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450B1 -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450B1
KR101646450B1 KR1020150027074A KR20150027074A KR101646450B1 KR 101646450 B1 KR101646450 B1 KR 101646450B1 KR 1020150027074 A KR1020150027074 A KR 1020150027074A KR 20150027074 A KR20150027074 A KR 20150027074A KR 101646450 B1 KR101646450 B1 KR 10164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rance adjusting
housing
adjusting mechanism
clearanc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직
정원진
김우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60K2023/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 케이블의 유격이 자동 조정됨으로써 클러치 케이블의 유격이 과대되거나 과소되는 문제가 해소되도록 한다.
특히, 유격조정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DISTANCE ADJUSTING DEVICE OF CLUTCH CABLE}
본 발명은 클러체 케이블의 유격조정장치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치는 플라이휠과 변속기의 입력축 사이에 설치되어 변속기로 전달되는 기관의 동력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최초 차체를 기동시킬 때 또는 변속기의 기어를 변속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 연결을 끊고, 기관의 동력에 의해 차체를 움직이고자 할 때에는 기관의 동력과 서서히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수동변속기일 경우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기어변속시 기관의 동력이 변속기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야되기 때문에,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엔진의 동력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가 클러치 페달을 밟아서 기관 동력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끊고,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시킨 후, 발을 떼면 클러치 페달은 마스터 실린더에 의한 유압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리턴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 페달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 페달(1)과 트렌스미션 측의 클러치 릴리즈 레버(3)를 연결하는 릴리즈 케이블(5)이 마련되는데, 특히 클러치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릴리즈 케이블(5)의 특성상 소정 길이의 유격이 발생된다. 이러한 릴리즈 케이블의 유격은 클러치 페달(1)을 답입시 조작감이 불량해지며, 차량의 출발 성능도 저하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릴리즈 케이블(5)에는 유격을 조정하기 위한 유격조정장치(7)가 마련되며, 유격조정장치(7)는 실내 측에서 클러치 페달(1)의 페달암(1a)에 체결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유격조정장치(7)는 실내 엔진룸 측으로 깊숙한 부분에 위치됨에 따라 작업자의 유격조정이 매우 어려우며, 특히 유격조정장치(7)를 설치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유격조정장치(7)를 설치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클러치 페달에 연결된 유격조정장치를 통해 릴리즈 케이블의 유격을 자동 조정함과 더불어 간단한 작업 공정으로 유격조정장치를 쉽게 설치하고, 릴리즈 케이블의 유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7-0015150 A (1997.04.28)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클러치 케이블의 유격이 자동 조정됨과 더불어 유격조정장치의 설치를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는 일측단부가 페달에 연결되고, 타측단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며, 페달 답입시 페달과 함께 이동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일측단부에는 하방으로 락킹부가 돌출된 유격조정기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단부와 중앙단부 사이에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만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하우징을 관통한 케이블이 연결되며, 중앙단부의 상면은 락킹부의 접촉시 유격조정기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페달 답입시 하우징과 함께 유격조정기구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가 만입홈에서 이탈되고 페달 복귀시 락킹부가 중앙단부에 접촉되어 페달 유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격조정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제1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제1고정부는 상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정기구의 걸림부재가 고정돌기에 걸림으로써 유격조정기구의 틸팅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걸림부재는 락킹부가 유격조정로드의 만입홈에 삽입된 경우 제1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되고, 락킹부가 만입홈에서 이탈되는 경우 고정돌기를 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타측단부의 상면에 지지돌기가 돌출된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유격조정기구의 과도한 틸팅 동작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제2고정부는 상측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절기구의 락킹부가 유격조정로드의 중앙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격조절기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로드의 일측단부는 만입홈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로드는 중앙단부의 상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락킹부에는 걸림턱에 대응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타측단부 측에는 탄성 스프링이 마련되고, 탄성 스프링이 유격조정로드의 타측단부에 접촉되어 유격조정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상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걸림부재에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삽입홀은 상하면이 평면으로 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끼움부가 삽입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가 유격조정기구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에 따르면, 클러치 케이블의 유격이 자동 조정됨으로써 클러치 케이블의 유격이 과대되거나 과소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유격조정장치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클러치 페달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5는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조립도.
도 6 내지 8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5는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조립도이며, 도 6 내지 8은 도 2에 도시된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일측방향은 도면의 왼쪽으로서, 페달 답입시 페달암 상부가 회전되는 방향이고, 타측방향은 도면의 오른쪽으로서, 페달 복귀시 페달암 상부가 회전되는 방향이다.
본 발명의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부(102)가 페달(P)에 연결되고, 타측단부(104)에 케이블(C)이 관통되며, 페달(P) 답입시 페달(P)과 함께 이동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일측단부(202)에는 하방으로 락킹부(220)가 돌출된 유격조정기구(200); 및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단부(302)와 중앙단부(306) 사이에 상기 락킹부(220)가 삽입되어 걸리는 만입홈(320)이 형성되고, 타측단부(304)에 하우징(100)을 관통한 케이블(C)이 연결되며, 중앙단부(306)의 상면은 락킹부(220)의 접촉시 유격조정기구(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페달(P) 답입시 하우징(100)과 함께 유격조정기구(200)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220)가 만입홈(320)에서 이탈되고 페달(P) 복귀시 락킹부(220)가 중앙단부(306)에 접촉되어 페달(P) 유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격조정로드(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는 클러치 페달(P)에 연결되는 하우징(100)과 페달(P) 답입시 이동되는 하우징(100)과 함께 이동되는 유격조정기구(200)가 구비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과 별도로 마련되어 클러치 케이블(C)에 연결된 유격조정로드(3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유격조정기구(2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일측단부에 락킹부(220)가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는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된 유격조정로드(300)의 만입홈(320)에 삽입되며, 이 경우 유격조정기구(200)가 하우징(100)에서 일정 각도 틸팅된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유격조정로드(3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마련되되 페달(P)에 연결된 하우징(100)과 별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케이블(C)이 연결되며,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유격조정로드(300)의 일측단부(302)와 타측단부(304) 사이에는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만입홈(320)이 형성되며, 중앙단부(306)의 상면은 락킹부(220)의 접촉시 락킹부(22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격조정기구(2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페달(P) 답입시 하우징(100)과 함께 유격조정기구(200)가 이동되고, 케이블(C)에 연결된 유격조정로드(300)는 하우징(100)과 함께 이동되지 않음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만입홈(320)에서 이탈된다. 이때, 유격조정기구(200)는 락킹부(220)가 만입홈(320)에서 이탈됨에 따라 소정 각도 틸팅되고, 페달(P) 복귀시 락킹부(220)가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에 접촉되되 유격조정로드(30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력만큼 페달(P)의 유격이 조정되는 것이다. 이후에는,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와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적정 유격으로 클러치 페달(P)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부에는 상측으로 고정돌기(142)가 돌출된 제1고정부(140)가 마련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200)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42)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재(24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제1고정부(140)는 상측으로 고정돌기(142)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정기구(200)의 걸림부재(240)가 고정돌기(142)에 걸림으로써 유격조정기구(200)의 틸팅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4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0)의 측면부에는 제1고정부(140)가 마련되고, 유격조정기구(200)의 측면부에는 제1고정부(140)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재(240)가 마련됨으로써 걸림부재(240)가 제1고정부(140)에 걸림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의 초기 위치 및 틸팅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제1고정부(140)를 판스프링으로 구성함으로써 페달(P) 답입시 유격조정기구(200)의 걸림부재(240)가 제1고정부(140)를 탄성적으로 변형시켜 고정돌기(142)를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다.
이로 인해, 페달(P)이 답입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유격조정로드(300)의 만입홈(320)에 삽입되고, 걸림부재(240)가 제1고정부(140)의 고정돌기(142)를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되어 초기 위치가 고정된다. 여기서, 페달(P)이 답입되면, 하우징(100)과 유격조정기구(200)가 이동됨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만입홈(320)에서 이탈되고, 걸림부재(240)가 고정돌기(142)를 넘어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유격조정기구(200)가 틸팅됨과 동시에 걸림부재(240)가 고정돌기(142)에 걸리어 틸팅 위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유격조정기구(200)의 틸팅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페달(P) 복귀시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 하면과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 상면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하우징(100)은 타측단부(104)의 상면에 지지돌기(162)가 돌출된 제2고정부(160)가 마련되어 유격조정기구(200)의 과도한 틸팅 동작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제2고정부(160)는 상측으로 지지돌기(162)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절기구(200)가 틸팅된 후 락킹부(220)가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격조절기구(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우징(100)의 타측단부(104)에 제2고정부(160)를 마련함으로써 페달(P)이 답입됨에 따라 하우징(100)이 이동되어 유격조정기구(200)의 틸팅 동작시 유격조정기구(200)의 타측단부(204)가 제2고정부(160)에 접촉되는 만큼 틸팅 동작이 제한된다.
특히, 제2고정부(16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유격조정기구(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유격조절기구의 락킹부(220)와 하우징(100)의 중앙단부(306)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유격조정로드(300)의 일측단부(302)는 만입홈(32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격조정로드(300)의 일측단부(302)는 만입홈(32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해줌으로써 페달(P)이 답입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이동시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만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조정로드(300)의 일측단부(302)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올라감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가 틸팅 동작이 부드럽고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격조정로드(300)는 중앙단부(306)의 상면에 다수의 걸림턱(34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에는 걸림턱(340)에 대응하는 다수의 걸림돌기(2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에 형성된 걸림턱(340)과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2)는 상호 대응됨으로써 페달(P)이 답입됨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가 틸팅된 후 페달(P) 복귀시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와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가 접촉되되 걸림돌기(222)와 걸림턱(340)이 상호 걸리어 유격조정로드(300)에서 유격조정기구(20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타측단부(106) 측에는 탄성 스프링(180)이 마련되고, 탄성 스프링(180)이 유격조정로드(300)의 타측단부(304)에 접촉되어 유격조정로드(300)가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탄성 스프링(180)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만큼 유격조정로드(300)가 유격조정기구(200)에서 이동되어 케이블(C)의 유격이 조정된다.
한편, 상기 유격조정기구(200)의 상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260)이 형성되고, 걸림부재(240)에는 상기 삽입홀(260)에 끼워지는 끼움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격조정기구(200)의 삽입홀(260)은 상하면이 평면으로 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240)의 끼움부(242)가 삽입홀(26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240)가 유격조정기구(200)에 구속될 수 있다.
이렇게, 유격조정기구(200)는 걸림부재(240)가 별도로 조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부품 손상시 손상된 부품만을 수리 및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유격조정기구(200)의 삽입홀(260)과 걸림부재(240)의 끼움부(242)는 상하면이 평면으로 된 타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걸림부재(240)의 끼움부(242)를 유격조정기구(200)의 삽입홀(260)에 끼움 결합시 걸림부재(240)가 유격조정기구(200)에 구속되어 함께 이동 및 틸팅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를 작동시키기 전에, 유격조정로드(300)가 연결된 케이블(C)을 대쉬 판넬에 장착하고, 하우징(100)의 일측단부(102)에 페달(P)을 체결한다. 또한, 트렌스 미션 측 케이블(C)을 클러치 릴리즈 레버에 체결함으로써 기본적인 케이블(C)의 설치를 완료하도록 한다.
이어서, 클러치 케이블(C) 유격을 조정하는데, 본 발명의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의 초기 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유격조정기구(200)의 걸림부재(240)가 하우징(100)의 마련된 제1고정부(140)의 고정돌기(142) 타측에 위치되고,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유격조정로드(300)의 만입홈(320)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하우징(100) 및 유격조정기구(200)가 유격조정로드(30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서, 케이블(C)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 하우징(100)을 페달(P)에 연결이 용이하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P)을 답입하면, 페달(P)이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100)이 이동되고, 하우징(100)의 이동과 함께 유격조정기구(200)가 이동된다. 이때, 케이블(C)에 연결된 유격조정로드(300)는 위치의 이동이 없음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가 유격조정로드(300)의 일측단부(302)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면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가 하우징(100)에서 틸팅된다. 이와 동시에, 유격조정기구(200)가 틸팅됨에 따라 이에 결합된 걸림부재(240)가 함께 틸팅됨으로써 걸림부재(240)가 하우징(100)의 제1고정부(140)에 형성된 고정돌기(142)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넘어 이동한다.
이로 인해, 유격조정기구(200)는 걸림부재(240)가 하우징(100)의 제1고정부(140)에 걸리어 틸팅 위치가 유지되고, 하우징(100)의 타측단부(104)에 형성된 제2고정부(160)가 유격조정기구(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유격조정기구(200)는 적정 수준의 틸팅 각도가 유지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P)의 답입을 해제하면, 하우징(100)과 함께 유격조정기구(200)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는데, 유격조정기구(200)가 틸팅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유격조정기구(200)의 락킹부(220)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2)와 유격조정로드(300)의 중앙단부(306)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340)이 상호 접촉된다.
여기서, 하우징(100) 내부에는 탄성 스프링(180)이 마련되고, 탄성 스프링(180)이 유격조정로드(300)의 타측단부(304)에 접촉되어 유격조정로드(300)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바, 탄성 스프링(180)의 탄성력이 작용되는 만큼 유격조정기구(200)의 걸림돌기(222)가 유격조정로드(300)의 걸림턱(340)을 넘어 이동됨으로써 케이블(C)의 유격이 조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를 통해 페달(P)을 답입한 후 답입 해제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케이블(C)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으며, 동시에 케이블(C)의 유격이 자동 조정됨으로써 케이블(C)의 유격이 과대되거나 과소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는 그 설치가 용이하여, 작업 공정이 단순화하고, 이에 따라 생산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며, 케이블 유격이 자동조정됨에 따라 페달(P) 답입감이 적정 수준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40:제1고정부
142:고정돌기 160:제2고정부
162:지지돌기 180:탄성 스프링
200:유격조정기구 220:락킹부
222:걸림돌기 240:걸림부재
242:끼움부 260:삽입홀
300:유격조정로드 320:만입홈
340:걸림턱

Claims (11)

  1. 일측단부가 페달에 연결되고, 타측단부에 케이블이 관통되며, 페달 답입시 페달과 함께 이동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일정 각도 틸팅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일측단부에는 하방으로 락킹부가 돌출된 유격조정기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단부와 중앙단부 사이에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만입홈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 하우징을 관통한 케이블이 연결되며, 중앙단부의 상면은 락킹부의 접촉시 유격조정기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페달 답입시 하우징과 함께 유격조정기구가 이동됨에 따라 락킹부가 만입홈에서 이탈되고 페달 복귀시 락킹부가 중앙단부에 접촉되어 페달 유격이 조정되도록 하는 유격조정로드;를 포함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는 상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제1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측면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1고정부는 상측으로 고정돌기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정기구의 걸림부재가 고정돌기에 걸림으로써 유격조정기구의 틸팅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걸림부재는 락킹부가 유격조정로드의 만입홈에 삽입된 경우 제1고정부의 고정돌기를 중심으로 타측에 위치되고, 락킹부가 만입홈에서 이탈되는 경우 고정돌기를 넘어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타측단부의 상면에 지지돌기가 돌출된 제2고정부가 마련되어 유격조정기구의 과도한 틸팅 동작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2고정부는 상측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된 판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유격조정기구의 락킹부가 유격조정로드의 중앙단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유격조정기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로드의 일측단부는 만입홈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로드는 중앙단부의 상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락킹부에는 걸림턱에 대응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타측단부 측에는 탄성 스프링이 마련되고, 탄성 스프링이 유격조정로드의 타측단부에 접촉되어 유격조정로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상부에는 측방향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고, 걸림부재에는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정기구의 삽입홀은 상하면이 평면으로 된 타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의 끼움부가 삽입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걸림부재가 유격조정기구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KR1020150027074A 2015-02-26 2015-02-26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KR10164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74A KR101646450B1 (ko) 2015-02-26 2015-02-26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74A KR101646450B1 (ko) 2015-02-26 2015-02-26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450B1 true KR101646450B1 (ko) 2016-08-16

Family

ID=5685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74A KR101646450B1 (ko) 2015-02-26 2015-02-26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50A (ko) 1995-09-29 1997-04-28 전성원 자동차의 클러치페달용 자동 유격조정장치
KR19980032138U (ko) * 1998-05-19 1998-08-17 차용열 클러치 페달의 이퀄라이져장치
KR100194880B1 (ko) * 1996-12-12 1999-06-15 정몽규 케이블 유격 조정기
KR20040051215A (ko) * 2002-12-12 2004-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악셀러레이터 케이블용 그로메트 장치
JP2004211844A (ja) * 2003-01-07 2004-07-29 Toyota Industries Corp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50A (ko) 1995-09-29 1997-04-28 전성원 자동차의 클러치페달용 자동 유격조정장치
KR100194880B1 (ko) * 1996-12-12 1999-06-15 정몽규 케이블 유격 조정기
KR19980032138U (ko) * 1998-05-19 1998-08-17 차용열 클러치 페달의 이퀄라이져장치
KR20040051215A (ko) * 2002-12-12 2004-06-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악셀러레이터 케이블용 그로메트 장치
JP2004211844A (ja) * 2003-01-07 2004-07-29 Toyota Industries Corp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14892A1 (en) Shift lever device
KR101428398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272927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US20130180356A1 (en) Assistance device for operating a pedal of a motor vehicle and pedal comprising the assistance device
KR20180069941A (ko) 클러치 액추에이터
KR101646450B1 (ko) 클러치 케이블 유격조정장치
JP3832639B2 (ja) ストップランプスイッチおよびその装着方法
JP2015098242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481345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0892484B1 (ko) 변속기의 시프트 록 해제 장치
KR101449327B1 (ko) 차량의 페달 장치
CN110871680A (zh) 换挡杆装置
KR101864540B1 (ko) 클러치 액츄에이터의 마모 보상장치
KR101816684B1 (ko) 차량용 파워 시트의 스위치 장치
KR101338066B1 (ko)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KR101535024B1 (ko)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KR101956500B1 (ko) 차량용 페달의 비선형적 반력 생성장치
KR102169360B1 (ko)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KR100348568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 조작기구의 위치 결정기구
KR101902417B1 (ko)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1619408B1 (ko) 차량용 시프트 록 조절 버튼
JP2023009890A (ja) クラッチ操作反力発生装置
KR101959015B1 (ko) 차량용 파킹 시스템 및 그것의 파킹로드 조립체
JP6878181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KR100427662B1 (ko) 변속 케이블의 소켓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