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001B1 - 볼티지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볼티지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001B1
KR101653001B1 KR1020090128955A KR20090128955A KR101653001B1 KR 101653001 B1 KR101653001 B1 KR 101653001B1 KR 1020090128955 A KR1020090128955 A KR 1020090128955A KR 20090128955 A KR20090128955 A KR 20090128955A KR 101653001 B1 KR101653001 B1 KR 101653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circuit
become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398A (ko
Inventor
다카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세미컨덕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5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과제)
안정적으로 회로 동작하면서 언더 슛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되면,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지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출력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출력 전류가 과전류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하고, 또한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를 기능 정지시킨다.
출력 트랜지스터, 분압 회로, 증폭기, 언더 슛 개선 회로, 콤퍼레이터, 인버터

Description

볼티지 레귤레이터{VOLTAGE REGULATOR}
본 발명은, 출력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동작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볼티지 레귤레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는, 종래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지면, 분압 회로 (92) 의 분압 전압 (VFB) 도 높아진다. 이 때, 증폭기 (94)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높아지면, 제어 신호 (VC) 도 높아진다. 그러면, 출력 트랜지스터 (91) 의 온 저항이 커지고,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진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은 일정해진다.
또,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지면, 분압 회로 (92) 의 분압 전압 (VFB) 도 낮아진다. 이 때, 증폭기 (94)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낮아지면, 제어 신호 (VC) 도 낮아진다. 그러면, 출력 트랜지스터 (91) 의 온 저항이 작아지고,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진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은 일정해진다.
여기서, 출력 전압 (VOUT) 이 더욱 낮아져 소정 전압보다 낮아진 것으로 가정한다. 즉,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전류 가산 회로 (95) 는, 증폭기 (94) 의 동작 전류가 많아지도록 증폭기 (94) 를 제어한다. 따라서, 증폭기 (94) 의 응답 특성이 양호해지고, 언더 슛이 빠르게 개선되어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언더 슛 특성이 양호해진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5-115659 호
여기서, 출력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출력 전류를 제한하여 출력 전압 (VOUT) 을 낮게 하는 보호 기능으로서의 출력 전류 제한 회로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종래의 기술에서는, 보호 기능으로서의 출력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된 것으로 하여, 전류 가산 회로 (95) 가 출력 전압 (VOUT) 을 높게 한다. 즉, 보호 기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회로 동작이 불안정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안정적으로 회로 동작하면서 언더 슛 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력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동작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전압이 언더 슛되면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동작하는 언더 슛 개선 회로와, 출력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과전류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를 기능 정지시키는 출력 전류 제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력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는 언더 슛 개선 회로를 기능 정지시키므로, 언더 슛 개선 회로는 출력 전압을 높게 하지 않고, 보호 기능으로서의 출력 전류 제한 회로에 의해 출력 전압은 낮아진다. 따라서, 과전류시에,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위한 보호 기능이 작용하여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회로 동작이 안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볼티지 레귤레이터는, 출력 트랜지스터 (10), 분압 회로 (20), 증폭기 (30),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및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를 구비한다.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오프셋 전압 생성 회로 (41), 콤퍼레이터 (42), NMOS 트랜지스터 (43∼44) 및 인버터 (45) 를 갖는다.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PMOS 트랜지스터 (51∼52), 저항 (53∼54) 및 NMOS 트랜지스터 (55) 를 갖는다.
출력 트랜지스터 (10) 는, 게이트가 증폭기 (30) 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분압 회로 (20) 는,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 사이에 형성된다. 증폭기 (30) 는, 비반전 입력 단자가 분압 회로 (20) 의 출력 단자 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가 기준 전압 단자에 접속된다.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과 제어 신호 (ΦB) 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제어 신호 (VC) 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VC) 및 제어 신호 (ΦB) 를 제어한다.
콤퍼레이터 (42) 는, 비반전 입력 단자가 기준 전압 단자에 접속되고, 반전 입력 단자가 분압 회로 (20) 의 출력 단자에 오프셋 전압 생성 회로 (41) 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 (43) 는, 게이트가 콤퍼레이터 (42) 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접지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NMOS 트랜지스터 (44) 의 소스에 접속된다. NMOS 트랜지스터 (44) 는, 게이트가 인버터 (45) 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인버터 (45) 는, 입력 단자가 PMOS 트랜지스터 (51) 와 저항 (53) 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PMOS 트랜지스터 (51) 는, 게이트가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소스가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53) 은, PMOS 트랜지스터 (51) 의 드레인과 접지 단자 사이에 형성된다. NMOS 트랜지스터 (55) 는, 게이트가 PMOS 트랜지스터 (51) 와 저항 (53) 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접지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54) 은, 전원 단자와 NMOS 트랜지스터 (55) 의 드레인 사이에 형성된다. PMOS 트랜지스터 (52) 는, 게이트가 저항 (54) 과 NMOS 트랜지스터 (55) 의 드레인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소스가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드레인이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출력 트랜지스터 (10) 는, 출력 전압 (VOUT) 을 출력한다. 분압 회로 (20) 는, 출력 전압 (VOUT) 을 분압하고, 분압 전압 (VFB) 을 출력한다. 증폭기 (30)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한다. 그 후,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높아지면, 증폭기 (30) 는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커져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지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또,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낮아지면, 증폭기 (30) 는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작아져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지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되면,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지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가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하고, 또한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를 기능 정지시킨다.
언더 슛 개선 회로 (40) 에서는, 오프셋 전압 생성 회로 (41) 는, 오프셋 전압 (VO) 을 생성한다. 콤퍼레이터 (42) 는, 분압 전압 (VFB) 에 오프셋 전압 (VO) 을 가산한 전압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 트랜지스터 (43) 가 온되도록 제어 신호 (ΦA) 를 제어한다. 제어 트랜지스터 (43) 는, 제어 신호 (ΦA) 에 의해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가 되면, NMOS 트랜지스터 (44) 및 인버터 (45) 는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를 기능 정지시킨다.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에서는, PMOS 트랜지스터 (51) 는, 출력 전류 (IOUT) 에 기초하여 센스 전류를 흘린다. 센스 전류가 많아지면, 저항 (53) 에 발생되는 전압은 높아지고, 저항 (54) 에 발생되는 전압은 높아진다. 저항 (53) 에 발생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이 되면 (제어 신호 (ΦB) 가 하이가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를 기능 정지시킨다. 또, 저항 (54) 에 발생되는 전압이 소정 전압이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통상적일 때의 동작시 (t0
Figure 112009079366879-pat00001
t < t1),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지면, 분압 전압 (VFB) 도 높아진다. 증폭기 (30)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높아지면, 제어 신호 (VC) 도 높아진다. 그러면,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커지고,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진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은 일정해진다.
또,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지면, 분압 전압 (VFB) 도 낮아진다. 이 때, 증폭기 (30) 는 분압 전압 (VFB) 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 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낮아지면, 제어 신호 (VC) 도 낮아진다. 그러면,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작아져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진다. 따라서, 출력 전압 (VOUT) 은 일정해진다.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될 때 (t1
Figure 112009079366879-pat00002
t
Figure 112009079366879-pat00003
t2),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지면, 분압 전압 (VFB) 도 낮아진다. 콤퍼레이터 (42) 는 분압 전압 (VFB) 에 오프셋 전압 (VO) 을 가산한 전압과 기준 전압 (VREF) 을 비교하여, 분압 전압 (VFB) 에 오프셋 전압 (VO) 을 가산한 전압이 기준 전압 (VREF) 보다 낮아지면, 제어 신호 (ΦA) 는 하이가 된다. 그러면, NMOS 트랜지스터 (43) 가 온된다. 또, 후술하겠지만,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보다 적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44) 도 온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신호 (VC) 는 낮아지고,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작아져 출력 전압 (VOUT) 이 높아진다. 따라서, 언더 슛이 빠르게 개선되고,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언더 슛 특성이 양호해진다. 이 때, 도 3 의 출력 전압 (VOUT) 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에 있어서, 언더 슛 개선 회로 (40) 에 의해, 출력 전압 (VOUT) 은 실선으로 나타낸 파형이 되는데, 언더 슛 개선 회로 (40) 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출력 전압 (VOUT) 은 점선으로 나타낸 파형이 되고,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되고 나서 소정 전압으로 높아질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가 될 때 (t
Figure 112009079366879-pat00004
t3), 급격하게 중 (重) 부하가 되고,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가 된다.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출력 전류 (IOUT) 에 기초하여 PMOS 트랜지스터 (51) 가 센스 전류를 흘리고, 센스 전류가 많아져 저항 (53) 에 발생되는 전압이 높아진다. 이 전압이 NMOS 트랜지스터 (55) 의 임계값 전압보다 높아지면, NMOS 트랜지스터 (55) 가 온되고, NMOS 트랜지스터 (55) 가 전류를 흘려 저항 (54) 에 발생되는 전압이 높아진다. 이 전압이 PMOS 트랜지스터 (52) 의 임계값 전압의 절대값보다 높아지면, PMOS 트 랜지스터 (52) 가 온되고, 제어 전압 (VC) 이 높아지고, 출력 트랜지스터 (10) 의 온 저항이 높아지고, 출력 전압 (VOUT) 이 낮아진다. 이 때, 예를 들어 출력 전압 (VOUT) 은 0 V 가 된다. 따라서, 과전류시에, 볼티지 레귤레이터가 보호된다.
여기서, 저항 (53) 에 발생되는 전압 (제어 신호 (ΦB)) 이 인버터 (45) 의 반전 임계값 전압보다 높아지면, 제어 신호 (ΦB) 는 인버터 (45) 에 대해 하이가 되고, 인버터 (45) 의 출력 전압은 로우가 된다. 그러면, NMOS 트랜지스터 (44) 가 오프되므로,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제어 신호 (VC) 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과전류시에,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기능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면, 출력 전류 (IOUT) 가 과전류 (IL) 가 되면,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는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를 기능 정지시키므로,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출력 전압 (VOUT) 을 높게 하지 않고, 보호 기능으로서의 출력 전류 제한 회로 (50) 에 의해 출력 전압 (VOUT) 은 낮아진다. 따라서, 과전류시에,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위한 보호 기능이 작용하여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회로 동작이 안정된다.
또한, 출력 전압 (VOUT) 이 언더 슛되면, 출력 전압 (VOUT) 이 빠르게 높아지도록,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제어 신호 (VC) 를 낮게 하는데, 도시되지 않았지만,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증폭기 (30) 전류원의 구동 전류를 많게 해도 된다.
또,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분압 전압 (VFB) 을 모니터하고 있는데, 도 시되지 않았지만, 출력 전압 (VOUT) 을 모니터해도 된다. 이 때, 분압 전압 (VFB) 이 출력 전압 (VOUT) 으로 변경된 것에 대응하여 기준 전압이 적절히 설정된다.
또,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하나의 분압비를 갖는 분압 회로 (20) 의 출력 전압 (분압 전압 (VFB)) 을 모니터하고 있는데, 도시되지 않았지만, 새롭게 설정되어 다른 분압비를 갖는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을 모니터해도 된다. 이 때, 분압 회로 (20) 의 출력 전압이 새롭게 설정되는 분압 회로의 출력 전압으로 변경된 것에 대응하여 기준 전압이 적절히 설정된다.
또, 증폭기 (30) 및 언더 슛 개선 회로 (40) 는, 동일한 기준 전압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데,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이한 기준 전압 단자에 접속되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볼티지 레귤레이터의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
도 4 는 종래의 볼티지 레귤레이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출력 트랜지스터
20 : 분압 회로
30 : 증폭기
40 : 언더 슛 개선 회로
42 : 콤퍼레이터
45 : 인버터
50 : 출력 전류 제한 회로

Claims (7)

  1. 출력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동작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로서,
    상기 출력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전압이 언더 슛되면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동작하는 언더 슛 개선 회로와,
    출력 전류가 과전류가 되면,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과전류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를 기능 정지시키는 출력 전류 제한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는, 상기 출력 전압이 언더 슛되면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을 분압하고, 분압 전압을 출력하는 분압 회로와,
    상기 분압 전압과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분압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높아지면 상기 출력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이 커져 상기 출력 전압이 낮아지도 록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고, 상기 분압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낮아지면 상기 온 저항이 작아져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는 증폭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는, 상기 출력 전압이 언더 슛되면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증폭기의 전류원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는,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는 제어 트랜지스터와,
    상기 분압 전압에 기초한 전압과 상기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출력 전압이 언더 슛된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가 온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온 저항이 작아져 상기 출력 전압이 높아지도록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는, 콤퍼레이터와,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과전류가 되면,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를 기능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는,
    상기 콤퍼레이터의 입력 단자에 형성되고, 오프셋 전압을 생성하는 오프셋 전압 생성 회로를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 제한 회로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센스 전류를 흘리는 센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센스 전류가 많아지면 높아지는 제 1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1 저항과,
    상기 제 1 전압이 높아지면 높아지는 제 2 전압을 발생시키는 제 2 저항을 가지며,
    상기 제 1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언더 슛 개선 회로를 기능 정지시키고, 상기 제 2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전류가 상기 과전류보다 많아지지 않도록 상기 제어 단자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20090128955A 2008-12-24 2009-12-22 볼티지 레귤레이터 KR101653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7058 2008-12-24
JP2008327058A JP5078866B2 (ja) 2008-12-24 2008-12-24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98A KR20100075398A (ko) 2010-07-02
KR101653001B1 true KR101653001B1 (ko) 2016-08-31

Family

ID=4226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955A KR101653001B1 (ko) 2008-12-24 2009-12-22 볼티지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02513B2 (ko)
JP (1) JP5078866B2 (ko)
KR (1) KR101653001B1 (ko)
CN (1) CN101782785A (ko)
TW (1) TWI4765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3962B2 (en) * 2007-03-23 2010-05-2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 voltage protection for a thin oxide CMOS device
JP5670773B2 (ja) * 2011-02-01 2015-02-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5806853B2 (ja) * 2011-05-12 2015-11-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6030879B2 (ja) * 2012-07-26 2016-11-24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101369147B1 (ko) * 2012-08-22 2014-03-06 (주)위더스비젼 오피 앰프의 구동 오프셋 제거 장치
JP6261343B2 (ja) * 2013-03-06 2018-01-1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6234823B2 (ja) * 2013-03-06 2017-11-22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3592991B (zh) * 2013-12-01 2016-06-29 西安电子科技大学 用于双极型线性稳压器的功率限制型保护电路
JP6244194B2 (ja) * 2013-12-13 2017-12-06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5322587B (zh) * 2014-07-28 2019-02-26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行动电源装置及其电流输出方法
KR102395466B1 (ko) 2015-07-14 2022-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플 감소 속도를 제고한 레귤레이터 회로
JP2017129929A (ja) * 2016-01-18 2017-07-27 エスアイアイ・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6624979B2 (ja) * 2016-03-15 2019-12-25 エイブリック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CN105700598B (zh) * 2016-03-25 2017-08-18 南京微盟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电压稳压器的折返限流电路
US10614766B2 (en) * 2016-05-19 2020-04-0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applied thereto
JP6763763B2 (ja) 2016-12-22 2020-09-30 新日本無線株式会社 電源回路
US10025334B1 (en) * 2016-12-29 2018-07-17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Reduction of output undershoot in low-current voltage regulators
US10386877B1 (en) 2018-10-14 2019-08-20 Nuvoton Technology Corporation LDO regulator with output-drop recove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985A (ja) 2005-03-31 2005-07-28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及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6004A (en) * 1998-02-17 1999-10-12 Motorola, Inc. Electronic system with regulator, and method
JP4181695B2 (ja) * 1999-07-09 2008-11-19 新日本無線株式会社 レギュレータ回路
US6201375B1 (en) * 2000-04-28 2001-03-13 Burr-Brown Corporation Overvoltage sensing and correction circuitry and method for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US6522111B2 (en) * 2001-01-26 2003-02-18 Linfinity Microelectronics Linear voltage regulator using adaptive biasing
JP4833455B2 (ja) * 2001-08-28 2011-12-07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発生回路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5115659A (ja) * 2003-10-08 2005-04-28 Seiko Instruments Inc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4443301B2 (ja) * 2004-05-17 2010-03-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JP4744945B2 (ja) * 2004-07-27 2011-08-10 ローム株式会社 レギュレータ回路
EP1624357A1 (en) * 2004-08-06 2006-02-08 Nanopower Solution Co., Ltd. Voltage regulator having inverse adaptive control means
JP4546320B2 (ja) * 2005-04-19 2010-09-15 株式会社リコー 定電圧電源回路及び定電圧電源回路の制御方法
US20100219892A1 (en) * 2005-08-17 2010-09-02 Nxp B.V. Current limiter circuit
WO2007100328A1 (en) * 2006-03-02 2007-09-07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for regulating a voltage and circuit therefor
JP2007280025A (ja) * 2006-04-06 2007-10-25 Seiko Epson Corp 電源装置
US7199565B1 (en) * 2006-04-18 2007-04-03 Atmel Corporation Low-dropout voltage regulator with a voltage slew rate efficient transient response boost circuit
US20070290657A1 (en) * 2006-06-14 2007-12-20 David John Cretella Circuit and method for regulating voltage
JP4953246B2 (ja) * 2007-04-27 2012-06-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US7982445B1 (en) * 2007-11-08 2011-07-1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vershoot and undershoot in a switching regulator
US8385029B2 (en) * 2009-09-10 2013-02-26 Polar Semiconductor, Inc.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for a switched-mode power supp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2985A (ja) 2005-03-31 2005-07-28 Ricoh Co Ltd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及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398A (ko) 2010-07-02
JP2010152451A (ja) 2010-07-08
TWI476558B (zh) 2015-03-11
CN101782785A (zh) 2010-07-21
JP5078866B2 (ja) 2012-11-21
US8502513B2 (en) 2013-08-06
US20100156373A1 (en) 2010-06-24
TW201035712A (en)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001B1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US7468877B2 (en) Overcurrent de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US8384367B2 (en) Step-down switching regulator
US10203708B2 (en) Power regulator to control output voltage using feedback
US8754881B2 (en) Operational amplifier and liquid crystal drive device using same, as well as parameter setting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power supply unit
US7576531B2 (en)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device therewith
US20090128106A1 (en) Power supply controller and semiconductor device
US9063558B2 (en) Current limiting circuit configured to limit output current of driver circuit
US6917187B2 (en) Stabilized DC power supply device
JP6261343B2 (ja)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KR20060054156A (ko) 전압 레귤레이터
US20150008871A1 (en) Method of preventing inversion of output current flow in a voltage regulator and related voltage regulator
KR20090082137A (ko) 볼티지 레귤레이터
JP5631918B2 (ja) 過電流保護回路、および、電力供給装置
US10761549B2 (en) Voltage sensing mechanism to minimize short-to-ground current for low drop-out and bypass mode regulators
US9069366B2 (en) Switching regulator
US7457138B2 (en) Single pin multi-function signal detection method and structure therefor
EP18829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 reference
KR20190024832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JP6698631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023191B2 (en) Voltage regulator with adjustable output impedance
US20070273346A1 (en) Voltage regulator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JP5086843B2 (ja) 電源回路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3883108B1 (en) Auxiliary power supply circuit operating within a wide input voltage range
JP2024068841A (ja) リニアレギュレ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