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908B1 - 전동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동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908B1
KR101667908B1 KR1020167017594A KR20167017594A KR101667908B1 KR 101667908 B1 KR101667908 B1 KR 101667908B1 KR 1020167017594 A KR1020167017594 A KR 1020167017594A KR 20167017594 A KR20167017594 A KR 20167017594A KR 101667908 B1 KR101667908 B1 KR 10166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ge
error
voltage
voltage comman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903A (ko
Inventor
히로시 히비노
노부키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2Monitoring commutation; Providing indication of commutation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achine parameters, e.g. flux, current or voltage
    • H02P21/18Estimation of position or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02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motor
    • H02P25/022Synchronous motors
    • H02P25/024Synchronous motors controlled by supply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8/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ynamo-electric motors of the kind having motors rotating step by step
    • H02P8/36Protection against faults, e.g. against overheating, step-out; Indicating faults
    • H02P8/38Protection against faults, e.g. against overheating, step-out; Indicating faults the fault being step-out

Abstract

전동기의 제어에 있어서 채용되는 피드백량의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범위를 전동기의 이상(예를 들면 탈조)의 유무에 대한 판정 역치로서 채용한다. 피드백량 계산부(1022)는, 전류[iδγc]와 그 지령치[iδγ *] 사이의 편차, 혹은, 공극 자속[λδ γc]과 그 지령치[λ*] 사이의 편차를 이용하여 피드백량[B]을 계산한다. 전압 오차 계산부(1025)는, 전동기의 전압 방정식에 기초한 전압치와 전압 지령[vδγ *]의 전압 오차[Δvδγ *]의 변동 범위를 계산한다. 전압 오차[Δvδγ *]의 변동 범위와 피드백량[B]을 비교함으로써, 전동기의 탈조의 유무가 판정된다.

Description

전동기의 제어장치{CONTROL DEVICE FOR ELECTRIC MOTOR}
이 발명은 전동기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기 전동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을 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전동기의 탈조를 검지하는 기술은, 종래부터 여러가지 고안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예시하는 문헌으로서, 특허 문헌 1~3을 들 수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d축 전류의 편차와 q축 지령 전압으로부터 탈조를 판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모델 전압과 전압 지령을 비교하여 탈조를 검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서는, 전류와 회전수 지령으로부터 구한 자속이 역치 이하이면 탈조라고 판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0-05115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0-25250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8-92787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전동기 및 전동기를 구동하는 파워 모듈 및 검출기의 제원의 편차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탈조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는 시험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역치의 결정은 개발 공정수를 증대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원에서는, 제원의 편차를 고려하여 전동기의 이상(예를 들면 탈조)의 유무에 대해 판정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제어장치는, 동기 전동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전압 지령([vδγ *])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기에 전압([vu, v, vw])을 인가하는 전동기 구동부(2, 104)와, 상기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iδγc])의, 상기 전류에 대한 지령치([iδγ *])에 대한 편차, 혹은, 상기 전동기에 있어서의 공극 자속([λδγc])의, 상기 공극 자속에 대한 지령치([λδγ *])에 대한 편차에 기초하는 피드백량을 결정하는 피드백량 계산부(1022)와, 상기 피드백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1024)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전압 방정식에 기초하는 전압치와 상기 전압 지령의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를 계산하는 전압 오차 계산부(1025)와, 상기 피드백량이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전동기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판정부(109)를 구비하다.
예를 들면, 상기 오차([Δvδγ *])는, 상기 전류([iδγc])와, 상기 전압 지령([vδγ *])과, 상기 동기 전동기(3)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전류 또는 상기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각속도(ω1)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전류([iδγc])와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eiI[I][iδγc])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류와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eiJ[J][iδγc])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동기 전동기(3)의 계자 자속([Λ0])과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eΛ[sinφc cosφc]t)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압 지령([vδγ *])과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e[vδγ *])가 변동하는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가, 상기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 상기 전류([iδγc])와 상기 전압 지령([vδγ *])의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오차의 최대치 또는/및 최소치로부터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는, 또한 상기 전압 방정식의 일부의 항에도 기초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 방정식으로부터 상기 일부의 항을 제외한 항에 기초하는 피드 포워드량([F])을 결정하는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1023)를 더 구비하다.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1024)는, 또한, 상기 피드 포워드량에도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vδγ *])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전압 방정식에 기초하는 피드 포워드량([F])을 결정하는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1023)를 더 구비하다.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1024)는, 또한, 상기 피드 포워드량([F])에도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vδγ *])을 생성한다.
이 발명에 따른 전동기의 제어장치에 의하면, 피드백량이 소정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부터, 전동기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동기 전동기에 있어서의 공극 자속과 계자 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벡터도.
도 2는, 제1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동기 제어장치의 구성 및 그 주변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제1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 계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제2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 계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제3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 계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 발명의 기본적 사상.
실시의 형태의 상세한 설명에 들어가기 전에, 이 발명의 기본적 사상에 대해 설명한다. 물론, 이 기본적 사상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은 동기 전동기(이하, 간단히 「전동기」라고 한다. 또한 동기 전동기의 특수한 것으로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와 같이 계자를 갖지 않는 것도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동기 전동기란 계자를 갖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에 있어서의 공극 자속[λ](기호[]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벡터량을 나타낸다:이하 동일)과, 전동기에 있어서의 계자 자속[Λ0]의 관계를 나타내는 벡터도이다. 계자 자속[Λ0]은 예를 들면 전동기가 영구자석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하고, 전동기가 계자 권선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계자 권선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한다.
전동기의 회전과 동기하는 회전 좌표계로서 d-q회전 좌표계를 도입한다. 여기에서는 d축을 계자 자속[Λ0]과 동상으로 설정하고, q축은 d축에 대해서, 전동기의 제어에 의해 회전시키고 싶은 방향(이하, 간단히 「회전 방향」이라고 한다)을 향해 위상이 90도 진행된다.
또 회전 좌표계로서 δ-γ회전 좌표계와 δc-γc회전 좌표계를 도입한다. δ축은 d축에 대해서, γ축은 q축에 대해서, 각각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향해 위상각(φ)으로 위상이 진행된다. δc축은 d축에 대해서, γc축은 q축에 대해서, 각각 전동기의 회전 방향을 향해 위상각(φc)으로 위상이 진행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δ축의 d축에 대한 위상각(φ)을 실위상각(φ)이라고 하고, δc축의 q축에 대한 위상각(φc)을 추정 위상각(φc)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일차 자속 제어」로서 알려져 있는 전동기의 제어 방법에서는, 공극 자속[λ]과 동상으로 δ축을 설정한다.
그런데, 공극 자속[λ]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동기(보다 상세하게는 전동기가 구비하는 전기자가 갖는 전기자 권선)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와, 전동기의 기기 상수(예를 들면 인덕턴스, 전기자 권선의 저항 성분, 계자 자속)와, 전동기의 회전 속도로 결정된다. 따라서 공극 자속[λ]의 추정치[λ]는, 상기의 전압 및 전류, 기기 상수, 회전 속도의 실측치(혹은 지령치, 추정치)로부터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동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는, 추정치[λ]가 공극 자속[λ]의 지령치[λ*]와 동일해지도록 제어를 행한다. 상술의 「일차 자속 제어」에서는, 지령치[λ*]의 γ축 성분은 0이다.
이러한 제어에 있어서 δc-γc회전 좌표계를 채용하면, 추정 위상각(φc)이 실위상각(φ)과 일치함으로써, 전동기의 회전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기기 상수, 회전 속도, 전동기에 주어지는 전압 및 전류가 완전히 파악되고 있으면, 이것들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추정치[λ]를 지령치[λ*]와 동일해지도록 제어함으로써, 공극 자속[λ]이 지령치[λ*]와 일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부하의 변동, 외란 등에 의해, 추정 위상각(φc)이 실위상각(φ)과 상위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위는, 통상은 피드백 제어에 의해 수정된다. 피드백 제어에 이용되는 귀환량(여기에서는 간단히 「피드백량」이라고 한다)은 이상적으로는 영이며, 실제상은 작은 범위에 들어간다. 그러나 피드백 제어에 의해서도 추정 위상각(φc)과 실위상각(φ)의 상위가 해소되지 않는 경우, 피드백량은 증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주목하여, 피드백량이 소정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부터, 전동기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의 형태.
도 2는 상기의 생각에 기초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동기 제어장치(1)의 구성 및 그 주변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전동기(3)는 삼상의 전동기이며, 도시를 생략한 전기자와, 계자인 회전자를 구비한다. 기술적인 상식으로서, 전기자는 전기자 권선을 가지며, 회전자는 전기자와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계자는 예를 들면 계자 자속을 발생시키는 자석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된다.
전압 공급원(2)은 예를 들면 전압 제어형 인버터 및 그 제어부를 구비하고, 삼상의 전압 지령[vx *]=[vu * *w *]t(괄호 뒤의 위첨자 "t"는 행열의 전치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에 기초하여, 삼상 전압(vu, v, vw)을 전동기(3)에 인가한다. 이로 인핸, 전동기(3)에는 삼상 전류[ix]=[iu i iw]t가 흐른다. 단, 전압 지령[v*]이나 삼상 전류[ix]가 갖는 성분은, 예를 들면 U상 성분, V상 성분, W상 성분의 순서대로 기재되어 있다.
전동기 제어장치(1)는, 전동기(3)에 대해, 공극 자속[λ] 및 회전속도(이하의 예에서는 회전각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공극 자속[λ]은 일차 자속이라고도 불리고, 계자 자속과, 전기자에 흐르는 전기자 전류(이것은 삼상 전류[ix]이기도 하다)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자 반작용의 자속과의 합성이다.
전동기 제어장치(1)는, 좌표변화부(101, 104)와, 전압 지령 계산부(102)와, 감산기(105)와, 적분기(106)와, 하이패스 필터(107)와, 상수배부(108)와, 판정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좌표변화부(101)는, 삼상 전류[ix]를, δc-γc회전 좌표계에 있어서의 전류[iδγc]=[iδc iγc]t로 변환한다. 삼상 전류[ix]는 공지의 기술, 예를 들면 검출기(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좌표변화부(104)는, δc-γc회전 좌표계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vδγ *]을 전압 지령[vx *]으로 변환한다. 이들 변환에는 전동기(3)에 대한 고정 좌표계(예를 들면 UVW 고정 좌표계)에 대한 δc-γc회전 좌표계의 회전각(θ)이 이용된다. 이들 변환은 주지의 기술로 실현되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를 생략한다.
또한, 전압 지령[vx *]이나 삼상 전류[ix]는, 삼상의 UVW 고정 좌표계 외, 이른바 αβ고정 좌표계(예를 들면 α축은 U상과 동상으로 설정된다)나 다른 회전 좌표계로 표시되고 있어도 된다. 좌표변화부(101, 104)는 이들의 좌표계에 대응한 변환을 행한다. 전압 지령[v*]에 관해서 채용되는 좌표계는, 전압 공급원(2)이 어떠한 좌표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전압 공급원(2)과 좌표변화부(104)는 묶어서, 전압 지령[vδγ *]에 기초하여 전동기(3)에 전압[vu, v, vw]을 인가하는 전동기 구동부로 파악할 수 있다.
적분기(106)는 회전각속도(ω1)에 기초하여 회전각(θ)을 계산한다. 회전각속도(ω1)는, 감산기(105)의 출력으로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차 자속 제어를 행하고 있으면, 전류[iδγc]의 γc축 성분(iγc)을 하이패스 필터(107)로 직류분을 제거하고, 또한 상수배부(108)에서 소정 게인 Km배한 값이, 감산기(105)에 의해 회전각속도의 지령치(ω*)로부터 공제되어, 회전각속도(ω1)가 얻어진다. 공극 자속[λ]이 적절히 제어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φc=φ가 되고, 따라서 ω1*가 된다.
전압 지령 계산부(102)는 전압 지령[vδγ *] 외, 피드백량[B] 및 「기본적 사상」에서 설명한 소정의 범위의 기초가 되는 전압 오차[Δvδγ *]를 출력한다. 판정부(109)는 피드백량[B]과 전압 오차[Δvδγ *]에 유래하는 역치를 비교하여, 전동기에 이상이, 예를 들면 탈조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판정 신호(Z)를 출력한다.
도 3은 전압 지령 계산부(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전압 지령 계산부(102)는, 자속 계산부(1021), 피드백량 계산부(1022),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1023), 전압 지령 생성부(1024), 전압 오차 계산부(1025), 전압 지령 출력 제한부(1026)를 구비한다.
자속 계산부(1021)는 전류[iδγc], 회전각속도(ω1), 전압 지령[vδγ *]을 입력하고, 추정 위상각(φc) 및 공극 자속[λδγc]을 출력한다. 공극 자속[λδγc]은 상술의 추정치[λ]를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정 위상각(φc) 및 공극 자속[λδγc]은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기(3)의 전기자 권선의 인덕턴스의 d축 성분(Ld) 및 q축 성분(Lq), 전동기(3)에 흐르는 전류의 δ축 성분(iδ) 및 γ축 성분(iγ), 전동기(3)에 인가되는 전압의 δ축 성분(vδ) 및 γ축 성분(vγ), 실위상각(φ), 계자 자속의 절대치(Λ0), 전동기(3)의 전기자 권선의 저항 성분(R), 회전각속도(ω1), 미분 연산자(p)를 도입하면, δ-γ회전 좌표계에 있어서 다음 식의 전압 방정식(1)이 성립한다. 단, [I], [J], [C] 및 그들 요소를 둘러싸는 기호[]는 행열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1
따라서 이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기자 권선의 인덕턴스의 d축 성분의 설정치(Ldc) 및 q축 성분의 설정치(Lqc), 전동기(3)에 흐르는 전류의 δc축 성분(iδc) 및γc축 성분(iγc), 전동기(3)에 인가되는 전압의 δc축 성분(vδc) 및 γc축 성분(vγc), 추정 위상각(φc), 계자 자속의 절대치의 설정치(Λ0c), 전동기(3)의 전기자 권선의 저항 성분의 설정치(Rc), 회전각속도(ω1)를 도입하고 δc-γc회전 좌표계에 있어서 다음식의 전압 방정식(2)이 성립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2
단, 전압의 δc축 성분(vδc) 및 γc축 성분(vγc)은 실측되지 않기 때문에, 자속 계산부(1021)는 이들 대신에 전압 지령[vδγ *]=[vδ *γ *]t을 채용하여, 추정 위상각(φc)과 공극 자속[λδγc]을 구한다. 설정치(Ldc, Lqc, Rc, Λ0c)는 자속 계산부(1021) 내에 미리 기억해 둘 수 있다.
그런데, 정상 상태에 있어서는 미분 연산자(p)에 의한 연산 결과는 0이 되기 때문에,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전압 방정식은 식 (1)로부터 하기 식 (3)으로서 도출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3
설정치(Ldc, Lqc, Rc, Λ0c)와, 그 실제의 값(Ld, Lq, R, Λ0)의 상위에 따른 오차를 전압 지령에 있어서 수정하기 때문에, 지령치[λ*]와 δc-γc 회전 좌표계에 있어서의 공극 자속[λδγc]의 편차를 이용하여, 전압 지령[vδγ *]은 다음 식 (4)의 피드 포워드량[F]과 피드백량[B]의 합으로 결정된다. 단, 피드백 게인(Gλ)(≠0)과, 지령치[λ*]의 δ축 성분(λδ *) 및 γ축 성분(λγ *)을 도입했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4
전압 지령 생성부(1024)는 피드 포워드량[F]과 피드백량[B]을 가산하고, 전압 지령[vδγ *]을 구한다.
피드 포워드량[F]을 생성하기 위해,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1023)는 공극 자속[λδγc] 및 전류[iδγc]를 입력하고, 식 (4)에 따라 피드 포워드량[F]을 구한다. 즉, 피드 포워드량[F]은, 전류[iδγc], 저항 성분의 설정치(Rc), 회전각속도(ω1) 및 공극 자속[λδγc]을 이용하여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전압 방정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피드백량[B]을 생성하기 위해, 피드백량 계산부(1022)는 공극 자속[λδγc] 및 그 지령치[λ*]를 입력하고, 식 (4)에 따라 피드백량[B]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지령치[λ*]와 공극 자속[λδγc]의 편차에 피드백 게인(Gλ)을 곱한다. 피드백 게인(Gλ)은 피드백량 계산부(1022)에 있어서 기억해 둘 수 있다.
식 (4)에 있어서는 피드백 게인(Gλ)은 스칼라량으로서 나타냈지만, 공극 자속의 편차에 대해서 작용하는 2행 2열의 비영행렬이어도 된다.
이상적으로는, 피드백량[B]이 0이 되면, δ축 성분(λδ *)과 δc축 성분(λδc)이, γ축 성분(λγ *)과 γc축 성분(λγc)이, 각각 일치하고 있게 되고, 식 (3)으로 표시되는 정상 상태가, δc-γc 회전 좌표계에 있어서의 제어로 실현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피드백량[B]을 이용한 피드백 제어가 적절히 행해지고 있으면, 실위상각(φ)과 추정 위상각(φc)의 괴리가 작고, 따라서 회전각속도(ω1)와 그 지령치(ω*)의 괴리는 없다고 근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지령의 오차인 전압 오차[Δvδγ *]라고 하는 개념을 새롭게 도입하고, 공극 자속[λδγc]의 시간적 변동도 고려하여, 다음 식 (5)가 성립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5
즉 전압 오차[Δvδγ *]는, 전압 지령[vδγ *]을, 전동기(3)에 대한 전압 방정식으로부터 얻어지는 전압치(Rc[iδγc]+(p[I]+ω1[J])[λδγc])로부터 뺀 값으로서 정의된다. 전압 오차[Δvδγ *]는 식 (5)의 제2 식으로 근사할 수 있다.
단 계수(eiI, eiJ, eΛ, e)는, 전동기(3), 전압 공급원(2), 및 전류[ix](혹은 전압 공급원(2)에 입력하는 전압)의 검출기(도시 생략)의 각각의 제원의 편차, 및 회전각속도(ω1)에 의해, 전동기(3)의 제조 공차,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에서 결정되는 변동폭의 범위 내에서 변동한다. 따라서 전압 지령의 오차인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는 전류[iδγc], 추정 위상각(φc), 전압 지령[vδγ *] 외, 계수(eiI, eiJ, eΛ, e)의 변동폭에도 의존한다.
즉, 전압 오차[Δvδγ *]는, 전류[iδγc]와, 전압 지령[vδγ *]과, 전동기(3) 및 전압 공급원(2)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전류[iδγc] 또는 전압[vu, v, vw]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회전각속도(ω1)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변동폭은, 전류[iδγc]와 위상이 평행하는(동상 혹은 역상이 되는) 오차 eiI[I][iδγc]가 변동하는 범위와, 전류[iδγc]와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 eiJ[J][iδγc]가 변동하는 범위와, 계자 자속[Λ0]과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 eΛ[sinφc cosφc]t가 변동하는 범위와, 전압 지령[vδγ *]과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 e[vδγ *]가 변동하는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된다.
여기서 전압 오차[Δvδγ *]는, 피드백량[B]에 상당한다(보다 구체적으로는[Δvδγ *]=-[B]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오차[Δvδγ *]는, 실위상각(φ)과 추정 위상각(φc)의 괴리가 작아지도록 피드백 제어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다. 그리고 전동기(3)의 동작이 탈조한 경우, 이 전제는 성립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피드백량[B]은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를 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피드백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피드백량[B]이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를 넘는 것으로부터, 전동기(3)의 동작이 탈조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는, 탈조의 유무를 판단할 때의, 피드백량[B]에 대한 역치가 된다. 전압 오차 계산부(1025)는 식 (5)의 제2 식의 우변을 따라서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를 계산하기 위해, 추정 위상각(φc), 전류[iδγc], 및 전압 지령[vδγ *]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계수(eiI, eiJ, eΛ, e)의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과, 전류[iδγc], 추정 위상각(φc), 전압 지령[vδγ *]을 이용하여, 식 (5)의 제2 식의 우변의 각 항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구한다. 각 항의 최대치 또는 최소치의 조합을 채용했을 때의 전압 오차[Δvδγ *]를 역치로 하여 피드백량[B]과 비교한다. 계수(eiI, eiJ, eΛ, e)는 전압 오차 계산부(1025)로 계산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전압 오차 계산부(1025)에는 회전각속도(ω1)도 입력한다.
이것은,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가, 상기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 전류[iδγc]와 상기 전압 지령의 조합에 있어서의 전압 오차[Δvδγ *]의 최대치 또는/및 최소치로부터 설정된다고 파악할 수 있다.
간단하게는, 피드백량[B]의 절대치의 역치로서, 하기 식 (6)의 우변에 나타내는 전압 오차[Δvδγ *]를 취할 수 있는 절대치의 최대를 채용해도 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6
혹은 하기 식 (7)이 성립하므로, 식 (7)의 최우변을 역치로서 채용해도 된다. 이것은 연산량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최우변에는 추정 위상각(φc)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자속 계산부(10)에서 추정 위상각(φc)을 출력하지 않는 제어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7
또한, 정속 운전중에서는, 회전각속도(ω1)는 일정하므로, |eiI[I]+eiJ[J]|
, |eΛ|, |e|는 변화하지 않는 일정치가 된다.
혹은 피드백량[B]과 전압 오차[Δvδγ *]의 비교를, δc축 성분, γc축 성분마다 행해도 된다. 혹은 그들 중 한쪽만에 있어서 비교를 행해도 된다. 이것은 연산량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식 (8)은, γc축 성분에 있어서 피드백량[B]과 비교되는 전압 오차[Δvδγ *]의 γc축 성분(Δvγ *)의 절대치의 최대를 구한다. 따라서 식 (8)의 최우변을 피드백량[B]과 비교해도 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8
판정부(109)는, 전압 오차[Δvδγ *]를 입력하고, 상술과 같은 역치 혹은 전압 오차[Δvδγ *]와 피드백량[B]의 비교를 행하여, 판정 신호(Z)를 출력한다. 상술의 역치는 예를 들면 판정부(109)에서 생성하지만, 전압 오차[Δvδγ *]로부터 역치를 구하는 블록을 전압 지령 계산부(102)에 있어서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전압 지령 출력 제한부(1026)는 판정 신호(Z)와 전압 지령[vδγ *]을 입력한다. 판정 신호(Z)가 탈조를 나타낼 때 이외는, 전압 지령 출력 제한부(1026)는 전압 지령[vδγ *]을 출력한다. 판정 신호(Z)가 탈조를 나타낼 때는, 전압 지령 출력 제한부(1026)는 전압 지령[vδγ *]에 대신하여 정지 지령(S)을 출력하고, 전압 공급원(2)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로 인해 탈조 상태인 채로 전동기(3)를 구동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류[iδγc]나 전압 지령[vδγ *] 등에 기초하여 역치를 설정함으로써, 운전 상태에 따른 적절한 역치가 설정된다. 이것은, 탈조를 검출하는 정밀도를 높이고, 또한 잘못하여 탈조로 검출하는 것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에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역치를 설정함으로써, 역치를 시험적으로 결정할 필요성은 낮다. 이것은, 역치를 시험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에 비해 개발 공정수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실시의 형태.
제2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드백량[B]을 전류의 편차로부터 구하는 기술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식 (9)에 따라서 피드백량[B]을 구한다. 단 피드백 게인 Gi(≠0) 및 전류[iδγc]의 지령치[iδγ *]=[iδ * iγ *]t를 도입했다.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이, 피드백 게인(Gi)은 전류의 편차에 대해서 작용하는 2행 2열의 비영행렬이어도 된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09
이와 같이 하여 피드백량[B]을 구하는 경우, 피드백량 계산부(1022)에는 공극 자속[λδγc] 및 그 지령치[λδγ *]를 입력하는 대신에, 전류[iδγc] 및 그 지령치[iδγ *]를 입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동기 제어장치(1)의 구성은, 제1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전동기 제어장치(1)의 구성에 대해, 전압 지령 계산부(102)에는 공극 자속의 지령치[λδγ *]가 아니라 전류의 지령치[iδγ *]를 입력하는 점에서 다르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 계산부(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전압 오차[Δvδγ *]는 제1 실시의 형태와 같게 하여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이 처리를 행하여, 탈조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제1 실시의 형태 및 본 실시의 형태로부터, 피드백량[B]은, 전류[iδγc] 혹은 공극 자속[λδγc] 중 한쪽과, 상기 한쪽에 대한 지령치([iδγ *], [λδγ *]) 사이의 편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고 파악할 수 있다.
제3 실시의 형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피드 포워드 제어를 이용하지 않고 , 피드백 제어만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나타낸다. 이 경우, 다음 식 (10)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전압 지령[vδγ *]은 피드백량[B]과 동일해진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10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전압 지령 계산부(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1 실시의 형태 및 제2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난 전압 지령 생성부(1024)는 불필요해지고, 피드백량 계산부(1022)로부터 전압 지령[vδγ *]으로서 피드백량[B]이 출력된다.
한편,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1023)는 제1 실시의 형태 및 제2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하여 피드 포워드량[F]을 계산한다. 그리고 제1 실시의 형태 및 제2 실시의 형태에서 채용된 전압 오차[Δvδγ *]는, 거기서부터 피드 포워드량[F]을 줄임으로써 보정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호[Δvδγ *]를, 피드 포워드량[F]을 줄임으로써 보정된 전압 오차에 대해서 이용하고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전압 오차[Δvδγ *]는 다음 식 (11)로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6063448905-pct00011
전압 지령[vδγ *]으로서 피드백량[B] 자체를 이용할 때, 식 (11)로 결정되는 전압 오차[Δvδγ *]를 이용함으로써,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이 탈조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이것은 식 (4), (5)로부터 자명하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제1 실시의 형태와 같이 처리를 행하여, 탈조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도 제2 실시의 형태와 유사하여, 피드백량[B]으로서 전류의 편차와 피드백 게인(Gi)의 곱을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 식 (9)로 구해진 피드백량[B]이 전압 지령[vδγ *]으로서 채용된다. 따라서 제2 실시의 형태와 같이, 피드백량 계산부(1022)에는 공극 자속[λδγc] 및 그 지령치[λδγ *]를 입력하는 대신에, 전류[iδγc] 및 그 지령치[iδγ *]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전압 지령[vδγ *]을 구하는데, 피드백량[B]만으로 할지, 피드 포워드량[F]도 포함할지에 따라, 전압 오차[Δvδγ *]가 무엇에 기초하는 지가 다르다. 전압 지령[vδγ *]이 피드 포워드량[F]에 기초하지 않는 경우는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전압 오차[Δvδγ *]는 피드 포워드량[F]에도 기초하여 설정된다. 전압 지령[vδγ *]이 피드 포워드량[F]에 기초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실시의 형태와 같이, 전압 오차[Δvδγ *]는 공극 자속[λδγc]에는 기초하지 않는다(식 (5) 제2 식 참조).
피드 포워드량[F]을, 전압 방정식의 일부의 항을 제외한 항에 기초하여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일부의 항에도 기초하여, 전압 오차[Δvδγ *]가 변동하는 범위를 설정한다.
변형 1.
상기 계수(eiI, eiJ, eΛ, e)는, 전동기(3)의 기기 상수의 편차 외, 회로상의 편차의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수(eiI, eiJ)는 전류[ix]를 검출하는 검출기(도시 생략)의 편차의 영향을 받고, 계수(e)는 전압 공급원(2)이 갖는 전압 제어형 인버터(도시 생략)에 입력되는 전압 혹은 출력하는 전압[vx]을 검출하는 검출기(도시 생략)의 편차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이들 회로상의 편차는, 전동기(3)의 기기 상수의 편차와 비교하여 전압 오차[Δvδγ *]에 주는 영향은 작다. 따라서 회로상의 편차는 무시해도, 탈조를 판정하는 것은 실제상, 가능하다.
검출기 이외의 편차에 대해서도, 전압 오차[Δvδγ *]에 주는 영향은 작은 경우에는, 이것을 무시해도 탈조를 판정하는 것은 실제상 가능하다.
혹은 예를 들면, 전압 오차[Δvδγ *]에 주는 영향이 가장 큰 편차만을 고려해도 된다.
변형 2.
피드백량[B]과 비교되는 역치인 전압 오차[Δvδγ *]의 최대치는, 전동기(3)에 대해 상정되는 운전 범위 내의 최악 조건을 이용하여 미리 계산하고,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압 오차 계산부(1025)의 연산량은 작고, 필요한 메모리도 작아도 된다. 혹은 간단히 역치를 나타내는 테이블에서 전압 오차 계산부(1025)를 대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회전각속도마다 역치가 미리 구해지고, 이것들이 테이블로서 기억된다.
물론, 역치에 대해서는, 마진을 고려하여 전압 오차[Δvδγ *]의 최대치보다 크게 설정해도 된다.
변형 3.
추정 위상각(φc)은 작기 때문에, 이것을 영에 근사하여 역치를 구해도 된다.
탈조하고 있지 않은 조건으로 추정 위상각(φc)을 취할 수 있다고 상정되는 범위에서, 역치를 구해도 된다. 예를 들면 추정 위상각(φc)이 -90°~90°의 범위에서 탈조하지 않고 운전되는 경우(이러한 제어는 예를 들면 일차 자속 제어에 있어서 채용된다)에는 -1≤sinφc≤1, 0≤cosφc≤1을 채용하여 역치를 구한다.
추정 위상각(φc)을 영에 근사하거나, -1≤sinφc≤1, 0≤cosφc≤1을 채용하여 역치를 구하는 경우에는, 추정 위상각(φc) 그 자체를 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역치를 구하는 이외에 추정 위상각(φc)을 구할 필요가 없는 제어에 있어서는, 추정 위상각(φc)을 구하기 위한 연산량(식 (2) 참조)을 줄일 수 있다.
또, 탈조하고 있지 않은 조건으로 추정 위상각(φc)을 취할 수 있다고 상정되는 범위에서, 역치를 구하는 것은, 상정 외의 운전 범위가 된 경우에도 이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의 여러 가지 실시의 형태 및 변형은, 서로의 기능을 해치지 않는 한,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상기의 블럭도는 모식적이며, 각부는 하드웨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기능이 실현되는 마이크로 컴퓨터(기억장치를 포함한다)로 구성해도 된다. 각부에서 실행되는 각종 순서, 혹은 실현되는 각종 수단 또는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로 실현해도 상관없다.
마이크로 컴퓨터는, 프로그램에 기술된 각 처리 단계(바꾸어 말하면 순서)를 실행한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개서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등), 하드 디스크 장치 등의 각종 기억장치의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기억장치는, 각종 정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또 마이크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또,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작업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는, 프로그램에 기술된 각 처리 단계에 대응하는 각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고도 파악할 수 있고, 혹은, 각 처리 단계에 대응하는 각종 기능을 실현한다고도 파악할 수 있다.
이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이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9)

  1. 동기 전동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전압 지령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 전동기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동기 구동부와,
    상기 동기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의, 상기 전류에 대한 지령치에 대한 편차, 혹은, 상기 동기 전동기에 있어서의 공극 자속의, 상기 공극 자속에 대한 지령치에 대한 편차에 기초하는 피드백량을 결정하는 피드백량 계산부와,
    상기 피드백량에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전압 방정식에 기초한 전압치와 상기 전압 지령의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를 계산하는 전압 오차 계산부와,
    상기 피드백량이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동기 전동기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차는,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 지령과, 상기 동기 전동기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전동기 구동부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전류 또는 상기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제조 공차 및 동작 온도의 보증 범위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회전각속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전류와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류와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계자 자속과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압 지령과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전류와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류와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동기 전동기의 계자 자속과 위상이 직교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와, 상기 전압 지령과 위상이 평행하는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되는 변동폭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 지령의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오차의 최대치 또는/및 최소치로부터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 지령의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오차의 최대치 또는/및 최소치로부터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상기 변동폭의 상한 및 하한,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 지령의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오차의 최대치 또는/및 최소치로부터 설정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가 변동하는 범위는, 또한 상기 전압 방정식의 일부의 항에도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전압 방정식으로부터 상기 일부의 항을 제외한 항에 기초하는 피드 포워드량을 결정하는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또한, 상기 피드 포워드량에도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방정식에 기초하는 피드 포워드량을 결정하는 피드 포워드량 계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압 지령 생성부는, 또한, 상기 피드 포워드량에도 기초하여 상기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전동기의 제어장치.
KR1020167017594A 2014-01-10 2015-01-06 전동기의 제어장치 KR101667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3101A JP5854058B2 (ja) 2014-01-10 2014-01-10 電動機の制御装置
JPJP-P-2014-003101 2014-01-10
PCT/JP2015/050120 WO2015105093A1 (ja) 2014-01-10 2015-01-06 電動機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903A KR20160085903A (ko) 2016-07-18
KR101667908B1 true KR101667908B1 (ko) 2016-10-19

Family

ID=5352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594A KR101667908B1 (ko) 2014-01-10 2015-01-06 전동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98158B2 (ko)
EP (1) EP3093985A4 (ko)
JP (1) JP5854058B2 (ko)
KR (1) KR101667908B1 (ko)
CN (1) CN105830336B (ko)
AU (1) AU2015205227B2 (ko)
WO (1) WO20151050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2219A1 (en) * 2014-02-28 2017-01-12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JP2017051016A (ja) * 2015-09-03 2017-03-09 Ntn株式会社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2503A (ja) 2009-04-15 2010-11-04 Meidensha Corp Pmモータの位置・速度センサレス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1656B1 (en) * 1998-09-30 2001-08-28 Hitachi, Ltd. Synchronous motor control device electric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
JP4319112B2 (ja) * 2004-08-27 2009-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928850B2 (ja) * 2006-06-28 2012-05-09 株式会社東芝 回転機制御装置
JP4621997B2 (ja) * 2006-07-10 2011-02-0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ポンプの制御装置
JP4771998B2 (ja) 2006-09-05 2011-09-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機の駆動装置
WO2008047438A1 (fr) * 2006-10-19 2008-04-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ôleur vectoriel d'un moteur synchrone à aimant permanent
JP4918870B2 (ja) * 2007-02-26 2012-04-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282376B2 (ja) * 2007-06-29 2013-09-04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219290B1 (en) 2007-12-04 2019-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 motor controller
JP2010051151A (ja) 2008-08-25 2010-03-04 Jtekt Corp モータ制御装置
JP5327700B2 (ja) * 2008-10-02 2013-10-30 株式会社安川電機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328592B2 (ja) * 2009-10-02 2013-10-30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JP5195888B2 (ja) * 2010-06-24 2013-05-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動機駆動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353867B2 (ja) * 2010-12-02 2013-11-27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
WO2012103941A2 (en) * 2011-02-02 2012-08-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igital control unit having a transient detector for controlling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JP5348153B2 (ja) * 2011-02-14 2013-11-2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機の制御装置
JP5603360B2 (ja) * 2011-06-24 2014-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880967B2 (ja) * 2012-09-28 2016-03-09 株式会社デンソー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2503A (ja) 2009-04-15 2010-11-04 Meidensha Corp Pmモータの位置・速度センサレス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205227B2 (en) 2017-08-31
KR20160085903A (ko) 2016-07-18
AU2015205227A1 (en) 2016-06-30
WO2015105093A1 (ja) 2015-07-16
JP5854058B2 (ja) 2016-02-09
CN105830336A (zh) 2016-08-03
US20170005603A1 (en) 2017-01-05
JP2015133794A (ja) 2015-07-23
EP3093985A1 (en) 2016-11-16
EP3093985A4 (en) 2018-01-03
US10298158B2 (en) 2019-05-21
CN105830336B (zh)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1450B2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JP5800108B2 (ja) 周期外乱自動抑制装置
CN107085193B (zh) 用于马达控制系统的相电流测量中的偏移误差的检测
JP5709932B2 (ja) 同期機制御装置
JP2010029028A (ja) モータ制御装置
JP6419669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オートチューニング法
KR102250100B1 (ko) 전류센서의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7151872B2 (ja) 永久磁石同期機の制御装置
KR101667908B1 (ko) 전동기의 제어장치
JP3920750B2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装置
JP2016082790A (ja) 電動機制御装置、電動機制御システム
US9397554B2 (en) Motor drive device having function of estimating dead time in output stage
CN110635737A (zh) 电机驱动装置
JP5768255B2 (ja) 永久磁石同期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6230200A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
JPH1118499A (ja) 永久磁石型同期電動機のセンサレス速度制御方法及びその脱調検出方法
JP2021016226A (ja) モータの磁石温度の推定方法、及び、磁石温度の推定装置
JP7035818B2 (ja) 巻線界磁型同期モータ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5660191B2 (ja) 電動機制御装置
JP6032047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5143170A (ja) 同期電動機の制御装置
JP5854057B2 (ja) 脱調検出装置および電動機駆動システム
JP5983636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4061446B2 (ja) 同期電動機の抵抗値同定方法とその制御装置
JP6464559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