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136B1 -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136B1
KR101658136B1 KR1020140186916A KR20140186916A KR101658136B1 KR 101658136 B1 KR101658136 B1 KR 101658136B1 KR 1020140186916 A KR1020140186916 A KR 1020140186916A KR 20140186916 A KR20140186916 A KR 20140186916A KR 101658136 B1 KR101658136 B1 KR 101658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s
metal sheet
terminals
pitch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100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마사야 무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1Nonplanar uniform thickness or nonlinear uniform diameter [e.g., L-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 단자(11-16) 제조 방법은 (a) 복수의 프리단자(11A-16A) 및 서로 인접한 프리 단자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10)를 포함하는 단일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100x)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리단자 각각은 그 일단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경가능한 컨택트부(11a-16a) 및 그 타단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제1 영역(11d-16d)을 가지고, 인접한 컨택트부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상이한 것인, 상기 준비하는 단계; (b) 길이 방향으로 뻗은 선(11c-16c)을 중심으로 각각의 제1 영역을 접어서 사전 결정된 두께를 가진 수 탭(11b-16b)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금속 시트(100x)에서 캐리어(10)를 제거하여 프리단자를 단자(11-16)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CONNECTOR TERMINALS}
본 발명은, 예컨대, 자동차에 장착되는 장치들 간에 전기적 접속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이 적용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단자들이 일단부에 컨택트 부를 가지고, 타단부에 수(male) 탭을 가지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 커넥터 단자의 제조 공정에서, 단자들은 이러한 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 쌍의 다이(die) 내에 일렬로 놓여진 다음, 다이캐스팅(die-casting) 함으로써 제조된다.
하나의 물체로 압착될(compressed) 릴레이 단자는 얇은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며, 수 탭이 접혀진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수 탭은 증가된 두께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수 탭은 설계된 두께를 가지고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일본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3156761호에 제안된 전기 커넥터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500)는 전기 절연성 본체(501), 본체(501)에 고정된 복수의 단자(502), 본체(501)가 고정될 고정 유닛(503), 및 본체(501)를 덮는 하우징(504)을 포함한다.
본체(501)에는 단자(502)가 삽입되는 복수의 홀(51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502)는 컨택트 부(520), 단자(502)가 홀(510) 내에서 고정되는 중앙 부(521), 및 후방부(522)를 포함한다. 후방부(522)는 경사부(523), 및 단자(502)가 물체에 납땜되는 접속부(524)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자(502)가 경사부(523)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접속부(524) 간의 피치(pitch)는 인접한 컨택트 부(520) 간의 피치보다 크다.
도 15는 일본 실용신안 출원공개번호 제H03(1991)-116572호에 제안된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이 전기 커넥터는 암(female) 커넥터, 및 암 커넥터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수 커넥터를 포함한다.
도 16은 수 커넥터(600)의 일부분의 투시도이고, 도 17은 수 커넥터(600)의 단면도이다.
도 15-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600)에는 그 근단(600a)에 복수의 스탠딩 벽(600b 및 600c)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케이블(620)의 탈피된 부분(620a)이 압착되어 고정된다. 수 커넥터(600)는 직방형 단면을 가진 가이드(600d)를 포함한다. 수 커넥터(600)에는 그 전단부에 컨택트 부(60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택트 부(601)는 두 층으로 접혀진 평평한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이 두 층의 단부(601a)들은 서로 나란하다.
릴레이 커넥터 단자의 일부인 한 단자에서, 컨택트 부에 필수적인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컨택트부를 얇은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대로, 수 탭이 사전 결정된 두께 및 필수적인 강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는 수 탭을 두꺼운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단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금속 시트로 이루어지거나, 감소된 두께를 가지도록 프레싱된 컨택트 부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로세스들은 전자에서는 제조 비용의 증가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 및 후자에서는 프레싱에 의한 금속 시트의 경화로 인해 컨택트 부의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또한, 후자는 금속 시트가 더 얇은 두께를 가진다면 컨택트 부를 만드는 금속 시트가 더 넓어져야 하기 때문에, 금속 시트의 폭을 설계된 폭으로 제어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반드시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물체로 압착되는 릴레이 단자가 금속 시트를 접어서 사전 결정된 증가된 두께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수 탭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경우에, 금속 시트를 구부리는 단계는 수 탭 제조 공정에서 여려 번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어렵다.
상기 언급된 문제들은 도 14-도 14에 도시된 상술된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서는 해소될 수 없다.
종래의 전기 커넥터에서의 상기 언급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에서의 복잡함을 피할 수 있고, 컨택트 부 및 수 탭에 요구되는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단자 제조용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상기 언급된 방법은 커넥터 단자를 제조하기 위한 금속 시트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서,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이 제공되는데, 본 방법은 (a) 복수의 프리단자 및 서로 인접한 프리 단자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포함하는 단일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리단자 각각은 그 일단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경가능한 컨택트부 및 그 타단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제1 영역을 가지고, 인접한 컨택트부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상이한 것인, 상기 준비하는 단계; (b) 길이 방향으로 뻗은 선을 중심으로 각각의 제1 영역을 접어서 사전 결정된 두께를 가진 수 탭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금속 시트에서 캐리어를 제거하여 프리단자를 단자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된 방법에 따라, 각각의 최종 단자들은 충분한 탄성을 가진 컨택트부 및 사전 결정된 두께 및 필수 강성을 가진 수 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택트부 및 수 탭은 요구되는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컨택트부의 두께를 줄이는 단계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속 시트의 두께를 줄이는 단계에서 금속 시트의 경화에 의해 탄성이 저하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으며, 또한 컨택트부 제조 공정에서의 복잡도가 회피될 수 있음이 보장된다.
서로 인접하게 놓인 제1 영역이 단계 (b)에서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예컨대, 제1 영역은 동시에 접혀진다.
제1 영역을 접는 단계는 인접한 제1 영역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커넥터 단자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보장한다.
서로 인접하게 놓인 제1 영역이 단계 (b)에서 공통의 방향으로 접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예컨대, 제1 영역은 동시에 접혀진다.
각각의 제1 영역은 단계 (b)에서 금속 시트의 대향 부분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접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a)는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프레싱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가 제공되는데, 이 금속 시트는 평행하게 놓인 복수의 프리단자, 및 서로 인접한 프리단자를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리단자는 일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컨택트부 및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을 가지고, 인접한 컨택트부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상이하고, N번째 제1 영역과 (N+1)번째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N+2)번째 제1 영역과 (N+3)번째 제1 영역 간의 피치는 서로 동등하고, 여기서 N은 정수 1, 5, 9, 13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가 제공되는데, 이 금속 시트는 평행하게 놓인 복수의 프리단자, 및 서로 인접한 프리단자를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프리단자는 일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컨택트부 및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 영역을 가지고, 인접한 컨택트부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상이하고, 서로 인접하게 놓인 제1 영역 간의 피치는 일정하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직방형으로 설계된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들이 아래에 서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잡한 제조 공정 없이 제조가능하며, 둘 다 요구되는 성능을 제공하는 컨택트부 및 수 탭을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금속 시트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살표(A)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금속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B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4는 홀더에 삽입된 금속 시트의 투시도이다.
도 5는 홀도에 삽입된 금속 시트의 투시도이다.
도 6은 최종 커넥터 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단자가 하우징되는 릴레이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C)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도 7에 도시된 릴레이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D)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도 7에 도시된 릴레이 커넥터의 후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E)가 가리키는 방향에서 본, 도 7에 도시된 릴레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F-F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된 금속 시트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G-G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수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수 커넥터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X-X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 및 2는 평행하게 놓인 복수의 프리 단자(pre-terminal)(11A-16A), 및 서로 인접한 프리단자를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10)(도 2에서는 사선부로 도시됨)를 포함하는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100x)를 도시한다.
금속 시트(100x)는 평평한 금속 시트를 프레싱하여 제조된다. 각각의 프리단자(11A-16A)는 일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컨택트부(11a-16a),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정방형 제1 영역(11d-16d)(도 2에서는 파선으로 도시됨), 및 컨택트부(11a-16a)와 제1 영역(11d-16d)을 연결하는 접속부(11f-16f)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접속부(11f-16f)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16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거나 및/또는 수직으로 뻗도록 설계된다.
접속부(11f-16f)가 컨택트부(11a-16a)와 제1 영역(11d-16d)을 연결하기 때문에,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와 인접한 제1 영역(11d-16d) 사이의 피치는 서로 동등하지 않다.
제1 영역(11d-16d)은 공통의 폭(Wa)을 가지도록 설계된다(도 3 참조).
아래에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16A)는 금속 시트(100x)로부터 캐리어(10)를 제거하고, 제1 영역(11d-16d)을 접어서 수 탭(11b-16b)을 형성함으로써, 단자(11-16)가 된다(도 1 참조).
금속 시트(100x)에서,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11d-16d) 간의 피치보다 작게 설계된다. 이러한 피치간의 관계가 앞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회로의 크기가 큰 경우에,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11d-16d) 간의 피치보다 클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수 탭(11b-16b)이 크기가 작게 설계된 경우에,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11d-16d) 간의 피치보다 클 수도 있다.
단자(11-16)의 수 탭(11b-16b)은 제1 영역(11d-16d)의 길이 방향(1L)과 평행하게 뻗은 라인(11c-16c)을 중심으로 제1 영역(11d-16d)을 2층 구조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놓인 프리단자(11 및 12)의 제1 영역(11d 및 12d)은 반대 방향으로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의 제1 영역(11d)의 우측 절반은 화살표(41)가 가리치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1d)의 좌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최종적인 단자(11)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프리단자(12A)의 제1 영역(12d)의 좌측 절반은 화살표(42)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2d)의 우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최종적인 단자(12)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서로 인접하게 놓인 프리단자(13 및 14)의 제1 영역(13d 및 14d)은 제1 영역(11d 및 12d)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게 놓인 프리단자(15 및 16)의 제1 영역(15d 및 16d)은 제1 영역(11d 및 12d)과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1 영역(11d 및 12d) 쌍, 제1 영역(13d 및 14d) 쌍, 및 제1 영역(15d 및 16d) 쌍은 동시에 또는 하나씩 접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영역(11d-16d)은 금속 시트의 대향 부분 사이에 갭(1S)이 형성되도록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최종적인 단자(11-16) 내의 제1 영역(11d-16d)의 좌측 절반부와 우측 절반부 사이에 갭(1S)이 형성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11d-16d) 간의 피치보다 작다. 또한, 제1 영역(11d 및 12d) 간의 피치(P1), 제1 영역(13d 및 14d) 간의 피치(P2), 및 제1 영역(15d 및 16d) 간의 피치(P3)는 모두 서로 동일하다. 이는 N번째 제1 영역과 (N+1)번째 제1 영역 간의 피치와, (N+2)번째 제1 영역과 (N+3)번째 제1 영역 간의 피치가 서로 동등하며, 여기서 N은 정수 1+4M(M은 0 또는 양의 정수 1, 2, 3, 4, …), 즉, N은 1, 5, 9, 13 …을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제1 영역(12d 및 13d) 간의 피치(P4)와 제1 영역(14d 및 15d) 간의 피치(P5)는 피치(P1-P3)와 같을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캐리어(10)를 포함하는 금속 시트(100x)는 트레이 또는 홀더(30)로 삽입된다. 그 다음, 캐리어(10)는 금속 시트(100x)로부터 모두 절단된다. 그 결과,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11-16)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홀더(30)에는 캐리어(10)를 절단하기 위해 펀치 또는 다이가 삽입되어지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16A)의 컨택트부(11a-16a) 및 수 탭(11b-16b)은 홀더(30)를 지나 뻗는다. 대안으로서, 프리단자(11A-16A)의 컨택트부(11a-16a) 및 수 탭(11b-16b)은 그것들을 짧게 하거나, 또는 홀더(30)를 크게 함으로써 홀더(30)를 지나서 뻗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도 11은 단자(11-16)가 그 안에 하우징되어 있는 릴레이 커넥터(50)를 도시한다. 모두 홀더(30)로 삽입된 단자(11-16)는 릴레이 커넥터(50)의 일부분인 전기 절연성 하우징(51) 내에 수용된다. 단자(11-16)의 수 탭(11b-16b)은 하우징(51)의 전방 개구(52) 내로 뻗어 있고(도 7 및 도 10 참조), 단자(11-16)의 컨택트부(11a-16a)는 하우징(51)의 후방 개구(53) 내로 뻗어 있다(도 7 및 10 참조).
도 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60)는 후방 개구(53) 내에 끼워맞춤되고, 예컨대, 와이어 하네스에 접속된 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는 전방 개구(52) 내로 끼워맞춤된다. 컨택트부(11a-16a)는 각각 후방 개구(53) 내에 끼워맞춤된 회로(60)의 컨택트부(61a-66a)(도 10 참조)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단자(11-16)의 컨택트부(11a-16a)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고, 수 탭(11b-16b)은 사전 결정된 두께를 가져서 강화된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이는 단자(11-16)의 컨택트부(11a-16a)와 수 탭(11b-16b)이 필수적인 성능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또한, 더 이상 컨택트부(11a-16a)의 두께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처리된 금속 시트의 경화로 인해 발생되는 유연성의 감소를 피함은 물론, 컨택트부(11a-16a)를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복잡도를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놓여진 프리단자(11A-16A)의 제1 영역(11d 및 12d)은 반대 방향으로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의 제1 영역(11d)의 우측 절반은 화살표(41)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1d)의 좌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최종 단자(11)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프리단자(12A)의 제1 영역(12d)의 좌측 절반은 화살표(42)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1 영역(12d)의 우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최종 단자(12)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프리단자(13 및 14)의 제1 영역(13d 및 14d) 및 프리단자(15 및 16)의 제1 영역(15d 및 16d)는 제1 영역(11d 및 12d)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1d 및 12d) 간의 피치(P1), 제1 영역(13d 및 14d) 간의 피치(P2), 및 제1 영역(15d 및 16d) 간의 피치(P3)는 서로 동등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 P2 = P3)의 합과 동등한 길이 및 제1 영역(11d)(또는 12d-16d)의 폭(Wa)을 가지는 다이(1M)(도 3 참조)가 제1 영역(11d 및 12d), 제1 영역(13d 및 14d), 제1 영역(15d 및 16d)을 접거나 구부리기 위해 공통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단자(11-16)를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단순함을 보장한다.
(제2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인 금속 시트(200x)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금속 시트(200x)는 제1 영역(11d-16d)을 대신하여 제1 영역(21d-26d)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제1 영역(21d-26d)은 제1 영역(21d-26d)의 길이방향(1L)으로 뻗은 선(21c-26c)을 중심으로 접혀져, 수 탭(21b-26b)을 형성한다. 제1 영역(21d-26d)은 제1 실시예에서 제1 영역(11d-16d)와 달리 동일한 방식으로 접혀진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단자(11A)의 제1 영역(21d)의 우측 절반은 화살표(41)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1d)의 좌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최종 단자(11)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이와 유사하게, 프리단자(12A-16A)의 제1 영역(22d-26d) 각각의 우측 절반은 화살표(41)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제1 영역(22d-26d) 각각의 좌측 절반 위로 접혀진다. 그러므로, 최종 단자(12-16)는 2층 또는 접혀진 구조를 가진다.
제1 영역(21d-26d)은 동시에 또는 하나씩 접혀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하게 놓인 제1 영역(21d-26d) 간의 피치(P6)는 일정하다.
단자(11-16)를 제조하는 공정은 컨택트부(11a-16a)의 두께를 줄이는 단계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금속 시트의 두께를 줄이는 단계에서 금속 시트의 경화에 기인하는 유연성 감소를 회피할 수 있음이 보장된다. 금속 시트(200x)는 금속 시트(200x)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더 두껍게 설계된 때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금속 시트(200x)의 폭을 제어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단자(11-16)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복잡도를 피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1d-26d)들이 화살표(41)가 가리키는 동일한 방향으로 접혀져 수 탭(21b-26b)을 형성한다. 따라서, 다이(2M)는 각각의 수 탭(21b-26b)에 대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는 제1 영역(21d-26d)이 접혀져 수 탭(21b-26b)을 형성하는 정밀도의 향상을 보장한다.
단자(11-16) 및 그 제조 방법은 단지 본 발명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언급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단자는, 예컨대, 자동차 내에 장착되는 장치 내에서 서로 전기 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채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커넥터 단자(11-16) 제조 방법으로서,
    (a) 복수의 프리단자(11A-16A), 및 서로 인접한 프리단자(11A-16A)를 연결하는 복수의 캐리어(10)를 포함하는 단일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100x, 200x)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리단자(11A-16A) 각각은 일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컨택트부(11a-16a), 및 타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1 영역(11d-16d)을 구비하고 있고, 인접한 컨택트부(11a-16a) 간의 피치는 인접한 제1 영역(11d-16d) 간의 피치와 동등하지 않은 것인, 상기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영역(11d-16d) 각각을 길이 방향으로 뻗은 선(11c-16c)을 중심으로 접어 사전 결정된 두께를 가진 수 탭(11b-16b)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금속 시트(100x, 200x)로부터 상기 캐리어(10)를 제거하여 상기 프리단자(11A-16A)를 단자(11-16)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a)는 전기 도전성 금속 시트를 프레싱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단계(b)에서 서로 인접하게 놓인 상기 제1 영역(11d-16d)은 반대 반향(41, 42)으로 동시에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11-16)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11d-16d) 각각은 상기 단계(b)에서 상기 금속 시트(100x, 200x)의 대향 부분 사이에 갭(1S)이 형성되도록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11-16)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86916A 2013-12-26 2014-12-23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 KR101658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69383A JP5754501B2 (ja) 2013-12-26 2013-12-26 中継コネクタ用端子製造方法
JPJP-P-2013-269383 2013-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100A KR20150076100A (ko) 2015-07-06
KR101658136B1 true KR101658136B1 (ko) 2016-09-20

Family

ID=53372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916A KR101658136B1 (ko) 2013-12-26 2014-12-23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48721B2 (ko)
JP (1) JP5754501B2 (ko)
KR (1) KR101658136B1 (ko)
CN (1) CN104752939B (ko)
DE (1) DE102014225823A1 (ko)
FR (1) FR30160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44118A1 (en) * 2015-05-19 2016-11-24 Ching-Ho (NMI) Hsieh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It
JP7272011B2 (ja) * 2019-02-27 202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CN115135702A (zh) 2020-02-21 2022-09-30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聚酰亚胺薄膜的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681B2 (ja) * 1993-08-18 1998-03-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とその端子
JP2003168537A (ja) * 2001-12-03 2003-06-13 Sumitomo Wiring Syst Ltd 雄タブの製造方法
JP3823811B2 (ja) * 2001-11-22 2006-09-20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タブ
JP2009158169A (ja) * 2007-12-25 2009-07-16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用リードブロッ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3906A (en) * 1985-11-12 1988-11-15 Amp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a customizable electrical article
JPH0622111B2 (ja) * 1989-08-29 1994-03-23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基板装着用電球及びその製造方法
JP3039663B2 (ja) 1989-09-29 2000-05-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H03156761A (ja) 1989-11-14 1991-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記録信号再生装置
JP3156761B2 (ja) 1997-06-04 2001-04-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ノンブロッキングキャッシュ対応のコードスケジューリング方式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JP3440828B2 (ja) * 1998-06-15 2003-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3287810B2 (ja) 1999-04-28 2002-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2006260978A (ja) * 2005-03-17 2006-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連鎖端子
JP5087485B2 (ja) * 2008-07-15 2012-12-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4681B2 (ja) * 1993-08-18 1998-03-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とその端子
JP3823811B2 (ja) * 2001-11-22 2006-09-20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タブ
JP2003168537A (ja) * 2001-12-03 2003-06-13 Sumitomo Wiring Syst Ltd 雄タブの製造方法
JP2009158169A (ja) * 2007-12-25 2009-07-16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用リードブロ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8273A1 (en) 2015-07-02
JP2015125895A (ja) 2015-07-06
CN104752939A (zh) 2015-07-01
CN104752939B (zh) 2017-06-09
KR20150076100A (ko) 2015-07-06
US9748721B2 (en) 2017-08-29
JP5754501B2 (ja) 2015-07-29
DE102014225823A1 (de) 2015-07-02
FR3016089A1 (fr) 2015-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8017043B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senanschlussstückes
EP2883287B1 (de) System aus einem steckverbinder und kontaktelementen
EP2906028B1 (en) Bused electrical center for electric or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658136B1 (ko) 커넥터 단자 제조 방법
US20140170912A1 (en) Female terminal
DE102017219214A1 (de) Verzweigungsaufbau und kabelbaum
EP0694927B1 (en) Flat cable with conductor ends connectable to connector
US9840211B2 (en) Wire harness
EP3671975B1 (de) Kabelsteckverbinderanordnung, kabelsteckverbinder und pressmittel
DE102019130418A1 (de) Anschluss
JP6141104B2 (ja) 一次ロックランスを備えたコネクタ構成部分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該方法により製造可能なコネクタ構成部分
US8272901B2 (en) Crimp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DE19828983A1 (de) Elektrisches Anschlußteil
EP2696444A1 (en) Joint connector
US12014847B2 (en) Cable for connecting system components
WO2016104129A1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05038761A (ja) 雌型端子
JP6528808B2 (ja) 端子および端子を製造する方法
JP6669137B2 (ja) 端子
JP4746519B2 (ja) 連続端子、連続端子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3813589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体
JP405738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と接続端子の接続方法、接続部及び接続用治具
JP5934832B1 (ja) ケーブル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2001298832A (ja) 電線の保持構造
KR101468576B1 (ko) 초고속 신호 전송용 리셉터클 컨넥터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