로서 사용된다. 마쇄법에는, 솔트 밀링법(salt milling method)이나 솔벤트 밀링법(slovent milling method)이 있고, 마쇄 조제로서 무수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알루미늄 등의 무기염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해 얻어진 미립자 안료는, 색상의 선명성, 명도, 투명성을 가지며, 또한 내광성, 내열성, 내용제성, 내약품성, 내수성 등의 여러 견뢰성, 마이너스 대전성(negative electrostatic chargeability)이 우수한 성질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안료가 도료 혹은 플라스틱 등의 착색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료에, 은폐력, 매체에의 분산의 용이함, 내후성, 내가열가공성 등의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 안료의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은 크고, 예를 들면, 대략 500 nm이상의 크기로 조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자 지름을 가지는 안료를, 화상 기록제의 착색제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는, 색상의 투명성, 명도 및 선명성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안료를, 전자 사진, 전자 인쇄, 정전 기록, 잉크젯 기록 및 열전사 기록 등의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을 보다 미세한 200~500nm로 조정했다고 해도, 색상의 투명성, 명도, 선명성에 관해서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선명한 인쇄물을 얻을 수 없는 등의 과제가 남는다. 그러한 이유로부터, 상기에 든 것 같은 기록 방법의 화상 기록용의 안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10~200nm로 보다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면, 경제면을 고려하면, 10nm 이하와 같은 초미립자로의 조정은, 그 제조와 관련되는 수법이나 코스트면에서의 과제가 많기 때문에, 특별한 용도를 제외하고, 30~150nm 정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칼라 필터용등 , 필요에 따라서, 10nm 부근의 초미립인 입자 지름이 요구되는 케이스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안료를 이용하여 적어도 안료와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화상 기록제)을 제조하는 경우는, 플러싱(flushing), 가열 혼련 혹은 습식 분산 등의 통상의 분산 방법으로, 수지 중에 분산 입자 지름의 중량 평균 입자 지름이 대략 200nm 이하가 되도록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품질면, 공정면, 경제면을 고려하면, 대략 150nm 이하가 되도록 수지 중에 분산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착색제 조성물의 제조시에는, 분산시키는 안료는, 상기의 분산 입자 지름이 되도록 미리 미세화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을 화상 기록제로서 사용하는 경우, 화상의 색 투명성, 명도, 마이너스 대전성 등의 성질이나 물성을 보다 뛰어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안료는, 아래와 같은 후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에 사용하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본 발명의 안료는, 안료의 결정을 제어하거나, 안료 입자의 형상이나 입자 지름을 원하는 범위로 제어하거나 하는 등의 후처리를, 종래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특징짓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는, 먼저 말한 대로,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m)의 범위가 1.0≤m≤ 5.0이며, 술폰기의 치환기의 개수(n)의 범위가 0.05≤n≤1.0이며, 게다가 M은 배위자를 가져도 괜찮은 금속 원자, 금속 산화물, 또는 수소 원자 2개의 어느 쪽인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녹미 청색 안료의 형태는,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안료를 단독으로, 혹은, 상기 요건을 만족하는 것 중에서 다른 범위의 안료를 조합하여 조제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치환기가 상기 범위 내가 아닌 안료를 조합하여 조제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그 경우에는, 안료 전체 질량 중,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가, 50 질량% 이상이면 좋고,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로 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채우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은, 소망하는 안료의 조제에 있어서, 코스트면이나 제조면에서 가장 바람직하지만,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색상의 안료로 하기 위해서 미조정이 필요한 경우는, 그 치환기의 수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 내인 다른 안료와의 병용은 물론, 범위 외의 다른 안료를 병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투과율이나 분광 반사 피크 파장 등의 미조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가 되는 프탈로시아닌 안료가 가지는 성질을 손상시키지 않는 조건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다른 구조의 프탈로시아닌 안료와의 혼합 병용에 의해서, 본 발명의 안료를 조제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안료의 조합 여부에 따라, 여러 가지 물성 효과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점에서 바람직하다.그러나, 이 경우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일반식(I)에 있어서의 조건 외의, 그 외의 안료와의 병용이 되기 때문에, 그 외의 안료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안료를 제공한다고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할 것을 요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외의 안료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유지하는 조건하, 색상의 미조정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한 사용에 한해서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한 치환기가, 일반식 (I)로 규정하는 상기 범위 내가 아닌 안료를 조합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들은 조색(調色) 안료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착색제 조성물을 화상 기록제로 이용하는 경우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단독으로 조제하고, 혹은, 이것과 함께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와 병용하는 조색 안료를 조제하여, 이것들을 사용해 제조된다. 이러한 안료는 미리 혼합 혹은 고용체로 한 것이어도, 혹은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 중에서 혼합된 것이어도 좋다.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제조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료 제조 공정에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단독으로, 또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와 이에 포함되지 않는 안료로 조색(調色)을 행하여 얻은 미분(微粉) 혼합 안료나 미분 고용체 안료 등을 이용하여, 직접 화상 기록제에 적합한 농도로 안료를 포함한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 상기한 미분 혼합 안료 등을, 미리 롤 밀 또는 압출기 등의 가열 혼련기를 사용하여, 혹은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단독으로, 또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와 이에 포함되지 않는 다른 안료의 혼합 안료의 프레스 케이크 등을, 가열 니더(kneader) 등을 사용하여, 고농도로 안료를 함유하는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단독으로, 또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와 이에 포함되지 않는 안료와의 혼합 안료를,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 혼합물 중에 분산시켜, 그 후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것으로, 형성한 중합체(수지) 중에 상기 안료를 함유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포함한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의 제조법의 예로서는, 하기에 든 것과 같은 각종의 방법이 있다.
(A)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포함한 조색 안료를 사용하는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의 제조법
(a) 사용하는 각각의 안료를 단독으로 건조하고, 충돌 분쇄 또는 마쇄된 각 미분 안료의 혼합물과 수지를 가열 혼련기로 혼련하여,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얻는다.
(b) 사용하는 각각의 안료의 수성(水性) 프레스 케이크를 혼합하고, 건조 후, 충돌 분쇄 또는 마쇄된 미분 혼합 안료와 수지를 가열혼련기로 혼련하여,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얻는다.
(c) 사용하는 안료 (1) 및 (2)의 수성 프레스 케이크 및 수지를, 가열 니더 등에 장입하고, 용융 플러싱(fusion flushing)법 등에 의해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d) 사용하는 안료 (1) 및 (2)의 수성 프레스 케이크를 미리 혼합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한 (c)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e) 사용하는 안료 (1) 및 안료 (2)의 미분, 수지 및 소량의 물을 가열 니더 등에 장입하고, 용융 플러싱법 등에 의해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f) 상기한 (a) 또는 (b) 방법에서 사용한, 미분 혼합 안료, 수지 및 소량의 물을 가열 니더 등에 장입하고 융용 플러싱법 등에 의해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제로 이용하는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중합체 수지나 왁스류 등의 수지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고체의 형태로 사용되는 착색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분산 매체이며, 액체 상태로 사용되는 착색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안료의 분산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또, 실제로 기록제로서 사용될 때는, 안료의 고착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지로서는, 전자 사진, 정전 인쇄, 정전 기록 등의 건식 현상제, 유성(油性) 및 수성의 잉크젯용 잉크, 열전사 잉크 리본 및 필름등의 화상 기록제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수지는 모두 사용할 수 있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대전 제어제, 유동화제, 혹은 매체로서 용제, 수계 매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용으로 이용하는 착색제 조성물은, 그 사용 목적의 화상 기록제로 적합한 안료 농도가 되도록 처음부터 제조된 것이라도, 고농도로 안료를 포함한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로서 제조된 것이라도 어느 것이든 좋다.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은, 안료를 고농도로 포함하고, 미리 충분히 밀링하여 안료를 분산시켜, 조색을 행해두는 것에 의하여, 뒤의 화상 기록제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조립(粗粒), 조분(粗粉), 미분, 시트 형상, 소괴(小塊) 형상 등의 고체상, 페이스트상 또는 액상의 임의의 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조성물 중의 안료의 함유량은, 통상 10~70 질량%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20~60 질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용 착색제 조성물에는,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각종 첨가제나 용제 등이 첨가되고, 목적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로서 사용된다. 화상 기록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른바 미세 분체(粉體) 형상 건식 현상제, 정전 기록제, 잉크젯 기록용 잉크, 필름, 종이 등의 기재(基材)에 도포된 열전사 잉크 리본 및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사용 목적의 화상 기록제로 적합한 농도의 안료를 포함한다) 중의 안료의 함유량은, 상기 조성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르고.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시안색으로 조색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 단독, 또는 상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포함한 혼합 안료, 수지나 그 외의 첨가제 혹은 매체를 포함한 전(全)착색제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안료의 함유량은, 통상, 2~20 질량% 정도이다. 전자 사진용 건식 기록제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안료의 함유량 2~15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3~10 질량% 정도이다. 또한, 열전사 잉크 리본, 필름의 착색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4~15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6~10 질량% 정도이며, 잉크젯 기록용 잉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3~20 질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5~10 질량% 정도이며, 각각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가장 바람직한 함유량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안료의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건식의 가열혼련 분산법과 세라믹 비즈, 유리 비즈, 스틸 볼 등을 이용하는 습식의 매체 분산법이 있다. 특히, 안료를 수지 중에 고농도에 분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통상, 2개 롤 밀(two-roll mill), 3개 롤 밀(three-roll mill), 가열 니더, 가압 가열 니더, 1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등의 혼련분산기를 사용하여 수지를 용융시켜 안료를 혼련 분산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이러한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혼련 분산 가공은 120℃ 이하의 온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교적 저온의 가공 온도 조건으로 혼련 분산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미리 미세하게 조정된 안료의 입자 지름이 상기 조성물 중에 그대로 유지되고, 이어서 행해지는 기록제 제조의 가공 공정을 동일하게 120℃ 이하의 온도 조건으로 실시함으로써, 색상의 선명성, 명도, 투명성이 발현되는 화상 기록제를 얻을 수 있다.
안료의 고농도 분산 방법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안료의 수성 페이스트를 용융시킨 수지로 플러싱하는 방법(상압(常壓) 용융 플러싱법)이며,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 2-175770호 공보에서 제안되고 있는 방법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용제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 안료의 수성 프레스 케이크와 수지 바인더를 증기 가열을 할 수 있는 니더 또는 플러셔(flusher)에 장입하고, 그 다음에, 수지의 융점 또는 연화점 미만의 온도로 상압에서 혼련하여 수성상(水性相)의 안료를 수지상(樹脂相)으로 이행시키고, 분리한 물을 제거하여, 다시 잔존하고 있는 수분을 혼련 증발시키는 방법이다. 수성 프레스 케이크를 사용하는 것으로, 프레스 케이크의 안료 입자를 그대로 수지 중에 이행시킬 수 있고 또, 혼련 분산 가공 온도도 물이 존재하는 동안은 100℃ 이하로 진행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바람직한 다른 고농도 안료 분산 방법으로서는, 분말 안료, 수지 바인더에 분산제로서 물을 더하고, 상기의 방법과 같이 하여, 상압에서 용제의 부존재 하에, 가공 온도를 120℃ 이하로 상기 수지의 융점 또는 연화점 미만의 온도로 혼련하여 안료를 수지상으로 이행시키고, 분리된 물은 제거하며, 잔존하는 물은 혼련 증발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전자 사진, 정전 인쇄, 정전 기록 등의 건식 현상제, 수성, 유성 및 솔리드 형상의 잉크젯 기록용 잉크, 열전사 잉크 리본, 열전사 잉크 필름 등의 각종의 화상 기록제는, 아래와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저 설명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안료)을 단독으로, 혹은 다른 안료와의 조색 안료를 최초부터 각 용도에 적절한 안료 농도가 되도록 형성한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며, 혹은, 상기한 안료를 고농도로 수지에 분산시킨 고농도 착색제 조성물을, 수지 바인더, 수지 용액 혹은 부가 중합성 단량체 중에 분산 혹은 희석 재분산하고, 각각의 화상 기록제의 제조의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그때, 화상 기록제 중에,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대전 제어제, 유동화제, 강자성 재료, 용제 매체, 수계 매체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인 화상 기록제로서는, 아래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 그 개략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전자 사진, 정전 인쇄, 정전 기록 등에 사용되는 화상 기록제로서는, 건식 기록제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건식 기록제로서는, 분쇄법 및 중합법으로 불리는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액 응집법등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미세 분체 형상의 건식 현상제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분쇄법은 안료, 수지 바인더, 대전 제어제 등을 가열 혼련하고, 냉각 후, 분쇄, 소정의 입도로 분급하는 제조 방법이며, 현탁 중합법은, 안료, 대전 제어제 등을 분산시킨 부가 중합성 단량체를 액체방울의 입자 지름을 제어한 O/W형 에멀젼으로 하여, 현탁 중합법에 의해 착색 미립자 중합체로 하는 방법이다. 또, 유화 중합액 응집법은, 유화 중합액에 안료나 하전(荷電) 제어제의 미분산액을 혼합하고, 얻어진 착색 유화 중합액을 가열하고, 융착, 응집시키는 것에 의하여, 중합체 입자에 안료나 대전 제어제를 공침 혹은 흡착시킴과 동시에 소정의 입도로 미립자화하는 방법이다. 또한, 각각의 방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유동화제, 강자성제 등의 재료가 첨가된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용의 착색제 조성물은, 시안색 화상 기록제로서 단색(單色) 내지 이색(二色) 칼라, 다색 칼라 등의 개별 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풀 컬러 기록 시스템으로서 마젠타색, 황색 혹은 검은 색의 화상 기록제와 세트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유기안료, 무기안료의 예로서는, 프탈로시아닌계, 아조계, 폴리 축합 아조계, 아조메틴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페리논ㆍ페릴렌계, 인디고ㆍ티오인디고계, 디옥사진계, 이소인돌리논계, 피로로피롤계 안료 등 , 카본 블랙 안료, 산화 티탄계, 산화철계, 소성(燒成)안료계, 체질(體質) 안료 등 , 종래 사용되고 있는 안료를 들 수 있다.
특히, 풀 컬러의 화상 기록제로 사용되는 안료로서는, 마젠타색 안료로서 퀴나크리돈계 적색 안료가, 황색으로서는 아조계, 폴리 축합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이소인돌리논계의 각각의 황색 안료가, 검은 색으로서는 카본 블랙 안료, 아조메틴아조계 흑색 안료, 각 색 안료의 조색(調色)에 의한 흑색 안료 등이 각각의 대표적인 것으로 들 수 있다.
상기에 든 각종의 안료도, 본 발명을 특징짓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에 병용되는 조색 안료와 마찬가지로, 화상 기록용 착색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플러싱, 가열 혼련 혹은 습식 분산 등의 통상의 분산 방법으로 수지 중에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서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이 대략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대략 150nm 이하가 되도록 입자 지름이 조정된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너무 미세한 입자 지름의 안료를 조정하면, 분산이 몹시 곤란하게 되어, 분산 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대략 30nm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반드시 상기한 입자 지름에 의하지 않고, 예를 들면 칼라 필터 용도 등에 있어서는, 10nm 부근의 입자 지름이 바람직한 경우도 있다.
실시예
다음에, 안료의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문장 중의 「부(部)」또는 「%」라 하는 것은, 모두 질량 기준이다. 또, 본 발명의 안료 및 비교예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에 대한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종래의 청색 안료로서 다용되고 있는 PB 15:3을 참고예로 하였다.
(소부(baking) 도료용 평가 시험 방법)
실시예 및 참고예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4부, 아미노 알키드 수지(아미락 1026, 칸사이 페인트(주) 제조) 16부, 시너 10부의 배합으로, 페인트 컨디셔너에서 60분 분산시켜, 농색(濃色) 도료를 작성했다. 상기 도료의 색상 및 그라인드 게이지에 의한 분산성을 평가했다. 또한, 산화 티탄을 포함한 흰색 도료로, 상기 유도체:티탄 화이트비가 1:20이 되도록 희석하여, 착색력을 육안으로 판정했다.
(착색 수지용 평가 시험 방법)
실시예 및 참고예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안료 40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60부를 탁상 니더에서 약 100℃로 혼련하고, 안료 마스터 배치(batch)를 작성했다. 작성한 마스터 배치를 2.95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32.05부, 크실렌을 65부 혼합한 후, 유리 비즈 1 mmφ를 100부 가하여 페인트 컨디셔너로 2시간 처리하여, 전색(展色)액을 작성했다. 얻어진 전색액을 바코터 #14로 흑대(黑帶) 아트지에 전색한 후, 약 1시간 자연 건조했다. 이것을 이용하여, 이하에 나타낸 방법으로 반사 농도 측정 및 분광 반사율 측정(색도)을 실시했다.
<반사 농도 측정>
반사 농도는, 그레탁사 제조의 맥베스 반사율 농도계를 이용하여 맥베스 농도치(시안색)를 측정하였다. 한편, 참고예로 한 종래의 PB 15:3의 맥베스 농도(Macbeth density)는 2.2였다.
<분광 반사율 측정, 색도>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의 CM3600d 분광 광도계로 분광 반사율을 측정하여, L*, a*, b*값 및 C*값을 산출했다. 한편, 채도 C*값은 이하의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참고예로 한 종래의 PB 15:3의 채도 C*는 53.35였다. 각각의 수치로부터, 이하의 평가를 할 수 있다.
Figure 112014016759490-pct00003
L* 명도:0에 가까울수록 검은 색에, 100에 가까울수록 흰색
a*:마이너스일수록 녹미(greenish), 0에 가까울수록 선명성이 저하하며, 플러스일수록 적미(reddish)
b*:마이너스일수록 청미(bluish), 0에 가까울수록 선명성이 저하하며, 플러스일수록 황미(黃味:yellowish)
a*, b*:모두 절대치가 클수록 채도가 높다
[실시예 1]
2% 발연황산 480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粗製)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 파라포름알데히드 15.8부, 프탈이미드 45.8부를 서서히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시키고, 70~75℃로 7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0부의 물에 석출하여, 이 석출 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 후, 여과, 중성(中性)이 될 때까지 수세하고, 100℃에서 12시간 건조하였다. 생성물의 순도는 80.0%, 프탈이미드메틸기(m)는 2.3개, 술폰기(n)는 0.06개였다. 이 생성물 전량을, 물 1,500부, 소다재(soda ash) 15부 중에 해교(解膠)하여, 50℃에서 2시간 가열 교반 후, 여과, 수세, 건조를 행하였다. 그 순도는, 98.9%였다.
상기에서 얻은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에 있어서, 상기한 소부 도료 시험 방법에 의해서 평가를 행한 바, 참고예로 한 종래의 PB 15:3과 비교하여,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우수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착색력에 관하여 고품질의 것을 얻을 수 있었던 것을 확인했다. 다음에, 상기한 착색 수지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한 결과, 맥베스 농도가 1.75, 채도(C*)가 53.37, L*가 52.0, a*가 -19.2, b*가 -49.8이었다. 그 중에서도 색상은, 하기 실시예 2의 유도체에 비하면, 약간 적미(붉은 빛:reddish)가 있지만, 참고예로 한 종래의 PB 15:3에 비해, 충분히 녹미가 선명하였다.
[실시예 2]
100% 황산 354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더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50.6부, 무수 초산 29.7부를 가하고,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하여, 70~75℃에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0부의 물을 가하여 석출시켜, 여과, 수세한 후, 100℃로 12시간 건조하는 것에 의하여, 반응물 66.0부를 얻었다. 평균 치환기 개수는, 프탈이미드메틸기(m) 3.05개, 술폰기(n) 0.05개로 선명한 청록색을 나타내고 있었지만, 순도가 82.3%로 낮기 때문에 착색력은 약간 떨어지고 있었다. 이 생성물 전량을, 1,500부의 물에 해교하고, 소다재 15부를 가하여 50℃에서 2시간 가열 교반 후, 여과, 수세, 건조했다. 이 결과, 순도 99.9%의 건조물 54.9부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에서 얻은 건조물에 대해서,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소부 도료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색상은 더욱 선명하기 되고,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그 색미에 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실시한 바, 맥베스 농도가 1.66, 채도(C*)가 51.37, L*가 55.04, a*가 -26.09, b*가 -44.25이며, 실시예 1에서 얻은 것에 비해 적미가 보다 보다 억제되고,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실시예 3]
100% 황산 354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33.7부, 무수 초산 19.4부를 가하고, 1시간에 걸쳐 100℃까지 승온하여, 그 온도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교반하면서 70℃까지 냉각하여, 2,000부의 물을 가하여 석출시킨 후, 석출 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했다. 그 후, 여과 하고,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고, 100℃에서 12시간 건조하는 것에 의하여, 선명한 청록색 반응물을 59.6부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의 순도는 95.9%였다. 또, 평균 치환기 개수는 프탈이미드메틸기(m) 3.2개, 술폰기(n) 0.48개였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부 도료 시험을 실시한 결과,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임을 확인했다. 또한, 그 색미에 대해 실시예 1, 2와 동일하게 평가를 행한 바, 맥베스 농도가 2.10, C*가 50.22, L*가 53.53, a*가 -38.10, b*가 -32.72이며,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실시예 4]
100% 황산 354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45.0부, 20% 발연황산 267부를 가하여,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시켜, 70~75℃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500부의 물에 석출시켜, 이 석출 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 후, 여과,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여, 10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의 순도는 96.1%이며, 프탈이미드메틸기(m)는 3.1개, 술폰기(n)는 0.8개였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같이 소부 도료 시험을 실시한 결과,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임을 확인했다. 또한, 그 색미에 대해 실시예 1과 같이 평가를 행한 바, 맥베스 농도가 1.60, C*가 49.88, L*가 50 이상, a*가 -40.3, b*가 -29.4이며,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와 무수 초산의 첨가량을 조정하여 반응시켜, 순도가 96.3%의 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생성물의 평균 치환기 개수는, 프탈이미드메틸기(m) 4.2개, 술폰기(n) 0.08개였다. 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소부 도료 시험을 행한 결과,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그 색미에 대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를 실시한 바, 맥베스 농도가 1.61, C*가 49.73, L*가 50 이상, a*가 -31.1, b*가 -38.8이며,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실시예 6]
2% 발연황산 250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15.7부를 조금씩 가하여 교반하면서 1분에 1℃의 승온속도로 90℃까지 승온하고, 90~95℃에서 1.5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80℃까지 냉각시키고,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15.7부를 가하여 83~87℃에서 2.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여과하여,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고, 100℃으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의 순도는 89.5%이며, 평균 치환기 개수는, 프탈이미드메틸기(m)가 1.5개, 술폰기(n)가 0.7개였다. 다음에, 이 생성물 전량을, 물 1,500부, 소다재 15부 중에 해교하여, 50℃에서 2시간 가열 교반 한 후, 여과, 수세, 건조를 실시하여 건조물을 얻었다. 그 순도는, 98.2%였다.
얻어진 건조물에 대해서, 실시예 1과 같이 소부 도료 시험을 행한 결과,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그 색미에 대해 실시예 1과 같이 평가를 행한 바, 맥베스 농도가 1.78, C*가 47.38, L*가 50 이상, a*가 -26.02, b*가 -39.6이었다.
[비교예 1]
100% 황산 420부에, 55℃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54.9부, 20% 발연황산 127부를 가하여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시키고, 70~75℃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1,500부의 물에 석출시켜, 이 석출 ㅅ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 후, 여과,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여, 10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의 순도는 70%이며, 프탈이미드메틸기(m)는 1.9개, 술폰기(n)는 실질상 검출되지 않았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각 실시예와 같이 소부 도료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시예로 얻은 각 생성물과 비교하여,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품질이 명확히 떨어지는 것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색미에 대해 실시예와 같이 평가를 행한 바, 맥베스 농도가 1.4 이하이며,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반사 농도가 명백히 낮았다. 또, C*가 45 이하, L*가 45 이하, a*가 -20 이상, b*가 -40 이하이며, 실시예와 비교해서 채도가 뒤떨어져,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
[비교예 2]
100% 황산 354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73.9부, 무수 초산 42.6부를 가하여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시키고, 70~75℃로 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2,000부의 물에 석출시켜, 이 석출 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 후, 여과,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여, 10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의 순도는 76%이며, 프탈이미드메틸기(m)는 3.9개, 술폰기(n)는 실질상 검출되지 않았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각 실시예와 같이 소부 도료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실시예에서 얻은 각 생성물과 비교하고, 분산성, 색상, 착색력의 어느 것에 있어도 품질이 명확히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본 비교예의 것에 대해서는, 농도나 색채 평가는 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3]
100% 황산 354부에, 55℃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 30부를 조금씩 가한 후, 30분 교반하여 용해했다. 계속하여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56.3부, 무수 초산 33.0부를 가하여, 1시간에 걸쳐 70℃까지 승온시켜, 70~75℃로 7시간 반응 후, 100℃까지 승온시켜, 100~105℃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교반하면서 70℃까지 냉각시켜, 2,000부의 물에 석출시켰다. 석출 슬러리를 90℃로 30분 가열 후, 여과, 중성이 될 때까지 수세하여, 100℃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의 순도는 91.5%이며, 프탈이미드메틸기(m)는 5.1개, 술폰기(n)는 0.5개였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각 실시예와 같이 평가를 실시한 바, 반사 농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소부 도료 시험에 있어서는, 실시예에서 얻은 각 생성물과 비교하여, 분산성, 색상, 착색력의 어느 것에 있어도 품질이 명백히 떨어지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본 비교예의 것에 대해서는, 색채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비교예 4]
실시예 3에 있어서, 히드록시메틸프탈이미드 33.7부를 9.01부로 바꾸고 무수 초산 19.4부를 5.19부로 바꾼 이외는, 실시예 3과 같이 하여 반응시켰다. 얻어진 생성물의 순도는 96.4%이며, 평균 치환기 개수는 프탈이미드메틸기(m)가 0.7개, 술폰기(n)가 0.6개였다. 얻어진 생성물에 대해서,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소부 도료 시험에 의해서 평가한 바, 색상은 녹미였으나 흐릿하였으므로 착색력도 떨어져 있었다. 이 때문에, 본 비교예의 것에 대해서는, 색채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실시예 7]
<잉크젯 용도의 잉크의 평가 시험>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의 수성 프레스 케이크를 이용하여, 횡형 미디어 분산기에 의해서 표 1에 나타내는 배합 처방의 수성 안료 분산액을 조제하여, 얻어진 수성 안료 분산액을 이용하여 안료 농도 6%의 잉크로 조제했다. 얻어진 잉크를 이용하여 시판의 잉크젯 프린터에 의해서, 사진용 광택지 상에 인쇄 후, 색채값을 X-rite사 제조 아이원(EYEONE)으로, 또한 광택치(20°및 60° 광택치)를, BYK사 제조 마이크로 트리 글로스(MICRO-TRI-GLOSS)로 각각 측정하여 평가를 행하였다.
표 1
Figure 112014016759490-pct00004
또한, 비교를 위하여 구리 프탈로시아닌(크로모파인블루 A-220 JC(다이니치 세이카 고교(주) 제조)을 비교 표준으로서 이용하고, 이것을 이용한 잉크를 샘플 1로 했다. 또, 실시예 3에서 얻은 안료를 단독으로 이용한 잉크를 샘플 2로 했다. 또한, 상기 샘플 2에 이용한 안료와, 상기 샘플 1에 이용한 안료의 혼합물을 이용한 잉크를 샘플 3으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샘플 3에서는, 실시예 3에서 얻은 안료/비교 표준의 A-220 JC의 질량비=3/7의 혼합물을 이용했다.
상기에서 얻은 샘플 1~3의 잉크에 대해서, 각 잉크에 이용한 각 안료의 색채값과 이러한 잉크를 이용하여 사진용 광택지 상에 인쇄한 화상의 광택치에 의해서 각 잉크를 평가했다. 광택치는, 비교 표준을 100으로 하여, 그 상대 비교를 행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안료의 색채값의 평가가, 사용한 용도에 그대로 반영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료를 잉크의 착색제로 이용한 샘플 2, 3에서는, 비교 표준으로 한 기존 안료를 이용한 샘플 1에 비해, 보다 뛰어난 녹미 청색, 고채도의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표2:
Figure 112014016759490-pct00005
샘플 1(비교 표준): 구리 프탈로시아닌(크로모파인블루 A-220 JC(다이니치 세이카 고교(주) 제조)
샘플 2: 실시예 3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샘플 3(혼합물): 상기 샘플 2/ 상기 샘플 1(실시예 3/A-220 JC: 질량비 3/7)
[실시예 8]
실시예에서 사용한 조제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구리를 각각 아연과 알루미늄으로 치환한, 조제 아연 프탈로시아닌, 조제 알루미늄 프탈로시아닌을 사용한 것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프탈로시아닌 안료를 각각 제작해, 동일한 평가를 실시했다. 그리고, 참고예로 한 종래의 PB 15:3과 비교한 결과, 어느 프탈로시아닌 안료도, 분산성, 색상, 착색력 모두 뛰어난 품질의 것임을 확인했다. 또, 안료를 구성하고 있는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중에 있어서의 M의 차이에 의한 색상의 상대적인 차이는 그다지 볼 수 없었고, 모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고 있는 채도가 높은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구조 중의 M이 알루미늄인 안료의 경우는, 구리인 안료의 경우에 손색없이 선명성이 우수하였다. 제법면의 안정성이나 형성한 화상의 내후성 등의 점으로부터 보면,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구조중 M이 구리인 안료가 적합하지만, 일반식 (I) 중에 있어서의 M의 차이에 따라, 예를 들면 안료의 분산성 등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선택되는, 안료와 병용하게 되는 분산제나 수지나 용제 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일반식 (I) 중의 M 중에서, 최적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안료는, 일반식 (I) 중에 있어서의 M이 구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이용을 보다 광범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시안색 화상 기록제용 안료의 결점이 해소된, 안전성이 우수하며 또한 용도에 따라 소망하는 고채도인 녹미 청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신규한 청색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녹미 청색 안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근래 진전이 현저하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각종의 기록 방법으로 매우 적합한, 폐기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안전성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 뛰어난 화상 기록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 각종의 기록 방법에 의해서, 더욱 고품질의 화상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2)

  1. 채도가 높은 녹미(綠味) 청색(greenish blue)의 색상을 나타내는, 하기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Figure 112016052615088-pct00006

    (상기 식(I) 중, m은 프탈이미드메틸기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m의 범위는 2.3≤m≤4.2이며, R1은 술폰기를 나타내고, n는 그 치환기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n의 범위는 0.05≤n≤0.8이다. 또, M은 배위자(配位子)를 가져도 좋은 Cu, Al 또는 Zn 금속 원자의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나타내어지는 안료의 순도가, 95.0% 이상인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중의, m의 범위가 2.5≤m≤4.0이고 또한 n의 범위가 0.05≤n≤0.7인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 중의, m의 범위가 2.5≤m≤4.0이고 또한 n의 범위가 0.05≤n≤0.7인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그 분광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 내에서의 최고 반사 스펙트럼이, 460nm~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그 분광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 내에서의 최고 반사 스펙트럼이, 460nm~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7. 제3항에 있어서, 그 분광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 내에서의 최고 반사 스펙트럼이, 460nm~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8. 제4항에 있어서, 그 분광반사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780nm의 가시광 영역의 범위 내에서의 최고 반사 스펙트럼이, 460nm~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
  9. 적어도 안료와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안료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녹미 청색 안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제 조성물.
  10. 전자 사진, 전자 인쇄, 정전(靜電) 기록 또는 열전사 기록 중 어느 하나의 기록 방법에서 이용되는 화상 기록제로서,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
  11. 잉크젯 기록용의 화상 기록제로서,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
  12. 칼라 필터용의 화상 기록제로서, 청구항 제9항에 기재된 착색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제.
KR1020147004417A 2011-07-22 2012-07-19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KR101685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1251 2011-07-22
JPJP-P-2011-161251 2011-07-22
PCT/JP2012/068264 WO2013015180A1 (ja) 2011-07-22 2012-07-19 緑味青色顔料、該顔料を含む着色剤組成物及び画像記録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816A KR20140043816A (ko) 2014-04-10
KR101685774B1 true KR101685774B1 (ko) 2016-12-12

Family

ID=47601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417A KR101685774B1 (ko) 2011-07-22 2012-07-19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34095B2 (ko)
EP (1) EP2735591B1 (ko)
JP (1) JP5753266B2 (ko)
KR (1) KR101685774B1 (ko)
CN (1) CN103703081B (ko)
TW (1) TWI487750B (ko)
WO (1) WO2013015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65921A (zh) * 2013-11-22 2014-03-26 宣城亚邦化工有限公司 一种酞菁蓝bs的合成方法
CN104360584A (zh) * 2014-11-27 2015-02-18 邯郸汉光办公自动化耗材有限公司 一种纳米电荷调节剂分散液的制备方法及应用
KR102135833B1 (ko) * 2015-04-07 2020-07-20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유기 안료 조성물, 그 제조 방법 및 컬러 필터
KR102558752B1 (ko) * 2015-04-21 2023-07-24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컬러 필터용 녹색 안료 조성물 및 컬러 필터
CN109370301A (zh) * 2018-11-06 2019-02-22 厦门易统水墨有限公司 一种油性固体再溶性油墨及加工工艺方法
US11976199B2 (en) 2019-12-09 2024-05-07 Dic Corporation Halogenated zinc phthalocyanine pigment for color filter and method for producing halogenated zinc phthalocyanine pigment for color filter
CN112074574B (zh) * 2019-12-09 2021-09-14 Dic株式会社 滤色器用卤化锌酞菁颜料和滤色器用卤化锌酞菁颜料的制造方法
EP4183846A1 (en) 2020-07-15 2023-05-24 Toyo Ink SC Holdings Co., Ltd. Pigment composition, coloring composition, paint, ink, ink set, printed article, and packaging material
JP7105024B1 (ja) 2021-08-03 2022-07-2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顔料組成物、着色組成物、塗料、インキ、インキセット、印刷物、及び包装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868A (en) 1953-05-13 1956-09-04 American Cyanamid Co Sulfonated and unsulfonated imidomethyl, carboxyamidomethyl and aminomethyl phthalocyanines
US4518672A (en) 1982-05-21 1985-05-21 Canon Kabushiki Kaisha Cyan color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03615A (fr) * 1956-02-16 1955-11-04 American Cyanamid Co Perfectionnements relatifs à la préparation de pigments de phtalocyanine non floculants, non cristallisants
US3589924A (en) 1970-06-23 1971-06-29 American Cyanamid Co Non-crystallizing,non-flocculating phthalocyanines
US4448607A (en) * 1982-09-20 1984-05-15 Sun Chemical Corporation Conditioning crude phthalocyanine pigments
JPH0796663B2 (ja) 1988-12-28 1995-10-18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S2088070T5 (es) * 1991-10-23 2001-04-01 Clariant Gmbh Preparados de pigmentos.
JPH06100787A (ja) 1992-09-18 1994-04-12 Toyo Ink Mfg Co Ltd アルミニウムフタロシアニン顔料
KR100288681B1 (ko) * 1995-12-25 2001-05-02 나가시마 므쓰오 광 기록 재료 및 광 기록 매체
DE19927835A1 (de) * 1999-06-18 2000-12-21 Clariant Gmbh Verwendung von verbesserten Cyanpigmenten in elektrophotographischen Tonern und Entwicklern, Pulverlacken und Ink-Jet-Tinten
ES2259630T3 (es) * 2000-02-04 2006-10-16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Composiciones de pigmento; un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on de las mismas; colorantes y articulos coloreados.
JP4361676B2 (ja) 2000-02-04 2009-11-11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
TWI285209B (en) * 2001-01-10 2007-08-11 Dainichiseika Color Chem Production process of colored fine particulate resins, colored fine particulate resins, and coloring process of articles
JP2003147224A (ja) * 2001-07-25 2003-05-21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有機顔料用分散剤、有機顔料組成物及びポリマーへの顔料分散方法
US7077896B2 (en) * 2003-06-13 2006-07-18 Toyo Ink Mfg. Co., Ltd. Pigmen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in plastic
KR101556099B1 (ko) 2007-02-07 2015-10-01 시바 홀딩 인크 청색 프탈로시아닌 안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139707B2 (ja) * 2007-03-30 2013-02-06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分散剤、顔料組成物および顔料着色剤
JP2009151162A (ja) 2007-12-21 2009-07-09 Toyo Ink Mfg Co Ltd シアン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記録用着色組成物
JP2009173800A (ja) 2008-01-25 2009-08-06 Toyo Ink Mfg Co Ltd シアン顔料、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記録用着色組成物
CN102058603B (zh) * 2010-07-12 2012-07-25 福州大学 一种双取代酞菁锌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61868A (en) 1953-05-13 1956-09-04 American Cyanamid Co Sulfonated and unsulfonated imidomethyl, carboxyamidomethyl and aminomethyl phthalocyanines
US4518672A (en) 1982-05-21 1985-05-21 Canon Kabushiki Kaisha Cyan color toner for developing electrostatic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816A (ko) 2014-04-10
TWI487750B (zh) 2015-06-11
US20140150692A1 (en) 2014-06-05
TW201311827A (zh) 2013-03-16
EP2735591A1 (en) 2014-05-28
EP2735591A4 (en) 2015-06-17
WO2013015180A1 (ja) 2013-01-31
EP2735591B1 (en) 2017-12-13
CN103703081A (zh) 2014-04-02
CN103703081B (zh) 2015-12-02
US9034095B2 (en) 2015-05-19
JP5753266B2 (ja) 2015-07-22
JPWO2013015180A1 (ja)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774B1 (ko) 녹미 청색 안료,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제 조성물 및 화상 기록제
US20060137573A1 (en) Phthalocyanine pigment preparations
US20090087769A1 (en) Finely divided azo dy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697571B2 (ja) キナクリドン固溶体顔料の製造方法、顔料分散液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キ
WO2008010443A1 (fr) Pigment c. i. rouge 254 ayant un degré de teinte élevé et procédé servant à produire celui-ci
KR20080012322A (ko) C.i. 피그먼트 블루-80 계 청색 염료
EP241446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asily dispersible violet pigment
WO2016170828A1 (ja) カラーフィルタ用緑色顔料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US10782625B2 (en) Use of novel naphthol AS-pigment-mixtures in printing-materials
TWI395797B (zh) 畫素形成用著色劑及其使用
JP3556835B2 (ja) 画像記録用着色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14515A (ja) 顔料分散剤およびその使用
US20110091804A1 (en) Copper Phthalocyanine Pigment Preparation
JP7066828B2 (ja) キナクリドン固溶体顔料の製造方法、顔料分散液及び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キ
JP6769577B2 (ja) キナクリドン固溶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インキ組成物
KR20010049822A (ko) 복합안료, 착색조성물 및 화상기록제
JP2009132911A (ja) 着色組成物、製造方法および着色方法
JP2014177575A (ja) モノアゾ顔料組成物の製造方法、トナー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JP2003253150A (ja) 微細キナクリドン系固溶体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119909A2 (en) Mixed crystal and colored pigment dispersion composition
JP2002146224A (ja) キナクリドン固溶体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29841B2 (ja) キノフタロン(C.I.PigmentYellow138)顔料及び該顔料を含む着色組成物
TWI772405B (zh) 喹吖酮固溶體顏料之製造方法、顏料分散液及噴墨用墨水
JP4510324B2 (ja) 画像記録用着色インキセット、画像記録方法および画像記録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