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842B1 -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842B1
KR101659842B1 KR1020130006337A KR20130006337A KR101659842B1 KR 101659842 B1 KR101659842 B1 KR 101659842B1 KR 1020130006337 A KR1020130006337 A KR 1020130006337A KR 20130006337 A KR20130006337 A KR 20130006337A KR 101659842 B1 KR101659842 B1 KR 10165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owder
gear
toner cartrid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001A (ko
Inventor
다쿠지 마츠모토
이오리 도구
나오후미 무라야마
시게마사 나카야
다쿠야 이와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097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8651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0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06751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709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26438B1/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5Other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e.g. internal filling means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측에는, 토너 카트리지(68Y)에 설치된 제 1 기어(81)에 대하여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 공급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력 공급 유닛에는, 도시 생략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토너 카트리지(68Y)에 설치된 제 1 기어(81)에 대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력 공급 유닛에는, 전달 기어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전달 기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축(920)이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에 대하여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착되면, 토너 카트리지(68Y)에 마련된 오목부(685)에 대하여, 지지축(920)의 선단부가 들어간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68Y)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Description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POWDER ACCOMMODATION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전축과, 회전축에 지지된 제 1 필름 부재와, 제 2 필름 부재로 구성된 반송 부재 본체를 가진 아지테이터(agitator)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되고, 이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현상 롤러에 대하여 현상제가 공급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를 갖는 토너 보급 장치 본체와, 토너 카트리지 본체, 토너 낙하용 개구를 폐색한 필름 형상의 시일(seal) 부재를 벗겨 내면서 권취하는 권취축, 및 토너 카트리지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권취축과 일체 회전 가능한 종동 기어를 포함하며,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에 추출 가능하게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서 셋트되는 토너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토너 보급 장치 본체는, 토너 카트리지가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에 셋트된 상태로 종동 기어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토너 보급 장치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는, 권취축의 양단부를 각각 도입하도록 반(反)삽입 방향으로 개방하고 있으며, 또한 토너 카트리지가 토너 카트리지 장착부에 셋트된 상태로, 권취축의 양단부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종동 기어를 구동 기어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베어링홈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보급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적어도 토너를 저장하는 용기 본체를 갖고, 당해 토너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을 구비한 토너 카트리지에 있어서, 당해 배출 구멍과는 별도로 공기 구멍을 마련하고 있으며, 당해 공기 구멍을 JIS L-1096-A-11의 측정법에 의한 투습도가 100∼1000g/㎡/24hr의 미다공질(微多孔質) 재료로 피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참조).
일본국 특개2009-98547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11-282243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9-43949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6-32456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의 양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분체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은,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의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단변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회전축에 배치됨과 함께 타단 측이 자유단이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수용 용기 본체와 접촉해서 휘어지는 가요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가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도록 배치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2 발명은, 상기 가요성 부재의 위치를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외부로부터 확인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3 발명은,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중,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통과 방향의 적어도 상류 측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부재의 일단 측에 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함과 함께, 타단 측에 상기 구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6 발명은,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이용되는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7 발명은,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어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가요성 부재를 이용하여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용기의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가 대향하도록 상기 반송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를 대향시켜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로의 분체의 충전을 행하는 분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제 8 발명은,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여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가요성 부재를 이용하여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용기에 분체를 충전하고,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를 대향시키는 분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이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구멍부에 가요성 부재가 대향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분체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반송 부재가 구멍부에 대향하고 있지 않은 것을 분체 수용 용기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규제 부재가 수용 용기 본체의 외면 측에 설치된 경우와 비교해서, 구멍부가 분체에 의해 막히는 일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규제 부재에 대한 가요성 부재의 가압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같은 측에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와 비교해서, 배출구로부터의 분체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 된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구멍부에 가요성 부재가 대향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분체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7, 제 8 발명에 의하면, 구멍부에 가요성 부재를 대향시키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에 대하여 분체가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 1a 발명은,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의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분체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는, 상기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폭 치수가 제 1 치수로 형성된 제 1 부위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위보다도 상기 배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폭 치수가 제 1 치수보다도 작은 제 2 치수로 형성된 제 2 부위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단변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회전축에 배치됨과 함께 타단 측이 자유단이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수용 용기 본체와 접촉해서 휘어지는 가요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에는, 상기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경사지는 복수의 경사편(片)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부위와 상기 제 2 부위의 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측의 상기 경사편보다도, 상기 접속부보다도 상기 배출구측의 경사편의 쪽이, 상기 자유단에 대한 각도가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2a 발명은,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접속부에 대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떨어진 측의 위치에, 휘어진 상태의 상기 가요성 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3a 발명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제 2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4a 발명은, 상기 가요성 부재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5a 발명은, 상기 가요성 부재와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6a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요성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부착면과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2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7a 발명은,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가요성 부재가 부착되는 부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부착면과 평행하게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3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8a 발명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위에 대하여 상기 제 1 부위와 반대 측에, 상기 제 2 부위보다도 상기 폭 치수가 작은 제 3 부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a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9a 발명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적이, 상기 제 1 부위보다도 상기 제 2 부위 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a 내지 제 8a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10a 발명은,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이용되는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며,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제 1a 내지 제 8a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a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의 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a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부재의 휘어짐이 과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a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의 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a, 제 5a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부재의 휘어짐이 과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a, 제 7a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부재의 휘어짐이 과다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a 발명에 의하면, 제 3 부위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의 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9a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분체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분체의 양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0a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화상의 열화가 저감된다.
제 1b 발명은, 회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갖는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하게 이루어진 분체 수용 용기로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는,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의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분체를 상기 장치 본체에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구동 부재의 외주면에 외주면이 접촉하고,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회전이 전달되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 부재의 동일 축 상에 형성된 제 1 돌기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2b 발명은,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b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3b 발명은,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 1 돌기의 하방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돌기와 평행한 제 2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는, 상기 일단 측에, 상기 제 1 돌기와 상기 제 2 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들어가는 부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b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4b 발명은,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갖는 복수의 면 중 하나의 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나의 면의 외연(外緣)의 내측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b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5b 발명은,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갖는 복수의 면 중 하나의 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나의 면은, 상기 회전 부재의 주위에,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으로 뻗는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 부재보다 상기 축방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b 발명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이다.
제 6b 발명은,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의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분체를 상기 장치 본체에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용기와,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장착되며, 상기 반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구비한 장치 본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에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회전이 전달되어서 상기 반송 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의 동일 축 상에 형성된 제 1 돌기가 들어가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7b 발명은, 상기 제 1 돌기는, 상기 구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b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8b 발명은,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제 1 돌기의 하방, 또한 상기 제 1 돌기와 평행한 제 2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돌기는, 당해 분체 수용 용기의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7b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9b 발명은,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갖는 복수의 면 중 하나의 면에 부착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하나의 면의 외연의 내측에 들어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b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0b 발명은,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갖는 복수의 면 중 하나의 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나의 면은, 상기 회전 부재의 주위에, 상기 회전 부재의 축방향으로 뻗는 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부는, 상기 회전 부재보다 상기 축방향으로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6b 발명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 1b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b 발명에 의하면, 제 2 돌기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 3b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장치 본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 4b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b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b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7b 발명에 의하면, 제 2 돌기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 부재에 회전을 보다 확실하게 전달함과 함께 배출구로부터 분체가 새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제 8b 발명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장치 본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제 9b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0b 발명에 의하면, 회전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옐로 토너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사시도.
도 3은 덮개 부재를 떼어낸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 1 반송 부재에 설치된 시트 부재의 정면도.
도 5는 요편(撓片)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 2 반송 부재에 설치된 시트 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시트 부재, 시트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토너 수용부의 평면도.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는 도 2에 있어서의 IX-I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2의 XI-XI선에 있어서의 토너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 XII방향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의 덮개 부재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
도 13은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XIII방향으로부터 제 1 기어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
도 14는 장치 본체 측에 설치되어 있던 구동력 공급 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토너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장착된 후의 토너 카트리지 및 장치 본체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화살표 XVII방향으로부터 제 1 기어 및 전달 기어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장치 본체(10A)의 내부에,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처리부(1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취해서 레이저광(LB)에 의한 노광을 행하는 노광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광 장치(14)의 상방에는, 옐로(Y), 마젠타(M), 시안(C), 블랙(K) 토너상(像)을 형성하는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의 일부로서 기능하는 이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은, 장치 본체(10A)에 대한 착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의 각각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원주 형상의 감광체 드럼(18), 감광체 드럼(18)의 외주면을 대전하는 대전 부재(20), 노광 장치(14)에 의한 노광에 의해 감광체 드럼(18)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분체의 일례로서의 토너를 이용하여 현상하는 현상 장치(22), 감광체 드럼(18)에 접촉해서 감광체 드럼(18)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 등을 제거하는 드럼 클리너(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의 각각에 설치된 현상 장치(22)에 대하여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공급 장치(68)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토너 공급 장치(68)에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를 각각 수용한 4개의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공급 장치(68)에는,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각각에 수용된 토너를 대응하는 현상 장치(22)에 반송하는 제 1 반송관(69Y), 제 2 반송관(69M), 제 3 반송관(69C), 제 4 반송관(69K)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착 부재로서 기능하는 4개의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각각을, 도면 중 화살표(1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 본체(10A)로부터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4개의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각각을, 도면 중 화살표(1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장치 본체(10A)에 대하여 장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0A)에는 도시 생략한 개폐 커버가 설치되어 있고,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제거 및 장착이 이루어질 때에는, 이 개폐 커버가 열린다.
노광 장치(14)에는, 4개의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이 화상 데이터에 따라 출사된다. 한편,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실린드리칼 렌즈를 통해서 회전 다면경인 폴리곤 미러(26)에 출사되고, 이 폴리곤 미러(26)에 의해 편향 주사된다. 그리고, 폴리곤 미러(26)에 의해 편향 주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결상 렌즈(도시 생략) 및 복수매의 미러를 통해서, 감광체 드럼(18) 위의 노광 포인트에 대하여 경사 하방으로부터 쬐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의 상방에, 전사 유닛(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사 유닛(21)에는,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을 행하는 중간 전사 벨트(32), 중간 전사 벨트(32)의 내측에 배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32)를 도면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롤(36), 중간 전사 벨트(32)의 내측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32)에 가압되어 중간 전사 벨트(32)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 롤(40), 장력 부여 롤(40)보다도 도면 중 상방에 배치되어 중간 전사 벨트(32)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을 행하는 종동 롤(6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32) 위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 등의 제거를 행하는 벨트 클리너(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사 유닛(21)에는, 중간 전사 벨트(32)의 내측에, 중간 전사 벨트(32)를 끼워서 감광체 드럼(18)에 대향 배치되는 일차 전사롤(34Y, 34M, 34C, 34K)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일차 전사롤(34Y, 34M, 34C, 34K)의 각각은,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의 각각에 설치된 감광체 드럼(18) 위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32) 위에 전이시킨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32) 위에는, 옐로의 토너상, 마젠타의 토너상, 시안의 토너상, 블랙의 토너상의 4개의 토너상이 겹쳐진 토너상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32)를 끼워서 종동롤(66)의 대향 위치에, 이차 전사롤(42)이 설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32)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32)에 의해 이차 전사롤(42)이 설치되어 있는 개소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이 토너상은, 이차 전사롤(42)과 종동롤(66)이 서로 압접하고 있는 이차 전사부(Tp)에서, 반송되어 온 용지(P)에 전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차 전사부(Tp)보다도 용지(P)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에, 용지(P)에 전사된 토너상을 열 및 압력를 이용하여 이 용지(P)에 정착하는 정착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44)의 하류 측에는, 정착 처리가 종료된 용지(P)를 장치 본체(10A)의 상부에 배출하는 배출롤(4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매의 용지(P)를 수용하는 용지 수용부(50), 용지 수용부(50)에 수용되어 있는 용지(P) 중의 최상위의 용지(P)에 접촉하여 이 용지(P)를 송출하는 송출롤(52), 송출롤(52)에 의해 송출된 용지(P)를 한 장씩 분리해서 반송하는 반송롤(5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송롤(54)의 하류 측에는, 상기 이차 전사부(Tp)를 향해서 용지(P)를 더 반송하는 반송롤(5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면에 토너 상이 정착된 용지(P)를 양면용 반송 경로(62)에 반송하는 반송롤(6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양면용 반송 경로(62)에 송입된 용지(P)는, 앞뒤가 반전된 상태로 이차 전사부(Tp)에 재차 공급된다. 이에 따라,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화상 형성이 이루어질 때에는, 예를 들면 원고 판독 장치(도시 생략)에서 취득된 화상 데이터나, 도시하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형성된 화상 데이터가, 예를 들면 R(빨강), G(초록), B(파랑)의 각 8비트의 데이터로서 화상 처리부(12)에 입력된다. 화상 처리부(12)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하여, 쉐이딩 보정, 위치 어긋남 보정, 명도/색 공간 변환, 감마 보정, 테두리 지우기나 색 편집, 이동 편집 등의 미리 정해진 화상 처리가 실시된다. 화상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는,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4색의 계조 데이터로 변환되어, 노광 장치(14)에 출력된다.
노광 장치(14)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반도체 레이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이 계조 데이터에 따라 출사된다. 한편,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실린드리칼 렌즈를 통해서 회전 다면경인 폴리곤 미러(26)에 출사되고, 이 폴리곤 미러(26)에 의해 편향 주사된다. 그리고, 폴리곤 미러(26)에 의해 편향 주사된 레이저광(LB-Y, LB-M, LB-C, LB-K)은, 감광체 드럼(18)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18)의 표면이 주사 노광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각의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에 설치된 현상 장치(22)에 의해,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각 색의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그리고, 화상 형성 유닛(16Y, 16M, 16C, 16K)의 감광체 드럼(18) 위에 형성된 토너상은, 일차 전사롤(34Y, 34M, 34C, 34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32) 위에 전사된다.
한편, 용지(P)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계에서는, 송출롤(52)이 회전하고, 용지 수용부(50)로부터 용지(P)가 송출된다. 그리고, 반송롤(54)에 의해 한 장씩 분리된 용지(P)는, 반송롤(58)까지 반송되어, 일단, 정지된다. 그 후, 토너상이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32)의 이동 타이밍에 맞춰서 반송롤(58)이 회전하고, 용지(P)는, 종동롤(66)과 이차 전사롤(42)에 의하여 형성되는 이차 전사부(Tp)에 반송된다.
그리고, 이차 전사부(Tp)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32)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상이, 압접력 및 이차 전사부(Tp)에서 형성되어 있는 전계에 의해, 용지(P) 위에 순차적으로 전사된다. 그 후, 토너상이 전사된 용지(P)는, 정착 장치(44)에서 정착 처리를 받은 후, 배출 롤(46)에 의해 장치 본체(10A)의 상부에 배출된다. 한편,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이 형성될 때에는, 양면용 반송 경로(62)로 용지(P)가 송입됨으로써 이차 전사부(Tp)로 용지(P)가 재차 반송되어, 용지(P)의 다른 일방의 면에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토너 공급 장치(68)에 설치된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옐로의 토너를 수용한 토너 카트리지(68Y)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68M, 68C, 68K)는 토너 카트리지(68Y)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68M, 68C, 68K)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체 수용 용기의 일례로서의 토너 카트리지(68Y)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68Y)는, 장치 본체(10A)에 장착될 때, 도면 중 화살표(2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장치 본체(10A)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는,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될 때의 장착 방향(도면 중 화살표(2A)로 나타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2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뻗어 장척(長尺)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68Y)에는, 토너 수용부(400)와 덮개 부재(500)로 구성된 수용 용기 본체(카트리지 본체)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토너 수용부(400)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에 사각형 형상의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덮개 부재(500)는 토너 수용부(400)의 상부에 부착됨과 함께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너 수용부(4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막는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의 토너의 수용은, 토너 카트리지(68Y)의 측면에 설치된 개구(510)를 통해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행해진다.
부언하면, 토너 수용부(400)에 대하여 덮개 부재(500)가 장착된 후에, 개구(510)를 통해서 토너를 공급하고, 토너 카트리지(68Y) 안으로의 토너의 수용을 행한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의 토너 공급이 종료된 후, 이 개구(510)는 막힌다. 한편, 개구(510)의 옆에는 또 하나, 개구(57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구(510)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 토너가 공급될 때, 이 개구(570)를 통해,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한편, 이 개구(570)도, 토너 카트리지(68Y) 안으로의 토너의 공급이 종료된 후에 막힌다.
토너 수용부(400)에는,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될 때의 장착 방향(화살표(2A)로 나타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 1 측벽(401), 이 제 1 측벽(401)의 대향 위치에 배치된 제 2 측벽(402), 제 1 측벽(401)과 직교하는 관계로 배치된 제 3 측벽(403), 이 제 3 측벽(403)의 대향 위치에 배치된 제 4 측벽(40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수용부(400)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측벽(401)∼제 4 측벽(404)의 각각의 하단부에 접속된 저판(底板)(40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저판(405)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너의 배출에 이용되는 토너 배출구(40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 1 측벽(401)∼제 4 측벽(404) 및 저판(405)은, 일체로 형성되어 토너 수용부(400)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덮개 부재(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500)에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외부의 공기를 내부에 취입하기 위한 구멍부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5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의 토너가 배출되면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의 압력이 저하해서 토너가 배출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530)을 통해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토너가 배출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530)으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 구멍(530)보다도 내측에,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토너의 통과는 규제하는 규제 부재로서 기능하는 필터(54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필터(540)는 부직포, 직물, 편물 등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필터(540)의 소재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천연 섬유, 화학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덮개 부재(500)를 떼어 냈던 상태의 토너 카트리지(68Y)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언하면, 도 3은, 토너 수용부(400)를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한편, 도 3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될 때의 장착 방향을 화살표(3X)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400)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너 수용부(400)에는, 측벽이 되는 개소에 제 1 측벽(401)∼제 4 측벽(40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수용부(400)에는, 제 1 측벽(401)∼제 4 측벽(404)보다도 하방에 저판(40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저판(40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너의 배출에 이용되는 토너 배출구(405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토너 배출구(405A)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제 2 측벽(402)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배출구(405A)는, 저판(405)과 제 4 측벽(404)이 교차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토너 수용부(400)의 내부에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제 4 측벽(404) 측에 설치되어, 토너 수용부(400) 내의 토너를 교반(攪拌)하면서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반송하는 제 1 반송 부재(6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토너 수용부(400)의 내부에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제 3 측벽(403) 측에 설치되고, 토너 수용부(400) 내의 토너를 제 1 반송 부재(600)를 향해서 반송하는 제 2 반송 부재(7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측벽(402)의 외측의 면에,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된 전달 기어(910)(후술)에 맞물려 이 전달 기어(91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제 1 기어(8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벽(402)의 외측의 면에는, 제 1 기어(81)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이 제 1 기어(81)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원반 형상의 제 2 기어(8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측벽(402)의 외측의 면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제 2 기어(82)에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이 제 2 기어(82)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제 3 기어(8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기어(81)가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을 행하면, 제 2 기어(82)는 제 1 기어(81)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행한다. 또한, 제 1 기어(81)가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을 행하면, 제 3 기어(83)는 제 1 기어(81)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행한다.
여기서, 제 1 반송 부재(600)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을 행하는 회전축(610)과, PET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전축(610)에 부착된 시트 부재(6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시트 부재(620)는, 토너 수용부(400)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를 회전축(610)을 따라 또한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한편, 회전축(610)은, 상기 제 1 기어(81)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 1 기어(81)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을 행한다.
또한, 제 2 반송 부재(700)도, 제 1 반송 부재(6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며,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전을 행하는 회전축(710)과, PET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됨과 함께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회전축(710)에 부착된 시트 부재(72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시트 부재(720)는 토너 수용부(400)에 수용되어 있는 토너를 제 1 반송 부재(600)를 향해서 압출한다. 여기서, 제 2 반송 부재(700)의 회전축(710)은, 제 3 기어(83)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제 3 기어(83)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을 행한다.
한편,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에 의한 토너의 반송이 행해질 때,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의 각각은, 도면 중 화살표(3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을 행한다. 부언하면, 도면 중 화살표(3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토너 수용부(400)를 바라본 경우에,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의 각각은, 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을 행한다.
다음으로, 토너 수용부(400)에 설치된 제 3 측벽(403), 제 4 측벽(404)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측벽(403)에는, 제 2 측벽(402) 측에 위치하는 제 1 부위(403A), 제 1 부위(403A)에 접속됨과 함께 이 제 1 부위(403A)보다도 제 1 측벽(401) 측에 위치하는 제 2 부위(403B), 제 2 부위(403B)에 접속됨과 함께 이 제 2 부위(403B)보다도 제 1 측벽(401) 측에 위치하는 제 3 부위(403C)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위(403A)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 3 부위(403C)보다도 제 4 측벽(404)에 가까운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위(403B)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 1 측벽(401)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제 2 측벽(402)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 제 4 측벽(404) 측에 접근한다. 또한, 제 3 부위(403C)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제 1 측벽(40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 4 측벽(404)은, 제 1 부위(404A)∼제 4 부위(404E)의 5개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부위(404A)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 2 측벽(40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위(404B)는 제 1 부위(404A)의 단부(제 1 측벽(401) 측의 단부)에 접속됨과 함께 제 1 부위(404A)와 직교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부위(404B)는 제 1 부위(404A)보다도 제 3 측벽(403)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부위(404C)는, 제 2 부위(404B)에 접속됨과 함께 이 제 2 부위(404B)보다도 제 1 측벽(401)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3 부위(404C)는 제 2 부위(404B)보다도 제 3 측벽(403)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부위(404D)는, 제 3 부위(404C)에 접속됨과 함께 이 제 3 부위(404C)보다도 제 1 측벽(401)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부위(404D)는, 제 3 부위(404C)보다도 제 3 측벽(403)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4 부위(404D)는,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 1측벽(401)이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제 2 측벽(402)이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서 진행함에 따라 제 3 측벽(403) 측에 접근한다.
또한, 제 5 부위(404E)는, 제 4 부위(404D)에 접속해서 설치됨과 함께 제 4 부위(404D)보다도 제 1 측벽(401)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5 부위(405E)는, 제 4 부위(404D)보다도 제 3 측벽(403)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측벽(403) 및 제 4 측벽(404)이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결과,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폭 치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제 1 측벽(401)이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제 2 측벽(402)이 위치하는 측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결과, 토너 수용부(400)(토너 카트리지(68Y))의 단면적이, 제 1 측벽(401)이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제 2 측벽(402)이 위치하는 측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아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3 측벽(403)의 제 3 부위(403C)와, 제 4 측벽(404)의 제 5 부위(404E)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치수(L1)로 되어 있다. 한편,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3 부위(404C)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기 치수(L1)보다도 작은 치수(L2)로 되어 있다. 또한,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가 상기 치수(L2)보다도 작은 치수(L3)로 되어 있다.
한편,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는, 도 3의 부호 3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있어서 외측으로 불룩해지고,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의 거리가, 토너 수용부(400)의 단부에서는 커진다. 그런데,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의 내측에는 격벽(406)이 설치되어 있고,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부(400)의 실질적인 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치수(L2)보다도 작은 치수(L3)가 된다.
도 4는, 제 1 반송 부재(600)에 설치된 시트 부재(620)의 정면도이다.
가요성 부재의 일례로서의 시트 부재(620)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가요성(탄성)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620)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620)는, 직사각형 형상(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에, 제 1 측연(側緣)(621)∼제 4 측연(62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시트 부재(620)는, 제 1 측연(621) 및 제 2 측연(622)이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시트 부재(620)는, 시트 부재(620)의 길이 방향이 회전축(610)(도 3 참조)을 따르도록 배치됨과 함께, 시트 부재(62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 1 측연(621) 측이 회전축(610)에 부착된다. 부언하면, 시트 부재(620)는, 시트 부재(62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위치하는 제 2 측연(622) 측이 자유단이 되도록 회전축(610)에 대하여 부착된다. 또한, 토너 수용부(400)의 제 1 측벽(401)(도 3 참조) 측에 제 3 측연(623)이 위치하도록 시트 부재(620)는 배치되고, 토너 수용부(400)의 제 2 측벽(402) 측에 제 4 측연(624)이 위치하도록 시트 부재(620)는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620) 중 제 1 측연(621)에 인접하는 영역이며 이 제 1 측연(621)을 따르는 띠 형상의 영역 내에, 복수의 관통 구멍(625)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관통 구멍(625)에 대하여, 회전축(610)에 설치된 돌기(614)(도 3 참조)가 삽입되어, 회전축(610)에 대한 시트 부재(620)의 고정이 행해진다.
또한, 시트 부재(620)에는, 제 2 측연(622)을 시점(始点)으로 하여 제 1 측연(621) 측을 향하는 슬릿(작은 틈)(627)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627)이 복수 설치됨으로써, 시트 부재(620)에는, 서로 인접하는 슬릿(627)과 슬릿(627) 사이에, 제 2 측연(622) 측을 자유단으로 하고 제 1 측연(621) 측을 고정단으로 하여 휘어지는(탄성 변형하는) 요편(62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요편(629)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요편(629)은, 시트 부재(620) 중, 제 1 측연(621) 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제 1 측연(621)을 따르도록 배치된 직사각형 형상(띠 형상)의 부위(이하, 이 부위를 「기부(基部)(630)」라고 칭한다)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요편(629) 중 하나의 요편(629)(도 4에 있어서 부호 4F로 나타내는 요편(629))이, 토너 배출구(405A)(도 3 참조)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하나의 요편(629)(이하, 이 요편(629)을 「대향 요편(629)」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은, 회전축(610)의 회전이 행해졌을 때,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토너를 압출한다. 한편, 대향 요편(629)의 선단에는, 이 대향 요편(629)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6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릿(627)의 각각은 회전축(610)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대향 요편(629)보다도 제 3 측연(623) 측에 위치하는 슬릿(627)은, 제 2 측연(622)으로부터 제 1 측연(621)을 향함에 따라서 제 3 측연(623) 측에 접근한다. 또한 대향 요편(629)보다도 제 4 측연(624) 측에 위치하는 슬릿(627)은, 제 2 측연(622)로부터 제 1 측연(621)을 향함에 따라서 제 4 측연(624) 측에 접근한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측연(622)을 시점으로 하여 제 1 측연(621) 측을 향하도록, 또한, 제 1 반송 부재(600)(도 3 참조)에 의한 토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을 향하도록, 슬릿(627)의 각각이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편(629)의 각각의 길이가, 요편(629)이 배치되는 개소에 따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매의 요편(629) 중, 제 4 측벽(404)(도 3 참조)의 제 3 부위(404C)의 대향 개소에 배치되는 3매의 요편(629)(도 4에서 부호 4A로 나타내는 3매의 요편(629))의 길이는 치수(Y1)로 되어 있다. 한편, 요편(629) 중, 제 4 측벽(404)의 제 4 부위(404D), 제 5 부위(404E)의 대향 개소에 배치되는 5매의 요편(629)(도 4에서 부호 4B로 나타내는 5매의 요편(629))의 길이는 치수(Y1)보다도 큰 치수(Y2)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측벽(404)의 제 4 부위(404D), 제 5 부위(404E)는, 제 3 부위(404C)보다도 제 3 측벽(403)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든 요편(629)의 길이가 같다면, 제 4 부위(404D), 제 5 부위(404E)의 대향 개소에 위치하고 있는 토너의 반송이 이루어지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4 부위(404D), 제 5 부위(404E)의 대향 개소에 배치되는 5매의 요편(629)의 길이를, 상기 3매의 요편(629)의 길이보다도 크게 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편(629) 중, 상기 5매의 요편(629)보다도 도면 중 좌측에 위치하는 1매의 요편(629)은, 그 길이가, 상기 치수(Y2)보다도 큰 치수(Y3)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수용부(400)의 코너부에서 정체할 우려가 있는 토너가 긁어 내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편(629) 중,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의 대향 개소에 배치되는 1매의 요편(629)(도 4에서 부호 4D로 나타내는 1매의 요편(629))의 길이는, 상기 치수(Y1)보다도 작은 치수(Y0)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 설치된 상기 슬릿(627)의 상기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가, 슬릿(627)이 설치된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3매의 요편(629)(부호 4A로 나타내는 3매의 요편(629)) 중 도면 중 중앙에 위치하는 요편(629)의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슬릿(627)의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는 60°로 되어 있다. 또한, 이 3매의 요편(629) 중 도면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요편(629)과, 상기 5매의 요편(629) 중 도면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요편(629)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도 60°로 되어 있다.
한편, 이 5매의 요편(629)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된 4개의 슬릿(627)의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는 45°로 되어 있다. 또한, 5매의 요편(629) 중 도면 중 좌단에 위치하는 요편(629)과, 이 요편(629)의 왼쪽 옆에 위치하는 1매의 요편(629)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627)도 45°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요편(629)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를 참조해서, 토너의 반송이 행해질 때의 요편(629)의 움직임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요편(629)의 자유단 측이 하방에 위치하고 저판(405) 위의 토너가 제 4 측벽(404)(도 3 참조) 측으로 압출될 때의 요편(629)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5매의 요편(629) 중에 포함되는 3매의 요편(629)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토너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릿(627)이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결과, 요편(629)의 강성이, 요편(629)의 부위마다 상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요편(629) 중, 기부(630)와 요편(629)의 접속부(631)의 하방에 위치해서 이 접속부(631)에 의해 지지되는 부위(부호 5A로 나타내는 부위, 이하, 「피지지 부위(5A)」라고 칭한다)는, 기부(630)에 가깝기 때문에, 강성이 높게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한편으로, 접속부(631)의 하방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부위(부호 5로 나타내는 부위, 이하, 「외측 부위(5B)」라고 칭한다)에서는, 기부(630)로부터 먼 위치에 있어 변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요편(629)이 토너를 압출할 때, 상기 외측 부위(5B) 쪽이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외측 부위(5B) 쪽이 피지지 부위(5A)보다도 더욱 많이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편(629)의 자유단 측에 위치하는 선단연(629C)이,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부언하면, 요편(629)이 토너를 압출할 때, 요편(629) 중 토너 배출구(405A)에 가까운 측이 제 1 반송 부재(60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요편(629) 중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떨어진 측이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요편(629)의 선단연(629C)은 경사진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는, 도면 중 화살표(5C)로 나타내는 방향(제 1 반송 부재(60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 압출됨과 함께,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압출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대향 요편(629)보다 제 3 측연(623) 측에 위치하는 요편(629)의 상태를 나타냈지만, 대향 요편(629)보다도 제 4 측연(624)(도 4 참조) 측에 위치하는 요편(629)에 있어서도, 토너의 반송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연(629C)이 경사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토너 배출구(405A)에 가까운 측이 제 1 반송 부재(600)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떨어진 쪽이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에 위치하도록, 요편(629)의 선단연(629C)이 경사진다. 이에 따라, 대향 요편(629)보다도 제 4 측연(624) 측에 위치하는 토너도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 이동한다.
다음으로, 제 2 반송 부재(700)에 설치된 시트 부재(720)를 설명한다.
도 6은, 제 2 반송 부재(700)에 설치된 시트 부재(7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 2 반송 부재(700)에 설치된 시트 부재(720)도, 상기에서 설명한 시트 부재(620)와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가요성(탄성)을 가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720)는 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 부재(72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연에, 제 1 측연(721)~제 4 측연(72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 부재(620)와 마찬가지로, 시트 부재(720)는, 제 1 측연(721) 및 제 2 측연(722)이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또한, 토너 수용부(400)의 제 1 측벽(401)(도 3 참조) 측에 제 3 측연(723)이 위치하도록, 또한 토너 수용부(400)의 제 2 측벽(402) 측에 제 4 측연(724)이 위치하도록, 시트 부재(720)는 배치된다. 또한, 시트 부재(620)와 마찬가지로, 시트 부재(720)는, 제 1 측연(721) 측이 회전축(710)(도 3 참조)에 고정된다.
여기서, 이 시트 부재(720)에서는, 제 1 슬릿(725) 및 제 2 슬릿(726)의 2개의 슬릿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슬릿(725)은, 시트 부재(7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이며 제 3 측연(723)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슬릿(726)은, 시트 부재(7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이며 제 4 측연(724)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슬릿(725) 및 제 2 슬릿(726)이 설치됨으로써, 3개의 요편(727)과, 이 3개의 요편(727)을 지지하는 기부(728)가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제 1 슬릿(725)은, 제 2 측연(722) 측으로부터 제 1 측연(721)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 3 측연(723)에 접근한다. 또한, 제 2 슬릿(726)은, 제 2 측연(722) 측으로부터 제 1 측연(721) 측을 향함에 따라서 제 4 측연(724)에 접근한다.
여기서, 제 2 반송 부재(700)에 의한 토너의 반송은, 시트 부재(720)가 제 1 반송 부재(600)를 향해서 토너를 압출함으로써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있어서의 지면의 안쪽으로부터 앞쪽 측을 향해 시트 부재(720)가 이동함으로써, 저판(405)(도 3 참조) 위의 토너가 제 1 반송 부재(600)를 향해서 압출되고, 제 1 반송 부재(600)에 대하여 토너가 공급된다.
한편, 3개의 요편(727) 중 도면 중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요편(727)은, 토너 수용부(400)의 코너에 위치하는 토너를, 토너 수용부(400)의 중앙부 측(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2개의 요편(727)의 각각의 선단연(727C)이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고, 이 경사에 의해, 토너 수용부(400)의 코너에 위치하는 토너가 토너 수용부(400)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7∼도 9를 참조해서, 제 1 반송 부재(600)에 설치된 회전축(610), 제 2 반송 부재(700)에 설치된 회전축(710)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 7은, 시트 부재(620), 시트 부재(720)를 제거한 상태의 토너 수용부(4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VIII-VII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2에 있어서의 IX-IX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한편, 회전축(610) 및 회전축(710)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회전축(610)에 관한 설명을 행하고 회전축(71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10)은,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회전축(610)은,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H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제 1 측면(611)과, 이 제 1 측면(611)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 2 측면(612)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돌기(614)(도 3 참조)는, 이 제 1 측면(611)에 형성되어 있으며, 시트 부재(620)는, 이 제 1 측면(611)을 따르도록 부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회전축(610)에는,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부재(620)의 배후에 위치해서 시트 부재(620)를 지지하는 지지 돌기(613)가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회전축(610)의 회전 방향(도 8의 화살표(8A) 참조)에 있어서 시트 부재(620)보다도 상류 측에 배치되고, 토너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진 시트 부재(620)를 뒤측에서 지지하는 지지 돌기(613)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돌기(613)는, 시트 부재(620)가 부착된 제 1 측면(611)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축(610)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 부재(620)의 일방의 면에 의해 토너가 가압되어 토너의 반송이 행해지지만, 이때, 시트 부재(620)가 휘어지게 된다. 지지 돌기(613)는, 휘어진 이 시트 부재(620)의 타방의 면측으로부터 시트 부재(620)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620)의 과도한 휘어짐이 억제되어, 반송 능력의 저하가 억제되게 된다. 한편, 이 지지 돌기(613)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측벽(404)의 제 4 부위(404D)보다도, 제 5 부위(404E) 측에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제 5 부위(404E)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토너 카트리지(68Y)로부터의 토너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에는,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안정적으로 토너가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배출되는 토너의 양에 변동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토너를 안정적으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토너 배출구(405A)의 주위의 토너의 밀도가 높아져 있는 것이 중요해져서, 토너의 밀도가 작은 경우는,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양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의 배출량 안정화를 위해서(토너 배출구(405A)의 주위의 토너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단계적으로 좁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수용부(400) 중 토너 배출구(405A)보다도 상류 측(제 1 반송 부재(600)에 의한 토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치수(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치수(L1)로 하는 한편,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치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치수(L2)로 해서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의 치수를 상류 측에 비해서 좁히고 있다.
부언하면, 토너 수용부(400) 중 토너 배출구(405A)보다도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단면적이며 제 1 반송 부재(600)에 의한 토너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적을 제 1 단면적으로 했을 경우에,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단면적을 이 제 1 단면적을 보다 작은 제 2 단면적으로 해서,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의 단면적을 상류 측에 비해서 작게 하고 있다. 또한, 시트 부재(620)의 5매의 요편(629)을 단면적에 따라,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를 바꾸고 있다.
이에 따라,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토너의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토너의 배출량이 안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수용부(400)의 치수(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단계적으로 좁혔을 경우, 폭이 넓은 부분과 좁은 부분의 접속부에 각부(角部)가 생기고, 이 각부에 토너가 고일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4 측벽(404)(도 3 참조)의 제 4 부위(404D), 및 제 3 측벽(403)의 제 2 부위(403B)를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해서, 각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도,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과, 토너 배출구(405A)보다도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배출구(405A)보다도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치수(H1)로 하고 있다. 그 한편으로, 토너 카트리지(68Y) 중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치수(H1)보다도 작은 치수(H2)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높이 치수가 변화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토너의 밀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68Y) 중 치수(H1)로 형성되는 부분과, 토너 카트리지(68Y) 중 치수(H2)로 형성되는 부분의 접속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측벽(401) 측으로부터 제 2 측벽(402)을 향함에 따라서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부(520)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측벽(402) 측을 향해 이동하는 토너의 흐름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배출구(405A)가 위치하는 부분(이하, 「배출구 설치 부분」이라고 칭한다)이, 이 부분보다도 상류 측에 위치하는 부분(이하, 「상류 측 부분」이라고 칭한다)에서, 토너 수용부(400)의 폭이 상이한 경우, 이 배출구 설치 부분과 상류 측 부분의 접속부에 토너가 집중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이 접속부에서, 제 1 반송 부재(600)의 시트 부재(620), 및 제 2 반송 부재(700)의 시트 부재(720)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져, 시트 부재(620), 시트 부재(720)가 휘어지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의 반송 능력이 저하해서 상기 접속부에 있어서의 토너의 반송량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620), 시트 부재(720)를 뒤에서부터 지지하는 지지 돌기(613)(도 7 참조)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시트 부재(620), 시트 부재(720)가 크게 휘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토너의 반송 능력이 저하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620)에 설치된 복수의 슬릿(627)의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를, 슬릿(627)이 설치된 부위에 따라 상이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3매의 요편(629)(도 4에서 부호 4A로 나타내는 3매의 요편(629))의 중앙에 위치하는 요편(629)의 좌우로 위치하는 2개의 슬릿(627)의 각도를 60°로 하고 있다. 또한, 이 3매의 요편(629) 중 도 4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요편(629)과, 상기 5매의 요편(629)(도 4에서 부호 4B으로 나타내는 5매의 요편(629)) 중 도면 중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요편(629)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도 60°로 하고 있다.
한편, 상기 5매의 요편(629)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된 4개의 슬릿(627)의 제 2 측연(622)에 대한 각도는 45°로 되어 있다. 또한, 5매의 요편(629) 중 도 4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요편(629)과, 이 요편(629)의 왼쪽 옆에 위치하는 1매의 요편(629) 사이에 위치하는 슬릿도 45°로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과 상기 상류 측 부분의 접속부를 경계로 하여, 이 접속부보다도 상류 측(제 1 측벽(401) 측)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를 45°로 하고 있다. 한편, 이 접속부보다도 하류 측(제 2 측벽(402) 측)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를 60°로 하고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과 상기 상류 측 부분의 접속부가 위치하는 개소를 경계로, 상류 측과 하류 측에서 슬릿(627)의 각도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부가 위치하는 개소에 각도의 변화점을 마련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배출구(405A)의 주위의 토너의 밀도가 높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상류 측 부분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를 45°로 하고,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이동하는 토너의 양을 늘리고 있다. 여기서, 슬릿(627)의 각도를 60°가 아니라 45°로 했을 경우, 도 5에서 나타내는 경사 각도(α)(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선단연(629C)의 경사 각도)가 커진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향해서 보다 많은 토너가 이동하게 되고,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 이동하는 토너의 양이 늘어난다.
한편,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도 45°로 했을 경우,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향해서 토너를 압출하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토너 수용부(400)의 제 2 측벽(402)(도 3 참조)이나, 제 4 측벽(404)의 제 2 부위(404B)에 대하여 토너가 가압되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의 응집 등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 설치 부분에 위치하는 슬릿(627)의 각도는 60°로 해서, 토너 수용부(400)의 길이 방향을 향해서 토너를 압출하는 힘을 약화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을 끼워 상기 상류 측 부분과는 반대 측에, 폭이 더 좁혀진 폭협(幅狹) 부분이 더 형성되어 있다. 부언하면, 제 1 반송 부재(600)에 의한 토너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보다도 하류 측에, 배출구 설치 부분보다도 단면적(제 1 반송 부재(600)에 의한 토너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적)이 작은 폭협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 도면의 도면 중 우단부이며, 격벽(406)과,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 사이에, 폭협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폭협 부분에 있어서의, 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치수(L3)로 되어 있으며, 배출구 설치 부분에 있어서의 치수(L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런데, 토너 카트리지(68Y)의 반송 중에, 토너 카트리지(68Y)가 기울어져,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토너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 수용부(400)의 제 1 측벽(401)이나 제 2 측벽(402)에 대하여 토너가 꽉 눌러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되었을 경우,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에서는, 상기 폭협 부분에 토너가 집중해서 이 폭협 부분의 토너의 밀도가 높아진다. 부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에서는, 상기 폭협 부분에 토너가 집중하고, 이 폭협 부분의 토너의 밀도가 상기 배출구 설치 부분에 위치하는 토너의 밀도보다도 높아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가 제 2 측벽(402) 측을 아래로 하여 기울어진 경우를 상정하고, 토너의 밀도가 불필요하게 높아지는 폭협 부분에 토너 배출구(405A)를 설치하지 않고, 폭협 부분에 인접하는,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3 부위(404C)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토너 배출구(405A)를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폭협 부분에 있어서의 토너의 밀도가 높은 상태로,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되어, 토너 카트리지(68Y)로부터의 토너의 공급이 이루어질 때, 이 밀도가 높아져 있는 부분의 토너가 서서히 허물어져, 인접하는 제 3 측벽(403)의 제 1 부위(403A)와, 제 4 측벽(404)의 제 3 부위(404C)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공급되게 된다. 그 후, 허물어진 토너는, 토너 배출구(405A)를 향해서 반송된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의 토너 카트리지(68Y)에서는, 토너의 배출량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고, 토너 카트리지(68Y)로부터 공급되는 토너의 양이 보다 안정화한다. 여기서, 토너 수용부(400)의 내부에는, 토너가 성긴 상태로 되어 있는 부분도 있고, 이러한 부분이 있으면,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배출되는 토너의 양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밀도가 높아져 있는 부분이 형성될 경우, 이 부분으로부터 토너가 서서히 공급되게 되고, 일정한 양 이하로 토너의 배출량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의 2개의 반송 부재를 설치했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도 10(토너 카트리지(68Y)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반송 부재(700)를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한편, 이 구성예에서는, 제 3 측벽(403)의 내측에,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따른 격벽(410)을 형성하고, 토너 수용부(400) 중 토너가 실제로 수용되는 부분의 치수(토너 수용부(400)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도 3에서 나타낸 구성보다도 좁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반송 부재(600)만으로, 토너 배출구(405A)에 토너를 반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도 10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는, 상기 도 3에서 나타낸 구성과 마찬가지로, 격벽(410)을, 제 1 부위(410A), 제 2 부위(410B), 제 3 부위(410C)로 구성하고, 배출구 설치 부분에 있어서의 폭을, 상류 측 부분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또한, 본 구성예에서는,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 측에, 제 1 반송 부재(600)의 회전축(610)을 치우치게 하고 있다. 부언하면,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와 회전축(610)의 이간 거리(L10)를, 격벽(410)의 제 1 부위(410A)와 회전축(610)의 이간 거리(L20)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 및 격벽(410)의 제 1 부위(410A) 중 일방의 부위에 회전축(610)을 치우치게 한 상태로 제 1 반송 부재(600)를 배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 4 측벽(404)의 제 1 부위(404A)와, 격벽(410)의 제 1 부위(410A) 사이에는 폭협 부분이 형성되며, 이 폭협 부분에서는, 토너의 밀도가 높아지기 쉽다. 그런데 이 경우, 이 폭협 부위에서 토너가 응집해서 토너가 굳어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구성예에서는, 회전축(610)을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방의 부위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토너의 교반이 더욱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더 설명하면, 이 구성예에서도, 요편(629)(도 4 참조)에 의해 토너의 교반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이 요편(629)은 근원 쪽이 선단 측보다도 강성이 있어, 이 근원에 가까운 개소에서 토너의 교반을 행하는 쪽이, 토너는 보다 허물어지기 쉬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610)을 일방의 부위에 치우치게 하여, 요편(629)의 근원에 토너가 보다 많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도 11은, 도 2의 XI-XI선에 있어서의 토너 카트리지(68Y)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화살표 XII방향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68Y)의 덮개 부재(500)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한편, 도 12에서는, 도 11에서는 표시되어 있는 시트 부재(72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500)에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에 이용되는 관통 구멍(5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530)으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 구멍(530)보다도 내측에,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토너의 통과는 규제하는 필터(54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54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00)의 내면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필터(540)는, 제 1 면(541)과, 제 1 면(541)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 2 면(542)을 갖는 동시에, 접착에 의해, 제 1 면(541)이 덮개 부재(500)의 내면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다. 한편,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30) 및 필터(54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측에 토너 배출구(405A)가 형성되고,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 측에 외부에 통하는 관통 구멍(5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측(토너 배출구(405A)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같은 측)에, 관통 구멍(530)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와 비교해서, 토너 카트리지(68Y)로부터 보다 원활하게 토너가 배출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530)보다도 내측에 필터(540)가 설치되어 있다. 부언하면, 덮개 부재(500) 중 토너 수용부(400) 측에 위치하는 내면과, 이 내면과는 반대 측에 위치하는 외면 중, 이 내면에 대하여, 필터(540)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540)를, 덮개 부재(500)의 외면에 부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관통 구멍(530)의 내부에 토너가 들어가서, 통기구로서 기능하는 관통 구멍(530)을 막아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내면에 대하여 필터(540)를 부착하도록 하여, 관통 구멍(530)으로의 토너의 들어감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시에, 제 2 반송 부재(700)의 시트 부재(720)의 위치의 조정이 이루어지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540)에 대하여 탄성편(片)의 일례로서의 시트 부재(720)가 대향하도록 시트 부재(720)가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시에, 제조자나 제조 장치에 의해 제 1 기어(81)(도 3 참조)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필터(540)에 대하여 시트 부재(720)가 대향하도록 시트 부재(720)가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는, 필터(540)에 대하여 시트 부재(720)가 대향한 상태로 출하된다. 부언하면, 본 실시형태의 토너 카트리지(68Y)는, 필터(540) 중 관통 구멍(530)에 대치하고 있는 부분의 대향 개소에 시트 부재(720)가 위치하는 상태로 출하되어, 유저인 고객에게까지 반송(수송)된다. 더 설명하면, 토너 카트리지(68Y)는, 필터(540) 중 관통 구멍(530)에 대치하고 있는 부분이 시트 부재(720)에 의해 덮어진 상태로 출하되어, 그 후에 고객에게까지 반송된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68Y)는 다양한 자세로 고객에게까지 반송된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68Y)의 수송 중, 토너 카트리지(68Y)에는 진동이 가해진다. 이 결과, 필터(540)에 토너가 부착해서, 필터(540)의 내부에 토너가 들어간 결과, 필터(540)의 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터(540)에 대하여 시트 부재(720)가 대향한 상태로 토너 카트리지(68Y)를 출하한다. 이에 따라, 필터(540)에 토너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540)의 내부로의 토너의 들어감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필터(540)의 막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토너 카트리지(68Y)가 화상 형성 장치(10)(도 1 참조)에 장착되어, 토너 카트리지(68Y)로부터의 토너의 공급이 행해질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의 회전 구동이 행해지지만, 이때, 제 2 반송 부재(700)의 시트 부재(720)에 의해 필터(540)에 대하여 토너가 가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500)의 내면에 대하여, 환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550)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 돌출부(550)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540)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필터(5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돌출부(550)를 설치했을 경우, 이 돌출부(550)에 대하여 제 2 반송 부재(700)의 시트 부재(720)가 꽉 눌러지게 되어서, 필터(540)에 대한 토너의 가압이 저감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550)의 높이 치수(H10)(돌출부(550)의 정상부와 덮개 부재(500)의 내면의 거리)를, 필터(540)의 두께(H20)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언하면, 돌출부(550)의 높이 치수(H10)를, 덮개 부재(500)의 내면과 필터(540)의 제 2 면(542)의 거리(H20)보다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돌출부(550)의 높이 치수(H10)가 필터(540)의 두께(H20)보다도 작을 경우와 비교해서, 필터(540)에 대한 토너의 가압이 저감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 형상으로 형성된 돌출부(550)의 외측의 측면(551)(외주 측 및 내주 측 중 외주 측에 위치하는 측면(551))을,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하고 있다. 부언하면, 측면(551)과 덮개 부재(500)의 내면을 직교시키지 않고, 측면(551)과 덮개 부재(500)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측면(551)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측면(551)과 덮개 부재(500)의 내면이 서로 직교하는 관계로 되어 있을 경우, 측면(551)과 이 내면이 교차하는 개소의 각부가 형성되어, 이 각부에 토너가 고이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측면(551)에 경사를 부여했을 경우, 이 토너의 고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50)의 외측의 측면(551)을 경사지게 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돌출부(550)의 내측의 측면도 경사지게 해도 된다. 한편, 내측의 측면을 경사지게 하는 경우도, 이 내측의 측면과 덮개 부재(500)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가 둔각이 되도록 이 내측의 면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50)를 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돌출부(550)는 필터(540)에 대하여, 시트 부재(720)의 회전 방향의 상류 측에 설치된 경우이더라도, 필터(540)에 대한 시트 부재(720)의 가압이 저감되어, 토너의 부착이 방지된다.
도 13은, 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XIII방향으로부터 제 1 기어(81)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회전 부재, 수용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 1 기어(81)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811)을 갖고 있다. 한편, 이 외주면(811)에는 톱니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이 톱니부가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된 전달 기어(910)(후술)의 톱니부에 맞물림으로써, 제 1 기어(81)에 대하여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어(81)의 측면에 대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장변 및 하나의 단변을 갖고 이등변 삼각형의 모양을 한 마크(8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마크(812)는, 제 1 기어(81)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시에, 제조자나 제조 장치에 의해 제 1 기어(81)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필터(540)에 대하여 시트 부재(720)가 대향하도록 시트 부재(720)가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시트 부재(720)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지만, 이때에는, 상기 마크(812)가 이용되어서 이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개의 장변이 교차하는 개소에 형성되는 예각 형상의 정점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제 1 기어(81)의 회전이 행하여져, 시트 부재(720)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토너 카트리지(68Y)를 제조 장치에서 제조할 경우에는, 마크(812)를 센서 등에 의해 판독해서 제 1 기어(81)를 회전시킴으로써, 미리 정해진 위치에 시트 부재(720)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여기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시의 순서에 관하여 설명한다.
토너 카트리지(68Y)를 제조할 때는, 우선, 제 1 기어(81)∼제 3 기어(83)가 부착된 상태의 토너 수용부(400)의 내부에, 제 1 반송 부재(600) 및 제 2 반송 부재(700)가 부착된다. 다음으로, 덮개 부재(500)가 장착된다. 그 후, 상기 예각 형상의 정점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제 1 기어(81)의 회전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필터(540)에 대향하도록 시트 부재(720)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개구(510)(도 2 참조)를 통해서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에 토너가 공급(충전)된다. 그 후, 개구(510) 및 개구(570)가 막힌다.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68Y)의 곤포(梱包) 등이 이루어져 토너 카트리지(68Y)는 출하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시트 부재(720)를 필터(540)에 대향시킨 후에,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의 토너의 공급을 행하지만,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에 토너를 공급한 후에, 제 1 기어(81)의 회전을 행하고, 시트 부재(720)를 필터(540)에 대향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시트 부재(720)를 필터(540)에 대향시킨 후에,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로의 토너의 공급을 행하는 쪽이,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 단계에 있어서 필터(540)에 대하여 가해지는 토너의 압력이 저감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필터(540)의 막힘이 발생하기 더 어려워진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조 후에, 마크(812)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던 경우는, 시트 부재(720)가 필터(540)에 대향하도록, 제 1 기어(81)를 회전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0A) 측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되어 있던 구동력 공급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의 장치 본체(10A) 측에는,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각각에 설치된 제 1 기어(81)에 대하여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 공급 유닛(90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 구동력 공급 유닛(900)에는, 도시 생략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각각에 설치된 제 1 기어(81)에 대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기어(91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장치 본체(10A)에 대하여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가 장착될 때에는, 유저에 의해, 동 도면의 화살표(14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가 가압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가 미리 정해진 개소에 도달하면,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 측에 설치된 제 1 기어(81)와, 구동력 공급 유닛(900) 측에 설치된 전달 기어(910)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력 공급 유닛(900) 측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 측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달 부재로서 기능하는 전달 기어(910)의 각각은,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달 기어(910)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전달 기어(91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축(920)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축(920)의 각각은, 토너 카트리지(68Y, 68M, 68C, 68K)의 장착 방향(화살표(14A)로 나타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920)의 각각은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920)의 각각은, 선단부가 전달 기어(9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92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달 기어(910) 중 제 1 기어(81)와 접촉하는 부위 이외의 부위를 덮는 커버(930)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930)에는, 평판 형상의 돌기(950)가 지지축(920)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돌기(950)는 복수의 지지축(920)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68Y)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한편, 도 15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전부를 표시하지 않고, 제 1 기어(81)∼제 3 기어(83)가 설치되어 있는 제 2 측벽(402) 측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측벽(40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이며 제 2 측벽(402) 측의 단부에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 측을 향해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685)가 형성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토너 카트리지(68Y)의 제 4 측벽(404)이며 또한 제 4 측벽(404)의 도면 중 하단부에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내부 측을 향해 움푹 들어가는 홈 형상의 오목부(68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85)는, 제 1 부위(404A)(도 3 참조)와 제 2 부위(404B)(도 3 참조)에 둘러싸인 공간(S)에 설치되어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어(81)보다도 도면 중 하방에 오목부(685)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685) 중 제 2 측벽(402) 측이 개방되어 있다. 공간(S)은, 제 2 측벽(402)의 연장면과 제 4 측벽(404)의 연장면으로 규정되는 공간으로서도 정의할 수 있다.
더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 중, 제 1 기어(81)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 같은 측에 오목부(685), 토너 배출구(405A)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언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어(81)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고, 오목부(685)나 토너 배출구(405A)도,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은,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된 후의 토너 카트리지(68Y) 및 장치 본체(10A)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부언하면,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14B)로 나타내는 방향(토너 카트리지(68Y)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의 하류 측)으로부터 토너 카트리지(68Y) 및 장치 본체(10A)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장치 본체(10A)에 대하여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착되면,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하는 오목부(685)에 대하여, 지지축(920)의 선단부가 들어간다. 또한, 커버(930)에 설치된 돌기(950)가, 토너 카트리지(68Y) 아래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지지축(920)에 의해 오목부(685)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짐과 함께, 토너 카트리지(68Y)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게 되고, 도면 중 상방 및 하방으로의 토너 카트리지(68Y)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장치 본체(10A)에 대하여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착되면, 돌기(950)는 저판(405)과 미소한 간극을 갖고, 오목부(685)의 거의 직하에 위치한다. 한편, 도 16에 있어서는 전달 기어(910)(도 16에서는 도시 생략)의 앞쪽에 위치하는 기어의 커버에 의해, 돌기(950)는 숨겨지고 있다. 또한, 공간(S)에는, 장치 본체(10A)의 구동원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 기어(910)에 중계하는 중계 기어(960)(도 14 참조)가 위치한다. 부언하면, 중계 기어(960)의 일부가 공간(S)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장치 본체(10A)의 단변 방향(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68Y) 측에 설치된 제 1 기어(81)와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된 전달 기어(910)가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고, 전달 기어(910)로부터 제 1 기어(81)로 더 확실하게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와 떨어지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 측에 설치된 토너 배출구(405A)도 장치 본체(10A)와 떨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배출구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홈 형상의 오목부(685) 중 제 2 측벽(402) 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오목부(685)에 지지축(920)이 들어갈 때, 지지축(920)과 제 2 측벽(402)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측벽(402)의 외주연(402A)의 내측에 제 1 기어(81)∼제 3 기어(83)가 들어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 1 기어(81)∼제 3 기어(83)의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 1 기어(81)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니의 길이가 짧아져서, 톱니가 길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서, 제 1 기어(81)와 전달 기어(910)가 이간하기 쉬워진다. 부언하면, 톱니가 길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서, 제 1 기어(81)와 전달 기어(910)의 맞물림이 유지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오목부(685)에 지지축(920)의 선단부를 넣도록 하여,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이동을 보다 일어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제 2 측벽(402)의 외주연(402A)의 내측에 제 1 기어(81)∼제 3 기어(83)가 들어감으로써, 제 1 기어(81)∼제 3 기어(83)의 파손이 방지된다. 부언하면, 제 1 기어(81)∼제 3 기어(83)가 덮개 부재(500)나 저판(405)으로부터 튀어나와 있으면, 토너 카트리지(68Y)를 바닥에 놓거나, 위에 물건을 올려놓을 때에, 제 1 기어(81)∼제 3 기어(83)의 톱니가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기어(81)와 제 3 기어(83)의 주위에는, 제 1 기어(81)∼제 3 기어(83)보다도 높은 보호벽(84)을 형성하고 있다. 잘못하여 제 2 측벽(402)을 밑으로 해서 토너 카트리지(68Y)를 낙하시켜버렸을 경우 등은, 이 보호벽(84)에 의해 제 1 기어(81)∼제 3 기어(83)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제 3 기어(83) 주위에 형성된 보호벽(84)은, 토너 카트리지(68Y)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제 3 기어(83)를 유저가 접촉하는 것도 방지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달 기어(910)를 지지하는 지지축(920)을 토너 카트리지(68Y)에 형성된 오목부(685)에 넣는 구성으로 했다. 비교예로서, 토너 카트리지(68Y)에 설치된 제 1 기어(81)를 지지하는 지지축(도시 생략)의 선단부를,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한 오목부(도시 생략)에 넣는 구성을 생각한다.
한편, 제 1 기어(81)를 지지하는 지지축의 선단부를 장치 본체(10A) 측에 설치한 오목부에 넣는 구성의 경우는, 제 1 기어(81)의 측면으로부터 지지축이 돌출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유저가 직접 접촉하는 부분에 돌기가 존재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비교해서, 돌기가 파손될 우려가 높아져, 돌기가 파손되어버리면, 전달 기어(910)로부터 제 1 기어(81)로의 구동의 전달이 확실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68Y)에 오목부(685)를 형성해서 이 오목부(685)에 상기 지지축(920)의 선단부를 넣을 경우, 장치 본체(10A)의 내부에 돌기가 위치하게 된다. 부언하면, 이 경우, 유저의 손이 접촉하기 어려운 개소에 돌기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오목부(685)에 대하여 지지축(920)의 선단부를 넣을 경우를 설명했지만, 지지축(920)의 선단부 이외의 개소를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지축(920)의 근원(지지축(920) 중 전달 기어(910)가 위치하는 개소보다도 근원 측의 부위)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해도 된다. 부언하면, 지지축(920)의 자유단 측이 아닌, 고정단 측에서 위치 결정을 해도 된다. 또한, 지지축을 길게 해서, 지지축의 선단부와 전달 기어(910)가 위치하는 개소 사이에서 위치 결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의 위치 결정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화상 형성 장치(10)에 장착되는 다른 부재에 관해서도,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이용하여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위치 결정을 할 때, 지지축(920)을 이용하지 않고, 지지축(920) 이외의 다른 부분을 오목부(685)에 넣음으로써,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 비해서, 전달 기어(910)와 제 1 기어(81) 사이에 개재하는 부품의 점수가 많아진다. 그리고 이 경우,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저하하고, 전달 기어(910)로부터 제 1 기어(81)가 이간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전달 기어(910)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920)이 이용되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달 기어(910)와 제 1 기어(81)의 이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달 기어(910)를 피복하는 커버(930)에는, 평판 형상의 돌기(950)가 지지축(92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에 장착되면, 돌기(950)는 오목부(685)의 거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만약 지지축(920)이 파손 등으로 기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 돌기(950)가 토너 카트리지(68Y)를 밑에서 지지함으로써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위치 결정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돌기(950)가 없는 구성에 비해서, 전달 기어(910)로부터 제 1 기어(81)에 보다 확실하게 구동을 전달함과 함께 토너 배출구(405A)로부터 토너가 새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돌기(950)와 토너 카트리지(68Y)의 저판(405) 사이에, 예를 들면 토너 카트리지(68Y)를 지지하는 지지판(도시 생략)을 토너 카트리지(68Y)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지지판 아래에 돌기(950)를 위치하도록 구성시켜도 된다. 이 경우이더라도, 지지축(920)이 파손 등으로 기능하지 않을 경우에는, 지지판을 통해서 돌기(950)가 토너 카트리지(68Y)를 밑에서 지지함으로써, 전달 기어(910)에 대한 제 1 기어(81)의 위치 결정을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달 기어(910)는, 도 14에 있어서의 화살표(14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토너 카트리지(68Y)에 설치된 제 1 기어(81)가, 도 16에 있어서의 화살표(16A)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경우, 토너 카트리지(68Y)를 장치 본체(10A)에 대하여 장착할 때의 장착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토너 카트리지(68Y)에 대하여 작용하게 된다. 부언하면, 장치 본체(10A)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토너 카트리지(68Y)에 대하여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달 기어(910)로부터의 제 1 기어(81)의 이간이 발생하기 더욱 어려워진다.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의 화살표 XVII방향으로부터 제 1 기어(81) 및 전달 기어(910)를 바라본 경우의 도면이다.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달 기어(910)가, 도 17의 (A)에 있어서의 화살표(17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수반하여, 토너 카트리지(68Y)에 설치된 제 1 기어(81)가 도 17에 있어서의 화살표(17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경우, 전달 기어(910)로부터 제 1 기어(81)에 구동력이 전달될 때, 제 1 기어(81)에 설치된 톱니에 대하여, 도면 중 화살표(17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장치 본체(10A)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토너 카트리지(68Y)에 대하여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기어(910) 중 도면 중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제 1 기어(81)를 접촉시킬 수도 있다. 그런데 이 경우, 토너 카트리지(68Y)가 장치 본체(10A)로부터 제거될 때의 제거 방향(도면 중 화살표(17E)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는 하중이 제 1 기어(81)에 대하여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제 1 기어(81)와 전달 기어(910)의 이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기어(910) 중 도면 중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대하여 제 1 기어(81)를 접촉시켜, 전달 기어(910)와 제 1 기어(81)의 이간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부언하면, 전달 기어(910) 중 장치 본체(10A)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부위에 대하여 제 1 기어(81)를 접촉시켜, 전달 기어(910)와 제 1 기어(81)의 이간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10 : 화상 형성 장치, 10A : 장치 본체, 16Y, 16M, 16C, 16K : 화상 형성 유닛, 68Y, 68M, 68C, 68K : 토너 카트리지, 81 : 제 1 기어, 400 : 토너 수용부, 402A : 외주연, 405A : 토너 배출구, 500 : 덮개 부재, 530 : 관통 구멍, 540 : 필터, 550 : 돌출부, 600 : 제 1 반송 부재, 610 : 회전축, 613 : 지지 돌기, 620 : 시트 부재, 621 : 제 1 측연, 622 : 제 2 측연, 627 : 슬릿, 685 : 오목부, 700 : 제 2 반송 부재, 720 : 시트 부재, 910 : 전달 기어

Claims (8)

  1.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고, 분체(粉體)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상기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부의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 부재는, 단변 방향의 일단 측이 상기 회전축에 배치됨과 함께 타단 측이 자유단이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수용 용기 본체와 접촉해서 휘어지는 가요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부재가 상기 구멍부에 대향하도록 배치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중,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통과 방향의 적어도 상류 측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부재의 위치를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외부로부터 확인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반송 부재의 일단 측에 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함과 함께, 타단 측에 상기 구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 수용 용기.
  6.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화상 형성부에서 이용되는 분체를 수용하는 분체 수용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분체 수용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고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가요성 부재를 이용하여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용기의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가 대향하도록 상기 반송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를 대향시켜서, 상기 분체 수용 용기의 내부로의 분체의 충전을 행하고, 상기 분체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중,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통과 방향의 적어도 상류 측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8. 외부에 통하는 구멍부를 구비하여 분체를 수용하는 수용 용기 본체와, 상기 구멍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에 수용된 분체의 통과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와, 가요성 부재를 이용하여 분체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구비한 분체 수용 용기에 분체를 충전하고, 상기 구멍부에 상기 가요성 부재를 대향시키고, 상기 수용 용기 본체의 내면 중, 상기 구멍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요성 부재의 통과 방향의 적어도 상류 측에는, 상기 내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기 가요성 부재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30006337A 2012-03-27 2013-01-21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659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70971 2012-03-27
JP2012070971A JP4998651B1 (ja) 2012-03-27 2012-03-27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0969A JP5067513B1 (ja) 2012-03-27 2012-03-27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0973A JP5126438B1 (ja) 2012-03-27 2012-03-27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2-070969 2012-03-27
JPJP-P-2012-070973 2012-03-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78A Division KR101446557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163464A Division KR101444868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001A KR20130110001A (ko) 2013-10-08
KR101659842B1 true KR101659842B1 (ko) 2016-09-26

Family

ID=492352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337A KR101659842B1 (ko) 2012-03-27 2013-01-21 분체 수용 용기,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30163478A KR101446557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163464A KR101444868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478A KR101446557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163464A KR101444868B1 (ko) 2012-03-27 2013-12-26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042791B2 (ko)
KR (3) KR101659842B1 (ko)
CN (3) CN103645620B (ko)
AU (3) AU201320019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425B2 (ja) * 2012-07-31 2014-11-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88186B2 (ja) * 2012-08-27 2016-03-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現像装置
JP6512864B2 (ja) * 2015-02-27 2019-05-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18013755A (ja) * 2016-07-07 2018-01-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回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処理装置
KR102318403B1 (ko) 2019-07-01 2021-10-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두께 모니터링이 가능한 파릴렌층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15407630A (zh) * 2021-05-26 2022-11-29 北京新晨办公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墨粉供应容器的卡爪装置、转动盘和安装输送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909A (ja) * 2000-11-01 2002-05-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0395A (ja) 2003-08-25 2005-03-17 Murata Mach Ltd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80279595A1 (en) 2007-05-11 2008-11-13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3278B2 (ja) 1990-06-29 1999-03-03 京セラ株式会社 乾式現像装置
TW240299B (ko) * 1992-12-30 1995-02-11 Ricoh Kk
JPH06324568A (ja) 1993-05-17 1994-11-25 Fuji Xerox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943943A (ja) 1995-07-26 1997-02-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384913B2 (ja) 1995-07-31 2003-03-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トナー補給装置
JP3527384B2 (ja) 1996-06-10 2004-05-17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容器
JP3578889B2 (ja) 1996-06-10 2004-10-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11223993A (ja) 1998-02-09 1999-08-17 Ricoh Co Ltd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H11282243A (ja) 1998-03-30 1999-10-1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768681B2 (ja) * 1998-05-26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543302B2 (ja) 2000-06-26 2004-07-14 京セラ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搬送手段
EP1233310B1 (en) * 2001-02-19 2009-12-23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container and toner supply system
JP2003156927A (ja) 2001-11-21 2003-05-30 Canon Inc トナー供給容器及びトナー攪拌翼
US7054582B2 (en) * 2004-06-28 2006-05-30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Toner cartridge
JP2006064794A (ja) 2004-08-25 2006-03-09 Kyocera Mita Corp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トナー搬送手段
JP2006126570A (ja) 2004-10-29 2006-05-18 Kyocera Mita Corp トナー供給装置
JP4118277B2 (ja) 2005-01-24 2008-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
JP2006276810A (ja) 2005-03-29 2006-10-12 Fuji Xerox Co Ltd 粉体搬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粉体処理装置
JP2007199527A (ja) 2006-01-27 2007-08-09 Kyocera Mita Corp 撹拌搬送体及びトナー供給容器
JP2007298908A (ja) * 2006-05-08 2007-11-15 Fuji Xerox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4479693B2 (ja) 2006-06-02 2010-06-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供給器、粉体供給器の製造方法、及び粉体供給器の再生方法
JP2008112076A (ja) 2006-10-31 2008-05-15 Fuji Xerox Co Ltd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167688B2 (ja) 2007-05-02 2013-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9098547A (ja) 2007-10-19 2009-05-07 Fuji Xerox Co Ltd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70723B2 (ja) 2008-03-13 2014-04-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及びその供給装置への現像剤の充填方法並びにその供給装置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10096991A (ja) 2008-10-16 2010-04-30 Fuji Xerox Co Ltd 粉体供給部材、粉体供給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5463719B2 (ja) 2009-04-16 2014-04-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412421B1 (ja) * 2009-06-11 2010-0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5179B2 (ja) 2009-06-23 2011-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56047B2 (ja) 2010-03-09 2015-01-21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215434A (ja) * 2010-03-31 2011-10-27 Canon Inc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5456B2 (ja) 2010-08-05 2012-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115670B1 (ja) 2012-05-29 2013-0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909A (ja) * 2000-11-01 2002-05-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070395A (ja) 2003-08-25 2005-03-17 Murata Mach Ltd 現像器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80279595A1 (en) 2007-05-11 2008-11-13 Fuji Xerox Co., Ltd. Toner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05651A1 (en) 2014-04-17
US9042791B2 (en) 2015-05-26
KR101446557B1 (ko) 2014-10-07
AU2014203360A1 (en) 2014-07-10
KR20130110001A (ko) 2013-10-08
AU2014203358B2 (en) 2015-05-28
CN103645619B (zh) 2016-02-24
AU2013200196A1 (en) 2013-10-17
US20140105652A1 (en) 2014-04-17
US8918034B2 (en) 2014-12-23
AU2014203360B2 (en) 2015-05-07
CN103365159B (zh) 2019-03-01
KR20140009957A (ko) 2014-01-23
AU2014203358A1 (en) 2014-07-10
US8918033B2 (en) 2014-12-23
CN103645619A (zh) 2014-03-19
US20130259537A1 (en) 2013-10-03
KR101444868B1 (ko) 2014-10-30
CN103365159A (zh) 2013-10-23
AU2013200196B2 (en) 2014-03-27
KR20140009956A (ko) 2014-01-23
CN103645620A (zh) 2014-03-19
CN103645620B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254B1 (ko)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444868B1 (ko) 분체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US9471009B2 (en) Developer container, developer replenish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70227922A1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26438B1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98651B1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67513B1 (ja) 粉体収容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5693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365160B (zh) 粉末收容容器和图像形成装置
JP2018077454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858243B2 (ja) 現像器及びそれを利用した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2306425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359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537634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8613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